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350A -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350A
KR20110047350A KR1020090103941A KR20090103941A KR20110047350A KR 20110047350 A KR20110047350 A KR 20110047350A KR 1020090103941 A KR1020090103941 A KR 1020090103941A KR 20090103941 A KR20090103941 A KR 20090103941A KR 20110047350 A KR20110047350 A KR 20110047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extract
powder
plu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558B1 (ko
Inventor
이옥구
Original Assignee
이옥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구 filed Critical 이옥구
Priority to KR102009010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5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4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05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vegetable or microbial fermentation gum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Coating with edible polymers, e.g. polyvinyalcoh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생초, 곡물, 야채, 버섯, 해조류 등을 함유하여 건강에 유익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은 민들레, 쑥, 미나리, 뽕잎, 솔잎을 포함하는 야생초를 건조하여 분쇄한 야생초 분말과, 마늘, 생강을 포함하는 야채를 건조하여 분쇄한 야채 분말과, 보리, 현미, 서리태,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류를 건조하여 분쇄한 곡물 분말과, 표고, 느타리를 포함하는 버섯을 건조하여 분쇄한 버섯 분말과, 미역, 다시마, 김을 포함하는 해조류를 건조하여 분쇄한 해조류 분말과, 매실을 발효시킨 매실 추출물과, 양파를 착즙한 양파즙을 혼합하여 파우더, 과립, 환, 캅셀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한다.
건강보조식품, 환, 야생초, 곡물, 버섯, 해조, 야채, 매실, 양파, 소리쟁이

Description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health assistance foo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생초, 곡물, 야채, 버섯, 해조류 등을 함유하여 건강에 유익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이 고속화됨에 따라 그에 따른 식생활이 고 칼로리 위주로 인스턴트화되어 비만증, 고혈압을 비롯하여 각종 성인병에 대한 보고가 급증하고 있다. 핵가족화, 개인주의화, 야간활동의 인구증가, 대중소비시대, 소비패턴의 다양화, 편리성 추구경향, 그리고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인 환경의 변화로 식생활 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사 구성에 대한 의식변화와 간편식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증가는 편의성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잘못된 식생활은 영양부족, 영양 과잉 및 잘못된 영양정보에 의한 영양불량을 초래하기 쉽다. 영양부족으로 인한 영양불량은 빈혈 등 여러 질병을 일으키게 되고 영양소의 과잉섭취는 체중 과다 및 비만을 유발하여 오늘날 보건문제로 대두하고 있 을뿐 아니라 동맥경화증, 당뇨병, 고혈압과 같은 만성 퇴행성 질환의 발병을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특히, 비만으로 인한 동맥경화, 고혈압, 심장질환, 당뇨병, 고지혈증 등 성인병발병의 증가 및 이로 인해 생기는 각종 암, 악성종양, 심장병, 신장병 등의 발병과 수명단축 등의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또한, 식생활 습관이 질병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과학적 증거가 속속 드러나면서 식생활을 포함한 생활양식의 변화를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에 도움을 주기 위한 보조식품 및 기능성 식품이 다수 소개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곡물에 편중되어 있어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곡물류에 편중되지 않고 건강에 유용한 다양한 영양소를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도록 야생초, 버섯, 채소, 해조류 등을 함유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은 민들레, 쑥, 미나리, 뽕잎, 솔잎을 포함하는 야생초를 건조하여 분쇄한 야생초 분말과; 마늘, 생강을 포함하는 야채를 건조하여 분쇄한 야채 분말과; 보리, 현미, 서리태,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류를 건조하여 분쇄한 곡물 분말과; 표고, 느타리를 포함하는 버섯을 건조하여 분쇄한 버섯 분말과; 미역, 다시마, 김을 포함하는 해조류를 건조하여 분쇄한 해조류 분말과; 매실을 발효시킨 매실 추출물과; 양파를 착즙한 양파즙;을 혼합하여 파우더, 과립, 환, 캅셀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실추출물은 매실과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 내지 4개월 동안 발효시켜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은 민들레, 쑥, 미나리, 뽕잎, 솔잎을 포함하는 야생초와, 마늘, 생강을 포함하는 야채와, 보리, 현미, 서리태,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류와, 표고, 느타리를 포함하는 버섯과, 미역, 다시마, 김을 포함하는 해조류를 20 내지 25℃에서 10 내지 30일 동안 음건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준비하는 제 1단계와; 매실과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 내지 4개월 동안 발효시켜 매실 추출물을 준비하는 제 2단계와;양파를 착즙하여 양파즙을 준비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매실추출물 50중량부와, 상기 양파즙 50중량부를 혼합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환으로 제형하는 제 5단계와; 상기 환을 건조시켜 포장 용기에 포장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6단계는 건조된 상기 환의 표면에 소리쟁이 추출물을 코팅하여 항균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리쟁이 추출물은 세절된 소리쟁이 잎과 뿌리를 주정과 혼합하여 갈아서 분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야생초, 야채, 해조류에 풍부한 무기질과 천연섬유질에 의해 곡물류에는 부족한 영양소를 제공하여 각종 성인병 예방 및 변비, 비만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기능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소리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환의 표면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코팅막의 항균효과에 의한 부패를 방지하므로 자체보존성 및 장기 보관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건강보조식품은 야생초 분말과, 야채분말과, 곡물분말과, 해조류 분말과, 매실추출물과, 양파즙을 혼합하여 형성된다.
야생초로 민들레, 쑥, 미나리, 뽕잎, 솔잎을 이용한다. 이외에도 야생초로 익모초, 머위잎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야생초는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이용한다.
상기 야생초(野生草)는 우리의 산이나 들에서 저절로 나서 자라는 한해살이 풀로서 구하기가 용이하며 곡물분말이 가지지 못하는 유효성분들을 가짐으로써 영양성분을 보충할 있을 뿐만 아니라 변비예방, 숙취제거, 비만 방지, 당뇨예방 등 인체에 유익한 각종 기능성을 제공한다.
야채로 마늘, 생강을 이용할 수 있다. 야채는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이용한다. 상기 야채 이외에도 무우, 양파, 고구마, 호박, 고추잎, 당근, 시금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야채는 섬유질과 비타민, 무기질 등을 보충해준다.
곡물로 보리, 현미, 서리태, 옥수수를 이용할 수 있다. 곡물로 쥐눈이콩, 메주콩, 팥, 녹두, 결명자, 쌀겨, 수수, 조, 검정깨, 율무, 팥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곡물은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이용한다.
이외에도 곡물은 물에 충분히 불린 후 100 내지 120℃의 온도에서 찐 후 자연 건조시킨 다음 고소한 맛을 더하기 위해 볶음기를 이용하여 곡물의 표면이 약간 팝핑될 때까지 적당히 볶은 후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해조류는 미역, 다시마, 김을 이용한다. 이외에도 톳, 파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조류는 건조한 후 분쇄하여 이용한다. 해조류는 곡물에 부족한 칼슘 및 비타민과 같은 영양소 등을 보충해주고, 특히 변비나 숙변 제거에 효과적이다.
매실추출물은 매실과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 내지 4개월 동안 발효시켜 얻는다. 그리고 양파즙은 양파를 착즙기에 넣어 착즙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야생초 분말, 채소분말, 곡물 분말, 버섯 분말, 해조류 분말은 매실추출물과, 양파즙을 혼합하여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파우더, 과립, 환, 캅셀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만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민들레, 쑥, 미나리, 뽕잎, 솔잎을 포함하는 야생초와, 마늘, 생강을 포함하는 야채와, 보리, 현미, 서리태,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류와, 표고, 느타리를 포함하는 버섯과, 미역, 다시마, 김을 포함하는 해조류를 20 내지 25℃에서 10 내지 30일 동안 햇빛이 차단된 비닐 하우스 내에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준비하는 제 1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섭취시 소화흡수가 용이하고 적절한 기호성이 부여되도록 100내지 200메쉬 입도 크기로 분쇄한다.
그리고 매실과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 내지 4개월 동안 발효시켜 매실 추출물을 준비하는 제 2단계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양파를 착즙하여 양파즙을 준비하는 제 3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분말은 야생초, 채소, 곡물 분말, 버섯, 해조류의 각 재료들을 동일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절하게 혼합비율을 조절될 수 있다.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추출물 50중량부와, 양파즙 50중량부를 혼합하는 제 4단계를 수행하여 혼합물을 얻는다. 혼합물은 제 5단계 공정에서 제환기 등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환(丸)으로 성형한다. 그리고 성형된 환은 20 내지 25℃에서 5 내지 10일 동안 햇빛이 차단된 비닐 하우스 내에서 건조시킨 다음 포장 용기에 넣어 포장하는 제 6단계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이 제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제 6단계에서 건조된 환의 표면에 소리쟁이 추출물을 코팅하여 항균 코팅막을 더 형성한다. 이는 소리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환의 표면에 항균 코팅막을 형성함으로써 소리쟁이의 유효성분에 의한 항균효과를 통해 환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체보존성 및 장기 보관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리쟁이(Rumex crispus)는 마디풀과(Polygon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전국의 들 습지에서 흔히 자라며, 일본, 중국,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에 분포한다(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p 52, 교학사, 2000).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리쟁이는 참소리쟁이(Rumex japonicus)까지 포함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양제근(羊蹄根) 또는 우이대황(牛耳大黃)이라하여 대황(大黃) 대용으로 청혈, 양혈, 화담, 지해, 통변의 효능이 있고, 급성간염, 토혈, 기관지염, 변비, 개선 창독을 치료한다. 잎을 우이대황엽(牛耳大黃葉)이라 하며, 청열, 해독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이창복, 대한식물도감, p 297, 향문사, 서울, 1989; 배기환, 한국의 약용식 물, p 52, 교학사, 서울, 2000). 소리쟁이의 뿌리에는 에모딘(emodin)을 비롯한 안트라퀴노이드(anthraquinoid) 그리고 무시진(musizin)을 비롯한 나프탈렌(naphthalene) 유도체들이 함유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생약학연구회, 현대생약학, p 320, 학창사, 서울, 1995). 또한, 소리쟁이의 잎과 씨의 에테르, 에탄올, 뜨거운 물 추출물이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소거작용과 항미생물작용(antimicrobial activity)가 있음을 보고하였다(Yildirim, A et al, J. Agric Food Chem., 2001, Aug;49(8): 4083-9).
상기와 같은 약리효과를 가지는 소리쟁이로부터 추출물을 얻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소리쟁이를 주정과 혼합하여 갈아서 분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감압농축하여 소리쟁이 추출물을 얻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열을 가하지 않고 소리쟁이로부터 추출물을 얻으므로 항균력을 가지는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소리쟁이 추출물을 얻기 위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세절된 소리쟁이 잎과 뿌리에 주정을 가하여 분쇄기에 갈아 균질화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한다. 이때 주정은 100% 알콜 원액으로 사용하거나 90 내지 50% 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상층액은 통상의 감압 농축과정을 통해 알콜을 제거하여 페이스트 상의 소리쟁이 추출물을 얻는다.
소리쟁이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환의 표면에 코팅하여 항균코팅막을 형성한다. 일 예로, 소리쟁이 추출물을 환의 표면에 분사하여 코팅하거나, 소리쟁이 추출물에 환을 침지시켜 코팅한다. 코팅 후 코팅막을 건조시키는 추가적 이 공정을 더 수행한다. 그리고 1회 코팅 후 코팅막을 건조시킨 다음 다시 코팅막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즉, 코팅막을 2중 또는 3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환의 표면에 항균코팅막을 형성함으로써 유해 미생물의 침투를 방지하여 자체보존성 및 장기 보관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1)
민들레, 쑥, 미나리, 뽕잎, 솔잎의 야생초와, 마늘, 생강 야채와, 보리, 현미, 서리태, 옥수수의 곡물류와, 표고, 느타리의 버섯과, 미역, 다시마, 김의 해조류를 비닐 하우스에서 햇빛을 차단한 후 약 23℃에서 20일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각 재료들을 동일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분말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준비된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매실과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100일 정도 발효시켜 매실 추출물 50중량부, 양파즙 5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혼합된 혼합물은 환으로 성형한 다음 비닐 하우스에서 햇빛을 차단한 후 약 23℃에서 7일 동안 자연건조시켜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2)
상기 실시 예 1에서 건조된 환의 표면에 소리쟁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 코팅막을 이중으로 형성하였다. 소리쟁이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세절한 소리쟁의 잎과 뿌리 100g에 에탄올 90%인 주정 1L를 혼합한 후 믹서 에 곱게 간 다음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6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한 후 감압 농축하여 페이스트 상의 소리쟁이 추출물을 얻었다.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 예1과 실시 예 2에 의해 제조된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기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패널은 20명을 선정하여 시료의 외관, 냄새, 맛, 종합적 기호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해 평가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구분 외관 냄새 종합적기호도
실시예1 8.20 8.29 8.36 8.22
실시예2 8.17 8.20 8.14 8.13
상기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외관, 냄새, 맛, 기호도 전반에 걸쳐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모두 결과가 비슷하였으나 실시 예 1이 실시 예 2보다 다소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누구나 손쉽게 복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항균 테스트>
본 발명에 이용된 소리쟁이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을 30℃에서 약 48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 균주를 식염수에 접종한 후 실험구로 소리쟁이 추출물을, 대조구로 증류수를 가하여 2일간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균주의 증식을 관찰하였다. 균 검사는 선택배지에 도말 후 24시간 동안 35℃에서 배양시킨 후에 각 균주의 개체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주 구분 48시간경과후(cells/㎖) 감소율(%)
S. aureus
대조구 6275±100 -
실험구 1230±80 70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구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주수가 오히려 증가하였다. 하지만 실험구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균주수가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로써 소리쟁이의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은 소리쟁이의 강한 항균효과로 유해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부패를 방지하고 장기 보존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민들레, 쑥, 미나리, 뽕잎, 솔잎을 포함하는 야생초를 건조하여 분쇄한 야생초 분말과;
    마늘, 생강을 포함하는 야채를 건조하여 분쇄한 야채 분말과;
    보리, 현미, 서리태,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류를 건조하여 분쇄한 곡물 분말과;
    표고, 느타리를 포함하는 버섯을 건조하여 분쇄한 버섯 분말과;
    미역, 다시마, 김을 포함하는 해조류를 건조하여 분쇄한 해조류 분말과;
    매실을 발효시킨 매실 추출물과;
    양파를 착즙한 양파즙;을 혼합하여 파우더, 과립, 환, 캅셀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실추출물은 매실과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 내지 4개월 동안 발효시켜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
  3. 민들레, 쑥, 미나리, 뽕잎, 솔잎을 포함하는 야생초와, 마늘, 생강을 포함하는 야채와, 보리, 현미, 서리태,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류와, 표고, 느타리를 포함하는 버섯과, 미역, 다시마, 김을 포함하는 해조류를 20 내지 25℃에서 10 내지 30일 동안 음건한 후 분쇄하여 분말을 준비하는 제 1단계와;
    매실과 설탕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3 내지 4개월 동안 발효시켜 매실 추출물을 준비하는 제 2단계와;
    양파를 착즙하여 양파즙을 준비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매실추출물 50중량부와, 상기 양파즙 50중량부를 혼합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환으로 제형하는 제 5단계와;
    상기 환을 건조시켜 포장 용기에 포장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건조된 상기 환의 표면에 소리쟁이 추출물을 코팅하여 항균 코팅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쟁이 추출물은 세절된 소리쟁이 잎과 뿌리를 주정과 혼합하여 갈아서 분쇄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90103941A 2009-10-30 2009-10-30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6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941A KR101166558B1 (ko) 2009-10-30 2009-10-30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941A KR101166558B1 (ko) 2009-10-30 2009-10-30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350A true KR20110047350A (ko) 2011-05-09
KR101166558B1 KR101166558B1 (ko) 2012-07-17

Family

ID=4423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941A KR101166558B1 (ko) 2009-10-30 2009-10-30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5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434B1 (ko) * 2012-09-28 2013-03-19 김태현 농축산물의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생육 보조제
KR101277200B1 (ko) * 2012-04-09 2013-06-20 철원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농 곡류 효소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52897B1 (ko) * 2015-12-16 2016-08-31 거문도해풍쑥 영농조합법인 해풍 쑥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64968B1 (ko) * 2016-12-30 2018-06-07 충주시 뽕잎을 함유한 그래뉼 타입의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KR20180074298A (ko) * 2016-12-23 2018-07-03 박성심 민들레 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128B1 (ko) * 2014-07-04 2015-06-05 신정희 마늘을 주재료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200B1 (ko) * 2012-04-09 2013-06-20 철원친환경영농조합법인 유기농 곡류 효소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45434B1 (ko) * 2012-09-28 2013-03-19 김태현 농축산물의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생육 보조제
WO2014051266A1 (ko) * 2012-09-28 2014-04-03 Kim Yong Guk 농축산물의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생육 보조제
CN105026340A (zh) * 2012-09-28 2015-11-04 维兹生物有限公司 用于提高农畜产品的生产效率的生长和发育补充剂
US10040729B2 (en) 2012-09-28 2018-08-07 Wizbio Co., Ltd. Growth supplement for efficient production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CN105026340B (zh) * 2012-09-28 2019-06-11 维兹生物有限公司 用于提高农畜产品的生产效率的生长和发育补充剂
KR101652897B1 (ko) * 2015-12-16 2016-08-31 거문도해풍쑥 영농조합법인 해풍 쑥 분말의 제조방법
KR20180074298A (ko) * 2016-12-23 2018-07-03 박성심 민들레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4968B1 (ko) * 2016-12-30 2018-06-07 충주시 뽕잎을 함유한 그래뉼 타입의 건강보조식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558B1 (ko) 201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ena et al. Underutilized vegetable crops and their importance
US20110206721A1 (en) Fermented soy nutritional supplements including mushroom components
CN103315362B (zh) 一种茯苓固态发酵功能饮品及制备方法
CN102987293A (zh) 一种适合女性专用生食果蔬粉及其制备方法
KR101166558B1 (ko)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umar et al. Bamboo shoot as a source of nutraceuticals and bioactive compounds: a review
KR101157644B1 (ko) 개똥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KR20160049732A (ko) 여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식품 소스 및 기능성 발효 음료
KR101729095B1 (ko) 산채류 부각 제조 방법
KR102517751B1 (ko) 은행과 도라지를 함유하는 죽염 김부각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6458B1 (ko) 구아바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CN108272088A (zh) 保健餐包
WO2013133217A1 (ja) 糖取り込み促進剤
KR101353423B1 (ko) 과일 효소의 제조방법
KR20090032730A (ko) 어성초와 삼백초를 함유한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음료
KR20190115288A (ko) 말굽버섯 영양죽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120038A (ko) 청국장의 향미를 개선한 건강보조식품과 이의 제조방법
KR102260472B1 (ko) 고아밀로스 쌀을 이용한 쌀국수의 제조방법
KR102431231B1 (ko) 기능성 비타민 쌀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63062B1 (ko)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KR102557899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파프리카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
KR102262551B1 (ko)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의 제조방법 및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 조성물
KR102492196B1 (ko) 산양삼을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1468620B1 (ko) 쑥 및 산야초 추출물을 첨가한 불고기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불고기 양념 소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