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1303A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1303A KR20110061303A KR1020090117912A KR20090117912A KR20110061303A KR 20110061303 A KR20110061303 A KR 20110061303A KR 1020090117912 A KR1020090117912 A KR 1020090117912A KR 20090117912 A KR20090117912 A KR 20090117912A KR 20110061303 A KR20110061303 A KR 201100613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 beam
- high heat
- composition
- thermoplastic high
- foam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 올레핀계 수지인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기본수지로 활용하여, 전자선 조사 방식에 의해 가교시키는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선 가교, 고내열, 복합탄성체, 호모 폴리프로필렌, 폼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 올레핀계 수지인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기본수지로 활용하여, 전자선 조사 방식에 의해 가교시키는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대표적인 범용수지로서, 저밀도, 고강도, 고내열성 등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갖고 있 음은 물론 재활용이 수월한 환경친화적 소재이다. 또한 생활용품에서 공업용 부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합한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가장 큰 성장이 예측되는 플라스틱 소재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높은 결정화도, 그리고 고유의 비극성(non-polar) 등으로 인하여 저온충격저항 및 도장성 등의 단점도 있어, 이를 극복함과 아울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공중합, 고무상의 도입, FRP 등의 다양한 방법의 복합화가 모색되고 있다.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 TPO라 약칭하기도 함)는 상온에서 열경화성 고무의 유연성을 포함, 상분리 조작 등에 의한 다양한 물성의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이 가공성을 가지고 있어, 재활용 또한 용이한 점 등을 이유로 기존의 고무제품 또는 내충격 강화소재의 대체재로서 주목받고 있는 고분자 블랜드 수지이다. 상업화된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의 하드 세그먼트는 PP, PE 등의 경도가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소프트 세그먼트는 EPDM, EPR, EVA,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탄성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NBR, 부틸고무, 천연고무 등과도 블랜딩하는 등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다양한 조성을 갖는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수지의 개발도 시도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수지로 적정한 물질을 선택하여 블랜딩한 후, 압출 및 발포과정을 진행하여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혼합수지의 블랜딩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용화제, 복합탄성체를 발포시키기 위한 발포제, 적정하게 선택된 방법에 따른 가교 공정의 효율적인 진행 을 위한 가교제 등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한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드 세그먼트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 고경도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을 사용하여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고 있다.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시 소량의 에틸렌을 첨가하여 고분자의 입체규칙성을 낮추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발포폼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기본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랜덤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을 증량하여 폼재를 제조할 경우 가열치수변화율(140℃에서 1시간 가열)이 증가하여 수축률이 감소하지만 탄성중합체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유연성 등의 감성품질이 떨어져 고객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물성을 갖게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초 준비되는 조성물의 성분과 함량에 대한 개량과 더불어, 제조 공정 중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공정 조건이나 구체적인 진행 방법 등에 대한 개선을 통해, 최종 생산되는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품의 물성 향상을 위한 관련 분야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조성 성분과 각 성분별 함량을 적절하게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포폼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요구되는 최적의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수축율이 감소와 더불어 강성, 내열성, 재활용성, 친환경성, 성형성, 유연성 및 감성품질의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기본수지, 상용화제, 발포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상기 기본수지는, 10 내지 8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하드 세그먼트)인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20 내지 90 중량%의 탄성중합체(소프트 세그먼트) 중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복합탄성체이고,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불록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로니트릴 공중합체, 그래파이트된 에틸렌 프로필렌고무 및 기능성 폴리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며, 상 기 발포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및 보로수소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무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아조디카본아마이드,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 벤젠 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및 톨루엔 술포닐 세미카바자이드로 이루어진 유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며, 상기 가교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유기과산화물, 불포화수지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가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지글러 나타(Ziegler Natta) 또는 메탈로센(Metalloecene)의 촉매제에 의하여 소성중합체(plastomer) 및 탄성중합체(elastomer)의 성질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0.5 내지 40g/10min이고, 용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용융지수(230℃, 2.16㎏)가 2.0 내지 25.0g/10min이고, 밀도가 0.850 내지 0.888g/㎤이며, 연화점이 29 내지 1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용화제로 선택되는 기능성 폴리머는,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프로필렌,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스타일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타일렌, 말레산 무수물과 공중합된 폴리스티렌, 말레산 무수물이 도 입된 폴리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세테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교제로 선택되는 유기과산화물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아릴퍼옥사이드(디쿠밀 퍼옥사이드), 디아실 퍼옥사이드, 퍼옥시 케탈, 퍼옥시 에스테르, 퍼옥시카보네이트, 케톤 퍼옥사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교제로 선택되는 불포화수지 가교제는 비닐 모노머, 아크릴계 화합물, 메타크릴계 화합물 및 에폭시계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에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이 더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페놀계, 아미노계, 인계 및 유황계로 이루어진 산화방지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며,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Cd/Ba/Zn계, Cd/Ba계, Ba/Zn계, Ca/Zn계, Na/Zn계, Sn계, Pb계, Cd계 및 Zn계로 이루어진 열안정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S10)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 기 위한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S20) 상기 준비된 조성물 중 발포제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마스터 배치와 기본수지를 압출기를 투입하여 압출시키는 단계; (S30) 상기 압출된 결과물에 대해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 및 (S40) 상기 가교된 결과물에 대해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20)의 압출단계는, 트윈 압출기를 사용하며,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는 140 내지 210℃로 유지하되, 상기 트윈 압출기 말단의 스크류의 온도가 50 내지 120℃로 유지되도록 진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30)의 가교단계는, 300 내지 900kV의 전압과 1.0 내지 5.0 Mrad의 전자선량으로 가속전자선이 조사되도록 진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S40)의 발포단계는, 발포로가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발포방법, 발포로가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발포방법 및 열전달매체로 액상의 설트를 이용하는 설트발포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면, 보다 개선된 물성을 가지면서 친환경성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며, 제품의 외관 특성 및 각종 기계적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성 높은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할 수 있다.
현재 TPO 폼재의 적용 분야는 크게 두 분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자동차 소재 분야와 일반 잡화 및 전자 소재 분야이다. 자동차 내장재 분야가 국내.외에서 가장 TPO 폼재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다. 자동차의 내장부품은 크게 패트형(소프트함)과 비패드형(하드함)으로 나뉘어진다. 비패드형은 표면이 딱딱한 부품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녈, 도어 트림, 콘솔박스, 가니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감성을 요구하는 현대인들은 딱딱한 느낌 보다는 시각적인 면에서나 감촉면에서 우수한 부품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트림, 인스트루먼트 판넬, 헤드 라이너, 사이드 필라 등에 패드형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패드형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는 비패드형에 사용되는 소재와 달리 3층(스킨/폼/코어)의 구조로 되어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구조는 PVC 스킨/PU 폼/ABS 코어 형태로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PVC는 환경 유해 물질로 사용규제가 예상되는 소재이다. 따라서 기존의 구조를 TPO 스킨/TPO 폼/PP 코어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으며 일부 차종에는 적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 잡화 및 전자 소재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가장 빨리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테이프류와 논-슬립 매트류이다. 테이프류의 경우 대표적인 타겟 제품은 노턴 테이프(Norton Tape)류이며 현재 전량 수입되어 건축시장에 적용되고 있다. 발포 배율은 저배율이며 경도에 비해 유연성이 우수한 제품이며, 실리콘 실란트 형상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들은 접착력이 뛰어나고 형상 유지력이 뛰어나야 한다. 현재 타 업체에서 폴리우레탄, PVC 폼 등으로 대체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아울러, TPO 폼에 논-슬립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일반 가정용 매트, 마우 스 패드, 전자제품의 패킹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전자제품의 실링재로 적용되고 있는 포론(Poron) 폼의 경우 현재 전량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입제품을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국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포론폼의 시장도 TPO 폼의 실링 특성을 부여하여 시장 개척의 가능성도 함께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기본수지는 10 내지 8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와 20 내지 90 중량%의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복합탄성체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기본수지로 블랜딩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하드 세그먼트로, 상기 기본수지로 블랜딩된 탄성중합체는 소프트 세그먼트로 구성되도록 조성된다. 상기 기본 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먼트의 함량과 소프트 세그먼트의 함량 비율에 따라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변화된다. 특히, 상기 하드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압출 및 발포 가공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한 반면, 전자선 가교에 의해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을 제조함에 있어서 유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탄성체로서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그 함량 조절에 주의가 요망된다. 즉, 상기 하드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량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내열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탄성체로서 이용하기 위한 유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소프트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탄성중합체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탄성체로서 이용하기 위한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내열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에서,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하드세그먼트)는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olypropylene)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에서,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탄성중합체로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이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지글러 나타(Ziegler Natta) 또는 메탈로센(Metalloecene) 촉매제에 의하여 소성중합체 및 탄성중합체(plastomer and elastomer)의 성질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0.5 내지 40g/10min이고, 용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물성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용융지수의 하한치에 미달하면 압출 흐름성이 원활하지 않아 압출기 내에서 발포제가 분해되어 압출 가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용융지수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압출 흐름성은 우수하나 일정한 압출시트의 두께 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용융점의 하한치에 미달하면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상기 용융점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압출 및 발포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용융지수(230℃, 2.16㎏)가 2.0 내지 25.0g/10min이고, 밀도가 0.850 내지 0.888g/㎤이며, 연화점이 29 내지 1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물성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용융지수의 하한치에 미달하면 기계적 물성은 우수한 반면 압출 및 발포 가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용융지수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 및 압출 가공성 저하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밀도의 하한치에 미달하면 기계적 물성 및 유연성은 우수한 반면 압출 및 발포 가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밀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 및 유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연화점의 하한치에 미달하면 내열성이 저하되고, 상기 연화점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 티렌 불록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로니트릴 공중합체, 그래파이트된 에틸렌 프로필렌고무(EPDM) 및 기능성 폴리머(functionalized polym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용화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상기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 간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결합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그 영향이 미소하에 이루어져 요구되는 제품 물성 확보가 어렵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 간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결합력에 과도한 영향을 미쳐 요구되는 제품 물성 확보가 어렵게 됨은 물론 추가량에 비례적인 효과 증대가 없으면서 소요비용 증대만 이루어져 경제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상용화제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기능성 폴리머는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grafted-Maleic anhydride, 'PP-g-MAH'라 약하기도 함),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ene ethyl acrylate-grafted-Maleic anhydride, 'EEA-MAH'라고 약하기도 함),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grafted-maleic anhydride, 'EVA-g-MAH'라고 약하기도 함),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스타일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타일렌(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grafted-maleic anhydride, 'SEBS-g-MAH'라고 약하기도 함), 말레산 무수물과 공중합된 폴리스티렌[PS(polystyrene)-co-MAH(Maleic anhydride)],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GMA(Grafted maleic anhydride)] 및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세테이트EEA(Ethylene ethyl acetate)-GMA(grafted maleic anhydrid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탄산수소암모늄(Ammonium bi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및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ate)으로 이루어진 무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DPT), 벤젠 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TSH) 및 톨루엔 술포닐 세미카바자이드(PTSS)로 이루어진 유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포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요구되는 발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발포가 과도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로 인한 제품의 물성 저하가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유기과산화물, 불포화수지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가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발포시 최적의 수지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 이때, 상기 가교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거나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포시 최적의 수지 점도를 확보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가교제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유기과산화물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아릴퍼옥사이드(디쿠밀 퍼옥사이드), 디아실 퍼옥사이드, 퍼옥시 케탈, 퍼옥시 에스테르, 퍼옥시카보네이트, 케톤 퍼옥사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가교제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불포화수지 가교제는 비닐 모노머, 아크릴계 화합물, 메타크릴계 화합물 및 에폭시계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에,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압출 및 발포시 가공성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첨가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안정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압출 및 발포시 가공성이 저하되고 수지가 분해되어 물성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첨가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각 단계별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음의 4단계(S10 내지 S40)를 진행하여 공정을 진행함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을 준비다(S10 단계). 이후, 상기 단계(S10)에서 준비된 조성물 중 발포제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마스터 배치와 기본수지를 압출기에 투입시켜 압출시킨다(S20 단계). 이어서, 상기 단계(S20)의 압출물에 대해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킨다(S30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S30)의 가교물에 대해 발포시킨다(S40 단계).
상기 (S10)단계에서 준비되는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 제조용 조성물의 성분을 준비한다(S10 단계). 이때, 상기 전체 조성물을 혼합하지 않고, 후속 공정(S20 단계)에서 압출기에 투입하기 전 발포제 및 첨가물을 혼합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고, 다른 수지 성분 즉, 기본수지인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마스터 배치와 함께 압출기에 투입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압출공정(S20 단계)에서 발포제 및 첨가제의 마스터 배치와 기본수지를 각각 분리하여 투입함으로써 제조 조성물의 혼련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S20)의 압출단계에서 사용된 압출기와 관련하여, 종래의 싱글 압출기를 사용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가 포함된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함에 기술적 장애가 발생하여 목적하는 압출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트윈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한편, 상기 트윈 압출기는 역방향 타입(counter-rotation type) 및 동방향 타입(co-rotation type) 모두를 사용할 수 있지만, 후자의 동방향 타입의 트윈 압출기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한 압출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S20)의 압출단계에서, 발포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마스터 배치와 기본수지를 압출기의 입구를 통해 투입하면서 압출공정을 진행하면 조성물의 혼련성을 극대화하고, 발포제의 발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는 140 내지 210℃로 유지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며,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투입된 조성물의 적정한 혼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발포제가 분해될 수 있어 발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 내부의 스크류 중 니딩 블럭(kneading block)의 수가 10 내지 40% 정도로 조절되어야 하며, 만일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치에 미달하면 투입된 수지 조성물의 혼련성이 저하되고, 상기 수치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발포제의 발포 성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트윈 압출기 스크류의 온도가 50 내지 120℃로 유지되어야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수지 조성물이 급격하게 고체화 되어 마더쉬트(Mother Sheet)의 성형이 어렵고,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의 상분리 일어나 정상적이 제품의 생산이 불가능하게 되며, 상기 상한치 를 초과하면 발포제가 첨가된 조성물이 고온 조건에서 분해될 수 있어 후속 발포 공정(S40 단계)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제품 성능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이, 상기 트윈 압출기 스크류의 온도를 적정한 범위로 낮출 수 있는 냉각시스템이 도입되어 제품 생산성 및 수율 저하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채택된 가교단계(S30)에 채택된 가교방식은 전자선 조사를 통해 가교 방식으로서, 이는 종래의 화학가교 방식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하고 공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S30)의 가교단계는, 300 내지 900 kV의 전압과 1.0 내지 5.0 Mrad의 전자선량으로 가속전자선이 조사되도록 진행하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가교전압의 조절은 상기 압출단계(S20)를 통해 얻어진 압출시트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며, 상기 가교전자선량은 앞서 투입된 발포제의 밀도와 물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전압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상기 단계(S20)에서 얻어진 압출물에 대해 충분한 깊이까지 가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과도한 깊이까지 조사가 되어 조사량이 겹치는 부분은 과가교반응이 일어나 발포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물론, 경제성도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가교 전자선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상기 단계(S20)에서 얻어진 압출물에 대해 충분한 가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후속 발포공정(S40) 진행에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 하면 과도한 가교 전자선량 때문에 가교반응이 과포화상태에 이르러 발포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경제성도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진행되는 전자선 조사를 이용한 가교방법은 가교의 대상물인 전단계(S20)의 결과물인 압출물 시트에 가속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압출물 시트 내에 포함된 올레핀계 수지 내에 포함된 수소가 제거되며, 이로 인하여 올레핀계 수지 내에 라디칼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라디칼은 높은 반응성을 갖게 되며, 올레핀계 수지 내에서 가교반응이 유발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40)의 발포단계는, 발포로가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발포방법, 발포로가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발포방법 및 열전달매체로 액상의 설트를 이용하는 설트발포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3가지의 발포방법은 모두 상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발포로의 설치 방법과 열전달 매체에 따라 상호 구분된다. 첫 번째의 상기 수평발포방법은 발포로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발포시 발포체가 수평으로 생산되며, 모든 공정이 수평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수평발포방법은 발포로의 배치 및 공정 진행 과정에서 중력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으므로 발포시 길이 방향의 팽창비가 작으므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물성 변화가 작은 장점이 있다. 두 번째의 상기 수직발포방법은 발포로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마더시트(mother sheet)를 하강시키면서 발포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수직발포방법은 발포시 공기중에서 발포가 이루어지므로 외관이 우수하고 아울러 폭 방향으로의 편차가 작게 발생하여 수율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세 번째의 상기 설트발포방법은 열전달매체로 액상 설트를 사용하는 점에서 전술한 두 가지의 발포방법과는 공정상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수직발포방법과는 달리 공기를 열전달체로 사용하지 않고 액상의 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열전달 효과가 우수하며 시트상에서 균일하게 발포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전술한 수평 또는 수직발포방법에 의해 생산된 발포제품에 비해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에서의 물성 편차가 매우 작아 제품 특성이 우수하게 평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예컨대,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된 각각의 조성물의 조성, 사용된 압출기 종류, 압출기의 스크류 냉각시스템의 채택 여부, 가교방법, 발포방법 등을 감안하여 실시예들(1-2)와 비교예들(1-2)로 각각 구분 설정하였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비교예1 | 비교예2 | |
폴리올레핀계(중량%) | 30 | 60 | 30 | 60 | |
탄성중합체(중량%) | 70 | 40 | 70 | 40 | |
상용화제 | 10 | 5 | 10 | 5 | |
발포제 | 5 | 5 | 5 | 5 | |
안정제 | 0.3 | 0.3 | 0.3 | 0.3 | |
압출기종류 | 트윈 | 트윈 | 트윈 | 트윈 | |
냉각시스템 | 적용 | 적용 | 적용 | 적용 | |
가교방법 | 전자선 | 전자선 | 전자선 | 전자선 | |
발포방법 | 수직 | 수직 | 수직 | 수직 |
실시예
상기 표 1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먼트로서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으며, 탄성중합체는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이용하였으며, 상용화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이용하였으며, 발포제는 ADCA를 이용하였으며, 가교제는 아크릴계 화합물을 이용하였으며, 안정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 메탄을 이용하였다. 상기 압출기의 종류와 관련하여, 트윈으로 표시된 것은 역회전방식의 트윈형 압출기를 이용하였다. 상기 냉각시스템과 관련하여, 압출기 스크류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경우에는 적용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가교방법으로서 전자선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전자선량은 3 Mrad이다. 상기 발포방법과 관련하여, 수직발포 방법을 채택하여 진행하였다.
비교예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먼트로서 실시예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보다 에틸렌 함량이 많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에틸린(ethylene)과 프로필렌(propylene)이 공중합된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였으며, 탄성중합체는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플라스토머(plastomer)를 이용하였다. 이때, 상기 상용화제, 발포제, 가교제 및 안정제는 실시예와 동일한 함량 및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였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비교예1 | 비교예2 |
압출성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발포성 | 우수 | 우수 | 양호 | 양호 |
생산성 | 우수 | 우수 | 우수 | 우수 |
유연성 (압축경도:㎏f/㎠) |
0.9 | 1.2 | 0.7 | 1.05 |
밀도(㎏/㎥) | 67 | 67 | 67 | 67 |
열저항성 (가열치수변화율%) |
길이방향:-12.0 폭방향:-2.5 |
길이방향:-7.1 폭방향:-0.8 |
길이방향:-42.1 폭방향:-28.4 |
길이방향:-35.1 폭방향:-12.6 |
※ 평가 수준 : 우수 > 양호 > 보통 > 나쁨
상기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압출성, 발포성, 생산성은 양호 이상으로 이루어져 기존 공정에 사용함으로써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표 2의 유연성과 열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유연성의 경우 25% 압출시 압축경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열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140℃에서 1시간 동안 방치 후 폼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은 KS M 3014 측정법을 적용하였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가열치수변화가 발포폼의 길이방향으로 -42.1 내지 -35.1%이고, 발포폼의 폭방향으로 -28.4 내지 -12.6%이며, 압축경도가 0.7 내지 1.05kgf/㎠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는 가열치수변화가 발포폼의 길이방향으로 -12.0 내지 -7.1%이고, 발포폼의 폭방향으로 -2.5 내지 -0.8%이며, 압축경도가 0.9 내지 1.2kgf/㎠으로 나타났다. 즉, 실시예들의 경우 비교예들의 경우보다 열저항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체적 규칙성이 우수한 고분자 구조를 갖는 용융 온도가 높은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소프트한 폴리 올레핀계 복합탄성체에 의하여 열저항성과 유연성 및 감성품질을 충족할 수 있다. 즉, 고온의 성형조건과 복잡한 디자인을 요구하는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 조건에 부합하여 자동차 내장재로서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Claims (12)
- 기본수지, 상용화제, 발포제 및 가교제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상기 기본수지는, 10 내지 80 중량%의 폴리올레핀계 수지(하드 세그먼트)인 호모 폴리프로필렌과 20 내지 90 중량%의 탄성중합체(소프트 세그먼트) 중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복합탄성체이고,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불록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로니트릴 공중합체, 그래파이트된 에틸렌 프로필렌고무 및 기능성 폴리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며,상기 발포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및 보로수소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무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아조디카본아마이드,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 벤젠 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및 톨루엔 술포닐 세미카바자이드로 이루어진 유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며,상기 가교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유기과산화물, 불포화수지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가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지글러 나타(Ziegler Natta) 또는 메탈로센(Metalloecene) 촉매제에 의하여 소성중합체(plastomer) 및 탄성중합체(elastomer)의 성질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은,용융지수(230℃, 2.16㎏)가 0.5 내지 40g/10min이고, 용융점이 150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용융지수(230℃, 2.16㎏)가 2.0 내지 25.0g/10min이고, 밀도가 0.850 내지 0.888g/㎤이며, 연화점이 29 내지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상용화제로 선택되는 기능성 폴리머는,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프로필렌,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스타일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타일렌, 말레산 무수물과 공중합된 폴리스티렌,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세테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교제로 선택되는 유기과산화물은,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아릴퍼옥사이드(디쿠밀 퍼옥사이드), 디아실 퍼옥사이드, 퍼옥시 케탈, 퍼옥시 에스테르, 퍼옥시카보네이트, 케톤 퍼옥사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교제로 선택되는 불포화수지 가교제는 비닐 모노머, 아크릴계 화합물, 메타크릴계 화합물 및 에폭시계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에 산화방지제 및 열안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이 더 첨가될 수 있으며,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페놀계, 아미노계, 인계 및 유황계로 이루어진 산화방지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며,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Cd/Ba/Zn계, Cd/Ba계, Ba/Zn계, Ca/Zn계, Na/Zn계, Sn계, Pb계, Cd계 및 Zn계로 이루어진 열안정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용 조성물.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S10)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S20) 상기 준비된 조성물 중 발포제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마스터 배치와 기본수지를 압출기를 투입하여 압출시키는 단계;(S30) 상기 압출된 결과물에 대해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 및(S40) 상기 가교된 결과물에 대해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S20)의 압출단계는, 트윈 압출기를 사용하며,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는 140 내지 210℃로 유지하되, 상기 트윈 압출기 말단의 스크류의 온도가 50 내지 120℃로 유지되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S30)의 가교단계는, 300 내지 900kV의 전압과 1.0 내지 5.0 Mrad의 전자선량으로 가속전자선이 조사되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S40)의 발포단계는, 발포로가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발포방법, 발포로가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발포방법 및 열전달매체로 액상의 설트를 이용하는 설트발포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7912A KR101678616B1 (ko) | 2009-12-01 | 2009-12-01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7912A KR101678616B1 (ko) | 2009-12-01 | 2009-12-01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1303A true KR20110061303A (ko) | 2011-06-09 |
KR101678616B1 KR101678616B1 (ko) | 2016-12-07 |
Family
ID=4439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7912A KR101678616B1 (ko) | 2009-12-01 | 2009-12-01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861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135B1 (ko) * | 2013-04-17 | 2014-12-05 | 영보화학 주식회사 | 소취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매트 |
KR20240056454A (ko) | 2022-10-21 | 2024-04-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CN118126466A (zh) * | 2024-01-12 | 2024-06-04 | 揭阳市奥尔康鞋业有限公司 | 一种高弹耐析出材料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2687B1 (ko) * | 1994-11-09 | 1999-01-15 | 고다 시게노리 | 자동차용 성형 루프재 및 그 제조방법 |
KR20010037378A (ko) * | 1999-10-16 | 2001-05-07 | 유희춘 | 자동차 천정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
JP2004182897A (ja) * | 2002-12-04 | 2004-07-02 | Sekisui Chem Co Ltd |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
KR100676939B1 (ko) * | 2005-09-06 | 2007-02-02 | 영보화학 주식회사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
-
2009
- 2009-12-01 KR KR1020090117912A patent/KR1016786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62687B1 (ko) * | 1994-11-09 | 1999-01-15 | 고다 시게노리 | 자동차용 성형 루프재 및 그 제조방법 |
KR20010037378A (ko) * | 1999-10-16 | 2001-05-07 | 유희춘 | 자동차 천정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
JP2004182897A (ja) * | 2002-12-04 | 2004-07-02 | Sekisui Chem Co Ltd |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
KR100676939B1 (ko) * | 2005-09-06 | 2007-02-02 | 영보화학 주식회사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8135B1 (ko) * | 2013-04-17 | 2014-12-05 | 영보화학 주식회사 | 소취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형성된 매트 |
KR20240056454A (ko) | 2022-10-21 | 2024-04-3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CN118126466A (zh) * | 2024-01-12 | 2024-06-04 | 揭阳市奥尔康鞋业有限公司 | 一种高弹耐析出材料及其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8616B1 (ko) | 2016-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6939B1 (ko)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 |
US9156228B2 (en) |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lastic film | |
KR20170017611A (ko) | 발포성 마스터배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성과 무도장 특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 |
CA2925823C (en) | Methods of producing polyolefin foam sheets and articles made thereof | |
EP0726290B2 (en) | A polyolefin based crosslinked foam | |
JPH0286429A (ja) |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積層体の製造方法 | |
CN101743274A (zh) | 茂金属-乙烯丙烯二烯共聚物橡胶系开孔泡沫材料及其制造方法 | |
KR20110061303A (ko)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 |
KR100681869B1 (ko) | 발포 특성이 우수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이용한발포체 | |
JP5548353B2 (ja) |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発泡成形体 | |
JP2008156408A (ja) | 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 |
JP3012277B2 (ja) | 部分架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665373B2 (ja) | 部分架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20070072952A1 (en) | Resin composition for foam molding,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foam | |
JPS6261222B2 (ko) | ||
CN114829482A (zh) | 高功能发泡用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00574681B1 (ko) | 고용융장력을 지닌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 |
JPH1160772A (ja) | ゴム状オレフィン系軟質樹脂架橋発泡体 | |
JPS6011937B2 (ja) | 熱可塑性エラストマ−発泡体の製造方法 | |
JP2004051793A (ja) | 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 |
KR100574680B1 (ko) |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 |
WO2024012575A1 (en) | Reversible crosslinked foam article and process | |
KR20120060606A (ko) | 미세 발포 성능이 우수한 연질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
JP7059554B2 (ja) | ポリプロピレン系多層発泡シート表層用樹脂組成物 | |
JP3784226B2 (ja) | 発泡性オレフィン系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その発泡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