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719B1 -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719B1
KR102174719B1 KR1020200046375A KR20200046375A KR102174719B1 KR 102174719 B1 KR102174719 B1 KR 102174719B1 KR 1020200046375 A KR1020200046375 A KR 1020200046375A KR 20200046375 A KR20200046375 A KR 20200046375A KR 102174719 B1 KR102174719 B1 KR 102174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frame
moving frame
longitudinal direction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구
Original Assignee
김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구 filed Critical 김성구
Priority to KR1020200046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2Devices for changing direction of travel or for transferring from one runway to another; Crossings; Combinations of tracks of different gau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을 이용해 화물을 선박의 적재함 등 폐쇄형 공간에 운반할 때, 화물, 특히 소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화물을 크레인으로 직접 폐쇄형 공간의 측벽부에 최대한 근접하게 적재할 수 있으면서, 결속된 화물의 위치에 상관없이 무게 중심을 맞출 수 있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는, 크레인의 호이스트에 연결되어 수평 이동 및 승강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의 헤드블록에 연결된 상단프레임; 상기 상단프레임의 저면에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며, 양측 끝단부와 중앙에 각각 제1 화물 결속부를 구비한 무빙프레임; 상기 무빙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화물 결속부를 구비한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가 상기 무빙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 시, 상기 무빙프레임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CARGO LIFTER}
본 발명은 크레인을 이용해 화물을 선박의 적재함 등 폐쇄형 공간에 운반할 때, 화물, 특히 소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화물을 크레인으로 직접 폐쇄형 공간의 측벽부에 최대한 근접하게 적재할 수 있으면서, 결속된 화물의 위치에 상관없이 무게 중심을 맞출 수 있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599215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물, 특히 소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화물(코일형 철판, 장방형 철판, 파이프 등)을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적재하는데 사용되는 리프터는 화물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소정 길이를 갖는 프레임 상에 화물을 결속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와 같은 종래의 리프터는 부두와 같이 사방이 개방된 육상에서 화물의 방향에 상관없이 화물을 운반 및 적재할 수 있으나, 선박의 적재함과 같이 사방이 밀폐된 폐쇄형 공간에서는 폐쇄형 공간의 측벽부에 제한을 받아 화물을 일정 방향으로만 운반 및 적재할 수밖에 한계가 있다.
즉, 도 1을 예로 들면, 코일형 철판(P1)을 선박 적재함의 측벽부(S)에 최대한 밀착하여 적재해야 적재 용량을 늘릴 수 있는데,
종래의 리프터는 리프터의 프레임 때문에 고일형 철판(P1)이 결속된 걸이부가, 측벽부(S)와 근접된 위치에서 하강이 불가능하므로,
종래에는 먼저 리프터로 코일형 철판을 적재함의 중앙 바닥에 내려놓은 후 지게차 등을 이용해 코일형 철판을 적재함의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적재해야 하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크레인을 이용해 화물을 선박의 적재함 등 폐쇄형 공간에 운반할 때, 화물, 특히 소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화물을 크레인으로 직접 폐쇄형 공간의 측벽부에 최대한 근접하게 적재할 수 있으면서, 결속된 화물의 위치에 상관없이 무게 중심을 맞출 수 있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는,
크레인의 호이스트에 연결되어 수평 이동 및 승강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의 헤드블록에 연결된 상단프레임;
상기 상단프레임의 저면에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며, 양측 끝단부와 중앙에 각각 제1 화물 결속부를 구비한 무빙프레임;
상기 무빙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화물 결속부를 구비한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가 상기 무빙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 시, 상기 무빙프레임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서,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기 무빙프레임의 회전축이 관통하여 결합된 지지원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길이방향 양측부 상면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되, 각각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면서 상기 지지원판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서,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무빙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축설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프레임은 양 측판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과 지지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무빙프레임의 상판부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서,
상기 무빙프레임은 하판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홈과, 양 측판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트롤리를 전후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는 상기 슬릿홈으로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결합하며 양 단부에 상기 레일부에 지지되는 이동롤러를 구비한 이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는,
호이스트의 헤드블록에 연결된 상단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및 전후 이동이 가능한 무빙프레임에 화물 운반용 트롤리가 추가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화물, 특히 소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화물을 폐쇄형 공간의 측벽부에 최대한 근접하게 적재하여, 화물 적재 작업에 필요한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트롤리의 위치 변경 시 무빙프레임의 위치 이동으로 무게 중심을 맞추어서 전복 위험이 없고,
수평 회전하는 회전프레임이 고정된 상단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수평 상태가 틀어지지 않으며,
회전프레임과 무빙프레임, 그리고 무빙프레임과 트롤리 각각의 위치 이동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제1, 제2 화물 결속부를 활용해 다양한 하중 및 길이의 화물을 범용적으로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단프레임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프레임과 무빙프레임의 요부 정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프레임과 트롤리의 요부 정면도와 트롤리의 요부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의 활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의 와이어 결속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도 3, 도 7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레인의 호이스트에 연결되어 수평 이동 및 승강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호이스트의 헤드블록(H)에 연결된 상단프레임(10);
상기 상단프레임(10)의 저면에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프레임(20);
상기 회전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며, 양측 끝단부와 중앙에 각각 제1 화물 결속부(31A)(31B)를 구비한 무빙프레임(30);
상기 무빙프레임(3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화물 결속부(41)를 구비한 트롤리(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프레임(10)은 크레인의 호이스트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승강하는 것으로, 헤드블록(H)의 하부에 결합되며,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면부에 작업자가 작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단프레임(10)은 상기 무빙프레임(30)의 회전축(31)이 관통하여 결합된 지지원판(11)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원판(11)은 상기 상단프레임(10)의 저면 중앙에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12는 상기 무빙프레임(30)의 회전축(31)을 회전시키는 제1 모터(12)이다.
또한 상기 상단프레임(10)은 기울기 센서(13)를 포함한다.
상기 기울기 센서(13)는 후술하는 트롤리(40) 및 무빙프레임(30)의 위치 이동 시 발생하는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기가 안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작동 정지 신호를 송출하여, 트롤리(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프레임(20)은 상기 상단프레임(10)의 하부에 회전축(31)으로 축설되어 좌우로 수평 회전(90 ~ 180도)한다.
이러한 회전프레임(20)은 양 측판부가 상기 무빙프레임(30)의 양 측판부 외측에 외삽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20)은 길이방향 양측부 상면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되, 각각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면서 상기 지지원판(11)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롤러(2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롤러(22)는 동일 방향에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단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프레임(20)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회전프레임(20)이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지지롤러(22)가 함께 회전 이동하면서 리프터의 방향 전환에 따른 하중을 좌우로 분산 지지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20)은 상기 무빙프레임(3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축설되어 제2 모터(23)에 의해 회전하는 제1 구동축(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축(24)은 양단이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양 측판부에 베어링으로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모터(23)와 장구형 감속기로 연결되어 회전한다.
이러한 제1 구동축(24)의 중앙에는 상기 무빙프레임(30)의 제1 랙기어(33)에 치합되는 제1 구동기어(24a)가 구비되어, 제1 구동축(24)의 양방향 회전 시 제1 구동기어(24a)가 제1 랙기어(33)를 밀어서 상기 무빙프레임(30)이 전후진한다.
나아가 상기 회전프레임(20)은 상기 무빙프레임(30)의 가이드홀(32)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 구동축(24)의 좌우로 이격 배열되며 상기 제2 모터(23)에 의해 회전하는 제2 구동축(2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구동축(25)은 양단이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양 측판부에 베어링으로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장구형 감속기와 클러치수단으로 연결되어, 클러치수단의 작동에 따라 제2 모터(23)가 상기 제1 구동축(24) 또는 제2 구동축(25)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2 구동축(25)은 제2 모터(23) 작동 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구동기어(미도시)가 제2 구동축(25)의 길이방향 기준 서로 반대편에 배열되게 구비되고, 각 제2 구동기어가 후술하는 내부프레임(37)의 제2 랙기어(미도시)에 치합되어 내부프레임(37)을 전후진시킨다.
이어서 상기 무빙프레임(30)은 상기 상단프레임(10)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양측 끝단부와 중앙 하단에 상기 제1 화물 결속부(31A)(31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화물 결속부(31A)(31B)는 상기 상단프레임(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배열되게 상기 무빙프레임(3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화물 결속부(31A)(31B) 및 제2 화물 결속부(41)는 와이어를 걸어서 화물을 결속하여 운반 및 적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구멍 형태의 제1, 제2 화물 결속부(31A)(31B)(41)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고리 형태 등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경우에 따라 화물을 직접 파지할 수 있는 그리퍼가 제1, 제2 화물 결속부(31A)(31B)(41)를 대신할 수도 있음.).
또한 상기 무빙프레임(30)은 양 측판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축(24)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홀(32)과, 상기 무빙프레임(30)의 상판부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축(24)에 치합되는 제1 랙기어(33)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홀(32)은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양 측판부 내측에 배열되어 상기 제1 구동축(24)과 제2 구동축(25)이 가이드홀(32)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1 랙기어(33)는 상기 제1 구동축(24)의 제1 구동기어(24a)에 치합되어 상기 제1 구동축(24)의 양방향 회전운동을 좌우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무빙프레임(30)이 전후진하게 한다.
아울러 상기 무빙프레임(30)은 하판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홈(34)과, 양 측판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부(35)와, 상기 트롤리(40)를 전후진시키는 실린더(36)를 포함한다.
상기 슬릿홈(34)은 좌우 한 쌍이 구비되며, 무빙프레임(30)의 양 측단 끝단부 각각에 실린더(36)가 구비되어 있어, 각 실린더(36)의 인출로드(36a)가 내측으로 전후진하게 연장 연결되어 있다.
이때 각 실린더(36)는 상기 무빙프레임(30)의 전후로 이격하여 서로 동일선 상에 배열되지 않아, 각각의 인출로드(36a)가 서로 크로스되는 형태로 인출 작동하면서 한 쌍의 트롤리(40)를 개별적으로 전후진시킨다.
상기 레일부(35)는 상기 트롤리(40)의 이동롤러(44a)를 지지하여, 트롤리(40)의 전후진을 안내한다.
한편 상기 무빙프레임(30)은 양 측단 제1 화물 결속부(31B)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무빙프레임(3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프레임(30)은 한 쌍의 내부프레임(37)이 무빙프레임(30)의 내부로 삽입되어 무빙프레임(3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각 내부프레임(37)의 외측 끝단부에 상기 제1 화물 결속부(31B)가 구비된다.
아울러 각 내부프레임(37)의 상판부 저면에는 상기 제2 구동축(25)의 제2 구동기어가 치합되는 제2 랙기어(미도시)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클러치수단에 의해 제2 모터(23)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 구동축(25)들이 제2 랙기어를 반대방향으로 밀어서 내부프레임(37)들이 인출된다.
또한 상기 무빙프레임(30)은 양 측판부의 외면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8)이 구비되어 상기 트롤리(40)의 가이드롤러가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무빙프레임(3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전후 끝단부에 상기 제2 화물 결속부(41)가 구비된다.
이러한 트롤리(40)는 측면 형상이 삼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단 꼭지점에 'ㄷ'자형 수용부(42)를 구비하여 상기 무빙프레임(30)이 수용부(42)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무빙프레임(3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무빙프레임(30)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한 쌍이 구비되어, 반대편에 구비된 각 실린더(36)에 의해 개별적으로 전후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슬릿홈(34)으로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36)에 연결된 연결판(43)과, 상기 연결판(43)을 관통하여 결합하며 양 단부에 상기 레일부(35)에 지지되는 이동롤러(44a)를 구비한 이동축(44)을 포함한다.
각 트롤리(40)의 연결판(43)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편심된 연결부(43a)가 구비되어, 좌우 실린더(36)의 각 인출로드(36a)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축(44)은 좌우로 이격 배열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트롤리(40)의 좌우 수평을 유지하게 하며, 양단에 구비된 이동롤러(44a)가 상기 레일부(35)에 지지되어 트롤리(40)의 전후진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트롤리(40)는 상기 무빙프레임(30)의 가이드홈(38)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가이드롤러(4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롤러(45)는 트롤리(40)의 좌우 일면 또는 양면에서 구비되며, 수평방향으로 자유회전하게 결합되어, 상기 트롤리(40)의 전후진을 안내한다.
한편 상기 제2 화물 결속부(41)는 그 모양에 제한이 없으나, 본 발명은 와이어(W)의 탈착 편의성 및 고정 안전성을 위해 개폐형 결속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화물 결속부(41)는 상기 트롤리(40)의 측단부에서 돌출되며 상면이 개구된 고리형의 걸림부(41A)와, 상기 걸림부(41A)에 힌지 결합되어 걸림부(41A)의 개구부(41a)를 개폐하되 힌지축을 기준으로 일단부가 상기 걸림부(41A)의 개구부(41a)에 상응하는 모양을 가지면서 타단부가 상기 걸림부(41A)에 상응하는 모양을 가지는 반원형 개폐부(41B)를 포함하여,
상기 걸림부(41A)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개폐부(41B)의 타단부가 상기 개구부(41a)를 닫은 상태에서, 와이어(W)를 상기 걸림부(41A)에 걸어서 화물을 결속시키면, 와이어(W)가 걸림부(41a) 내로 삽입되면서 화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개폐부(41B)가 회동하여 개폐부(41B)의 일단부가 상기 개구부(41a)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41A)는 유사 'J'자 형상으로 원호의 1/4 영역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41B)는 반원형 형상으로 중단부가 상기 걸림부(41A)의 일면 끝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으로 축으로 회동하며, 이러한 개폐부(41B)는 걸림부(41A)의 원호 형상에 상응하는 모양 및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개폐부(41B)는 내측 타단부가 개구부(41a)를 향해 젖혀진 상태로 걸림부(41A)를 개방시키고, 와이어(W)를 걸림부(41A)에 걸면 와이어(W)가 개폐부(41B)의 타단부를 눌러서 개폐부(41B)의 일단부가 개구부(41a)를 폐쇄시켜, 와이어(W)가 걸림부(41A)에 끼워진다.
그리고 걸림부(41A)의 와이어(W)는 화물에 결속된 상태로 트롤리가 상승할 때 화물의 하중에 의해 개폐부(41B)의 타단부가 계속 눌림에 따라 개폐부(41B)가 회동하지 않아 걸림부(41A)의 와이어(W)가 제2 화물 결속부(41)에서 빠지지 않게 고정되며, 화물을 바닥면에 놓았을 때 개폐부(41B)를 누르는 하중 압력이 해소됨에 따라, 작업자가 개폐부(41B)를 개방하여 걸림부(41A)의 와이어(W)를 쉽게 빼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물로써 코일형 철판(P1)과 장방형 철판(P2)을 대표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를 이용한 화물의 운반 및 적재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장방형 철판(P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코일형 철판(P1)은 상기 무빙프레임(30) 중앙 제1 화물 결속부(31A) 및/또는 상기 트롤리(40)의 제2 화물 결속부(41)에 와이어를 걸어서 결속되며, 크레인 자체의 전후좌우 이동 및 호이스트의 승강을 통해 운반 및 적재된다.
예를 들어, 고하중의 코일형 철판(P1) 1개를 무빙프레임(30) 중앙 제1 화물 결속부(31A)에만 결속할 수도 있고,
또는 저하중의 코일형 철판(P1) 1개를 무빙프레임(30) 중앙 제1 화물 결속부(31A) 및/또는 각 트롤리(40)의 제2 화물 결속부(41)에 결속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코일형 철판(P1)의 자체 중량에 따라, 1~3개의 코일형 철판(P1)을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프레임(20)을 회전시키면, 코일형 철판(P1)의 길이방향을 소정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나아가 선박의 적재함 등 폐쇄형 공간의 측벽부(S)에 코일형 철판(P1)의 길이방향을 일치시켜 코일형 철판(P1)을 측벽부(S)에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운반 및 적재할 경우,
먼저 상단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프레임(20)을 90도 회전시킨 후, 일측 트롤리(40)를 측벽부(S)에 근접하게 이동시킨 후 호이스트가 하강 작동하여 코일형 철판(P1)을 측벽부(S)에 밀착되게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롤리(40)가 상기 무빙프레임(30)의 일측으로 이동 시, 상기 무빙프레임(30)은 상기 회전프레임(20)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맞춘다.
즉, 상기 트롤리(40)가 무빙프레임(30)의 끝단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무빙프레임(30)의 중앙측에 쏠려 있던 무게 중심이 트롤리(40)가 이동한 방향으로 쏠려 전복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트롤리(40)의 이동 시 무빙프레임(30)이 트롤리(40)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중의 쏠림을 상쇄시켜 좌우 균형을 맞춤으로써, 무게 중심의 쏠림으로 인한 상기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롤리(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빙프레임(30)이 모터를 이용한 제1 랙기어(33) 구조로 전후진되고,
반대로 무빙프레임(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트롤리(40)가 실린더(36) 구조로 전후진되므로,
화물의 위치 이동 시 안전성 및 정확성(적재 위치)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전에 따른 원심력 등에 의한 하중의 쏠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회전프레임(20)의 좌우 양측 지지롤러(22)들이 상기 지지원판(11)의 테두리부에 동시 지지되므로, 무게 중심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코일형 철판(P1)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방형 철판(P2)의 경우, 상기 무빙프레임(30) 양 측단 제1 화물 결속부(31B)에 와이어를 걸어서 결속되며, 크레인 자체의 전후좌우 이동, 호이스트의 승강 및 무빙프레임(30)의 회전을 통해 장방형 철판(P2)이 운반 빛 적재된다.
또한 장방형 철판(P2)의 길이가 무빙프레임(30)의 전체 길이보다 긴 경우, 무빙프레임(30)의 내부프레임(37)들을 길이방향으로 인출시켜, 양 측단 제1 화물 결속부(31B)들 사이의 너비를 장방형 철판(P2)의 길이에 맞춰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물의 길이에 따라 최대 3개의 화물을 동시에 운반 및 적재할 수 있고, 특히 무빙프레임(30)에 대한 트롤리(40)의 개별 이동을 통해 트롤리(40)에 결속된 화물을 밀폐형 공간의 측벽부(S)에 최대한으로 근접하여 운반 및 적재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화물을 바닥에 내려 놓은 후 지게차 등으로 추가 운반 및 적재할 필요가 없어 화물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단프레임 11 : 지지원판
12 : 제1 모터 13 : 기울기 센서
20 : 회전프레임 21 : 회전축
22 : 지지롤러 23 : 제2 모터
24 : 제1 구동축 25 : 제2 구동축
30 : 무빙프레임 31A, 31B : 제1 화물 결속부
32 : 가이드홀 33 : 랙기어
34 : 슬릿홈 35 : 레일부
36 : 실린더 37 : 내부프레임
38 : 가이드홈 40 : 트롤리
41 : 제2 화물 결속부 42 : 수용부
43 : 연결판 44 : 이동축
45 : 가이드롤러

Claims (4)

  1. 크레인의 호이스트에 연결되어 수평 이동 및 승강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의 헤드블록에 연결된 상단프레임;
    상기 상단프레임의 저면에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며, 양측 끝단부와 중앙에 각각 제1 화물 결속부를 구비한 무빙프레임;
    상기 무빙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화물 결속부를 구비한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가 상기 무빙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 시, 상기 무빙프레임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기 무빙프레임의 회전축이 관통하여 결합된 지지원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길이방향 양측부 상면에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되, 각각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면서 상기 지지원판의 저면에 접촉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2. 크레인의 호이스트에 연결되어 수평 이동 및 승강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의 헤드블록에 연결된 상단프레임;
    상기 상단프레임의 저면에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며, 양측 끝단부와 중앙에 각각 제1 화물 결속부를 구비한 무빙프레임;
    상기 무빙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화물 결속부를 구비한 트롤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가 상기 무빙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 시, 상기 무빙프레임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으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빙프레임은 하판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홈과, 양 측판부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부와, 상기 트롤리를 전후진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는 상기 슬릿홈으로 끼워지며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결합하며 양 단부에 상기 레일부에 지지되는 이동롤러를 구비한 이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무빙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축설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프레임은 양 측판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과 지지축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홀과, 상기 무빙프레임의 상판부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프레임은 양 측단 제1 화물 결속부가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무빙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KR1020200046375A 2020-04-17 2020-04-17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KR102174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375A KR102174719B1 (ko) 2020-04-17 2020-04-17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375A KR102174719B1 (ko) 2020-04-17 2020-04-17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719B1 true KR102174719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375A KR102174719B1 (ko) 2020-04-17 2020-04-17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7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971A (ja) * 1999-12-17 2001-06-26 Sekigahara Seisakusho:Kk 荷物運搬船における可撓ホースの姿勢制御機構
KR200388581Y1 (ko) * 2005-03-28 2005-06-30 주식회사 이지마그네트 회전 기능을 갖는 마그넷 리프트
KR20150002775U (ko) * 2014-01-06 2015-07-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평조절 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1971A (ja) * 1999-12-17 2001-06-26 Sekigahara Seisakusho:Kk 荷物運搬船における可撓ホースの姿勢制御機構
KR200388581Y1 (ko) * 2005-03-28 2005-06-30 주식회사 이지마그네트 회전 기능을 갖는 마그넷 리프트
KR20150002775U (ko) * 2014-01-06 2015-07-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평조절 인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6725A (en) Load grasping apparatus for narrow aisle stacker crane
CN207030856U (zh) 一种双提升堆垛车
MX2013000228A (es) Transelevador para la manipulacion de paletas, dispositivo de extraccion de paletas montado en dicho transelevador y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mercancias.
US11802026B2 (en) Container side loader
JP5191504B2 (ja) 昇降搬送装置
US20100172729A1 (en) Device for handling a load such as a sheet iron coil
CN204251278U (zh) 一种起升装置及侧面式叉车
CN104442514A (zh) 一种汽车起重尾板结构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KR102174719B1 (ko) 크레인의 화물 운반용 리프터
EP0252273A2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ized materials into and from isothermal delivery wagons or containers
CN206799098U (zh) 一种双提升堆垛车用提升托架机构
CN212799511U (zh) 一种抓具
KR100967241B1 (ko) 화물 승하강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윙바디 차량
CN211078378U (zh) 一种用于汽车用品的堆垛机
CN116238832A (zh) 一种物流仓储用升降机
JPH11236187A (ja) 荷物移載装置と荷物移載装置付き建物
KR20190066354A (ko) 실린더 작용점 이동 방식 핸드크레인
KR101036730B1 (ko) 화물의 승·하차 장치
KR200457846Y1 (ko) 트럭장착형 컨테이너 적재 및 하역 시스템의 수평유지 후방리프트장치
CN1328113C (zh) 用于改进集装箱船的载货能力的集装箱支承托架
EP3390252B1 (en) Plant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loading of a container
JP4056959B2 (ja) 荷台内格納型の荷受台昇降装置
CN110422525A (zh) 一种基于自动化立体仓库的轨道车设备
JP2002087786A (ja) ピッキングフォーク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