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096B1 -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4096B1 KR101564096B1 KR1020140025545A KR20140025545A KR101564096B1 KR 101564096 B1 KR101564096 B1 KR 101564096B1 KR 1020140025545 A KR1020140025545 A KR 1020140025545A KR 20140025545 A KR20140025545 A KR 20140025545A KR 101564096 B1 KR101564096 B1 KR 1015640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air
- exhaust
- damper
- bypa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내기 흡입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배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배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내기 흡입측 댐퍼와 배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내기 흡입측 댐퍼와 배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제1 및 제2 내기 흡입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제1 및 제2 내기 흡입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제1 및 제2 배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제1 및 제2 배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외기 흡입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외기 흡입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급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급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외기 흡입측 댐퍼와 급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외기 흡입측 댐퍼와 급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제1 및 제2 외기 흡입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제1 및 제2 외기 흡입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제1 및 제2 급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열교환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이 제1 및 제2 급기측 댐퍼의 작동에 의해 바이패스 모드로 작동될 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2: 배기구 13: 외기 흡입구
14: 급기구 15: 열교환기
16: 제1 송풍기 17: 제2 송풍기
20: 바이패스 덕트 25: 바이패스 송풍기
30: 내기 흡입측 댐퍼 40: 배기측 댐퍼
50: 외기 흡입측 댐퍼 60: 급기측 댐퍼
110: 내기 흡입측 덕트 120: 배기측 덕트
130: 외기 흡입측 덕트 140: 급기측 덕트
100, 200: 환기 시스템
Claims (14)
- 실내 공기가 상기 환기 장치 내로 유입되기 위한 내기 흡입구;
유입된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환기 장치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실외로 빠져나가기 위한 배기구;
실외 공기가 환기 장치 내로 유입되기 위한 외기 흡입구; 및
상기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기 위한 급기구;
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상기 내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내기 흡입측 덕트;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배기측 덕트; 및
상기 내기 흡입측 덕트와 상기 배기측 덕트를 상기 환기 장치 외부에서 연결하는 바이패스 덕트;
를 포함하는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내기 흡입측 덕트와 상기 바이패스 덕트를 연결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내기 흡입측 덕트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내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덕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내기 흡입측 덕트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내기 흡입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내기 흡입측 댐퍼; 또는
상기 배기측 덕트와 상기 바이패스 덕트를 연결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측 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덕트와 상기 배기측 덕트 사이를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측 덕트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덕트로 유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배기측 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배기측 댐퍼;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내기 흡입측 댐퍼는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댐퍼로서 상기 내기 흡입측 덕트의 상기 내기 흡입구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 제1 내기 흡입측 댐퍼와,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댐퍼로서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상기 내기 흡입측 덕트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제2 내기 흡입측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측 댐퍼는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댐퍼로서 상기 배기측 덕트의 상기 배기구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 제1 배기측 댐퍼와,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댐퍼로서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상기 배기측 덕트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제2 배기측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덕트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바이패스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실내 공기가 상기 환기 장치 내로 유입되기 위한 내기 흡입구;
유입된 상기 실내 공기가 상기 환기 장치 내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실외로 빠져나가기 위한 배기구;
실외 공기가 환기 장치 내로 유입되기 위한 외기 흡입구; 및
상기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되기 위한 급기구;
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상기 외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외기 흡입측 덕트;
상기 급기구와 연결되는 급기측 덕트; 및
상기 외기 흡입측 덕트와 상기 급기측 덕트를 상기 환기 장치 외부에서 연결하는 바이패스 덕트;
를 포함하는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외기 흡입측 덕트와 상기 바이패스 덕트를 연결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 흡입측 덕트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외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덕트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외기 흡입측 덕트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외기 흡입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외기 흡입측 댐퍼; 또는
상기 급기측 덕트와 상기 바이패스 덕트를 연결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구를 통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급기측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덕트와 상기 급기측 덕트 사이를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또는 상기 급기구를 통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가 상기 급기측 덕트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바이패스 덕트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급기측 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작동하는 급기측 댐퍼;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기 흡입측 댐퍼는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댐퍼로서 상기 외기 흡입측 덕트의 상기 외기 흡입구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 제1 외기 흡입측 댐퍼와,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댐퍼로서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상기 외기 흡입측 덕트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제2 외기 흡입측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측 댐퍼는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댐퍼로서 상기 급기측 덕트의 상기 급기구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 제1 급기측 댐퍼와, 중심에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댐퍼로서 상기 바이패스 덕트의 상기 급기측 덕트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제2 급기측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덕트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바이패스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5545A KR101564096B1 (ko) | 2014-03-04 | 2014-03-04 |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5545A KR101564096B1 (ko) | 2014-03-04 | 2014-03-04 |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8046A KR20150108046A (ko) | 2015-09-25 |
KR101564096B1 true KR101564096B1 (ko) | 2015-11-06 |
Family
ID=5424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5545A Active KR101564096B1 (ko) | 2014-03-04 | 2014-03-04 |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409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1728B1 (ko) | 2017-03-21 | 2021-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884398B1 (ko) * | 2017-11-21 | 2018-08-30 | 주식회사 티아이씨 | 열회수 환기장치 |
JP7037468B2 (ja) * | 2018-10-29 | 2022-03-16 | 株式会社竹中工務店 | 換気システム |
KR102645952B1 (ko) * | 2020-12-17 | 2024-03-12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각 실 집중 환기를 수행하는 환기 장치 및 환기 장치의 제어 방법 |
KR102616137B1 (ko) * | 2021-10-01 | 2023-12-21 | 주식회사 한누리공조 | 대향류 소자를 이용한 창틀형 환기장치 |
KR102592513B1 (ko) * | 2021-11-02 | 2023-10-20 | 한국토지주택공사 | 세대용 통합 환기 시스템 |
KR102584117B1 (ko) * | 2022-06-21 | 2023-10-05 | 이원준 | 음압격리실 형성이 가능한 세대환기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5750B1 (ko) | 2004-05-19 | 2005-11-15 |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 환기장치 |
KR101115314B1 (ko) | 2011-06-30 | 2012-03-05 | 주식회사 에어패스 | 배연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
KR101204314B1 (ko) | 2010-08-16 | 2012-11-23 | 윤성환 | 지중 열을 이용한 실내?외 공기 열 교환장치 |
-
2014
- 2014-03-04 KR KR1020140025545A patent/KR10156409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5750B1 (ko) | 2004-05-19 | 2005-11-15 |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 환기장치 |
KR101204314B1 (ko) | 2010-08-16 | 2012-11-23 | 윤성환 | 지중 열을 이용한 실내?외 공기 열 교환장치 |
KR101115314B1 (ko) | 2011-06-30 | 2012-03-05 | 주식회사 에어패스 | 배연 기능을 구비한 환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8046A (ko) | 2015-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4096B1 (ko) | 바이패스 덕트를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 시스템 | |
KR100665999B1 (ko) |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 |
KR101034936B1 (ko) |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841954B1 (ko) | 다기능 전열교환기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US10605479B2 (en) | Air-conditioning system | |
CN102563824B (zh) | 排气温差对外热交换器均温的空调装置 | |
US10852071B2 (en) | Method of operating an energy recovery system | |
KR101497698B1 (ko) | 공기조화시스템 | |
KR101758644B1 (ko) | 공청형 전열교환기 | |
WO2018056191A1 (ja) | 熱交換形換気装置 | |
KR102319066B1 (ko) | 건물 실내 환기와 냉난방 통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CN111076302A (zh) | 新风空调室内机、新风空调器及其控制方法 | |
KR100962684B1 (ko) | 공조기의 동파방지장치 | |
CN114110872A (zh) | 新风机及其控制方法 | |
KR101422197B1 (ko) | 고정밀 습도제어형 말단재열 공기조화기 | |
JP6675057B2 (ja) | 熱交換形換気装置 | |
CN205783470U (zh) | 组合式空调 | |
KR101407435B1 (ko) | 공기조화기의 외기 바이패스 장치 | |
KR100816925B1 (ko) | 환기 겸용 공기조화기 | |
KR20170069319A (ko) | 차량용 공조시스템 | |
CN214891407U (zh) | 油烟空调一体机 | |
KR101443631B1 (ko) | 덕트형 공기조화기 | |
JP2005337634A (ja) | 空調装置 | |
JP3449344B2 (ja) | 外気処理機能付空調システム | |
KR20200073505A (ko) | 제습환기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9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