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017A -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017A
KR19990042017A KR1019970062716A KR19970062716A KR19990042017A KR 19990042017 A KR19990042017 A KR 19990042017A KR 1019970062716 A KR1019970062716 A KR 1019970062716A KR 19970062716 A KR19970062716 A KR 19970062716A KR 19990042017 A KR19990042017 A KR 1999004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nthalpy
duct
cooling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동락
Original Assignee
권태웅
엘지하니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웅, 엘지하니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태웅
Priority to KR101997006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017A/ko
Publication of KR1999004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017A/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기와 내부 공기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공기조화기와 냉,난방기에서의 사용 에너지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공기의 엔탈피를 이용하여 인간의 안락함을 만족시키면서도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양단에 외기흡입부와 냉,난방공기공급부를 가지며 내부에 가열코일과 냉각코일과 냉,난방공기공급팬과 가습수단을 구비한 공급덕트와, 양단에 리턴공기흡입부와 공기배출부를 가지는 리턴덕트와, 상기 공급덕트와 리턴덕트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외기흡입부에서의 외기 흡입량을 조절하는 외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를 통해 공급덕트를 통한 리턴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리턴덕트와,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한 배출공기(실내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계절이 봄/가을, 겨울, 여름인지를 판단하는 계절판단단계와,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입력하는 온,습도입력단계와, 입력된 입력된 온,습도값에 따라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계산하는 엔탈피계산단계와, 계산된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는 엔탈피비교단계와, 엔탈피 비교값과 계절판단 값에 따라 여름철 제어단계와 겨울철 제어단계 및 봄/가을철 제어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빌딩내의 안락함을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에 전적으로 의존할 때 야기되는 냉방병 등과 같은 폐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계절에 따라 제어 조건을 달리하는 것에 의하여 항상 최적한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빌딩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공기조화설비부분에 대한 자동제어분야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자동화 시스템중 공기조화 시스템에서의 엔탈피 제어 방법은 빌딩 공기조화설비분야에서 에너지 절약 제어 방법의 하나이다. 이러한 엔탈피 제어 방법은 빌딩의 외부 공기 엔탈피와 빌딩내의 공기 엔탈피의 차를 이용하여 빌딩의 공기조화설비를 가동하지 않고 빌딩내의 부하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현재 국내의 자동제어업체에서는 빌딩자동제어설비를 국산화하였으나, 아직깨지 빌딩의 에너지 절약에 대한 제어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빌딩의 에너지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빌딩의 에너지 절약 제어를 위해 자동제어 설비를 도입하여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EMS)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고, 외국의 제어 알고리즘과 제어 수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아 효율적인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빌딩 공기조화시스템 제어 방법은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를 사용하여 빌딩내의 존(Zone)의 온도와 안락함을 맞추고 있다. 빌딩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단순한 정풍량 방식, 가변풍량 방식을 채택하여 빌딩내의 안락함을 맞추기 위해 공기조화기, 냉동기를 가동한다.
도 3은 종래 정풍량식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을 보인 것으로, 일단에 외기흡입댐퍼(OAD)가 설치된 외기흡입부(OAI)가 구비되고 타단에 냉,난방공기공급댐퍼(SAD)가 설치된 냉,난방공기공급부(SAS)가 구비되며 상기 외기흡입부(OAI)에 근접한 위치에 리턴공기연결부(RAC)가 구비되는 공급덕트(D1)와, 일단에 리턴공기흡입댐퍼(RAD)가 설치된 리턴공기흡입부(RAI)가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공급덕트(D1)의 리턴공기흡입부(RAI)에 근접한 위치에 연통연결되는 리턴덕트(D2)와, 상기 공급덕트(D1)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냉,난방용 열교환기(HE)와, 상기 공급덕트(D1)내에 설치되는 공기공급팬(SF)과, 상기 리턴덕트(D2)내에 설치되는 공기리턴팬(RF)과, 상기 공급덕트(D1)의 리턴공기흡입부(RAI)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보조팬(F)을 구비한다.
상기 냉,난방용 열교환기(HE)에는 여름/겨울 절환스위치(SW)와 냉,난방절환밸브(CSV)가 연결된다. 냉,난방용 열교환기(HE)는 매체공급라인(MS)와 매체리턴라인(MR)에 연결된다.
상기 냉,난방공기공급팬(SF)과 공기리턴팬(RF)의 양단사이에는 공기유동스위치(AFA1,AFA2)가 설치되며, 이들 공기유동스위치(AFA1,AFA2)는 각각 공기운용유닛(Air Handling Unit,AHU)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팬(F)의 양단사이에는 차압스위치(ASG)가 설치되며 이 차압스위치(ASG)는 공기운용유닛(AHU)에 연결된다.
상기 냉,난방용 열교환기(HE)와 냉,난방공기공급팬(SF)사이에는 가습노즐(HN)이 설치되며, 이 가습노즐(HN)은 가습원(SS)에 가습밸브(HV)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공급덕트(D1)의 냉,난방공기공급팬(SF)의 하류측에는 덕트용 온도검출기(TDA)와 덕트용 습도검출기(HDA)가 각각 설치되며, 이들은 각각 공기운용유닛(AHU)의 온도제어부(TC)와 습도제어부(HC)에 연결된다.
상기 리턴덕트(D2)의 중간부에는 덕트용 온도검출기(TDA)와 덕트용 습도검출기(HDA), 온도조절기(TDO)와 습도조절기(HDO)가 설치되며, 그 하류측에는 이온화 연감지기(SDA)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겁출기(TDA)와 습도검출기(HDA)는 상기 공급덕트(D1)내에 설치된 덕트용 온도검출기(TDA)와 덕트용 습도검출기(HDA)와 함께 공기운용유닛(AHU)의 온도제어부(TC)와 습도제어부(HC)에 연결된다. 상기 온도조절기(TDO)는 상기 여름/겨울 절환스위치(SW)에 연결된다. 상기 이온화 연감지기(SDA)는 상기 가습밸브(HV)와 함께 가습원(SS)에 연결된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TR1은 변압기, R은 릴레이, NFB는 회로차단기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빌딩 공기조화시스템의 운용에 있어서 난방시에는 보일러, 스팀등을 사용하여 난방을 하며, 냉방시에는 냉방기를 사용하여 냉방을 시작하며, 공기운용유닛(AHU;Air Handling Unit)에서 외기흡입댐퍼(OAD)를 30%만 열어 외부 공기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리턴공기흡입댐퍼(RAD)를 50% 열어 리턴 공기와 혼합하여 난방용 열교환기(HE)로 보내서 가온(加溫)된 공기를 내부의 존에 공급한다. 냉방시에는 냉동기나 빙축열을 사용하면서 공기운용유닛(AHU)에서 외기흡입댐퍼(OAD)를 70% 열고 리턴공기흡입댐퍼(RAD)를 거의 닫은 상태로 하여 냉방용 열교환기(HE)에 공기를 보내 냉각된 공기를 실내의 존에 공급한다.
즉, 종래의 기술은 빌딩내의 에너지 절감보다는 빌딩내의 인간의 안락함을 유지하기 위해 냉·난방장비를 가동하고 제어하는 원리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순수하게 기계적, 전기적 에너지 변환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많은 단점이 있고, 외기는 단순히 환풍(Ventilation)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기후에 따라 공기조화기와 냉·난방 장비를 사용하므로 부하가 많을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와 냉·난방 장비를 최대로 가동시켜야 하므로 에너지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부하가 적을 경우라도 냉·난방 장비를 가동하여 부하를 제거해야 한다. 특히, 여름에 거주가 시작하기 전부터 빌딩내의 공기조화기와 냉방 장비를 가동하여 거주의 안락함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외기를 적절히 사용하여 냉방을 할 수 있는 경우에도 냉방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의 소비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와 내부 공기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공기조화기와 냉, 난방기에서의 사용 에너지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의 엔탈피를 이용하여 인간의 안락함을 만족시키면서도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서,
도 2a는 메인 제어 및 여름철 제어 순서도.
도 2b는 겨울철 제어 순서도.
도 3c는 봄/가을철 제어 순서도.
도 3은 종래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계통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공급덕트 20 : 리턴덕트
30 : 연결덕트 D1 : 외기댐퍼
D2 : 리턴댐퍼 D3 : 배기댐퍼
40 : 분무노즐 41 : 분무펌프
42 : 분무펌프조절기 HC : 가열코일
CC : 냉각코일 F : 냉,난방공기공급팬
50 : 제어부 51 : 엔탈피 판정부
52 : 엔탈피 제어부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단에 외기흡입부와 냉,난방공기공급부를 가지며 내부에 가열코일과 냉각코일과 냉,난방공기공급팬과 가습수단을 구비한 공급덕트와, 양단에 리턴공기흡입부와 공기배출부를 가지는 리턴덕트와, 상기 공급덕트와 리턴덕트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외기흡입부에서의 외기 흡입량을 조절하는 외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를 통해 공급덕트를 통한 리턴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리턴덕트와,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한 배출공기(실내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계절이 봄/가을, 겨울, 여름인지를 판단하는 계절판단단계와,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입력하는 온,습도입력단계와, 입력된 입력된 온,습도값에 따라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계산하는 엔탈피계산단계와, 계산된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는 엔탈피비교단계와, 엔탈피 비교값과 계절판단 값에 따라 여름철 제어단계와 겨울철 제어단계 및 봄/가을철 제어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여름철 제어 단계에서는, 외기 엔탈피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음과 아울러 45KJ/Kg보다 낮으면 외기댐퍼를 100% 열고, 냉,난방공기공급팬를 작동시키고 공기조화기와 냉방장비를 부분 가동하며, 외기 엔탈피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의 비교에서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높거나,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아도 외기 엔탈피가 45KJ/Kg보다 높으면 외기댐퍼를 70% 열고 리턴댐퍼를 30%만 열고 공기조화 및 냉방장치를 전부 가동한다.
상기 겨울철 제어 단계에서는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여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외기 엔탈피보다 높고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60KJ/Kg보다 높으면 배출댐퍼를 70% 닫고, 리턴댐퍼를 100% 열고, 외기댐퍼를 70% 닫고, 공급팬을 가동하며, 난방장비를 부분적으로 작동하며, 외기 엔탈피가 높고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60KJ/Kg이하이면 분무펌프를 작동시키고, 외기댐퍼를 30% 열고 배출댐퍼를 30% 열며 리턴댐퍼를 30% 열고 공급팬을 작동시키고 난방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 봄/가을철 제어 단계에서는 외기 엔탈피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고 외기 엔탈피가 43KJ/Kg ∼ 48KJ/Kg 범위내에 있으면 외기댐퍼(D1)를 100% 열고, 공급팬(F)를 가동시키며,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는 작동시키지 않고,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거나 상기한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외기댐퍼(D1)를 30% 열고, 배출댐퍼(D3)를 30% 열며, 리턴댐퍼(D2)를 30% 열고,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를 부분 작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빌딩자동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계통도로서, 일단에 외기흡입부(11)가 구비되고 타단에 냉,난방공기공급부(12)가 구비되며 중간부에 리턴공기연결부(13)가 구비되는 공급덕트(10)와, 일단에 리턴공기흡입부(21)가 구비되고 타단에 공기배출부(22)가 구비된 리턴덕트(20)와, 상기 공급덕트(10)의 리턴공기연결부(13)와 리턴덕트(20)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0)와, 상기 공급덕트(10)의 냉,난방공기공급부(12)측에 설치되는 냉,난방공기공급팬(F)과, 상기 냉,난방공기공급팬(F)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가열코일(HC)과 냉각코일(CC)과, 상기 가열코일(HC) 및 냉각코일(CC)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가습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덕트(10)내에는 상기 외기흡입부(11)와 냉,난방공기공급부(12)사이를 개폐하는 외기댐퍼(D1)가 설치되고, 상기 리턴공기연결부(13)와 연결덕트(30)사이에는 공급덕트(10)와 리턴덕트(20)사이를 개폐하는 리턴댐퍼(D2)가 설치되며, 상기 리턴덕트(20)내에는 상기 리턴공기흡입부(21)와 공기배출부(22)사이를 개폐하는 배기댐퍼(D3)가 설치된다.
상기 가습수단은 상기 공급덕트(10)의 내부에서 상기 냉각코일(CC) 상류측에 설치되는 분무노즐(Spray Nozzle,40)과, 상기 분무노즐(40)에서 분무할 매체를 펌핑하는 분무펌프(Spray Pump,41) 및, 상기 분무펌프(41)를 제어하는 분무펌프조절기(42)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덕트(10) 내부의 외기흡입부(11)측에는 온도센서(T1)와 습도센서(H1)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리턴덕트(20)내부에는 온도센서(T2)와 습도센서(H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공급덕트(10) 내부의 냉,난방공기공급팬(F) 하류측에는 선택 사양으로서의 습도센서(H3)가 설치된다.
상기 댐퍼(D1,D2,D3)들과, 가열코일(HC)과 냉각코일(CC), 온도센서(T1,T2)와 습도센서(H1,H2,H3) 및 분무펌프조절기(42)들은 제어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엔탈피 판정부(51)와 엔탈피 제어부(52)로 구성되며, 엔탈피 제어부(52)에는 각 댐퍼(D1,D2,D3)들과 분무펌프조절기(4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가 시작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의 계절이 봄/가을 또는 겨울 또는 여름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계절판단에서 판단된 계절이 여름이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온도와 습도, 실내공기(배출공기) 온도와 습도를 상기 온도센서(T1,T2) 및 습도센서(H1,H2)로부터 받아들여 외기와 배기의 엔탈피를 계산한다.
여기서 엔탈피(h)의 계산은 다음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된다.
h=1.006t+W(2501+1.805t) (KJ/Kg)
(여기서, t는 공기의 온도, W는 습도비이다)
이 계산에서 외기 엔탈피와 실내공기의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 엔탈피가 낮으면, 다시 외기 엔탈피가 45KJ/Kg보다 낮은지 높은지를 판단한다.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음과 아울러 45KJ/Kg보다 낮으면 외기댐퍼(D1)를 100% 열고, 냉,난방공기공급팬(F)를 작동시키고 공기조화기와 냉방장비를 부분 가동한다.
만약, 외기 엔탈피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의 비교에서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높거나,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아도 외기 엔탈피가 45KJ/Kg보다 높으면 외기댐퍼(D1)를 70% 열고 리턴댐퍼(D2)를 30%만 열고 공기조화 및 냉방장치를 전부 가동하여 빌딩내의 안락함을 제어한다.
한편, 도 2a의 계절판단에서 판단된 계절이 겨울이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온도와 습도, 배출공기(실내공기) 온도와 습도를 상기 온도센서(T1,T2) 및 습도센서(H1,H2)로부터 받아들여 외기와 배기의 엔탈피를 계산한다.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여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외기 엔탈피보다 높고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60KJ/Kg보다 높으면 배출댐퍼(D3)를 70% 닫고, 리턴댐퍼(D2)를 100% 열고, 외기댐퍼(D1)를 70% 닫고, 공급팬(F)을 가동하며, 난방장비를 부분적으로 작동한다.
만약, 외기 엔탈피가 높고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60KJ/Kg이하이면 분무펌프(41)를 작동시키고, 외기댐퍼(D1)를 30% 열고 배출댐퍼(D3)를 30% 열며 리턴댐퍼(D2)를 30% 열고 공급팬(F)을 작동시키고 난방장치를 작동시킨다.
또한, 도 2a의 계절판단에서 판단된 계절이 봄/가을일 경우에는 외기 온도와 습도, 배출공기(실내공기) 온도와 습도를 상기 온도센서(T1,T2) 및 습도센서(H1,H2)로부터 받아들여 외기와 배기의 엔탈피를 계산한다.
외기 엔탈피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고 외기 엔탈피가 43KJ/Kg ∼ 48KJ/Kg 범위내에 있으면 외기댐퍼(D1)를 100% 열고, 공급팬(F)를 가동시킨다. 이때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는 작동시키지 않는다.
만약,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거나 상기한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외기댐퍼(D1)를 30% 열고, 배출댐퍼(D3)를 30% 열며, 리턴댐퍼(D2)를 30% 열고,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를 부분 작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외기와 리턴공기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만으로서도 빌딩내의 안락함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에 전적으로 의존할 때 야기되는 냉방병 등과 같은 폐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절에 따라 제어 조건을 달리하는 것에 의하여 항상 최적한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양단에 외기흡입부와 냉,난방공기공급부를 가지며 내부에 가열코일과 냉각코일과 냉,난방공기공급팬과 가습수단을 구비한 공급덕트와, 양단에 리턴공기흡입부와 공기배출부를 가지는 리턴덕트와, 상기 공급덕트와 리턴덕트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외기흡입부에서의 외기 흡입량을 조절하는 외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를 통해 공급덕트를 통한 리턴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리턴덕트와,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한 배출공기(실내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기덕트를 구비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으로서, 계절이 봄/가을, 겨울, 여름인지를 판단하는 계절판단단계와,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입력하는 온,습도입력단계와, 입력된 입력된 온,습도값에 따라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계산하는 엔탈피계산단계와, 계산된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는 엔탈피비교단계와, 엔탈피 비교값과 계절판단 값에 따라 여름철 제어단계와 겨울철 제어단계 및 봄/가을철 제어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름철 제어 단계에서는, 외기 엔탈피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음과 아울러 45KJ/Kg보다 낮으면 외기댐퍼를 100% 열고, 냉,난방공기공급팬를 작동시키고 공기조화기와 냉방장비를 부분 가동하며, 외기 엔탈피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의 비교에서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높거나,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아도 외기 엔탈피가 45KJ/Kg보다 높으면 외기댐퍼를 70% 열고 리턴댐퍼를 30%만 열고 공기조화 및 냉방장치를 전부 가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겨울철 제어 단계에서는 외기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여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외기 엔탈피보다 높고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60KJ/Kg보다 높으면 배출댐퍼를 70% 닫고, 리턴댐퍼를 100% 열고, 외기댐퍼를 70% 닫고, 공급팬을 가동하며, 난방장비를 부분적으로 작동하며, 외기 엔탈피가 높고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가 60KJ/Kg이하이면 분무펌프를 작동시키고, 외기댐퍼를 30% 열고 배출댐퍼를 30% 열며 리턴댐퍼를 30% 열고 공급팬을 작동시키고 난방장치를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봄/가을철 제어 단계에서는 외기 엔탈피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를 비교하여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고 외기 엔탈피가 43KJ/Kg ∼ 48KJ/Kg 범위내에 있으면 외기댐퍼(D1)를 100% 열고, 공급팬(F)를 가동시키며,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는 작동시키지 않고, 외기 엔탈피가 배출공기(실내공기) 엔탈피보다 낮거나 상기한 범위내에 있지 않으면 외기댐퍼(D1)를 30% 열고, 배출댐퍼(D3)를 30% 열며, 리턴댐퍼(D2)를 30% 열고, 공기조화기와 냉,난방장비를 부분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9970062716A 1997-11-25 1997-11-25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9990042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716A KR19990042017A (ko) 1997-11-25 1997-11-25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716A KR19990042017A (ko) 1997-11-25 1997-11-25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17A true KR19990042017A (ko) 1999-06-15

Family

ID=6609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716A KR19990042017A (ko) 1997-11-25 1997-11-25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01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227B1 (ko) * 2000-11-25 2003-03-26 유종이 냉방기용 에너지 절약 제어장치
KR100587192B1 (ko) * 2000-01-17 2006-06-08 리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모터댐퍼의 제어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어기판 및 모터댐퍼
KR100642772B1 (ko) * 2004-12-01 2006-11-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중계기지국 냉방시스템
KR100981122B1 (ko) * 2009-03-19 2010-09-10 (주)에스테크이앤씨 실내 공기조화기
WO2011052904A3 (ko) * 2009-11-02 2011-08-1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161B1 (ko) * 2013-10-31 2015-05-20 현대건설 주식회사 외기 냉방 및 절전 운전을 이용한 건물의 공조 제어 방법
KR101652247B1 (ko) 2015-11-06 2016-08-30 (주)가교테크 공기조화기의 외기냉방 운전방법
KR20190115565A (ko)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04521A (ko) * 2018-07-04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방 제어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192B1 (ko) * 2000-01-17 2006-06-08 리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모터댐퍼의 제어장치 및, 그것에 사용하는 제어기판 및 모터댐퍼
KR100377227B1 (ko) * 2000-11-25 2003-03-26 유종이 냉방기용 에너지 절약 제어장치
KR100642772B1 (ko) * 2004-12-01 2006-11-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중계기지국 냉방시스템
KR100981122B1 (ko) * 2009-03-19 2010-09-10 (주)에스테크이앤씨 실내 공기조화기
WO2011052904A3 (ko) * 2009-11-02 2011-08-1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21161B1 (ko) * 2013-10-31 2015-05-20 현대건설 주식회사 외기 냉방 및 절전 운전을 이용한 건물의 공조 제어 방법
KR101652247B1 (ko) 2015-11-06 2016-08-30 (주)가교테크 공기조화기의 외기냉방 운전방법
KR20190115565A (ko)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04521A (ko) * 2018-07-04 2020-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방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320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nt heat extraction
EP1387988B1 (en) Air-conditioning system
US7726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nstant-volume supply fans to variable flow operation
US58028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ent heat extraction with cooling coil freeze protection and complete recovery of heat of rejection in Dx systems
CN104729029A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US7628337B2 (en) Secondary heating system
KR20170042411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CN111795481A (zh) 空气调节系统及用于其的控制方法
KR19990042017A (ko) 빌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14383215B (zh) 换热器、空调器及空调控制方法
JPH06201176A (ja) 空気調和機
KR940008429B1 (ko) 공기조화기
CN111023414B (zh) 一种空调系统及除湿控制方法
CN1243936C (zh) 一种变容量一拖多控制技术
KR100423362B1 (ko) 공기조화기
CN212195000U (zh) 一种智能控温的双层巴士空调系统
CN110793149B (zh) 空调系统及其冷媒量和水流量调节方法
KR950012148B1 (ko) 공기조화장치
JP2006132851A (ja) 外気冷房方法
JP2000111105A (ja) オフィスビル用空調システム
Teichmann et al. Improving control quality and reducing pump energy consumption of AHU
KR20060015975A (ko) 유니터리 에어콘의 다중 분배 장치
CN111189105A (zh) 空调器的除湿控制系统及空调器
US20240159420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CN108592185B (zh) 建筑供冷供热系统的运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