KR20110064530A -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4530A
KR20110064530A KR1020090121189A KR20090121189A KR20110064530A KR 20110064530 A KR20110064530 A KR 20110064530A KR 1020090121189 A KR1020090121189 A KR 1020090121189A KR 20090121189 A KR20090121189 A KR 20090121189A KR 20110064530 A KR20110064530 A KR 20110064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area
change rate
func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963B1 (ko
Inventor
임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963B1/ko
Priority to US12/954,730 priority patent/US9619025B2/en
Priority to CN2010105845186A priority patent/CN102087559A/zh
Priority to JP2010273806A priority patent/JP5685068B2/ja
Publication of KR2011006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06F3/041661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using detection at multiple resolutions, e.g. coarse and fine scanning; using detection within a limited area, e.g. object tracking wind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을 검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휴대 단말기, 터치, 면적, 변화

Description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Operation Method of Device based on a alteration ratio of touch area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특정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 특히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서, 그 이용의 편리성과 휴대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입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일측에 기구적으로 배치되는 키패드 등을 통하여 일정 문자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위하여 그 크기가 제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형의 휴대 단말기에서 적절한 표시부 크기를 확보하기 위하여 키패드를 제거하고 표시부에 터치 패널을 배치하는 터치스크린을 지원하기도 한다.
한편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포함하는 다양 한 터치기구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을 터치할 경우 그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에 특정 키맵을 출력하고, 해당 키맵을 터치하는 경우 단순히 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만을 지원하고 있어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다양한 입력 신호 생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다양한 기능 적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은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을 검출하는 변화율 검출 과정과, 상기 위치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켜 수행하는 기능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환에 따른 운용 장치는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을 검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말기는 이를 기반으로 보다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는 단말기 중 휴대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주요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이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다양한 단말기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터치스크린(140), 저장부(150), 진동부(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40)에 포함된 터치 패널(143)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터치 면적의 변화율을 검출하고,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해당 터치 이벤트에 따라 수행할 기능의 속성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의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영상이나 화상을 전송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 등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을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폰북 정보 등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무선주파수부(110)의 구성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포함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을 위하여 폰북에 저장된 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를 선택하거나 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숫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키 버튼이나 키패드가 없는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운용을 위하여 터치스크린(140) 상에 숫자를 포함하는 키맵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키맵은 3*4 키맵, 4*3 키맵, 쿼티 키맵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풀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 별도의 키 버튼이나 키패드를 채용하지 않고 상기 터치스크린(140)과 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140)을 채용하는 경우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맵과 키맵에 따른 터치 패널(143) 세팅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맵은 쿼티 키맵, 3*4 키맵, 4*3 키맵, 메뉴 맵, 소프트 키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에 필요한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형태의 악기 종류에 따라 북소리, 피리소리, 피아노 소리, 기타 소리 등 다양한 악기 소리를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30)가 출력하는 소리는 터치 이벤트 발생에 의한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그 강약이나 음색 등 음의 성질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표시부(141)와 터치 패널(143)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40)은 표시부(141) 전면에 터치 패널(143)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40)의 크기는 터치 패널(143)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표시부(141)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풀 스크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1)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등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141)는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4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143)과 함께 터치스크린(140)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입력부(12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1)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다양한 악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 패널(143)은 표시부(141) 상층에 배치되어 표시부(141)에 출력되 는 특정 이미지나, 특정 항목들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해 일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143)은 표시부(141)에 출력된 특정 악기 이미지의 유효 터치 영역을 세팅하고, 해당 유효 터치 영역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악기 이미지에 대한 터치 패널(143)의 터치 영역 세팅은 일정 범위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진동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진동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진동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17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무음 진동 모드 상태에서 통화 호를 수신하거나, 알람 시각이 도래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진동부(170)는 악기 연주 기능에서 특정 악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연주를 수행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일정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동부(170)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의해 발생하면서 변화하게 되는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다양한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진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140)으로 형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40) 운용을 위한 키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맵은 키맵이나 메뉴 맵, 소프트 키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키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 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맵, 쿼티 키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고,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목록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악기 연주 지원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악기 연주 지원 응용 프로그램은 메뉴나 기 설정된 키 입력 신호 또는 키맵 선택 신호 등에 따라 특정 악기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악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부(141)에 출력하는 루틴, 표시부(141)에 출력된 악기 이미지 중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유효 터치 영역을 결정하는 터치 패널(143) 세팅 루틴, 터치 패널(143) 상에 특정 터치 이벤트가 생성된 경우 해당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와 해당 터치 이벤트의 터치 면적 변화율을 검출하는 루틴,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으로서 일정 소리나 진동 등의 속성을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변화시켜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기 연주 지원 응용 프로그램은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적용되는 속성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설정 화면을 통하여 특정 악기 이미지와 터치 이벤트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오디오 출력 속성 또는 특정 진동 패턴의 속성 정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화면에서 악기 이미지로서 "북"이 출력되고, "북" 이미지 중 가죽이 배치된 부분이 유효 터치 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볼륨 업/다운을 조정하여 일정한 속성의 북소리를 설정하거나 일정한 속성의 북 진동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이벤트 생성을 일정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상기 일정 속성의 북소리 및 북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평균적인 터치 이벤트 매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터치 이벤트 반복 생성 시 오차율을 줄이기 위하여 반복되는 터치 이벤트들에 대하여 가능한 유사한 힘의 크기와 속도를 가지며 터치하도록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사용자는 다양한 터치 이벤트 형태 예를 들면, 일정 크기 또는 일정 크기 초과의 강한 힘 또는 속도가 터치 기구에 제공되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 형태, 일정 크기 또는 일정 크기 이하의 힘과 일정 크기 초과의 속도를 터치 기구에 제공되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 형태, 일정 크기 초과의 힘이 제공되지만 일정 크기 이하의 속도로 발생되는 터치 이벤트 형태, 일정 크기 이하의 힘 및 속도가 터치 기구에 제공되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 형태 등을 다양한 북소리들에 매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다양한 터치 이벤트 형태들은 터치 면적 변화율에 대응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폰 북 정보, 위젯 기능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 및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표시부(141)가 터치스크린(140)에 포함되도록 제작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40)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특정 악기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 및 다양한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된 특정 터치 이벤트 형태 정보 또는 특정 터치 면적 변화율 정보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데이터 영역은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수행될 특정 기능의 속성 변화를 정의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시 상기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특정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터치 이벤트에 의한 터치 면적 변화율을 빠르게 샘플링하고 이를 인식하기 위하여 터치 면적 변화율에 대한 모델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및 선택된 악기와 생성된 터치 이벤트에 따른 특정 오디오 신호 및 진동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부(160)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 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터치 면적 검출부(161) 및 기능 수행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면적 검출부(161)는 상기 터치스크린(140)의 터치 패널(143)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터치 면적 검출부(161)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위치 정보와 상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면적 변화에 대한 정보를 함께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 면적 검출부(161)는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을 추적하고, 추적한 터치 면적 변화율이 기 설정된 특정 터치 면적 변화율 예를 들면 특정 터치 면적 변화율 모델링과 유사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터치 면적 검출부(161)는 추적된 터치 면적 변화율이 모델링된 특정 터치 면적 변화율과 유사한 경우 해당 모델링 정보를 기능 수행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수행부(163)는 상기 터치 면적 검출부(161)가 전달하는 모델링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 수행부(163)는 사용자가 악기 연주를 위한 메뉴를 활성화하고, 특정 악기를 선택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악기 이미지를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 수행부(163)는 터치 패널(143)을 세팅하여 상기 악기 이미지의 유효 터치 영역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기능 수행부(163)는 해당 유효 터치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 방식에 따라 특정 모델링 정보가 전달되면 해당 모델링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수행부(163)는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의 속성을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변화시켜 출력하 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수행부(163)의 기능 수행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악기 연주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301 화면에서와 같이 악기 연주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메뉴 화면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악기 연주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에 대응하는 메뉴맵을 출력하면, 사용자는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를 터치스크린(140)을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악기 연주 항목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항목을 입력부(120)의 특정 키 또는 특정 키맵으로 터치스크린(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특정 키를 활성화하거나 상기 특정 키맵을 활성화함으로써 악기 연주 항목을 직접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악기 연주 항목을 선택하면 예를 들어 301 화면에서 3번에 배치된 악기 연주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 등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303 화면에서와 같이 악기 연주 항목에 포함된 서브 항목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악기 연주 항목은 서브 항목으로서 "북", "피아노", "피리" 등과 같은 서브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악기 연주 항목은 상술한 3개의 서브 항목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100) 지원 여부에 따라 보다 다양한 악기들을 지시하는 항목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 술한 다양한 서브 항목들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특정 항목 예를 들면 1 번 항목인 "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305 화면에서와 같이 "북"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터치스크린(140)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북"의 전체 이미지를 표시부(141)에 출력할 수 있으며, "북"의 전체 이미지 중 일정 부분 예를 들면 "북"의 가죽에 해당하는 부분을 터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유효 터치 영역(14)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143)의 영역 중 유효 터치 영역(14)만을 터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영역으로 세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유효 터치 영역(14)을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킬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북"을 두드리는 것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진동부(170)를 제어하여 "북"을 두드리는 것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오디오 신호와 상기 진동 패턴에 대하여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터치 이벤트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 및 패턴이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터치 영역(14)에 대하여 빠르고 강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빠르고 강한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4e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303 화면에서 사용자가 2 번 항목인 "피아노"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307 화면에서와 같이 "피아노" 항목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피아노"의 유효 터치 영역을 터치 패널(143)을 기반으로 세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피아노"의 경우 "피아노" 이미지 전체가 유효 터치 영역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피아노의 건반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을 터치 하는 경우 해당 터치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어떠한 건반이 눌려졌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특정 건반이 눌려지는 경우 그에 대응하여 특정 진동 패턴이 진동부(170)를 통하여 구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305 화면 설명에서와 같이 건반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의 속성이 다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피아노 이미지 상에서 특정 건반이 할당된 터치 패널(143) 영역을 느리고 가볍게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느리고 가볍게 터치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해당 건반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속성 또는 진동 패턴의 속성을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터치 면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3과 상기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100) 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a는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40) 상에 사용자가 터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손가락을 이용하는 사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40) 터치를 위하여 손가락을 이용하는 사례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손가락은 다양한 기구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생성되는 터치기구, 직물로 생성된 터치기구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40)의 영역 중 유효 터치 영역으로 세팅된 일정 지점을 손가락 등의 터치 기구를 이용하여 터치하는 경우 터치 면적은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특히 터치 면적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터치 기구에 가하는 힘과 속도에 대응하여 그 변화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40)의 유효 터치 영역을 터치하고자 할 때 기 설정된 힘의 크기 이상을 가지며 터치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손가락을 이용하여 유효 터치 영역을 세게 치고자 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도 4b에서와 같은 터치 면적 증가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최초 손가락이 터치스크린(140)의 표면에 닿기 직전 상태를 면적과 시간의 변화 초기 점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일정 시간 내에 급속하게 증가하는 터치 면적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면적 변화가 없는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급격한 터치 면적 감소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등의 터치 기구를 이용하여 유효 터치 영역을 터치하면서 터치 기구가 큰 힘을 받거나 일정 크기 이상의 빠른 속도를 가지게 되면 짧은 시간 동안 터치 면적 증가 변화와 터치 면적 감소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기구와 터치스크린(140)의 터치 면적 증가 또는 감소 변화가 짧은 시간 동안 크게 발생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터치 면적 변화율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 및 진동 패턴 구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터치 기구를 이용하여 305 화면에서의 "북"의 유효 터치 영역을 도 4b와 같은 터치 면적 변화를 가지며 터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북" 소리 중 "세게 칠 때"출력할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세게 칠 때"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북" 소리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와, 터치 면적 변화율 따른 상기 오디오 신호의 속성 즉 크기 변화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4C는 사용자가 터치 기구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40)을 터치하면서 "약하게 칠 때"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약하게 칠 때"의 의미는 사용자가 기 설정된 크기 또는 크기 이하의 힘을 터치 기구에 가하거나 터치 기구가 기 설정된 크기 또는 크기 이하의 속도를 터치 기구가 가지도록 제어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도 4c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터치 기구가 구 형태의 신축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었으며, 터치 기구가 기 설정된 크기 또는 크기 이하의 힘 또는 속도를 가지며 터치스크린(140)을 터치할 경우 터치 기구는 구형의 일측이 터치스크린(140)과 접촉된 후, 가해진 힘과 방향 또는 속도와 방향에 의하여 구형의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140)과 접촉하는 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기구가 기 설정된 크기 또는 크기 이하의 속도나 힘을 가지며 터치됨으로 해당 터치 면적의 크기 변화가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형태로 검출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터치 기구를 터치스크린(140)의 표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는 경우 즉 터치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일정 크기 또는 일정 속도를 가지며 터치 기구의 터치 상태를 해제함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터치 면적 감소 변화에 대응하는 곡선을 검출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약하게 칠 때"에 대응하는 동작을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수행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일정 시간 동안 완만한 터치 면적 증가 변화 곡선을 획득하고, 터치 해제 시 일정 시간 동안 급격한 터치 면적 감소 변화 곡선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305 화면에서 같은 "북"에 대응하는 악기 연주를 수행하면서 상술한 "약하게 칠 때"의 동작을 수행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북"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약하게 칠 때"에 대응하는 속성이 적용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d는 "죽여 칠 때"에 대응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수행했을 때 휴대 단말기(100)가 검출할 수 있는 터치 면적 변화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일정 시간 동안 급격한 터치 면적 증가 변화 곡선과, 도 4b에 비하여 터치 면적 변화가 없는 상태가 긴 곡선 및 일정 시간 동안 급격한 터치 면적 감소 변화 곡선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할당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때 "죽여 칠 때"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속성을 가지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 다.
또한 도 4e는 "짧게 끊어 칠 때"에 대응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수행했을 때 휴대 단말기(100)가 검출할 수 있는 터치 면적 변화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가 기 설정된 크기의 힘 또는 속도를 가지며 손가락을 포함한 터치 기구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40)을 터치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터치 면적의 증가가 급격하게 발생한 후 바로 이어서 터치 면적의 감소가 급격하게 발생하는 곡선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술한 "짧게 끊어 칠 때"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 변화를 검출하는 경우 해당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여 출력될 오디오 신호 또는 진동 패턴에 대하여 "짧게 끊어 칠 때"의 효과를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5 화면에서와 같이 "북"이미지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북" 이미지의 유효 터치 영역(14) 상에서 "짧게 끊어 칠 때"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북" 소리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대응하여 짧게 끊어 치는 듯 하는 효과를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305 화면에서의 "북" 악기 연주를 기준으로 각 터치 면적 변화율 따라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307 화면에서 설명하는 피아노 악기 연주에 대해서도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 따른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 출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악기 연주에 있어서 피아노를 선택하는 경우 307 화면에서와 같은 이미지 출력과 터치 패널(143) 세팅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피아노 건반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대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어떠한 건반이 눌려졌는지를 확인하는 한편, 사용자가 건반을 누르는 형태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를 확인하고, 터치 면적 변화율 따라 해당 건반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의 변화를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 중에 "솔"에 대응하는 건반 상에서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이때 "짧게 끊어 침"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 변화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솔"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면서 해당 음이 짧게 끊어 치는 듯 하는 효과를 가지며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속성을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거나,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시간을 변화시켜 출력하거나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색을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거나 상기 진동 패턴의 구현 시간을 변화시켜 출력하거나,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패턴을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오디오 신호와 진동 패턴을 동시에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악기 연주 기능에 있어서 "기 타(guitar)"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부(141)에 출력하고, 기타의 각 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유효 터치 영역으로 설정한 후, 해당 유효 터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 및 진동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줄에 대응하는 소리나 진동 패턴 출력 시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해당 소리나 진동 패턴의 속성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터치 면적 변화율의 검출 시 터치 면적 증가 변화 상태, 터치 면적 감소 변화 상태 및 터치 면적 유지 상태 전체를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면적 증가 변화 상태 검출, 터치 면적 감소 변화 상태 검출, 터치 면적 유지 상태 검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특정 기능 수행에 있어서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 따른 운용 장치는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하되, 해당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별로 해당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단순히 특정 영역을 터치함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터치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면적 변화율 따른 기능 변환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기능 수행 예를 들면 다양한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 따른 휴대 단말 기(100) 운용의 각 구성과 구성들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운용 방법은 먼저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부팅을 완료하고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을 501 단계에서와 같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503 단계에서 입력부(120) 또는 터치스크린(140)으로부터 발생하는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가 악기 기능 활성화를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503 단계에서 악기 기능 활성화를 위한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5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 파일 검색 기능, 파일 재생 기능, 웹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503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생성된 신호가 악기 기능 활성화를 위한 신호인 경우 507 단계로 분기하여 특정 악기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 세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부(141)에 출력하고, 이미지 중 유효 터치 영역으로 설정할 부분들에 대하여 터치 패널(143) 세팅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509 단계에서 유효 터치 영역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위치에서의 터치 면적 변화율을 검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511 단계에서 해당 위치 및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진동 또는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511 단계에서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해당 악기 기능 종료 여부를 513 단계에서 확인하고,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50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511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601 단계에서 저장부(150)에 저장된 터치 면적 변화율에 대한 모델링 정보를 제어부(160)에 업로드 한다.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대한 모델링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터치 이벤트 형태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을 모델링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상기 모델링 정보는 일정 크기의 힘 또는 속도를 가지며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140)을 "세게 칠 때", "약하게 칠 때", "죽여 칠 때", "끊어 칠 때"와 같이 터치 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터치 면적 변화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140)을 터치하는 형태에 해당하는 모델링 정보는 설정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정의하고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603 단계에서 현재 터치스 크린(140)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면적 변화율에 대응하는 모델링 정보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모델링 정보 중에 현재 발생하는 터치 면적 변화율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 형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605 단계에서 확인된 모델링 정보에 따른 속성 값을 추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모델링 정보에 따른 속성 값은 사전 정의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모델링 정보가 정의될 때, 각 모델링 정보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 수집 시 어떠한 속성을 부여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따라 해당 속성을 결정하거나, 별도의 입력 정보가 없는 경우, 랜덤 또는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예를 들면 오디오 신호의 크기 변화, 오디오 신호의 출력 시간 변화, 오디오 신호의 음색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성 정보는 예를 들면 진동부(170)의 진동 패턴의 크기 변화, 진동 패턴의 출력 시간 변화, 진동 패턴의 패턴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모델링 정보에 대응하는 속성 값 추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607 단계로 분기하여 추출된 속성에 따라 진동 및 소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속성을 적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4b와 같은 터치 면적 변화율이 검출되고 그에 대응하는 모델링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속성 값으로 진동 또는 소리의 크기를 기 설정된 값보다 일정 크기만큼 크게 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도 4c와 같은 터치 면적 변화율이 검출되는 경우, 속성 적용의 예로서 진동 또는 소리의 크기를 기 설정된 값보다 일정 크기만큼 작게 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 시,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속성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 면적 변화율 따른 운용 방법은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위치에서 발생하는 터치 면적 변화율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설명에서는 악기 기능 연주를 기반으로 터치 이벤트 발생 위치 및 터치 면적 변화율 따른 오디오 신호 또는 진동 패턴 출력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특정 터치 이벤트 발생 시 발생된 터치 이벤트의 위치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하되, 해당 기능 수행 시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키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기능에 있어서 "당구"와 같은 게임이 있다고 가정하고, 큐를 이용하여 특정 공을 치기 위한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큐를 이용하여 특정 공을 치도록 수행하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공을 치는 속도나, 방향, 타법 등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4d와 같은 터치 면적 변화율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밀어치기"에 대응하는 타법에 따라 공을 치도록 제어하고, 도 4e와 같은 터치 면적 변화율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끌어치기"에 대응하는 타법에 따라 공을 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 타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발생시키는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기능 수행 시 해당 기능의 속성을 각기 다르게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각 게임 기능 또는 기타 사용자 기능에 대하여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수행해야 할 속성을 미리 정의한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해당 기능 활성화 시, 이를 로드하여 해당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기능의 속성 변화에 대하여 모드 선택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기능 속성 변화 모드를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 면적 변화를 추적하고, 해당 터치 면적 변화율 따른 속성 변화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모드 설정이 없는 경우 터치 이벤트의 종류만을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모드 설정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거나, 해당 모드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위한 핫 키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 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 면적 변화율을 추적하고 그에 따른 기능 속성 변화를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511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13)

  1.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에서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을 검출하는 변화율 검출 과정과;
    상기 위치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켜 수행하는 기능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검출 과정은
    터치 면적 증가 변화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터치 면적 감소 변화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과;
    터치 면적 유지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악기 연주 기능에 따라 특정 악기의 이미지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악기 이미지 중 특정 영역을 터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유효 터치 영역 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유효 터치 영역 상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 및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되, 상기 터치 면적 변화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출력 시간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색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크기를 변화시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구현 시간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패턴을 변화시켜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수행될 특정 기능의 속성 변화를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기능의 속성 변화를 정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기능을 지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시 상기 데이터를 로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7. 터치에 따른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 이벤트의 위치 정보와 상기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터치 면적 변화율을 검출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기능의 속성을 변화시켜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면적의 증가 변화 상태, 상기 터치 면적의 감소 변화 상태 및 상기 터치 면적 유지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악기 연주 기능에 따라 특정 악기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악기 이미지 중 특정 영역을 터치 이벤트 생성을 위한 유효 터치 영역으로 설정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터치 영역 상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유효 터치 영역 상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을 출력하는 진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시 상기 터치 면적 변화에 따라 상기 오디오 신호의 크기, 출력 시간, 음색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패턴 출력 시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상기 진동 패턴의 크기, 상기 진동 패턴의 구현 시간 및 상기 진동 패턴의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변화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라 수행될 특정 기능의 속성 변화를 정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장치.
KR1020090121189A 2009-12-08 2009-12-08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5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89A KR101657963B1 (ko) 2009-12-08 2009-12-08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US12/954,730 US9619025B2 (en) 2009-12-08 2010-11-26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touch area
CN2010105845186A CN102087559A (zh) 2009-12-08 2010-12-07 根据触摸区域的改变率来操作移动装置的方法和系统
JP2010273806A JP5685068B2 (ja) 2009-12-08 2010-12-08 端末機のタッチ面積変化率による運用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89A KR101657963B1 (ko) 2009-12-08 2009-12-08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530A true KR20110064530A (ko) 2011-06-15
KR101657963B1 KR101657963B1 (ko) 2016-10-04

Family

ID=4408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189A KR101657963B1 (ko) 2009-12-08 2009-12-08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19025B2 (ko)
JP (1) JP5685068B2 (ko)
KR (1) KR101657963B1 (ko)
CN (1) CN1020875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6173B2 (en) 2015-08-1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lay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10241627B2 (en) 2014-01-02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00064041A (ko) * 2013-03-18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9519B2 (ja) * 2010-06-30 2016-03-22 京セラ株式会社 触感呈示装置およ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KR101679239B1 (ko) * 2010-07-06 201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악기 연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36381B1 (ko) * 2011-01-28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30321322A1 (en) * 2011-02-25 2013-12-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809665B2 (en) * 2011-03-01 2014-08-19 Apple Inc. Electronic percussion gestures for touchscreens
US9733708B2 (en) * 2011-04-06 2017-08-15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KR101962445B1 (ko) 2011-08-30 2019-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W201316240A (zh) * 2011-10-06 2013-04-16 Rich Ip Technology Inc 利用圖形用戶介面影像之觸碰處理方法及系統
US20130104039A1 (en) * 2011-10-21 2013-04-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on an Electronic Device
US9761209B2 (en) 2011-10-31 2017-09-12 Smule, Inc. Synthetic musical instrument with touch dynamics and/or expressiveness control
CN103186750B (zh) * 2011-12-28 2017-04-1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可防盗的触摸型便携式装置及防盗方法
JP6021335B2 (ja) * 2011-12-28 2016-11-09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937237B2 (en) 2012-03-06 2015-01-20 Apple Inc.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 of a played note on a virtual instrument
US10437392B2 (en) 2012-07-05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hard and soft touch by using acoustic sensors
JP6264287B2 (ja) * 2012-08-31 2018-01-24 日本電気株式会社 触力覚提示装置、情報端末、触力覚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019497B (zh) * 2012-12-28 2015-11-25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定位方法、装置及触摸终端
JP2014131133A (ja) * 2012-12-28 2014-07-1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
DE102013002430B4 (de) * 2013-02-10 2015-04-02 tado GmbH Verfahren zum Ein-und Ausschalten eines Nachtmodus einer Heizungs-und/oder Klimaanlage
KR101467852B1 (ko) * 2013-05-13 2014-12-02 (주) 아인전자 코드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물을 이용하는 전자펜의 악기 연주 음향재생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펜
CN104375625B (zh) * 2013-08-12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识别方法及电子设备
KR20160017461A (ko) * 2014-08-06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7053949A1 (en) * 2015-09-24 2017-03-30 Smule, Inc. Synthetic musical instrument with touch dynamics and/or expressiveness control
US9740352B2 (en) * 2015-09-30 2017-08-22 Elo Touch Solutions, Inc. Supporting multiple users on a large scale projected capacitive touchscreen
KR101784420B1 (ko) * 2015-10-20 2017-10-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압 센서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사운드 모듈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CN106952532B (zh) * 2016-01-06 2019-08-23 施政 节奏感培养器
JP6734094B2 (ja) * 2016-03-29 2020-08-05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鍵盤楽器
US11422631B2 (en) 2016-03-31 2022-08-23 Sensel, Inc. Human-computer interface system
US11460926B2 (en) 2016-03-31 2022-10-04 Sensel, Inc. Human-computer interface system
EP3436902A4 (en) 2016-03-31 2019-11-27 Sensel Inc. HUMAN-COMPUTER INTERFACE SYSTEM
US10866642B2 (en) 2016-03-31 2020-12-15 Sense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touch inputs with haptic feedback
US10564839B2 (en) 2016-03-31 2020-02-18 Sensel Inc. Method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inputs on a touch sensor surface
EP3343324B1 (en) * 2016-12-27 2021-06-09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170088B2 (en) * 2017-02-17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with touchscreen interface for note entry
CN106909225A (zh) * 2017-03-02 2017-06-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振动方法及装置
JP6795459B2 (ja) * 2017-06-05 2020-12-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の停止システム及びそれを具備する作業車両
PL3477453T3 (pl) * 2017-10-31 2020-06-01 Sanko Tekstil Isletmeleri San. Ve Tic. A.S. Sposób identyfikacji rodzajów zdarzeń gestów na tekstylnym czujniku płytki dotykowej
JP6973036B2 (ja) * 2017-12-25 2021-1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操作状態検出装置、操作状態検出用シート及び電子楽器
US11032406B2 (en) * 2019-10-25 2021-06-08 Mymee Inc. Smartphone case with separate computer hardware for recording private health-related data
DE102020107752A1 (de) 2020-03-20 2021-09-23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wahl von auf einem Bildschirm angezeigten Eingabefeldern und/oder zur Aktivierung von auf dem Bildschirm in einem ausgewählten Eingabefeld angezeigten Eingabeinhalten durch manuelle Eingab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486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Corp 入力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9098483A (ja) * 2007-10-18 2009-05-07 Yamaha Corp 鍵盤装置
KR20090111943A (ko) * 2008-04-23 2009-10-28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악기 연주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738A (en) * 1989-01-03 1992-03-31 Hotz Instruments Technology, Inc. MIDI musical translator
US7183480B2 (en) * 2000-01-11 2007-02-27 Yamah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erformer's motion to interactively control performance of music or the like
EP1326228B1 (en) * 2002-01-04 2016-03-23 MediaLab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odifying, interacting with and playing musical compositions
US7786366B2 (en) * 2004-07-06 2010-08-31 Daniel William Moffatt Method and apparatus for universal adaptive music system
US8242344B2 (en) * 2002-06-26 2012-08-14 Fingerstep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and performing music
US7723603B2 (en) * 2002-06-26 2010-05-25 Fingerstep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and performing music
US7129405B2 (en) * 2002-06-26 2006-10-31 Fingerstep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and performing music
US20040137984A1 (en) * 2003-01-09 2004-07-15 Salter Hal C. Interactive gamepad device and game providing means of learning musical pieces and songs
WO2005076117A1 (ja) 2004-02-10 2005-08-18 Takuya Ogihara タッチスクリーン式入力装置
JP2008508629A (ja) * 2004-08-02 2008-03-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圧力依存型視覚フィードバックを備えるタッチスクリーン
US20060050062A1 (en) 2004-08-19 2006-03-09 Masanori Ozawa Input device
JP2006085687A (ja) 2004-08-19 2006-03-30 Toshiba Corp 入力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60066589A1 (en) 2004-09-29 2006-03-30 Masanori Ozawa Input device
US20060066590A1 (en) 2004-09-29 2006-03-30 Masanori Ozawa Input device
JP2006127488A (ja) 2004-09-29 2006-05-18 Toshiba Corp 入力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636845B2 (ja) * 2004-10-07 2011-02-2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08529093A (ja) 2005-02-02 2008-07-31 オーディオブラクス インダストリア エ コメルシオ デ プロデュトス エレトロニコス ソシエダ アノニマ 楽器機能付携帯通信装置
US7692637B2 (en) * 2005-04-26 2010-04-06 Nokia Corporation User input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US8018440B2 (en) *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DE102006008260B3 (de) * 2006-02-22 2007-07-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alyse eines Audiodatums
DE102006008298B4 (de) * 2006-02-22 2010-01-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Notensignals
TWI328185B (en) * 2006-04-19 2010-08-01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for potab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selecting menus thereon
CN101506870A (zh) 2006-07-03 2009-08-12 柏拉图株式会社 便携式和弦输出设备、计算机程序和记录介质
US8120584B2 (en) * 2006-12-21 2012-02-21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Feedback mechanism for user detection of reference location on a sensing device
US7973778B2 (en) * 2007-04-16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simulation of touch pressure
JP2009048245A (ja) * 2007-08-14 2009-03-0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入力受付装置、領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24259B1 (ko) * 2007-08-22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입력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AR064377A1 (es) * 2007-12-17 2009-04-01 Rovere Victor Manuel Suarez Dispositivo para sensar multiples areas de contacto contra objetos en forma simultanea
US9170649B2 (en) * 2007-12-28 2015-10-27 Nokia Technologies Oy Audio and tactile feedback based on visual environment
BRPI0804355A2 (pt) * 2008-03-10 2009-11-0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e método de controle do mesmo
US20090237374A1 (en) * 2008-03-20 2009-09-24 Motorola, Inc. Transparent pressure sensor and method for using
US8659555B2 (en) * 2008-06-24 2014-02-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 feature using a tactile cue
KR101498622B1 (ko) * 2008-06-25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100556B2 (ja) * 2008-07-30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4600548B2 (ja) * 2008-08-27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88257B1 (ko) * 2008-09-01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작곡 방법 및 장치
JP5191321B2 (ja) * 2008-09-02 2013-05-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情報入出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
KR101527014B1 (ko) * 2008-12-02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N101465121B (zh) 2009-01-14 2012-03-21 苏州瀚瑞微电子有限公司 触摸式虚拟电子琴的实现方法
KR101554221B1 (ko) * 2009-05-11 2015-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US8593415B2 (en) * 2009-06-19 2013-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touch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90077113A (ko) * 2009-07-22 2019-07-02 임머숀 코퍼레이션 플랫폼에 걸쳐 햅틱 피드백을 갖는 상호작용 터치 스크린 게임 메타포
US8988191B2 (en) * 2009-08-27 2015-03-24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ure-based authentication of an input on a touch screen
US8363020B2 (en) * 2009-08-27 2013-01-29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sure-based manipulation of content on a touch screen
US8390583B2 (en) * 2009-08-31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Pressure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KR20110028834A (ko) * 2009-09-14 201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626324B2 (en) * 2010-09-17 2014-01-07 Apple Inc. Altering sound output on a virtual music keyboard
US8516386B2 (en) * 2010-09-29 2013-08-20 Apple Inc. Scrolling virtual music keyboard
KR20120110928A (ko) * 2011-03-30 2012-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처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486A (ja) * 2004-09-29 2006-05-18 Toshiba Corp 入力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9098483A (ja) * 2007-10-18 2009-05-07 Yamaha Corp 鍵盤装置
KR20090111943A (ko) * 2008-04-23 2009-10-28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악기 연주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41A (ko) * 2013-03-18 2020-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0241627B2 (en) 2014-01-02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666173B2 (en) 2015-08-1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lay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23888A (ja) 2011-06-23
CN102087559A (zh) 2011-06-08
US20110134061A1 (en) 2011-06-09
JP5685068B2 (ja) 2015-03-18
KR101657963B1 (ko) 2016-10-04
US9619025B2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963B1 (ko)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RU2604990C2 (ru) Способ действия терминала на основе множественных вводов и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его портативный терминал
US202001940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tch information in live webcast room, and storage medium
US201002536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080238886A1 (en)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touch-based input device
KR20110047409A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9335742B2 (en) Method of controlling alarm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10129574A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6303733B (zh) 播放直播特效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20065549A (ko) 터치 패널 운용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80530A (ko) 휴대 단말기의 반복 재생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090043753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장치
WO2017215660A1 (zh) 一种场景音效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6210755A (zh) 一种播放直播视频的方法、装置和系统
CN106384599B (zh) 一种破音识别的方法和装置
WO2017215661A1 (zh) 一种场景音效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6328176B (zh) 一种生成歌曲音频的方法和装置
KR20120079925A (ko) 휴대 단말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294442A (zh) 一种播放提示音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0597478A (zh) 一种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KR20110095586A (ko) 단말기의 터치 이벤트 수집 방법 및 장치
CN107870799A (zh) 利用微件控制音频播放器的方法、装置和终端
CN106098088B (zh) 一种显示歌词的方法和装置
KR20110044496A (ko) 휴대 단말기의 입력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10064629A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키맵 운용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