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598A -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598A
KR20110057598A KR1020090114061A KR20090114061A KR20110057598A KR 20110057598 A KR20110057598 A KR 20110057598A KR 1020090114061 A KR1020090114061 A KR 1020090114061A KR 20090114061 A KR20090114061 A KR 20090114061A KR 20110057598 A KR20110057598 A KR 2011005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substrate
layer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804B1 (ko
Inventor
이성훈
이관형
추창웅
유승협
고태욱
최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804B1/ko
Priority to JP2010256914A priority patent/JP5808905B2/ja
Priority to US12/952,348 priority patent/US8410477B2/en
Publication of KR2011005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8Transparent cathodes, e.g. comprising thin met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추출 효율을 높인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규칙적으로 패터닝된 제 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고, 유기층보다 굴절률이 작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 전도층; 상기 저굴절 전도층을 상에 배치된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 추출 효율을 높인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는 서로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 유기층을 위치시켜, 한쪽 전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다른 쪽 전극에서 주입된 정공이 유기층에서 결합하고, 이때의 결합을 통해 발광층의 발광 분자가 여기 된 후 기저 상태로 돌아가면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빛으로 발광시키는 발광 소자이다.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에서 발광되는 빛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방향성을 띄지 않고 방출되며, 통계적으로 균일한 각 분포를 이루는 임의의 방향으로 방출되는 특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유기 발광 소자 발광층 내에서 생성된 총 광자(photon) 수 대비 소모되지 않고 실제 관측자에게 도달하는 광자 수의 비율, 즉, 외부 광 추출 효율(Outcoupling Efficiency; ηout)은, 유기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각 층의 굴절률의 값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대략 15~20% 미만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 광 추출 효율은 전반적인 외부 양자 효율 및 전력 효율을 제한하고, 외부 양자 효율이나 전력 효율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전체적인 전력 소모량을 결정하여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므로, 이를 증대시키고자 여러 방면으로 노력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그 밖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규칙적으로 패터닝된 제 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고, 유기층보다 굴절률이 작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 전도층; 상기 저굴절 전도층을 상에 배치된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투명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층 패턴의 주기적 간격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층의 패턴 단부와 상기 기판의 표면이 형성하는 테이퍼 각이 15도 내지 9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층의 패턴 단부와 상기 기판의 표면이 형성하는 테이퍼 각은 20도 내지 7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전극층의 패턴은,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제 1 두께(D1)를 갖도록 형성된 제 1 패턴부와, 상기 제 1 패턴부 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기판 측으로 제 2 두께(D2)만큼 식각된 제 2 패턴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패턴부와 제 2 패턴부의 주기적 간격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패턴부의 단부가 상기 제 1 패턴부의 표면과 형성하는 테이퍼 각이 15도 내지 9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패턴부의 단부가 상기 제 1 패턴부의 표면과 형성하는 테이퍼 각이 20도 내지 7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두께(D1)에 대한 제 2 두께(D2)의 비가 증가할수록 상기 테이퍼 각의 범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굴절 전도층은 투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굴절 전도층은 일함수가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굴절 전도층은 PEDOT:PSS, 폴리아닐린, 카본나노튜브, 및 그래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판의 외부 표면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반구형, 피라미드 모양, 역사다리꼴 모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주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크기나 주기성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가시광선에 투명한 산화물, 질화물, 실리콘 화합물, 및 고분자 유기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상기 기판과 동일 굴절률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적용된 경우 상기 기판은 통상의 소다-라임계 기판보다 굴절률이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적용된 경우 상기 기판의 굴절률은 1.5~2.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소자 능동부에 사구간이 없어, 사구간 존재로 인한 소자의 수명 감소 요인이 없는 상태에서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에 비례하여 전력 효율향상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추출효율 및 전력효율 향상은 전반적 수명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파장 의존성이 없거나 매우 적은 광 추출 효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는 기판(110), 제 1 전극층(120), 저굴절 전도층(130), 유기층(140), 및 제 2 전극층(15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글라스재 기판, 플라스틱재 기판 등 다양한 재질의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소자(100)는 제 2 전극층(150) 측으로 빛이 방출되는 전면 발광, 기판(110) 측으로 빛이 방출되는 배면 발광, 또는 양면 발광 어느 경우에도 적용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0) 측으로 빛이 방출되는 배면 발광 소자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투명 한 기판(110)을 사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100)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투명한 기판(110)으로는 통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소다 라임 계열 유리 기판을 사용하였다.
기판(110) 상에 제 1 전극층(120)이 규칙적으로 패터닝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전극층(110)은 투명전극의 일종으로 굴절률이 약 1.8인 ITO(Indium Tim Oxide)를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는 기판(110) 상에 제 1 전극층(120)이 패터닝된 패턴 구조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전극층(120)은 기판(110) 상에 복수개의 개구 패턴(A)이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소정 두께(D1)를 구비한 그리드(Grid) 타입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층(120)의 패턴의 주기적 간격은 빛의 파장보다 크게 수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형성하여, 가시광 영역에서의 빛의 파장 의존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제 1 전극층(110)의 패턴은 일반적인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하여 어렵지 않게 식각하여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제 1 전극층(120)의 패턴이 사각형 형상의 개구(A)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뿐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규칙적인 패턴의 개구(A)는 사각형 이외 임의의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크기나 반복 주기도 패턴의 전체적인 균일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어느 정도의 변 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면에는 제 1 전극층(120)의 개구가 완전히 에칭되어 기판(110) 표면이 드러나도록 패터닝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전극층(120)의 패턴 단부를 기판(110)의 표면에 소정 테이퍼진(tapered) 각(θ)으로 형성함으로써 광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 1 전극층(120)의 세척 및 플라즈마 클리닝을 거친 후, 제 1 전극층(120) 및 개구된 기판(110) 상에 유기층(140)보다 굴절률이 작고 전도성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 전도층(130)을 형성한다.
저굴절 전도층(130)은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sulfonate)), 폴리아닐린(polyaniline),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s), 및 그래핀(graphene)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스핀 코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굴절 전도층(130)은 전도도 및 투명도가 우수하고, 굴절률이 유기층(140)보다 작아야 하며, 인접하는 유기층(140)으로의 전하 주입이 용이한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굴절 전도층(130)으로 전도성 고분자인 PEDOT:PSS의 고전도 등급(high-conductivity grade)인 독일 HC Starck 사의 PH500 용액에, Dimethyl Sulfoxide (DMSO)를 부피비 5%를 섞어 스핀 코팅법으로 도포하였다. 이 경우, 저굴절 전도층(130)의 전도도는 약 200~500 S/cm 이고, 약 50nm 두께의 필름에서 약 수 백 Ω/sq 정도의 면저항이 구현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정공 수송형 유기층으로의 정공 주입도 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굴절률의 경우, 가시광 영역에서 1.3~1.5 정도로 유기층(140)의 굴절률인 1.7~1.8보다 작게 구현된다.
저굴절 전도층(130) 상에 유기층(140)이 형성된다. 상기 도면에는 유기층(140)이 하나의 단일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 유기층(140)은 여러 물질들이 사용된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기 물질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기층(14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 유기층(140)은 통상적으로 다층구조로 형성되면, 해당 다층구조는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미도시),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미도시), 발광층(EL: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미도시),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미도시) 중 발광층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이 이용된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 N-디(나프탈렌-1-일)-N, N'-디페닐-벤지딘 (N, N'-di(naphthalene-1-yl)-N, N'-diphenyl-benzidine: NPB),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고분자 유기물의 경우, 유기층(140)으로부터 애노드 전극 측으로 통상 홀 수송층(HTL)(미도시)이 더 구비된 구조를 갖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애노드 층 상부에 도포된 저굴절율 전도체인 PEDOT:PSS 층 (130) 이 해당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즉, 홀 주입층으로 상기의 PEDOT:PSS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 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가질 수 있으며, 이때, 홀 수송층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층(140)의 경우 표준 구조로 많이 사용되는 NPB(50nm)와 Alq3(50nm)로 구성되어 있다었으며, 이경우 NPB가 홀수송층으로, Alq3가 전자수송층 및 발광층으로 동작한다.
유기층(140) 상에 제 2 전극층(150)이 형성된다. 제 2 전극층(150)은 전면 발광형 소자의 경우 투명 전극으로, 배면 발광형 소자의 경우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전극층(150)이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 2 전극층(150)은 LiF(1nm)/Al(100nm)로 구성되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출광 상태를 광선 추적법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층(140)은 NPB(50nm)와 Alq3(50nm)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물질은 굴절율이 거의 동일하여, NPB와 Alq3가 이루는 계면에서의 굴절은 무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편의상 광학적으로는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의 유기층(발광물질:Alq3)(140)에서 나온 빛들 중, 일반적인 구조에서는 웨이브가이드된(waveguided) 모드가 될 만큼 충분히 수평한 각도로 출광되는 빛들(L1, L2, L3)이 어떻게 출광 모드로 변화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듯 이, 유기층(140)의 굴절률이 저굴절 전도층(130)의 굴절률보다 크므로, 빛(L1, L2, L3)들이 유기층(140)을 따라 가이드 되다가 구조물을 만나 반사되면서 구조물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도가 바뀌고, 그 결과 출광 모드로 전환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 양자 효율의 증가 양상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전력 효율의 증가 양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실시예에 적용된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층(120)으로 IT0를 사용하였으며, ITO의 개구 패턴(A)은 3㎛×3㎛의 사각형 형상과 반복 주기 6㎛를 가지며, 저굴절율 전도층(130)으로는 DMSO가 5% (부피비 기준) 첨가된 PH500이 적용되었다. 이때, 도 4 및 5를 참조하면, ITO가 패턴을 갖지 않는 유기 발광 소자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외부 양자 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및 전력 효율(Power Efficiency)이 약 1.25배 향상되었다. 이 실험치는 ITO 패턴 구조의 테이퍼 각(θ)이 최적화되지 않은 구조에서 측정된 것으로, SEM 이미지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경우 테이퍼 각은 약 20~30도 정도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테이퍼 각이 최적화될 경우 더 높은 성능 향상이 기대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광 추출 향상을 위하여 ITO 전극 위에 저굴절률의 어레이(array)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미국공개특허 2008/0238310A1의 경우, 절연 물질의 저굴절 어레이를 ITO 전극 위에 배치함으로써, 저굴절 어레이가 배치되는 영역은 전기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전기적 사구간(inactive area)가 된다. 이 경우, 동일한 유효밝기를 구현하기 위한 실 전류 밀도가 높아지므로 전류가 단위 면적에 집중되어 소자의 수명 감소, 동작 전압 상승, 및 이에 따른 전력 효율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는, 저굴절률을 갖는 전도층(130)이 패터닝된 ITO(120)와 유기층(14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전기적 사구간(inactive area) 없이 저굴절 전도층(130)이 형성된 모든 영역에서 빛이 방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 1 전극층(120)인 ITO의 면저항을 R(ITO), 저굴절 전도층(130)인 PH500의 면저항을 R(PH500), ITO/PH500 전체 면저항을 R(TOTAL)이라 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ITO의 개구 패턴 모양 및 주기를 고려할 때, 유기 발광 소자의 ITO/PH500 전체 면저항R(TOTAL)은 아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72221412-PAT00001
여기서, R(PH500)은 50nm 두께 기준으로 약 50Ω/sq이고, R(ITO)는 약 10Ω/sq, R(PEDOT)가 500Ω/sq라 할때, 전체 면저항R(TOTAL)은 약 14.8Ω/sq로 그 증가폭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면적화되는 경우에도, IR 전압강하에 따른 밝기의 감소가, 패턴 되지 않은 ITO를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와 비교하여크지 않을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되면서도 IR 드 롭에 의한 밝기의 감소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는 전기적 사구간을 줄여 전력 효율 및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의 크기나 반복주기가 가시광 영역의 파장보다 충분히 크므로, 파장 의존성을 줄이고,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를 설명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는 기판(210), 제 1 전극층(220), 저굴절 전도층(230), 유기층(240), 및 제 2 전극층(2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는 기판(210) 상에 제 1 전극층(220)이 규칙적인 형상을 갖도록 패터닝된다. 이와 같은 제 1 전극층(220)의 패턴은, 기판(210)의 상면으로부터 제 1 두께(D1)를 갖도록 형성된 제 1 패턴부(P1)와, 제 1 패턴부(P1)의 상면으로부터 기판(210) 측으로 제 2 두께(D2) 만큼 식각된 제 2 패턴부(P2)가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에서는 기판(110)의 표면이 드러나도록 제 1 전극층(110)의 개구가 완전히 에칭되어 제 1 두께(D1)에 대한 제 2 두께(D2)의 비(D2/D1)가 1인 경우였지만, 본 실시예 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에서는 제 1 두께(D1)에 대한 제 2 두께(D2)의 비(D2/D1)가 1보다 작은 경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200)에서는, 제 1 전극층(220)의 제 2 패턴부(P2)의 단부가 상기 제 1 패턴부(P1)의 표면과 형성하는 테이퍼 각(θ)이 15도 내지 9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도 내지 7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두께(D1)에 대한 제 2 두께(D2)의 비가 증가할수록, 즉, 에칭 정도가 클수록 광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테이퍼 각의 범위는 증가된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제 1 전극층의 테이퍼 각 및 에칭 비율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광추출 효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패턴부(P1)의 제 1 두께(D1)가 150nm일때, 제 2 패턴부(P2)의 제 1 전극층(220)을 에칭한 두께(D2)가 클수록, 즉, 그래프에서 G3< G2 < G1의 순서로 유기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 추출 효율의 측면에서는 제 1 전극층(220)의 제 2 패턴부(P2)를 완전히 에칭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 2 패턴부(P2)의 제 1 전극층(220)이 완전히 에칭되지 않더라도(G2 및 G3), 테이퍼 각(θ)의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유효한 광 추출 효율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소자(ITO 패턴이 없는 통상의 구조)의 광추출 효율인 16% 보다 약 31% 증가된 21% 이상의 우수한 광 추출 효율을 도출하기 위하여, 제 2 패턴부(P2)의 제 1 전극층(220)을 완전히 에칭한 G1의 경우 테 이퍼 각의 범위는 α1~α2이고, 제 2 패턴부(P2)의 제 1 전극층(220)을 제 1 패턴부(P1)에 대하여 2/3 에칭한 G2의 경우 테이퍼 각의 범위는 β1~β2이며, 제 2 패턴부(P2)의 제 1 전극층(220)을 제 1 패턴부(P1)에 대하여 1/3 에칭한 G3의 경우 테이퍼 각의 범위는 γ1~γ2이다. 즉, 에칭 정도가 클수록 광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택할 수 있는 테이퍼 각의 범위는 증가 된다.
따라서, 상기 그래프로부터 테이퍼 각의 최적 범위를 결정함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패턴부(P2)의 제 1 전극층(120)을 완전히 에칭하지 않더라도, 테이퍼 각의 최적 범위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광 추출 효율을 함께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 1 패턴부(P1)와 제 2 패턴부(P2)는 그리드(Grid) 타입의 패턴 등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패턴부(P1)와 제 2 패턴부(P2)의 간격을 빛의 파장보다 크게 수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형성하여, 가시광 영역에서의 빛의 파장 의존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제 1 전극층(220) 상에는 유기층(240)보다 굴절률이 작고 전도성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 전도층(130)과 제 2 전극층을 형성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 자(300)를 설명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300)는 기판(310), 제 1 전극층(320), 저굴절 전도층(330), 유기층(340), 제 2 전극층(350), 및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310)의 외부 표면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MicroLens Array: MLA)(360)가 더 구비된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60)는 반구형, 피라미드 모양, 역사다리꼴 모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60)는 가시광선에 투명한 산화물, 질화물, 실리콘 화합물, 및 고분자 유기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60)는 기판(310)의 상부에 형성되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판(310)을 기계적인 방법이나 식각 방법을 통해 깎아내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60)는 일정한 주기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60)의 크기나 주기성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가시광 영역에서의 빛의 파장 의존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9도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 양자 효율의 증가 양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전력 효율의 증가 양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ITO가 패턴되지 않은 유기 발광 소자에 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ITO(320)가 규칙적으로 패터닝 되고, ITO(320) 위에 PEDOT:PSS와 같 은 저굴절 전도층(330)이 형성되고, 기판310) 외부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60)가 구비된 유기 발광 소자(300)는 외부 양자 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및 전력 효율(Power Efficiency)이 약 1.63배 정도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 실험치는 ITO 패턴 구조의 테이퍼 각(θ)이 최적화되지 않은 구조에서 측정된 것으로, 전술하였다시피 테이퍼 각이 최적화될 경우 더 높은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300)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최적 범위의 굴절률을 갖는 기판(31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60)는 상기 기판(3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굴절률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기판과 동일한 굴절률을 가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 제1 전극층의 패턴이 25도의 테이퍼 각을 가질 때 기판 굴절률과 광추출 효율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기판(360)의 굴절률이 유기층 및 ITO층의 굴절율과 유사한 값인 1.7~1.9 부근(520nm 기준) 일 때 광 추출 효율 증대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높은 굴절율을 갖는 기판은 가격 면에서 일반 기판보다 비쌀 수 있으므로 기판의 선택은, 전반적인 소자의 제작 단가나 공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도 11에서 보듯이, 굴절율이 1.52 정도인 일반 유리 기판에서도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소자 구조를 통해 100% 이상 (약 16% -> 약 36%) 의 효율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더 구비함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기판(110) 상에 제 1 전극층이 패터닝된 패턴 구조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출광 상태를 광선 추적법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 양자 효율의 증가 양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전력 효율의 증가 양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전극층의 테이퍼 각 및 에칭 비율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광추출 효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도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외부 양자 효율의 증가 양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의 전력 효율의 증가 양상을 도시 한 도면이다.
도 11은 기판과 동일한 굴절률을 가진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에서, 기판 굴절률과 광추출 효율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00, 200, 300: 유기 발광 소자 110, 210, 310: 기판
120, 220, 320: 제 1 전극층 130, 230, 330: 저굴절 전도층
140, 240, 340: 유기층 150, 250, 350: 제 2 전극층
360: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Claims (23)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규칙적으로 패터닝된 제 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배치되고, 유기층보다 굴절률이 작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저굴절 전도층;
    상기 저굴절 전도층을 상에 배치된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 및 제 2 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투명전극인 유기 발광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 패턴의 주기적 간격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보다 큰 유기 발광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의 패턴 단부와 상기 기판의 표면이 형성하는 테이퍼 각이 15도 내지 90도 사이로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의 패턴 단부와 상기 기판의 표면이 형성하는 테이퍼 각이 20도 내지 70도 사이로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의 패턴은, 상기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제 1 두께(D1)를 갖도록 형성된 제 1 패턴부와, 상기 제 1 패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기판 측으로 제 2 두께(D2) 만큼 식각된 제 2 패턴부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부와 제 2 패턴부의 주기적 간격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보다 큰 유기 발광 소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부의 단부가 상기 제 1 패턴부의 표면과 형성하는 테이퍼 각이 15도 내지 90도 사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턴부의 단부가 상기 제 1 패턴부의 표면과 형성하는 테이퍼 각이 20도 내지 70도 사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D1)에 대한 제 2 두께(D2)의 비가 증가할수록 상기 테이퍼 각의 범위가 증가하는 유기 발광 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 전도층은 투명한 유기 발광 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 전도층은 일함수가 큰 유기 발광 소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 전도층은 PEDOT:PSS, 폴리아닐린, 카본나노튜브, 및 그래핀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외부 표면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더 구비된 유기 발광 소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반구형, 피라미드 모양, 역사다리꼴 모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양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주기성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크기나 주기성은 발광되는 빛의 파장보다 큰 유기 발광 소자.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가시광선에 투명한 산화물, 질화물, 실리콘 화합물, 및 고분자 유기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19. 제 14 항에서,
    상기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상기 기판과 동일 굴절률의 재료로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20. 제 14 항에서,
    상기 기판은 통상의 소다-라임계 기판보다 굴절률이 큰 유기 발광 소자.
  21. 제 20 항에서,
    상기 기판의 굴절률은 1.5 ~2.4인 유기 발광 소자.
  22. 제 1 항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3. 제 1 항의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114061A 2009-11-24 2009-11-24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74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61A KR101074804B1 (ko) 2009-11-24 2009-11-24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256914A JP5808905B2 (ja) 2009-11-24 2010-11-17 有機発光素子、これを含む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US12/952,348 US8410477B2 (en) 2009-11-24 2010-11-23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061A KR101074804B1 (ko) 2009-11-24 2009-11-24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598A true KR20110057598A (ko) 2011-06-01
KR101074804B1 KR101074804B1 (ko) 2011-10-19

Family

ID=4406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061A KR101074804B1 (ko) 2009-11-24 2009-11-24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10477B2 (ko)
JP (1) JP5808905B2 (ko)
KR (1) KR10107480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549B1 (ko) * 2011-08-23 2013-12-31 삼성전기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2901B1 (ko) * 2012-11-29 2014-11-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50010665A (ko) * 2013-07-19 2015-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적층체 및 유기 발광 소자
KR20150054075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9443A (ko) * 2014-10-01 2016-04-1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설계 방법 및 장치
US9705108B2 (en) 2014-09-22 2017-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2859B2 (en) * 2011-01-31 2014-02-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ght-emitting device
DE112013000629T5 (de) 2012-01-19 2014-10-23 Panasonic Corporation Organisches EL-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selben
WO2015004811A1 (ja) * 2013-07-12 2015-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有機el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el照明装置
JP6548359B2 (ja) 2014-05-12 2019-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CN104409658B (zh) * 2014-12-04 2018-09-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阵列基板及显示装置
JP6639098B2 (ja) * 2015-03-20 2020-0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CN104716164A (zh) * 2015-03-27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有机发光显示装置
CN110534664B (zh) * 2019-09-11 2023-03-3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面板的制作方法以及显示装置
KR20220077307A (ko) 2020-12-01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3367A (ja) * 1997-02-04 1998-08-21 Mitsubishi Chem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2947250B2 (ja) * 1998-01-27 1999-09-13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22084B1 (ko) * 1999-04-30 2007-05-25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기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3991605B2 (ja) * 2000-03-13 2007-10-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56968A (ja) 2000-08-10 2002-02-22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
JP2002056988A (ja) 2000-08-10 2002-02-22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
JP2002202737A (ja) * 2000-12-28 2002-07-19 Nec Corp 発光素子の製造方法、発光素子
JP2003059642A (ja) * 2001-08-09 2003-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3282260A (ja) * 2002-03-26 2003-10-0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TWI238449B (en) * 2003-06-06 2005-08-21 Pioneer Corp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same
JP2005327689A (ja) * 2004-05-17 2005-11-24 Nippon Zeon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並びに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511440B2 (ja) * 2004-10-05 2010-07-28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発光素子及び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060030396A (ko) 2004-10-05 2006-04-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690847B2 (en) * 2005-06-15 2020-06-23 Braggone Oy Method of making a photonic crystal device and photonic crystal device
JP2007234254A (ja) * 2006-02-27 2007-09-13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00202A1 (en) * 2006-11-01 2008-05-01 Cok Ronald S Process for forming oled conductive protective layer
US9508957B2 (en) * 2007-03-30 2016-11-2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OLED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US20080238310A1 (en) * 2007-03-30 2008-10-02 Forrest Stephen R OLED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JP5662141B2 (ja) * 2007-03-30 2015-01-28 ザ・リージェンツ・オブ・ザ・ユニバーシティ・オブ・ミシガン 光のアウトカップリングが改良されたoled
EP2334149B1 (en) * 2008-09-25 2015-06-03 LG Chem,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with high efficienc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549B1 (ko) * 2011-08-23 2013-12-31 삼성전기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2901B1 (ko) * 2012-11-29 2014-11-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 양자점을 이용한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150010665A (ko) * 2013-07-19 2015-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적층체 및 유기 발광 소자
KR20150054075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05108B2 (en) 2014-09-22 2017-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KR20160039443A (ko) * 2014-10-01 2016-04-1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설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10477B2 (en) 2013-04-02
JP5808905B2 (ja) 2015-11-10
JP2011113973A (ja) 2011-06-09
KR101074804B1 (ko) 2011-10-19
US20110121272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804B1 (ko)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283853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article
TWI278253B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821038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8987767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US20030020399A1 (en) Micro-lens arrays for display intensity enhancement
JP2004273416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組立体
CN105789260B (zh) 一种透明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080032128A (ko) 유기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52148A (ja) 有機発光装置
WO2011161998A1 (ja) 有機el素子
JP2015144110A (ja) 発光装置
US20110140151A1 (en) Organic-light emitting device, light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039839A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39014A (ko) 유기 발광 소자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US20140299863A1 (en) Touch-responsive display assembly
KR101397071B1 (ko) 광추출 효율이 향상된 나노 캐버티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157404A (ja) 有機el発光装置
CN110729407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20130066271A (ko)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KR20100066221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66886B1 (ko) 오엘이디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5118863A (ja) 発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WO2017029889A1 (ja) 有機elパネル、照明装置、並びに、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259469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