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949A - 점착테이프 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테이프 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949A
KR20110036949A KR1020117004657A KR20117004657A KR20110036949A KR 20110036949 A KR20110036949 A KR 20110036949A KR 1020117004657 A KR1020117004657 A KR 1020117004657A KR 20117004657 A KR20117004657 A KR 20117004657A KR 20110036949 A KR20110036949 A KR 2011003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822B1 (ko
Inventor
히데아키 니에다
히로시 시게미츠
도미오 가키타
야스히로 누마즈
요시유키 스즈키
다카히사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1003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comprising non-adhesive protru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잡한 형상의 점착제층을 단일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점착테이프 롤의 생산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테이프 기재(21)의 한쪽 면에 베이스층(41)과 원주형상의 볼록부(42)를 포함하는 점착제층(4)을 1회의 도공 공정으로 동시에 형성한다.

Description

점착테이프 롤 및 그 제조방법{ADHESIVE TAPE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점착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권회된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말하면, 점착테이프의 기능성의 향상과, 생산 비용의 저감의 양립을 도모하는 점착테이프 롤의 생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청소용 점착테이프 롤은, 한쪽 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점착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다중으로 권회되고, 전용의 지그를 장착하여, 바닥면 등의 피청소면 상에 접촉시키면서 굴림으로써, 피청소면 상의 먼지를 포착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점착테이프 롤의 대부분은, 기재(基材)의 대략 전체 면에 걸쳐 균일한 두께로 점착제가 도포된, 이른바 전체적으로 칠해진 타입의 점착테이프 롤이다. 전체적으로 칠해진 타입의 점착테이프 롤은,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전체 면으로 먼지를 포착(捕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반면, 전체 면에 점착제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를 롤형상으로 권회하였을 때에, 테이프가 딱딱하고, 바닥면에 있는 미세한 요철에 유연하게 따를 수 없으며, 작은 돌 등이 부착되면, 그 주위 부분의 점착면이 들떠서, 먼지의 포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칠해진 타입의 점착테이프 롤의 결점을 해소한 줄무늬로 칠해진 타입의 점착테이프 롤이 새롭게 개발되었다. 즉,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줄무늬로 칠해진 타입의 점착테이프 롤은, 점착제층과 미점착제층을 기재의 권회방향을 따라 교대로 줄무늬형상으로 배치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점착제층이 줄무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점착제층이 없는 부분이 공극(空隙)이 되어, 쿠션성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바닥면의 미소한 요철에 유연하게 따르고, 바닥면의 먼지를 대소 관계없이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줄무늬로 칠해진 타입의 점착테이프 롤은, 점착제를 전체 면에 도포하지 않는 만큼, 당연히 먼지의 포착력이 저하된다. 그래서, 특허문헌 2와 같은 점착테이프 롤의 개량품이 더 제공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점착테이프 롤은, 기재의 전체 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점착제층 상에 점착성이 약한 약점착제를 줄무늬형상으로 형성하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강약 2개의 점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카펫에도 플로어링에도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한 점착테이프 롤을 얻을 수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S59-157672호 공보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제2521127호 공보
그러나, 이 점착테이프 롤에도, 이하와 같은 과제가 남아 있다. 즉, 전체적으로 칠하는 것의 결점인 바닥으로의 들러붙음이나 쿠션성 부족은 해소되었으나, 줄무늬로 칠해진 부분을 약점착으로 한 것에 의하여, 줄무늬로 칠해진 부분에서의 먼지의 포착력이 저하된다는 결점이 생겼다.
이 외에도, 강약 2종류의 점착제를 준비해야 하고, 재료 가격이 높아진다. 또, 전체적으로 칠해진 층을 도공(塗工)한 위에 줄무늬로 칠해진 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2 공정을 필요로 하고, 제조 시간 및 가격이 그만큼 커진다.
또, 이 점착테이프를 권회하였을 때에, 줄무늬로 칠해진 층이 약점착제이기 때문에 점착면과 기재 배면(背面)의 박리 처리층의 유지성이 나쁘고, 테이프가 되감기기 쉬워진다. 또한, 줄무늬로 칠해진 층(약점착제층)이 베이스층(강점착재층)으로부터 박리하여, 바닥면으로 이행할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으로 칠해진 타입과 줄무늬로 칠해진 타입의 결점을 보충하고, 1개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쿠션성이 풍부한 점착테이프 롤의 생산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몇 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을 점착면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테이프 롤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단일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로서, 상기 기재의 한쪽 면의 대략 전체 면에 걸쳐 도포되고, 그 일부에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상기 오목부는 원주(圓柱)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점착테이프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점착테이프를 평면에서 보아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상기 점착테이프를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t,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T 및/또는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d라고 하였을 때, t > T, t > d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는, 이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방법도 포함된다. 즉,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의 한쪽 면을 점착면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단일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로서, 상기 기재의 한쪽 면의 대략 전체 면에 걸쳐, 그 일부에 두께가 다른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점착제를 도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상기 점착제층을 1개의 도공 롤러에 의하여 동시에 도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도공 롤러는, 롤러 표면에 소정의 프린트 모양이 형성되는 그라비어롤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의 점착제층의 일부에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에 의하여, 적절한 쿠션성을 가지고, 바닥면에 대한 추종성이 좋다. 또, 동일한 점착제에 의하여 점착제층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점착제의 포착력의 저하가 없고, 모든 점착제층에서 먼지를 균일하게 보충할 수 있다.
청구항 2 및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연속한 직선형상 또는 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플로어링이나 카펫 등 바닥면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1개의 점착테이프 롤로 모든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청구항 4 내지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볼록부 및/또는 상기 오목부는 원주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점착테이프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며, 그것들이 격자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피청소면 상의 먼지를 포착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층의 두께를 t,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T 및/또는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d라고 하였을 때, t > T, t > d로 한 것에 의하여, 베이스가 되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볼록부의 높이 및/또는 오목부의 깊이보다 크게 한 것에 의하여, 포착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 내지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한 점착제층을 도공 롤러로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도공공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공 롤러로서 롤러 표면에 소정의 프린트 모양이 형성되는 그라비어롤을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형상이어도 테이프 기재에 균일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 롤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평면도,
도 3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4(a), 도 4(b)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볼록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 롤의 사시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 롤의 사시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장치의 모식도, 도 11(b)는 제조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점착테이프 롤의 도공 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3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력의 측정 차트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 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제 1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 롤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 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요부(要部)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 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 롤의 점착제의 도포 형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포 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점착테이프 롤의 회전 저항을 비교 검토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점착테이프 롤(1A)은, 테이프 기재(21)의 한쪽 면에 먼지받이면(22)이 형성된 점착테이프(2)를 가지고, 그 먼지받이면(22)이 바깥쪽[도 1에서는 상면측(上面側)]을 향하도록 권심(3)을 따라 롤형상으로 권회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 있어서, 권심(3)은 보드지 등의 종이제 권심이 사용되어 있으나, 이것 외에 합성수지제의 권심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권심(3)을 사용하지 않고 권회하는, 이른바 코어리스 구조이어도 되고, 본 발명에 있어서 권심(3)의 구성은 임의이다.
점착테이프(2)의 먼지받이면(22)을 사이에 두고 폭방향의 양단(兩端)에는, 미점착부로서의 드라이 에지부(24, 24)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드라이 에지부(24, 24)는 임의적인 구성요소이다.
테이프 기재(21)는, 예를 들면, 종이제로 이면(裏面)[도 2에서는 하면(下面)]에는, 테이프 기재(21)의 보강 및 박리용으로서의 라미네이트 필름(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필름(23)은, 폴리에틸렌제로 테이프 기재(21)의 이면에 일체적으로 서로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기재(21)의 재질은, 사양에 따라 임의로 선택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필름(23)은 임의적인 구성요소이고, 테이프 기재(21)를 종이 대신에,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함으로써 필요 없게 할 수 있다. 또, 점착제의 조성(組成)을 컨트롤함에 의해서도, 라미네이트 필름(23)을 생략할 수 있다.
먼지받이면(22)은, 기재(21)에 따라 형성된 점착제층(4)에 의하여 구축되어 있다. 점착제층(4)은, 예를 들면 SIS(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계 등의 점착제를 테이프 기재(21)의 표면을 따라 똑같이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단일층이다.
점착제층(4)은, 테이프 기재(21)를 따라 소정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된 베이스층(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층(41)의 두께(t1)는 15 ㎛이다. 베이스층(41)의 상면에는, 볼록부(4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층(4)은, 베이스층(41)의 두께를 t, 볼록부(42)의 높이를 T라고 하였을 때, t > T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t > 3T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베이스층(41)의 두께를 t, 볼록부(42)의 높이를 T라고 하였을 때, t > T로 한 것에 의하여, 기본적인 포착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고, 점착테이프(2)의 점착제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볼록부(42)는, 점착테이프(2)의 폭방향(도 2에서는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점형상(도트형상)이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직경(φ1) : 3 ㎜이고 높이(T1) : 5 ㎛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볼록부(42)의 높이(T1)가 5 ㎛로 낮기 때문에, 볼록부(42)보다 베이스층(41) 쪽이 점착성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볼록부(42)에 의하여 적당한 쿠션성이 생긴다. 반대로, 볼록부(42)의 높이(T1)가 5 ㎛를 넘은 경우, 베이스층(41)이 피청소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져서, 점착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 있어서, 볼록부(42)는, 폭방향(도 2에서는 좌우방향)과 권회방향(도 2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격자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 외에,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형상으로 배치된 각 볼록부(42)의 사이에 생긴 공간을 메우도록 작은 볼록부(43)[제 2 볼록부(43)]를 배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피설치면에 대하여 볼록부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점착테이프(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용의 절단눈금(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절단눈금(5)은, 둘레 길이로 하여 360° 미만이 되는 간격으로 점착테이프(2)의 권회방향에 대하여 직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미싱눈금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 있어서 절단눈금(5)의 구체적인 구성은 임의이어도 된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일하다고 간주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점착테이프 롤(1B)은, 테이프 기재(21)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4)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층(4)은, 테이프 기재(21)를 따라 형성된 베이스층(41)과, 이 베이스층(41)의 일부가 오목하게 된 복수의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점착제층(4)은, 베이스층(41)의 두께를 t, 오목부(44)의 깊이를 d라고 하였을 때, t > d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t > 3d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 있어서, 점착제층(4)은, 두께 20 ㎛로 테이프 기재(21)를 따라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44)는, 점착제층(4)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 예에서는 직경(φ2) : 3 ㎜이고 깊이(d) : 5 ㎛의 원형상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점착테이프(2)의 기본적인 점착력은, 베이스층(41)에 의하여 작용하고, 오목부(44)는, 깊이(d)가 5 ㎛로 얕기 때문에, 적당한 쿠션성을 확보하면서, 오목부(44)의 저부(底部)도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먼지의 포착성이 좋다. 반대로, 오목부(44)의 깊이(d)가 5 ㎛보다 큰 경우는, 오목부(44)의 저부가 피청소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져서, 포착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에 있어서, 오목부(44)는, 그 저부에 점착제가 남아 있고, 점착테이프(2)의 폭방향과 권회방향을 따라 격자형상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작은 오목부를 더 설치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 롤에 대하여 설명하나, 상기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일하다고 간주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점착테이프 롤(1C)은, 상기한 각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테이프 기재(21)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4)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제층(4)의 일부에는, 볼록부(45)가 테이프 기재(21)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점착제층(4)은, 두께(t2) : 15 ㎛가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볼록부(45)는 테이프 기재(21)의 권회방향(도 8에서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도 8에서는 좌우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볼록부(45)는 폭(W)이 1.5 ㎜, 높이(T2) : 5 ㎛이고, 테이프 기재(21)의 권회방향을 따라 연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볼록부(45)의 높이가 5 ㎛로 낮기 때문에, 베이스층(41)이 점착성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볼록부(45)에 의하여 적당한 쿠션성이 생긴다. 반대로, 볼록부(45)의 높이가 5 ㎛를 넘은 경우, 베이스층(41)이 피청소면에 접촉하기 어려워져서, 점착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 예에 있어서, 볼록부(45)는 점착제층(41)의 권회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기재(21)의 폭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나선형상이나 파선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연속한 볼록형상이면, 그 외의 형상도 포함된다. 볼록부(45) 대신에,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오목홈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장치(100)는, 점착제(111)가 저류된 리저버(110)와, 일부가 이 리저버(110)의 점착제(111)에 담가지도록 설치되는 전사(轉寫)롤(120)과, 테이프 기재(21)를 사이에 두고 전사롤(12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레스롤(130)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점착제(111)는 리저버(110)에 저류되고, 그곳에 전사롤(120)을 담금으로써, 점착제(111)가 전사롤(12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나,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롤(120)에 가이드롤(140)을 접촉시켜서, 전사롤(120)과 가이드롤(14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점착제(111)를 저류하도록 하여도 된다.
전사롤(120)은, 이 예에 있어서 롤 표면에 에칭 가공에 의하여 오목형 면(121)이 설치된, 이른바 그라비어롤이 사용되고 있다. 전사롤(120)에는, 전사롤(120)에 부착된 점착제(111)를 고르게 함과 함께, 잉여분을 제거하기 위한 스퀴지(150)가 설치되어 있다.
점착제층(4)을 도공함에 있어서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저버(120) 내에 잠긴 전사롤(120)을 회전시킴으로써, 오목형 면(121) 내에 점착제(111)가 충전된다.
전사롤(120)을 더 회전시키면, 전사롤(120)의 단부(端部) 표면에 접촉한 스퀴지(150)에 의하여 오목형 면(121) 내에 점착제(111)가 골고루 퍼짐과 함께, 밀려나온 잉여분의 점착제(111)가 제거된다.
스퀴지(150)를 통과한 전사롤(120)을 따라 테이프 기재(21)의 한쪽 면이 접촉하도록 공급되고, 다른 쪽의 면은 가이드롤(130)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것에 의하여,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형 면(121) 내에 충전된 점착제(111)가 테이프 기재(21)에 전사되어, 점착제층(4)의 베이스층(41)과 볼록부(42)가 동시에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면, 테이프 기재(21)의 표면을 따라 얇고 균일한 베이스층(41)이 형성됨과 함께, 베이스층(41) 상의 일부에 볼록부(42)가 동시에 형성된 것에 의하여, 도공공정을 적게, 점착제의 사용량도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생산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검토한다. 먼저, 종이제 기재(폭 150 ㎜)의 한쪽 면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의 점착제층(4)을 형성한 점착테이프를 준비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점착력의 측정 방법은, 스테인리스판에 점착테이프를 붙여서 30분 방치한 후, 일단(一端)에서 타단(他端)에 이르기까지를 서서히 벗겨갔을 때의 점착력을 계측하였다. 이하에,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베이스층 15 ㎛ + 볼록부 5 ㎛
<비교예 1> 베이스층 10 ㎛만
<비교예 2> 베이스층 15 ㎛만
<비교예 3> 베이스층 30 ㎛만
<비교예 4> 줄무늬 칠 20 ㎛
<비교예 5> 줄무늬 칠 35 ㎛
<비교예 6 > 볼록부 30 ㎛만
이것에 의하면, 비교예 1을 기준값으로 한 경우, 비교예 2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1.5배로 하여도 점착력은 약 1할 정도밖에 향상되지 않고, 점착제량을 늘려도 그다지 큰 효과는 없다.
비교예 3은, 점착제층의 두께를 3배로 하면, 점착력이 대폭 향상되나, 점착력이 15N을 넘기 때문에, 피청소면 측에 점착제가 전사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비교예 4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2배이나, 줄무늬로 칠해졌기 때문에, 종합적인 점착력은 비교예 1과 대략 동등하거나 그 이하이다.
비교예 5는, 점착제층의 두께는 3.5배이나, 점착력은 비교예 1과 대략 동등하고, 쿠션성이 향상되는 만큼, 포착성은 좋다.
비교예 6은, 볼록부만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층인 것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대하여 점 접촉으로 상하동(上下動)을 반복하고, 그 점착력의 평균값은 비교예 1보다 떨어진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 1은, 볼록부가 점 접촉으로 상하동을 반복하면서도, 베이스층이 기본적인 점착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하한값이 완전히 떨어지지 않고, 실시예 1보다 쿠션성이 좋은 만큼, 포착성은 향상된다.
1A∼1B : 점착테이프 롤 2 :점착테이프
21 :테이프 기재 22 : 먼지받이면
23 : 라미네이트 필름 24 : 드라이 에지부
3 : 권심 4 : 점착제층
41 : 베이스층 42, 43, 45 : 볼록부
44 : 오목부 5 : 절단눈금

Claims (10)

  1. 기재(基材)의 한쪽 면을 점착면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테이프 롤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단일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로서, 상기 기재의 한쪽 면의 대략 전체 면에 걸쳐 도포되고, 그 일부에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상기 오목부는 원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점착테이프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점착테이프를 평면에서 보아 격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는, 상기 점착테이프를 평면에서 보아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를 t,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T 및/또는 상기 오목부의 깊이를 d라고 하였을 때, t > T, t > 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
  8. 기재의 한쪽 면을 점착면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단일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로서, 상기 기재의 한쪽 면의 대략 전체 면에 걸쳐, 그 일부에 두께가 다른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점착제를 도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상기 점착제층을 1개의 도공 롤러에 의하여 동시에 도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공 롤러는, 롤러 표면에 소정의 프린트 모양이 형성되는 그라비어롤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테이프 롤의 제조방법.
KR1020117004657A 2008-07-28 2009-06-29 점착테이프 롤 및 그 제조방법 KR101623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3021A JP2010029341A (ja) 2008-07-28 2008-07-28 粘着テープロ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8-193021 2008-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949A true KR20110036949A (ko) 2011-04-12
KR101623822B1 KR101623822B1 (ko) 2016-05-24

Family

ID=4161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657A KR101623822B1 (ko) 2008-07-28 2009-06-29 점착테이프 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029341A (ko)
KR (1) KR101623822B1 (ko)
CN (1) CN102112039B (ko)
WO (1) WO20100133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675B1 (ko) * 2015-10-29 2016-09-02 주식회사 엔에스엠글로벌 점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9750B1 (ko) * 2016-01-12 2017-03-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엠보 점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4946B2 (ja) * 2010-02-02 2011-09-07 株式会社ニトムズ 清掃用粘着テープロール
CN103040423A (zh) * 2012-12-13 2013-04-17 郑运婷 毛发贴卷
CN103040424A (zh) * 2012-12-13 2013-04-17 郑运婷 粘发扫
CN103082980B (zh) * 2013-01-08 2014-11-05 郑运婷 弹性粘发扫装置
JP6652805B2 (ja) * 2015-09-30 2020-02-26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再剥離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771567B1 (ko) 2017-01-26 2017-09-05 주식회사 가야 터널 현상이 개선된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GB2572649A (en) * 2018-04-06 2019-10-09 Illinois Tool Works Improved adhesive roll
CN109110553A (zh) * 2018-07-10 2019-01-01 浙江纳鑫胶带制品有限公司 一种粘尘胶带滚筒及其收纳盒
CN111940417A (zh) * 2019-05-16 2020-11-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清胶装置及清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0665A (ja) * 1985-02-04 1986-08-13 Honda Motor Co Ltd サイアミ−ズ型シリンダブロツクの製造方法
JP2521127Y2 (ja) * 1985-04-26 1996-12-25 株式会社ニトムズ クリ−ナ−用ロ−ル巻粘着テ−プ
EP0365711B1 (de) * 1988-10-28 1994-01-05 Kufner Textil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asterförmigen Beschichten von flexiblen Flächengebilden und deren Fertigungsprodukte
JPH0662976U (ja) * 1993-02-12 1994-09-06 樋口 雄三 掃除機用ローラー
JP2560926Y2 (ja) * 1993-03-08 1998-01-26 持田商工株式会社 クリーナー
CA2173855C (en) * 1993-10-29 2007-06-26 Mieczyslaw H. Mazurek Pressure-sensitive adhesives having microstructured surfaces
US20030039822A1 (en) * 2001-08-17 2003-0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aminant removal tape assembly, a roll of contaminant removal tape, and methods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su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675B1 (ko) * 2015-10-29 2016-09-02 주식회사 엔에스엠글로벌 점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9750B1 (ko) * 2016-01-12 2017-03-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엠보 점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822B1 (ko) 2016-05-24
JP2010029341A (ja) 2010-02-12
CN102112039A (zh) 2011-06-29
WO2010013387A1 (ja) 2010-02-04
CN102112039B (zh)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6949A (ko) 점착테이프 롤 및 그 제조방법
JP2010029341A5 (ko)
KR20110036950A (ko) 점착테이프 롤 및 그 제조방법
KR101182732B1 (ko) 점착제 도공용 그라비어롤, 점착테이프 및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1123917B1 (ko) 청소용 점착 테이프롤 및 점착 테이프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307532A1 (en) Laminated film with backing layer, and film roll of same
JPH06509601A (ja) 極めて薄い接着テープ、それを得るための複合材料のロールおよびそれらを提供する方法
JP4764946B2 (ja) 清掃用粘着テープロール
JP5202273B2 (ja) 粘着テープロール
JP2521127Y2 (ja) クリ−ナ−用ロ−ル巻粘着テ−プ
JP5216564B2 (ja) 粘着テープロール
JPH076252U (ja) 粘着テープ
JP2016516849A (ja) 液漏れ防止マスキング材、マスキング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32110B1 (ko) 청소용 점착 테이프 롤
EP0171869A1 (en) Adhesive cleaner
JP4328571B2 (ja) 粘着式清掃具
JPH0354691Y2 (ko)
JP4011909B2 (ja) 清掃用粘着テープ
JP7264447B2 (ja) 除塵用ロール
KR101102997B1 (ko) 떼기 쉬운 접착용 테이프 제조방법과 그 테이프
JPH0230427Y2 (ko)
KR20150053150A (ko) 웹 권취용 코어
JPH09106251A (ja) 台紙なし感圧性ラベル連続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125159A (ja) 導電性テープ構造、帯電防止床および帯電防止床の施工方法
JPS60230843A (ja) 養生用テ−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