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463A - 수영 고글 - Google Patents

수영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463A
KR20110043463A KR1020100100219A KR20100100219A KR20110043463A KR 20110043463 A KR20110043463 A KR 20110043463A KR 1020100100219 A KR1020100100219 A KR 1020100100219A KR 20100100219 A KR20100100219 A KR 20100100219A KR 20110043463 A KR20110043463 A KR 20110043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ce
lens front
front surface
goggle
gogg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399B1 (ko
Inventor
히로후미 도미나가
신이치 하데하라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6Swimming goggles with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brid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 A63B33/002Swimming goggles
    • A63B33/004Swimming goggles comprising two separate lenses joined by a flexible bri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6Paddings; Cushions; Fittings to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영 고글에 관한 것으로, 수영 고글은 고글 본체 및 접안 패드를 포함하고, 접안 패드는 고글 본체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상방 위치에 접촉되는 상저면과,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하방 위치에 접촉되는 하저면을 비대칭 형상으로 한 것이고,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부터 상저면까지의 간격보다도,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부터 하저면까지의 간격을 길게 하고 있으며, 상기 수영 고글을 장착함으로써 접안 패드의 흔적이 국부적으로 강하게 남지 않고 장착시의 불쾌감을 초래하지 않으며, 뛰어 들어갈 때 등의 강한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물이 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영 고글{SWIMMING GOGGLES}
본 발명은 아이컵 등으로 된 고글 본체, 및 상기 고글 본체에 장착되는 환형의 접안(接顔) 패드를 구비한 수영 고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수영 고글로서는,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1994-48715호나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2007-143762호에 기재된 것이 존재한다.
이들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1994-48715호나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2007-143762호에 기재된 수영 고글의 아이컵(C)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이컵(C)에 장착되는 접안 패드(P)의 상방 장착면에 접촉되는 상저면(上底面)(21a)과, 상기 접안 패드(P)의 하방 장착면에 접촉되는 하저면(下底面)(21b)을, 대칭 형상으로 한 것으로 하고 있고, 아이컵(C)의 렌즈 전방면(f)부터 상저면(21a)까지의 간격과, 아이컵(C)의 렌즈 전방면(f)부터 하저면(21b)까지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컵(C)에 장착되는 접안 패드(P)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부(眼部) 주위의 상방 위치에 접촉되는 상저면(31a)과,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하방 위치에 접촉되는 하저면(31b)을, 대칭 형상으로 한 것으로 하고 있고, 아이컵(C)의 렌즈 전방면(f)부터 상저면(31a)까지의 간격과, 아이컵(C)의 렌즈 전방면(f)부터 하저면(31b)까지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영 고글에서 상기 접안 패드(P)의 상저면(31a)은 착용자의 안부(眼部) 주위의 상방 위치, 즉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에 접촉되고, 접안 패드(P)의 하저면(31b)은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하방 위치, 즉 아래 눈꺼풀의 약간 아래에 접촉되지만,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의 부분과 아래 눈꺼풀의 약간 아래의 부분에서는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의 부분쪽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부분쪽이 접촉감도 단단하고 눌러도 움푹 들어가기 어렵다.
그 때문에 종래의 수영 고글을 착용하면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의 부분과 아래 눈꺼풀 약간 아래 부분에서는,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의 부분쪽이 접지 압력이 커지고, 이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의 부분이 접안 패드(P)의 상저면(31a)에 강하게 억압되며, 이 부분에 접안 패드(P)의 흔적이 국부적으로 강하게 남거나 장착시의 불쾌감을 주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영 고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의 부분이 접안 패드(P)의 상저면(31a)에 의해 강하게 억압되므로, 아래 눈꺼풀의 약간 아래의 부분에서는 그만큼, 접안 패드(P)의 하저면(31b)에 의해 억압되는 힘이 약해지므로, 뛰어 들어갈 때 등의 강한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부분으로부터 물이 새는 등의 경우가 있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고, 접안 패드의 흔적이 국부적으로 강하게 남지 않고, 장착시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일도 없으며, 뛰어 들어 갈 때 등의 강한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물이 새지 않는 수영 고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고글 본체에 장착되는 접안 패드의 상방 장착면에 접촉되는 상저면과, 상기 접안 패드의 하방 장착면에 접촉되는 하저면을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부터 상저면까지의 간격보다도,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부터 하저면까지의 간격을 길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고글 본체에 장착되는 접안 패드의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상방 위치에 접촉하는 상저면과,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하방 위치에 접촉되는 하저면을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부터 상저면까지의 간격보다도,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부터 하저면까지의 간격을 길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에서 착용자의 눈머리부터 눈꼬리에 걸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한 각 측정 위치(Ma 내지 Mt)에서의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부터 고글 본체의 상저면까지의 간격과,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으로부터 고글 본체의 하저면까지의 간격의 차(差)(S1) 내지 차(S20)의 평균값을 3.00 내지 3.50 ㎜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에서 착용자의 눈머리부터 눈꼬리에 걸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한 각 측정 위치(Ma 내지 Mt)에서의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으로부터 접안 패드의 상저면까지의 간격과, 고글 본체의 렌즈 전방면 및 상기 렌즈 전방면의 연장면부터 접안 패드의 하저면까지의 간격의 차(S21) 내지 차(S40)의 평균값을 3.00 내지 3.50 ㎜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상기 차(S1) 내지 차(S6)에 걸쳐서 그 값을 서서히 크게 하고 상기 차(S7) 또는 차(S8)를 최대값으로 하며, 상기 차(S9) 내지 차(S20)에 걸쳐서 그 값을 서서히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상기 차(S1) 내지 차(S6)의 평균값을 2.40 내지 2.80 ㎜로 하고, 상기 차(S7) 또는 차(S8)를 4.60 내지 5.00 ㎜로 하고 상기 차(S9) 내지 차(S20)의 평균값을 3.10 내지 3.50 ㎜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상기 차(S21) 내지 차(S26)에 걸쳐서 그 값을 서서히 크게 하고, 상기 차(S27) 또는 차(S28)를 최대값으로 하며, 상기 차(S29) 내지 차(S40)에 걸쳐서 그 값을 서서히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상기 차(S21) 내지 차(S26)의 평균값을 2.40 내지 2.80 ㎜로 하고, 상기 차(S27) 또는 차(S28)를 4.60 내지 5.00 ㎜로 하고, 상기 차(S29) 내지 차(S40)의 평균값을 3.10 내지 3.50 ㎜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접안 패드의 흔적이 국부적으로 강하게 남지 않고, 장착시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일도 없으며, 뛰어 들어갈 때 등 강한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물이 새지 않는 것이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을 전방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을 후방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고글 본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고글 본체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의 고글 본체의 상저면과 하저면의 간격을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를 장착한 상태의 고글 본체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를 장착한 상태의 고글 본체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의 상저면과 하저면의 간격을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의 착용자의 안부 주위로의 접지 압력의 분포를 도시한 설명도,
도 10은 종래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아이컵의 측면도,
도 11은 종래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아이컵의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를 장착한 상태의 아이컵의 측면도,
도 13은 종래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를 장착한 상태의 아이컵의 평면도, 및
도 14는 종래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의 착용자의 안부 주위로의 접지 압력의 분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경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좌우 한 쌍의 아이컵 등으로 된 고글 본체(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글 본체(1)는 렌즈 전방면(f1)과, 렌즈 전방면(f1)의 둘레 가장자리부터 후퇴하는 둘레벽부(w)를 갖고, 상기 둘레벽부(w)의 후단측에, 내방측을 향하여 둘레홈(2)을 설치하고, 상기 둘레홈(2)의 후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부착 플랜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고글 본체(1)의 내단부에는 브래킷(4: bracket)이 둘레벽부(w)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고글 본체(1)의 외단부에는 둘레벽부(w)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벨트 부착부(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4)에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체(6)가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한 쌍의 고글 본체(1)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트 부착부(5)에는 신축 자유로운 조임 밴드(7)의 양단부가 각각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고글 본체(1)의 부착 플랜지(3)에는 탄성 엘라스토머 등의 연질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접안 패드(11)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접안 패드(11)는 상기 부착 플랜지(3)에 외부에서 끼워지는 환형상의 틀체(12)와, 상기 틀체(12)의 내측 가장자리부터 쿠션 둘레벽(13)을 통하여 접안부(14)를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안부(14)의 저면(底面)은 착용자의 안부 주위를 따라서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안 패드(11)는 틀체(12)를 상기 부착 플랜지(3)에 외부에서 끼움으로써 고글 본체(1)에 장착되는 것으로 해도 좋고, 틀체(12)를 상기 부착 플랜지(3)에 접착하는 등으로 하여 고글 본체(1)에 장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접안 패드(11)는 고글 본체(1)에 장착하기 전에, 접안부(14)의 저면이 착용자의 안부 주위를 따라 접촉되도록, 쿠션 둘레벽(13)이 틀체(12)의 내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끝이 넓어지는 얇은 두께의 것으로 성형되어 있고, 외방 근처가 됨에 따라서 얇은 두께의 끝이 넓어지는 부분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글 본체(1)에 장착되는 접안 패드(11)의 상방 장착면에 접촉되는 상저면(1a)과, 상기 접안 패드(11)의 하방 장착면에 접촉되는 하저면(1b)을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으로부터 상저면(1a)까지의 간격보다도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으로부터 하저면(1b)까지의 간격을 전체적으로 길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글 본체(1)에 장착되는 접안 패드(11)의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상방 위치에 접촉되는 상저면(11a)과,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하방 위치에 접촉되는 하저면(11b)을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으로부터 상저면(11a)까지의 간격보다도,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으로부터 하저면(11b)까지의 간격을 전체적으로 길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에서 착용자의 눈머리부터 눈꼬리에 걸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한 각 측정 위치(Ma 내지 Mt)에서의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고글 본체(1)의 상저면(1a)까지의 간격과,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로부터 고글 본체(1)의 하저면(1b)까지의 간격의 차(S1) 내지 차(S20)를 0.30 내지 5.00 ㎜로 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3.00 내지 3.50 ㎜로 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25 ㎜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에서, 착용자의 눈머리부터 눈꼬리에 걸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한 각 측정 위치(Ma 내지 Mt)에서의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접안 패드(11)의 상저면(11a)까지의 간격과,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접안 패드(11)의 하저면(11b)까지의 간격의 차(S21) 내지 차(S40)를 0.30 내지 5.00 ㎜로 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3.00 내지 3.50 ㎜로 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25 ㎜로 하고 있다.
상기 차(S1) 내지 차(S6)에서는 그 값을 서서히 크게 하고, 상기 차(S7) 또는 차(S8)를 최대값으로 하고, 상기 차(S9) 내지 차(S20)에 걸쳐서는 그 값을 서서히 작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차(S1) 내지 차(S6)의 평균값은 2.40 내지 2.80 ㎜로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2.62 ㎜로 하고 있다. 상기 차(S7) 또는 차(S8)는 4.60 내지 5.00 ㎜로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4.82 ㎜로 하고 있다. 상기 차(S9) 내지 차(S20)의 평균값은 3.10 내지 3.50 ㎜로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3.31 ㎜로 하고 있다.
상기 차(S21) 내지 차(S26)에 걸쳐서는 그 값을 서서히 크게 하고, 상기 차(S27) 또는 차(S28)를 최대값으로 하며, 상기 차(S29) 내지 차(S40)에 걸쳐서는 그 값을 서서히 작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차(S21) 내지 차(S26)의 평균값은 2.40 내지 2.80 ㎜로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2.62 ㎜로 하고 있다. 상기 차(S27) 또는 차(S28)는 4.60 내지 5.00 ㎜로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4.82 ㎜로 하고 있다. 상기 차(S29) 내지 차(S40)의 평균값은 3.10 내지 3.50 ㎜로 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3.31 ㎜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영 고글에서 상기 차(S1) 내지 차(S20)의 구체적인 수치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차(S1)를 0.30 ㎜, 차(S2)를 1.12 ㎜, 차(S3)를 2.26 ㎜, 차(S4)를 3.29 ㎜, 차(S5)를 4.10 ㎜, 차(S6)를 4.64 ㎜, 차(S7)를 4.84 ㎜, 차(S8)를 4.80 ㎜, 차(S9)를 4.65 ㎜, 차(S10)를 4.44 ㎜, 차(S11)를 4.20 ㎜, 차를(S12)를 3.97 ㎜, 차(S13)를 3.75 ㎜, 차(S14)를 3.53 ㎜, 차(S15)를 3.31 ㎜, 차(S16)를 3.09 ㎜, 차(S17)를 2.85 ㎜, 차(S18)를 2.56 ㎜, 차(S19)를 2.09 ㎜, 차(S20)를 1.29 ㎜로 하고 있다. 이 수치는 사단법인 인간생활공학연구센터에 의한, 일본인의 20 대 남성의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의 부분과 아래 눈꺼풀 약간 아래의 부분의 기복(起伏) 형상의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S21) 내지 차(S40)의 구체적인 수치로서는 여기에서는 제시하지 않지만 상기 차(S1) 내지 차(S20)에 대응하는 값으로 할 수 있고, 그렇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은 상기 차(S1) 내지 차(S20) 및 차(S21) 내지 차(S40)를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수치로 설정함으로써, 접안 패드의 흔적이 국부적으로 강하게 남지 않고 장착시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일도 없으며, 뛰어 들어갈 때 등의 강한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물이 새지 않는 것이 되는 원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차(S1) 내지 차(S20)의 수치 설정의 여하에 관계없이 상기 차(S21) 내지 차(S40)를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수치로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갖는 것이 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의 착용자의 안부 주위로의 접지 압력의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종래의 수영 고글의 접안 패드의 착용자의 안부 주위로의 접지 압력의 분포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사단법인 인간생활공학연구센터에 의한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는 것이다.
도면 중의 윤곽(L)은 접안 패드와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접지면을 나타내고 있고, 윤곽(L)내의 3 내지 5 단계에 걸쳐 나타낸 농담은 접지 압력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고, 진한 부분일수록 접지 압력이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영 고글에서는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의 전체, 및 아래 눈꺼풀 사이의 약간 아래의 전체가, 접안 패드에 의해 균형 좋게 억압되어 있으므로, 접안 패드의 흔적이 국부적으로 강하게 남지 않고, 장착시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이에 대해서, 종래의 수영 고글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 특히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에서 미간 근처의 부분, 및 아래 눈꺼풀의 약간 아래에서 코 근처의 부분이, 접안 패드에 의해 강하게 억압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부분에 국부적으로 접안 패드의 흔적이 강하게 남게 되고, 장착시의 불쾌감을 초래하는 것이 되기도 한다.
또한, 도 9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영 고글에서는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 및 아래 눈꺼풀의 약간 아래가 접안 패드에 의해 전체적으로 강하게 억압되어 있으므로 뛰어 들어갈 때 등의 강한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물이 새지 않는 것이 된다.
이에 대해서, 종래의 수영 고글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썹과 위 눈꺼풀 사이에서 미간 근처의 부분, 및 아래 눈꺼풀의 약간 아래에서 코 주변의 부분은 접안 패드에 의해 강하게 억압되어 있지만 다른 부분에서는 그만큼 접안 패드에 의해 억압되는 힘이 약해져 있으므로, 뛰어 들어갈 때 등의 강한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그 부분으로부터 물이 새는 것이 되기도 한다.
1: 고글 본체 1a: 상저면
1b: 하저면 11: 접안 패드
11a: 상저면 11b: 하저면
f1: 렌즈 전방면 f2: 연장면
Ma 내지 Mt: 측정 위치 S1 내지 S40: 차(差)

Claims (8)

  1. 고글 본체(1)에 장착되는 접안 패드(11)의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상방 위치에 접촉되는 상저면(11a)과, 착용자의 안부 주위의 하방 위치에 접촉되는 하저면(11b)을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상저면(11a)까지의 간격보다도,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하저면(11b)까지의 간격을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고글.
  2. 고글 본체(1)에 장착되는 접안 패드(11)의 상방 장착면에 접촉되는 상저면(1a)과, 상기 접안 패드(11)의 하방 장착면에 접촉되는 하저면(1b)을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상저면(1a)까지의 간격보다도,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하저면(1b)까지의 간격을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고글.
  3. 제 2 항에 있어서,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에서 착용자의 눈머리부터 눈꼬리에 걸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한 각 측정 위치(Ma 내지 Mt)에서의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고글 본체(1)의 상저면(1a)까지의 간격과,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고글 본체(1)의 하저면(1b)까지의 간격의 차(S1) 내지 차(S20)의 평균값을 3.00 내지 3.50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고글.
  4. 제 1 항에 있어서,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에서 착용자의 눈머리부터 눈꼬리에 걸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설치한 각 측정 위치(Ma 내지 Mt)에서의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접안 패드(11)의 상저면(11a)까지의 간격과, 고글 본체(1)의 렌즈 전방면(f1) 및 상기 렌즈 전방면(f1)의 연장면(f2)부터 접안 패드(11)의 하저면(11b)까지의 간격과의 차(S21) 내지 차(S40)의 평균값을 3.00 내지 3.50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고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S1) 내지 차(S6)에 걸쳐서는 그 값을 서서히 크게 하고, 상기 차(S7) 또는 차(S8)를 최대값으로 하며, 상기 차(S9) 내지 차(S20)에 걸쳐서는 그 값을 서서히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고글.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S1) 내지 차(S6)의 평균값을 2.40 내지 2.80 ㎜로 하고, 상기 차(S7) 또는 차(S8)를 4.60 내지 5.00 ㎜로 하고, 상기 차(S9) 내지 차(S20)의 평균값을 3.10 내지 3.50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고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S21) 내지 차(S26)에 걸쳐서는 그 값을 서서히 크게 하고 상기 차(S27) 또는 차(S28)를 최대값으로 하며, 상기 차(S29) 내지 차(S40)에 걸쳐서는 그 값을 서서히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고글.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S21) 내지 차(S26)의 평균값을 2.40 내지 2.80 ㎜로 하고 상기 차(S27) 또는 차(S28)를 4.60 내지 5.00 ㎜로 하며, 상기 차(S29) 내지 차(S40)의 평균값을 3.10 내지 3.50 ㎜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 고글.
KR1020100100219A 2009-10-19 2010-10-14 수영 고글 KR101715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0451 2009-10-19
JP2009240451A JP2011083539A (ja) 2009-10-19 2009-10-19 スイミングゴーグ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463A true KR20110043463A (ko) 2011-04-27
KR101715399B1 KR101715399B1 (ko) 2017-03-10

Family

ID=4349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219A KR101715399B1 (ko) 2009-10-19 2010-10-14 수영 고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50667B2 (ko)
EP (1) EP2311534B1 (ko)
JP (1) JP2011083539A (ko)
KR (1) KR101715399B1 (ko)
CN (1) CN102039034A (ko)
TW (2) TWI5134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3031145A2 (pt) * 2011-06-03 2017-01-31 Speedo Int Ltd óculos
TWM473852U (zh) * 2013-06-06 2014-03-11 Global Esprit Inc 泳鏡
GB2519346B (en) * 2013-10-18 2016-10-26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s
USD745081S1 (en) * 2014-09-29 2015-12-08 Yamamoto Kogaku Co., Ltd. Swimming goggles
JP6807648B2 (ja) * 2015-06-05 2021-01-06 美津濃株式会社 ゴーグル
US9604104B2 (en) 2015-08-27 2017-03-28 Roka Sports, Inc. Goggles with retroscopic lens angle for enhanced forward vision
USD809055S1 (en) * 2015-08-28 2018-01-30 Roka Sports, Inc. Swimming goggles with retroscopic lens
JP6450335B2 (ja) * 2016-03-04 2019-01-09 株式会社タバタ スイミングゴーグル
CN205612959U (zh) * 2016-04-22 2016-10-05 广州市前锋水上运动器材用品有限公司 游泳眼镜
USD820344S1 (en) * 2017-05-25 2018-06-12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
USD820345S1 (en) * 2017-05-25 2018-06-12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
USD820346S1 (en) * 2017-05-25 2018-06-12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
USD839950S1 (en) * 2017-06-16 2019-02-05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
USD831731S1 (en) * 2017-07-20 2018-10-23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
USD831100S1 (en) * 2017-07-20 2018-10-16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
USD839951S1 (en) * 2017-08-28 2019-02-05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
AU2017236043B2 (en) * 2017-10-02 2019-10-03 Global Esprit Inc. Swimming Goggles
AU2020368910B2 (en) * 2019-10-15 2024-05-16 Oakley, Inc. Eyewear with variable compression cushion and improved moisture mana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386U (ko) * 1989-11-27 1991-07-29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493Y2 (ja) 1991-07-29 1996-10-02 山本光学株式会社 水中めがね用アイカップ
JPH0648715A (ja) 1992-07-24 1994-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ダイヤモンドの製造方法
CA2123375A1 (en) * 1994-05-11 1995-11-12 John L. Runckel Intra-orbital swim goggles
JP3075386U (ja) * 2000-08-03 2001-02-16 丕林 江 水泳用ゴーグル
CA2316047C (en) * 2000-08-14 2005-04-12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JP4110548B2 (ja) * 2002-08-27 2008-07-02 山本光学株式会社 スイミングゴーグル
JP4236567B2 (ja) * 2003-12-05 2009-03-11 株式会社タバタ スイミングゴーグル
US7203973B2 (en) * 2004-05-25 2007-04-17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CN2810676Y (zh) * 2005-07-05 2006-08-30 王燕美 泳镜的调整结构
JP4789038B2 (ja) 2005-11-25 2011-10-05 山本光学株式会社 顔面装着具および顔面装着具用バンド
GB0609919D0 (en) * 2006-05-18 2006-06-28 Speedo Int Ltd Goggles
TWM321794U (en) * 2007-01-18 2007-11-11 Herman Chiang Swimming gogg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386U (ko) * 1989-11-27 1991-07-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36378A (zh) 2015-10-01
TWI513488B (zh) 2015-12-21
US20110088150A1 (en) 2011-04-21
TWI520761B (zh) 2016-02-11
US8650667B2 (en) 2014-02-18
EP2311534B1 (en) 2015-04-29
JP2011083539A (ja) 2011-04-28
EP2311534A1 (en) 2011-04-20
TW201129405A (en) 2011-09-01
CN102039034A (zh) 2011-05-04
KR101715399B1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3463A (ko) 수영 고글
JP5466220B2 (ja) 水中マスク
JP3605804B2 (ja) 風避け眼鏡、眼鏡用風防及び眼鏡における風避け方法
KR880001316A (ko) 물안경
RU2637358C2 (ru) Защитные очки
US7143454B2 (en) Swimming goggles
JP2001037912A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KR20180032276A (ko) 범용 보조안경
JP5690907B1 (ja) 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フロント枠
JPH11104267A (ja) 水中メガネ
JP2014240886A (ja) フード付き眼鏡
JP3185602U (ja) フード付き眼鏡
CN215642086U (zh) 鼻梁自调节护目镜
JP6839644B2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US20180107019A1 (en) Nose pad for eyeglass
JP7100370B2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CN210894872U (zh) 一种眼镜佩戴防下滑装置
CN210543183U (zh) 可提高佩戴舒适性的潜水镜
CN205427220U (zh) 一种可变换夹鼻弯曲程度的细镜框眼镜
KR200350663Y1 (ko) 이중렌즈를 구비한 선글라스 구조
KR200487261Y1 (ko) 안경 보조 도구
KR200321285Y1 (ko) 두부 착용식 안경
KR200347241Y1 (ko) 코받침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스포츠 안경
JP2004267451A (ja) スイミングゴーグル
KR200475570Y1 (ko) 스포츠안경과 보조안경의 탈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