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316A - 걸이식 철골 좌대 - Google Patents

걸이식 철골 좌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0316A
KR20110060316A KR1020090116862A KR20090116862A KR20110060316A KR 20110060316 A KR20110060316 A KR 20110060316A KR 1020090116862 A KR1020090116862 A KR 1020090116862A KR 20090116862 A KR20090116862 A KR 20090116862A KR 20110060316 A KR20110060316 A KR 20110060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upling
coupling portion
steel
ste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7452B1 (ko
Inventor
이상령
장진영
Original Assignee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화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화성기연 filed Critical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9011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4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굴착현장에서 가설 흙막이용으로 매립되는 복수의 H형강에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철골 띠장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철골 좌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강판 및 상기 수평강판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강판의 타측 단부에는 H형강의 플랜지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걸림부가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대칭으로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결합부와, 평판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기 제1결합부의 수직강판 측면과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2결합부의 수직강판 측면과 결합되는 지지강판 및 인접하는 상기 제1결합부, 제2결합부 및 지지강판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이식 철골 좌대에 관한 것이다.
철골 좌대, H형강, 철골띠장, 수평강판, 수직강판

Description

걸이식 철골 좌대{Hanger-Type Steel Pedestal}
본 발명은 건설 굴착현장에서 가설 흙막이용으로 매립되는 복수의 H형강 플랜지 부분에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철골 띠장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걸이식 철골 좌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의 건설 현장에서는 기초 공사에 따라 지면의 굴착 시,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를 선행한다.
상기 흙막이 공사로는 통상 Strut 공법이 많이 사용되는데, 상기 Strut 공법은 벽체 양쪽의 토압을 서로 이용하는 방법으로 Strut가 기둥역할을 하며 지지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Strut 공법은 벽체에 해당되는 지면에 일정 간격을 따라 복수의 H형강을 매립한 후, 지면을 굴착하여 매립되는 상기 H형강(1)이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노출되는 복수의 H형강(1) 플랜지 부분(2)에는 가설 철골 좌대를 결합하고, 철골 띠장을 안착한 후, 띠장 상부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띠장의 높이는 각층 슬래브에서 1.5m 이상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H형강(1)의 플랜지 부분(2)에 결합되는 종래 철골 좌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L형강의 앵글을 이용하게 되는데, L형강의 앵글을 'ㄱ'자 형상으로 절단 및 용접하여 결합시켜 앵글 브라켓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다시 H형강(1)의 플랜지 부분(2)에 용접 접합시키게 된다.
이처럼, 종래 철골 좌대와 같은 경우 시공성 및 품질관리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앵글브라켓은 L-90×90×8㎜ 기준으로 최소중량이 12.4㎏/ea으로 작업자 1인이 지지하여 용접 작업을 하기에 불편함이 많아 최소 2인 이상이 필요하였으며 용접 접합뿐만 아니라, 가설 철골 좌대의 해체시에도 작업이 난해하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노무비용의 증가를 포함하여 시공성이 좋지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품질면에서도 용접 접합으로 단차 또는 높이 불량에 따른 오시공시 재조정이 어렵다는 단점과 현장에서 직접 용접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자의 기량 및 기후 조건에 따라 용접 품질이 상이하며 그에 따른 품질확보가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가설 철골 좌대는 해체 시 산소작업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강재허용응력이 감소하는 등 부재의 재사용이 불가하고, L형강의 앵글 브라켓은 소형 강재로서 1회 소모성의 사장 강재로 분류되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설치 및 분리는 물론 조정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기자재의 손실 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걸이식 철골 좌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걸이식 철골 좌대는 건설 굴착 현장에서 가설 흙막이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H형강(1)에 각기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철골 띠장(3)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철골 좌대에 있어서, 수평강판(100) 및 상기 수평강판(100)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강판(1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강판(100)의 타측 단부에는 H형강(1)의 플랜지(2)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걸림부(120)가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10); 상기 제1결합부(10)와 대칭으로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결합부(20); 평판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 측면과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 측면과 결합되는 지지강판(30); 및 인접하는 상기 제1결합부(10), 제2결합부(20) 및 지지강판(30)을 결합하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결합부(10), 제2결합부(20) 및 지지강판(30)은 각각 인접하는 면에 복수의 관통공(50)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복수의 관통공(50)을 관통하는 결합볼트(41) 및 상기 결합볼트(41) 에 체결되는 결합너트(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는 H형강의 규격 및 형상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평강판(100) 또는 제2결합부(20)의 수평강판(100-1)은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어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 또는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은 상기 지지강판(30)이 접하는 그 측면에 상기 지지강판(30)의 단부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지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과 상기 지지강판(30)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10)는 상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 단부와 인접하는 그 측면에 상기 제2결합부(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부(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걸이식 철골 좌대는 H형강의 플랜지 양측면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며, 설치 및 해체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가설 철골 좌대의 설치 후에도 레벨조정이 용이하며, 종래 앵글 브라켓에 비해 경량으로 제작되어 1인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며 노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용접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시공시 재조정이 용이함으로 품질확보에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단위 강판으로 분리 구성되는 걸이식 철골 좌대는 볼트 접합을 통해 탈부착됨으로 기자재의 손망실이 없어 재사용이 가능하고, 1000kg/ea 하중 지지가 가능하여 최대 10m 이내 1개소 설치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의 힌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의 연장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 걸이식 철골 좌대는 건설 굴착 현장에서 가설 흙막이용으로 지면으로부터 매립되는 복수의 H형강에 각기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철골 띠장이 거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철골 좌대는 복수의 단위 강판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는 걸이식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걸이식 철골 좌대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 제1결합부(10) 및 제2결합부(20)와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10, 2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지지강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10)는 H형강(1)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강판(100) 및 상기 수평강판(10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수평강판(10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강판(11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결합부(10)는 'ㄱ'자의 형상으로, 상기 수평강판(100)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상기 H형강(1)의 플랜지(2) 일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수직강판(110)은 상기 수평강판(100)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강판(10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H형강(1)의 플랜지(2)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걸림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평강판(100)의 단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강판(30)은 평판 형상으로 그 일측면이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 측면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강판(30)의 타측면은 하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 측면과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부(20)는 상기 언급한 제1결합부(10)와 대칭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결합부(20)는 상기 제1결합부(10)와 동일한 구조로, 수평강판(100-1)과 수직강판(110-1)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수평강판(100-1)의 타측 단부에는 걸림부(120-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과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은 각 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상기 지지강판(30)이 배치되어 서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강판(30)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되는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에는 상기 지지강판(30)이 인접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부(13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지지강판(30)의 단부의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부(10)와 지지강판(30)이 인접하여 결합될 때 상기 지지강판(3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지지부(130)와 접하면서 지지강판(30)이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을 갖는 상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평강판(100) 또는 제2결합부(20)의 수평강판(100-1)은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어 비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 타당하다.
즉, 상기 H형강(1)의 규격은 KS D 3503에, 형상 및 치수는 KS D 3051 규정을 따르며, 그 단면상에서 중앙의 가로측 강재 부분을 웨브(web), 양쪽의 세로측 강재 부분을 플랜지(flange)라고 하는데 통상 플랜지가 300mm 이하인 것을 주니어 사이즈, 300mm 이상인 것을 시니어 사이즈라고 한다.
이처럼, H형강(1)의 플랜지(2) 양 측면을 거치하기 위한 상기 수평강판(100, 100-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강(1)의 규격, 형상 및 치수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가변되어야 함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 걸이식 철골 좌대는 인접하는 상기 제1결합부(10), 제2결합부 (20)및 지지강판(30)을 결합하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수단(40)은 공지의 기술로서 볼트 결합 등에 의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은 그 일 예로, 볼트 결합을 위해 상기 제1결합부(10), 제2결합부(20) 및 지지강판(30)은 각각 인접하는 면에 복수의 관통공(50)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복수의 관통공(50)을 관통하는 결합볼트(41) 및 상기 결합볼트(41)에 체결되는 결합너트(42)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볼트(41) 및 결합너트(42)가 도면에서는 각기 4개씩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는 나, 그 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각 측면이 인접하는 제1결합부(10), 제2결합부(20) 및 지지강판(30)은 복수의 관통공(50)을 관통하는 상기 결합볼트(41)와 결합너트(42) 등의 결합수단(40)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걸이식 철골 좌대는 H형강(1)의 플랜지(2) 양 측면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고 조립 및 해체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가설 철골 좌대의 설치 후에도 레벨 조정이 용이하며, 종래 앵글 브라켓에 비해 경량으로 제작되어 1인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이철골 좌대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언급한 제1결합부(10)와 지지강판(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과 지지강판(30)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 강판(이하, '제1결합부'라 칭함)을 이루게 되고, 상기 제1결합부(10)의 측면에는 제2결합부(20)의 측면이 인접하여 결합수단(40)에 의해 결합된다. 즉, 상기 제1결합부(10)는 상기 수직강판(110)이 수직강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수단(40)은 도면에서 결합볼트(41) 및 결합너트(42)가 각기 2개씩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그 갯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10)는 상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이 인접하는 그 측면에 힌지부(140)를 구성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140)는 상기 제1결합부(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부(10) 또는 제2결합부(20)를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H형강(1)의 플랜지(2)의 양 측면에 걸이식 철골 좌대가 결합될 때 상기 제1결합부(1) 또는 제2결합부(2) 중 어느 한 부분이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2)의 일 측면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판(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60)은 안착되는 철골 띠장의 폭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결합되되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판(60)은 평판 형상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조절공(600)이 동일 선상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각기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은 상기 조절공(600)과 결합수단(4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50)이 형성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강판(110)의 끝 부위에 2개의 관통공(50)의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연장판(60)은 상기 제1결합부의 수직강판(110) 측면에 인접하여 결합되되, 상기 관통공(50)과 대응하는 조절공(60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으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끔 연장될 수 있고, 그 길이 조절이 결합볼트(41)와 결합너트(42) 등의 결합수단(40)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의 설치 방법의 일 예를 간략히 설명하면, H형강(1)에 걸이식 철골 좌대가 설치될 위치를 표기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등 H형강(1)의 설치면을 청소한다. 그 후 상기 걸이식 철골 좌대의 제1결합부(10)의 걸림부(120)가 상기 H형강(1)의 플랜지(2) 일측면에 거치되도록 하되, 먼 저 힌지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제2결합부(20)를 꺽어 놓아 용이하게 상기 제1결합부(10)를 플랜지의 일측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H형강(1) 플랜지(2)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중 어느 한 부분을 먼저 거치하고, 양 측면이 모두 거치된 이후 결합수단(40)을 통해 상기 걸이식 철골 좌대를 결합하게 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일정 간격으로 특정 H형강(1)에 걸이식 철골 좌대를 결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복수의 H형강(1)에 걸이식 철골 좌대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철골 띠장(3)을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걸이식 철골 좌대는 단위 강판으로 분리 구성되어 최대 중량이 6.0㎏/ea으로 종래 용접 접합에 의한 L형강의 앵글 철골 좌대에 비해 경량화되어 1인 설치가 용이하며, 오시공시는 물론 철골 띠장의 안착 과정에서도 재조정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처럼 시공성이 뛰어나 노무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걸이식 철골 좌대는 철판과 철판의 강한 마찰력에 따라 하중에 지지하는 특성으로 마찰력은 H-300×100㎜ 기준 시, 보 처짐을 1㎜ 고려하여 약 1ton/ea의 상재 하중으로 안전할 수 있다.
이는 종래 L형강의 앵글 철골 좌대가 400kg/ea 하중 지지로 최대 4m이내에서 1개소가 설치된다는 점을 개선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는 1000kg/ea 하중 지지가 가능하여 최대 10m이내 1개소의 설치로 경제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 L형강의 앵글 철골 좌대가 해체 시 산소 작업으로 강재 허용 응력 감소에 따라 재사용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을 해소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는 볼트 결합에 의해 탈부착 가능함으로 기자재의 손실 없이 재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철골 좌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의 힌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의 연장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식 철골 좌대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H형강 2 : H형강의 플랜지
3 : 철골 띠장
10 : 제1결합부 20 : 제2결합부
30 : 지지강판 40 : 결합수단
41 : 결합볼트 42 : 결합너트
50 : 관통공 60 : 연장판
100, 100-1 : 수평강판 110, 110-1 : 수직강판
120 : 걸림부 130 : 지지부
140 : 힌지부

Claims (7)

  1. 건설 굴착 현장에서 가설 흙막이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H형강(1)에 각기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철골 띠장(3)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는 철골 좌대에 있어서,
    수평강판(100) 및 상기 수평강판(100)의 일측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강판(1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강판(100)의 타측 단부에는 H형강(1)의 플랜지(2) 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걸림부(120)가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10);
    상기 제1결합부(10)와 대칭으로 구성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결합부(20);
    평판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 측면과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 측면과 결합되는 지지강판(30); 및
    인접하는 상기 제1결합부(10), 제2결합부(20) 및 지지강판(30)을 결합하는 결합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걸이식 철골 좌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0), 제2결합부(20) 및 지지강판(30)은 각각 인접하는 면에 복수의 관통공(50)이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수단(40)은 상기 복수의 관통공(50)을 관통하는 결합볼트(41) 및 상기 결합볼트(41)에 체결되는 결합너트(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철골 좌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평강판(100) 또는 제2결합부(20)의 수평강판(100-1)은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가변되어 비대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철골 좌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 또는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은 상기 지지강판(30)이 접하는 그 측면에 상기 지지강판(30)의 단부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는 지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철골 좌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과 상기 지지강판(30)은 일체로 형성되 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철골 좌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0)는 상기 제2결합부(20)의 수직강판(110-1) 단부와 인접하는 그 측면에 상기 제2결합부(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힌지부(14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철골 좌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0)의 수직강판(110)은 그 측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50)이 형성되며,
    평판 형상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조절공(600)이 동일 선상에서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도록 각기 관통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0)이 형성된 수직강판(110)의 측면과 결합수단(40)을 통해 결합되는 연장판(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식 철골 좌대.
KR1020090116862A 2009-11-30 2009-11-30 걸이식 철골 좌대 KR10110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862A KR101107452B1 (ko) 2009-11-30 2009-11-30 걸이식 철골 좌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862A KR101107452B1 (ko) 2009-11-30 2009-11-30 걸이식 철골 좌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316A true KR20110060316A (ko) 2011-06-08
KR101107452B1 KR101107452B1 (ko) 2012-01-19

Family

ID=4439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862A KR101107452B1 (ko) 2009-11-30 2009-11-30 걸이식 철골 좌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55Y1 (ko) * 2011-09-27 2014-01-29 윤희정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684B1 (ko) * 2021-12-27 2023-02-21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가설흙막이의 띠장 설치용 보걸이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9985A (ja) * 1995-08-28 1997-03-04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当て矢板用支柱およびこの支柱を用いた埋設管の敷設方法
FI107818B (fi) * 1999-05-27 2001-10-15 Bki Holding Corp Sihtiputki käytettäväksi rainamateriaalin kuivamuodostuksessa
KR200247039Y1 (ko) 2001-06-15 2001-10-31 (주)내경엔지니어링 토류벽 지지용 횡보강재 고정장치
KR20030060595A (ko) * 2002-01-10 2003-07-16 황현덕 정용량 토출장치를 갖는 분말용기
KR100434060B1 (ko) * 2002-07-26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최근 메뉴 설정 방법
KR200360595Y1 (ko) 2004-05-06 2004-08-30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KR200409942Y1 (ko) 2005-12-01 2006-03-03 서상건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55Y1 (ko) * 2011-09-27 2014-01-29 윤희정 띠장 지지용 서포팅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7452B1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208B1 (ko) 개량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강재띠장 및 이의 시공방법
JP5405337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KR100929440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6673131B2 (ja) 床版取替工法
KR101107452B1 (ko) 걸이식 철골 좌대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101026583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JP6831714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基礎架台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KR102067254B1 (ko) 거더와 가로보의 연계를 이용한 부모멘트부 보강 구조물 및 이 시공 방법
KR101116345B1 (ko)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KR102085928B1 (ko) 스플라이스 파일캡을 이용한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4477467B2 (ja)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架け替え方法
KR101772468B1 (ko) 건축물용 pc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모듈식 지지구조체 및 시공방법
JP3328626B2 (ja) 仮設ガードレール部品
KR102248682B1 (ko) 재사용을 위한 띠장 받침브라켓
CN211691535U (zh) 一种组装式悬挑卸料平台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101431009B1 (ko)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가설 골조구조
KR102065941B1 (ko) 엄지말뚝과 자립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2011241084A (ja) 壁つなぎ装置及び壁つなぎ装置の取付方法
JP2876182B2 (ja) 仮設シャッター用ジョイント基礎
JP5437876B2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工程における支持部材の解体撤去方法
KR101409249B1 (ko) Shg 공법을 이용한 탑다운 시공 방법
KR102567830B1 (ko) 시공이 용이한 강재 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