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596B1 -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596B1
KR101413596B1 KR1020120142208A KR20120142208A KR101413596B1 KR 101413596 B1 KR101413596 B1 KR 101413596B1 KR 1020120142208 A KR1020120142208 A KR 1020120142208A KR 20120142208 A KR20120142208 A KR 20120142208A KR 101413596 B1 KR101413596 B1 KR 10141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molding material
lead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042A (ko
Inventor
오승현
김평국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2014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596B1/ko
Priority to US14/650,119 priority patent/US9690030B2/en
Priority to JP2015546375A priority patent/JP6010705B2/ja
Priority to PCT/KR2013/010966 priority patent/WO2014088260A1/ko
Publication of KR2014007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9/00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 G02B19/0033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 G02B19/0047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 G02B19/0061Condensers, e.g. light collectors or similar non-imaging optics characterised by the use for use with a light source the light source comprising a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6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가 사전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위하여, 내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와,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된 돌출지지부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내면을 정의하는 내측면과 입사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외면을 정의하는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을 연결하는 하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경계가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거나 상기 내측면의 하부가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거나 상기 하측면이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는 렌즈부를 구비하는,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Light emitting device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렌즈가 사전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소자는 전자장치, 예컨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백라이트 모듈에 결합하기 전에 다양한 형태로 패키징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은 이와 같은 발광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발광장치에서 방출된 광의 전방으로의 조사효율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렌즈부가 부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 등에 발광장치를 실장한 후, 내측에 패키지보다 큰 공간을 갖는 렌즈부를 패키지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등에 접착부재 등을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공개특허 10-2005-0029384호
그러나 종래의 발광장치의 경우, 렌즈부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할 시 렌즈부가 발광장치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채 결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가 사전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내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와,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된 돌출지지부와,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내면을 정의하는 내측면과 입사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외면을 정의하는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을 연결하는 하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경계가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거나 상기 내측면의 하부가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거나 상기 하측면이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는 렌즈부를 구비하는, 발광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몰딩재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슬라이딩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단차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하측면과 면접촉하는 면접촉지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의 상기 내측면에 의해 정의된 상기 오목한 빈 공간이 상기 렌즈부 외부와 소통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3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일정 각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와 상기 몰딩재는 일체(一體)일 수 있다.
상호 이격된 제1리드 및 제2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가 안착되는 리드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몰딩재는 상기 제1리드의 상면의 일부와 상기 제2리드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리드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의 저부는, 상기 제1리드와 상기 제2리드 사이의 리드분리영역이 연장된 일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네 변들을 포함하는 형상이며,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의 상부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 변들 중 상기 제1리드 상에서 상호 수렴하는 두 변들의 수렴 지점은 상기 리드분리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곡선에 연결되고, 상기 네 변들 중 상기 제2리드 상에서 상호 수렴하는 두 변들의 수렴 지점은 상기 리드분리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곡선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반사시트와, 상기 반사시트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반사시트 상부에 배치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된 전술한 것과 같은 발광장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가 사전설정된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는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발광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발광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는 리드프레임(10), 발광소자(미도시), 몰딩재(30), 돌출지지부(40) 및 렌즈부(50)를 구비한다.
리드프레임(10)은 상호 이격된 제1리드(11)와 제2리드(12)를 포함한다. 물론 이 외의 리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리드프레임(10)은 발광소자가 배치될 다이패드와, 이 다이패드와 이격된 제1리드 및 제2리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제1리드(11)와 제2리드(12)가 y축 방향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리드분리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발광소자(미도시)는 리드프레임(10) 상에 안착되어 제1리드(11) 및 제2리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광소자는 예컨대 제1리드(11)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리드(11)와 제2리드(12) 상에 걸쳐 배치될 수도 있다. 발광소자는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광을 방출하는 소자로서 다양한 전자 장치의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소자는 화합물 반도체의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화합물 반도체의 물질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제1리드(11) 및/또는 제2리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도전성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와이어링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몰딩재(30)는 리드프레임(10)에 결합되어 발광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몰딩재(30)는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32)를 갖는다. 도면에서는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z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는 개구(32)를 몰딩재(30)가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결국 몰딩재(30)는 내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몰딩재(30)는 트랜스퍼 몰딩법 등을 통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몰딩재(30)는 트랜스퍼 몰딩법 외에도 인젝션 몰딩, 사출성형 등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몰딩재로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는 에폭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를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발광소자를 덮는 투광성 충진재(미도시)가 필요에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에는 형광체가 혼입되어 몰딩재(30)의 개구(32)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물론 형광체가 혼합된 충진재가 부분적으로 채워지고, 형광체 없는 (투명) 충진재가 별도로 채워질 수도 있다.
돌출지지부(40)는 몰딩재(30)의 개구(32)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돌출지지부(40)가 몰딩재(30)의 개구(32)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돌출지지부(40)와 돌출지지부(40) 사이에 소통로(40a)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소통로(40a)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돌출지지부(40)는 휘도가 과도하게 감소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돌출지지부(40)의 개구(32) 방향 내측면을 연장하는 원주를 기준으로 돌출지지부(40)가 차지하는 내측면의 총합이 전체 원주의 25% 이내가 되도록 그 폭과 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지지부(40)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몰딩재(30)의 개구(32)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일정 간격 또는 일정 각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실시예에서 돌출지지부(40)는 3개의 조각이 120o 각도로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돌출지지부(40)는 접착제 등을 통해 몰딩재(30)와 결합되거나, 별도의 접착제 없이 돌출지지부(40)나 몰딩재(30)의 일부를 녹인 후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등의 열접합 등을 통해 몰딩재(30)와 결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돌출지지부(40)와 몰딩재(30)는 최종적으로 일체(一體)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돌출지지부(40)와 몰딩재(30)를 트랜스퍼 몰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최초부터 일체(一體)로 형성할 수도 있다.
렌즈부(50)는 내측면(52), 외측면(54) 및 하측면(56)을 구비한다. 내측면(52)은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내면을 정의하고, 외측면(54)은 입사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외면을 정의하며, 하측면(56)은 내측면(52)과 외측면(54)을 연결한다. 렌즈부(50)의 내측면(52)에 의해 정의되는 광입사면과 발광소자 사이의 공간은 공기로 채워질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공기로 채워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렌즈부(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투광성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 내측 빈 공간을 공기로 채우는 경우, 종래의 경우 인쇄회로기판 등에 발광장치를 실장한 후, 내측에 발광장치보다 큰 공간을 갖는 렌즈부를 발광장치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 등에 접착부재 등을 통해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발광장치의 경우, 렌즈부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할 시 렌즈부가 발광장치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채 결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렌즈부를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할 시 렌즈부 내측의 발광장치보다 큰 빈 공간 내에 발광장치가 위치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렌즈부 정 중앙이 발광장치 정 중앙에 정렬되지 않은 채 렌즈부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와 같은 오정렬은 발광장치에서 방출되어 렌즈부를 통과한 광의 색좌표가 달라지거나 피크휘도의 위치가 바뀌는 등, 외부 취출광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는 렌즈부(50)를 구비하고 해당 렌즈부 내측의 오목한 공간이 공기로 채워지도록 하되, 렌즈부(50)가 몰딩재(30)에 결합될 시 그 렌즈부(50)가 언제나 일정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렌즈부(50)의 내측면(52)과 하측면(54)의 경계(50a)가 돌출지지부(40)에 컨택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소자(미도시)에 대한 렌즈부(50)의 위치가 언제나 일정하도록 렌즈부(50)가 몰딩재(30) 및/또는 돌출지지부(40)에 결합되는 것을 담보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지지부(40)는 단차부를 가질 수 있다. 단차부를 가짐으로써 렌즈부(50)의 내측면(52)과 하측면(54)의 경계(50a)가 돌출지지부(40)의 단차부에 컨택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소자(미도시)에 대한 렌즈부(50)의 위치가 언제나 일정하도록 렌즈부(50)가 몰딩재(30) 및/또는 돌출지지부(40)에 결합되는 것을 담보할 수 있다. 특히, 돌출지지부(4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몰딩재(30)의 개구(32) 외측 방향(도 4의 경우 -x 방향)으로 갈수록 몰딩재(30)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슬라이딩면(4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면(42)을 통해 렌즈부(50)의 위치자동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렌즈부(50)를 몰딩재(30) 및/또는 돌출지지부(40) 상부에서 발광소자에 대해 대략적으로 정렬한 후 렌즈부(50)를 몰딩재(30) 및/또는 돌출지지부(4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렌즈부(50)의 내측면(52)과 하측면(54)의 경계(50a)가 돌출지지부(40)의 슬라이딩면(42) 상에 위치하게 될 시 그 경계(50a)가 슬라이딩면(42)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와 그 경계(50a)가 사전설정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렌즈부(50)가 발광소자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렌즈부(50)를 몰딩재(30) 및/또는 돌출지지부(4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렌즈부(50)가 발광소자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었다면, 렌즈부(50)는 슬라이딩면(42)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바로 렌즈부(50)의 내측면(52)과 하측면(54)의 경계(50a)가 돌출지지부40) 상의 사전설정된 지점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돌출지지부(40)는 렌즈부(50)의 하측면(56)과 면접촉하는 면접촉지지면(44)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렌즈부(50)가 발광소자에 대해 정확히 정렬된 상태에서 렌즈부(50)의 하측면(56)이 돌출지지부(40)의 면접촉지지면(44)과 면접촉하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해당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곳에 돌출지지부(40)와 렌즈부(50)와의 결합을 담보할 수 있는 접착제가 개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렌즈부(50)의 내측면(52)과 하측면(54)의 경계(50a)가 돌출지지부(40) 상에서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지점은 돌출지지부(40)의 슬라이딩면(42)과 면접촉지지면(44)이 만나는 지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지지부(40)는 렌즈부(50)가 발광소자에 대해 사전설정된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 외에, 외부로 방출되는 광 특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돌출지지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 중 일부는 몰딩재와 렌즈부가 만나는 부근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그와 같은 광의 색좌표는 렌즈부의 다른 부분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색좌표와 상이하게 되는 등, 취출광의 품질 저하라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경우 돌출지지부(40)가 몰딩재(30)와 렌즈부(50) 사이에 위치하며 아울러 몰딩재(30)와 렌즈부(50)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막고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몰딩재(30)와 렌즈부(50) 사이 부근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취출광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지지부(40)가 몰딩재(30)의 개구(32) 둘레를 따라 일주(一周)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지지부(40)가 몰딩재(30)의 개구(32)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돌출지지부(40)와 돌출지지부(40) 사이에 소통로(40a)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발광장치의 경우 발광소자에서 광이 방출되는 것과 더불어 열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은 외부로 방출되지 않으면 몰딩재(30)나 렌즈부(50) 등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경우 돌출지지부(40)와 돌출지지부(40) 사이에 소통로(40a)가 형성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렌즈부(50)의 내측면(52)에 의해 정의된 오목한 빈 공간이 그 소통로(40a)를 통해 렌즈부(50) 외부와 소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해당 공간 하부의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것과 같이 몰딩재(30)의 개구(32)의 하부(32a)는 대략 사각형 형상이고 상부(32b)는 원형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몰딩재(30)의 개구(32)의 상부(32b)를 원형 형상으로 하는 것은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발광소자를 지나는 광축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균일하게 광이 퍼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달리 몰딩재(30)의 개구(32)의 하부(32a)를 대략 사각형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은 발광장치의 소형화에 따른 발광소자 실장 편의성을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발광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작아지는 소형화를 위해 몰딩재(30)의 사이즈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몰딩재(30)의 사이즈가 줄어듦에 따라 몰딩재(30)의 개구(32)의 크기 역시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몰딩재(30)의 개구(32) 하부(32a)의 형상이 원형이 아닌 발광소자의 대략적인 형상인 사각형 형상에 대응하도록 해야만 몰딩재(30)의 개구(32)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발광소자가 제1리드(11)와 제2리드(12) 중 어느 하나 상에 위치하고 와이어 등을 통해 발광소자가 제1리드(11) 및 제2리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발광장치의 소형화, 즉 몰딩재(30)의 소형화에 따라 제1리드(11)와 제2리드(12)의 몰딩재(30) 개구(32) 내에서 노출되는 면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발광소자가 제1리드(11)와 제2리드(12) 중 어느 하나 상에만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제1리드(11)와 제2리드(12)에 걸쳐 위치하도록 하고 와이어 등을 통해 발광소자가 제1리드(11) 및 제2리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발광소자가 제1리드(11)와 제2리드(12)에 걸쳐 위치하지 않고, 제1리드(11)와 제2리드(12) 사이의 리드분리영역과 제1리드(11)에 걸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발광장치의 소형화, 즉 몰딩재(30)의 소형화에 따라 제1리드(11)와 제2리드(12)의 몰딩재(30) 개구(32) 내에서 노출되는 면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에, 제1리드(11) 및 제2리드(12)를 와이어를 통해 발광소자와 연결할 시 제1리드(11)와 제2리드(12) 상의 와이어가 접합될 영역이 효율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몰딩재(30)는 제1리드(11)의 +z 방향 상면의 일부와 제2리드(12)의 +z 방향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리드프레임(10)에 결합되고, 몰딩재(30)의 개구(32)의 저부(32a)는, 제1리드(11)와 제2리드(12) 사이의 리드분리영역이 연장된 일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네 변들을 포함하는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몰딩재(30) 개구(32)의 저부(32a)가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되, 그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네 변들(32a1, 32a2, 32a3, 32a4)이, 제1리드(11)와 제2리드(12) 사이의 리드분리영역이 연장된 일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몰딩재(30) 개구(32)의 저부(32a)가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그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네 변들(32a1, 32a2, 32a3, 32a4)이 리드분리영역이 연장된 일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면, 몰딩재(30) 개구(32) 사이즈가 작은 상황 하에서 제1리드(11)의 상면과 제2리드(12)의 상면이 모두 몰딩재(30) 개구(32) 내에서 충분히 노출되는 것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몰딩재(30) 개구(32)의 저부(32a)가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되, 그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네 변들(32a1, 32a2, 32a3, 32a4)이, 제1리드(11)와 제2리드(12) 사이의 리드분리영역이 연장된 일 방향(x축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대략적인 사각형 형상의 서로 대향하는 두 꼭지점 부근이 제1리드(11) 및/또는 제2리드(12)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몰딩재(30) 개구(32) 사이즈가 작은 상황 하에서도 제1리드(11)의 상면과 제2리드(12)의 상면이 모두 몰딩재(30) 개구(32) 내에서 노출되는 것을 담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것과 같이 네 변들(32a1, 32a2, 32a3, 32a4) 중 제1리드(11) 상에서 상호 수렴하는 두 변들(32a1, 32a2)의 수렴 지점은 리드분리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y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곡선(32a12)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네 변들(32a1, 32a2, 32a3, 32a4) 중 제2리드(12) 상에서 상호 수렴하는 두 변들(32a3, 32a4)의 수렴 지점은 리드분리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y 방향)으로 돌출된 제2곡선(32a34)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리드(11) 상에서 리드분리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y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곡선(32a12)과 제2리드(12) 상에서 리드분리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y 방향)으로 돌출된 제2곡선(32a34)은, 제1리드(11)와 제2리드(12)의 노출되는 상면의 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광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가 제1리드(11)와 제2리드(12)에 컨택될 수 있는 영역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에에 따른 발광장치와 상이한 점은, 렌즈부(50)가 하측면(56)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8)를 가지며, 해당 돌출부(58)는 발광장치가 안착된 인쇄회로기판(112)과 컨택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돌출부(58)는 렌즈부(50)의 외측을 따라 몰딩재(30) 주위를 (원형으로) 일주(一周)하는 형상을 취할 수도 있고, 기둥과 같은 형상을 취해 복수개가 렌즈부(50)의 하측면(56)에서 돌출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렌즈부(50)의 돌출부(58)는 렌즈부(50)의 기계적 안정성을 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 등으로 렌즈부(50)의 돌출부(58)가 인쇄회로기판(11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렌즈부(50)를 포함하는 발광장치의 인쇄회로기판(112)과의 결합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렌즈부(50)의 돌출부(58)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렌즈부(50)의 외측면(54)의 연장면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58)가 렌즈부(50)의 하측면(56)에서 돌출되기만 하다면 족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발광장치는 돌출지지부(40) 외에 돌출접촉부(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돌출접촉부(40`)는 몰딩재(30)의 상면에 위치하되, 몰딩재(30)의 개구(32)를 중심으로 돌출지지부(40)보다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접촉부(40`)는 렌즈부(50)의 하측면(56)과 컨택하여, 렌즈부(50)의 기계적 안정성을 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 등으로 돌출접촉부(40`)와 렌즈부(50)의 하측면(56)이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몰딩재(30)에 대한 렌즈부(50)의 결합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돌출접촉부(40`)가 몰딩재(30)와 상이한 별도의 구조물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돌출접촉부(40`)는 몰딩재(30)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접촉부(40`)는 몰딩재(30)의 개구(32)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일주(一周)하는 형상을 취할 수도 있고,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접촉부(40`)가 존재하지 않고 렌즈부(50)의 하측면(56)에 돌출부가 존재하며, 그 돌출부가 도 6의 돌출접촉부(40`)가 존재하는 부분에 위치하여 그 돌출부의 하면이 몰딩재(3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발광장치는 도시된 것과 같이 몰딩재(30)의 상면에 위치하되 몰딩재(30)의 구석에 위치하는 돌출접촉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접촉부(40`)는 렌즈부(50)의 하측면(56)과 컨택하여, 렌즈부(50)의 기계적 안정성을 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접착제 등으로 돌출접촉부(40`)와 렌즈부(50)의 하측면(56)이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몰딩재(30)에 대한 렌즈부(50)의 결합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특히, 돌출접촉부(40`)가 몰딩재(30)의 구석에 위치하기에, 몰딩재(30)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렌즈부(5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돌출접촉부(40`)가 몰딩재(30)와 상이한 별도의 구조물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돌출접촉부(40`)는 몰딩재(30)의 일부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발광장치와 상이한 점은, 돌출지지부(40)와 컨택하는 렌즈부(50) 상의 지점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부(50)의 내측면(52)과 하측면(54)의 경계가 돌출지지부(40)에 컨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50)의 내측면(52)의 하부가 (예컨대 돌출된 부분을 가져) 돌출지지부(40)에 컨택할 수도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렌즈부(50)의 하측면(56)이 (예컨대 돌출부분을 가져) 돌출지지부(40)에 컨택할 수도 있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부(50)의 내측면(52)의 하부가 (예컨대 돌출된 부분을 가져) 돌출지지부(40)의 슬라이딩면(42)에 컨택하고, 아울러 도시된 것과 달리 렌즈부(50)의 하측면(56)이 돌출지지부(40)의 면접촉지지면(44)에 컨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는 도 1 내지 도 4의 발광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변형한 것이고, 따라서 두 실시예에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돌출지지부(40)는 몰딩재(30)의 개구(32)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된다. 돌출지지부(40)는 몰딩재(30)의 개구(32)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돌출지지부(40)와 돌출지지부(40) 사이에 소통로(40a)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지지부(40)는 휘도가 과도하게 감소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돌출지지부(40)의 개구(32) 방향 내측면을 연장하는 원주를 기준으로 돌출지지부(40)가 차지하는 내측면의 총합이 전체 원주의 25% 이내가 되도록 그 폭과 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돌출지지부(40)는 4개가 90o 각도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의 변형된 예에서, 돌출지지부(40)는 5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일부분 상의 반사시트(115)와, 반사시트(115) 상의 도광판(120)과, 프레임(110)의 다른 부분 상에 배치되되 도광판(120)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된,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및/또는 그 변형예에 따른 발광장치(100)를 구비한다. 발광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1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렌즈부가 발광소자에 대해 정확한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담보하여 발광장치(100) 불량률을 낮추고 제조수율을 높이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 유닛 자체의 제조수율 향상 및 제조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발광장치(100)가 도광판(120)의 측면 상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광판이 반사시트 상부에 배치되고 발광장치가 도광판 하부에 위치하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리드프레임 11: 제1리드
12: 제2리드 30: 몰딩재
32: 개구 40: 돌출지지부
42: 슬라이딩면 44: 면접촉지지면
50: 렌즈부 52: 내측면
54: 외측면 56: 하측면

Claims (10)

  1. 내측에 배치된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방출될 개구를 갖는, 몰딩재;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된, 돌출지지부; 및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내면을 정의하는 내측면과, 입사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외면을 정의하는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을 연결하는 하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면과 상기 하측면의 경계가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거나 상기 내측면의 하부가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거나 상기 하측면이 상기 돌출지지부에 컨택하는, 렌즈부;
    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몰딩재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슬라이딩면을 갖는, 발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단차부를 갖는, 발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렌즈부의 상기 하측면과 면접촉하는 면접촉지지면을 갖는, 발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렌즈부의 상기 내측면에 의해 정의된 오목한 빈 공간이 상기 렌즈부 외부와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발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3개의 조각으로 나뉘어 일정 각도로 이격 배치된, 발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와 상기 몰딩재는 일체(一體)인, 발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이격된 제1리드 및 제2리드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가 안착되는 리드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몰딩재는 상기 제1리드의 상면의 일부와 상기 제2리드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리드프레임에 결합되며고,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의 저부는, 상기 제1리드와 상기 제2리드 사이의 리드분리영역이 연장된 일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네 변들을 포함하는 형상이며, 상기 몰딩재의 상기 개구의 상부는 원형 형상인, 발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 변들 중 상기 제1리드 상에서 상호 수렴하는 두 변들의 수렴 지점은 상기 리드분리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곡선에 연결되고, 상기 네 변들 중 상기 제2리드 상에서 상호 수렴하는 두 변들의 수렴 지점은 상기 리드분리영역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곡선에 연결되는, 발광장치.
  10. 반사시트;
    상기 반사시트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반사시트 상부에 배치된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장치;
    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20142208A 2012-12-07 2012-12-07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41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08A KR101413596B1 (ko) 2012-12-07 2012-12-07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US14/650,119 US9690030B2 (en) 2012-12-07 2013-11-29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len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same
JP2015546375A JP6010705B2 (ja) 2012-12-07 2013-11-29 発光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PCT/KR2013/010966 WO2014088260A1 (ko) 2012-12-07 2013-11-29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08A KR101413596B1 (ko) 2012-12-07 2012-12-07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42A KR20140074042A (ko) 2014-06-17
KR101413596B1 true KR101413596B1 (ko) 2014-07-02

Family

ID=5088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208A KR101413596B1 (ko) 2012-12-07 2012-12-07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90030B2 (ko)
JP (1) JP6010705B2 (ko)
KR (1) KR101413596B1 (ko)
WO (1) WO2014088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979618U (zh) * 2016-06-22 2017-02-22 广东瑞捷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内置脚位的直下式光学透镜
JPWO2019117283A1 (ja) * 2017-12-14 2020-10-22 Scivax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光学系装置
US10873015B2 (en) * 2018-03-01 2020-12-22 Nichi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264A (ja) 2000-06-06 2001-12-21 Sharp Corp 対物レンズ、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対物レンズの組立方法
JP2005136101A (ja) 2003-10-29 2005-05-26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KR20070025861A (ko) * 2005-09-05 2007-03-08 럭스피아 주식회사 발광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직하 발광형 백라이트 장치
WO2012041639A1 (en) 2010-09-30 2012-04-05 Osram Ag High temperature moldable lens, lighting device comprising lens and method making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241A (ja) 1984-03-02 1985-09-19 Sharp Corp 複写機
JPS6294448U (ko) * 1985-11-29 1987-06-16
US6274890B1 (en) * 1997-01-15 2001-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3948650B2 (ja) * 2001-10-09 2007-07-25 アバゴ・テクノロジーズ・イーシービーユー・アイピー(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740560B (zh) * 2003-04-01 2012-11-21 夏普株式会社 发光装置、背侧光照射装置、显示装置
TWI266079B (en) * 2005-01-10 2006-11-11 Shiu-Hua Huang Steering lens and light emitt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060208267A1 (en) * 2005-03-15 2006-09-21 Unity Opto Technology Co., Ltd. &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Side-emitting solid-stat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631992B1 (ko) * 2005-07-19 2006-10-09 삼성전기주식회사 측면 방출형 이중 렌즈 구조 led 패키지
JP5205724B2 (ja) * 2006-08-04 2013-06-0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JP4551948B2 (ja) 2007-06-13 2010-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線状光源装置、面発光装置、面状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76579A (ja) * 2008-01-24 2009-08-06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KR101345566B1 (ko) * 2008-07-28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조명용 led 렌즈와 led 모듈 및 이를 이용한led 양면 조명장치
KR101064090B1 (ko) * 2009-11-17 2011-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EP2782150B1 (en) * 2011-11-17 2018-08-15 Lumen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backlight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1264A (ja) 2000-06-06 2001-12-21 Sharp Corp 対物レンズ、それを備え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対物レンズの組立方法
JP2005136101A (ja) 2003-10-29 2005-05-26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KR20070025861A (ko) * 2005-09-05 2007-03-08 럭스피아 주식회사 발광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직하 발광형 백라이트 장치
WO2012041639A1 (en) 2010-09-30 2012-04-05 Osram Ag High temperature moldable lens, lighting device comprising lens and method making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16700A1 (en) 2015-11-05
JP6010705B2 (ja) 2016-10-19
WO2014088260A1 (ko) 2014-06-12
KR20140074042A (ko) 2014-06-17
US9690030B2 (en) 2017-06-27
JP2016506031A (ja)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2823B2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及びそれを備え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10829170B (zh) 光源装置
CN103262269B (zh) Led封装件
CN109560183B (zh) 多层式电路板及发光二极管封装结构
KR20130022121A (ko) Cob 타입의 발광소자 모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415930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413596B1 (ko)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US11569410B2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ing device
KR10150428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237794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049488B1 (ko) 측면 발광형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백라이트 모듈
CN110943049B (zh) 光学感测器
KR10130318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인쇄회로기판 발광소자 패키지 어셈블리,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CN115547945A (zh) 一种封装结构及封装方法
KR101146097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모듈
KR101207789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13594B1 (ko) 발광소자 패키지,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JP5537385B2 (ja) サイドビュー型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07116B1 (ko) 발광 장치
KR101260855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375225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078033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KR101078032B1 (ko) 측면 발광형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모듈
CN110518027B (zh) 感测器封装结构
KR101049489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