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559A - 화물의 승·하차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의 승·하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559A
KR20110033559A KR1020090091105A KR20090091105A KR20110033559A KR 20110033559 A KR20110033559 A KR 20110033559A KR 1020090091105 A KR1020090091105 A KR 1020090091105A KR 20090091105 A KR20090091105 A KR 20090091105A KR 20110033559 A KR20110033559 A KR 20110033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ing
winch drum
loading
guide roller
lif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730B1 (ko
Inventor
조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세시큐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세시큐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세시큐리티
Priority to KR102009009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7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 B60P1/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mechanical gearing only with cabl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pivoted arms raisable abov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고, 적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화물 승·하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Figure P1020090091105
화물 승·하차 장치

Description

화물의 승·하차 장치{TAKING A TRUCK AND AND GETTING OFF OF FREIGT}
본 발명은 화물의 승·하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고, 적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 차량 중에서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물차량으로서 화물의 도난을 방지하고, 비밀을 요하거나 또는 특정 온도를 유지하여야만 하는 화물을 수송하는 탑차에 대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7916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7916호에 개시되어 있는 탑차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 공간에 밀폐 공간을 이루는 적재함(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적재함(10)은 적재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바디 프레임과, 상기 바 디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어 밀폐 공간을 이루는 패널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패널은 강성과 강도는 높으면서 중량이 가벼운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알루미늄 패널로 외관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10)의 양측 벽면 뒤쪽 가장자리에 양측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다수의 힌지 부재(16)로 각각 연결된 한쌍의 도어(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12)의 양측은 잠금유니트(14)가 설치되어 도어(12)를 개방하거나 또는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탑차는 운반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냉장장치나, 냉동장치 등이 설치되기도 하지만 화물을 용이하게 승차 및 하차시키기 위하여 적재함의 바닥면 일측에 화물 이송장치(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화물 이송장치(2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구동모터(21)에 기어 물림되고, 상기 적재함(10)의 바닥면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1)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21)의 축에 연결된 감속기(22)에서 회전력이 감속된다
상기 감속기(22)에서 감속된 회전력은 감속기(22)의 축(22a)을 통해서 구동 스프라켓(23)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구동 스프라켓(23)과 종동 스프라켓(24)에 맞물려 있는 체인(2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체인(25)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설치된 컨베이어 패널(26)이 상기 적재함(10)의 앞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컨베이어 패널(26)의 상부에는 화물(27a)이 적재되는 상기 적재부재(2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컨베이어 패널(26)이 상기 적재함(10)의 앞쪽으 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적재부재(27) 상에 적재된 화물(27a)이 상기 적재함(10)의 앞쪽으로 이송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7916호에 개시되어 있는 탑차는 상기 적재함(10)의 앞쪽으로 이송되어 온 적재부재(27)에 적재된 화물(27a)을 적재함(10)의 일측에 내려 놓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21)를 계속 구동시켜도 상기 재함(10)에 적재된 화물(27a)의 하중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패널(26)을 이송시킬 수 없어 화물(27a)을 상차(적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21)에 과부하가 걸려서 상기 구동모터(21)가 손상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7916호에 개시되어 있는 탑차는 적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없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 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물의 승·하차 장치는 탑차의 적재함의 앞쪽 벽체 전방에 설치되어 인양 와이어를 풀어주거나 또는 권취하는 윈치 드럼과, 상기 윈치 드럼의 앞쪽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롤러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를 풀거나 권취하도록 상기 윈치 드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제1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와, 상기 적재함의 길이방향 바닥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의 정·역화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윈치 드럼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를 스평방향으로 풀거나 또는 권취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롤러와, 상기 윈치 드럼의 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를 수직방향으로 방향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윈치 드럼의 반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롤러 및 제1 가이드 롤러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윈치 드럼에 상기 인양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안쪽 벽체 내측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윈치 드럼의 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윈치 드럼의 반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 제2 및 제1 가이드 롤러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윈치 드럼에 상기 인양 와이어를 권취하도록 상기 안쪽 벽체 내의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 상부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와, 지지프레임(121)에 설치되어 롤 테이너에 설치된 다수의 원형고리를 클램프하도록 상기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클램프 고리를 상기 적재함의 하부 또는 리어 도어 뒤쪽 하부로 상기 인양 와이어를 풀어내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 고리에 의해 클램프된 상기 롤 테이너를 상기 적재함 상으로 인양시에 상기 윈치 드럼에 권취하도록 상기 인양 와이어를 상기 제2 방향전환 롤러 쪽으로 가이드하는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를 상기 적재함의 앞쪽에서 뒤쪽 또는 뒤쪽에서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지 프레임에 일측이 각각 설치된 한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에 볼 베어링을 개재해서 각각 삽입되며 상기 탑차의 적재함 좌·우측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지지부재를 개재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탑차의 적재함 앞쪽 벽체 외측 및 리어 도어 외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는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과,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에 맞물림 과 동시에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체인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을 정·역회전시켜서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시키도록 축이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2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와, 화물이 담겨진 상기 롤 테이너를 상기 적재함에 끌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적재함에 실려있는 상기 롤 테이너를 하차시키도록 상기 적재함의 바닥 외주면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에 상부 절곡부가 걸려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경사지게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판넬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물의 승·하차 장치에 의하면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고, 적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탑차의 적재함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사용해서 화물이 실려 있는 롤 테이너를 리어 도어를 열고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사용해서 화물이 실려 있는 롤 테이너를 사이드 도어를 열고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10은 도 5에서 앞쪽 벽체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5에서 슬라이더와 체인의 설치관계를 확대해서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는 탑차(100)의 적재함(102)의 앞쪽 벽체(102a) 전방에 설치되어 인양 와이어(112)를 풀어주거나 또는 권취하는 윈치 드럼(110)과, 상기 윈치 드럼(110)의 앞쪽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롤러(113)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풀거나 권취하도록 상기 윈치 드럼(1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제1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114)와, 상기 적재함(102)의 길이방향 바닥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114)의 정·역화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윈치 드럼(11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스평방향으로 풀거나 또는 권취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롤러(116)와, 상기 윈치 드럼(110)의 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롤러(116)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수직방향으로 방향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윈치 드럼(110)의 반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롤러(116) 및 제1 가이드 롤러(113)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윈치 드럼(110)에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권취하도록 상기 적재함(102)의 안쪽 벽체(102a) 내측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와, 상기 윈치 드럼(110)의 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윈치 드럼(110)의 반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 제2 및 제1 가이드 롤러(116,113)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윈치 드럼(110)에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권취하도록 상기 안쪽 벽체(102a) 내의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 상부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0)와, 지지프레임(121)에 설치되어 롤 테이너(150)에 설치된 다수의 원형고리(152)를 클램프하도록 상기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0)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클램프 고리(123)를 상기 적재함(102)의 하부 또는 리어 도어(102b) 뒤쪽 하부로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풀어내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 고리(123)에 의해 클램프된 상기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 상으로 인양시에 상기 윈치 드럼(110)에 권취하도록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상기 제2 방향전환 롤러(120)쪽으로 가이드하는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2)와, 상기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2)를 상기 적재함(102)의 앞쪽에서 뒤쪽 또는 뒤쪽에서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지 프레임(121)에 일측이 각각 설치된 한쌍의 슬라이더(124)와, 상기 슬라이더(12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 더(1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에 볼 베어링(125)을 개재해서 각각 삽입되며 상기 탑차(100)의 적재함(102) 좌·우측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지지부재(126a)를 개재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126)과, 상기 탑차(100)의 적재함(102) 앞쪽 벽체(102a) 외측 및 리어 도어(102b) 외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126)의 양단부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는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128,129)과, 상기 슬라이더(124)를 상기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128,129)에 맞물림과 동시에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더(124)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체인(131)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128)을 정·역회전시켜서 상기 슬라이더(124)를 상기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전·후진시키도록 축(133a)이 상기 구동 스프라켓(128)에 결합되는 제2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133)와, 화물이 담겨진 상기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에 끌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적재함(102)에 실려있는 상기 롤 테이너(150)를 하차시키도록 상기 적재함(102)의 바닥 외주면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103)에 상부 절곡부(135a)가 걸려서 상기 적재함(102)의 바닥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경사지게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판넬(13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26)은 금속봉 또는 앵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봉으로는 다각형 형상의 봉을 사용할 수 있으나, 원형 금속봉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앵글로는 ㄴ자형상의 앵글, ㄷ자형상의 앵글 또는 C자형상의 앵글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120)는 상기 탑차(100)의 앞쪽 벽체(102a)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02d)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롤 테이너(150)에는 다수의 원형고리(152)가 상기 롤 테이너(150)의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롤 테이너(150)의 벽면 상부에 각각 설치해도 되며, 상기 롤 테이너(150)의 중간 높이 외측벽면에 각각 설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 롤러(118,12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2)의 앞쪽 벽체(102a)에 형성된 관통구멍(102d)의 큰 직경부 내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 롤러(118,120)의 기단부에 형성된 원형걸림부를 삽입한 후에 상기 관통구멍(102d)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폭이 좁은 부분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 롤러(118,120)가 상기 관통구멍(102d)의 폭이 좁은 부분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 롤러(118,120)를 상기 앞쪽 벽체(102a)에 형성된 관통구멍(102d)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99는 상기 리어 도어(102b)를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이고, 114a는 윈치 드럼(110)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으로서, 상기 제1 기어드 모터(114)의 축(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고, 129a는 상기 종동 스프라켓(128,129)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고, 102c는 탑차의 사이드 도어이고, 150a는 상기 롤 테이너(150)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이고, 135b는 상기 가 이드 판넬(135)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보조 다리로서, 상기 가이드 판넬(135)의 하단부에 힌지(135c)를 개재해서 접거나 또는 펼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적재함(102)의 배면쪽에 설치된 리어 도어(102c)를 열고, 적재함(102)의 바닥면 외부 둘레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103)에 가이드 판넬(135)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부 절곡부(135a)를 걸고나서 상기 가이드 판넬(135)의 하부쪽을 화물이 담겨있는 롤 테이너(150)에 근접시켜서 경사지게 설치한다.
다음에, 제1 기어드 모터(133)을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서 슬라이더(124)를 적재함(102)의 앞쪽 벽체(102a) 내면 측에 위치시키면, 상기 슬라이더(124)가 적재함(102)의 앞쪽 벽체(102a) 내면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24)의 하부에 지지 프레임(121)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지 프레임(121)의 하부에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2)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 프레임(121) 및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2)가 적재함(102)의 앞쪽 벽체(102a) 내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제1 기어드 모터(1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2)로부터 인출된 인양 와이어(112)의 선단부에 설치된 다수의 클램프 고리(123 ; 편리상 도 5 및 도 6에서 하나의 클램프 고리를 도시하고 있음)를 잡아당기면, 윈치 드럼(110)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인양 와이어(112)가 풀리면서 제1 가이드 롤러(113)를 개재하여 상기 제2 가이드 롤러(116)의 수평방향으로 안내 를 받아 제1 방향전환 롤러(118)에서 수직방향으로 방향전환된다.
상기 제1 방향전환 롤러(118)에서 수직방향으로 방향전환된 상기 인양 와이어(112)는 제2 방향전환 롤러(120)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제3 방향전환 롤러(122)를 통해서 하부로 인출된다.
상기 제3 방향전환 롤러(122)를 통해서 하부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의 선단부에 설치된 상기 클램프 고리(123)를 작업자가 잡아당겨서 화물이 담겨있는 상기 롤 테이너(150)에 설치된 다수의 원형고리(152)에 상기 클램프 고리(123)를 걸고나서 상기 제1 기어드 모터(114)를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면 상기 윈치 드럼(110)의 축이 상기 제1 기어드 모터(114)의 축(114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윈치 드럼(110)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윈치 드럼(110)의 외주면에 상기 인양 와이어(112)가 권취되면서(감기면서) 상기 롤 테이너(150)가 가이드 판넬(135)을 따라서 탑차(100)의 적재함(102)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롤 테이너(150)가 적재함(102)에 상차(적재)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윈치 드럼(110)의 축이 상기 제1 기어드 모터(114)의 축(114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윈치 드럼(110)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윈치 드럼(110)의 외주면에 상기 인양 와이어(112)가 권취되면서(감기면서) 상기 롤 테이너(150)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150a)가 상기 가이드 판넬(135)을 따라서 탑차(100)의 적재함(102)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롤 테이너(150)가 적재함(102)에 상차된다.
상기 적재함(102)에 상차된 상기 롤 테이너(150)는 상기 롤 테이너(150)의 원형 고리(152)에 클램프되어 있는 상기 클램프 고리(123)를 제거한 후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드 모터(114)를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서 상기 윈치 드럼(110)에 권취되어 있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풀어주면서 상기 클램프 고리(123)를 작업자가 잡아당겨서 화물이 담겨있는 또 다른 롤테이너(150)를 인양하여 상기 적재함(102)에 상차한다.
상기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에 상차할 경우에는 상기 제1 기어드 모터(1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윈치 드럼(110)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됨에 따라 상기 인양 와이어(112)가 제3 방향전환 롤러(122)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2 방향전환 롤러(120)로 되돌아 가며, 상기 제2 방향전환 롤러(120)로 되돌아가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는 상기 제2 방향전환 롤러(120)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1 방향전환 롤러(118)에서 수평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변환)되어 상기 제2 가이드 롤러(116)에서 방향이 전환된 후에 제1 가이드 롤러(113)의 안내를 받아 상기 윈치 드럼(110)에 권취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적재함(102) 상에 상차된 상기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의 앞쪽에 화물이 담겨있는 그대로 적재한다.
이와 같이 서류가 담긴 상기 롤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의 앞쪽으로부터 적재하면 상기 제2 기어드 모터(133)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더(124)가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상기 적재함(102)의 뒤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24)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124)이 상기 적재함(102)의 뒤쪽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지지 프레임(124)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제 3 방향전환 롤러(122)도 함께 상기 적재함(102)의 뒤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방향전환 롤러(122)를 상기 적재함(102)의 뒤쪽으로 이동시킨 후에 서류가 담긴 상기 롤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의 뒤쪽에 적재한다.
다음에 서류를 파쇄하는 공장에 복귀하면 도시하지 않은 파쇄기에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롤 테이너(150)의 상차시와는 반대로 작업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승·하차 장치를 작동시켜서 서류가 담겨있는 상기 롤 테이너(150)를 하역시킨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롤 테이너(150)의 형상은 상기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에 적재 및 하역시키기 편리한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적재함(102)의 사이드 도어(102c)를 열고 화물이 담겨있는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에 적재할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2)의 왼쪽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103)에 상기 가이드 판넬(135)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부 절곡부(135a)를 걸고, 상기 적재함(102)의 오른 쪽에 걸려있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 및 클램프 고리(123)를 상기 제3 방향전환 롤러(122)로부터 제거한 후에, 상기 제2 및 제1 방향전환 롤러(120,118)를 상기 적재함(102)의 앞쪽 벽체(102a)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롤러(116)의 핀을 뽑아서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상기 제2 가이드 롤러(116)에 방향을 바꾸어서 다시 건다.
다음에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상기 적재함(102)의 앞쪽 벽체(102a) 좌측 에 설치된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전환 롤러(118,120,122)에 걸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적재함(102)의 사이드 도어(102c)를 통해서 화물이 담겨있는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에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사용해서 화물이 실려 있는 롤테이너를 적재함(102)에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함에 적재된 롤테이너를 하역하는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드 모터(133)을 시계방향으로 선회시켜서 상기 윈치 드럼(110)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인양 와이어(112)를 풀고, 제1 가이드 롤러(113), 제1 방향전환 롤러(118), 및 제2 방향전환 롤러(120)를 통해서 제3 방향전환 롤러(122)에 건 다음 상기 인양 와이어(112)의 선단부에 상기 클램프 고리(123)을 걸어서 상기 롤 테이너(150)를 상기 탑차(100)의 적재함(102)에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함(102)에 적재된 롤테이너(150)를 하역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상·하차 장치를 사용하여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할 수 있으므로, 화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고, 적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화물의 적재 및 하역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 변경할 수 있 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탑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적재함의 상부 덮개를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승·하차 장치를 탑차의 적재함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승·하차 장치를 사용해서 화물이 실려 있는 롤 테이너를 리어 도어를 열고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 승·하차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 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사용해서 화물이 실려 있는 롤테이너를 사이드 도어를 열고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서 앞쪽 벽체에 형성된 관통구멍 내에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5에서 슬라이더와 체인의 설치관계를 확대해서 도시한 부분단면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물의 승·하차 장치를 사용해서 화물이 실려 있는 롤테이너를 적재함에 적재하거나 또는 하역하는 다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탑차 102:적재함
102a:앞쪽 벽체 102b:리어 도어
102c:사이드 도어 103:고정 브라켓
110:윈치 드럼 112:인양 와이어
113:제1 가이드 롤러 114:제1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
116:제2 가이드 롤러 118: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
120: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 121:지지 프레임
122: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 123:클램프 고리
124:슬라이더 125:볼 베어링
126:가이드 레일 126a:지지부재
128:구동 스프라켓 129:종동 스프라켓
129a:축 131:체인
133a:축 133:제2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
135:가이드 판넬 135a:상부 절곡부
135b:보조다리 135c:힌지
150:롤 테이너 150a:캐스터
152:원형고리

Claims (6)

  1. 탑차(100)의 적재함(102)의 앞쪽 벽체(102a) 전방에 설치되어 인양 와이어(112)를 풀어주거나 또는 권취하는 윈치 드럼(110)과,
    상기 윈치 드럼(110)의 앞쪽에 설치된 제1 가이드 롤러(113)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풀거나 권취하도록 상기 윈치 드럼(1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제1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114)와,
    상기 적재함(102)의 길이방향 바닥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114)의 정·역화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윈치 드럼(11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의 선회에 연동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스평방향으로 풀거나 또는 권취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롤러(116)와,
    상기 윈치 드럼(110)의 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롤러(116)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수직방향으로 방향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윈치 드럼(110)의 반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2 가이드 롤러(116) 및 제1 가이드 롤러(113)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윈치 드럼(110)에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권취하도록 상기 적재함(102)의 안쪽 벽체(102a) 내측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와,
    상기 윈치 드럼(110)의 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함과 동시 에, 상기 윈치 드럼(110)의 반시계방향 선회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 제2 및 제1 가이드 롤러(116,113)를 개재하여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수평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상기 윈치 드럼(110)에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권취하도록 상기 안쪽 벽체(102a) 내의 상기 제1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 상부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0)와,
    지지프레임(121)에 설치되어 롤 테이너(150)에 설치된 다수의 원형고리(152)를 클램프하도록 상기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0)에서 인출되는 상기 인양 와이어(112)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다수의 클램프 고리(123)를 상기 적재함(102)의 하부 또는 리어 도어(102b) 뒤쪽 하부로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풀어내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 고리(123)에 의해 클램프된 상기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 상으로 인양시에 상기 윈치 드럼(110)에 권취하도록 상기 인양 와이어(112)를 상기 제2 방향전환 롤러(120)쪽으로 가이드하는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2)와,
    상기 제3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22)를 상기 적재함(102)의 앞쪽에서 뒤쪽 또는 뒤쪽에서 앞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지지 프레임(121)에 일측이 각각 설치된 한쌍의 슬라이더(124)와,
    상기 슬라이더(12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124)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에 볼 베어링(125)을 개재해서 각각 삽입되며 상기 탑차(100)의 적재함(102) 좌·우측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지지부재(126a)를 개재하여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126)과,
    상기 탑차(100)의 적재함(102) 앞쪽 벽체(102a) 외측 및 리어 도어(102b) 외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126)의 양단부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는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128,129)과,
    상기 슬라이더(124)를 상기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128,129)에 맞물림과 동시에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더(124)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고정설치된 한쌍의 체인(131)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128)을 정·역회전시켜서 상기 슬라이더(124)를 상기 가이드 레일(126)을 따라 전·후진시키도록 축(133a)이 상기 구동 스프라켓(128)에 결합되는 제2 정·역회전 기어드 모터(133)와,
    화물이 담겨진 상기 롤 테이너(150)를 상기 적재함(102)에 끌어올림과 동시에, 상기 적재함(102)에 실려있는 상기 롤 테이너(150)를 하차시키도록 상기 적재함(102)의 바닥 외주면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103)에 상부 절곡부(135a)가 걸려서 상기 적재함(102)의 바닥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경사지게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판넬(13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26)은 금속봉 또는 앵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26)은 다각형 형상의 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26)은 원형 금속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26)은 ㄴ자형상의 앵글, ㄷ자형상의 앵글 또는 C자형상의 앵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전환 가이드 롤러(118,120)는 상기 탑차(100)의 앞쪽 벽체(102a)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02d)에 착탈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의 승·하차 장치.
KR1020090091105A 2009-09-25 2009-09-25 화물의 승·하차 장치 KR10103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105A KR101036730B1 (ko) 2009-09-25 2009-09-25 화물의 승·하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105A KR101036730B1 (ko) 2009-09-25 2009-09-25 화물의 승·하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559A true KR20110033559A (ko) 2011-03-31
KR101036730B1 KR101036730B1 (ko) 2011-05-24

Family

ID=4393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105A KR101036730B1 (ko) 2009-09-25 2009-09-25 화물의 승·하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7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4221A (zh) * 2013-02-01 2014-08-06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滑动绞盘提升系统
KR20180001260U (ko) * 2016-10-25 2018-05-04 정환교 화물차 화물이송용 윈치장치
KR20230097419A (ko) 2021-12-24 2023-07-03 이동원 그라스울 지붕판넬용 보드의 자동절단 및 적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043A (ko) * 1999-08-09 2001-03-15 허태균 차량용 화물 적재장치
KR20030033208A (ko) * 2001-10-19 2003-05-01 방승모 화물 차량용 적재함
KR20030027916A (ko) * 2003-03-07 2003-04-07 세븐지엔텍 Camel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능망에 의한 통화연결음 서비스 등록 및 송출 제어 방법
KR200327916Y1 (ko) 2003-06-28 2003-09-26 주식회사 리밴스 탑차용 화물 이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4221A (zh) * 2013-02-01 2014-08-06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滑动绞盘提升系统
KR20180001260U (ko) * 2016-10-25 2018-05-04 정환교 화물차 화물이송용 윈치장치
KR20230097419A (ko) 2021-12-24 2023-07-03 이동원 그라스울 지붕판넬용 보드의 자동절단 및 적재장치
KR20240000060U (ko) 2021-12-24 2024-01-11 이동원 그라스울 지붕판넬용 보드의 자동절단 및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730B1 (ko) 201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99955A (zh) 一种伸缩车辆篷布架
KR101036730B1 (ko) 화물의 승·하차 장치
CN210618288U (zh) 一种便于装卸货物的物流货车
KR100392356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KR100967241B1 (ko)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KR102226279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JP2020063131A (ja) 車載式荷役装置
JPH1150703A (ja) 収納テントにおける密閉機構
KR101643088B1 (ko)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장치
KR101602823B1 (ko) 암롤 트럭의 적재함 덮개 장치
JP3341071B2 (ja) スライド式開閉テントの開閉状態維持機構
KR102174719B1 (ko)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JPH0762961A (ja) 巻取型シャッタにおける巻取軸駆動機構
JP3918018B2 (ja) 完全開放構造を有するスライド式開閉テントにおけるテントユニットの脱輪防止構造
CN218055004U (zh) 一种开顶箱体用篷布收展装置
CN211419479U (zh) 一种单立柱堆垛机
KR20100013062U (ko) 화물차량용 스텝퍼
KR19990019914A (ko) 버스의 화물칸에 설치된 이동식 적재판
CN107472106A (zh) 运输货厢和车辆
JPH075098Y2 (ja) 全天候型荷役設備用移動台車
JPS60153305A (ja) 搬送キヤリヤ用リフト装置
KR100229269B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적재물 승하강 장치
KR970002647Y1 (ko) 트럭 적재함의 커버 자동개폐장치
JPS6341239A (ja) 車両の貨物室開閉方法とその機構
JP2000291392A (ja) 防水シート張り装置及び防水シートの張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