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062B1 -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062B1
KR102363062B1 KR1020210087025A KR20210087025A KR102363062B1 KR 102363062 B1 KR102363062 B1 KR 102363062B1 KR 1020210087025 A KR1020210087025 A KR 1020210087025A KR 20210087025 A KR20210087025 A KR 20210087025A KR 102363062 B1 KR102363062 B1 KR 10236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food composition
lactobacillus
diet food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철
Original Assignee
김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철 filed Critical 김진철
Priority to KR102021008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23Y2220/00
    • A23Y2240/00
    • A23Y2260/00
    • A23Y2280/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A DIET FOOD COMPOSITION COMPRISING PSYLLIUM HUSK-MIXED POWDER}
본 발명은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에 관한 것으로, 포만감 유도 및 장 기능 개선 활성이 우수하다.
산업의 발달 및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식생활은 육류가 주재료인 서구식으로 변화하고 있고, 채소류 및 식이섬유의 섭취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식생활의 붕괴로 인하여 단백질, 지방, 열량의 섭취는 증가되어 국민 체위는 향상되었다.
그러나, 음식의 과다 섭취와 육체적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체력은 오히려 저하되었으며, 이에 따라 몸에 쌓이는 에너지의 양도 증가하게 되어 비만 환자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비만이란 신체에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국내 주요 사인을 10년 전과 비교해보면 허혈성 심장질환, 당뇨병의 증가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최근 식습관의 변화와 신체활동량 부족으로 인해 비만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와 무관하지 않다.
우리나라 비만 인구는 1995년 20세 이상 성인 인구를 대상으로 시행한 국민영양조사 결과에 의할 때 전 인구의 20%에 근접하였고, 최근에는 전체인구의 약 30% 내지 40%가 비만환자인 것으로 보도된 바 있다.
비만은 심장병, 당뇨병, 고혈압, 뇌혈관질환, 골관절염 등의 만성질환들을 유발하며, 비만한 환자가 체중을 줄이면 이들 질병이 크게 호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비만환자는 심리적 위축으로 인해 사회조직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에, 체중 감량은 많은 현대인의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비만증의 발생에 대한 정확한 기작은 현재까지 밝혀진 바가 없으나, 일반적으로 환경 및 식습관 변화에 따른 고지방, 고열량의 식단, 편리함을 추구하는 문명의 발달로 인한 운동부족 및 그 외 내분비 이상이나 병리생리학적 이상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만이 현대 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다이어트 방법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각 산업체에서는 이러한 소비자 동향에 맞추어 각종 다이어트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특히 먹는 즐거움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물성 식품 섭취에 따른 지방질의 섭취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칼로리가 없거나 또는 적으면서 성상, 향미, 조직, 촉감 등의 각종 기능적 특성을 식품에 부여할 수 있는 소재, 지방 대체물 또는 식이섬유 등을 주요 성분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수많은 다이어트 제품들은 포만감을 충분히 주지 못하거나 식사를 제대로 대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포만감을 충분히 주는 식사 대용식이라 하더라도 영양 균형 면에서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체중 감량을 통하여 비만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섭취에 따른 부작용이 없으면서 인체에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다이어트 식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포만감과 함께 체중감소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다이어트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강황 분말 또는 풋사과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노니 추출물 및 콩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이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 균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다시마 분말, 귀리 분말, 및 치커리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산약 분말 또는 보이차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포만감 유도 활성 또는 장 기능 개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식욕 억제 활성 또는 비만 감소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천연 원료를 기반으로 하여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고 건강에 유익하며 식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다이어트 보조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호성이 우수하여 섭취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차전자피 분말과 함께 최적의 포만감 유도 효과 및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천연 소재를 구체화함으로써 최적의 다이어트 효과를 구현하였다.
상기 “다이어트(diet)”는 체중을 줄이거나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제한된 식사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우수한 포만감 유도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천연 성분에 의한 영양소도 충분하므로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을 함께 섭취하였을 때 양자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장 기능 개선 효과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은 저항성 전분을 함유하며, 이를 통한 우수한 다이어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저항성 전분(resistant starch)”은 다른 탄수화물의 전분과 달리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다. 상기 저항성 전분은 당질이지만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분해되지 않으므로 혈당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상기 저항성 전분은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면서 장을 건강하게 하고 비만을 예방하는 등 식이섬유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강황 분말 또는 풋사과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황(Curcuma longa)”은 생강과의 다년생 식물로서 원산지는 남아시아이고, 생강과 마찬가지로 땅속줄기인 근경(根莖)이 식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강황은 말린 후 빻아서 가루(powder)로 가공되거나, 물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 등의 가공을 거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과”는 맛과 향이 우수한 기호도가 높은 대표적인 과일로서, 우리나라는 사과 재배에 적합한 기온을 보이고, 유효 경사지가 많기 때문에 전체 과수 재배 면적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작물이다.
상기 “풋사과”는 일반적으로 '덜 익은 사과' 또는 '미성숙 사과'로 정의되며, 개화 후 70일 이내의 씨방 및 씨앗이 만들어지지 않은 미성숙 사과를 의미한다. 상기 풋사과는 품종 자체가 푸른색을 띠는 쓰가루(아오리), 썸머킹 사과, 사과 품종에 관계없이 열매가 맺히고 난 후 직경 약 5cm 내외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풋사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풋사과는 성숙한 사과에 비해 폴리페놀 성분이 10배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생리 활성을 보이는데, 칼륨과 퀘르세틴이 풍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나타내고, 노화 방지 및 유해 공기로부터 폐를 보호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B와 C가 풍부하여 피부 건강에도 도움이 될 뿐 아니라, 변비 해소와 항암 및 피로 회복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노니 추출물 및 콩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니(Morinda citrifolia)”는 인도에서는 인도뽕나무, 중국에서는 바지티안, 카리브해안에서는 진통제나무,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치즈과일, 타히티섬에서는 노노라고 불리기도 하며, 동의보감에서는 그 기운이 바다까지 뻗친다고 하여 해파극(海巴戟) 또는 파극천(巴戟天)으로 칭하고 있다.
상기 노니의 잎, 줄기, 꽃, 열매, 씨 등은 민간요법에 사용되어 왔으며, 남태평양 지역의 고대 문헌에 의하면 최고의 자연 치료제로 기록되어 있다.
상기 노니에 함유되어 있는 안트라퀴논, 세로토닌 등의 성분은 통증을 줄여주며, 고혈압과 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상기 “콩(bean)”은 서리태, 서목태, 흑태, 황태, 푸르대콩(청태), 강낭콩, 얼룩강낭콩, 울타리콩, 녹두, 적두, 거두, 콩나물콩, 선비콩 및 대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검은콩일 수 있다.
상기 “검은콩(black bean)”은 낟알 껍질의 색이 검은 빛깔을 띠는 콩을 총칭할 수 있다. 상기 검은콩은 예컨대, 서리태, 서목태 및 흑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검은콩의 명칭은 지역이나 분류, 방언의 영향 등에 의해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상기 노니 또는 콩은 멸균된 천연 원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가루(powder)로 가공되거나, 물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 등의 가공을 거쳐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농도로 농출된 추출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쳔연 원료를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콩 및 노니 추출물은 영양소가 충분하여 건강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상호 흡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나머지 복합 분말의 흡수도 촉진시켜 우수한 다이어트 보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이셀라(Weissella)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 균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는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획득하여 다량의 유산을 생성하는 세균(Gram 양성 무포자 간균)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퍼멘툼(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Lactobacillus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레우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부츠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존스니(Lactobacillus johonsonii), 및 락토바실러스 케피르(Lactobacillus kefir)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산균은 종류에 따라 유용성분이나 특성이 상이할 수 있으며, 단일 균주 보다는 2이상의 혼합 균주의 시너지 활성에 의해 장 기능 개선 및 비만 감소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로 이루어진 혼합 균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균주는 천연 원료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장 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비만 감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다시마 분말, 귀리 분말, 및 치커리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시마(Laminaria)”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다시마과의 한 속으로서, 한 대, 아한대의 연안에 분포하는 한해성(寒海性) 식물로서 한국에는 동해안 북부, 원산 이북의 함경남도, 함경북도 일대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다시마속 식물은 태평양 연안에 20여 종이 자라고 있으며, 주요 종으로는 참다시마(Laminaria japonica), 오호츠크다시마(Laminaria ochotensis), 애기다시마(Laminaria religiosa) 등이 있다.
상기 다시마에는 카로틴류, 크산토필류, 엽록소 등의 여러 가지 색소 외에 탄소 동화 작용으로 만들어지는 마니트, 라미나린 등의 탄수화물과 세포벽의 성분인 알긴산이 풍부하며, 요오드, 비타민 B2, 글루탐산 등의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한다.
상기 “귀리(Avena Sativa L.)”는 한해살이 풀로 줄기는 2~4개의 마디가 있고 잎은 줄모양이다. 상기 귀리의 종자에는 농마, 기름, 단백질, 아미노산, 무기물질, 스테린(스티그마스테리, β -시로스테린, 콜레스테린)이 풍부하고 이 밖에도 쿠마린과 비타민 E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상기 귀리는 지방 친화성이 있어, 동맥경화예방, 위장병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wanston Flattsk, Dayc, Flatt PR, et al, 1989 Glycaemic Effect of traditional European plant treatment for Diabetes).
상기 “치커리(chicory)”는 북유럽이 원산지이고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로, 이의 특징들로, 뿌리는 다육질이고 길며, 줄기는 높이가 50∼150cm이고 단단하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있다.
상기 치커리는 생육이 왕성하고 환경에 잘 적응하기 때문에 많이 재배한다. 상기 치커리의 뿌리는 약간 익혀서 버터를 발라먹고, 잎은 샐러드로 먹는데, 뿌리에서 자라나는 어린 잎을 봄에 채취해 이용한다.
식물체는 사료나 목초로 쓰고, 꽃은 중추신경계통의 흥분제 및 심장 활동을 증강시키는 약으로 쓰인다. 유럽에서는 상기 치커리의 뿌리를 이뇨, 강장, 건위 또는 피를 맑게 하는 민간 약으로 이용하고, 특히 독일과 프랑스에서는 굵은 뿌리를 건조시켜 가루로 만들어 커피 대용의 음료로 이용하거나 커피의 색 및 쓴맛을 짙게 하는 첨가제로 사용한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산약 분말 또는 보이차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약(山藥)”은 마(Dioscorea batatas Decaisne) 또는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erg)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담근체)로서 건조한 것이다 상기 산약은 장관 활동 자극, 혈당 강하, 항노화 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보이차”는 중국 윈난성에서 생산하는 대표적인 차로 국내의 차와 달리 대엽종 찻잎으로 제조하는데 찻잎이 흑색이나 흑갈색이며 우려낸 찻물은 갈홍색을 띈다. 상기 보이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맛과 향이 부드럽고 깊어지므로 적절한 환경에서 오래 보관한 보이차는 고급차로 인식된다. 상기 보이차는 녹차와 달리 저장할 때 쪄서 압축한 후 덩어리로 만들어 저장 유통되고 있어 음용을 위해서는 부수어서 사용한다.
상기 보이차는 성질이 온(溫)하고 녹차의 찬 성질에 비해 비교적 순하며 누구나 부담 없이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녹차와 차별화되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감미제, 산미제, 향료 및 항산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설탕, 유당, 포도당, 포도당시럽, 과당, 액상과당, 환원맥아당, 물엿, 덱스트린 등의 당류 또는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티톨 등의 당알콜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미제는 구연산, 사과산, 호박산, 주석산, 젖산, 푸마르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향료는 딸기, 포도, 사과, 바나나, 오렌지, 레몬, 수박, 바닐라, 버터, 스파이스, 민트 및 허브향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산화제는 아스콜빈산, 초산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비타민, 미네랄 및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의 영양 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양 강화제는 원료에 부족한 영양소 또는 가공과정에서 파괴되는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해서 첨가되는 식품첨가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타민, 미네랄 및 아미노산 중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포만감 유도 활성 또는 장 기능 개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위산분비 조절을 통한 포만감 유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과다한 위산 및 소화액의 분비는 허기를 빨리 느끼게 하고 공복감을 견디기 어렵게 만들 수 있으나,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위산 분비를 조절함으로써 공복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컨대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장 기능 개선”은 장내 미생물 분포 변화, 염증 기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한 장의 비정상적 활동 내지 기능이상, 예컨대 변비나 설사 등을 완화시키는 모든 활성을 의미한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장내 미생물의 분포 변화를 정상적으로 회복시킴으로써 장 기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다량의 저항성 전분은 프리바이오틱 활성이 우수하며 소화시 한정된 수의 고유의 세균의 바람직한 성장 또는 활성을 선택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유익한 생리학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은 탄수화물, 탄수화물 단량체, 탄수화물 올리고머 또는 탄수화물 중합체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바이오틱은 소화 불가능한 단당류, 소화 불가능한 올리고당류 또는 소화 불가능한 다당류를 포함하는 소화 불가능한 당류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당류 또는 다당류의 당 단위는 단일 직쇄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1 이상의 측쇄 분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식욕 억제 활성 또는 비만 감소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욕 억제"는 조성물의 섭취가 식이 관련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식욕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모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에너지가 과잉으로 축적되어 지방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동양인 기준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23 내지 25를 과체중, 25 내지 30을 비만, 3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판단한다.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장 기능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적은 열량에도 불구하고 균형 잡힌 영양소를 보유하므로 체중 감량 및 건강 관리에 유익하다.
특히, 상기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다량의 저항성 전분은 소장에서 소화되지 않고 불활성 상태로 대장으로 이동하며 대장의 지방을 분해 및 흡수하여 배변시킴으로써 체중 감량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본 발명의 다이어트 보조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각 원료를 함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식품 조성물을 동일량을 섭취시킨 후 각 활성을 평가하였다.
표 1 및 2와 같이 성분을 조절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 및 원료를 통해 제조하였다.
콩 추출물은 서리태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혼합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으로 이루어진 5종의 혼합 균주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 외에 분말은 시중에서 구득하여 사용하였다.
[함량(중량부)]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차전자피 분말 18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미강 분말 18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강황 분말 - 120 - 60 40 40 30 24 24 22 20 18
풋사과 분말 - - 120 60 40 40 30 24 24 22 20 18
노니 추출물 - - - - 40 - 30 24 24 22 20 18
콩 추출물 - - - - - 40 30 24 24 22 20 18
혼합 유산균 - - - - - - - 24 12 8 8 8
다시마 분말 - - - - - - - - 12 8 8 8
귀리 분말 - - - - - - - - - 8 8 8
치커리 분말 - - - - - - - - - 8 8 8
산약 분말 - - - - - - - - - - 8 8
보이차 분말 - - - - - - - - - - - 8
[함량(중량부)]
구분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차전자피 분말 360 - - - - 120 120 120 120 - 120 120
미강 분말 - 360 - - - - 120 120 120 - 120 120
강황 분말 - - 360 - 180 120 - - 40 36 20 15
풋사과 분말 - - - 360 180 120 - - 40 36 20 15
노니 추출물 - - - - - - 60 40 - 36 20 -
콩 추출물 - - - - - - 60 40 - 36 20 -
혼합 유산균 - - - - - - - 40 40 36 - 15
다시마 분말 - - - - - - - - - 36 8 15
귀리 분말 - - - - - - - - - 36 8 15
치커리 분말 - - - - - - - - - 36 8 15
산약 분말 - - - - - - - - - 36 8 15
보이차 분말 - - - - - - - - - 36 8 15
실험예 1 : 체지방 감소 효과 평가
체지방량 감시 대상인 6주령의 야생형 C57BL/6마우스를 구입하여 3일 동안 사육하여, 환경에 적응시킨 후 사육하였다.
마우스 6마리씩 총 24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오전에 1일 1회 동일량 급여하고, 그 외에 60% 고지방식이를 동일한 조건으로 섭취시켰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급여하기 시작한 후, 20주 동안 매주 몸무게를 측정하고 각 실험군의 평균값을 산출하였다(표 3).
구분 무게 변화량(g, 10주 후) 무게 변화량(g, 20주 후)
대조군(정제수) 4.16 9.56
실시예 1 3.92 8.37
실시예 2 3.85 8.26
실시예 3 3.85 8.25
실시예 4 3.78 8.13
실시예 5 3.75 8.08
실시예 6 3.80 8.16
실시예 7 3.64 7.89
실시예 8 3.52 7.67
실시예 9 3.47 7.58
실시예 10 3.44 7.54
실시예 11 3.40 7.47
실시예 12 3.33 7.35
비교예 1 4.07 8.64
비교예 2 4.04 8.53
비교예 3 4.03 8.71
비교예 4 3.92 8.83
비교예 5 3.95 8.73
비교예 6 3.94 8.52
비교예 7 3.78 8.13
비교예 8 3.72 8.02
비교예 9 3.65 7.91
비교예 10 3.89 8.32
비교예 11 3.53 7.69
비교예 12 3.56 7.74
표 3을 참조하면,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을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12의 시료는 일부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6과 비교하여 체중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특히, 노니 추출물 및 콩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실시예 5 내지 7은 실시예 1 내지 4 대비 체중 증가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혼합 유산균을 함유하는 실시예 8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는 더욱 개선되었다.
또한, 다시마 분말, 귀리 분말, 치커리 분말, 산약 분말, 보이차 분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9 내지 12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는 더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강황 분말 및 풋사과 분말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6 및 7의 시료와 노니 추출물, 콩 추출물, 혼합 유산균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9, 11, 및 12의 시료는 일정 수준 이상의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나, 실시예 대비 효과가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는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은 시너지 활성을 통해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추가 천연 성분(실시예 2 내지 12)과의 시너지 활성을 통해 체중 감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2 : 장내 미생물 분포 변화 분석
8명으로 구성된 24개의 실험군을 구성하고, 4주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섭취하게 하여 장내 미생물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BMI가 25 내지 30에 해당하는 비만을 평가되는 인원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동일한 조건으로 약 600kcal에 해당하는 시료를 1일 3회 섭취하게 하였다.
4주 경과 후 분변 시료로부터 DNA를 분리하여 미생물 균총 분석(microbial community analysis)을 수행하였다.
V1와 V3 초가변 영역을 타겟으로 한 프라이머와 PCR을 이용하여 DNA를 증폭시킨 후, DNA 서열을 분석하여 식이 및 대장염에 따른 장내 균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표 4).
미생물의 분석은 EzTaxon-e 데이터베이스(Kim et al. 2012; http://eztaxon-e.ezbiocloud.net/)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기존에 장내균총 개선 효과가 입증된 프리바이오틱스 소재인 프락토올리고당(FOS)은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구분 장내균 증가율(4주 경과 후)
실시예 1 41.1%
실시예 2 43.9%
실시예 3 44.3%
실시예 4 46.5%
실시예 5 48.2%
실시예 6 45.4%
실시예 7 54.9%
실시예 8 62.6%
실시예 9 65.7%
실시예 10 67.1%
실시예 11 69.6%
실시예 12 71.8%
비교예 1 28.6%
비교예 2 32.5%
비교예 3 26.2%
비교예 4 22.0%
비교예 5 25.5%
비교예 6 32.8%
비교예 7 46.5%
비교예 8 50.3%
비교예 9 54.2%
비교예 10 39.8%
비교예 11 61.9%
비교예 12 60.1%
프락토올리고당(FOS) 68.3%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를 섭취한 실험군의 장내균은 생장이 효과적으로 촉진된 반면, 비교예의 시료는 장내균의 생장이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또한, 분리된 장내 미생물 배양액을 이용하여 베타-글루쿠로니데이즈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베타-글루쿠로니데이즈 활성 측정은 장 건강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이용되는 표준 시험항목이다.
베타-글루쿠로니데이즈 활성이 높을수록 장내균총 내 유해균의 분포 비율이 높음을 의미하며, 베타-글루쿠로니데이즈 활성이 낮을수록 장내균총 내 유해균의 분포 비율이 낮음을 의미한다.
구분 활성 감소율(4주 경과 후)
실시예 1 39.0%
실시예 2 40.8%
실시예 3 41.4%
실시예 4 47.5%
실시예 5 50.0%
실시예 6 48.9%
실시예 7 59.7%
실시예 8 70.9%
실시예 9 75.5%
실시예 10 77.6%
실시예 11 81.1%
실시예 12 85.3%
비교예 1 21.5%
비교예 2 27.1%
비교예 3 17.9%
비교예 4 17.8%
비교예 5 20.9%
비교예 6 27.6%
비교예 7 47.5%
비교예 8 53.1%
비교예 9 58.7%
비교예 10 35.8%
비교예 11 69.9%
비교예 12 67.4%
프락토올리고당(FOS) 79.3%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를 섭취한 실험군에서 분리된 장내 미생물의 베타-글루쿠로니데이즈 활성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비교예의 시료를 섭취한 경우 베타-글루쿠로니데이즈 활성의 감소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불과하였다.
상기 결과는 실시예 시료의 섭취에 의해 장내균총 내 유해균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장 건강 효능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시사한다.
실험예 3 : 포만감 유도 효과 평가
총 24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다이어트용 식품을 15일 동안 1일 1회씩 복용하면서 1일 3식 하도록 하고, 상식하는 밥의 양을 측정하였다.
포만감을 느끼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섭취한 밥의 양을 측정하여 포만감 여부를 평가하였다.
실험을 수행하기 전 상식해오던 밥의 평균적인 양과 대비하여 증감한 식사량의 백분율로서 계산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식사량 변화율(%)
대조군(정제수) 2.4
실시예 1 -17.2
실시예 2 -18.8
실시예 3 -18.4
실시예 4 -20.1
실시예 5 -21.0
실시예 6 -20.6
실시예 7 -24.4
실시예 8 -28.3
실시예 9 -29.9
실시예 10 -30.6
실시예 11 -32.9
실시예 12 -36.4
비교예 1 -11.0
비교예 2 -13.0
비교예 3 -9.8
비교예 4 -7.6
비교예 5 -9.4
비교예 6 -13.2
비교예 7 -20.1
비교예 8 -22.1
비교예 9 -24.0
비교예 10 -16.7
비교예 11 -28.0
비교예 12 -27.1
표 6을 참조하면,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을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12의 시료는 일부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6과 비교하여 포만감 유도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특히, 노니 추출물 및 콩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실시예 5 내지 7은 실시예 1 내지 4 대비 포만감 유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혼합 유산균을 함유하는 실시예 8의 포만감 유도 효과는 더욱 개선되었다.
또한, 다시마 분말, 귀리 분말, 치커리 분말, 산약 분말, 보이차 분말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9 내지 12의 포만감 유도 효과는 더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강황 분말 및 풋사과 분말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6 및 7의 시료와 노니 추출물, 콩 추출물, 혼합 유산균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9, 11, 및 12의 시료는 일정 수준 이상의 포만감 유도 효과를 나타냈으나, 실시예 대비 효과가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는 차전자피 분말 및 미강 분말은 시너지 활성을 통해 포만감 유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강황 분말, 풋사과 분말 등 추가 천연 성분(실시예 2 내지 12)과 함께 작용함으로써 포만감 유도 효과가 더욱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4 : 장 기능 개선 활성 평가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 섭취에 따른 배변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소에 변비증상이 있는 여성(20 내지 40대)을 조사대상자로 선정하고, 총 24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시험기간 중에는 변비 해소를 위한 식품이나 약품을 섭취하지 않도록 하였다.
시험 기간(7일) 동안 실험군은 동일한 조건으로 약 600kcal에 해당하는 시료를 1일 3회 섭취하게 하였으며, 대조군은 평소와 동일한 식습관을 유지시켰다.
시험 기간 동안 매일 배변 성공 여부를 측정하였으며, 배변의 양을 일정 기준에 따라 1 내지 5점을 부여하였다. 또한, 변의 형태는 정상변 3점을 기준으로 묽은 형태부터 단단한 형태까지 순차로 1 내지 5점을 부여하였다.
구분 배변성공율(%) 변의 양 변의 형태
실시예 1 60.1 2.4 2.9
실시예 2 61.4 2.3 2.8
실시예 3 61.8 2.4 2.8
실시예 4 66.5 2.5 2.6
실시예 5 68.4 2.6 2.5
실시예 6 69.3 2.7 2.6
실시예 7 75.8 2.9 2.6
실시예 8 83.3 3.3 2.6
실시예 9 86.8 3.3 2.5
실시예 10 89.3 3.4 3.1
실시예 11 92.1 3.5 2.7
실시예 12 92.7 3.6 2.8
비교예 1 41.7 1.4 4.1
비교예 2 43.6 1.7 4.3
비교예 3 42.0 1.6 4.2
비교예 4 39.3 1.5 4.5
비교예 5 41.2 1.6 3.9
비교예 6 51.4 2.0 3.9
비교예 7 66.5 2.5 2.8
비교예 8 70.7 2.7 2.9
비교예 9 75.0 2.9 2.6
비교예 10 53.1 2.0 3.9
비교예 11 83.5 3.2 3.2
비교예 12 81.6 3.1 2.8
대조군(일반식) 38.2 1.4 4.8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 섭취에 의해 배변 성공률은 현저히 증대되었으며, 배변시간도 감소하여 변비 증상이 높은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상기 결과는 본 발명의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섭취에 의해 변의 수분 함유량 및 식이섬유 함량이 증대되고 변이 유연해져 빠르게 연동운동이 일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은 장 건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배변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섭취에 따른 체중 감량 활성도 매우 우수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차전자피 분말, 미강 분말, 강황 분말, 풋사과 분말, 노니 추출물, 및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및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으로 이루어진 5종의 혼합 균주 분말을 포함하며,
    장내균총 내 유해균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다시마 분말, 귀리 분말, 및 치커리 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산약 분말 또는 보이차 분말을 더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7.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만감 유도 활성 또는 장 기능 개선 활성을 가지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8.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욕 억제 활성 또는 비만 감소 활성을 가지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KR1020210087025A 2021-07-02 2021-07-02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KR10236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25A KR102363062B1 (ko) 2021-07-02 2021-07-02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25A KR102363062B1 (ko) 2021-07-02 2021-07-02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062B1 true KR102363062B1 (ko) 2022-02-15

Family

ID=8032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025A KR102363062B1 (ko) 2021-07-02 2021-07-02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06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105A (ko) * 2003-11-05 2005-05-11 (주)고려인삼식품 다이어트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578B1 (ko) * 2005-12-26 2007-04-18 신웅식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이를 포함하는 곡류 식품및 밀가루 가공식품
JP2008189571A (ja) * 2007-02-02 2008-08-21 Oriza Yuka Kk 糖尿病及び/又は肥満の治療・予防剤
KR20190043415A (ko) * 2017-10-18 2019-04-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137136B1 (ko) * 2019-11-29 2020-08-13 주식회사 어바웃굿즈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049395A (ko) * 2019-10-25 2021-05-06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차전자피 식이섬유,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105A (ko) * 2003-11-05 2005-05-11 (주)고려인삼식품 다이어트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578B1 (ko) * 2005-12-26 2007-04-18 신웅식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이를 포함하는 곡류 식품및 밀가루 가공식품
JP2008189571A (ja) * 2007-02-02 2008-08-21 Oriza Yuka Kk 糖尿病及び/又は肥満の治療・予防剤
KR20190043415A (ko) * 2017-10-18 2019-04-2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10049395A (ko) * 2019-10-25 2021-05-06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차전자피 식이섬유,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102137136B1 (ko) * 2019-11-29 2020-08-13 주식회사 어바웃굿즈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93273B (zh) 一种滇黄精发酵液制备方法
KR101722481B1 (ko) 고구마칩, 브로콜리 과립과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변비개선용 시리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66558B1 (ko)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3975B1 (ko)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591539B1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KR102225182B1 (ko) 동결건조 막걸리 및 그 제조방법
CN109170863A (zh) 一种功能糖酵素及其制备方法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US2016006729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uaeda japonica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diabetes
KR20110080817A (ko) 건강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8054B1 (ko) 홍미를 이용한 기능성 피자 도우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피자 도우
KR102363062B1 (ko) 차전자피 혼합 분말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KR102466759B1 (ko) 멀꿀 함유 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080006164A (ko) 기능성이 강화된 발아곡물죽 재료의 제조방법
KR102165106B1 (ko)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변비 질환 개선용 환제 또는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1388A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1807832B1 (ko)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를 위한 음료 조성물
KR20210066246A (ko) 머루포도를 함유하는 조청의 제조방법
KR20080006161A (ko) 발아유도 곡물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생식의 제조방법
KR102262551B1 (ko)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의 제조방법 및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 조성물
Saibhavani et al. Chapter-7 role of traditional foods for immunity boosting
KR102478971B1 (ko) 호박, 엉겅퀴, 단호박, 양파, 토마토, 돼지감자, 비트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2493688B1 (ko) 닭가슴살을 이용한 진미채의 제조방법 및 닭가슴살을 이용한 진미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