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062U - 화물차량용 스텝퍼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스텝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062U
KR20100013062U KR2020090008171U KR20090008171U KR20100013062U KR 20100013062 U KR20100013062 U KR 20100013062U KR 2020090008171 U KR2020090008171 U KR 2020090008171U KR 20090008171 U KR20090008171 U KR 20090008171U KR 20100013062 U KR20100013062 U KR 201000130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per
access member
guide
fram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진성
Original Assignee
고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성 filed Critical 고진성
Priority to KR2020090008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062U/ko
Publication of KR20100013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06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vehicles with loa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의 화물적재함의 저면 소정위치에서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며 다수개의 발판이 조립된 스텝퍼에 있어서, 상기 스텝퍼의 회동수단은 상기 출입부재 내부 양측면의 상부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출입부재 내부 양측면의 하부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1,제2회동축에 한 쌍의 제1프레임과 한 쌍의 제2프레임을 회동가능토록 결합하기 위해 제1,제2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회동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텝퍼의 접철/철회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출입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 풀리와, 상기 출입부재와 스텝퍼를 가이드 홀의 외단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스텝퍼와 출입부재가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고정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록킹돌부와, 상기 록킹돌부의 인출동작을 복원작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스텝퍼{Stepper}
본 고안은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차량의 스텝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적재함의 저면 소정위치에서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텝퍼의 회동수단과, 상기 스텝퍼의 회동수단에 의하여 스텝퍼가 접철 또는 철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텝퍼의 접철/철회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화물칸 또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운송할 때에나 승차할 때에 작업자가 무리하게 뛰어오르거나 내림으로 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에 항상 결합된 상태에서 손쉽게 스텝퍼를 형성하고 스텝퍼를 접철하여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화물차량용 스텝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량의 트래일러 상부에 마련되는 화물칸에는 다량의 화물을 적재하도록 되었으며, 상기 화물이 외부의 유해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적재함을 장착한 화물차량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차량은 적재되는 화물량이 많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 한 타이어가 평균적인 사람의 크기에 비해 대체적으로 크며, 이에 따라서, 작업자가 화물칸에 올라가려 할 때에는 다리를 크게 벌리고 뛰어 오르거나 화물차량의 어느 하나의 부품을 손으로 잡고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화물칸으로 오르내리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실정이다.
즉, 화물칸에 짐을 적재하거나 옮길 경우 성인남자의 경우에도 화물칸으로 직접오를 수 없으며 특히, 여자의 경우에는 그 불편함이 더욱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별도의 스텝퍼를 구성한 스텝퍼를 마련하여 오르고자 하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켜서 이를 딛고 오르내리게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손쉽게 화물칸에 오르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별도의 스텝퍼는 그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이를 위해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매번 화물칸에 짐을 옮길 경우에 설치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화물을 옮기는 장소에는 항시 스텝퍼가 있어야 하므로 상기한 별도의 스텝퍼를 항상 실고 다녀야 하는 것도 사용상의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칸 또는 적재함에 오르내리기 편한 스텝퍼를 화물칸에 결합시켜 어느 장소에서라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사용을 편리하게 하여 스텝퍼 설치 시 소요되는 설치작업시간을 단축 하고 해체시도 간편한 조작에 의해 해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물차량 이동 시에도 스텝퍼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물차량의 화물적재함의 저면 소정위치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수평이송이 가능토록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출입부재와, 상기 출입부재의 일단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며 다수개의 발판이 조립된 스텝퍼와, 상기 스텝퍼가 상기 출입부재의 일단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텝퍼의 회동수단과, 상기 스텝퍼의 회동수단에 의하여 스텝퍼가 접철 또는 철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텝퍼의 접철/철회수단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스텝퍼에 있어서,
상기 스텝퍼의 회동수단은 상기 출입부재 내부 양측면의 상부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출입부재 내부 양측면의 하부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1,제2회동축에 한 쌍의 제1프레임과 한 쌍의 제2프레임을 회동가능토록 결합하기 위해 제1,제2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회동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텝퍼의 접철/철회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된 와 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출입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 풀리와, 상기 출입부재와 스텝퍼를 가이드 홀의 외단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스텝퍼와 출입부재가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고정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록킹돌부와, 상기 록킹돌부의 인출동작을 복원작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텝퍼를 이용하여 화물칸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스텝퍼의 보관과 운송 및 설치를 편리하게 하여 용이한 사용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는 안전한 작업을 도모하고 좀더 작업환경을 개선하도록 하는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1내지 도5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차량에 있어서, 화물적재함의 저면 소정위치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홀(101)과, 상기 가이드 홀(101) 내에 수평이송이 가능토록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02), 상기 가이드레일(102)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102)의 내측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출입부재(103) 와, 상기 출입부재(103)의 일단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며 다수개의 발판이 조립된 스텝퍼(104)와, 상기 스텝퍼(104)가 상기 출입부재의 일단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텝퍼(104)의 회동수단과, 상기 스텝퍼(104)의 회동수단에 의하여 스텝퍼(104)가 접철 또는 철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텝퍼의 접철/철회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출입부재(103)의 양측에는 다수의 이송롤러(105)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텝퍼(104)의 회동수단은 상기 출입부재(103) 내부 양측면의 상부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제1회동축(106)과, 상기 제1회동축(106)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출입부재(103) 내부 양측면의 하부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제2회동축(107)과, 상기 제1,제2회동축(106)(107)에 한 쌍의 제1프레임(108)과 한 쌍의 제2프레임(109)을 회동가능토록 결합하기 위해 제1,제2프레임(108)(109)의 일단에 형성된 회동공(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텝퍼(104)의 접철/철회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108)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10)와, 상기 와이어(1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출입부재(10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 풀리(20)와, 상기 한 쌍의 제2프레임(109)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여 한 쌍의 제2프레임(109)이 동시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감판(119)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입부재(103)와 스텝퍼(104)를 가이드 홀(101)의 외단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스텝퍼(104)와 출입부재(103)가 상기 가이드 홀(101)의 가이드 홀(101)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102)의 고정공(102a)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상기 와이어(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록킹돌부(30)와, 상기 록킹돌부(30)의 인출동작을 복원작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 스프링(3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기술을 도 2내지 도 4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보면 본 고안 스텝퍼(104)는 적재함(111)의 측면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측면과 후면 어느 위치에 설치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의도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측면으로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적재함(111)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문 하단에 스텝퍼(10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텝퍼(104)는 도 3과 같이 출입부재(103)의 일단에 제1프레임(108)과 제2프레임(109)이 각각 제1,제2회동축(106)(107)에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출입부재(103)는 이송체(103)의 내부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스텝퍼(104) 설치 후 보관할 때 스텝퍼(104)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111)에 오르내리기 위하여 스텝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텝퍼(104)을 가이드 홀(101)로부터 끌어당겨 스텝퍼(104)가 가이드 홀(101)의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08)의 일단 또는 양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부(30)가 상기 가이드프레임(102)의 고정공(102a)에 잠금/해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를 잠금동작하여야 하는 바, 상기 록킹돌부(30)는 도 4의 확대 구성도와 같이 상기 스텝퍼(104)를 하향 회동시켜 상기 와이어(10)의 텐션을 이완시킬 때 자동적으로 잠금동작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102)의 고정공(102a)에 접속되어, 상기 스텝퍼(104)가 이동하지 않도록 잠금작동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잠금작동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122)를 잡고 상기 스텝퍼(104)를 상향 회동시켜 상기 가이드 홀(101) 내측으로 집어 넣음으로써,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장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작업자는 마감판(119)이나 제1프레임(108) 또는 제2프레임(109)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10)가 인장되면서 제1프레임(108)과 제2프레임(109)이 접철되어지면서 상기 와이어(10)가 강력하게 인장됨으로써, 상기 록킹돌부(30)가 당겨지면서 잠금 해제 작동이 개시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122)를 잡고 상기 가이드 홀 내측을 향하여 스텝퍼(104)를 밀어주면 출입부재(103)가 상기 가이드 홀 내부로 삽입되어지고 곧이어 이송롤러(105)는 가이드 홀(101)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 홀(101)의 타단으로 상기 출입부재(103)를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부(121)의 손잡이(122)를 잡고 도시하지 않은 체커를 가동시켜 잠금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스텝퍼(104)가 가이드 홀(101)로부터 이탈되 지 않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상기한 제1프레임(108)과 제2프레임(109)이 접철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출입부재(10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제2회동축(106)(107)이 각각 회전원점이 다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상태, 즉, 접철과 철회시 제1,제2프레임(108)(109)이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회동축(106)과 제2회동축(107)의 위치를 미리 계측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텝퍼(104)를 이용하여 화물칸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스텝퍼(104)의 보관과 운송 및 설치를 편리하게 하여 용이한 사용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는 안전한 작업을 도모하고 보다 더 작업환경을 개선하도록 하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취부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 스텝퍼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정면 구조도, 및
도 4는 본 고안 스텝퍼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 평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이어 30 : 록킹돌부
101 : 가이드 홀 102 : 가이드프레임
103 : 출입부재 104 : 스텝퍼
105 : 이송롤러 106 : 제1회동축
107 : 제2회동축 108 : 제1프레임
109 : 제1프레임 111 : 화물적재함
119 : 마감판 122 : 손잡이

Claims (3)

  1. 화물차량의 화물적재함의 저면 소정위치에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 홀 내에 수평이송이 가능토록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으로 진퇴이동 가능하게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출입부재와, 상기 출입부재의 일단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되며 다수개의 발판이 조립된 스텝퍼와, 상기 스텝퍼가 상기 출입부재의 일단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텝퍼의 회동수단과, 상기 스텝퍼의 회동수단에 의하여 스텝퍼가 접철 또는 철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텝퍼의 접철/철회수단을 포함하는 화물차량의 스텝퍼에 있어서,
    상기 스텝퍼의 회동수단은 상기 출입부재 내부 양측면의 상부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제1회동축과, 상기 제1회동축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출입부재 내부 양측면의 하부 소정위치에 결합되는 제2회동축과, 상기 제1,제2회동축에 한 쌍의 제1프레임과 한 쌍의 제2프레임을 회동가능토록 결합하기 위해 제1,제2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회동공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텝퍼의 접철/철회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출입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 풀리와, 상기 출입부재와 스텝퍼를 가이드 홀의 외단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스텝퍼와 출입부재가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고정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연 동하여 이동하는 록킹돌부와, 상기 록킹돌부의 인출동작을 복원작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스텝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재의 양측에는 다수의 이송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스텝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프레임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여 한 쌍의 제2프레임이 동시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감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스텝퍼.
KR2020090008171U 2009-06-24 2009-06-24 화물차량용 스텝퍼 KR201000130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71U KR20100013062U (ko) 2009-06-24 2009-06-24 화물차량용 스텝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71U KR20100013062U (ko) 2009-06-24 2009-06-24 화물차량용 스텝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062U true KR20100013062U (ko) 2010-12-31

Family

ID=4448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71U KR20100013062U (ko) 2009-06-24 2009-06-24 화물차량용 스텝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0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912B1 (ko) * 2014-02-17 2015-07-10 (주)신화플러스 텐트 트레일러
KR20210105257A (ko) * 2020-02-18 2021-08-26 강승태 강성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승강계단용 경량 스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912B1 (ko) * 2014-02-17 2015-07-10 (주)신화플러스 텐트 트레일러
KR20210105257A (ko) * 2020-02-18 2021-08-26 강승태 강성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승강계단용 경량 스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107B1 (en) Folding container
CN111873776B (zh) 一种新能源汽车电池包辅助安装装置及其使用方法
TW557265B (en) Carrier for a trailer, system thereof using a stack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90092484A (ko)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AU2010200136A1 (en) Truck Bed Mountable Storage System
KR20100013062U (ko) 화물차량용 스텝퍼
EP3038951A1 (en) An item transfer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item transfer device
CN210526379U (zh) 一种供应链仓储运输车
US20090146450A1 (en) Deployable Pick-Up Truck Cargo Bed Cover
CN201777179U (zh) 可安装在卡车车斗上的储存系统
KR101643594B1 (ko) 구급차용 들것 가이드 장치
KR200181663Y1 (ko) 화물차용 계단 조립체의 구조
KR101516354B1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101036730B1 (ko) 화물의 승·하차 장치
JP5900843B2 (ja) 車載式昇降装置
KR20190105614A (ko)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및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JP5874650B2 (ja) ホイールクレーン
JP5583835B1 (ja) トラックの荷台
JP4838900B2 (ja) 荷物の運搬車両の回動部材のヒンジ構造
JP3018918B2 (ja) 簡易クレーン付荷物運搬用車両
KR102020057B1 (ko) 화물 차량용 핸드 카트 수납장치
KR20140016551A (ko) 화차 겸용 암롤박스
KR0110783Y1 (ko) 차량용 범퍼적재장치
JP3868221B2 (ja) 車椅子搭載装置
JPS59164240A (ja) 荷役車輛のテ−ルゲ−ト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