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537A - 조명기구를 셋업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조명기구를 셋업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1537A
KR20110041537A KR1020117003964A KR20117003964A KR20110041537A KR 20110041537 A KR20110041537 A KR 20110041537A KR 1020117003964 A KR1020117003964 A KR 1020117003964A KR 20117003964 A KR20117003964 A KR 20117003964A KR 20110041537 A KR20110041537 A KR 20110041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luminaires
neighboring
ligh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트랑 샤뜰뤼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4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using camer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조명기구의 셋업 방법에서, 상기 조명기구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일부분이고, 상기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각 조명기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조명기구에 대하여,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S32); -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이웃하는 조명기구들과 상기 조명기구 간의 거리의 표시를 각각 제공하는 표시자들을 생성하는 단계(S34);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그들 각각의 표시자들에 따라 순위를 정하는 단계(S35); 및 - 상기 순위가 정해진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대해 그들 각각의 순위들에 의존하여 조명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단계(S3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기구를 셋업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조명기구{METHOD OF SETTING UP A LUMINAIRE AND LUMINAIRE TO APPLY THE METHOD}
본 발명은 조명기구들(luminaires)의 네트워크의 셋업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거 지역들에 셋업될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와 같은, 실외용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절약을 위해, 공공 조명, 더 일반적으로는 구역 조명(area lighting)에서의 경향은 지능형 조명 시스템, 즉 구역 내에 아무도 없을 때는 조명을 어둡게 하고 보행자가 다가오고 있을 때는 완전한 출력(full power)으로 자동 전환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기술분야에 지식을 가진 자는, 지능형 조명 시스템이 필요할 때에만 구역을 조명함으로써, 특히 지방 자치 단체들을 위해 비용 및 에너지를 절약함을 알 것이다.
고전적인 지능형 조명 시스템은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 거리에 있는 누구나(차량, 보행자, 바이커 등)를 검출하는 프레즌스 검출기들의 시스템, 및 검출기들에 의해 검출된 이벤트에 따라 조명기구들의 전력 공급을 제어/조정하기 위한 중앙 전자 유닛을 포함한다.
중앙 전자 유닛과 조명기구들 간의 통신은 각각의 조명기구가 네트워크의 노드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명 어레이와 통신 네트워크의 공간적 구조는 등가적이다.
지능형 조명 시스템의 설치 후에는, 각각의 조명기구를 취역(commission)시킬 필요가 있다. 고전적으로, 그것은 각각의 조명기구가 네트워크 내에서 그리고 제어 유닛에 대해 식별되고, 어드레싱 주소가 그 조명기구에 할당되는 수작업(manual) 단계이다.
따라서, 취역 후에는, 무선 네트워크와 조명 어레이 간에 완벽한 동형성(isomorphism)이 존재하여, 각각의 조명기구가 그것의 알려진 무선 노드를 갖고, 그 역도 성립한다.
그러나, 중대한 단점은 취역 프로세스가 설치자에게 시간 소모적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취역 전기기사는 조명기구들 또는 조명기구들의 그룹들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그들에게 소정의 주소를 할당해야 한다.
수작업 취역 프로세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또는 비행 시간(Time-of-Flight) 기법들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공간적 지형(topography)을 발견하고, 그 조명기구들의 공간적 지형을 알고서, 무선 네트워크를 조명기구 네트워크에 맵핑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01/97466은 접속에 관여하는 송수신기들, 및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유닛의 신호 강도로부터 계산된 국(station)들 간의 범위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구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자동 취역 프로세스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범위 측정은 에러를 겪게 될 수 있고, 따라서 통신 노드들의 도출된 위치는 종종 조명기구가 배열된 그리드 또는 격자 배열 상의 위치들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각각의 노드가 어느 조명기구에 연관되는지에 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에러를 정정하기 위해 복잡한 컴퓨팅 알고리즘들이 이용된다.
결과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의 공간적 지형의 발견 방법과, 그것을 조명기구 네트워크 상에 맵핑하기 위한 에러 정정은 소정의 집중적인 컴퓨팅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며, 에러가 발생하기 쉽지 않다.
지능형 조명 시스템에 대하여, 사용하기 쉽고, 집중적인 컴퓨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자동 초기화 프로세스를 달성하면 유리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관심사를 더 잘 다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조명기구의 셋업 방법에서, 상기 조명기구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일부분이고, 상기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각 조명기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조명기구에 대하여,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이웃하는 조명기구들과 상기 조명기구 간의 거리의 표시를 각각 제공하는 표시자들(indicators)을 생성하는 단계;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그들 각각의 표시자들에 따라 순위를 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순위가 정해진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대해 그들 각각의 순위들에 의존하여 조명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유리하게 분산화된다. 각각의 조명기구는 그것의 환경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자율적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 조명 시나리오는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트리거되도록 정해지고;
●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동안 수신된 각각의 신호는 대응하는 이웃하는 조명기구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표시자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들의 수신된 에너지들로부터 처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의 방법에 따라 셋업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은,
-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조명 시나리오를 트리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 중의 조명기구는,
- 이웃하는 조명기구로 신호를 전송하고, 이웃하는 조명기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
- 송수신기에 접속되어, 이웃하는 조명기구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와 상기 조명기구 간의 거리의 표시자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수단;
- 생성된 표시자의 값에 의존하여, 다른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목록 중에서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의 순위를 정하기 위한 수단; 및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주어진 순위에 의존하는 조명 시나리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
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 조명 시나리오는 상기 조명기구와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조명 출력(lighting power)을 정의하는 출력 시나리오를 포함하고, 조명기구는 출력 시나리오에 따라 그 자신의 조명 출력을 적응시키기 위한 출력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 송수신기는 복수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로 신호를 전송하고 복수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응되고, 각각의 신호는 상기 신호를 방출하는 조명기구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 신호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고;
- 조명 시나리오는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에 대하여 조명의 한 레벨을 정의하고;
-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에 연관된 출력의 레벨은, 그 이웃하는 조명기구의 순위가 높을수록 그 조명기구의 조명 출력이 낮아지도록 출력 시나리오 내에 제공되고;
- 조명기구는 이벤트를 검출한 이벤트 검출기에 의해 방출된, 수신된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를 향해, 그 이웃하는 조명기구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게 그 신호를 전송하도록 적응된 송수신기에 각각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 출력 제어 장치는 검출기가 이벤트를 검출한 때에 조명을 최대 출력(full power)으로 전환하도록 더 적응된다.
- 상기 이벤트 검출기는 조명기구의 조명 구역 내의 프레즌스(presence)를 검출하도록 적응된다.
- 상기 조명기구는 조명 구역의 한계(limit)에서 구역 내의 프레즌스를 검출하도록 적응된 제2 이벤트 검출기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 상기 조명기구는 적어도 상기 이벤트 검출기를 포함하고;
- 조명 기구는 다른 확정적인(determinate) 조명기구로부터, 또는 확정적인 조명기구에 연관된 이벤트 검출기로부터 확정적인 신호가 수신되고 나면,
○ 저장소 내에서, 확정적인 조명기구에 대응하는 조명 시나리오를 판독하고,
○ 단계 a에서 판독된 조명 시나리오를 적용하도록,
조명 시나리오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복수의 상기의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조명기구는 조명 시나리오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는 이벤트 검출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노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드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구에, 소정량의 검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시그널링하도록 적응된다.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는 그것의 전력 소비를 환경적 요구에 적응시킨다. 그러므로, 에너지 및 비용 절약이 되고,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CO2 감소를 위한 친환경적 조명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킨다.
이러한 조명기구들은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키고, 광 공해(light pollution)를 감소시킨다.
이들은 설치하기가 매우 쉽다: 시스템은 완전히 자율적이며, 설치를 수정하기가 매우 쉽다.
메시지들의 자동적인 어드레싱은 무선 주파수 통신의 일부 전형적인 문제들을 방지한다.
조명기구의 셋업은 에러에 저항성이 있다. 실제로,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거리 순위는 소정의 에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이웃하는 조명기구가 제2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보다 더 가까운 것으로 검출되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일 수 있다. 그러나, 조명 시나리오는, 그러한 에러에도 불구하고 조명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완수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조명기구들은 임의의 구성의 조명기구 네트워크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들과 그 외의 양태들은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분명해지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조명기구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화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이다.
도 5는 조명기구 작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조명기구들의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의 모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1)는 6개의 조명기구(3)로 구성된다. 각각의 조명기구는 각각 식별자 L1, L2, L3, L4, L5 및 L6에 의해 식별된다. 각각의 조명기구는 특정 구역의 조명 전용이다. 아마도, 예를 들어 조명기구들의 전체 집합이 모두 동일 레벨의 출력을 가질 때 그 전체 집합에 걸쳐서 균일한 조명을 제공하도록,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구역들이 겹칠 수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들 각각은 출력 제어 장치(12)에 의해 제어되는 광원(10)을 포함한다(도 2). 출력 제어 장치(12)는 조명기구의 조명 출력을 예를 들어 0%(즉, 광이 방출되지 않음)로부터 100%(즉, 광원(10)의 완전한 조명 출력)까지, 연속적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단계들(예를 들어, 완전한 조명 출력의 50%, 70%, 80% 및 90%)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조명기구는 지능형 조명 네트워크의 부분이며, 따라서 조명기구 네트워크의 다른 조명기구들로부터/로 무선 신호들(또는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초음파 신호와 같은 다른 종류의 신호들)을 수신 및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14)를 포함한다.
조명기구는 송수신기(14)에 접속된 처리 수단(16)을 더 포함한다. 처리 수단(16)은 이웃하는 조명기구들과 그 조명기구 간의 거리의 표시자(indicator)를 생성한다. 표시자는 본 기술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잘 알려져 있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임의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이득 및/또는 진폭으로부터 계산된, 그 조명기구와 그 이웃하는 조명기구 간의 상대적 거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처리 수단(16)은 거리를 결정하기 위해 비행시간법(time-of-flight methods)을 이용할 수 있다.
조명기구는 생성된 표시자의 값에 의존하여,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순위를 정하는 수단(17)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결정된 그들의 상대적인 거리에 기초하여 가장 가까운 것으로부터 가장 먼 것까지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조명기구는 이웃하는 조명기구들과 조명 출력의 레벨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조명 시나리오도 포함하는 저장소(18)를 포함한다. 그러나, 조명 효과(색상, 확산성(diffusivity), 조명 패턴 또는 형상 등)를 제공하는 다른 종류의 조명 시나리오도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시나리오는 2열 및 n행의 테이블이고, n은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개수이며, 제1 열은 조명기구 식별자들을 포함하고, 제2 열은 예를 들어 완전한 조명 출력의 백분율로 정의된 대응하는 조명 효과를 포함한다.
또한, 조명기구는 이벤트 검출기(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검출기(20)는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 또는 마이크로파 또는 가시(visible) 카메라와 같은 센서이다. 예를 들어, 이것은 CMOS 또는 CCD 카메라이다. 이벤트 검출기(20)는 조명기구 근처의 물체/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해 위치된다. 예를 들어, 이벤트 검출기(20)는 조명기구의 조명 구역 내에서 서 있거나 걷고 있는 사람을 검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벤트 검출기(20)는 조명기구 안이 아니라 다른 장소에 위치되어, 특히 이벤트를 검출한 때에, 그 조명기구와, 그리고 아마도 다른 조명기구들과 통신한다.
조명기구는 아래와 같이 초기화된다(도 3).
예를 들어 제조 동안과 같은 예비 단계 동안, 각각의 조명기구는 고유 식별자 및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식별자는 네트워크의 조명기구 멤버들로부터 오는 신호들을 다른 신호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러므로, 조명기구에 의해 전송되는 각각의 메시지는 적어도 네트워크 식별자 및 그 조명기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서, 구역 내에 단 하나의 조명기구 네트워크만이 간섭없이 존재할 때, 네트워크 식별자는 불필요한 것으로서 숨겨질 수 있다.
단계(S30)에서, 조명기구는 이웃하는 조명기구들로부터 오는 신호들을 청취한다.
단계(S32)에서 조명기구가 한 이웃하는 조명기구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할 때, 단계(S34)에서 조명기구 거리 계산기가 그 조명기구로부터 그 이웃하는 조명기구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단계들(S32 및 S34)은 이웃하는 조명기구들까지의 모든 상대적인 거리가 결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 다음, 단계(S35)에서,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적어도 일부가 그들 각각의 표시자에 따라 순위가 정해진다. 그리고, 단계(S36)에서, 조명 출력이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들과 연관지어지고, 그 연관이 저장된다. 예를 들어, 조명기구는 조명기구의 제조 동안 준비되어 저장된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을 포함한다. 테이블은 위에서 설명된 포맷을 갖는다. 제조 동안, 조명 출력 백분율은, 제1 행이 가장 가까운 이웃하는 조명기구를 참조하고, 제2 행이 두번째로 가까운 이웃하는 조명기구를 참조하는 것 등을 고려하여, 가장 먼 이웃하는 조명기구를 참조하는 마지막 행까지 각 행에 저장된다. 대안적으로, 조명기구는 확정적인 매개변수들, 예를 들어 계산된 표시자 값들, 제조 동안 조명기구 내에 저장된 소정의 다른 매개변수들에 따라 조명 시나리오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4a는 이 단계에서의 도 1의 조명기구 L3의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모든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거리를 결정하고 난 후, 그들은 예를 들어 처리 수단(16)에 의해 가장 가까운 것으로부터 가장 먼 것까지 정렬된다. 그 다음, 가장 가까운 조명기구의 식별자를 제1 행의 대응 필드에 입력하고, 마지막 행의 대응 필드가 가장 먼 조명기구 식별자를 포함할 때까지 모든 다른 행들을 입력함으로써,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이 완성된다. 도 4b는 도 4a와 동일하지만 조명기구 식별자들이 기입된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은 이러한 초기화 방법 동안 자동 완성된다. 그러므로,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사람은 조명기구들을 셋업하기 위해 아무것도 할 일이 없고,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의 식별자를 알 필요가 없다.
초기화 후, 조명기구는 아래와 같이,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단계(S40)에서, 조명기구는 절약 모드로 시작하며,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을 청취한다.
단계(S42)에서, 그것은 이웃하는 조명기구 또는 이웃하는 조명기구에 연관된 이벤트 검출기로부터, 그 이웃하는 조명기구 근처에서 이벤트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S44)에서, 조명기구는 자신의 조명 시나리오를 판독하고, 그 이웃하는 조명기구에 연관된 조명 출력을 결정한다.
단계(S46)에서, 조명기구는 자신의 광원을 결정된 조명 출력으로 전환하고, 미리 정해진 지연(delay)에 대해 타이머를 시작한다.
단계(S48)에서, 미리 정해진 지연이 다른 이벤트 신호의 수신 없이 경과된 경우, 광원은 절약 모드로 전환된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이벤트 신호의 수신은 타이머를 리셋하고, 조명기구는 단계(S44)로 되돌아가서 조명 출력을 결정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조명기구의 검출기에 의한 이벤트의 검출에 의해 어느 때라도 중단될 수 있다. 이벤트 검출 시에, 조명기구는 자신의 광원을 완전한 출력으로 전환하고, 이벤트 신호를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송신한다. 이벤트가 검출되는 동안, 조명기구는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게 그들이 현재의 조명 출력을 유지해야 함을 알리기 위해 이벤트 신호들을 정기적으로 송신한다. 더 이상의 이벤트가 검출되지 않을 때, 조명기구는 아마도, 예를 들어 이벤트가 검출될 때마다 리셋되는 내장된 클럭에 의해 결정되는 미리 정해진 지연 후에, 절약 모드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은 도 1의 조명기구들의 모든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의 요약이다.
하나의 조명기구가 자신이 사용자를 보고 있다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때, 그 조명기구는 자신을 완전한 출력으로 전환한다. 그 조명기구를 가장 가까운 2개의 조명기구 내로 보는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은,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들에 기초하여 90%로 전환한다. 자신의 테이블의 위치 3과 5 사이에서 그 조명기구를 발견하는 조명기구들은 60 내지 80%로 전환한다. 그리고, 디폴트로, 그 조명기구를 6을 넘는 위치에서 발견하는 조명기구들은 절약 모드로 머문다.
도 6에서, 행의 각 끝에 있는 조명기구들(L1 및 L6)의 테이블들은, 그 조명기구가 그것의 가장 가까운 이웃하는 조명기구에 대해서만 90%에서 전환하므로, 다른 테이블들과 다르다. 그것은 행의 끝에 있는 특정한 위치를 고려한 것이다. 그러므로, 설치 시에,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은 조명기구 식별자를 모르고서, 단지 조명기구들의 상대적인 위치만을 고려함으로써 조명기구 네트워크의 기하학적 구조에 적응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조명 시나리오들은 개시된 방법 및 조명기구의 유연성을 보여주기 위해, 조명기구의 위치에 의존하여 다르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제조 동안, 모든 조명기구에 대하여 동일한 조명 시나리오를 셋업하는 것이 충분한 경우가 많다. 실제로, 조명기구들(L1 및 L6)이 조명기구들(L2 내지 L5)과 동일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순위 2의 이웃하는 조명기구가 80% 대신에 90%의 조명 출력을 의미하더라도, 사용자에게는 차이가 없다.
조명 시나리오의 다른 실시예는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개수에 무관하게, 상대적인 거리에 의해 조명 출력을 정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조명 시나리오는,
- 50 미터보다 더 가까운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대하여, 100%의 조명 출력;
- 50과 300 미터 사이에 있는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대하여, 70%의 조명 출력;
- 300 미터보다 먼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대하여, 그들을 고려하지 않고 절약 모드로 머무는 것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조명 시나리오를 이용할 때, 상대적인 거리에 관한 에러가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에 의해 조명되는 거리를 걷고 있는 사용자에 대해 중요성을 거의 갖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조명기구들은 통신이 있을 때마다 거리를 분석하고 결정한다. 따라서,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은 언제라도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유리하게도, 단지 새로운 조명기구를 설치하고 올바른 네트워크 식별자를 정의하고 그것의 준비된 조명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것에 의해, 조명기구의 교체 또는 추가를 허가한다. 다른 조명기구들은 그들이 새로운 조명기구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그것을 자신들의 테이블에 추가할 것이다.
예를 들어 구역의 조명을 예측하기 위해, 조명기구들의 다른 이벤트 검출기들의 범위 밖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는 조명기구 및/또는 적어도 이벤트 검출기에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기만을 포함하는 소정의 특정한 노드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은 다른 조명기구들에 대한 이 노드들의 거리 및 프레즌스를 기록한다. 이 노드들 중 하나가 이벤트 검출기를 포함하는 경우, 그것은 확정적인(determinate) 조명기구의 조명 구역 내에서 발생하여 이 확정적인 조명기구에 연관되는 이벤트들, 또는 다른 구역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이벤트 검출기는 이벤트를 검출하고 이벤트 신호를 송신하며,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은 이벤트 검출기에 연관된 확정적인 조명기구, 또는 조명 시나리오 테이블 내에서 검출기 이벤트에 할당된 특정 위치에 의존하여, 그들의 조명 시나리오에 따라 반응할 수 있다.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는 또한 조명 시나리오를 저장하지 않고, 단지 상이한 전력 레벨들 간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나 일련의 스위치들을 갖거나 스위치를 갖지 않는(따라서 동일한 출력 레벨로 유지됨) 소정의 조명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 및 상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이 상세하게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도시 및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실례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초기화 프로세스를 런칭하기 위해, 조명기구 노드들과 동일한 모델에 대해 원격 제어가 쉽게 개발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 지식을 가진 자들은, 개시된 본 실시예가, 예를 들어 자연광이 충분할 때 방출되는 소등(light-out) 신호, 유지관리 담당자에게 알리기 위해 조명기구로부터 수신되는 수리 요청 신호 등과 같은 일반적 및/또는 유지관리 커맨드 신호들을 생성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중앙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지능형 조명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조명기구 노드들은 중앙 제어 장치로부터의 메시지들을 전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중계기(repeater)로서 행동한다.
본 기술 분야에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면들,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항들을 숙지함으로써, 청구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을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들에서, "포함한다"는 용어는 다른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부정관사 "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8)

  1. 조명기구(luminaire)의 셋업 방법으로서,
    상기 조명기구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일부분이고, 상기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각 조명기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조명기구에 대하여,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S32);
    - 수신된 신호들로부터,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들과 상기 조명기구 간의 거리의 표시들을 각각 제공하는 표시자들(indicators)을 생성하는 단계(S34);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그들 각각의 표시자들에 따라 순위를 정하는 단계(S35); 및
    - 상기 순위가 정해진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대해 그들 각각의 순위들에 의존하여 조명 시나리오를 제공하는 단계(S36)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명 시나리오는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트리거되도록 정해지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동안 수신된 각각의 신호는 대응하는 이웃하는 조명기구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 상기 표시자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들의 수신된 에너지들로부터 처리되는 방법.
  4. 제2항의 방법에 따라 셋업되는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조명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 대응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조명 시나리오를 트리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 중의 조명기구로서,
    - 이웃하는 조명기구로 신호를 전송하고, 이웃하는 조명기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14);
    - 상기 송수신기에 접속되어, 이웃하는 조명기구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와 상기 조명기구 간의 거리의 표시자를 생성하기 위한 처리 수단(16);
    - 상기 생성된 표시자의 값에 의존하여, 다른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목록 중에서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의 순위를 정하기 위한 수단(17); 및
    -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 주어진 순위에 의존하는 조명 시나리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18)
    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나리오는 상기 조명기구와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의 조명 출력(lighting power)들을 정의하는 출력 시나리오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출력 시나리오에 따라 그 자신의 조명 출력을 적응시키기 위한 출력 제어 장치(power control device)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복수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로 신호를 전송하고 복수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신호는 상기 신호를 방출하는 조명기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나리오는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에 대하여 조명의 한 레벨을 정의하는 조명기구.
  10. 제6항 및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에 연관된 출력의 레벨은, 그 이웃하는 조명기구의 순위가 높을수록 그 조명기구의 조명 출력이 낮아지도록 상기 출력 시나리오 내에 제공되는 조명기구.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이벤트를 검출한 이벤트 검출기에 의해 방출된, 수신된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a. 각각의 이웃하는 조명기구를 향해,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에게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 및
    b. 상기 이웃하는 조명기구들에게 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에 각각의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12. 제6항 및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어 장치는 검출기가 이벤트를 검출한 때에 조명을 최대 출력(full power)으로 전환하도록 더 구성되는 조명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검출기는 상기 조명기구의 조명 구역 내의 프레즌스(presence)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조명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조명 구역의 한계(limit)에서 구역 내의 프레즌스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2 이벤트 검출기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조명기구.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적어도 상기 이벤트 검출기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16. 제5항에 있어서,
    확정적인 신호가 다른 확정적인(determinate) 조명기구로부터, 또는 확정적인 조명기구와 연관된 이벤트 검출기로부터 수신되고 나면,
    a. 저장소 내에서, 확정적인 조명기구에 대응하는 조명 시나리오를 판독하고,
    b. 단계 a에서 판독된 조명 시나리오를 적용하도록,
    조명 시나리오를 관리하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조명기구.
  17. 제5항에 따른 복수의 조명기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로서,
    각각의 조명기구가 조명 시나리오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이벤트 검출기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노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드는 송수신기를 통해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구에, 소정량 의 검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조명기구들의 네트워크.
KR1020117003964A 2008-07-21 2009-07-16 조명기구를 셋업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조명기구 KR20110041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0240 2008-07-21
EP08300240.2 2008-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537A true KR20110041537A (ko) 2011-04-21

Family

ID=4139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964A KR20110041537A (ko) 2008-07-21 2009-07-16 조명기구를 셋업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조명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91649B2 (ko)
EP (1) EP2308269B1 (ko)
JP (1) JP5670895B2 (ko)
KR (1) KR20110041537A (ko)
CN (1) CN102106188B (ko)
DK (1) DK2308269T3 (ko)
ES (1) ES2702995T3 (ko)
TW (1) TW201018313A (ko)
WO (1) WO201001049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1003877U1 (de) * 2011-03-11 2014-09-08 Zumtobel Lighting Gmbh Leuchte mit Kommunikationsmitteln
CN102264178A (zh) * 2011-03-11 2011-11-30 佛山市南海宝照科技有限公司 广场led路灯人流自动控制系统
JP2013004311A (ja) * 2011-06-16 2013-01-07 Panasonic Corp 照明制御システム
US8659230B2 (en) * 2011-06-16 2014-02-25 Panasonic Corporatio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JP2013008460A (ja) * 2011-06-22 2013-01-10 Panasonic Corp 照明装置
CN102355786A (zh) * 2011-09-07 2012-02-15 辽宁宝林集团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高效节能高频无极灯
CN102448230B (zh) * 2011-10-24 2013-09-18 丽水市海威光控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公路隧道的红外车辆跟踪led照明调光方法
CH705688A1 (de) * 2011-10-28 2013-04-30 Regent Beleuchtungskoerper Ag Steuerungssystem für eine Vielzahl mobiler Leuchten.
GB2496623B (en) * 2011-11-16 2013-11-06 Wirefield Ltd Transmitter receiver and wireless lighting system
US8872432B2 (en) * 2012-03-15 2014-10-28 General Electric Company Solution for dynamic lighting control
CN102685987A (zh) * 2012-04-28 2012-09-19 深圳珈伟光伏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草坪灯的实现方法及装置
EP2845449B2 (en) 2012-05-03 2022-02-16 Signify Holding B.V. Method and device for commissioning of nodes of a network
JP2014007101A (ja) * 2012-06-26 2014-01-16 Panasonic Corp 照明システム
US9706617B2 (en) 2012-07-01 2017-07-11 Cree, Inc. Handheld device that i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lighting fixture
US10721808B2 (en) 2012-07-01 2020-07-21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Light fixture control
US9872367B2 (en) 2012-07-01 2018-01-16 Cree, Inc. Handheld device for grouping a plurality of lighting fixtures
US9980350B2 (en) 2012-07-01 2018-05-22 Cree, Inc. Removable module for a lighting fixture
US9572226B2 (en) 2012-07-01 2017-02-14 Cree, Inc. Master/slave arrangement for lighting fixture modules
DE102012212080A1 (de) * 2012-07-11 2014-01-16 Zumtobel Lighting Gmbh Beleuchtungssystem mit mehreren Leuchten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Beleuchtungssytems
JP5907344B2 (ja) * 2012-08-09 2016-04-2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照明制御方法
US8912735B2 (en) * 2012-12-18 2014-12-16 Cree, Inc. Commissioning for a lighting network
US9913348B2 (en) 2012-12-19 2018-03-06 Cree, Inc. Light fixtures, systems for controlling light fixtur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fixtur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ing control systems
JP6098805B2 (ja) * 2013-03-27 2017-03-2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DE102013005788B4 (de) * 2013-03-28 2020-06-04 Elmos Semiconductor Aktiengesellschaft Straßenbeleuchtung
DE102013022275A1 (de) 2013-03-28 2014-10-02 Elmos Semiconductor Ag Straßenbeleuchtung
JP6343745B2 (ja) * 2013-05-16 2018-06-20 特定非営利活動法人e自警ネットワーク研究会 街路灯システム、街路灯ユニット、及び街路灯制御プログラム
ITMI20130932A1 (it) * 2013-06-06 2014-12-07 Reverberi Enetec S R L Apparecchiatura integrata per la determinazione della luminanza del manto stradale, della quantita' di traffico e delle condizioni meteorologiche.
US9646495B2 (en) 2013-11-21 2017-05-0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traffic flow reporting, forecasting, and planning
US9622324B2 (en) 2013-11-21 2017-04-11 General Electric Company Geolocation aid and system
US10149369B2 (en) 2013-11-21 2018-12-04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of associating wireless control devices
US9420674B2 (en) 2013-11-21 2016-08-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treet lighting luminaires
US10509101B2 (en) 2013-11-21 2019-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Street lighting communications, control, and special services
US9621265B2 (en) 2013-11-21 2017-04-11 General Electric Company Street lighting control, monitoring, and data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US9060393B1 (en) * 2013-11-27 2015-06-16 Best Digital Co. Ltd. Light control system added security function based on CPTED and method thereof
US10154569B2 (en) 2014-01-06 2018-12-11 Cree, Inc. Power over ethernet lighting fixture
US9976714B2 (en) 2014-04-15 2018-05-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uminaire for crosswalk, method for mak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9549448B2 (en) 2014-05-30 2017-01-17 Cree, Inc. Wall controller controlling CCT
US9723680B2 (en) 2014-05-30 2017-08-01 Cree, Inc. Digitally controlled driver for lighting fixture
US10045427B2 (en) 2014-09-29 2018-08-07 Philips Lighting Holding B.V. System and method of autonomous restore point creation and restoration for luminaire controllers
FI125800B (en) * 2014-10-21 2016-02-29 Univ Aalto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network
WO2017084904A1 (en) 2015-11-19 2017-05-2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User determinable configuration of lighting devices for selecting a light scene
WO2017106969A1 (en) * 2015-12-21 2017-06-29 Le Henaff Guy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 intensity of a light source in a light network
US9967944B2 (en) 2016-06-22 2018-05-08 Cree, Inc. Dimming control for LED-based luminaires
US20180054706A1 (en) * 2016-08-19 2018-02-22 Abl Ip Holding Llc System for auto-commissioning of luminaires and asset tracking
US10595380B2 (en) 2016-09-27 2020-03-17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Lighting wall control with virtual assistant
CN106888537A (zh) * 2017-03-30 2017-06-23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照明系统及照明系统控制方法
JP6917922B2 (ja) * 2018-03-02 2021-08-11 株式会社東芝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器具、照明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4152893A1 (en) * 2021-09-15 2023-03-22 General Luminaire Co., Ltd. Human-factor lamp capable of intelligently adjusting ambient light and system thereof
DE102022117166A1 (de) 2022-07-11 2024-01-11 Zumtobel Lighting Gmbh Zentrale Schwarmsteuerung für Leuchte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4372A (en) * 1976-12-30 1978-07-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ghting device in combination of warning device and power line conveyance
JP3433608B2 (ja) * 1996-04-15 2003-08-04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
JPH10154587A (ja) * 1996-11-26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システム
US6548967B1 (en) * 1997-08-26 2003-04-15 Color Kinetics, Inc. Universal lighting network methods and systems
JP3896753B2 (ja) * 2000-02-29 2007-03-22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
WO2001097466A1 (en) 2000-06-13 2001-12-20 Red-M (Communications) Limited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EP1251721A1 (en) 2001-04-04 2002-10-23 Eles Semiconductor Equipment S.P.A. Urban remote surveillance system for street lamps
EP1202409B1 (en) * 2001-06-01 2003-04-16 Agilent Technologies, Inc. (a Delaware corporation) Tuning a laser
SE521058C3 (sv) 2002-05-21 2003-10-22 Cellux Ab Anordning för att tända och släcka belysningar vid väg, spår eller annan sträckning
US20030232598A1 (en) * 2002-06-13 2003-12-18 Daniel Aljadeff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usion management in a wireless network using physical location determination
DE50311772D1 (de) * 2002-10-09 2009-09-17 Manfred Kluth Beleuchtungseinrichtung mit Sensoren
JP4151390B2 (ja) * 2002-11-26 2008-09-17 松下電工株式会社 運転レベルの制御ユニット及び運転レベル制御システム
JP4080310B2 (ja) * 2002-11-29 2008-04-23 池田電機株式会社 照明システム
JP2006525640A (ja) * 2003-05-07 2006-11-0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通信ネットワーク素子を備えたランプ
JP4379196B2 (ja) * 2004-05-14 2009-12-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EP1862036B1 (en) * 2005-03-11 2008-12-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Grouping wireless lighting nodes according to a building room layout
US20090066473A1 (en) 2005-03-11 2009-03-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missioning wireless network devices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plan
US20080211427A1 (en) * 2005-06-02 2008-09-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JP5311557B2 (ja) 2005-06-23 2013-10-0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ネットワーク内の装置を設定する装置及び方法
WO2007029186A2 (en) * 2005-09-07 2007-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commissioning device and method
JP4508088B2 (ja) * 2005-10-27 2010-07-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照明制御システム
DE102007007031A1 (de) * 2006-02-09 2007-08-30 Mario Lehmann Steuerung für kommunale Beleuchtungseinrichtungen
EP1994803B1 (en) * 2006-03-06 2012-06-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 of decision trees for automatic commissioning.
EP1994686B1 (en) * 2006-03-06 2018-08-01 Koninklijke Philips N.V. Using position for node grouping
CN101496450B (zh) * 2006-07-26 2013-12-0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灯支撑设备和包括多个灯支撑设备与无线控制器的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8269A2 (en) 2011-04-13
US8791649B2 (en) 2014-07-29
JP2011528846A (ja) 2011-11-24
CN102106188A (zh) 2011-06-22
ES2702995T3 (es) 2019-03-06
TW201018313A (en) 2010-05-01
US20110115384A1 (en) 2011-05-19
WO2010010493A2 (en) 2010-01-28
CN102106188B (zh) 2015-02-18
JP5670895B2 (ja) 2015-02-18
EP2308269B1 (en) 2018-10-24
DK2308269T3 (en) 2019-01-14
WO2010010493A3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1537A (ko) 조명기구를 셋업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조명기구
US9253860B2 (en) Commissioning of lighting systems
EP1932396B1 (en) Method and device for grouping at least three lamps
CN108141713B (zh) 替换灯具中的启用无线通信的部件
CN108370628B (zh) 允许无线通信的灯
KR101190063B1 (ko)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20130241420A1 (en) Dynamic lighting control
EP3476185A1 (en) Emitting coded light from a multi-lamp luminaire
US11496932B2 (en) Beacon-based handover option for commissioning and control of wireless network devices
WO2010142764A2 (en) Lighting unit, network of lighting uni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 intensity of a lighting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ing unit
CN108029181B (zh) 照明器内多个无线通信灯单元的自动分组
KR20110003192A (ko) 가로등 시스템
FI125800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network
US11602030B2 (en) Luminaire with power failure detection
Muhendra et al. Development of street lights controller using wifi mesh network
KR101100371B1 (ko) 절전형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bhishek et al. Design of smart street lighting system
JP2013065452A (ja) 照明システム
JP7133732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ための自動パワーオンリスタートシステム
US11405869B2 (en) Energy optimized wireless communication for RF-enabled devices
US10694606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commissioning using lighting control system sensors
KR102188131B1 (ko) 휴대용 조명제어장치 및 그를 가지는 스마트 조명시스템
KR20190019473A (ko) 센서등 무선 자율 그룹제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 자율제어 센서등 장치
KR20220026985A (ko) 스마트 조명시스템 및 조명시스템의 id 등록 및 그룹핑 방법
KR20150145170A (ko) 조명 기기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는 조명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0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829

Effective date: 2018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