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461A -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461A
KR20160017461A KR1020140101007A KR20140101007A KR20160017461A KR 20160017461 A KR20160017461 A KR 20160017461A KR 1020140101007 A KR1020140101007 A KR 1020140101007A KR 20140101007 A KR20140101007 A KR 20140101007A KR 20160017461 A KR20160017461 A KR 20160017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musical instrument
sound
im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충렬
박상규
진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7461A/ko
Priority to US14/818,421 priority patent/US9633638B2/en
Publication of KR20160017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18Selecting circui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10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 G10H2220/10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for graphical creation, edition or control of musical data or parameters using icons, e.g. selecting, moving or linking icons, on-screen symbols, screen regions or segments representing musical elements or para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4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on touchscreens, i.e. keys, frets, strings, tablature or staff displayed on a touchscreen display for note input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 G10H2220/455Camera input, e.g. analyzing pictures from a video camera and using the analysis results as control data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175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jam sessions or musical collaboration through a network, e.g. for composition, ensemble playing or repeating; Compensation of network or internet delay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 or digital, e.g. DECT GSM, UM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95Packet switched network, e.g. token ring
    • G10H2240/305Internet or TCP/IP protocol use for any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data or musical parameter transmission purposes

Abstract

악기 연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는, 연주 대상 드로잉에 대응하는 드로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드로잉 이미지에 대응하는 연주 악기를 설정하는 연주 악기 설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드로잉 이미지에서, 상기 연주 악기와 대응되는 사운드(sound)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영역을 설정하는 사운드 영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controlling 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태블릿(Tablet) 등의 전자 장치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고 있다.
최근 전자 장치의 사용자들은,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 및 인터넷 검색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의 감성적인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의 제공을 원하고 있으며, 개발자들은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감성적인 기능들 중의 하나로, 사용자가 원하는 악기(예를 들면, 피아노)의 요소들(예를 들면, 피아노 건반)을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요소/요소들을 이용하여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악기의 요소들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와 같은 매우 제한적인 공간에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악기의 요소/요소들을 통하여 연주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잇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하여 연주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연주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드럼과 같은 타악기를 연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드럼 스틱으로 연주하는 것과 같은, 타악기의 연주에 대한 실제적인 느낌까지는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감성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한 연주 대상 드로잉을 통하여 연주함으로써,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보다 넓은 연주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한 연주 대상 드로잉을 통하여 연주함으로써, 실제로 악기를 연주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까지도 충족시킬 수 있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는, 연주 드로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연주 악기를 설정하는 연주 악기 설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서, 상기 연주 악기와 대응되는 사운드(sound)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영역을 설정하는 사운드 영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은, 연주 드로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연주 악기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서, 상기 연주 악기와 대응되는 사운드(sound)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한 연주 대상 드로잉을 통하여 연주함으로써,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보다 넓은 연주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임의로 작성한 연주 대상 드로잉을 통하여 연주함으로써, 실제로 악기를 연주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감성적인 측면까지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도 5b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가 전자 장치를 통하여 실행되는 경우에, 연주 모드 진입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드로잉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개념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악기의 타입으로서, 피아노가 선택된 경우에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개념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악기의 타입으로서, 실로폰이 선택된 경우에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개념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악기의 타입으로서, 드럼이 선택된 경우에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영역에 대응하는 연주 악기의 요소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수단이 사운드 영역에 대응되는 경우, 설정된 사운드가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영역이 설정된 경우에, 이를 삭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영역이 삭제되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이미지가 재설정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와 다른 악기 연주 장치/악기 연주 장치들이 악기 연주 데이터의 공유를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8a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와 다른 악기 연주 장치/악기 연주 장치들이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의 공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의 일 실시예로서 스마트 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한되지 아니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브통신 모듈(13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과 같은 외부 장치 연결부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100)에 탈착되어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이어폰(Earphone), 외부 스피커(External speaker),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충전기, 크래들(Cradle),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DMB 안테나, 모바일 결제 관련 장치, 건강 관리 장치(혈당계 등), 게임기,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무선으로 상기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 및 WiFi Direct 통신 장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장치는 다른 장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데스크탑 PC,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및 전원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부(19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195)가 각각 터치스크린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어부(110)는 CPU(111),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 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공급부(180), 터치스크린(190), 및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성능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통신 모듈(132)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통신 모듈(141)을 제외하고 오디오재생 모듈(142)과 동영상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모듈(140)의 오디오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151) 또는 제2 카메라(152)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 플래시(도시되지 아니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전자 장치(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취한 방식으로, 제1 카메라(151)와 제2 카메라(152)는 인접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GPS 모듈(155)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자 장치(1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복수의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모터(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또는 카메라 모듈(150)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전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전자 장치(1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모터(164)가 동작한다. 상기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64)는 터치스크린(190) 상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터치스크린(19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는 도킹 스테이션일 수 있고, 상기 데이터는 외부 입력 장치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등으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전원을 입력받거나, 상기 전원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는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이 삽입되어 상기 전자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접근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와 전자 장치(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모듈(170)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예, 전자 장치(100)의 회전, 전자 장치(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할 수 있고,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할 수도 있으며,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170)은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통신 모듈(13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GPS모듈(155),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터치스크린(19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전자 장치(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전자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전자 장치(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스크린(190)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90)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중앙에는 터치스크린(190)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표시된 예를 나타낸다. 메인 홈 화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켰을 때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표시되는 첫 화면이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0)가 여러 페이지의 서로 다른 홈 화면들을 갖고있을 경우, 메인 홈 화면은 상기 여러 페이지의 홈 화면들 중 첫 번째 홈 화면일 수 있다. 홈 화면에는 자주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축 아이콘들(191-1, 191-2, 191-3), 애플리케이션 전환키(191-4), 시간, 날씨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전환키(191-4)는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상단에는 배터리 충전상태, 수신신호의 세기, 현재 시각과 같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바(Status Bar, 19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90)의 하부에는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이 형성될 수 있다.
홈 버튼(161a)은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main Home screen)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90)에 상기 메인 홈 화면과 다른 홈 화면(any Home screen) 또는 메뉴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홈 버튼(161a)가 눌려지면(또는 터치되면), 터치스크린(190)에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실행되는 도중 홈 버튼(161a)이 눌려지면(또는 터치되면), 상기 터치스크린(190)상에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홈 버튼(161a)은 상기 터치스크린(190) 상에 최근에(recently) 사용된 애플리케이션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거나, 태스크 매니저(Task Manager)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메뉴 버튼(161b)은 터치스크린(190)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연결 메뉴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메뉴에는 위젯 추가 메뉴, 배경화면 변경 메뉴, 검색 메뉴, 편집 메뉴, 환경 설정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연결된 연결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뒤로 가기 버튼(161c)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화면의 바로 이전에 실행되었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가장 최근에 사용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전면(100a) 가장자리에는 제1 카메라(151)와 조도 센서(170a) 및 근접 센서(170b)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100c)에는 제2 카메라(152), 플래시(flash, 153), 스피커(163)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측면(100b)에는 예를 들어 전원/리셋 버튼(161d), 음량 제어 버튼(161e), 방송 수신을 위한 지상파 DMB 안테나(141a),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들(16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B 안테나(141a)는 전자 장치(100)에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하단 측면에는 커넥터(165)가 형성된다. 커넥터(165)에는 다수의 전극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상단 측면에는 이어폰 연결잭(16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잭(167)에는 이어폰이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는, 제어부(410), 이미지 획득부(420), 입력부(430), 출력부(440) 및 통신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10)는 사용자 인증부(411), 이미지 처리부(412), 연주 악기 설정부(413), 사운드 영역 제어부(414), 연주 수단 인식부(415) 및 사운드 제어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440)는, 디스플레이부(442) 및 사운드 출력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41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ID, 패스워드 등일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가 전자 장치(100)를 통하여 실시되는 경우에, 연주 모드 진입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 a, 도 5b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가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동작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44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500)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42)의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바람직하게는 터치 스크린(19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를 통하여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초기 화면(500)에서 "create band"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create band" 아이콘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부(442)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reate band"와 관련되는 다양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Instrument"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연주와 관련되는 다양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DJ mode" 및 "Stereo"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Instrument"모드 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42)는 사용자 인증 화면(600)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화면(600)에서 입력한 사용자 인증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름, 패스워드)를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411) 는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인증 정보의 내용과 동일한 경우에는 정당한 사용자로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411)는,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로 인증되고, 사용자로부터 연주 모드로의 진입 요청(예를 들면, "create"아이콘의 선택)을 수신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 모드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사용자 인증 동작은, 몇몇 실시예에 따라서는 생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부(411)는 생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미지 획득부(420)는 연주 드로잉(7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획득부(420)의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모듈(15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미지 획득부(420)는, 연주 드로잉(700)을 획득하고,제어부(410)는 상기 획득된 연주 드로잉(700)과 대응하는 이미지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42)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상기 연주 드로잉(700)은 전자적인 매체 또는 장치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연주 드로잉(700)은 바람직하게는, 종이에 그려진 다양한 형상/형상들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예시적으로 피아노 건반이 드로잉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부(410)는 상기 연주 드로잉 (700)과 대응하는 이미지와 함께,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상기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악기 선택 메뉴(72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악기 선택 메뉴(720)를 통하여 설정 가능한 악기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옥타브(octave) 선택 메뉴(730) 및 음계 선택 메뉴(740)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잠금 설정 아이콘(750), 악기 디스플레이 아이콘(760), 사운드 영역 설정 아이콘(770) 및 카메라 반전 아이콘(780)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잠금 설정 아이콘(750)을 선택하여 잠금 설정을 활성화한 경우, 사용자가 홈 버튼(161a), 메뉴 버튼(161b) 및 뒤로 가기 버튼(161c)을 선택하여도 선택에 따른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이 수행되지 아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 설정 아이콘(750)을 선택하여 잠금 설정을 활성화하여, 연주를 위한 전자 장치(100)의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악기 디스플레이 아이콘(760)을 선택하여 악기 디스플레이 요청을 입력한 경우, 제어부(410)는, 악기 선택 메뉴(720)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의 타입에 대응되는 악기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악기 선택 메뉴(720)을 통한 사용자의 악기 선택 요청에 따라 연주 대상이 되는 악기의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악기 디스플레이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의 타입에 대응되는 악기를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악기 설정부(41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다양한 연주 악기의 타입에 대응되는 악기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악기 선택 메뉴(720)에서 연주 악기를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Acoustic Grand Piano)"로 설정하고 악기 디스플레이 아이콘(760)을 선택한 경우, 연주 악기 설정부(413)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에 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실로폰(xylophone)을 선택한 경우라면, 연주 악기 설정부(413)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로폰에 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드럼(drum)을 설택한 경우라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 악기 설정부(413)는, 드럼에 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도 8a 내지 도 8c에서 언급된 악기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주 악기는 상술한 피아노, 실로폰 및 드럼 이외에도 다양한 악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주 악기들은, 미리 설정된 것일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무선 혹은 유선 통신을 통하여 구매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구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구매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비용을 전자 결제 방식을 통하여 지불하도록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셀룰러(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412)는, 상기 연주 드로잉(700)이 획득되면, 상기 연주 드로잉(700)에 대한 차영상(difference of image)을 검출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412)는, 상술한 차영상을 검출하기 위하여, 차영상 검출에 대한 기준 이미지(본 명세서에서, 필요에 따라 "제1 이미지"라고 언급될 수 있다)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 이미지는, 예를 들어 이미지 획득부(420)에 의하여 연주 드로잉(700)이 최초로 획득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0.5초)이 경과한 후의 이미지를 차영상 검출을 위한 기준 이미지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13에 도시된 이미지 초기화 아이콘(1320)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를 재설정할 수도 있다. 이미지 초기화 아이콘(1320)을 선택하여 상기 기준 이미지를 재설정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들로서, 상기 사용자가 연주 중에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다른 연주 드로잉(미도시)을 통하여 연주를 하기 위하여 연주 드로잉(700)을 교체하는 경우가 해당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412)는, 기준 이미지의 설정 이후, 상기 기준 이미지와 이미지 획득부(420)로부터 계속적으로 획득되는 연주 드로잉(700)에 대응하는 이미지(본 명세서에서, 필요에 따라 "제2 이미지"라고 언급될 수 있다)를 비교하여 차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412)는, 연주 드로잉(700)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Y, Cb, Cr 데이터 중에서 Y(밝기) 값을 제외한 색조 값(Cb, Cr)만을 비교하여 차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드로잉(700)은, 무채색(예를 들면, 흰색, 회색, 검정색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주 드로잉(700)의 바탕이 되는 종이는 흰색, 상기 종이 위에 드로잉되는 도형/도형들은 검정색, 연주 수단(예를 들면, 드럼 스틱)은 무채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4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주 드로잉(700)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연주와 관련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터페이스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42)의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 동작들은 터치 스크린(190)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42)가 터치스크린(190)을 통하여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430)가 수행하는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상기 터치스크린(19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42)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터치 스크린(190)과 관련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주 악기 설정부(4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악기 선택 메뉴(720)을 통한 사용자의 악기 선택 요청에 따라 연주 대상이 되는 악기의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악기 디스플레이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악기의 타입에 대응되는 악기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운드 영역 제어부(41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연주 악기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영역(1000)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운드 영역(1000)이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연주 악기에 포함되는 각각의 요소들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주 수단(1100)이 사운드 영역(10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연주 드로잉(700)에 위치하는 경우, 사운드 영역(1000)에 대하여 설정된 각각의 요소에 대응하는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운드 영역(1000)을 설정하는 동작에 관한 도면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영역에 대응하는 연주 악기의 요소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영역을 지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연주 악기(예를 들면, 어쿠스틱 그랜드 피아노)를 선택하고, 사운드 영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악기 디스플레이 아이콘(760)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 악기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442)에 디스플레이 된 경우, 사용자는 사운드 영역에 대응되는 연주 악기에 포함되는 요소들(예를 들면, 피아노 건반) 중 어느 하나의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요소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연주 악기에 대한 옥타브 및 음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옥타브 및 음계의 조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부(416)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운드 제어부(146)가 사용자가 연주 악기에 대한 옥타브 및 음계를 모두 설정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연주 악기의 요소를 선택하면, 사운드 출력부(444)는 상기 선택된 요소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일시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연주 악기에 대한 사운드가 올바르게 출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운드 영역 제어부(414)는, 입력 수단(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 168)을 통한 사용자의 사운드 영역(1000) 설정 요청에 따라, 사운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운드 영역 설정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수단(168)을 통하여 드래그(drag)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사운드 영역(1000)의 설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사용자는 다양한 입력수단(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통하여 상기 사운드 영역(1000)에 대한 설정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운드 영역 제어부(414)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운드 영역(1000)을 설정한 후,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악기의 요소에 대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사운드 영역에 매칭(matching)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사운드 영역(1000)이 복수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사운드 영역(1000)에 대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를 매칭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일한 사운드가 매칭될 수도 있다.
사운드 영역(1000)이 설정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영역(1000)에 연주 악기의 타입, 옥타브 및 음계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운드 영역(1000)에 연주 악기의 타입, 옥타브 및 음계가 디스플레이 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연주 수단 인식부(415)는, 이미지 처리부(412)에 의하여 검출된 차영상을 기초로 연주 수단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부(4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색조 값을 기초로 차영상을 검출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수단은 유채색으로 이루어지거나, 몇몇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생시키는 색상은 유채색(예를 들면, 레드(red))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주 수단을 인식하는 동작과 관련된 도면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수단(1100)이 사운드 영역(1000)에 대응되는 경우, 설정된 사운드가 출력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연주를 위하여 연주 드로잉(700)에 드로잉되어 있는 다양한 도형들에 대한 연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주 동작은, 예를 들어 상기 연주 드로잉(700)에 드로잉 된 도형들을 두드리는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연주 수단이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드럼 스틱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연주 수단 인식부(415)는 차영상으로부터 발광 다이오드가 위치하는 지점을 판단하고, 상기 지점이 사운드 영역(1000)에 대응되는 경우에, 사운드 제어부(416)는 사운드 출력부(444)를 통해 사운드 영역(1000)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연주 수단(1100), 즉,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드럼 스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몇몇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연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연주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미지 처리부(412)는, 색조 값으로부터 차영상을 추출할 수 있으므로, 연주 수단 인식부(415)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연주 수단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악기로서 피아노가 설정된 경우에는, 연주 수단(1100)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수단(1100)은, 정확한 연주 수단의 검출을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 또는 유채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 수단(1100)이 사운드 영역(1000)에 대응되는 연주 드로잉(700)의 일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사운드 영역(1000)에 색 표시 등 시각적인 효과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운드 제어부(4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연주 악기의 옥타브 및/또는 음계의 변경 등 사운드 속성의 변경, 사운드 출력 제어 등의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4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연주 악기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출력부(444)의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예를 들어, 스피커(163)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사운드 제어부(416) 및 사운드 출력부(444)의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부(4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를 위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430)가 수행하는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90)을 통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30)가 수행하는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예를 들어 상술한 버튼(161) 또는 키패드(166)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통신부(4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면, 서버, 다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들) 간에 다양한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450)가 수행하는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예를 들어 서브 통신 모듈(13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영역이 설정된 경우에, 이를 삭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삭제하고자 하는 사운드 영역(1000)에 대해서 예를 들어 롱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운드 영역 제어부(414)는,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영역(1000)에 대한 롱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삭제 확인 메지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이에 대한 확인 요청(예를 들어, OK 아이콘 선택)을 수신하면, 사운드 영역 제어부(414)는, 롱 터치 제스처가 이루어진 위치에 대응되는 사운드 영역(1000)을 삭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운드 영역(1000)을 삭제한다는 것은, 삭제 대상이 되는 사운드 영역(1000)에 대한 픽셀 좌표값에 관한 데이터 및 매칭되어 있는 사운드 데이터를 삭제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영역이 삭제되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의 메뉴 버튼(1300)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메뉴 디스플레이 요청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442) 는 사용자 메뉴(1320, 1330, 1340, 135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메뉴(1320, 1330, 1340, 1350)중에서, 삭제할 사운드 영역(1000)을 선택하고, 사운드 영역 삭제 항목(1330)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사운드 영역 삭제(1000) 요청이 수신되면, 사운드 영역 제어부(414)는, 선택된 사운드 영역(1000)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든 사운드 영역 삭제 항목(1340)을 선택하여, 기 설정된 사운드 영역/영역들(1000)을 모두 삭제할 수도 있다.
콘서트 모드 온/오프 아이콘(1350)의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이미지가 재설정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연주 드로잉(700)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미지 초기화 항목(1320)을 선택하여 차영상 검출의 기준이 되는 기준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 드로잉(700)이 변경된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이 연주 드로잉(700)에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이미지 초기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사용자 메뉴 중에서, 이미지 초기화 항목(1320)을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 초기화 항목(1320)을 선택하기 전에는, 이미지 처리부(412)는 색조 값에 기초한 차영상을 검출하고, 연주 수단 인식부(415)는 사용자의 손을 연주 수단으로 인식하므로, 사운드 출력부(444)는 사운드 영역(1000)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하여 이미지 초기화 요청이 수신되면, 이미지 처리부(412)는 현재 디스플레이부(44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기준 이미지로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변경된 연주 드로잉(700)의 현재 상태가 기준 이미지가 되므로, 사용자의 손의 위치에 대한 사운드 영역(1000)에 대응되는 사운드는 출력되지 아니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초기화 항목(1320)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기준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고, 변경된 연주 드로잉(700)을 기초로 연주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방법은, 연주 드로잉(700)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S1500)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차영상 검출의 기준이 되는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S1510). 다음으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연주 악기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S1520).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주 악기로서, 피아노, 실로폰 및 드럼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연주 악기를 설정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영역(1000)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S1530). 사운드 영역의 의미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각각의 사운드 영역(1000)에는 서로 다른 옥타브 및/또는 음계에 관한 사운드 데이터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동일한 옥타브 및/또는 음계에 관한 사운드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사운드 영역이 설정되었으면, 연주 수단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S1540). 연주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유채색(예를 들면, 빨강색)을 발생시키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발광 다이오드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무채색(예를 들면, 회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주 수단(1100)이 어느 하나의 사운드 영역(1000)에 대응하는 연주 드로잉(700)의 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S1550). 연주 수단(1100)이 어느 하나의 사운드 영역(1000)에 대응하는 연주 드로잉(700)의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연주 수단(1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운드 영역(100)에 매칭되어 저장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S1560). 연주 수단(1100)이 어느 하나의 사운드 영역(1000)에 대응하는 연주 드로잉(700)의 지점에 위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연주 수단(1100)의 연주 드로잉(700)에서의 위치를 다시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작(S1560) 이후, 다시 연주 드로잉(700)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하여 차영상을 추출한 후 연주 수단(1100)의 위치 판단 동작(S1540)을 반복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방법에 관해서는 상술한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 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술한 차영상을 기초로 연주 수단(1100)을 인식하는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차영상을 검출하지 아니하고, 연주 대상 드로잉(700)이 무채색으로 구성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연주 수단(1100)이 출력하는 특정한 색을 기초로 연주 수단(1100)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색은, 예를 들어 이미지 처리부(412)가 인식 가능한 색 리스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의 제조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색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연주 드로잉(700)의 바탕이 되는 종이, 드로잉 되는 도형/도형들을 상기 특정한 색상 이외의 색상으로 드로잉하고, 상기 특정한 색을 출력하는 연주 수단(1100)을 통하여 연주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기준 이미지를 저장하는 동작(S1510)이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주 수단(1100)의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S1630)은, 미리 설정된 색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색을 추적하여 연주 수단(1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설정된 색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색을 추적하기 위하여 이미지 처리부(412)는, 미리 설정된 색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색의 픽셀 좌표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연주 수단 인식부(415)는, 상기 픽셀 좌표를 기초로 연주 수단(1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 도 16에 도시된 다른 동작들은 도 15와 관련하여 상술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에 따르면, 이미지 초기화 아이콘(1320)을 통하여 변경된 연주 드로잉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새롭게 재설정할 수 있음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400)에서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영상 검출을 통하여 연주 수단(1100)을 인식하지 아니하는 바, 변경된 연주 드로잉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재설정이 상술한 "기준 이미지의 재설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와 다른 악기 연주 장치/악기 연주 장치들이 악기 연주 데이터의 공유를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다른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a, 이하에서는 필요에 따라 "제2 악기 연주 제어 장치"라고 언급하기로 한다)의 사용자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가 설정한 "연주 그룹"에 참여하기 위하여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Join Band"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는,사용자에 의한 "create Band"아이콘의 선택(도 5a 참조)에 따라 "연주 그룹"에 대한 엑세스 포인트(AP)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는 상기 연주 그룹에 대한 호스트(host) 디바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제2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a)는 도 17a와 같이 "Join Band"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가 생성한 상기 연주 그룹에 참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주 그룹에 참여"한다는 의미는, 제2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a, "게스트 디바이스")가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 "호스트 디바이스")와 미리 정해진 통신 표준을 따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제2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a)는 상기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와 상기 연주와 관련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가 생성한 상기 연주 그룹(예를 들면, "User Group")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a)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2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a)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주 그룹에 대한 참여 요청을 수신하면(예를 들면, "Join"아이콘의 선택), 제1 악기 연주 장치(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요청을 제1 악기 연주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악기 연주 장치(400)는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제2 악기 연주 장치(400a)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에서는 하나의 게스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제2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a))가 호스트 디바이스(예를 들면,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이 상기 연주 그룹에 참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8a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기 연주 장치와 다른 악기 연주 장치/악기 연주 장치들이 상기 악기 연주 데이터의 공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18a 내지 도 20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도 17a 내지 도 17c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이 호스트 디바이스(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전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는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을 제어하기 위한 선택을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DJ mode" 선택)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을 선택받은 후, 제1 악기 연주 제어 장치(400)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들은 예를 들어, 볼륨 제어 아이콘, 빠르기(tempo) 제어 아이콘, 재생 타입 설정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 각각은,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 드로잉(미도시)에 대응하는 이미지(예를 들면, 피아노, 드럼, 실로폰 이미지 등)을 상술한 도 5a 내지 도 16과 관련되어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400a)를 통하여 연주를 수행하면, 다른 디바이스들(400, 400b, 400c)에서도 상기 연주에 대한 사운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운드 데이터를 공유한다는 말은, 상기 연주 그룹 내에 포함되는 모든 악기에 관한 사운드가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모두 출력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피아노와 대응되는 게스트 디바이스(400a)와 드럼과 대응되는 게스트 디바이스(400b)를 통하여 동시에 악기 연주를 수행하는 경우에, 각각의 디바이스(400a, 400b)에서 상기 피아노 및 상기 드럼에 대한 사운드가 모두 출력된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디바이스들(400, 400a, 400b, 400c)을 통한 합주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주에 따른 정보는 예를 들어 각각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상호간에 송수신 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디바이스(400)는, 호스트 디바이스(400) 또는 다른 전자 장치들(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 제공 서버 등)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 파일을 재생(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악 재생 요청에 따라 호스트 디바이스(400)는 재생 가능한 음악 파일들의 목록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상기 목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디바이스(400) 및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에 의한 합주는 상기 선택된 음악 파일이 재생중인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음악은 상기 합주에 있어서의 배경음악(BGM)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음악 파일"은 각각의 디바이스들(400, 400a, 400b, 400c)에서 재생 가능한 청각 데이터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음악 파일 이외에도 다양한 청각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재생되는 청각 데이터의 볼륨은 예를 들어 도 18e에 도시된 볼륨 제어 메뉴(1810)를 통하여 제어 될 수 있다.도 18d 내지 도 18g는 상기 합주와 관련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합주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호스트 디바이스(400)을 통해 볼륨을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d를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400)는 볼륨 제어 아이콘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볼륨 제어 아이콘(1800)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호스트 디바이스(400)의 디스플레이부(442)는 도 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륨 제어 메뉴(18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볼륨 제어 메뉴(1810)는, 마스터 볼륨, 호스트 디바이스에 대한 볼륨 및 각각의 게스트 디바이스(400a, 400b, 400c)에 대한 볼륨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볼륨 항목들은 바(bar) 타입으로 디스플레이 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볼륨 제어 메뉴의 항목들 및 디스플레이 되는 타입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호스트 디바이스(400)는, 도 1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볼륨 항목에 대한 볼륨 제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에 따라 각각의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 및 호스트 디바이스(400)의 볼륨을 제어할 수 있다.
볼륨 제어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8g를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400)는 도 1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게스트 디바이스 볼륨 항목(예를 들면, 게스트 디바이스 400a)에 대한 볼륨 제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에 따라 선택된 게스트 디바이스(400a)의 볼륨을 제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볼륨 제어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콘서트 모드 온/오프 아이콘(1350)과 관련하여,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게스트 디바이스 400a)에서 상기 콘서트 모드가 오프(off) 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즉, 게스트 디바이스 400a)에서는 상기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 이외에 다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연주와 관련된 사운드는 출력되지 아니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게스트 디바이스 400a에서 상기 콘서트 모드가 오프되면, 게스트 디바이스 400a에서는 다른 디바이스들(예를 들면, 400b 및 400c)을 통하여 연주되는 악기(예를 들어, 드럼 및 실로폰)에 관한 사운드는 더 이상 출력되지 아니하고, 게스트 디바이스 400a를 통하여 연주되는 악기, 즉, 피아노에 관한 사운드만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볼륨 제어와 관련된 기능/기능들 또는 동작/동작들은 바람직하게는 사운드 제어부(416)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호스트 디바이스(400)는, 상술한 도 18a 내지 도 18f와 관련된 실시예와는 달리,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에 의하여 수행되는 합주를 단지 재생만을 위한 모드(예를 들면, "stereo"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tereo" 모드에서는,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을 제어하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 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에 의하여 수행되는 상기 합주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합주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에 의해 서로 다른 악기에 대한 연주가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도 18a 내지 도 18f에 도시된 실시예들과는 달리, 각각의 게스트 디바이스들(400a, 400b, 400c)에 의해 서로 동일한 악기(에를 들면, 피아노)에 대한 연주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전자 장치
400 : 연주 제어 장치
700 : 연주 드로잉
1000 : 사운드 영역
1100 : 연주 수단

Claims (20)

  1.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연주 드로잉(drawing)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연주 악기를 설정하는 연주 악기 설정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서, 상기 연주 악기와 대응되는 사운드(sound)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영역을 설정하는 사운드 영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대상 드로잉에 대한 연주 수단의 위치를 인식하는 연주 수단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수단 인식부는, 상기 연주 수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가 상기 설정된 사운드 영역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수단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사운드 영역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연주 악기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드로잉에 대응하는 상기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차영상(difference of image)을 검출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사운드에 대한 속성을 제어하는 사운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속성은 상기 출력되는 사운드의 옥타브 및 음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수단이 출력하는,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색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색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이미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 연주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악기 연주 장치와, 연주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
  11.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주 대상 드로잉에 관한 드로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된 드로잉 이미지에 대응하는 연주 악기를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드로잉 이미지에서, 상기 연주 악기와 대응되는 사운드(sound)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 영역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대상 드로잉에 대한 연주 수단의 위치를 인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수단의 위치를 인식하는 동작은, 상기 연주 수단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가 상기 설정된 사운드 영역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수단의 위치가 상기 설정된 사운드 영역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연주 악기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대상 드로잉에 대응하는 상기 드로잉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이미지에 대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의 차영상(difference of image)을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사운드에 대한 속성을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속성은 상기 출력되는 사운드의 옥타브 및 음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수단이 출력하는,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색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색을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 연주 제어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악기 연주 장치와, 연주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연주 제어 장치에서 악기 연주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140101007A 2014-08-06 2014-08-06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17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07A KR20160017461A (ko) 2014-08-06 2014-08-06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4/818,421 US9633638B2 (en) 2014-08-06 2015-08-05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a mus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007A KR20160017461A (ko) 2014-08-06 2014-08-06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461A true KR20160017461A (ko) 2016-02-16

Family

ID=5526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007A KR20160017461A (ko) 2014-08-06 2014-08-06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3638B2 (ko)
KR (1) KR201600174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8448B2 (en) * 2008-04-14 2019-10-08 Gregory A. Piccionielli Composition production with audience participation
US20160225357A1 (en) * 2015-01-30 2016-08-04 Jet Black Movement Musical Instrument
JP2017151355A (ja) * 2016-02-26 2017-08-31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打楽器
JP6690589B2 (ja) * 2017-03-22 2020-04-28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制御端末、電子楽器制御システム、電子楽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楽器制御方法
CN108257586A (zh) * 2018-03-12 2018-07-06 冯超 一种便携式表演设备、音乐生成方法及系统
US10991349B2 (en) * 2018-07-16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usical synthesis using hand-drawn patterns/text on digital and non-digital surfaces
US11138297B2 (en) 2018-07-31 2021-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ound composition as authentication
US11531741B2 (en) * 2021-01-01 2022-12-2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ynamic password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9689B2 (en) * 1996-07-10 2011-08-02 Bassilic Technologies Llc Electronic music stand performer subsystems and music communication methodologies
US7339104B2 (en) * 2001-04-17 2008-03-04 Kabushiki Kaisha Kenwood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on attribute of, for example, CD
US6995310B1 (en) * 2001-07-18 2006-02-07 Emusic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nd displaying tablature associated with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KR100490235B1 (ko) 2003-01-13 2005-05-19 이문기 광 스틱과 카메라를 이용한 드럼 연주장치
JP4349111B2 (ja) * 2003-12-09 2009-10-21 ヤマハ株式会社 Av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端末
JP2006074386A (ja) * 2004-09-01 2006-03-16 Fujitsu Ltd 立体音響再生方法、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51516B1 (ko) * 2004-10-14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악기연주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US20060179160A1 (en) 2005-02-08 2006-08-10 Motorola, Inc. Orchestral rendering of data content based on synchronization of multiple communications devices
KR101153333B1 (ko) 2006-02-07 2012-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방법
US7649136B2 (en) * 2007-02-26 2010-01-19 Yamaha Corporation Music reproducing system for collaboration, program reproducer, music data distributor and program producer
WO2008117281A2 (en) * 2007-03-24 2008-10-02 Adi Wahrhaftig Interactive game
US7842875B2 (en) * 2007-10-19 2010-11-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Scheme for providing audio effects for a musical instrument and for controlling images with same
US7754955B2 (en) * 2007-11-02 2010-07-13 Mark Patrick Egan Virtual reality composer platform system
KR101488257B1 (ko) * 2008-09-01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작곡 방법 및 장치
US8378194B2 (en) * 2009-07-31 2013-02-19 Kyran Daisy Composi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KR101657963B1 (ko) * 2009-12-08 2016-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10316793A1 (en) * 2010-06-28 2011-12-29 Digitar World Inc.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virtual musical instruments
KR101679239B1 (ko) * 2010-07-06 201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증강 현실 기법을 이용한 악기 연주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516386B2 (en) * 2010-09-29 2013-08-20 Apple Inc. Scrolling virtual music keyboard
US8772621B2 (en) * 2010-11-09 2014-07-08 Smu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and rendering of performance on synthetic string instrument
US8383923B2 (en) * 2011-06-03 2013-02-26 L. Leonard Hacker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game playing and training
WO2014008209A1 (en) * 2012-07-02 2014-01-09 eScoreMus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sic display, collaboration and anno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2727A1 (en) 2016-02-11
US9633638B2 (en)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7461A (ko) 악기 연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51418B1 (ko)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영상 입력 장치
CN108769561B (zh) 视频录制方法及装置
WO2016124095A1 (zh) 生成视频的方法、装置及终端
CN109033335B (zh) 音频录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220267B1 (ko) 전자문서를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15727A (ko) 음악 정보 시각화 방법 및 장치
WO2021068903A1 (zh) 确定音量的调节比例信息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79012A (ko) 추가 구성 요소를 이용한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346111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5013187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음악 연주 방법
CN109192218B (zh) 音频处理的方法和装置
CN111061405B (zh) 录制歌曲音频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2095465A1 (zh) 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11142838A (zh) 音频播放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996167A (zh) 在视频中添加字幕的方法及装置
CN108922562A (zh) 演唱评价结果显示方法及装置
CN110245255B (zh) 歌曲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845152B (zh) 播放控件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798327A (zh) 消息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2118482A (zh) 音频文件的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131867A (zh) 歌曲演唱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22227589A1 (zh) 音频处理方法及装置
CN110267114B (zh) 视频文件的播放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