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411A - 발광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411A
KR20110054411A KR1020090111034A KR20090111034A KR20110054411A KR 20110054411 A KR20110054411 A KR 20110054411A KR 1020090111034 A KR1020090111034 A KR 1020090111034A KR 20090111034 A KR20090111034 A KR 20090111034A KR 20110054411 A KR20110054411 A KR 20110054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cavity
package
devic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090B1 (ko
Inventor
장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090B1/ko
Priority to US12/947,282 priority patent/US8530918B2/en
Priority to JP2010256647A priority patent/JP5797393B2/ja
Priority to EP10191573.4A priority patent/EP2323183B1/en
Priority to CN201010551198.4A priority patent/CN102097423B/zh
Publication of KR2011005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90B1/ko
Priority to US14/013,882 priority patent/US88359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01L2924/1815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33/00Details relating to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33/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933/0008Processes
    • H01L2933/0033Processes relating to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부 내측에 캐비티를 갖는 투광성의 패키지 몸체; 상기 캐비티에 배치된 복수의 리드 전극;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리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 위에 수지물을 포함한다.
발광소자, 패키지

Description

발광소자 패키지{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실시 예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group Ⅲ-Ⅴ nitride semiconductor)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D) 등의 발광 소자의 핵심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Ⅲ-Ⅴ족 질화물 반도체는 통상 InxAlyGa1 -x- yN (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환시켜서 신호를 주고 받거나, 광원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이러한 질화물 반도체 재료를 이용한 LED 혹은 LD는 광을 얻기 위한 발광 소자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핸드폰의 키패드 발광부, 전광판, 조명 장치 등 각종 제품의 광원으로 응용되고 있다.
실시 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넓은 지향각을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투광성의 패키지 몸체를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부 내측에 캐비티를 갖는 투광성의 패키지 몸체; 상기 캐비티에 배치된 복수의 리드 전극;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리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 위에 수지물을 포함한다.
실시 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넓은 배광 분포를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색 편차를 개선시켜 줄 수 있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 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는 제1캐비티(115), 제2캐비티(117), 제1 리드 전극(121), 제2 리드 전극(123), 패키지 몸체(110), 분리부(112), 발광 소자(125), 수지물(130), 및 렌즈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 몸체(110)는 투광성의 재료로서,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계열이거나,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외 형상은 원 기둥 형상, 다면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몸체 재료의 사출 성형 또는/및 에칭 과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패키지 몸체(110)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한 구조의 캐비티가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리드 전극(121)과 제2 리드 전극(123)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패키지 몸체(110)를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제1 캐비티(115) 내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리드 전극(121) 및 제2 리드 전극(123)은 각각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외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로 분기되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전극(121) 및 제2 리드 전극(123)의 세 부분으로 분기되어 노출된 부분은 상기 패키지 몸체(110) 내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리드 전극(121)과 상기 제2리드 전극(123)은 리드 프레임, 금속 도금층, 비아 구조 등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드 프레임 타입을 그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상기 제2리드 전극(123)은 일단이 상기 패키지 몸체(110)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타단이 트리밍(trimming) 또는/및 포밍(froming)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리밍 및 포밍 과정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상기 제2리드 전극(123)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하면에 노출되거나, 상기 하면과 동일 평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제1캐비티(115)에는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상기 제2리드전극(123)의 일단이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둘레는 제1캐비티(115)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티(115)에는 발광 소자(125)가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125)는 적어도 한 리드 전극(121)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제2리드 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상기 제2리드 전극(123)은 분리부(112)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2)는 상기 패키지 몸체(110)와 동일 재질일 수 있 으나, 광의 투과율인 낮은 재질 예컨대, 폴리머(Polymer)계 수지, 예를 들어, PPA(Polyphthal amide), LCP(Liquid Crystal Polymer), PPS(Poly Phenylene sulfide), 또는 PEEK(Polyetheretherketone) 등과 같은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12)는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사출 성형하고 경화된 다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 과정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분리부(112)는 상기 제1리드 전극(121)과 상기 제2리드 전극(123) 사이를 절연시켜 줄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 예컨대, 상기 제1리드 전극(121)의 내부 또는/및 상기 제2리드 전극(123)의 내부에 소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아래에 상기 제1리드 전극(121)과 상기 제2리드 전극(123)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전극(121)과 상기 제2리드전극(123)의 영역 크기는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하부 영역의 80%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면은 각 반사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리드 전극(121), 상기 제2리드 전극(123) 및 상기 분리부(112)의 영역 크기는 상기 패키지 몸체(110)를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하부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전극(121) 및 제2 리드 전극(123)은 상기 발광 소자(125)에 전원을 제공하는 역할 외에도 상기 발광 소자(125)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역할과 상기 발광 소자(125)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티(115)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25)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LED 칩이 탑재되면 상기 리드 전극(121,123)의 패턴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25)는 칩 종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127)를 이용한 와이어 본딩 방식, 또는 플립 또는 다이 본딩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제2리드 전극(1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25)는 LED 칩으로서, 청색 LED(light emitting diode) 칩, 녹색 LED 칩, 적색 LED 칩과 같은 유색의 LED 칩을 포함하거나, UV(Ultraviolet) LED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청색 LED 칩을 그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패키지 몸체(110)에는 제2캐비티(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캐비티(117)는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캐비티(115)는 상기 제2캐비티(117)의 중앙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캐비티(117)는 상기 제1캐비티(115)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티(117)의 직경은 상기 제1캐비티(115)의 상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티(115) 또는/및 제2캐비티(117)의 공간은 상기 패키지 몸체(110) 또는/및 적어도 하나의 리드 전극(121,1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캐비티 공간은 실시 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티(115)에는 수지물(130)이 형성된다. 상기 수지물(130)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 재료와 같은 투광성 수지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물(130)에는 적어도 한 종류의 형광체 또는/및 확산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형광체는 황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적색 형광체, 및 청색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티(115) 내의 LED 칩과 형광체의 종류는 패키지의 타켓 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수지물(130)의 표면은 오목한 형상, 볼록한 형상, 또는 플랫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110) 내의 제1 캐비티(115) 및 상기 제2 캐비티(117)는 평면상의 형태가 원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를 갖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소자(125)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는 상기 제1캐비티(115)의 둘레 면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0)로 진행하는 광의 대부분은 상 방향으로 방출되고, 상기 패키지 몸체(110)로 진행하는 광은 투과되어 사이드 방향으로 방출된다.
또한 상기 제1리드전극(121) 및 상기 제2리드 전극(123)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패키지 몸체(110)를 통해 렌즈부(140)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100)는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상기 제2리드 전극(123)의 연장 선상 위로 광이 방출되는 분포를 가지게 되어, 그 배광 분포는 160~180도의 지향각으로 조사된다.
상기 수지물(130)과 상기 렌즈부(140) 사이에는 다른 투광성 수지층 또는 투광성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수지물(130) 및 상기 패키지 몸체(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125)에서 방출된 광을 외부로 출사시켜 주는 데, 이때 광의 지향각을 변화시키는 렌즈 역할을 한다.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제2캐비티(117)에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질, 고분자 물질 또는 유리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40)는 적어도 일부분에 형광체 또는 색 변환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제2캐비티(117)에 형성되어, 그 상부가 볼록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제2캐비티(117)에 수지 재료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렌즈를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캐비티(115) 및 제2 캐비티(117) 중 어느 하나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발광 소자(125)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0)는 상기 발광 소자(125)와 직접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일부가 상기 제1캐비티(115)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100)는 투광성의 패키지 몸체(110)에 의해 지향각을 넓힐 수 있고, 배광 영역에서의 각 지향각 별 색편차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2는 제2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제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A)는 투광성 패키지 몸체(110) 위에 렌즈부(140A)의 형상을 측면 반사형 렌즈로 제공한 구조이다. 상기 렌즈부(140A)는 소정 부위 예컨대, 중앙부에 함몰부(145)를 구비하여 소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렌즈부(140A)는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상부에 노출된 부분이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몰부(145)는 상기 렌즈부(140A)의 중앙부에서 상기 발광 소자(50)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어, 입사되는 광을 모든 측 방향으로 반사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0A)의 함몰부(145)는 렌즈 중앙에 형성되거나 발광 소자(125) 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45)의 표면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직경은 상기 발광 소자(125)가 배치되는 하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제1캐비티(115A)는 그 둘레가 수직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한 면은 상기 발광 소자(125)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패키지 몸체(110)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투과량은 경사진 면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100A)는 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넓은 지향각과 함게 배광 영역에서의 색 편차를 줄여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변형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A)는 렌즈부(140A)를 변경한 구조이다. 상기 렌즈부(140A)의 외측 하부(S2)는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외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상부 및 외측 하부(S2)로 방출된 광을 굴절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0A)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그 외측 하부(S2)가 복수의 리드 전극(121,123)의 외측 상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패키지 몸체(110)의 외측으로의 습기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100A)는 투광성의 패키지 몸체(110)와 상기 렌즈부(140A)에 의해 지향각이 개선될 수 있 다.
도 4는 제3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제3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B)는 소정 형상의 패턴(142)을 갖는 렌즈부(140B)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140B)의 상면에는 복수의 패턴(142)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패턴(142)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된다. 상기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은 상기 렌즈부(140B)의 상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상면 중심부, 상면 둘레부, 또는 상면 중심부와 상면 둘레부 사이의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는 상기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이 상기 렌즈부(140B)의 전체 상면에 배치되는 것을 그 예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렌즈부(140B)의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은 상면 중앙을 중심으로 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 형상, 타원 형상, 비구면 형상, 및 다각 형상 중 적어도 한 형상을 갖고 돌출되는 형태이다. 상기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은 상기 렌즈부(140B)의 표면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패턴(142)의 형상은 대칭 또는 비대칭의 다각 뿔 형상 또는 프리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은 상기 렌즈부(140B)의 상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며, 각 패턴의 크기는 상기 렌즈부(140B)의 상면 중앙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거나, 각 패턴의 높이는 상기 렌즈 중앙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은 프리즘 패턴의 형상을 포함하며, 각 패턴 간의 간격은 일정한 간격, 불규칙한 간격, 또는 랜덤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0B)의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은 상기 발광 소자(125)로부터 방출된 광이 투과 또는 반사될 때 굴절 또는 분산시켜 줌으로써, 상기 렌즈부(140)의 중앙부와 사이드부의 광이 균일한 광도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40B)의 중앙부와 사이드부 사이의 색편차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이러한 색 편차의 정도는 상기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B)는 패키지 몸체(110A)의 형상을 일단의 캐비티(115)를 갖는 형상으로 변경하고, 상기 렌즈부(140B)의 외측 하부(S4)를 패키지 몸체(110A)의 둘레로 더 연장하여 배치하게 된다. 상기 렌즈부(140B)의 외측 하부(S4)는 상기 패키지 몸체(110A)의 외측 둘레 및 상기 리드 전극(121,123)의 상면까지 연장되므로,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이 패키지 몸체(110A)의 둘레까지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140B)는 상기 발광 소자(125)로부터 방출된 광이 전 방향으로 투과될 때 굴절 또는 반사시켜 줌으로써, 상기 렌즈부(140B)의 중앙부와 사이드부의 광이 균일한 광도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140B)의 중앙부와 사이드부 사이의 색편차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이러한 색 편차의 정도는 상기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B)는 렌즈부(140B)의 상측에는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이 형성되고, 외측 하부(S6)는 상기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비 패턴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부(140B)는 상기 발광 소자(125)로부터 방출된 광을 굴절 또는 반사시켜 주며, 그 상측의 동심원 형상의 패턴(142)에 의해 균일한 분포의 색 편차를 가지게 되고, 외측 하부(S6)의 비 패턴 영역에 의해 광의 지향각 분포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제4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제4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C)는 몸체 상부(101) 및 몸체 하부(102)를 포함하는 패키지 몸체(110B)를 포함한다.
상기 패키지 몸체(110B)의 몸체 상부(101)는 제1실시 예에 개시된 투광성 재료이고, 상기 몸체 하부(102)는 상기 투광성 재료이거나, 비 투광성 재료 예컨대, 폴리머 계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 하부(102)와 상기 몸체 상부(101)는 제1리드 전극(121)과 제2리드 전극(123)의 관통하여 서로 접촉될 수 있으며, 그 접촉된 영역은 적어도 한 영역이 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110B)에는 분리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112A)는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제2리드 전극(123)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 하부(102)를 통해 상기 몸체 하부(102)의 하면과 동일 평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키지 몸체(110B)의 몸체 하부(102)를 형성한 다음, 상기 분리부(112A)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 하부(102)가 폴리머 재질인 경우, 상기 분리부(112A)는 상기 몸체 하부(10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전극(121) 및 상기 제2리드전극(123)은 몸체 상부(101) 및 몸체 하부(102) 사이에 지지되며, 상기 분리부(112A)와 함께 하부로 진행하는 광을 반사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100C)는 상기 투광성의 몸체 상부(101), 상기 수지물(130), 상기 렌즈부(140)로 진행하는 광이 전 영역으로 분산되고 투과됨으로써, 배광 영역에서의 색 좌표 편차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C)는 렌즈부(140)의 외측 하부(S8)를 상기 몸체 상부(101)의 외측 둘레까지 연장한 구조이다. 상기 렌즈부(140)의 외측 하부(S8)는 상기 몸체 상부(101)에 이격되며, 상기 제1리드 전극(121) 및 제2리드 전극(123)의 외측 상면과 접촉되며, 습기 침투 및 광 지향각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제5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5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에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200)는 패키지 몸체(210), 몸체 하부(201), 제1리드 전극(221), 제2리드 전극(223), 발광 소자(225), 수지물(230), 및 렌즈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리드 전극(221)은 일단이 상기 제2캐비티(117)의 바닥면 일부에 배치되고, 타단이 패키지 몸체(21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몸체 하부(201)의 하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2리드 전극(223)은 타단이 상기 제2캐비티(117) 바닥면에서 상기 제1리드 전극(221)과 분리되며, 상기 패키지 몸체(210)의 내측 제1캐비티(215)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리드 전극(223)의 일단은 상기 패키지 몸체(210)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몸체 하부(201)의 하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리드 전극(223)는 상기 발광 소자(215)가 배치되고, 발광 소자(215)는 와이어 본딩 또는/및 다이 본딩 등에 의해 상기 제1리드전극(221) 및 제2리드전극(2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전극(221) 및 상기 제2리드전극(223)의 외측 상부에는 상기 패키지 몸체(210)가 배치되어, 그 내부에 상기 제1캐비티(215)와 연통되는 제2캐비티(217)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패키지 몸체(210)는 투광성 재료로서,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료이거나 유리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몸체(210),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221,223)의 하부에는 몸체 하부(201)가 형성되는 데, 상기 몸체 하부(201)는 비 투광성 재질로서, 상기에 개시된 분리부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215)는 상기 제2리드 전극(223)으로 이루어지는 제1캐비티(215)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캐비티(215)에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투광성 수지물(230)이 형성된다. 상기 수지물(230) 위에는 렌즈부(240)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부(240)는 중앙부에 함몰부(242)를 갖는 측면 반사형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215)로부터 방출된 광은 상면 및 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제2리드 전극(223)에 의해 상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며, 상기 상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일부는 상기 렌즈부(240)의 함몰부(242)에 의해 주변 방향으로 반사되고 다른 광은 외부로 투과된다.
상기 렌즈부(240)의 함몰부(242)에 의해 반사된 광은 패키지 몸체(210)를 투과하여 상기 제1 및 제2리드전극(221,223)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발광 소자 패키지(200)는 발광 소자(215)로부터 방출된 광 중에서 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일부 광은 제2리드전극(223)에 의해 반사시켜 주고, 또 상 방향으로 일부 광은 상기 렌즈부(240)에 의해 하 방향으로 반사시켜 줌으로써, 넓은 지향각을 갖는 배광 분포로 발광하게 된다. 이러한 배광 분포에서는 렌즈 중앙과 사이드 사이의 색 편차가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형 예이다.
도 4는 제3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 예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이다.
도 7은 제4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변형 예이다.
도 9는 제5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13)

  1. 상부 내측에 캐비티를 갖는 투광성의 패키지 몸체;
    상기 캐비티에 배치된 복수의 리드 전극;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리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 위에 수지물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비 투광성의 분리부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의 패키지 몸체는 실리콘, 에폭시, 또는 유리 재료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몸체의 캐비티 둘레면은 그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몸체의 캐비티는 상기 수지물이 형성된 제1캐비티; 및 상기 제1캐비티 위에 상기 제1캐비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2캐비티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물 위에 렌즈부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중앙에 함몰부를 갖는 측면 반사형 렌즈 형상, 볼록 렌즈 형상, 및 상면에 동심원 형상의 패턴을 갖는 렌즈 형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티는 상기 렌즈부의 함몰부 아래에 배치되고 복수의 리드 전극 중 적어도 한 리드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 패키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의 상면은 상기 패키지 몸체의 80% 이상 형성되며 반사 면으로 기능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과 상기 분리부는 상기 패키지 몸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상기 리드 전극 아래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 아래에 상기 패키지 몸체와 연통된 몸체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하부 및 상기 분리부는 PPA(Polyphthal amide), LCP(Liquid Crystal Polymer), PPS(Poly Phenylene sulfide), 또는 PEEK(Polyetheretherketone)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투광성의 패키지 몸체의 외측 둘레를 커버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의 외측 둘레는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의 외측 상면에 접촉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090111034A 2009-11-17 2009-11-17 발광소자 패키지 KR101064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34A KR101064090B1 (ko) 2009-11-17 2009-11-17 발광소자 패키지
US12/947,282 US8530918B2 (en) 2009-11-17 2010-11-16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JP2010256647A JP5797393B2 (ja) 2009-11-17 2010-11-17 発光素子パッケージ
EP10191573.4A EP2323183B1 (en) 2009-11-17 2010-11-17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N201010551198.4A CN102097423B (zh) 2009-11-17 2010-11-17 发光器件封装和照明系统
US14/013,882 US8835969B2 (en) 2009-11-17 2013-08-29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034A KR101064090B1 (ko) 2009-11-17 2009-11-17 발광소자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11A true KR20110054411A (ko) 2011-05-25
KR101064090B1 KR101064090B1 (ko) 2011-09-08

Family

ID=4359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034A KR101064090B1 (ko) 2009-11-17 2009-11-17 발광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30918B2 (ko)
EP (1) EP2323183B1 (ko)
JP (1) JP5797393B2 (ko)
KR (1) KR101064090B1 (ko)
CN (1) CN102097423B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051A (ko) * 2011-08-24 2013-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46516A (ko) * 2011-10-28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
KR20130050185A (ko) * 2011-11-07 2013-05-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
KR20130054040A (ko) * 2011-11-16 2013-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130063421A (ko) * 2011-12-06 201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30106149A (ko) * 2012-03-19 201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373352B1 (ko) * 2012-09-24 2014-03-13 창 와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다이오드 패킹 전 제조 공정 및 그 구조
KR20140074709A (ko) * 2012-12-10 2014-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4041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WO2018074866A3 (ko) * 2016-10-21 2018-08-09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KR20200048705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인터원 확산렌즈가 적용된 알지비 풀 컬러 엘이디 모듈
KR102272672B1 (ko) * 2020-09-16 2021-07-05 대성앤텍 주식회사 광원용 기판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642B1 (ko) * 2010-12-21 2017-0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CN103299441B (zh) * 2011-01-20 2016-08-10 夏普株式会社 发光装置、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发光装置的制造方法
TWI517452B (zh) * 2011-03-02 2016-01-1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發光晶體之多晶封裝結構
CN102655198B (zh) * 2011-03-03 2015-09-23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光源
US9029887B2 (en) 2011-04-22 2015-05-12 Micron Technology, Inc. Solid state lighting devices having improved color uniformity and associated methods
KR101852388B1 (ko) * 2011-04-28 2018-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US8878215B2 (en) * 2011-06-22 2014-11-04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US9397274B2 (en) * 2011-08-24 2016-07-19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1896659B1 (ko) * 2011-09-02 2018-09-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
CN104054189B (zh) * 2011-11-17 2018-06-26 株式会社流明斯 发光元件封装体以及包括该发光元件封装体的背光单元
WO2013180365A1 (en) 2012-05-31 2013-12-05 Lg Innotek Co., Ltd. Member for cotrolling luminous flux, method for fabricating the member, display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CN102832321A (zh) * 2012-08-29 2012-12-19 苏州金科信汇光电科技有限公司 贴片式雷射封装结构
KR101360568B1 (ko) * 2012-09-14 2014-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13596B1 (ko) * 2012-12-07 2014-07-02 주식회사 루멘스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US20140167074A1 (en) * 2012-12-17 2014-06-19 Waitrony Optoelectronics Limited Intensity Scattering LED Apparatus
KR102029802B1 (ko) * 2013-01-14 2019-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DE102013202551A1 (de) 2013-02-18 2014-08-21 Heraeus Materials Technologies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ubstrats mit einer Kavität
US9404647B2 (en) 2013-03-15 2016-08-02 Hubbell Incorporated Class 1 compliant lens assembly
KR101356475B1 (ko) * 2013-03-27 2014-01-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성능 엘이디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3213073A1 (de) * 2013-07-04 2015-01-0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s
US9335023B2 (en) * 2013-12-11 2016-05-1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Quantum dot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102014101557A1 (de) * 2014-02-07 2015-08-1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2277125B1 (ko) * 2014-06-09 2021-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
KR20160069724A (ko) * 2014-12-09 2016-06-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형광체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장치
KR102252994B1 (ko) * 2014-12-18 2021-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용 파장 변환 필름
US10018324B2 (en) * 2015-03-31 2018-07-10 Koito Manufacturing Co., Ltd. Light source unit with light emitting module, sealing part and lens part
KR102486035B1 (ko) * 2016-01-28 2023-01-06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장치
KR102558280B1 (ko) * 2016-02-05 2023-07-25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광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JP6162280B1 (ja) * 2016-03-09 2017-07-1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発光装置および面光源装置
WO2018030757A1 (ko) 2016-08-09 2018-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모듈, 플래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기
CN106641750B (zh) * 2016-10-31 2023-10-13 易美芯光(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混光系统
EP3470730B1 (en) 2017-10-10 2023-01-25 ZG Lighting France S.A.S Lighting unit and luminaire for road and/or street lighting
US20190267525A1 (en) 2018-02-26 2019-08-29 Semicon Light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703743B (zh) * 2018-10-31 2020-09-01 億光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及發光模組
JP6791298B2 (ja) * 2019-04-23 2020-11-2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
CN209963087U (zh) * 2019-07-31 2020-01-17 青岛歌尔智能传感器有限公司 一种led的系统级封装、心率传感器及可穿戴设备
CN111223981A (zh) * 2020-03-12 2020-06-02 宁波升谱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紫外led器件
CN113257980A (zh) * 2021-06-16 2021-08-13 芜湖聚飞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器件、背光模组及显示单元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1477A (ja) 1983-02-17 1984-08-29 Toyoda Gosei Co Ltd 発光ランプ
DE19621124A1 (de) * 1996-05-24 1997-11-27 Siemens Ag Optoelektronischer Wandler und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US6274890B1 (en) 1997-01-15 2001-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2314143A (ja) 2001-04-09 2002-10-25 Toshiba Corp 発光装置
KR20040044701A (ko) 2002-11-21 2004-05-31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TW594950B (en) * 2003-03-18 2004-06-21 United Epitax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package scheme and method thereof
KR100563372B1 (ko) 2004-02-20 2006-03-2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렌즈몰딩부를 구비하는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5243795A (ja) * 2004-02-25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半導体装置
CN2717026Y (zh) * 2004-06-11 2005-08-10 佛山市国星光电科技有限公司 多芯片封装结构发光二极管
JP2006049442A (ja) * 2004-08-02 2006-02-16 Sharp Corp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59828A1 (en) * 2004-09-10 2006-06-08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multiple molding resins
JP4979896B2 (ja) * 2005-04-25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
TWI363437B (en) * 2008-05-21 2012-05-01 Ind Tech Res Inst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capable of providing electrostatic discharge circuit protection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CN100565948C (zh) * 2005-06-30 2009-12-02 松下电工株式会社 发光装置
KR100629496B1 (ko) * 2005-08-08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703216B1 (ko) 2006-02-21 2007-04-09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100851636B1 (ko) 2006-07-27 2008-08-13 삼성전기주식회사 표면실장형 발광다이오드 소자
KR20080041818A (ko) 2006-11-08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TW200824150A (en) 2006-11-29 2008-06-01 Solidlite Corp Package structure of light emitting diode having high divergence angle
JP5168152B2 (ja) * 2006-12-28 2013-03-2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US20090067175A1 (en) 2007-01-04 2009-03-12 Bright Led Electronics Corp. Lens for use with a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lens
JP5122172B2 (ja) * 2007-03-30 2013-01-16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
JP2007318176A (ja) * 2007-08-10 2007-12-06 Toyoda Gosei Co Ltd 発光ダイオード
GB2455489B (en) * 2007-08-22 2012-05-30 Photonstar Led Ltd High thermal performance packaging for optoelectronics devices
KR20090026671A (ko) 2007-09-10 2009-03-1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라이트용 점광원 확산 렌즈
KR20090032775A (ko) 2007-09-28 2009-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JP2009111140A (ja) * 2007-10-30 2009-05-21 Sanyo Electric Co Ltd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26567B1 (ko) * 2008-05-07 2015-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US8049230B2 (en) * 2008-05-16 2011-11-01 Cree Huizhou Opto Limited Apparatus and system for miniature surface mount devices
US9105824B2 (en) * 2010-04-09 2015-08-11 Cree, Inc. High reflective board or substrate for LED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051A (ko) * 2011-08-24 2013-03-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20130046516A (ko) * 2011-10-28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
KR20130050185A (ko) * 2011-11-07 2013-05-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영상표시장치
US10128423B2 (en) 2011-11-16 2018-11-13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30054040A (ko) * 2011-11-16 2013-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130063421A (ko) * 2011-12-06 201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30106149A (ko) * 2012-03-19 2013-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1373352B1 (ko) * 2012-09-24 2014-03-13 창 와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다이오드 패킹 전 제조 공정 및 그 구조
KR20140074709A (ko) * 2012-12-10 2014-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4041A (ko) * 2016-10-21 2018-05-02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WO2018074866A3 (ko) * 2016-10-21 2018-08-09 주식회사 세미콘라이트 반도체 발광소자
KR20200048705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인터원 확산렌즈가 적용된 알지비 풀 컬러 엘이디 모듈
KR102272672B1 (ko) * 2020-09-16 2021-07-05 대성앤텍 주식회사 광원용 기판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WO2022060022A1 (ko) * 2020-09-16 2022-03-24 대성앤텍 주식회사 광원용 기판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97423A (zh) 2011-06-15
JP2011109102A (ja) 2011-06-02
US8835969B2 (en) 2014-09-16
US8530918B2 (en) 2013-09-10
EP2323183A1 (en) 2011-05-18
US20140008687A1 (en) 2014-01-09
KR101064090B1 (ko) 2011-09-08
JP5797393B2 (ja) 2015-10-21
EP2323183B1 (en) 2016-03-30
CN102097423B (zh) 2015-09-30
US20110114979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090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028304B1 (ko) 발광 장치
KR101007131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0986468B1 (ko) 렌즈 및 렌즈를 갖는 발광 장치
US9039216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unit having the same
KR101064036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시스템
KR100986380B1 (ko) 발광 장치
KR101047791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8860047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US8890192B2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sidewise light outpu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0390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TW201448281A (zh) 封裝具有底部反射器的發光二極體透鏡
KR20090073598A (ko) Led 패키지
KR20130014755A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시스템
KR100663909B1 (ko) 측면 발광용 렌즈 및 발광 소자
KR101575804B1 (ko)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4032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CN113488575A (zh) 发光模块
KR20100033713A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20120068788A (ko) Led 패키지
KR20110136647A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