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614A -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및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및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614A
KR20190105614A KR1020197023273A KR20197023273A KR20190105614A KR 20190105614 A KR20190105614 A KR 20190105614A KR 1020197023273 A KR1020197023273 A KR 1020197023273A KR 20197023273 A KR20197023273 A KR 20197023273A KR 20190105614 A KR20190105614 A KR 20190105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container
foldable composite
sidewall
container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744B1 (ko
Inventor
니콜라스 올리버 프레스
로버트 브루이스 틸러
스테판 리차드 힐
다니엘 그레이엄 새먼
리오르 허시코비츠
Original Assignee
씨이씨 시스템즈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7900998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7900998A0/en
Application filed by 씨이씨 시스템즈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씨이씨 시스템즈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05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65D88/524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n additional median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대향하는 평행 측벽들(12, 14)로서, 상기 제1 측벽(14)은 상기 제2 측벽(12)에 연결되어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12, 14)이 제1 거리 간격(D1)만큼 떨어져 있어 제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를 획정하는 정립 구성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12, 14)이 상기 제1 거리(D1) 미만인 제2 거리(D2) 간격만큼 떨어져 있는 접철 구성 사이에서 구성 가능하게 되는, 상기 제1 및 제2 대향하는 평행 측벽을 포함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 10', 10'')를 제공한다.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 10' 10'')는 정립 구성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전후단들을 폐쇄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내부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단 어셈블리들(24, 26)로서, 각각이 상기 제1 측벽(14)에 힌지로 부착되는,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24, 26)을 더 포함한다.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 10', 10'')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24, 26)은 상기 제1 측벽(14)을 상기 제2 측벽(12)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제2 측벽(12)과 체결 가능하고,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 10', 10'')가 상기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24, 26)은 상기 제1 측벽(14)을 추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 10', 10'')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추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 10', 10'')와 체결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10, 10', 10'')을 포함하며, 각각이 상기 접철 구성으로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10, 10', 10'')을 포함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를 더 제공한다.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14)이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2 측벽(12)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 10', 10'')의 전후단 어셈블리들(24, 26)이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14) 및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12)과 체결된다.

Description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및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본 발명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및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에 관한것이다.
ISO 컨테이너들 또는 운송 컨테이너들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복합 컨테이너들(Intermodal containers)은 수송할 매우 다양한 상품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복합 컨테이너는 상품들이 보관되는 내부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어느 하나의 종단 상에 도어들을 갖는 직사각형 강박스이다. 또한 복합 컨테이너는 복합 컨테이너를 제자리에 고정시키거나 함께 쌓여질 때 그 외 다른 복합 컨테이너들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 트위스트락들 및/또는 브리지 클램프들과의 체결을 위한 캐스팅을 각 코너 상에 갖는다.
국제 무역에는, 일반적으로 수출국과 수입국 간에 무역 불균형이 있다. 통상적으로, 복합 컨테이너들은 수출국에서 상품들로 적재된 다음 수입국으로 수송된다. 그러나, 복합 컨테이너들이 수입국에 도착하고 상품들이 하적되면, 복합 컨테이너들은 무역 불균형에 기인하여 재사용을 위해 빈 상태로 다시 수출국으로 수송된다. 빈 복합 컨테이너들의 수송은 특히 연료, 조작 및 보관에 관해,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상당한 비용을 수반한다. 어떤 상황들에서는, 빈 복합 컨테이너들을 재사용하기 위해 다시 수송하기 보다는 그것들을 단순히 수입국에서 보관 및/또는 폐기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더 효율적이게 될 수 있다.
또한, 국내 물류 활동에서도, 이와 유사한 불균형 그리고 그에 의한 유사한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 이전 상품들의 적재를 위해 빈 복합 컨테이너들을 제조사로 수송하는 것이 그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난점들 중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극복 또는 개선하거나, 또는 적어도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제공되며,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는:
제1 및 제2 대향하는 평행 측벽들로서,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이 제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를 획정하기 위해 제1 거리 간격만큼 떨어져 이격되는 정립 구성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이 상기 제1 거리 미만인 제2 거리 간격만큼 떨어져 이격되는 접철 구성 사이에서 구성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측벽이 상기 제2 측벽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 대향하는 평행 측벽들; 및
상기 정립 구성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전후단들을 폐쇄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내부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단 어셈블리들로서, 각각이 상기 제1 측벽에 힌지로 부착되는,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1 측벽을 상기 제2 측벽에 대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및/또는 상기 제2 측벽들과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1 측벽을 추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에 대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1 측벽과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추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와 체결 가능하다.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또한 상기 제2 측벽을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2 측벽과 체결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각각의 상기 종단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닫힌 위치와,
각각의 상기 종단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열린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종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뒤로 접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열린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벽의 외측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제1 측벽에 대한 그 각각의 힌지 연결을 통해 피벗될 수 있다.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2 측벽과 체결되기 위해 닫힌 위치들로 피벗될 수 있다. 즉, 상기 종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내부를 폐쇄하고 그에 대한 접근을 막기 위해 상기 닫힌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과 체결되도록 상기 제1 측벽에 대한 그 각각의 힌지 연결을 통해 피벗될 수 있다.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통상적으로 상기 정립 구성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내부에 액세스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어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갖는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종단 어셈블리는 본 명세서에서 "도어 어셈블리"로 지칭되기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각각은: 상측 및 하측 전방 연장 부재들; 및 상측 및 하측 후방 연장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상기 상측 및 하측 전방 연장 부재들은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이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전단 어셈블리와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상기 상측 및 하측 후방 연장 부재들은 상기 후단 어셈블리와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주변 강성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변 강성 프레임은:
제1 및 제2 직립 측들로서, 각각이 상측 및 하측 종단들을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종단들에 각각 장착되는 네 개의 코너부; 및
상측 및 하측 크로스 바들로서, 상기 상측 크로스 바는 상기 제1 직립 측의 상기 상측 종단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로부터 상기 제2 직립 측의 상기 상측 종단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측 크로스 바는 상기 제1 직립 측의 상기 하측 종단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로부터 상기 제2 직립 측의 상기 하측 종단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으로 연장되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크로스 바들을 포함한다. 상기 정립 구성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내부에 액세스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도어를 갖는 종단 어셈블리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도어는 통상적으로 상기 종단 어셈블리의 상기 주변 강성 프레임에 지지된다. 어떠한 도어도 갖지 않는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종단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 강성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종단 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상기 상측 및 하측 전방 연장 부재들이 상기 전단 어셈블리와 체결될 때, 상기 상측 전방 연장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전단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상측 종단들 또는 상기 전단 어셈블리의 상기 상측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들 중 하나와 인접할 수 있고 상기 하측 전방 연장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전단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하측 종단들 또는 상기 전단 어셈블리의 상기 하측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들 중 하나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상기 상측 및 하측 후방 연장 부재들이 상기 후단 어셈블리와 체결될 때, 상기 상측 후방 연장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후단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상측 종단들 또는 상기 후단 어셈블리의 상기 상측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들 중 하나와 인접할 수 있고 상기 하측 후방 연장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후단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하측 종단들 또는 상기 후단 어셈블리의 상기 하측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들 중 하나와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각각의 제2 직립 측에 힌지로 부착되고 상기 제2 측벽에 부착하도록 피벗 가능한 강성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너부들의 각각은 트위스트록 및/또는 브릿지 클램프 체결을 위한 코너 캐스팅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는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각 리프팅 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킬 때 위치로 상기 상측 벽을 리프팅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세장형,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라인 또는 인장 부재, 이를테면 케이블, 코드, 스트랩 또는 체인 또는 그 밖에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라인 또는 인장 부재에 더하여, 상기 리프팅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당겨지거나 끌어당겨질 때 상기 가요성 라인 또는 인장 부재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 메커니즘 및 홀드 부재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의 하나의 종단 영역은 상기 상측 벽의 자유 에지 영역에 채워지거나 고정되며, 이로부터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가 그 다음 상기 롤러 메커니즘을 통해 또는 그 위로 지나 상기 상측 벽이 힌지로 달려 있지 않은 상기 다른 측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홀드 부재는 조작자가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구성될 때 상기 상측 벽의 상기 자유 에지 영역을 리프팅하기 위해 상기 롤러 메커니즘을 통해 또는 그 위로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를 홀딩하고 끌어 당기도록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의 맞은 편 종단 영역에 고착 또는 고정된다. 그러나, 각 리프팅 시스템의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는 또한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접철 구성으로 구성될 때 상기 상측 벽을 하강시키는 데 사용될 수도 있음이 주의될 것이다.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의 길이를 따라 떨어져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리프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홀드 부재는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에 장력을 가하기 위해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핸들로 그리고/또는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에 장력을 가하기 위해 발을 삽입하기 위한 발판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상기 리프팅 시스템은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구성될 때 상기 홀드 부재의 가이딩 움직임을 위해 상기 측벽의 상기 외측에 부착되는 트랙 또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 시스템은 상기 측벽의 상기 외측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의 상기 하측 종단에 또는 그 부근에 부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홀드 부재가 이에 고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정립 구성에 고정 또는 홀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즉, 상기 상측 벽이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태로 리프팅되어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가 완전히 확장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홀드 부재를 상기 브라켓에 고착 또는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실시 예들 중 임의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로서, 각각이 접철 구성으로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이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2 측벽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전후단 어셈블리들이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과 체결된다.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이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이 또한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2 측벽 및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및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되,
상기 제3 및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의 각각은 상기 접철 구성으로 있고,
상기 제3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상기 제3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3 및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사이에 위치되고 그것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이 또한 상기 제3 및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과 체결된다.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이 상기 제3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과 인접하고, 상기 제3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이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과 인접하며,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이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과 인접하도록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이 옆으로 적층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 간 조립된 거리는 상기 제1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조립된 거리는 201 센티미터와 226 센티미터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조립된 거리는 약 221 센티미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이후에 설명될 것이며, 첨부 도면들에서:
도 1은 종단 어셈블리들 또는 도어 어셈블리들이 닫힌 위치에 있는 정립 구성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도 1의 복합 컨테이너의 코너의 확대된 부분도이다.
도 2는 종단 어셈블리들 또는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에 있는 도 1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2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도 7은 정립 구성으로부터 접철 구성으로 구성시키는 도 2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도 10은 접철 구성의 도 2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확대된 정면도이다;
도 13은 종단 어셈블리들 또는 도어 어셈블리들이 닫힌 위치에 있는 정립 구성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2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리프팅 시스템 또는 스트랩 시스템의 확대된 부분도이다.
도 15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접철 구성으로 있는 도 14의 리프팅 시스템 또는 스트랩 시스템의 확대된 부분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리프팅 시스템 또는 스트랩 시스템의 발판 및 브라켓의 확대된 부분도이다;
도 17은 종단 어셈블리들 또는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에 있는 도 13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상세 A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상세 B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접철 구성으로부터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키는 도 17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접철 구성의 도 17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종단 어셈블리들 또는 도어 어셈블리들이 아직 완전히 닫힌 위치에 있진 않으나 닫힌 위치 쪽으로 이동되는 정립 구성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B"로 표기된 영역의 확대된, 더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C"로 표기된 영역의 확대된, 더 상세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도면에 대응하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종단 어셈블리 또는 도어 어셈블리가 닫힌 위치에 있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어 어셈블리들이 닫힌 위치들에 있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정립 구성으로 있고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들에 있는 나머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이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도 1의 네 개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의 일 실시 예를 형성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들에 있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정립 구성으로 있고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들에 있는 나머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이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도 26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들에 있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정립 구성으로부터 접철 구성으로 구성하고 있고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들에 있는 나머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이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도 26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들에 있는 모든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접철 구성들로 있을 때, 도 26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들로부터 닫힌 위치들로 이동하고 있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 중 하나가 접철 구성으로 구성하고 있고 도어 어셈블리들이 열린 위치들에 있는 나머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이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도 26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6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에 의해 형성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어 패널들이 제거된 도 31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의 다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3은 도 32의 상세 C의 확대도이다.
첨부 도면들의 도 1 내지 도 12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다. 컨테이너(10)는 우 측벽(12) 및 좌 측벽(14)을 포함한다. 측벽들(12, 14)은 서로 대향해 있고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각각의 측벽들(12, 14)은 직사각형 강 프레임으로 둘러싸이는 직사각형 파상 강 패널로 형성된다. 우 측벽(12)은 상측 길이 방향 종단(12a), 하측 길이 방향 종단(12b), 전단(12c) 및 후단(12d)으로 획정된다. 좌 측벽(14)은 측 길이 방향 종단(14a), 하측 길이 방향 종단(14b), 전단(14c) 및 후단(14d)으로 획정된다.
도 4에 보이듯이, 우 측벽(12)은 하측 길이 방향 종단(12b)에 배치되고 좌 측벽(14)의 하측 길이 방향 종단(14b) 쪽으로 연장되는 하측 플랜지(12e)를 갖는다. 우 측벽(12)은 상측 길이 방향 종단(12a)에 배치되고 전단(12c)과 후단(12d) 사이에 고른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세 개의 스톱 부재(12f)를 더 갖는다. 각각의 스톱 부재들(12f)은 강 채널로 형성되고 상향으로 연장된다. 우 측벽(12)은 8개의 핀형 돌출부들(12g)을 더 갖는다. 돌출부들(12g) 중 네 개는 전단(12c)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 종단들(12a, 12b) 사이에 고른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돌출부들(12g) 중 그 외 다른 네 개는 후단(12d)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 종단들(12a, 12b) 사이에 고른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각각의 돌출부들(12g)은 오른쪽(즉,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9에 가장 잘 보이듯이, 우 측벽(12)은 하측 길이 방향 종단(12b)에 배치되고 전단(12c)과 후단(12d) 사이에 고른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세 개의 둥근 강 로드(12h)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로드들(12h)은 좌 측벽(14)의 하측 길이방향 종단(14b) 쪽 왼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우 측벽(12)은 네 개의 강 코너 판(12i) 형태의 네 개의 체결 부재를 더 갖는다. 두 개의 코너 판(12i)은 전단(12c)에 배치되고 앞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 외 다른 두 개의 코너 판(12i)은 후단(12d)에 배치되고 뒤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좌 측벽(14)은 상측 길이 방향 종단(14a)에 배치되고 우 측벽(12)의 상측 길이 방향 종단(12a) 쪽으로 연장되는 상측 플랜지(14e)를 갖는다. 좌 측벽(14)은 상측 길이 방향 종단(14a)에 상측 플랜지(14e) 조금 위에 배치되는 세 개의 둥근 강 로드(14f)를 더 포함한다. 로드들(14f)은 전단(14c)과 후단(14d) 사이에 고른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각각의 스틸 로드들(14f)은 각각의 스톱 부재(12f) 쪽 오른쪽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고 그것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좌 측벽(14)은 네 개의 강 코너 판(14g) 형태의 네 개의 체결 부재를 더 갖는다. 두 개의 코너 판(14g)은 전단(14c)에 배치되고 앞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 외 다른 두 개의 코너 판(14g)은 후단(14d)에 배치되고 뒤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컨테이너(10)는 우 측벽(12)과 좌 측벽(14) 사이에 위치되는 상측 벽(16)을 더 포함한다. 상측 벽(16)은 직사각형 파상 강 패널로 제조된다. 상측 벽(16)은 우측 길이 방향 종단(16a), 좌측 길이 방향 종단(16b), 전단(16c) 및 후단(16d)으로 획정된다. 좌측 길이 방향 종단(16b)은 착탈 가능한 부착을 위해 좌 측벽(14)의 상측 플랜지(14e)와 체결 가능하다(예를 들어, 나사 및/또는 볼트에 의해). 상측 벽(16)은 상측 벽(16)의 상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8개의 러그(lug)(16e)를 갖는다. 러그들(16e)은 전단(16c)과 후단(16d) 사이에 고른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각 러그(16e)는 상측 벽(16)의 상측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도 5 및 도 6에 가장 잘 보이듯이, 상측 벽(16)은 우측 길이 방향 종단(16a)에 배치되는 우측 플랜지(16f)를 갖는다. 우측 플랜지(16f)는 우 측벽(12)의 상측 길이 방향 종단(12a)에 힌지로 부착되어 상측 벽(16)이 그러한 힌지 연결을 통해 우 측벽(12)에 관해 피벗할 수 있게 된다. 도 6, 도 9 및 도 12에 가장 잘 보이듯이, 상측 벽(16)이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태로 피벗할 때 상측 벽(16)의 우측 길이 방향 종단(16a)이 우 측벽(12)의 상측 길이 방향 종단(12a)과 인접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상측 벽(16)의 피벗 모션은 우 측벽(12)에 관해 약 90도로 제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컨테이너(10)는 우 측벽(12)과 좌 측벽(14) 사이에 위치되는 하측벽(18)을 더 포함한다. 하측벽(18)은 강으로 제조되고 형상이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이다. 하측 벽(18)은 우측 길이 방향 종단(18a), 좌측 길이 방향 종단(18b), 전단(18c) 및 후단(18d)으로 획정된다. 우측 길이 방향 종단(18a)은 착탈 가능한 부착을 위해 우 측벽(12)의 하측 플랜지(12e)와 체결 가능하다(예를 들어, 나사 및/또는 볼트에 의해). 하측 벽(18)은 하측 벽(18)의 하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8개의 러그(18e)를 갖는다. 러그들(18e)은 전단(18c)과 후단(18d) 사이에 고른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각 러그(18e)는 하측 벽(18)의 하측 표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도 4 및 도 5에 가장 잘 보이듯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길이 방향 종단(18b)은 좌측벽(14)의 하측 길이방향 종단(14b)에 힌지로 부착되어 하측벽(18)이 그러한 힌지 연결을 통해 좌측벽(14)에 관해 피벗할 수 있게 된다. 도 6, 도 9 및 도 12에 가장 잘 보이듯이, 하측 벽(18)이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태로 피벗할 때 하측 벽(18)의 좌측 길이 방향 종단(18b)이 좌 측벽(14)의 하측 길이 방향 종단(14b)과 인접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하측 벽(18)의 피벗 모션은 좌 측벽(14)에 관해 약 90도로 제한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컨테이너(10)는 8개의 상측 링크 부재(20) 및 8개의 하측 링크 부재(22)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상측 및 하측 링크 부재들(20, 22)은 세장형이고 강으로 형성된다. 각 상측 링크 부재(20)는 상측 플랜지(14e)에 힌지로 부착되는 제1 종단(20a) 및 상측 벽(16)의 각각의 러그(16e)에 힌지로 부착되는 제2 종단(20b)을 가져 상측 링크 부재들(20)이 좌 측벽(14)에 관해 피벗할 수 있게 된다. 각 하측 링크 부재(22)는 하측 플랜지(12e)에 힌지로 부착되는 제1 종단(22a) 및 하측 벽(16)의 각각의 러그(18e)에 힌지로 부착되는 제2 종단(22b)을 가져 하측 링크 부재들(22)이 우 측벽(12)에 관해 피벗할 수 있게 된다.
컨테이너(10)는 전단 어셈블리(24) 및 후단 어셈블리(26)를 더 포함하며, 전후단 어셈블리들(24, 26)은 정립 구성에서 컨테이너(10)의 전후단들을 폐쇄하도록 그리고 컨테이너(10)의 내부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종단 어셈블리들(24, 26)은 정립 구성에서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발판들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전후단 어셈블리들(24, 26)은 본 명세서에서 전후단 도어 어셈블리들(24, 26)로 지칭되기도 한다. 어떠한 도어도 갖지 않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종단 어셈블리는 통상적으로 간단히 주변 강성 프레임 내에 지지되는 종단 벽을 포함할 것이다.
앞 도어 어셈블리(24)는 강으로 형성되고 출입구를 획정하는 직사각형 주변 강성 프레임을 포함한다. 앞 도어 어셈블리(24)의 강성 프레임은 우 직립 부재(24a), 좌 직립 부재(24b), 상측 크로스 바 부재(24c) 및 하측 크로스 바 부재(24d)를 갖는다. 앞 도어 어셈블리(24)의 강성 프레임의 각 코너에는, 트위스트록들 및/또는 브리지 클램프들과 체결하기 위한 코너 캐스팅(25)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부재(24b)는 좌 측벽(14)의 전단(14c)에 힌지로 부착되어 앞 도어 어셈블리(24)가 좌 측벽(14)에 관해 피벗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앞 도어 어셈블리(24)는 앞 도어 어셈블리(24)가 좌 측벽(14)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닫힌 위치(도 1 참조)로부터 앞 도어 어셈블리(24)가 좌 측벽(14)에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열린 위치(도 2 참조)로 피벗할 수 있다. 앞 도어 어셈블리(24)는 우측 부재(24a)에 힌지로 부착되는 우측 도어 패널(24e) 및 좌측 부재(24b)에 힌지로 부착되는 좌측 도어 패널(24f)을 더 포함하여 도어 패널들(24e, 24f)이 프렌치 도어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1a를 참조하면, 앞 도어 어셈블리(24)는 세장형 평면 강 피스 형태의 플랩 부재(24g)를 더 포함한다. 플랩 부재(24g)는 그것의 길이 방향 측들 중 하나를 따라 우측 부재(24a)에 힌지로 부착되어 플랩 부재(24g)가 우측 부재(24a)에 관해 피벗할 수 있게 된다. 플랩 부재(24g)는 그것의 길이를 따라 고른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네 개의 개구(24h)를 갖고 각 개구(24h)는 앞 도어 어셈블리(24)의 우측 부재(24a)의 우측벽(12)의 전단(12c)에의 착탈 가능한 부착을 위해 전단(12c) 상에 각각의 돌출부(12g)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앞 도어 어셈블리(24)는 각 코너에 배치되는 네 개의 코너 브라켓(24z)을 더 포함한다. 도 1a에 가장 잘 보이듯이, 각 코너 브라킷(24z)은 전단들(12c, 14c) 상에 각각의 코너 판(12i, 14g)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획정하여 각각의 코너 판(12i, 14g)이 수용될 때 인접한 코너 캐스팅(25)과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앞 도어 어셈블리(24) 및 뒷 도어 어셈블리(26)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단지 앞 도어 어셈블리(24)만 상세하게 상술되었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뒷 도어 어셈블리(26)가 상술된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뒷 도어 어셈블리(26)에서는, 좌측 부재가 좌 측벽(14)의 후단(14d)에 힌지로 부착되고 뒷 도어 어셈블리(26)의 플랩 부재의 개구들은 뒷 도어 어셈블리(26)의 우측 부재의 우측벽(12)의 후단(12d)에의 착탈 가능한 부착을 위해 후단(12d) 상에 돌출부들(12g)을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나아가, 뒷 도어 어셈블리(26)에서는, 코너 브라켓들에 의해 획정되는 개구들이 후단들(12d, 14d) 상에 코너 판들(12i, 14g)을 각각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컨테이너(10)는 정립 구성과 접철 구성 사이에서 구성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에 가장 잘 보이듯이, 정립 구성에서, 상측 벽(16)은 우측벽(12)의 상측 길이 방향 종단(12a)으로부터 좌 측벽(14)의 상측 길이 방향 종단(14a)으로 연장되어 상측 벽(16)이 좌우 측벽들(12, 14)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된다. 좌측 길이 방향 종단(16b)은 좌 측벽(14)의 상측 플랜지(14e)와 인접하여 체결된다. 상측 링크 부재들(20)은 상측 벽(16) 위에 위치된다.
추가로, 정립 구성에서, 하측 벽(18)은 좌측벽(14)의 하측 길이 방향 종단(14b)으로부터 우 측벽(12)의 하측 길이 방향 종단(12b)으로 연장되어 하측 벽(18)이 좌우 측벽들(12, 14)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된다. 우측 길이 방향 종단(18a)은 우 측벽(12)의 하측 플랜지(12e)와 인접하여 체결된다. 하측 링크 부재들(22)은 하측 벽(18) 아래에 있다.
정립 구성에서, 상측 벽(16)은 하측 벽(18)으로부터 떨어져 이격되어 있고 상측 벽(16)은 하측 벽(18)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측 벽(16)의 내면이 하측 벽(18)의 내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된다. 그에 따라, 도 6에 가장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벽(12) 및 좌 측벽(14)은 약 221 센티미터의 제1 평균 거리(D1) 간격만큼 떨어져 상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28)를 획정한다. 제1 평균 거리(D1)(즉, 내부(28)의 폭)는 표준화된 복합 컨테이너들에 관한 국제 표준 기구(ISO)에 의해 개설된 요건에 따른다.
그 외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제1 평균 거리(D1)는 201 센티미터와 226 센티미터 사이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1a를 참조하면, 컨테이너(10)가 정립 구성으로 있을 때,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은 앞 도어 어셈블리(24)의 강성 프레임이 전단들(12c, 14c, 16c, 18c)과 인접하고 뒷 도어 어셈블리(26)의 강성 프레임이 후단들(12d, 14d, 16d, 18d)과 인접하여 내부(28)를 획정하는 닫힌 위치에 있다. 또한,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플랩 부재들의 개구들이 착탈 가능한 부착을 위해 각각의 돌출부들(12g)을 수용한다. 수용되면, 돌출부들(12g)은 볼팅 또는 임의의 그 외 다른 수단에 의해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플랩 부재들에 고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코너 브라켓들에 의해 획정되는 개구들은 코너 판들(12i, 14g)을 수용하여 코너 판들(12i, 14g)이 각각의 인접한 코너 캐스팅들(25)과 인접하게 된다. 이는 정립 구성에서 앞뒤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을 측벽들(12, 14)에 대하여 위치시키고 벽들(12, 14, 16, 18)이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강성 프레임들에 의해 지지되어 벽들(12, 14, 16, 18)의 중량이 도어 어셈블리들(24, 26)에 전달되게 된다. 이는 또한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강성 프레임들이 좌우 측벽들(12, 14) 간 움직임을 제한함으로써 컨테이너(10)를 정립 구성에 고정시키고 정립 구성의 컨테이너(10)에 충분한 구조적 세기 및 강성을 제공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정립 구성의 컨테이너(10)의 구조적 세기는 표준화된 복합 컨테이너들에 관하여 ISO에 의해 개설된 요건을 충족시킨다. 내부(28)에의 접근은 각 도어 어셈블리(24, 26)의 도어 패널들을 개폐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컨테이너(10)를 정립 구성으로부터 접철 구성으로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플랩들이 우측 벽(12)으로부터 떨어져 피벗함으로써 돌출부들(12g)이 도어 어셈블리들(24, 26)에서 탈착된다. 그 다음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이 열린 위치들(도 2, 도 3 및 도 6 참조)로 피벗될 때 코너 판들(12i, 14g)이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브라켓들에 의해 획정되느 개구들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탈착된다. 그 다음, 컨테이너(10)가 정립 구성으로부터 접철 구성(도 7 내지 도 9 참조)으로 구성될 때, 상측 벽(16)은 우 측벽(12) 쪽으로 피벗하고 하측 벽(18)은 좌 측벽 쪽으로 피벗한다. 결과적으로, 상측 링크 부재들(20)은 좌 측벽(14) 쪽으로 피벗하고 하측 링크 부재들(22)은 우 측벽(12) 쪽으로 피벗한다. 이러한 회전들은 우 측벽(12)이 좌 측벽(14)에 더 가깝게 이동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컨테이너(10)가 정립 구성으로부터 접철 구성으로 구성될 때, 상측 벽(16)은 도 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여전히 하측 벽(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유지될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강 로드들(14f)이 스톱 부재들(12f)에 인접하고 강 로드들(12h)이 좌 측벽(14)의 하측 길이방향 종단(14b)과 인접하면, 우 측벽(12)은 좌 측벽(14) 쪽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것이고 컨테이너(10)는 접철 구성으로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측 벽(16)은 우 측벽(12)의 상측 길이 방향 종단(12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상측 링크 부재들(20)은 상측 플랜지(14e)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좌 측벽(14)과 상측 벽(16) 사이에 위치된다. 추가로, 접철 구성에서, 하측 벽(18)은 좌 측벽(14)의 하측 길이방향 종단(14b)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하측 링크 부재들(22)은 우 측벽(12)의 하측 플랜지(12e)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우 측벽(12)과 하측 벽(18) 사이에 위치된다.
접철 구성에서, 상측 벽(16)은 하측 벽(18)에 인접하거나, 또는 그와 인접하게 된다. 상측 벽(16)은 하측 벽(18)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측 벽(16)의 내면이 하측 벽(18)의 내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우측벽(12) 및 좌 측벽(14)은 제1 평균 거리(D1) 미만인 약 33 센티미터의 제2 평균 거리(D2) 간격만큼 떨어져 있다.
그 외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제2 평균 거리(D2)는 23 센티미터와 98 센티미터 사이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대표적인 방법에서, 컨테이너(10)는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을 열린 위치들로 수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립 구성으로부터 접철 구성으로 구성된다. 그 다음, 우측 벽(12) 고정된 구조에 관해 고착되고 좌측 벽(14)이 강 로드들(14f)이 스톱 부재들(12f)과 인접하고 강 로드들(12h)이 좌 측벽(14)의 하측 길이방향 종단(14b)과 인접할 때까지 액추에이터, 이를테면 유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우측 벽(12) 쪽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반대로 하기 위해서는(즉, 컨테이너(10)를 접철 구성으로부터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우측 벽(12)이 다시 고정된 구조에 고착되고 좌측 벽(14)이 링크 부재들(20, 22)이 좌측 벽(14)의 추가 움직임을 제한할 때까지 액추에이터에 의해 우측 벽(12)으로부터 이동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정립 구성의 컨테이너(10)는 ISO, 구체적으로 ISO 1496-1:2013 - Series 1 Freight Containers에 의해 요구되는 사양들을 충족시키고 그에 따라 기존 수송 인프라스트럭처와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컨테이너(10)가 정립 구성으로부터 접철 구성으로 구성될 때, 컨테이너(10)는 그것의 폭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는 표준 복합 컨테이너들에 비해 단일 운송 시 더 많은 수의 빈 컨테이너(10)가 수송되게 한다. 또한, 이는 표준 컨테이너들에 비해 정해진 영역에 더 많은 수의 빈 컨테이너(10)가 보관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10)는 부품들을 조립 및/또는 탈착할 필요 없이 정립 구성과 접철 구성 사이에서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의 도 13 내지 도 21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다.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특징부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특징부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제공된다.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도 13에 가장 잘 보이듯이,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는 컨테이너(10')를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네 개의 리프팅 시스템(30a, 30b, 30c, 30d)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리프팅 시스템들(30a, 30b, 30c, 30d)은 컨테이너(10')를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킬 때 위치로 상측 벽(16)을 리프팅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세장형 가요성 스트랩(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유로, 리프팅 시스템들(30a, 30b, 30c, 30d)은 본 명세서에서 스트랩 시스템들(30a, 30b, 30c, 30d)이라고도 지칭되고, 이러한 스트랩 시스템들 중 하나(30a)가 이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스트랩 시스템(30a)은 일단(324)이 상측 벽(16)의 좌측 길이 방향 종단(16b)에 부착되고(도 18 참조) 타단(36)이 발판(38)에 부착되는(도 19 참조) 스트랩(32)을 포함한다. 발판(38)은 숄더 부분(40) 및 애퍼처(42)를 갖는 강 프레임 형태이다. 스트랩 시스템(30a)은 상측 길이 방향 종단(14a)에 부착되는 바디(46) 및 롤러(48)가 좌측 벽(14) 위부에 위치되고 롤러(48)는 좌측 벽(14) 내부에 위치되도록 바디(4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대향 롤러들(48, 50)의 쌍을 더 포함한다. 스트랩(32)은 스트랩(32)의 종단들(34, 36) 중 하나의 상향 또는 하향 움직임이 타단(34, 36)에서의 반대 움직임을 야기하도록 롤러 메커니즘(44)의 바디(46)를 통해 스레딩되고 롤러들(48, 50)과 체결된다. 스트랩 시스템(30a)은 좌측 벽(14)의 외측에 하측 길이방향 종단(14b)에 또는 그 부근에 부착되는 브라켓(52)을 더 포함한다. 브라켓(52)은 돌출 부재들(53)의 쌍을 갖는다. 각각의 돌출 부재들(53)은 그것과 고정을 위한 발판(38)의 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위쪽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갖는다. 스트랩 시스템(30a)은 좌측 벽(14) 외부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일들(54)의 쌍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레일들(54)은 상측 길이 방향 종단(14a)으로부터 브라켓(52)으로 연장된다. 각 가이드 레일(54)은 발판(38)이 가이드 레일들(54)을 따라 위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발판(38)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채널을 획정한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들(54)이 발판(38)의 옆쪽 움직임은 제한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5 및 도 21에 가장 잘 보이듯이, 컨테이너(10')는 접철 구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측 벽(16)의 좌측 길이 방향 종단(16b)이 좌측 벽(14)의 하측 길이방향 종단(14b) 쪽으로 위치될 때, 스트랩(32)은 발판(38)이 좌측 벽(14)의 상측 길이 방향 종단(14a) 부근에 위치되게 한다.
컨테이너(10')를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키기 위해서는, 발판(38)이 사용자에 의해 가이드 레일들(54)을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된다. 이는 스트랩(32)이 도 20에 가장 잘 보이듯이 좌측 길이 방향 종단(16b)을 위쪽 방향으로 당겨지게 한다. 발판(38)이 브라켓(52) 부근에 있을 때, 컨테이너(10')를 정립 구성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자는 발판(38)의 숄더 부분(40) 상에 선다. 그 다음, 도 13, 도 14 및 도 16 내지 도 19에 가장 잘 보이듯이, 발판(38)은 돌출 부재들(53)의 오목부들이 발판(38)의 부분들을 수용하도록 돌출 부재들(53)의 쌍이 발판(38)의 애퍼처(42)를 통해 연장되도록 조작된다. 이는 컨테이너(10')를 정립 구성에 효율적으로 고정시킨다.
컨테이너(10')를 정립 구성에서 해제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발판(38)의 숄더 부분(40) 상에 서서 발판(38)의 부분들을 돌출 부재들(53)의 오목부들에서 탈착시킬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그 다음, 사용자는 돌출 부재(53)가 애퍼처(42)에서 탈착되고 발판(38)이 자유로워져 가이드 레일들(54)을 따라 위쪽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발판(38)을 조작할 것이다. 이는 컨테이너(10')가 접철 구성으로 구성하게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각의 스트랩 시스템(30a, 30b, 30c, 30d)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점을 고려하여, 단지 스트랩 시스템(30a)만 상세하게 상술되었다.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그 외 다른 스트랩 시스템들(30b, 30c, 30d)이 상술된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함을 이해할 것이다.
첨부 도면들의 도 22 내지 도 25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 실시 예들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10, 10')의 특징부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특징부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제공되고 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22 및 도 2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제3 실시 예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가 정립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앞뒤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을 닫힌 위치에 위치 및 고정시키기 위한 클로저 메커니즘에 관해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클로저 메커니즘이 앞 도어 어셈블리(24)의 우 직립 부재(24a)에 힌지로 부착되는 플랩 부재(24g)를 포함하며, 개구들(24h)이 우 측벽(12)의 전단(12c) 상의 각각의 돌출부들(12g)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대신, 클로저 메커니즘은 우 측벽(12)의 전단(12c)에 고정되는 상하측 클로저 레버들(24i)로서 떨어져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클로저 레버(24i)를 포함한다. 각 클로저 레버(24i)는 래치 아암(24k)을 확장시켜 앞 도어 어셈블리(24)의 직립 부재(24a)에 고정되고 래치 아암(24k)과 정렬되는 캐치(24m)와 체결되도록 동작 가능한 핸들(24j)을 갖는다. 핸들(24j)은 또한 그것이 캐치(24m)와 체결되어 앞 도어 어셈블리(24)를 닫힌 위치로 끌어당김에 따라 래치 아암(24k)을 리트랙트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도어 프레임 부재들(24a, 24b, 24c, 24d)의 내측은 가요성 씨일 또는 개스킷, 이를테면 고무 비드를 포함하여, 도 25에 도시된 닫힌 위치에서 앞 도어 어셈블리(24)를 벽들(12, 14, 16, 18)의 전단들에 붙여 쿠셔닝 및 씰링할 수 있다.
도 24로부터 뒷 도어 어셈블리(26) 또한 그러한 클로저 메커니즘을 가지며 두 개의 클로저 레버(26i)는 상하측 클로저 레버들(26i)로서 떨어져 이격되어 있는 측벽(12)의 후단(12d)에 고정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시, 각 클로저 레버(26i)는 래치 아암(26k)을 확장시켜 뒷 도어 어셈블리(26)의 직립 부재(26a)에 고정되고 래치 아암(26k)과 정렬되는 캐치(26m)와 체결되도록 동작하는 핸들(26j)을 갖는다. 핸들(26j)은 또한 그것이 캐치(26m)와 체결되어 뒷 도어 어셈블리(26)를 닫힌 위치로 끌어당길 때 래치 아암(26k)을 리트랙트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 예의 복합 컨테이너(10'')는 각각, 앞뒤 도어 어셈블리들의 상보적인 코너 요소들(24n, 26n)과 짝지어 체결되거나 그것들에 의해 수용되도록 테이퍼진 단면(12k)을 보이는 전방 및 후방 연장 코너 블록 부재들(12j)로 형성되는 체결 부재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코너 블록 부재들(12j)은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이 닫힌 위치로 이동될 때 코너 요소들(24n, 26n)과 함께 동작하여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을 정확하게 측벽(12)에 대하여 위치시킨다. 뿐만 아니라, 코너 블록 부재들(12j)은 인접한 코너 캐스팅(25)과 인접하고 벽들(12, 14, 16, 18)이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강성 프레임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벽들(12, 14, 16, 18)의 중량이 도어 어셈블리들(24, 26)에 부분적으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코너 블록 부재들(12j) 및 코너 요소들(24n, 26n)이 제1 실시 예의 코너 판들(12i, 14g) 및 브라켓들(24z, 26z)을 대체한다. 이 경우, 전방 및 후방 연장 코너 블록 부재들(12j)은 그러한 블록 부재들(12j)을 통해 보어 내에 캡처되나 이동 가능한 강 핀(12p)을 포함한다. 각 도어 어셈블리(24, 26)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핀(12p)은 블록(12j)을 통해 구동되어(예를 들어, 해머로) 코너 캐스팅(25)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홀(25o)로 돌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클로저 레버들(24i, 26i)에 더하여, 핀들(12p)은 전후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을 그것의 닫힌 위치들에 고착 및 고정시키도록 동작한다.
첨부 도면들의 도 26 내지 도 33은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100)의 실시 예를 형성하기 위해 네 개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10a, 110b, 110c, 110d)를 함께 조립한 것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네 개의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10a, 110b, 110c, 110d)의 각각은 상술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와 동일하다. 따라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10)의 것들과 동일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110a, 110b, 110c, 110d)의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모든 컨테이너(110a, 110b, 110c, 110d)가 처음에 정립 구성들로 서로 떨어져 있을 때,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100)를 형성하기 위해 후술될 순차적인 단계들이 취해진다.
제1 단계로, 컨테이너(110d)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이 열린 위치들로 이동된다. 그 다음 컨테이너(110d)의 우측 벽(12)이 고정된 구조(미도시)에 관해 고정되고 컨테이너(110d)가 접철 구성으로 구성될 때까지 컨테이너(110d)의 좌측 벽(14)이 컨테이너(110d)의 우측 벽(12) 쪽으로 이동된다.
제2 단계로, 컨테이너(110d)의 우측 벽(12)이 컨테이너(110d)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 가까이에 인접된다. 컨테이너(110c)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이 열린 위치들로 이동된다. 컨테이너(110d)의 우측 벽(12)이 고정된 구조에 관해 고정되게 유지됨에 따라, 컨테이너(110c)가 접철 구성으로 구성될 때까지 컨테이너(110c)의 좌측 벽(14)이 컨테이너(110c)의 우측 벽(12) 쪽으로 이동된다.
제3 단계로, 컨테이너(110b)의 우측 벽(12)이 컨테이너(110c)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 가까이에 인접된다. 컨테이너(110b)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이 열린 위치들로 이동된다. 컨테이너(110d)의 우측 벽(12)이 고정된 구조에 관해 고정되게 유지됨에 따라, 컨테이너(110b)가 접철 구성으로 구성될 때까지 컨테이너(110b)의 좌측 벽(14)이 컨테이너(110b)의 우측 벽(12) 쪽으로 이동된다.
제4 단계로, 도 26에 가장 잘 보이듯이, 컨테이너(110a)의 우측 벽(12)이 컨테이너(110b)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 가까이에 인접된다. 도 27에 가장 잘 보이듯이,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이 열린 위치들로 이동된다. 컨테이너(110d)의 우측 벽(12)이 고정된 구조에 관해 고정되게 유지됨에 따라, 도 24 및 도 25에 가장 잘 보이듯이, 컨테이너가 접철 구성으로 구성될 때까지 컨테이너(110a)의 좌측 벽(14)이 컨테이너(110a)의 우측 벽(12) 쪽으로 이동된다. 도 29에 가장 잘 보이듯이, 컨테이너들(110a, 110b, 110c, 110d)이 이제 옆으로 적층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5 단계로, 도 30 내지 도 33에 가장 잘 보이듯이, 컨테이너들(110a, 110b, 110c, 110d)의 전단들(12c, 14c)이 컨테이너(110a)의 앞 도어 어셈블리(24)의 강성 프레임과 인접하고 컨테이너들(110a, 110b, 110c, 110d)의 후단들(12d, 14d)이 컨테이너(110a)의 뒷 도어 어셈블리(26)의 강성 프레임과 인접하도록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이 닫힌 위치들로 이동된다. 닫힌 위치들의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은 컨테이너들(110a, 110b, 110c, 110d)의 전후방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제한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나아가, 도 28 및 도 29에 가장 잘 보이듯이,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코너 브라켓들에 의해 획정되는 개구들은 컨테이너(110a)의 코너 판들(14g) 및 컨테이너(110d)의 코너 판들(12i)이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각각의 인접한 코너 캐스팅들(25)과 인접하도록 컨테이너(110a)의 코너 판들(14g) 및 컨테이너(110d)의 코너 판들(12i)을 수용한다. 이는 컨테이너(110a)의 좌측 벽(14)을 컨테이너(110d)의 우측 벽(12)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플랩 부재들의 개구들은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이 닫힌 위치들에 고정되도록 탈착 가능한 부착으로 컨테이너(110d)의 돌출부들(12g)을 수용한다. 도 32 및 도 33에 가장 잘 보이듯이, 컨테이너(110a)의 코너 판들(12i) 및 컨테이너(110d)의 코너 판들(14g)은 컨테이너(110a)의 우측 벽(12) 및 컨테이너(110d)의 좌측 벽(14)이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 사이에 위치되고 상대적인 수직 움직임에서 제한되도록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강성 프레임들의 상측 및 하측 부재들과 인접한다. 또한, 컨테이너들(110b, 110c)의 코너 판들(12i, 14g)은 컨테이너들(110b, 110c)이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 사이에 위치되고 상대적인 수직 움직임에서 제한되도록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강성 프레임들의 상측 및 하측 부재들과 인접한다.
상기한 다섯 단계는 도 31에 가장 잘 보이듯이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100)를 형성한다. 컨테이너들(110b, 110c, 110d)의 모든 구성요소 및 컨테이너(110a)의 벽들(12, 14, 16, 18)이 컨테이너(110a)의 도어 어셈블리들(24, 26)의 강성 프레임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어셈블리(100)는 정립 구성의 컨테이너(10)와 동일한 주변부를 갖고 어셈블리(100)의 구조적 세기는 표준화된 복합 컨테이너들에 관하여 ISO에 의해 개설된 요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컨테이너(110a)의 좌측 벽(14) 및 컨테이너(110d)의 우측 벽(12)이 상술된 컨테이너(10)의 제1 평균 거리(D1)와 동일한 조립된 거리만큼 떨어져 이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어셈블리(100)는 ISO, 구체적으로 ISO 1496-1:2013 - Series 1 Freight Containers에 의해 요구되는 사양들을 충족시키고 그에 따라 기존 수송 인프라스트럭처와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어셈블리(100)는 네 개까지의 빈 컨테이너(110a, 110b, 110c, 110d)가 단일 컨테이너와 동일한 주변부로 수송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대안 및/또는 등가 구현이 존재한다는 것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 예는 단지 예일 뿐이며 어떤 방식으로든 범위, 적용 가능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전술한 요약 및 상세한 설명은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편리한 로드맵을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제공할 것이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범위 및 그 법적 등가물에서 벗어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 예에 기술된 요소들의 기능 및 배열에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특정 실시 예의 임의의 개조 또는 변형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포함하는", "포함하다", "포함한", "함유하다", "함유하는, "갖는다", "갖는" 및 이들의 임의의 변형의 용어들은 포괄적인(즉, 비배타적인) 의미로 이해되도록 의도되며, 그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프로세스, 방법, 디바이스, 장치 또는 시스템이 언급된 그러한 특징 또는 부품 또는 요소 또는 단계에 제한되지 않고,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내재되어 있는 다른 요소, 특징부, 부품 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나의" 그리고 "한"이라는 용어들은 명시적으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단지 라벨들로서 사용되고 그것들의 대상들에 수치 요건을 지우거나 그것들의 특정 중요도를 설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상측", "하측", "수평" 및 "수평"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의 통상적인 또는 사용 시 배향에 대하여 이해되어야 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3)

  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로서,
    제1 및 제2 대향하는 평행 측벽들로서,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이 제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내부를 획정하기 위해 제1 거리 간격만큼 떨어져 이격되는 정립 구성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이 상기 제1 거리 미만인 제2 거리 간격만큼 떨어져 이격되는 접철 구성 사이에서 구성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측벽이 상기 제2 측벽에 연결되는, 상기 제1 및 제2 대향하는 평행 측벽들; 및
    상기 정립 구성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전후단들을 폐쇄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내부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전후단 어셈블리들로서, 각각이 상기 제1 측벽에 힌지로 부착되는,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1 측벽을 상기 제2 측벽에 대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2 측벽과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1 측벽을 추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에 대하여 고정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추가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와 체결 가능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접철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또한 상기 제2 측벽을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제2 측벽과 체결 가능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각각의 상기 종단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닫힌 위치와,
    각각의 상기 종단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열린 위치 사이에서 피벗 가능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닫힌 위치들로 피벗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과 체결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각각은:
    상측 및 하측 전방 연장 부재들; 및
    상측 및 하측 후방 연장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상기 상측 및 하측 전방 연장 부재들은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이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전단 어셈블리와 체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상기 상측 및 하측 후방 연장 부재들은 상기 후단 어셈블리와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주변 강성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강성 프레임은:
    제1 및 제2 직립 측들로서, 각각이 상측 및 하측 종단들을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종단들에 각각 장착되는 네 개의 코너부; 및
    상측 및 하측 크로스 바들로서, 상기 상측 크로스 바는 상기 제1 직립 측의 상기 상측 종단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로부터 상기 제2 직립 측의 상기 상측 종단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측 크로스 바는 상기 제1 직립 측의 상기 하측 종단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로부터 상기 제2 직립 측의 상기 하측 종단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으로 연장되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크로스 바들을 포함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상기 상측 및 하측 전방 연장 부재들이 상기 전단 어셈블리와 체결될 때, 상기 상측 전방 연장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전단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상측 종단들 또는 상기 전단 어셈블리의 상기 상측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들 중 하나와 인접하고 상기 하측 전방 연장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전단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하측 종단들 또는 상기 전단 어셈블리의 상기 하측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들 중 하나와 인접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의 상기 상측 및 하측 후방 연장 부재들이 상기 후단 어셈블리와 체결될 때, 상기 상측 후방 연장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후단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상측 종단들 또는 상기 후단 어셈블리의 상기 상측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들 중 하나와 인접하고 상기 하측 후방 연장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후단 어셈블리의 상기 제1 및 제2 직립 측들의 상기 하측 종단들 또는 상기 후단 어셈블리의 상기 하측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상기 코너부들 중 하나와 인접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9.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각각의 제2 직립 측에 힌지로 부착되고 상기 제2 측벽에 부착하도록 피벗 가능한 강성 플랩을 포함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10. 청구항 6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들의 각각은 트위스트록 및/또는 브릿지 클램프 체결을 위한 코너 캐스팅인,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프팅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각 리프팅 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정립 구성으로 구성시킬 때 상기 상측 벽을 리프팅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세장형 라인 또는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 리프팅 시스템은 그것이 당겨지거나 끌어당겨질 때 가요성 상기 라인 또는 인장 부재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 메커니즘 및 조작자가 상기 세장형 라인 또는 인장 부재를 홀딩하고 끌어 당기기 위한 홀드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장형 라인 또는 인장 부재의 하나의 종단 영역은 상기 상측 벽의 자유 에지 영역에 채워지거나 고정되며, 이로부터 상기 세장형 라인 또는 인장 부재가 상기 롤러 메커니즘을 통해 또는 그 위로 지나 상기 다른 측벽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드 부재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구성될 때 조작자가 상기 상측 벽의 상기 자유 에지 영역을 리프팅하기 위해 상기 롤러 메커니즘을 통해 또는 그 위로 상기 세장형 라인 또는 인장 부재를 홀딩하고 끌어 당기도록 상기 세장형 라인 또는 인장 부재의 맞은 편 종단 영역에 고정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각 리프팅 시스템은 상기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구성될 때 상기 홀드 부재의 가이딩 움직임을 위해 상기 측벽의 상기 외측에 부착되는 트랙 또는 레일을 포함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14. 청구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길이를 따라 떨어져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상기 리프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15. 청구항 1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리프팅 시스템은 상기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정립 구성으로 있을 때 상기 홀드 부재가 이에 고착 또는 고정되는 상기 측벽의 상기 하측 종단에 또는 그 부근 상기 측벽의 상기 외측에 부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16.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로서,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 및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로서, 각각이 접철 구성으로 있는, 상기 제1 및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이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2 측벽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전후단 어셈블리들이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과 체결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은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사이에 위치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18. 청구항 16 또는 17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 및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이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이 또한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2 측벽 및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과 체결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19. 청구항 16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3 및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및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의 각각은 상기 접철 구성으로 있고,
    상기 제3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상기 제3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전후단 어셈블리들의 각각은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제1 측벽에 인접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3 및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가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 사이에 위치되고 그것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이 또한 상기 제3 및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과 체결되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이 상기 제3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과 인접하고, 상기 제3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이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과 인접하며, 상기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이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전후단 어셈블리들과 인접하도록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들이 옆으로 적층되게 형성되어 있는,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21. 청구항 16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2 측벽 간 조립된 거리는 상기 제1 복합 컨테이너의 상기 제1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거리는 201 센티미터와 226 센티미터 사이인,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조립된 거리는 약 221 센티미터인,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KR1020197023273A 2017-03-21 2017-12-1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및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KR102234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900998A AU2017900998A0 (en) 2017-03-21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AU2017900998 2017-03-21
PCT/AU2017/000276 WO2018170527A1 (en) 2017-03-21 2017-12-14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614A true KR20190105614A (ko) 2019-09-17
KR102234744B1 KR102234744B1 (ko) 2021-04-01

Family

ID=6358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273A KR102234744B1 (ko) 2017-03-21 2017-12-14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및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161686B2 (ko)
EP (1) EP3601105B1 (ko)
JP (1) JP7166262B2 (ko)
KR (1) KR102234744B1 (ko)
CN (1) CN110325459B (ko)
AU (1) AU2017404842B2 (ko)
DK (1) DK3601105T3 (ko)
EA (2) EA201991875A1 (ko)
ES (1) ES2913767T3 (ko)
RU (1) RU2745038C1 (ko)
WO (1) WO2018170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6118A (ja) * 2017-02-10 2020-02-27 シーイーシー システム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折り畳み式インターモーダルコンテナ
US11621603B2 (en) * 2020-06-27 2023-04-04 James Michael Wheeler Portable housing for use with portable electric generato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993A (ja) * 2001-03-07 2002-09-18 Pd System:Kk 輸送用コンテナ
US20080029508A1 (en) * 2006-08-04 2008-02-07 Kochanowski George E Stackable and collapsible container
CN203359247U (zh) * 2013-05-31 2013-12-25 潘国华 一种折叠集装箱及其收放吊架组
KR20160089131A (ko) * 2015-01-19 2016-07-27 박용재 절첩식 컨테이너
US20160251153A1 (en) * 2013-06-18 2016-09-01 Miguel Antonio NAVALÓN SIMÓN Novel Collapsibl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53192A (de) * 1967-04-10 1968-06-14 Algenthia Ag Ges Fuer Entwickl Quaderförmiger Behälter
US3752349A (en) * 1971-03-15 1973-08-14 Flexogenics Inc Collapsible container
JPH0811877A (ja) * 1994-06-24 1996-01-16 Masakatsu Shikura 折りたたみ可能な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2130927A (ja) 2000-10-20 2002-05-09 Matsushita Refrig Co Ltd 保冷庫
GB0226012D0 (en) * 2002-11-07 2002-12-18 Clive Smith Martin A car carrying container
CN101039853B (zh) * 2004-09-01 2011-08-24 可折叠集装箱控股有限公司 在侧盖中有中心铰链的大型可折叠容器
US7823739B2 (en) * 2006-12-08 2010-11-02 C Cubed I Llc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WO2008104193A1 (de) * 2007-02-28 2008-09-04 Texas Oil Capital Holding Corp. Faltcontainer
CN201140878Y (zh) * 2007-12-11 2008-10-29 上海富日商务咨询有限公司 一种可折叠式集装箱
US7882973B2 (en) 2008-07-30 2011-02-08 Krohn Christopher G Portable container with integral folding mechanism
AU2009335588B2 (en) * 2009-01-05 2014-05-15 Treck Pty Ltd Collapsible containers
WO2012138019A1 (ko) * 2011-07-22 2012-10-11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절첩식 컨테이너
US9181024B2 (en) 2011-08-15 2015-11-10 George E. Kochanowski Reversibly foldable freight container
CL2011003232A1 (es) * 2011-12-21 2012-07-13 Claudio De Los Sagrados Corazones Arteaga Reyes Contenedor plegable que comprende un piso, un panel frontal con puertas de acceso, un panel trasero, un techo, paredes laterales derecha e izquierda, juntas o uniones abisagradas, medios de anclaje laterales, medios para bloquear el abatimiento de los paneles y medios para bloquear o desbloquear el plegado; metodo; uso; sistema.
JP5719969B2 (ja) * 2012-10-31 2015-05-20 第一大宮株式会社 折畳みコンテナ
KR101258612B1 (ko) * 2013-01-10 2013-04-2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접이식 컨테이너
EP3107837B1 (en) * 2014-02-20 2019-08-07 George E. Kochanowski Corner fitting for a freight container
GB2524326B (en) * 2014-03-21 2017-12-20 Tim Wong Leung Novel freight container
WO2015199691A1 (en) * 2014-06-26 2015-12-30 Heskamp United Collapsable Container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psible container
JP2020506118A (ja) * 2017-02-10 2020-02-27 シーイーシー システムズ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折り畳み式インターモーダルコンテ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993A (ja) * 2001-03-07 2002-09-18 Pd System:Kk 輸送用コンテナ
US20080029508A1 (en) * 2006-08-04 2008-02-07 Kochanowski George E Stackable and collapsible container
CN203359247U (zh) * 2013-05-31 2013-12-25 潘国华 一种折叠集装箱及其收放吊架组
US20160251153A1 (en) * 2013-06-18 2016-09-01 Miguel Antonio NAVALÓN SIMÓN Novel Collapsible Container
KR20160089131A (ko) * 2015-01-19 2016-07-27 박용재 절첩식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404842B2 (en) 2019-03-28
CN110325459B (zh) 2022-04-19
JP2020511370A (ja) 2020-04-16
ES2913767T3 (es) 2022-06-06
US20200071069A1 (en) 2020-03-05
AU2017404842A1 (en) 2019-01-31
WO2018170527A1 (en) 2018-09-27
EA039688B1 (ru) 2022-02-28
EA201991875A1 (ru) 2020-01-16
EP3601105B1 (en) 2022-03-02
EP3601105A4 (en) 2021-03-17
CN110325459A (zh) 2019-10-11
KR102234744B1 (ko) 2021-04-01
RU2745038C1 (ru) 2021-03-18
JP7166262B2 (ja) 2022-11-07
DK3601105T3 (da) 2022-05-23
EP3601105A1 (en) 2020-02-05
EA201992056A1 (ru) 2020-04-09
US11161686B2 (en)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2968B2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US6422409B2 (en) Collapsible container with an unbroken top wall
EP2616368B1 (en) Collapsible freight container
MX2011003888A (es) Contenedor de almacenamiento movil plegable.
US11254492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stacker and a stacking system
KR102234744B1 (ko)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및 접철식 복합 컨테이너 어셈블리
US9849839B2 (en) Movable container with locking system for pickup truck
US5706964A (en) Reusable corner and bulkhead system for bulk cargo container
EA040449B1 (ru) Складной интермод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AU2013100528A4 (en) A Container
ITTV20090060A1 (it) Container pieghevole e metodi per la sua chiusura e apertu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