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8099A -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8099A
KR20110048099A KR1020090104767A KR20090104767A KR20110048099A KR 20110048099 A KR20110048099 A KR 20110048099A KR 1020090104767 A KR1020090104767 A KR 1020090104767A KR 20090104767 A KR20090104767 A KR 20090104767A KR 20110048099 A KR20110048099 A KR 20110048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outdoor air
outdo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4936B1 (ko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090104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936B1/ko
Priority to CN2010800530101A priority patent/CN102667355A/zh
Priority to PCT/KR2010/006841 priority patent/WO2011052904A2/ko
Priority to US13/505,428 priority patent/US20120216982A1/en
Priority to EP10826989.5A priority patent/EP2498013A4/en
Publication of KR2011004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6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using low temperature external supply air to assist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24F2110/22Humidity of the outsid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정보로부터 실내와 실외의 엔탈피를 산출하고 그 크기 비교를 통해 열교환 모드와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쾌적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배기실(30)과 제2배기실(40);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 상기 제1배기실(30)에서 제2배기실(4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10)에서 제2급기실(20)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50); 외기냉방시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60);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및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엔탈피를 산출하고 그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기장치, 전열교환기, 온도, 습도, 엔탈피, 외기냉방.

Description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Ventilation apparatus of heat exchanging typ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및 습도 정보로부터 실내와 실외의 엔탈피를 산출하고 그 크기 비교를 통해 열교환 모드와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쾌적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에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실내 냉,난방을 수행하기 위해 냉,난방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냉,난방장치에는 실내의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방식으로 냉,난방을 수행하는 에어컨, 보일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냉,난방장치가 설치된 일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실내는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실내공간은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의 오염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나 먼지 등을 실내에서 제거하기 위해 일정시간마다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게 되는데, 실내온도를 유지하면서 보다 신속하 게 오염된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신선한 실외공기를 실내로 급기하기 위한 환기장치가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는 실외공기흡입구(12)를 통해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0)과, 상기 제1급기실(10)로 유입된 실외공기가 필터(55)를 거치면서 정화된 상태로 전열교환기(50)를 거쳐 유입되어 실외공기배출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제2급기실(20)과, 실내공기흡입구(32)를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제1배기실(30) 및 상기 제1배기실(30)로 유입된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50)를 거쳐 실내공기배출구(4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제2배기실(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급기실(20) 내부에는 실외공기배출구(22) 방향으로 급기되는 실외공기를 강제흡인하는 급기용 송풍기(25)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기실(40) 내부에는 실내공기배출구(42) 방향으로 배기되는 실내공기를 강제흡인하는 배기용 송풍기(4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외공기흡입구(12)와 실외공기배출구(22) 사이에는 외기냉방시 실내공기 보다 저온상태인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60)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관(60)의 유로상에는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62)가 설치되고, 바이패스관(60)은 급기용 송풍기(25)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실내공기흡입구(32)에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31)가 구비되고, 상기 실외공기흡입구(12)에는 실외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온도센서(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는 현열(sensible heat)과 잠열(latent heat)을 교환할 수 있도록 전열교환기(50)를 사용하여 실내에 온도와 습도를 공급하여 준다.
이러한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는 간절기인 봄 또는 여름 보다는 동절기와 하절기에 에너지 절약에 있어서 큰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하절기의 경우 실외의 온도가 실내의 온도 보다 낮은 경우가 있는데, 이때 열교환을 시키면 실내의 공기가 실외의 공기보다 온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재실인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실외의 온도가 실내의 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가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관(60)을 통해서 실내로 직접 도입되도록 외기냉방을 실시하여 실내의 온도를 일정 수준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장마철의 경우에는 실외의 온도가 실내 보다 낮기는 하지만 습도가 실내 보다 훨씬 높은 상태이므로, 외기냉방을 실시할 경우 실내로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어 재실인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종래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는 상기 제1온도센서(3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와 상기 제2온도센서(11)에서 감지된 실외온도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실외온도가 실내온도 보다 낮은 경우에는 열교환 없이 외기냉방을 실시하게 되므로, 장마철과 같이 실외온도는 낮으나 다습할 경우에 외부의 습기가 실내로 직접 유입되어 실내가 다습해져 눅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 뿐만 아니라 습도 조건까지 함께 고려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열교환 모드와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기 환경을 보다 쾌적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는, 실내공기흡입구(32)를 통해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30); 상기 제1배기실(3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내공기배출구(42)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40); 실외공기흡입구(12)를 통해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0); 상기 제1급기실(1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외공기배출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20); 상기 제1배기실(30)에서 제2배기실(4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10)에서 제2급기실(20)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50); 상기 실외공기흡입구(12)와 실외공기배출구(22) 사이에 연결되어 외기냉방시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60);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및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엔탈피를 산출하고 그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경로를 열교환 모드와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는 상기 실내공기흡입구(32)의 공기 유로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는 상기 실외공기흡입구(12)의 공기 유로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로부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엔탈피를 산출하는 제2단계; 상기 실내공기의 엔탈피와 실외공기의 엔탈피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는 제3단계;및 상기 엔탈피의 크기 비교 결과, 실내공기의 엔탈피가 실외공기의 엔탈피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실외공기가 상기 파이패스관(60)을 거쳐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외기냉방이 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실내공기의 엔탈피가 실외공기의 엔탈피 보다 작은 경우에는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50)를 거쳐 열교환되어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 사이에는, 겨울철의 결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결로조건인 경우라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겨울철의 결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결로조건이 아닌 경우라 면, 여름철인지를 판단하는 A단계; 실내가 냉방을 필요로 하는지 판단하는 B단계;및 실내의 온도가 실외의 온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C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A단계 내지 C단계에서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외기냉방이 실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A단계 내지 C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열교환을 거쳐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내와 실외의 온도 및 습도 조건을 반영한 엔탈피를 산출하고 그 크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열교환 모드 또는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재실인원에게 보다 쾌적한 환기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제어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00)는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와 동일한 구성요소인 제1배기실(30)과 제2배기실(40), 제1급기실(10)과 제2급기실(20), 전열교환기(50) 및 바이패스관(60)을 포함하고, 실내공기흡입구(32)와 실내공기배출구(42), 실외공기흡입구(12)와 실외공기배출구(22), 배기용 송풍기(45)와 급기용 송풍기(25) 또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에서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만을 기준으로 그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공기 유로를 열교환 모드와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됨에 반하여, 본 발명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00)에서는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 실외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엔탈피를 산출하고, 산출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엔탈피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실외공기의 유입 경로를 열교환 모드와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실내에 가장 인접한 위치인 실내공기흡입구(32)의 공기 유로상에 구비되어 실내공기의 온도(T1)와 습도(H1)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실외에 가장 인접한 위치인 실외공기흡입구(12)의 공기 유로상에 구비되어 실외공기의 온도(T2)와 습도(H2)를 감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가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실내공기흡입구(32)와 실외공기흡입구(12)의 공기 유로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는 실내에 장착되는 룸콘트롤러 또는 덕트의 공기 유로상에 설치될 수 있고,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는 외부에서 실외공기가 도입되는 후드 등에 설치되더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와 습도를 함께 검지하고, 실내와 실외의 온도와 습도 조건이 함께 반영된 실내 엔탈피(h1)와 실외 엔탈피(h2)를 각각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단순 압축성 계의 상태는 두 개의 독립적인 강성적 상태량에 의해 완전하게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일례로서 온도(T)와 습도(H)를 기본 변수로 하여 공지된 습공기 선도표를 이용하여 엔탈피(h)를 계산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00)의 제어 구성은, 실내공기흡입구(32)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T1) 및 습도(H1)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31) 및 제1습도센서(33)와, 실외공기흡입구(12)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온도(T2) 및 습도(H2)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11) 및 제2습도센서(13)와, 실외공기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50)를 거쳐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에 실외공기배출구(2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열교환 모드(81)와 실외공기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관(60)을 통해 직접 실외공기배출구(22)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 록 하는 외기냉방 모드(82)를 포함하는 모드선택부(80)와, 상기 제1온도센서(31) 및 제1습도센서(33)에서 감지한 실내공기의 온도(T1) 및 습도(H2) 정보와 상기 제2온도센서(11) 및 제2습도센서(13)에서 감지한 실외공기의 온도(T2) 및 습도(H2)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의 엔탈피(h1)와 실외공기의 엔탈피(h2)를 산출하는 제어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산출된 실내공기의 엔탈피(h1)와 실외공기의 엔탈피(h2)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실내공기의 엔탈피(h1)가 실외공기의 엔탈피(h2) 보다 클 경우에는 외기냉방 모드(82)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되고, 반대로 실외공기의 엔탈피(h2)가 실내공기의 엔탈피(h1) 보다 클 경우에는 열교환 모드(81)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실내,외의 엔탈피 크기 비교 이외에도 실내와 실외의 상태 조건을 고려하여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제1온도센서(31) 및 제1습도센서(33)와, 제2온도센서(11) 및 제2습도센서(13)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T1) 및 습도(H1)와, 실외의 온도(T2) 및 습도(H2)를 감지한다(S 1, 제1단계).
그리고 공지된 습공기 선도표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T1) 및 습도(H1) 정보로부터 실내의 엔탈피(h1)를 산출하고, 실외의 온도(T2) 및 습도(H2) 정보로부터 실외의 엔탈피(h2)를 산출한다(S 2, 제2단계).
다음으로 겨울철 결로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S 3),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공기의 온도(T2)가 영하 5℃ 미만인 경우 결로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고, 결로조건을 만족하는 상태에서는 실외공기배출구(22)를 차단함과 동시에 실내공기배출구(42)를 개방하여, 저온의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 4).
여기서 결로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라면 다음 단계로 여름철 인지를 판단하게 되며(S 5, A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공기의 온도(T2)가 20℃를 초과하는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아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만일 외부공기의 온도(T2)가 20℃ 이하 상태일 경우에는 열교환 모드(S 6)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실내가 냉방을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게 되며(S 7, B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공기 온도(T1)가 22℃를 초과하는 경우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아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만일 실내공기 온도(T1)가 22℃ 이하 상태일 경우에는 열교환 모드(S 6)를 진행한다.
다음 단계로 실내공기 온도(T1)가 실외공기 온도(T2)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게 되며(S 8, C단계), 실내공기 온도(T1)가 실외공기 온도(T2) 보다 높은 경우에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아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만일 실내공기 온도(T1)가 실외공기 온도(T2) 보다 낮은 경우라면 열교환 모드(S 6)를 진행한다.
그 다음 실내공기의 엔탈피(h1)가 실외공기의 엔탈피(h2)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게 되며(S 9, 제3단계), 실내공기의 엔탈피(h1)가 실외공기의 엔탈피(h2) 보다 높은 경우에는 외기냉방 모드를 진행하도록 제어하고(S 10), 실내공기의 엔탈피(h1)가 실외공기의 엔탈피(h2) 보다 낮은 경우에는 열교환 모드(S 6)를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전열교환형 환기장치(100)의 작동중에는 상기한 제어단계를 순차적으로 계속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엔탈피를 산출하고 그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유로를 열교환 모드와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 및 습도 조건을 고려한 이상적인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엔탈피 값의 크기 비교 이외에도 겨울철의 결로조건인지의 판단, 여름철인지의 판단, 실내가 냉방을 필요로 하는지의 판단 및 실내온도가 실외온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최적의 환기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제어 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10 : 제1급기실
11 : 제2온도센서 12 : 실외공기흡입구
13 : 제2습도센서 20 : 제2급기실
22 : 실외공기배출구 25 : 급기용 송풍기
30 : 제1배기실 31 : 제1온도센서
32 : 실내공기흡입구 33 : 제1습도센서
40 : 제2배기실 42 : 실내공기배출구
45 : 배기용 송풍기 50 : 전열교환기
55,62 : 필터 60 : 바이패스관
70 : 제어부 80 : 모드선택부
81 : 열교환 모드 82 : 외기냉방 모드

Claims (5)

  1. 실내공기흡입구(32)를 통해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배기실(30);
    상기 제1배기실(30)을 경유한 실내공기를 실내공기배출구(42)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키는 제2배기실(40);
    실외공기흡입구(12)를 통해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제1급기실(10);
    상기 제1급기실(10)을 경유한 실외공기를 실외공기배출구(22)를 통해 실내로 공급하는 제2급기실(20);
    상기 제1배기실(30)에서 제2배기실(4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와 상기 제1급기실(10)에서 제2급기실(20)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50);
    상기 실외공기흡입구(12)와 실외공기배출구(22) 사이에 연결되어 외기냉방시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5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실내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관(60);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및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기준으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엔탈피를 산출하고 그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경로를 열교 환 모드와 외기냉방 모드 중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센서(31)와 제1습도센서(33)는 상기 실내공기흡입구(32)의 공기 유로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2온도센서(11)와 제2습도센서(13)는 상기 실외공기흡입구(12)의 공기 유로상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3.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
    상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 및 습도로부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엔탈피를 산출하는 제2단계;
    상기 실내공기의 엔탈피와 실외공기의 엔탈피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는 제3단계;및
    상기 엔탈피의 크기 비교 결과, 실내공기의 엔탈피가 실외공기의 엔탈피 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실외공기가 상기 파이패스관(60)을 거쳐 실내로 직접 유입되는 외기냉방이 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상기 실내공기의 엔탈피가 실외공기의 엔탈피 보다 작은 경우에는 실외공기가 상기 전열교환기(50)를 거쳐 열교환되어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 사이에는,
    겨울철의 결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결로조건인 경우라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실내공기는 실외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겨울철의 결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결로조건이 아닌 경우라면,
    여름철인지를 판단하는 A단계;
    실내가 냉방을 필요로 하는지 판단하는 B단계;및
    실내의 온도가 실외의 온도 보다 높은지를 판단하는 C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A단계 내지 C단계에서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라면 외기냉방이 실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A단계 내지 C단계 중 어느 하나라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열교환을 거쳐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104767A 2009-11-02 2009-11-02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34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767A KR101034936B1 (ko) 2009-11-02 2009-11-02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0800530101A CN102667355A (zh) 2009-11-02 2010-10-07 总热量交换型通风设备及其控制方法
PCT/KR2010/006841 WO2011052904A2 (ko) 2009-11-02 2010-10-07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3/505,428 US20120216982A1 (en) 2009-11-02 2010-10-07 Total heat exchange-type ventil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0826989.5A EP2498013A4 (en) 2009-11-02 2010-10-07 VENTILATION DEVICE WITH TOTAL HEAT EXCHANGE AND CONTROL PROCEDUR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767A KR101034936B1 (ko) 2009-11-02 2009-11-02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099A true KR20110048099A (ko) 2011-05-11
KR101034936B1 KR101034936B1 (ko) 2011-05-17

Family

ID=4392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767A KR101034936B1 (ko) 2009-11-02 2009-11-02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16982A1 (ko)
EP (1) EP2498013A4 (ko)
KR (1) KR101034936B1 (ko)
CN (1) CN102667355A (ko)
WO (1) WO2011052904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33B1 (ko) * 2014-03-18 2014-08-14 서전엔지니어링(주) 폐열 회수용 열교환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3820A (ko) 2015-01-30 2016-08-09 정용주 전열교환식 환기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170110377A (ko) * 2016-03-23 2017-10-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180059964A (ko) * 2016-11-25 2018-06-0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KR20200029807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0205B2 (en) * 2013-03-13 2019-12-31 Digi International Inc. Thermostat
CN103292423B (zh) * 2013-06-21 2016-02-17 特灵空调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多联机室内机和全热交换器联动的方法
US10330328B2 (en) * 2013-07-22 2019-06-25 Trane International Inc. Temperature control system
FR3011624B1 (fr) * 2013-10-09 2017-12-2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et procede de traitement et de conditionnement d'air
JP6156245B2 (ja) * 2014-04-23 201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及び換気空調システム
JP6577244B2 (ja) * 2015-05-22 2019-09-18 株式会社東芝 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およ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CN106949592B (zh) * 2015-11-11 2020-04-24 威马通风设备无限责任公司 外部风量分配系统
KR101664267B1 (ko) * 2015-12-21 2016-10-11 은성화학(주)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6321893B2 (ja) * 2016-04-07 2018-05-09 株式会社芝浦電子 乾燥機及び絶対湿度差センサ
DE102016117108A1 (de) * 2016-09-12 2018-03-15 Luftmeister GmbH Effiziente Heiz- und/oder Klimaanlage
KR101846243B1 (ko) * 2016-09-22 2018-04-06 주식회사 지티이 외부환경 감응형 절전제설매트
KR101883982B1 (ko) * 2016-12-07 2018-08-0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질 지표 적용 외기 냉방 운전 방법 및 그 방법이 사용되는 공조 장치
CN110462295B (zh) * 2017-04-10 2021-08-24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换气装置、空气调节系统以及控制方法
CN109000332B (zh) * 2017-06-07 2020-07-14 清华大学 一种夜间机械通风降温节能运行控制方法
CN107202386B (zh) * 2017-06-23 2022-06-14 华南理工大学 组合式恒温恒湿控制风柜及无露点控制方法
JP2017207276A (ja) * 2017-08-28 2017-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CN107763742A (zh) * 2017-11-13 2018-03-06 广州市科帮空气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单电机双向流静音型全热交换新风净化机
FR3078562B1 (fr) * 2018-03-01 2020-09-18 France Air Dispositif de traitement d'air pour la ventilation des batiments tertiaires, centrale de traitement d'air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KR101965126B1 (ko) 2018-08-16 2019-04-03 송두삼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가지는 벽부설치 급배기 일체형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1486557B (zh) * 2019-01-29 2024-02-23 Urecsys-城市生态系统-室内空气质量管理有限公司 用于最小化封闭结构中的空气污染的库、系统和方法
CN110081578B (zh) * 2019-04-16 2020-09-04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的带旁通管道的热交换器及控制方法
JP2021042918A (ja) * 2019-09-12 2021-03-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383783B1 (ko) * 2021-11-11 2022-04-11 신우시스템 주식회사 기상정보를 연동한 에너지절감형 공기청정 클린 환기시스템
CN115218365B (zh) * 2022-07-12 2024-01-26 北京环都拓普空调有限公司 一种旁通调节方法及相应的新风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781B2 (ja) * 1979-12-04 1985-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器の制御装置
JPS6380153A (ja) * 1986-09-19 1988-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調制御装置
US7231967B2 (en) * 1994-01-31 2007-06-19 Building Performance Equipment, Inc. Ventilator system and method
KR19990042017A (ko) * 1997-11-25 1999-06-15 권태웅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3744409B2 (ja) * 2001-11-14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ユニット
KR100510745B1 (ko) * 2003-10-29 2005-08-26 주식회사 케이티이엔지 공기조화 실험장치
JP2005265401A (ja) * 2004-02-18 2005-09-2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FR2874421B1 (fr) * 2004-08-17 2006-10-06 Lgl France Sa Procede de regulation de l'alimentation en air neuf d'une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d'air d'une enceinte et installation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JP2006145145A (ja) * 2004-11-22 2006-06-08 Max Co Ltd 換気空調装置、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WO2009011362A1 (ja) * 2007-07-19 2009-01-22 Max Co., Ltd. 除加湿換気システム
KR100912617B1 (ko) * 2007-11-20 2009-08-17 강남필터 주식회사 양방향 급배기가 가능한 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GB2455332A (en) * 2007-12-05 2009-06-10 Oxycom Beheer Bv A combined heat exchange system supplying cooled ai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733B1 (ko) * 2014-03-18 2014-08-14 서전엔지니어링(주) 폐열 회수용 열교환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3820A (ko) 2015-01-30 2016-08-09 정용주 전열교환식 환기장치의 제어시스템
KR20170110377A (ko) * 2016-03-23 2017-10-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WO2017164560A3 (ko) * 2016-03-23 2018-01-2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19512658A (ja) * 2016-03-23 2019-05-16 キュンドン ナビエン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空気調和機とその制御方法
KR20180059964A (ko) * 2016-11-25 2018-06-0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KR20200029807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8013A4 (en) 2013-12-04
WO2011052904A3 (ko) 2011-08-18
WO2011052904A2 (ko) 2011-05-05
KR101034936B1 (ko) 2011-05-17
CN102667355A (zh) 2012-09-12
EP2498013A2 (en) 2012-09-12
US20120216982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936B1 (ko)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300921B2 (ja) 空調換気装置
CA3014479C (en) Integrated heat and energy recovery ventilator system
JP5328951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10852071B2 (en) Method of operating an energy recovery system
KR101301046B1 (ko) 에너지 절약형 특수 공기조화기
JP6295422B2 (ja) 換気装置
JP6253459B2 (ja) 空調用換気装置
JP2013113473A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1564096B1 (ko)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KR101427553B1 (ko) 환기 유니트를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WO201805619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0583004B1 (ko)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JP6458256B2 (ja) 換気装置
KR101423448B1 (ko) 외기도입 냉방용 환기 유니트
KR101562744B1 (ko) 환기 유니트와 연동되는 공조 시스템
JP2014163551A (ja) 熱交換換気装置
US693186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407435B1 (ko) 공기조화기의 외기 바이패스 장치
KR100696716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이용한 멀티시스템
JP6656043B2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装置
KR200447885Y1 (ko) 공조기 배기열 회수 장치
JP2004301375A (ja) 換気システム
KR101004640B1 (ko) 실내환기용 전열교환장치
JPH0718570B2 (ja) 空気浄化換気空調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