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774A - 퍼옥시다아제를 이용한 중성하의 소취 조성물 - Google Patents

퍼옥시다아제를 이용한 중성하의 소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774A
KR20110044774A KR1020117005350A KR20117005350A KR20110044774A KR 20110044774 A KR20110044774 A KR 20110044774A KR 1020117005350 A KR1020117005350 A KR 1020117005350A KR 20117005350 A KR20117005350 A KR 20117005350A KR 20110044774 A KR20110044774 A KR 2011004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oxidase
extract
composition
deodorizing
rasp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830B1 (ko
Inventor
다카히토 다카세
아츠시 나리세
사나에 기쿠치
겐지 오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1004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fectionery (AREA)
  • Cosme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식품에 대하여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소취 조성물로서, 중성 조건하에 있어서도 높은 소취 효과를 갖는 소취 조성물 및 음식품을 제공한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및 퍼옥시다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조성물.

Description

퍼옥시다아제를 이용한 중성하의 소취 조성물{DEODORANT COMPOSITION COMPRISING PEROXIDASE AND EFFECTIVE UNDER NEUTRAL CONDITIONS}
본 발명은 중성 조건하에서 퍼옥시다아제와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조성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악취의 소취 및 탈취 방법으로서, 방향성 물질에 의한 마스킹이나, 산화제, 중화제, 고정제 등에 의한 화학적 소취, 혹은 활성탄 등에 의한 흡착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지만, 이들 방법은 모두 사용 목적에 따라 현저한 제약을 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식품 분야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사이클로덱스트린, 클로로필류 및 몇 가지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소취제에 대하여 특허화가 이루어져 있지만, 각각의 특유의 색이나 냄새, 쓴 맛, 떫은 맛 등의 면에서, 식품 등에 첨가했을 경우, 첨가 대상물의 풍미나 사용감에 대한 영향이 지나치게 크고, 또한 그 효과에 대해서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소취 효과가 우수한 소취제로서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높아 오래 전부터 이용되고 있는 생약 및 허브 등의 천연물 추출물이 주목받고, 그들 중에서 강력한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이 발견되어 그 적용이 개발되고 있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은, 티올 화합물인 메틸메르캅탄 및 질소 화합물인 트리메틸아민, 또한 모노술파이드 화합물인 알릴메틸모노술파이드에 대하여 강력한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동일 속 식물인 첨차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소취용 조성물도 소취 소재로서 알려져 있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은, 높은 소취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그 안전성의 관점에서도 과자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음식품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소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추가적인 소취 효과의 강도와 지속성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구강 내 환경하의 중성 조건하에서의 음식품 중의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의 소취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을 종래의 적용량보다 훨씬 많이 함유시킬 필요가 있게 되고, 그 결과, 조성물의 풍미가 손상되는 등의 특성이 저하되거나, 혹은 소취 조성물이 고가의 것이 되고, 그 결과 실용적인 사용의 관점에서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이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그 소취 효과를 유지 혹은 높일 수 있는 여러가지 성분과의 조합을 예의 연구한 결과, 중성 조건하 (pH 6.0 ∼ 8.0) 에서 효소인 퍼옥시다아제와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 (첨차, 블랙베리, 라즈베리) 의 병용에 의해 소취 활성이 현저히 향상됨을 알아내었다.
종래부터, 식물 추출물과 효소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식물 추출물과 폴리페놀옥시다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에 관한 논문으로서 Foo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5(2), 176-180, 1999, 일본 식생활 학회지, 10(3), 15-19, 1999, 타카사고 향료 시보 No.133, p6-14 (1999.12.05), 및 Biosci. Biotech. Biochem., 61(12), 2080-2084, 1997 이 있다. 이들 논문은 야채, 과일, 버섯과 효소 (폴리페놀옥시다아제) 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 및 소취 메커니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어느 논문에도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과 퍼옥시다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식물 추출물과 폴리페놀옥시다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에 관한 논문으로서, 상기 논문 외에 치과 심미 Vol.17, No.1, p90-94 (2004.09) 가 있다. 치과 심미 Vol.17, No.1, p90-94 (2004.09) 는, 로즈마리 추출물과 락카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 향상에 관한 논문으로, 상기 조합은 pH 4.5 ∼ 6.0 의 범위에서 소취력이 증강되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과 퍼옥시다아제의 조합에 의한 소취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버섯 추출물, 고정차(苦丁茶)와 폴리페놀옥시다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에 관한 문헌으로서 J. Agric. Food Chem. 2001, 49(11), 5509-5514 및 J. Agric. Food Chem. 2004, 52(17), 5513-5518 이 있다. J. Agric. Food Chem. 2001, 49(11), 5509-5514 는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버섯 추출물의 메틸메르캅탄 포착능에 관한 논문이며, J. Agric. Food Chem. 2004, 52(17), 5513-5518 은 고정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홍차 추출물, 우롱차 추출물과 과일 유래의 폴리페놀옥시다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에 관한 논문이다. 그러나 어느 문헌도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과 퍼옥시다아제의 조합에 의한 소취 효과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의 소취 효과에 관한 문헌으로서, 일본 특허공보 평05-360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5647호 및 일본 특허 3633634호가 있다. 일본 특허공보 평05-3606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5647호는,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인 첨차, 라즈베리, 블랙베리 추출물의 트리메틸아민, 메틸메르캅탄 및 알릴메틸모노술파이드에 대한 소취에 대하여 개시하고, 일본 특허 3633634호는 첨차 추출물의 메틸메르캅탄,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소취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어느 특허도 중성 조건하에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이 퍼옥시다아제와의 조합에 의해 소취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은 기재하고 있지 않다.
폴리페놀옥시다아제 또는 락카아제 등의 효소의 소취 효과와 관련된 문헌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804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038183호 (일본 특허 제35626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5095호 (일본 특허 제376637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2221호 (일본 특허 제362597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95910호 (일본 특허 제3741914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009784호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8046호는, 가용성 리그닌과 폴리페놀옥시다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9-038183호 (일본 특허 제3562668호) 는 페놀성 화합물과 폴리페놀옥시다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5095호 (일본 특허 제3766375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12221호 (일본 특허 제3625976호) 는, 차, 로즈마리, 해바라기씨, 생 커피콩 등의 각 추출물과 폴리페놀옥시다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095910호 (일본 특허 제3741914호) 는, 페놀성 화합물의 배당체와 락카아제의 병용에 의한 소취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009784호는, 산화 환원 효소 활성을 갖는 식물 파쇄액으로부터 얻어지는 펄프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효과를 갖는 음식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어느 문헌도 중성 조건하에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이 퍼옥시다아제와의 조합에 의해 소취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은 기재하고 있지 않다.
락카아제를 껌, 캔디, 타블렛, 또는 구미 등의 여러가지 과자류에 적용시킨 문헌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8046호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48046호는, 락카아제를 봉입한 캡슐과 로즈마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껌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중성 조건하에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이 퍼옥시다아제와의 조합에 의해 소취 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식물 추출물과 효소의 병용에 의한 소취 효과의 향상과 관련된 문헌은 존재하지만,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의 소취 효과가 효소인 퍼옥시다아제와의 조합에 의해 중성 조건하에서도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개시도 시사도 하는 문헌은 여전히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의 조성물 중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른 조성물의 특성 저하 혹은 고가격화라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중성 조건하에 있어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의 함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소취 활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성 조건하에서의 소취 기능을 겸비하는 츄잉껌, 캔디, 타블렛, 구미 젤리 등의 음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소취 기능을 가진 중성의 오랄 케어 제품, 소취 기능을 가진 중성의 스킨 케어 제품, 헤어 케어 제품, 소취제를 제공할 수 있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의 조성물 중의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른 조성물의 특성 저하 혹은 고가격화라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고, 중성 조건하에 있어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의 함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소취 활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성 조건하에서 소취 효과가 기대되는 소재를 탐색한 결과, 중성 조건하 (pH 6.0 ∼ pH 8.0) 에서 퍼옥시다아제와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 (첨차, 블랙베리, 라즈베리) 의 병용에 의해 소취 활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과 퍼옥시다아제를 함유하는 소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이, 첨차, 블랙베리, 및 라즈베리의 각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에 기재된 소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소취 조성물 섭취 후의 타액 중의 pH 가 6.0 이상 8.0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에 기재된 소취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에 기재된 소취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츄잉껌, 캔디, 타블렛, 또는 구미 젤리가 제공된다.
추가로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1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이며, 상기 퍼옥시다아제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1 ppm 이상 10 ppm 이하인 상기에 기재된 소취 조성물이 제공된다.
추가로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1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이며, 상기 퍼옥시다아제의 첨가량이 소취 조성물 100 g 에 대하여 0.18 U 이상 180 U 이하의 역가(力價)인 상기에 기재된 소취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 은 각 pH 에 있어서의 메틸메르캅탄 소취율과 퍼옥시다아제의 효소 상대 활성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은 장미과 나무딸기속 (Rubus) 식물을 주원료로 한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Rubus) 식물로는, 라즈베리 (Rubus idaeus), 블랙베리 (Rubus fruticosus), 거문(巨文)딸기 (Rubus trifidus), 블랙 라즈베리 (Rubus occidentalis), 첨차 (Rubus suavissimus) 등을 들 수 있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Rubus) 식물은, 과피, 잎, 과육, 과실, 목재, 나무 껍질, 뿌리, 바람직하게는 그 잎을 건조시킨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상기 식물의 추출물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상기 식물을 적당한 분쇄 수단으로 분쇄하고, 2 단계 추출을 포함하는 용매 추출 등의 방법에 의해 추출물을 조제한다. 추출 용매로는, 물 및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그리고 n-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포름, 아세트산에틸,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유기 용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친수성 유기 용매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사람에게 또는 음식품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 것을 고려하면, 추출 용매로는 안전성의 면에서 물과 에탄올의 조합을 사용하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조건으로는, 고온, 실온, 저온 중 어느 온도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50 ∼ 90 ℃ 에서 1 ∼ 5 시간 정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추출물은, 여과하고, 추출 용매를 증류 제거한 후, 감압하에 있어서 농축 또는 동결 건조시켜도 된다. 또한, 이들 추출물을 유기 용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분획 정제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은 향, 정미성(呈味性)이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은 점에서, 예를 들어, 가글제, 치약, 소취 스프레이 등의 소취 조성물, 혹은 츄잉껌, 캔디, 정과(錠菓), 구미 젤리, 초콜릿, 비스켓, 스낵 등의 과자, 아이스크림, 샤벳, 빙과 등의 냉과, 음료, 빵, 핫 케이크, 유제품, 햄, 소세지 등의 축육 제품류, 어묵, 생선묵 등의 어육 제품, 반찬류, 푸딩, 수프 그리고 잼 등의 음식품에 배합하여,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 안에 넣는 제품 이외에도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을 비누, 샴푸, 린스, 크림, 화장수, 애완동물 소취제, 실내 소취제, 실내 세정 필터, 화장실 소취제 등에 배합하면 소취 활성이 우수한 중성의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배합량으로는, 여러가지 제조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소취 조성물에 대하여,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을 0.01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 퍼옥시다아제의 첨가량은 퍼옥시다아제 제제의 역가에 따라 상이한데 0.01 ppm 이상 1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ppm 이상 2 ppm 이하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옥시다아제의 첨가량을 역가로 나타내면 소취 조성물 100 g 에 대하여 퍼옥시다아제 0.18 U 이상 180 U 이하, 바람직하게는 0.18 U 이상 36 U 이하 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그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조제 방법
실시예 1-1
사용 효소
퍼옥시다아제 (토요 방적 주식회사, 역가 180 U/㎎ 이상) 를 인산 완충 용액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효소 활성 측정법
시험관에 2.0 ㎖ 의 5 % (W/V) 피로갈롤 용액, 1.0 ㎖ 의 0.147 MH2O2 수용액, 2.0 ㎖ 의 0.1M 인산 완충액 (pH 6.0), 14.0 ㎖ 의 증류수의 혼합 용액을 조제하고, 20 ℃ 에서 약 5 분간 예비 가온시킨다. 이 반응액에 효소 용액 (0.1M 인산 완충액 (pH 6.0) 으로 효소를 용해) 1.0 ㎖ 를 첨가하고 반응을 개시한다. 20 ℃ 에서 20 초간 반응시킨 후, 2N 의 H2SO4 용액 1.0 ㎖ 를 첨가하고 반응을 정지시킨다. 반응 정지 후의 혼합액으로부터 생성된 Purpurogallin 을 에테르 15 ㎖ 로 추출한다. 이 조작을 5 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합치고, 추가로 에테르를 첨가하여 전체량을 100 ㎖ 로 한다. 이 액에 대하여 420 ㎚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블랭크는 상기 반응액을 20 ℃ 에서 20 초간 방치 후, 2N 의 H2SO4 용액 1.0 ㎖ 를 첨가하여 혼화시키고, 이어서 효소 용액 1.0 ㎖ 를 첨가하여 조제한다. 이 액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에테르 추출을 실시하고 흡광도를 측정한다.
U/㎖ = (샘플의 흡광도 - 블랭크의 흡광도) × 희석 배율/0.117
U/㎎ = U/㎖ × 1/C
0.117 : 1 ㎎% Purpurogallin 에테르 용액의 420 ㎚ 에 있어서의 흡광도
C : 용해시의 효소 농도 (㎎/㎖)
실시예 1-3
사용 식물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로서 첨차 (Rubus suavissimus), 블랙베리 (Rubus fruticosus), 대조 식물로서 로즈마리, 녹차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4
첨차 추출물의 조제법 (2 단계 추출품 (일본 특허출원 2006-223707호) 사용)
첨차잎 건조 분말 30 g 에 전처리제로서 100 % 에탄올 300 ㎖ 를 첨가하고, 환류 냉각기를 부착하여 60 ℃·1 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였다. 여과 분리에 의해 얻어진 추출 잔류물을 계속해서 물 300 ㎖ 를 첨가하고, 환류 냉각기를 부착하여 90 ℃·1 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추출물 6.4 g (수율 21 %) 을 얻었다.
실시예 1-5
블랙베리, 로즈마리, 녹차 추출물의 조제법
블랙베리잎 건조 분말 30 g 에 물 300 ㎖ 를 첨가하고, 환류 냉각기를 부착하여 90 ℃·1 시간 환류하면서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 분리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추출물 5.2 g (수율 17.4 %) 을 얻었다. 동일하게 하여 로즈마리 추출물은 5.2 g (17.2 %), 녹차 추출물은 9.8 g (수율 32.6 %) 을 얻었다.
실시예 1-6
첨차 추출물 및 퍼옥시다아제 함유 타블렛의 제작 :
하기 표 1 의 처방예에 기재된 원료를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타블렛을 얻었다.
실시예 타블렛
(중량%)
포도당 92
슈가에스테르 4
향료 1
첨차 추출물 0.01 ∼ 2.0
퍼옥시다아제 (180 U/㎎) 0.000001 ∼ 0.0002
나머지
실시예 1-7
첨차 추출물 및 퍼옥시다아제 함유 츄잉껌의 제작 :
조제한 첨차 추출물, 퍼옥시다아제를 함유하는 하기 표 2 의 처방예에 기재된 원료를 혼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예 츄잉껌을 얻었다.
또한, 퍼옥시다아제를 함유시키지 않고 조제한 첨차 추출물만을 소취 소재로서 함유시킨 대조예 츄잉껌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얻었다.
대조예 츄잉껌 (중량%) 실시예 츄잉껌 (중량%)
껌 베이스 20 20
자일리톨 45 45
멀티톨 33 33
향료 2 2
100 100
상기 배합에 하기 소재를 첨가
첨차 추출물 0.25 0.25
퍼옥시다아제 (180 U/㎎) - 0.00002
실시예 2
소취 시험법
실시예 2-1
효소에 의한 소취 시험
바이알병에 시료를 정밀하게 칭량하고, 인산 완충 용액 (pH 5.0 ∼ 9.0) 을 1 ㎖ 첨가하여 잘 용해 또는 분산시킨 후, 효소 용액을 100 ㎕ 첨가하고, 추가로 25 ppm 메틸메르캅탄나트륨 용액을 500 ㎕ 첨가하고, 테플론 (등록 상표) 코팅된 고무 마개로 봉하여, 37 ℃ 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바이알 중의 헤드 스페이스 가스 150 ㎕ 를 FPD 검출기가 부착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얻어진 피크 높이로부터 메틸메르캅탄량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2-2
소취 활성 평가
시료를 첨가했을 때의 메틸메르캅탄량 (MS) 과 무첨가시의 메틸메르캅탄량 (MB) 을 구하고, 다음 식에 의해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을 산출하였다.
메틸메르캅탄 소취율 (%) = (MB - MS) / MB × 100
실시예 2-3
제작 타블렛의 소취 시험법 1 :
바이알병에 시료로서 제작 타블렛 2 g 을 정밀하게 칭량하고, 0.2M 인산 완충 용액 (pH 7.5) 을 8 ㎖ 첨가하고 잘 용해시켜 시험액으로 하였다. 시험액 1 ㎖ 에 25 ppm 메틸메르캅탄나트륨 용액을 500 ㎕ 첨가하고, 테플론 (등록 상표) 코팅된 고무 마개로 봉하여, 37 ℃ 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의 바이알 중의 헤드 스페이스 가스 150 ㎕ 를 FPD 검출기가 부착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주입하고, 얻어진 피크 높이로부터 메틸메르캅탄량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2-4
관능 평가법 :
관능 평가법은, 시험 10 분 전에 5 명의 피험자의 구취를 채취한 후, 만두 6개를 2 분 동안 섭취하고, 만두 섭취 직후의 호기(呼氣)를 냄새 봉투에 채취하고, 제작한 실시예 및 대조예의 츄잉껌 섭취 (5 분간 씹음), 혹은 가글 (20 ㎖ 의 물로 2 회 세정) 을 실시하고, 섭취 직후의 호기를 냄새 봉투에 채취하고, 구취의 정도를 3 명의 관능 평가 패널리스트에 의해 평가하였다. 관능 평가 패널리스트는 5 명의 피험자로부터 채취한 냄새 봉투 중의 냄새를, 하기 표 3 에 따라 평가하고, 3 명의 관능 평가 패널리스트의 값을 평균화하여, 수치화하였다.
스코어 판정 기준
5 강렬한 냄새
4 강한 냄새
3 쉽게 감지할 수 있는 냄새
2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있는 약한 냄새
1 거의 감지할 수 없을 정도의 냄새
0 무취
실시예 3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의 소취율 :
중성하에 있어서의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의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비교 시험을, 실시예 2-1 의 시험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pH 6.0 또는 7.0 의 반응계에 포함되는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 추출물은 각각 1㎎, 효소량은 0 ng (표 4 중에서 「퍼옥시다아제 (-)」라고 기재) 또는 100 ng (표 4 중에서 「퍼옥시다아제 (+)」라고 기재) 이고, 37 ℃ 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그 결과, 이하의 표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은 pH 7 의 범위에서 퍼옥시다아제 첨가에 의한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또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은 pH 6 ∼ 7 의 범위에서 퍼옥시다아제 첨가에 의해 현저한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또한,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은 대조예로서 사용한 로즈마리, 녹차보다 pH 6 ∼ 7 의 범위에서 소취 활성이 더욱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pH
추출물
메틸메르캅탄 소취율 (%)
퍼옥시다아제 (+) 퍼옥시다아제 (-)
pH 6.0 첨차 14 8
블랙베리 12 2
로즈마리
(대조예)
10 6
녹차 (대조예) 8 7
pH 7.0 첨차 65 19
블랙베리 42 5
로즈마리
(대조예)
28 10
녹차 (대조예) 25 10
실시예 4
각 pH 에 있어서의 메틸메르캅탄 소취율과 퍼옥시다아제의 효소 상대 활성 :
각 pH 에 있어서의 메틸메르캅탄 소취율과 효소의 상대 활성의 관계를, 실시예 1-2, 실시예 2-1 의 시험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pH 4 ∼ 8 조건에 있어서의 퍼옥시다아제의 효소 활성은 pH 6.5 에 있어서의 효소 활성을 100 으로 했을 때의 상대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시험 조건에서는, pH 5 ∼ 9 의 반응계에 포함되는 첨차 추출물량은 1.0㎎, 효소량은 0 ng 또는 100 ng 이고, 37 ℃ 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pH 5, 6, 6.5, 7, 7.5, 8, 9 에 있어서, 퍼옥시다아제 첨가한 경우의 소취율 (도 1 의 범례에서 「효소 첨가」라고 기재) 과 퍼옥시다아제 무첨가한 경우의 소취율 (도 1 의 범례에서 「미첨가」라고 기재) 을 플롯하고, 추가로 pH 4 ∼ 8 까지의 퍼옥시다아제 단독의 효소 활성 (도 1 의 범례에서 「효소의 상대 활성」이라고 기재) 을 플롯하였다.
그 결과,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도 1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pH 6.0 ∼ pH 8.0 의 중성 조건하에서 퍼옥시다아제 첨가에 의한 소취율의 향상이 인정되었다. 자극에 의한 전체 타액의 pH 는 약 6.8 ∼ 7.5 라는 보고1)가 되어 있다. 본 시험에서는 상기한 타액 pH 의 범위인 pH 6.5 ∼ pH 7.5 에서 퍼옥시다아제 첨가에 의한 현저한 소취율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1) 타액의 과학 JORMA O. Tenovuo 저, p44, 잇세이 출판 주식회사 발행
특히, pH 6.5 에 있어서도 현저한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것은, 메틸메르캅탄 소취에 대하여, 첨차 추출물과 퍼옥시다아제에 의한 상승 효과가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
효소 농도와 메틸메르캅탄 소취율 :
효소 농도와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관계를, 실시예 2-1 의 시험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응계에 포함되는 첨차 추출물량은 1.0 ㎎, 효소량은 0 ∼ 1000 ng 이며, 37 ℃, pH 7.0 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그 결과, 이하의 표 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첨차 추출물의 첨가량을 1㎎ 으로 고정시킨 경우, 퍼옥시다아제의 첨가량 10 ∼ 100 ng 까지 첨가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메틸메르캅탄 소취 활성의 향상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퍼옥시다아제 첨가량을 100 ng 이상으로 증가시켜도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현저한 향상은 인정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6
기질 농도와 메틸메르캅탄 소취 활성 :
첨차 추출물의 기질 농도와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관계를, 실시예 2-1의 시험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응계에 포함되는 첨차 추출물량은 0.5 ∼ 3.0㎎, 효소량은 0 ng (표 6 중에서 「퍼옥시다아제 (-)」라고 기재) 또는 100 ng (표 6 중에서 「퍼옥시다아제 (+)」라고 기재) 이고, 37 ℃, pH 7.0 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그 결과, 이하의 표 6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퍼옥시다아제의 효소의 첨가량을 100 ng 으로 고정시킨 경우, 첨차 추출물의 첨가량 2.0㎎ 까지 소취 활성의 향상이 인정되었다. 그러나, 첨차 추출물의 첨가량을 3.0㎎ 이상으로 증가시켜도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의 현저한 향상은 인정되지 않았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7
제작 타블렛에서의 소취 효과 시험 :
실시예 1-6 의 시험법으로 조제한 타블렛을 이용하여, 실시예 2-3 의 시험법에 따라 메틸메르캅탄 소취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이하의 표 7 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시험에 있어서 사용되는 장미과 나무딸기속 추출물 (첨차 추출물) 의 조성물 중으로의 배합량으로는, 0.01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 2.0 중량% 임을 알 수 있었다. 장미과 나무딸기속 추출물의 조성물 중으로의 배합량이 0.05 중량% 이하에서는 충분한 소취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2.0 중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첨가량의 증가에 걸맞는 소취 효과의 상승을 볼 수 없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 사용되는 퍼옥시다아제의 조성물 중으로의 배합량으로는, 조성물의 물성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퍼옥시다아제의 첨가량은 0.01 ∼ 10 ppm, 바람직하게는 0.01 ∼ 2 ppm 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퍼옥시다아제의 조성물에 대한 첨가량을 역가로 나타내면 조성물 100 g 에 대하여 퍼옥시다아제 0.18 U 이상 180 U 이하, 바람직하게는 0.18 U 이상 36 U 이하임을 알 수 있었다.
퍼옥시다아제의 조성물 중으로의 배합량이 0.01 ppm (0.18 U/조성물 100 g) 이하에서는 충분한 소취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2 ppm (36 U/조성물 100 g) 을 초과하여 배합해도 첨가량의 증가에 걸맞는 소취 효과의 상승을 볼 수 없었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8
제작 츄잉껌의 마늘 냄새 억제 효과 (인간 시험) :
실시예 1-7 의 시험법으로 조제한 츄잉껌을 이용하여, 실시예 2-4 의 시험법에 따라 관능 평가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하의 표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츄잉껌은 껌 섭취 후에도 가장 강하게 마늘 냄새를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9
실시예 1-4 및 1-5 에서 나타낸 방법에 의해 조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이하의 처방에 따라, 캔디, 구미 젤리, 트로키를 제조하였다.
캔디의 처방
설탕 50.0 중량%
물엿 34.0
시트르산 2.0
블랙베리 추출물 0.2
퍼옥시다아제 0.00001
(180 U/㎎)
향료 0.2
물 나머지
100.0
구미 젤리의 처방
젤라틴 60.0 중량%
물엿 21.40
설탕 8.5
식물 유지 4.5
만니톨 3.0
말산 2.0
첨차 추출물 0.1
퍼옥시다아제 0.00002
(180 U/㎎)
향료 0.5
100.0
트로키의 처방
포도당 72.3 중량%
유당 16.0
아라비아검 6.0
향료 1.0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0.7
첨차 추출물 1.0
블랙베리 추출물 1.0
퍼옥시다아제 0.00003
(180 U/㎎)
유당 2.0
100.0
본 발명은, 중성의 츄잉껌, 캔디, 타블렛, 구미 젤리 등의 여러가지 과자를 포함한 음식품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8년 8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8-207067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내용을 인용하여 본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6)

  1.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과 퍼옥시다아제를 함유하는 소취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이 첨차, 블랙베리, 및 라즈베리의 각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취 조성물 섭취 후의 타액 중의 pH 가 6.0 이상 8.0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기재된 소취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츄잉껌, 캔디, 타블렛, 또는 구미 젤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1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이며, 상기 퍼옥시다아제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1 ppm 이상 10 ppm 이하인 소취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미과 나무딸기속 식물의 소취 조성물 중의 함유량이 0.01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이며, 상기 퍼옥시다아제의 첨가량이 소취 조성물 100 g 에 대하여 0.18 U 이상 180 U 이하의 역가인 소취 조성물.
KR1020117005350A 2008-08-11 2009-08-04 퍼옥시다아제를 이용한 중성하의 소취 조성물 KR101742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07067A JP5486783B2 (ja) 2008-08-11 2008-08-11 ペルオキシダーゼを用いた中性下の消臭組成物
JPJP-P-2008-207067 2008-08-11
PCT/JP2009/064090 WO2010018802A1 (ja) 2008-08-11 2009-08-04 ペルオキシダーゼを用いた中性下の消臭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774A true KR20110044774A (ko) 2011-04-29
KR101742830B1 KR101742830B1 (ko) 2017-06-01

Family

ID=4166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350A KR101742830B1 (ko) 2008-08-11 2009-08-04 퍼옥시다아제를 이용한 중성하의 소취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35787A1 (ko)
JP (1) JP5486783B2 (ko)
KR (1) KR101742830B1 (ko)
CN (1) CN102118982A (ko)
TW (1) TWI494132B (ko)
WO (1) WO2010018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1659B (zh) * 2013-03-28 2014-12-17 陈显刚 含甜茶提取物的口香糖及其制备方法
US20150305380A1 (en) 2013-12-23 2015-10-2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Transglucosylated rubus suavissimus extract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JP5886367B2 (ja) * 2014-06-13 2016-03-16 株式会社ロッテ 消臭組成物
JP7239127B2 (ja) * 2015-09-09 2023-03-14 丸善製薬株式会社 新規エラジタンニンおよび口腔用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2668B2 (ja) * 1995-07-31 2004-09-08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EP1195099B1 (en) * 2000-08-11 2017-03-15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Deodorant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JP4578047B2 (ja) * 2002-05-14 2010-11-10 株式会社ロッテ 消臭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並びに消臭組成物
JP4520449B2 (ja) * 2006-11-27 2010-08-04 大洋香料株式会社 消臭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35787A1 (en) 2011-06-09
TW201018495A (en) 2010-05-16
WO2010018802A1 (ja) 2010-02-18
KR101742830B1 (ko) 2017-06-01
JP2010041949A (ja) 2010-02-25
CN102118982A (zh) 2011-07-06
JP5486783B2 (ja) 2014-05-07
TWI494132B (zh) 201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0446B2 (ja) 弱酸性下の消臭組成物
KR101676043B1 (ko) 유칼리 추출물의 조제 방법
KR100834964B1 (ko) 정미가 개선된 첨차 추출물의 제조방법
JP4235254B2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
KR101742830B1 (ko) 퍼옥시다아제를 이용한 중성하의 소취 조성물
KR101871155B1 (ko) 소취 조성물
WO2007020830A1 (ja) 口腔用組成物
KR100545381B1 (ko) 소취제와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소취조성물
KR101447007B1 (ko) 디프테로카퍼스 옵터시포리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JP4553730B2 (ja) 経口用育毛剤
KR100782023B1 (ko) 생리활성을 가지는 당유자 유래 네오헤스페리딘을 포함하는플라보노이드 분획조성물
KR101889492B1 (ko) 처진뽕나무, 자두나무, 및 큰달맞이꽃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20087864A (ko) 집중력 및 학습능력 향상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3119117A (ja) 抗う蝕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6553849B2 (ja) 口臭抑制剤
JP2024061935A (ja) プラーク形成抑制剤
JP5886367B2 (ja) 消臭組成物
KR20230049467A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5539941B2 (ja)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JP5403332B2 (ja) バニラ豆のリパーゼ阻害活性増強方法、およびリパーゼ阻害剤
KR20180035769A (ko)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63267A (ko) 데카스퍼뮴 프루티코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