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975B1 -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975B1
KR102513975B1 KR1020210120627A KR20210120627A KR102513975B1 KR 102513975 B1 KR102513975 B1 KR 102513975B1 KR 1020210120627 A KR1020210120627 A KR 1020210120627A KR 20210120627 A KR20210120627 A KR 20210120627A KR 102513975 B1 KR102513975 B1 KR 102513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functional food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7761A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102021012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9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9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13Acid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3Ferment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47Helveti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21Streptococcus, lactococcus
    • A23V2400/215Cremor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21Streptococcus, lactococcus
    • A23V2400/231Lac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21Streptococcus, lactococcus
    • A23V2400/249Therm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51Bifidobacterium
    • A23V2400/531Lactis
    • A23Y2220/03
    • A23Y2220/35
    • A23Y2220/39
    • A23Y222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전자피 분말, 정제포도당, 알로에베라 분말, 곡물효소, 효소처리 스테비아, 유산균 분말, 아티초크 분말, 레몬과즙 분말 및 레몬향료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이섬유와 유산균의 함량이 높아 장건강을 개선하며, 배변활동을 촉진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ING INTESTINAL HEALTH CONTAINING PSYLLIUM HULL}
본 발명은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이섬유와 유산균의 함량이 높아 장건강을 개선하며, 배변활동을 촉진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음식문화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많이 포함하는 채식 위주의 식사였으나, 최근에는 인스턴트 식품 또는 서구의 식생활 습관이 전래되면서 전형적인 서구의 식문화 패턴의 고단백 저식이섬유 식사습관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은 스트레스, 불규칙한 식습관, 인스턴트 식품 섭취, 식품첨가물의 과다 섭취 등의 이유로 장건강이 악화되어 배변 및 소화에 장애를 경험하는 사람의 수가 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활동을 하고 치료를 받기도 하지만 사회생활에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스트레스 원인을 모두 제거하기는 힘들다. 한편 스트레스로 인한 소화 장애 및 배변 장애를 겪는 경우 효과적인 치료약도 없어 건강에 약영향을 주고 일상 생활을 불편하게 만든다. 또한 소화장애 또는 배변장애에 따른 더부룩한 느낌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주고 항상 불안한 심리상태를 유발하여 만성질환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상기에 나열된 이유들로 인해 변비의 발생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는데, 장이 건강하려면 충분한 식이섬유를 섭취하여 만복감을 주고, 대변의 양을 증가시키되 통과시간은 단축시키고, 장점막 베리어(barrier)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변비는 건강을 위협하는 질환으로 변비를 개선하여 장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갖가지 방안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종래에 변배개선용 제품들은 변비개선 효과가 미미하거나, 사용자의 체질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506824호(2005.07.29.) 한국특허등록 제10-1357850호(2014.01.24.)
본 발명의 목적은 식이섬유와 유산균의 함량이 높아 장건강을 개선하며, 배변활동을 촉진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전자피 분말, 정제포도당, 알로에베라 분말, 곡물효소, 효소처리 스테비아, 유산균 분말, 아티초크 분말, 레몬과즙 분말 및 레몬향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차전자피 분말 100 중량부, 정제포도당 10 내지 20 중량부, 알로에베라 분말 0.05 내지 0.2 중량부, 곡물효소 0.05 내지 0.2 중량부, 효소처리 스테비아 0.5 내지 0.7 중량부, 유산균 분말 0.05 내지 0.2 중량부, 아티초크 분말 0.05 내지 0.2 중량부, 및 레몬과즙 분말 1 내지 1.5 중량부 및 레몬향료 3 내지 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곡물효소는 현미, 보리, 대두, 흑미, 수수, 옥수수, 통밀, 율무씨앗, 기장씨앗, 검정콩, 차조, 팥, 서목태, 산약 및 메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곡물 100 중량부에 황국균 0.05 내지 0.3 중량부를 접종하고 배양 및 발효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분말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 락토코커스 락티스, 락토코커스 락티스 LA,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TH,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스텝토코커스 써모필러스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티초크 분말은 아티초크를 건조한 후에 110 내지 130℃의 온도로 가압증숙하고, 증숙된 아티초크를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차전자피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5 내지 20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첨가제는 은행잎 추출물 및 돼지감자 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및 로커스트빈검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젤리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이섬유와 유산균의 함량이 높아 장건강을 개선하며, 배변활동을 촉진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차전자피 분말, 정제포도당, 알로에베라 분말, 곡물효소, 효소처리 스테비아, 유산균 분말, 아티초크 분말, 레몬과즙 분말 및 레몬향료로 이루어지며, 차전자피 분말 100 중량부, 정제포도당 10 내지 20 중량부, 알로에베라 분말 0.05 내지 0.2 중량부, 곡물효소 0.05 내지 0.2 중량부, 효소처리 스테비아 0.5 내지 0.7 중량부, 유산균 분말 0.05 내지 0.2 중량부, 아티초크 분말 0.05 내지 0.2 중량부 및 레몬과즙 분말 1 내지 1.5 중량부 및 레몬향료 3 내지 4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전자피 분말은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주재료가 되는 성분으로, 다년생 초본식물인 질경이 껍질로서 장의 숙변 제거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질경이에 있는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성분의 반수용성 섬유소가 대장 내에서 자체 중량의 40배 이상의 많은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부피가 팽창하여 장벽에 붙은 불순물 및 숙변이 배설되도록 하는 원리에서 기인한 것이며, 장관벽에 작용하여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차전자피는 추출물 형태로 사용해서는 효과를 얻기 힘들며, 상기와 같이 식이섬유 형태를 포함하는 분말 형태로 조성물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차전자피 분말은 식이섬유를 0.3 내지 0.4g/g 함유하는 차전자피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차전자피 분말에 함유된 식이섬유의 함량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에 기재된 배변 및 숙변 제거 효과 등의 효능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차전자피 분말은 차전자피를 건조한 후에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0.01 내지 0.1 밀리미터의 크기로 분쇄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포도당은 10 내지 20 중량부가 함유되며, 농축한 포도당 액을 말리거나 굳히는 과정을 통해 분말형태로 제조한 것으로, 부형물로서의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단맛을 부여하고, 섭취시 청량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제포도당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정제포도당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단맛이 지나치게 증가하기 때문에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알로에베라 분말은 0.05 내지 0.2 중량부가 함유되며, 화장품 및 약제의 원료, 식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독소 중화, 피로 회복 및 피부 중성화, 해열, 변비 및 궤양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비타민 A, C, D, E, B12, 지방산, 아미노산, 셀레늄, 칼슘, 알로인(aloin) 및 알로에신(aloesin) 등과 같은 다양한 영양헝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취식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특히 장의 소화를 증진시키는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곡물효소는 0.05 내지 0.2 중량부가 함유되며, 현미, 보리, 대두, 흑미, 수수, 옥수수, 통밀, 율무씨앗, 기장씨앗, 검정콩, 차조, 팥, 서목태, 산약 및 메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곡물 100 중량부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0.05 내지 0.3 중량부를 접종하고 배양 및 발효하여 제조되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현미, 보리, 대두, 흑미, 수수, 옥수수, 통밀, 율무씨앗, 기장씨앗, 검정콩, 차조, 팥, 서목태, 산약 및 메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곡물 100 중량부에 황국균을 0.2 중량부를 접종하고 30 내지 40℃의 배양온도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발효 및 건조한 후에, 핀크레샤 등을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80 메시(mesh) 이하를 나타내도록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곡물효소는 종균용 베이스인 황국균을 곡물에 접종 및 배양시킴으로써 상기 균주의 우수한 전분분해효소 활성 및 단백 분해효소, 셀룰라아제 활성으로 인해 수득된 곡물 발효 효소 내 단백질을 저분자화하여 소화 흡수율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효소처리 스테비아는 0.5 내지 0.7 중량부가 함유되며,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단맛을 부여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향상시켜 취식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혈당, 지질수치 및 지방산 감소에 효과를 나타내어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이때, 효소처리 스테비아는 스테비아추출물에 α-Glucosyltransferase(α-글루코실 전이효소) 등을 작용하여 생성하는 α-글루코실스테비오시드, α-글루코실리바우디오시드 A를 정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분말은 0.05 내지 0.2 중량부가 함유되며, 장내에서 유산과 초산을 생성하여 딱딱해진 변을 부드럽게 하기 때문에,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유산균 분말은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Lactococcus cremori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락토코커스 락티스 LA(Lactococcus lactis LA),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TH(Streptococcus thermophilus TH),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스텝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유산균 분말의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의 균수가 8,000,000 내지 10,000,000cfu/g일 때 상기의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상기에 나열된 유산균의 종류를 혼합하였을 때, 더욱 우수한 배변활동 효과가 나타나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으로 이루어진 유산균 분말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유산균 분말의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유산균 분말의 함량이 0.2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아티초크(Artichoke, Cynara cardunculus var scolymus) 분말은 0.05 내지 0.2 중량부가 함유되며, 아티초크를 건조한 후에 110 내지 130℃의 온도로 가압증숙하고, 증숙된 아티초크를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제조된다.
아티초크는 국화과 다년초로 꽃봉오리는 식용이 가능하며 육질이 연하고 맛이 담백할 뿐 아니라 영양가도 풍부하며, 단백질, 비타민 A, C, 칼슘, 철, 인, 당류, 이뉼린 등이 함유되어 약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잎이나 뿌리에 함유된 시너링 성분은 담즙분비를 촉진하며, 기능이 저하된 간장이나 쇠약해진 소화기능을 회복시키며, 혈 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지방이 많은 음식의 소화를 돕고,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레몬과즙 분말은 1 내지 1.5 중량부가 함유되며, 상기 레몬향료는 3 내지 4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새콤한 맛과 레몬 특유의 향을 부여하여 단맛 뿐만 아니라, 새콤한 맛과 레몬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소비자의 기호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차전자피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5 내지 2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은행잎 추출물 및 돼지감자 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잎을 열수추출한 후에 추출물을 건조하여 고형분말을 수득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은행잎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추출물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잔존하는 분말을 수득하는 과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행잎은 어혈을 제거하고 피를 잘 돌게 하여 순환을 돕고 통증을 줄여주며, 천증(喘症)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는데, 이런 효능을 이용해 기침과 천증, 심혈관계질환, 고지혈증 등에 활용될 수 있고, 주요 화학성분으로는 flavonol glycoside, terpene lactone, ginkgolide A, ginkgolide B, ginkgolide C, bilobal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돼지감자 분말은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에, 2 내지 10 밀리미터의 두께로 절단하고 절단한 돼지감자를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13%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돼지감자를 65 내지 69℃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볶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데,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분말은 항산화 및 항당뇨 성분과 같은 저해활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더욱 활성화되어 그 기능성 성분이 보존되어 취식자의 체내로 온전히 공급될 수 있고, 돼지감자 고유의 맛과 향이 그대로 보존되어 우수한 향미를 나타낸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기호도가 저하되며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젤리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는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및 로커스트빈검을 혼합하면 젤리로 제형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상기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아스파탐 0.02 내지 0.03 중량부, 수크랄로스 0.001 내지 0.002 중량부, 에스트리톨 0.1 내지 0.3 중량부 및 로커스티빈검 5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곡물효소의 제조
현미, 보리, 대두, 흑미, 수수, 옥수수, 통밀, 율무씨앗, 기장씨앗, 검정콩, 차조, 팥, 서목태, 산약 및 메밀로 이루어진 곡물 100 중량부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0.2 중량부를 접종하고 35℃의 배양온도에서 22시간 동안 발효 및 건조한 후에, 핀크레샤로 분쇄하여 평균 입자크기가 80 메시(mesh) 이하를 나타내는 곡물효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유산균 분말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을 1: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유산균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아티초크 분말의 제조
아티초크를 건조한 후에 120℃의 온도로 30분 동안 가압증숙한 후에 110℃의 온도에서 12시간 추가로 증숙하고, 증숙된 아티초크를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아티초크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차전자피 분말 82.25kg, 정제포도당 13.75kg, 알로에베라 분말 0.1kg,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곡물효소 0.1kg, 효소처리 스테비아 0.5kg,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유산균 분말 0.1kg. 상기 제조예 3을 통해 제조된 아티초크 분말 0.1kg 레몬과즙 분말 1kg 및 레몬향료 3kg을 혼합하여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차전자피 분말 82.25kg, 정제포도당 13.75kg, 효소처리 스테비아 0.5kg, 레몬과즙 분말 1kg 및 레몬향료 3kg을 혼합하여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배변활동 개선 효과를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배변활동 개선효과는 변비가 있는 피시험자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각 25명에게 하루 30g씩 2회에 걸쳐 2주동안 섭취하도록 하고, 2주 후에 변비개선 정도를 아래 표 1에 나타낸 기준으로 조사하여 나타내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21104736525-pat00001
<표 2>
Figure 112021104736525-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우수한 변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이섬유와 유산균의 함량이 높아 장건강을 개선하며, 배변활동을 촉진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Claims (7)

  1. 차전자피 분말 100 중량부, 정제포도당 16.72 중량부, 알로에베라 분말 0.122 중량부, 곡물효소 0.122 중량부, 효소처리 스테비아 0.61 중량부, 유산균 분말 0.122 중량부, 아티초크 분말 0.122 중량부, 레몬과즙 분말 1.122 중량부 및 레몬향료 3.65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효소는 보리, 대두, 흑미, 수수, 옥수수, 통밀, 율무씨앗, 기장씨앗, 검정콩, 차조, 팥, 서목태, 산약 및 메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곡물 100 중량부에 황국균 0.2 중량부를 접종하고 35℃의 온도에서 22시간 동안 배양 및 발효하여 제조되고,
    상기 유산균분말은 비피도박테리엄 터모필리움, 락토코커스 크레모리스, 락토코커스 락티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아티초크 분말은 아티초크를 건조한 후에 120℃의 온도로 30분 동안 가압증숙한 후에 110℃의 온도에서 12시간 추가로 증숙하고, 증숙된 아티초크를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제조되고,
    상기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차전자피 100 중량부 대비 첨가제 5 내지 20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첨가제는 은행잎 추출물 및 돼지감자 분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잎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 내지 90℃의 온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추출물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잔존하는 분말을 수득하는 과정으로 제조되며,
    상기 돼지감자 분말은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에, 2 내지 10 밀리미터의 두께로 절단하고 절단한 돼지감자를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13%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건조시킨 돼지감자를 65 내지 69℃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볶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따른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에리스리톨 및 로커스트빈검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젤리 조성물.
KR1020210120627A 2021-09-09 2021-09-09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ctive KR10251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27A KR102513975B1 (ko) 2021-09-09 2021-09-09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627A KR102513975B1 (ko) 2021-09-09 2021-09-09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761A KR20230037761A (ko) 2023-03-17
KR102513975B1 true KR102513975B1 (ko) 2023-03-27

Family

ID=8579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627A Active KR102513975B1 (ko) 2021-09-09 2021-09-09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729B1 (ko) 2023-07-03 2024-02-06 차은철 변비와 장기능 개선을 위한 다이어트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287B1 (ko) * 2023-05-11 2023-11-10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제트 특정 원료를 포함하는 식사 대용 식이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824B1 (ko) 2002-12-12 2005-08-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장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용 생약조성물
KR101357850B1 (ko) 2012-05-17 2014-02-0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장 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101725635B1 (ko) * 2015-05-22 2017-04-26 박철수 아티초크를 이용한 아티초크 가루차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차전자피 식이섬유 햄프씨드 미쁘장 제품’(2021.04.1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729B1 (ko) 2023-07-03 2024-02-06 차은철 변비와 장기능 개선을 위한 다이어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761A (ko)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9571A (zh) 一种代餐食物及其制备方法
CN108294318A (zh) 一种减肥及控制体重的功能食品
JP3644938B2 (ja) 健康食品
CN105495340A (zh) 一种燕麦冲剂及其制备方法
KR102513975B1 (ko) 차전자피가 함유된 장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N106256258A (zh) 芝麻酱
TWI744028B (zh) 促進丁酸菌生長之益生質組合物及其用途
KR101945207B1 (ko)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장내 환경 개선용 조성물
KR101006639B1 (ko) 현미껍질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8911A (ko) 한약재를 이용한 유산균 곡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KR102000170B1 (ko) 체지방 감소 및 장관면역활성 증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KR102503326B1 (ko) 변비 예방 효과를 가지는 선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13412A (zh) 花生核桃酱
CN106213413A (zh) 芝麻花生酱
KR20240052112A (ko) 기능성 곡물라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5448A (ko) 곡물 혼합물
KR102165106B1 (ko)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변비 질환 개선용 환제 또는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170891A (zh) 一种减肥营养代餐粉
JP3935490B2 (ja) 豆乳ケフィア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17094A (ja) 乳発酵産物及びハーブ類を含有してなる健康食品
JP2009034017A (ja) ダイエット食品
CN112189843A (zh) 一种树莓营养咀嚼片及其制备方法
KR102513544B1 (ko) 변비 예방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식이섬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04504B1 (ko) 붕어빵 믹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붕어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3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8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8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