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3072A -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072A
KR20110033072A KR1020100092481A KR20100092481A KR20110033072A KR 20110033072 A KR20110033072 A KR 20110033072A KR 1020100092481 A KR1020100092481 A KR 1020100092481A KR 20100092481 A KR20100092481 A KR 20100092481A KR 20110033072 A KR20110033072 A KR 20110033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artition
storage position
partition wal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쓰오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호
Publication of KR20110033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8Cooled suppor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8Refrigerator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0Refrigerator top-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0Car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object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8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트레이의 수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수납장치를 제공한다.
수납장치인 배식차는, 트레이(5)상의 식품을 온장하기 위한 온장실(31)과 트레이(5)상의 식품을 냉장하기 위한 냉장실(32)을 구비한다. 배식차는 온장실(31)과 냉장실(32)을 나누는 칸막이벽(33)을 구비하고, 이 칸막이벽(33)은, 트레이(5)의 삽입부(10)를 사이에 삽입 가능한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칸막이벽 구성체(61)를 갖는다.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61)의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에는, 트레이(5)의 삽입부(10)와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5)를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볼록부(63)를 설치한다.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61)의 칸막이 본체부(62)의 하부에는, 삽입부 통로(77)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수단(80)을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Description

수납장치{S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트레이를 수납 가능한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온냉장장치 등의 수납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수납장치는, 좌우방향 중간부에 삽입부(경계부)를 갖는 트레이를 전후방향으로 2개 나열하도록 제 1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에 수납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 수납장치는, 트레이 중 삽입부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상에 얹어놓여진 식품(따뜻하게 하여 먹는 온식)을 온장하기 위한 온장실과, 트레이 중 삽입부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부분상에 얹어놓여진 식품(차갑게 하여 먹는 냉식)을 냉장하기 위한 냉장실과, 이들 온장실과 냉장실을 나누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이 칸막이벽은 트레이의 삽입부가 사이에 삽입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벽 구성체를 갖고 있다.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양 칸막이벽 구성체중의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칸막이 본체부를 갖고, 이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이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 평탄면 형상의 상면을 따라서 트레이의 삽입부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양 칸막이벽 구성체중의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칸막이 본체부를 갖고, 이 칸막이 본체부의 하부에는, 전후 1쌍의 가동 칸막이부(칸막이체) 및 이들 양 가동 칸막이부 사이에 위치하는 가동 스토퍼부(스토퍼체)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전방측으로부터 트레이를 제 1 수납위치에 수납하는 경우, 트레이의 삽입부를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양 칸막이 본체부간의 삽입부 통로에 밀어넣도록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앞쪽의 가동 칸막이부가 트레이의 삽입부에 밀려 위로 이동하고 하측의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트레이의 삽입부가 하측의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트레이의 삽입부의 삽입방향 선단(안쪽단)이 가동 스토퍼부와 접촉하여, 이 접촉에 의해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수납이 완료한다.
한편, 트레이를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경우, 즉 패스 스루(pass through)를 행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레이를 제 1 수납위치에 수납한 후, 트레이의 삽입부를 삽입부 통로내에서 더 밀어넣는 것에 의해, 가동 스토퍼부 및 후측의 가동 칸막이부를 차례차례 위로 이동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22463호(도 2, 도 12 등)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납장치에서는, 트레이의 삽입부가 하측의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을 때에, 상하이동 가능한 가동 스토퍼부에 대해서 트레이의 삽입부의 삽입방향 선단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그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트레이의 삽입부의 삽입방향 선단이 가동 스토퍼부에 접촉한 것을 모르고, 트레이의 삽입부를 제 2 수납위치측까지 여분으로 밀어넣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트레이의 위치결정의 수정이 필요하여, 트레이의 수납 작업에 시간이 걸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트레이의 수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납장치는, 좌우방향 중간부에 삽입부를 갖는 트레이를, 전후방향으로 나열하도록 제 1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에 수납 가능하고 또한 적어도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로 이동 가능한 수납장치로서, 트레이 중 삽입부에서 좌우 어느 일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상에 얹어놓여진 식품을 온장하기 위한 온장실과, 트레이 중 삽입부에서 좌우 어느 타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상에 얹어놓여진 식품을 냉장하기 위한 냉장실과, 상기 온장실과 상기 냉장실을 나누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벽은, 트레이의 삽입부가 사이에 삽입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칸막이벽 구성체를 갖고, 상기 양 칸막이벽 구성체중의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는, 상기 온장실과 상기 냉장실을 나누는 칸막이 본체부와, 이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 중 제 1 수납위치와 제 2 수납위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삽입부와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를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볼록부를 갖고, 상기 양 칸막이벽 구성체중의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는, 상기 온장실과 상기 냉장실을 나누는 칸막이 본체부와, 이 칸막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이 칸막이 본체부와 상기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와의 사이의 삽입부 통로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수단을 갖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수납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수납장치에 있어서,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위치결정 볼록부는, 제 1 수납위치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 형상의 위치결정 경사면을 갖고, 트레이의 삽입부와 상기 위치결정 경사면과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수납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통로 개폐수단은, 상기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에 수납될 때에 위로 이동하여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제 1 가동 칸막이부와, 상기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가 제 2 수납위치에 수납될 때에 위로 이동하여 상기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제 2 가동 칸막이부와, 상기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동 칸막이부와 상기 제 2 가동 칸막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로 이동할 때에 위로 이동하여 상기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위치결정 볼록부로부터 떨어지는 중간 가동 칸막이부를 갖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수납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수납장치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제 1 가동 칸막이부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상기 중간 가동 칸막이부 및 제 2 가동 칸막이부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수납장치는,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수납장치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중간 가동 칸막이부의 형상과 위치결정 볼록부의 형상이 대략 같은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수납장치는, 청구항 1 내지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납장치에 있어서, 캐스터를 구비한 배식차(식사운반차)인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의 삽입부와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위치결정 볼록부와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트레이의 삽입부가 위치결정 볼록부에 접촉한 것을 알아채기 쉽고, 트레이의 수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의 삽입부와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위치결정 볼록부의 위치결정 경사면과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트레이의 수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트레이를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로 원할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통로 개폐수단이 제 1 가동 칸막이부, 제 2 가동 칸막이부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를 갖기 때문에, 온장실과 냉장실과의 사이의 단열성을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제 1 가동 칸막이부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중간 가동 칸막이부 및 제 2 가동 칸막이부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장실과 냉장실과의 사이의 단열성을 보다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평면에서 볼 때 중간 가동 칸막이부의 형상과 위치결정 볼록부의 형상이 대략 같기 때문에, 온장실과 냉장실과의 사이의 단열성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캐스터를 구비한 배식차이기 때문에, 이 배식차내에 수납한 트레이를 원하는 위치까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수납장치인 배식차내에 트레이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배식차의 칸막이벽 구성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칸막이벽 구성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칸막이벽 구성체의 가동 칸막이부 및 위치결정 볼록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배식차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평면에서 본 상기 배식차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배식차내에 트레이를 수납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에 이어지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지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어지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이어지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1은 수납장치인 재가열 카트 등의 배식차이다. 한편, 도 6에 표시하는 화살표 방향을 전후 및 좌우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배식차(1)는, 마루면 등의 주행면상을 주행 가능한 복수의 캐스터(2,3)를 하단부에 구비한 외형이 대략 직방체 형상의 것으로, 예를 들면 병원이나 고령자 시설 등에 있어서, 배식(밥상을 차려서 손님에게 돌림)시(식사시)에 조리된 식품(도시하지 않음)이 얹어놓여진 트레이(5)를 입원 환자나 입주자 등에 배식할 때에 사용된다.
트레이(5)는, 도 1 및 도 6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약간 길이가 긴 형상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얕은 쟁반 형상의 것으로, 좌우 어느 한쪽인 좌측에 형성된 제 1 오목 형상부(6)와, 좌우 어느 다른 쪽인 우측에 형성된 제 2 오목 형상부(7)와, 좌우방향 중간부인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제 1 오목 형상부(6) 및 제 2 오목 형상부(7)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판 형상의 삽입부(경계부)(10)와, 외주단부에 형성된 날밑부(8)를 갖고 있다. 날밑부(8)의 외주면은, 대략 원호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오목 형상부(6)에는, 예를 들면 쌀밥 및 주된 요리(예를 들면 생선요리, 고기요리, 익힌 음식 등의 따뜻하게 해서 먹는 식재) 등의 식품(따뜻하게 하여 먹는 온식)이 용기(11)에 넣어진 상태로 얹어놓여져 있다. 제 2 오목 형상부(7)에는, 예를 들면 냉채 등의 식품(차갑게 하여 먹는 냉식)이 용기(12)에 넣어진 상태로 얹어놓여져 있다. 한편, 용기(11,12)를 이용하지 않고, 식품을 제 1 오목 형상부(6) 및 제 2 오목 형상부(7)에 직접 얹어놓도록 해도 좋다.
도 5 및 도 6에는, 배식차(1)가 가열 냉각장치(15)에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배식시에는, 이 배식차(1)는, 가열 냉각장치(15)와의 연결이 해제된다.
가열 냉각장치(15)는, 좌측에 냉풍·열풍 공급부(16)를 갖고, 우측에 냉풍 공급부(17)를 갖고 있다. 또한, 가열 냉각장치(15)는, 도시하지 않지만, 외부 공기 도입구, 제어부 및 터치 패널 조작부 등을 갖고 있다.
냉풍·열풍 공급부(16)는, 트레이(5)상의 식품의 냉각 보존시에는 냉풍을 토출하고 트레이(5)상의 식품의 재가열시에는 열풍을 토출하는 토출구(18)와, 트레이 (5)상의 식품의 냉각 보존시에는 냉풍을 흡입하고 트레이(5)상의 식품의 재가열시에는 열풍을 흡입하는 흡입구(19)와, 냉각용 열교환부(20)와, 저항 발열식의 히터부(21)와, 팬부(22)를 갖고 있다.
냉풍 공급부(17)는, 트레이(5)상의 식품의 냉각 보존시 및 재가열시에 냉풍을 토출하는 토출구(23)와, 트레이(5)상의 식품의 냉각 보존시 및 재가열시에 냉풍을 흡입하는 흡입구(24)와, 냉각용 열교환부(25)와, 팬부(26)를 갖고 있다.
한편, 배식차(1)는, 가열 냉각장치(15)와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시인 배식시에 트레이(5)의 제 1 오목 형상부(6)상의 식품(온식)을 온장하기 위한 온장실(31)과, 그 배식시에 트레이(5)의 제 2 오목 형상부(7)상의 식품(냉식)을 냉장하기 위한 냉장실(32)과, 이들 온장실(31)과 냉장실(32)을 나누는 대략 판 형상의 칸막이벽(33)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즉, 배식시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 식품을 따뜻한 상태로 유지하고, 차갑게 하여 먹는 식품을 차가운 상태로 유지한 채로, 이들 온도가 다른 식품을 입원 환자나 입주자 등의 각자에 대해서 제공할 수 있도록, 배식차(1)의 내부 좌측에는 재가열 후의 따뜻한 식품을 그 고온 상태를 유지하여 온장하기 위한 온장실(31)이 형성되고, 배식차(1)의 내부 우측에는 냉각 보존되어 있던 차가운 식품을 그 저온 상태를 유지하여 냉장하기 위한 냉장실(32)이 형성되고, 이들 양 실(31,32) 사이가 단열된 상태로서 칸막이벽(33)으로 나누어져 있다.
여기서, 배식차(1)의 온장실(31)에 넣어진 식품을 가열 냉각장치(15)를 사용하여 재가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배식시까지는, 도 6에 그 흐름을 도시하는 냉풍의 순환 공급에 의해서, 트레이(5)상의 식품은 칠드(Chilled) 온도대에서 냉각 보존되어 있다. 즉, 온장실(31)내의 식품은, 가열 냉각장치(15)의 냉풍·열풍 공급부(16)의 작동에 기초하는 냉풍의 순환 공급에 의해서 칠드 보존되고, 또한 냉장실(32)내의 식품은, 가열 냉각장치(15)의 냉풍 공급부(17)의 작동에 기초하는 냉풍의 순환 공급에 의해서 칠드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되면, 냉풍·열풍 공급부(16)에서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냉풍이 열풍으로 자동적으로 완전히 교체되어, 도 6에 그 흐름을 도시하는 열풍의 순환 공급에 의해서, 온장실(31)내의 식품만이, 최적 온도까지 재가열된다. 이 때, 냉장실(32)내의 식품은, 계속하여 냉풍의 순환 공급에 의해서 칠드 온도대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재가열을 한 후, 작업자는, 가열 냉각장치(15)와 배식차(1)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배식차(1)를 원하는 위치까지 옮긴 후, 각 트레이(5)를 온장실(31) 및 냉장실(32)내로부터 차례차례 꺼내 각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에, 배식차(1)의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배식차(1)는, 이 배식차(1)의 전후 양방측으로부터 트레이(5)를 전후방향으로 예를 들면 2개, 소정간격을 두고 나열하도록 제 1 수납위치(앞쪽 수납위치) 및 이 제 1 수납위치의 후방의 제 2 수납위치(후측 수납위치)에 복수단 형상으로 수납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배식차(1)는, 이 배식차(1)의 전후 양방측으로부터 트레이 (5)를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로부터 제 1 수납위치로 이동 가능, 즉 패스 스루 가능한 것이다.
즉 예를 들면 작업자는, 트레이(5)의 수납시에, 앞문(34)을 열린 상태로 하여 앞면 개구부(36)를 개구시키고 후문(35)을 닫힌 상태로 하여 후면 개구부(37)를 폐쇄한 상태에서, 그 전방을 향하여 개구한 앞면 개구부(36)를 통과하고, 트레이 (5)를 제 1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의 양 위치에 수납한다.
그리고, 트레이(5)를 꺼낼 때에, 앞문(34)을 닫힌 상태로 하여 앞면 개구부 (36)를 폐쇄하고 후문(35)을 열린 상태로 하여 후면 개구부(37)를 개구시킨 상태에서, 그 후방을 향해 개구된 후면 개구부(37)를 통과하여, 트레이(5)를 제 1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의 양 위치로부터 꺼낸다.
한편, 후면 개구부(37)만을 개구시켜 트레이(5)를 수납하고, 앞면 개구부(36)만을 개구시켜 트레이(5)를 꺼내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앞면 개구부(36) 및, 후면 개구부(37)의 양쪽을 개구시킨 상태로 하여 트레이(5)의 수납 및 꺼내기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식차(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카트부(41)와 이 카트부(41)가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는 수납실부(42)로 구성되어 있다.
카트부(41)는, 캐스터(2)를 하단부에 갖는 동시에 앞면 개구부(36) 및 후면 개구부(37)를 갖는 전후면 개구형상의 상자형상을 이루는 카트 본체(4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카트 본체(43)의 내부 좌측에 온장실(31)이 형성되고, 카트 본체 (43)의 내부 우측에 냉장실(32)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온장실(31)과 냉장실(32)을 나누는 칸막이벽(33)이 카트 본체(43)내의 좌우방향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 본체(43)는, 한쪽의 측판인 좌측판(44) 및, 다른쪽의 측판인 우측판(45)을 갖고 있다. 좌측판(44)에는, 가열 냉각장치(15)와의 연결시에 냉풍·열풍 공급부(16)의 토출구(18)와 연이어 통한 연통로(46)로부터의 냉풍·열풍을 온장실(31)에 도입하는 복수의 도입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우측판(45)에는, 가열 냉각장치(15)와의 연결시에 냉풍 공급부(17)의 토출구(23)와 연이어 통한 연통로(47)로부터의 냉풍을 냉장실(32)에 도입하는 복수의 도입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양 측판(44,45)의 상단부 상호가 상판으로 연결되고, 양 측판(44,45)의 하단부 상호가 하판으로 연결되어 있다.
수납실부(42)는, 캐스터(3)를 하단부에 갖는 전후면 개구형상의 상자형상을 이루는 본체(51)를 구비하고, 이 본체(51)내에는 카트부(41)가 출입 가능하게 수납되는 카트부 수납실(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51)의 전단부에는, 카트부 수납실(52)에 카트부(41)가 수납된 상태시에 카트부(41)의 앞면 개구부(36)를 개폐하는 앞문(34)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체(51)의 후단부에는, 카트부 수납실(52)에 카트부(41)가 수납된 상태시에 카트부(41)의 후면 개구부(37)를 개폐하는 후문(35)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51)는, 한쪽의 측판인 좌측판(54) 및 다른쪽의 측판인 우측판 (55)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가열 냉각장치(15)와의 연결시에 본체(51)의 좌측판 (54)과 카트 본체(43)의 좌측판(44)과의 사이의 공간부에서 좌측의 연통로(46)가 구성되고, 가열 냉각장치(15)와의 연결시에 본체(51)의 우측판(45)과 카트 본체 (43)의 우측판(55)과의 사이의 공간부에서 우측의 연통로(47)가 구성된다.
여기서, 카트부(41)의 칸막이벽(3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칸막이벽(33)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5)의 삽입부(10)가 사이에 삽입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칸막이벽 구성체, 즉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3개 이상 나열하여 위치하는 복수의 칸막이벽 구성체(61)를 갖고 있다. 즉, 동일 구성의 각 칸막이벽 구성체(61)가 쌓아 올려지도록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이들 복수의 칸막이벽 구성체(61)에서 연직방향을 따른 1매 판 형상의 칸막이벽(33)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칸막이벽 구성체(61)에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양 칸막이벽 구성체(61) 사이에 삽입부(10)가 삽입된 트레이(5)의 오목 형상부(6,7)의 하면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트레이 지지체(6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벽 구성체(61)와 트레이 지지체(60)로 칸막이벽 구성유닛(59)이 구성되고, 각 칸막이벽 구성유닛(59)이 카트 본체(43)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고 이 카트 본체(43)내에 대해서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트레이 지지체(60)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막대형상 부재(60a) 및 이 막대형상 부재(60a)에 고정된 지지부재(60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트레이 지지체(60)는, 칸막이벽 구성체(61)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트레이(5)의 제 1 오목 형상부(6)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56)와, 칸막이벽 구성체(61)의 우측면으로부터 우측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트레이(5)의 제 2 오목 형상부(7)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57)를 갖고 있다. 제 1 지지부(56)는 좌단부에 얹어놓음판(56a)을 갖고, 이 얹어놓음판(56a)이 카트 본체(43)의 좌측판(44)의 내면에 고정된 받침판(도시하지 않음)상에 얹어놓여져 있다. 제 2 지지부(57)는 우단부에 얹어놓음판(57a)을 갖고, 이 얹어놓음판(57a)이 카트 본체(43)의 우측판 (45)의 내면에 고정된 받침판(도시하지 않음)상에 얹어놓여져 있다.
칸막이벽 구성체(6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직 형상으로 위치하여 온장실(31)과 냉장실(32)을 나누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는 칸막이 본체부(62)를 갖고 있다.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 중 제 1 수납위치와 제 2 수납위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트레이(5)의 삽입부(10)의 길이방향 단부와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5)를 제 1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에 각각 위치결정하는 판 형상의 위치결정 볼록부(63)가 상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에서의 위치결정 볼록부(63) 이외의 부분은, 수평 형상으로 위치하는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판 형상의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하방향 길이치수(판두께 치수)(A)는, 트레이(5)의 판 형상의 삽입부(10)의 상하방향 길이치수(판두께 치수)(B)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대략 절반으로 하고 있다(도 8 참조).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좌우방향 길이치수인 폭치수는,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의 폭치수와 대략 같다.
위치결정 볼록부(63)는, 전후방향으로 약간 길이가 긴 형상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본체판부(65)와, 본체판부(65)의 앞면에서의 좌우 어느 일방측인 우측에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된 전후방향으로 약간 길이가 긴 형상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제 1 돌출판부(66)와, 본체판부(65)의 후면에서의 좌우 어느 타방측인 좌측에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된 전후방향으로 약간 길이가 긴 형상의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제 2 돌출판부(67)를 갖고 있다.
제 1 돌출판부(66)의 돌출방향 선단면인 앞면에는, 제 1 수납위치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 형상, 즉 앞쪽 내리막 경사 형상의 위치결정 경사면인 제 1 위치결정 경사면(7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작업자가 앞면 개구부(36)로부터 트레이(5)를 제 1 수납위치에 수납하는 경우에, 트레이(5)의 삽입부(10)의 삽입방향 선단부인 후단부(안쪽단)와 제 1 위치결정 경사면(71)과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5)가 소정의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제 2 돌출판부(67)의 돌출방향 선단면인 후면에는, 제 2 수납위치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 형상, 즉 뒤쪽 내리막 경사 형상의 위치결정 경사면인 제 2 위치결정 경사면(7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작업자가 후면 개구부(37)로부터 트레이(5)를 제 2 수납위치에 수납하는 경우에, 트레이(5)의 삽입부(10)의 삽입방향 선단부인 전단부(안쪽단)와 제 2 위치결정 경사면(72)과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5)가 소정의 제 2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된다.
한편, 본체판부(65)의 앞면에서의 좌우 어느 타방측인 좌측에는, 앞쪽 내리막 경사 형상의 경사면(7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판부(65)의 후면에서의 좌우 어느 일방측인 우측에는, 뒤쪽 내리막 경사 형상의 경사면(7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각 경사면(71,72,73,74)의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는, 모두 같은 각도이고, 예를 들면 대략 45도이다.
또한, 칸막이 본체부(62)의 하부에는, 트레이(5)의 삽입부(10)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삽입부 통로(77)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수단(80)이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삽입부 통로(77)는, 서로 이간 대향하여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양 칸막이 본체부(62) 사이의 공간부이다.
통로 개폐수단(80)은, 칸막이 본체부(62)의 앞쪽 하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5)가 제 1 수납위치에 수납될 때에 그 삽입부(10)로 밀려 위로 이동하고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61)의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대략 판 형상의 제 1 가동 칸막이부(81)와, 칸막이 본체부(62)의 후측 하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5)가 제 2 수납위치에 수납될 때에 그 삽입부(10)로 밀려 위로 이동하고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61)의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대략 판 형상의 제 2 가동 칸막이부(82)와, 칸막이 본체부(62)의 전후방향 중앙부(전후방향 중간부)의 하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 1 가동 칸막이부(81)와 제 2 가동 칸막이부(82)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트레이(5)가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로부터 제 1 수납위치로 이동할 때에 그 삽입부(10)로 밀려 위로 이동하고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61)의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중간 가동 칸막이부(83)를 갖고 있다.
즉, 통로 개폐수단(80)은, 서로 조합하여 서로 접촉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나열하여 위치하는 3개의 분할 칸막이체인 가동 칸막이부(81,82,83)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 칸막이부(차폐판)(81,82,83)의 상부는 칸막이 본체부(62)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하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수납부(84)내에 수납되고, 가동 칸막이부(81,82, 83)의 하부는 그 수납부(84) 밖으로 노출되어 칸막이 본체부(6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한편, 가동 칸막이부(81,82,83)에는 빠짐방지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칸막이벽 구성유닛(59)을 카트 본체(43)내로부터 꺼냈을 때에, 가동 칸막이부(81,82,83)가 수납부(84)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 칸막이부(81,82,83)은, 카트 본체(43)내로부터 트레이(5)가 꺼내지는 것에 의해 삽입부 통로(77)에 대한 삽입부(10)의 삽입이 해제되면, 자중에 의해서 칸막이 본체부(62)에 대해서 아래로 이동하고, 제 1, 제 2 가동 칸막이부 (81,82)의 하면이 하측의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과 면형상으로 접촉하고,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하면이 하측의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에 면형상으로 접촉한다. 한편, 가동 칸막이부(81,82,83)는, 자중으로 원활하게 아래로 이동하도록, 도시하지 않지만, 무게추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제 1 가동 칸막이부(81)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86)를 갖고 있다. 본체부(86)의 앞면 하부에는 좌우 1쌍의 돌출부(87)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고, 각 돌출부(87)의 앞면에는 앞 오르막 경사 형상의 안내면(8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칸막이 본체부(62)는, 돌출부(87)의 안내면(88)과 이간 대향하는 앞쪽 내리막 경사 형상의 안내면(89)을 상면 전단부에 갖고 있다.
또한, 본체부(86)의 앞면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끼워맞춤 볼록부(90)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이 끼워맞춤 볼록부(90)는 칸막이 본체부(62)의 전단 하부의 끼워맞춤 오목부(9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90)의 하부는, 양 돌출부(8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4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86)의 후면 좌측(후면 일부)에는, 대략 5각형 판형상의 돌출판부(93)가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돌출판부(93)의 후면 하부에는, 위치결정 볼록부(63)의 경사면(73)과 평행형상으로 이간 대향하는 뒤쪽 오르막 경사 형상의 뒤쪽 경사면(94)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판부(93)의 하단부 후측이,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제 1 돌출판부(66)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돌출판부(93)는, 연직형상으로 위치하는 연직 후면(96)을 후면에 갖고, 연직형상으로 위치하는 연직 측면(97)을 내측면(우측면)에 갖고 있다. 본체부(86)는, 연직형상으로 위치하는 본체 연직 후면(100)을 후면 우측에 갖고 있다.
제 2 가동 칸막이부(82)는, 제 1 가동 칸막이부(81)와 동일 형상의 것으로, 이 제 1 가동 칸막이부(81)와는 전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만 차이가 난다.
즉, 제 2 가동 칸막이부(82)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06)를 갖고 있다. 본체부(106)의 후면 하부에는 좌우 1쌍의 돌출부(107)가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각 돌출부(107)의 후면에는 뒤 오르막 경사 형상의 안내면(10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칸막이 본체부(62)는, 돌출부(107)의 안내면(108)과 이간 대향하는 뒤쪽 내리막 경사 형상의 안내면(109)을 상면 후단부에 갖고 있다.
또한, 본체부(106)의 후면에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끼워맞춤 볼록부(110)가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고, 이 끼워맞춤 볼록부(110)는 칸막이 본체부 (62)의 후단 하부의 끼워맞춤 오목부(111)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110)의 하부는, 양 돌출부(107)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4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6)의 앞면 우측(앞면 일부)에는, 대략 5각형 판형상의 돌출판부(113)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돌출판부(113)의 앞면 하부에는, 위치결정 볼록부(63)의 경사면(74)과 평행형상으로 이간 대향하는 앞쪽 오르막 경사 형상의 앞쪽 경사면(114)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판부(113)의 하단부 앞쪽이,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제 2 돌출판부(67)의 측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돌출판부(113)는, 연직형상으로 위치하는 연직 앞면 (116)을 앞면에 갖고, 연직형상으로 위치하는 연직 측면(117)을 내측면(좌측면)에 갖고 있다. 본체부(106)는, 연직형상으로 위치하는 본체 연직 앞면(120)을 앞면 좌측에 갖고 있다.
중간 가동 칸막이부(83)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본체부(121)를 갖고 있다. 본체부(121)의 앞면 우측(앞면 일부)에는, 대략 5각형 판형상의 제 1 돌출판부(123)가 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제 1 돌출판부(123)의 앞면 하부에는,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본체 연직 후면(100)과 이간 대향하는 앞 오르막 경사 형상의 앞 경사면(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앞 경사면(124)의 하방에 제 1 위치결정 경사면(71)이 위치하고, 앞 경사면 (124)의 하단과 제 1 위치결정 경사면(71)의 상단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본체부(121)의 후면 좌측(후면 일부)에는, 대략 5각형 판형상의 제 2 돌출판부(125)가 후방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제 2 돌출판부(125)의 후면 하부에는,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본체 연직 앞면(120)과 이간 대향하는 뒤 오르막 경사 형상의 뒤 경사면(1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뒤 경사면(126)의 하방에 제 2 위치결정 경사면(72)이 위치하고, 뒤 경사면(126)의 하단과 제 2 위치결정 경사면(72)의 상단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제 1 돌출판부(123)는, 연직형상으로 위치하여 제 1 가동 칸막이부 (81)의 본체 연직 후면(100)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연직 앞면(131)을 앞면에 갖고, 연직형상으로 위치하여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연직 측면(97)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연직 측면(132)을 내측면(좌측면)에 갖고 있다. 본체부(121)는, 연직형상으로 위치하고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연직 후면(96)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본체 연직 앞면(133)을 앞면 좌측에 갖고 있다.
또한, 제 2 돌출판부(125)는, 연직형상으로 위치하여 제 2 가동 칸막이부 (82)의 본체 연직 앞면(120)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연직 후면(136)을 후면에 갖고, 연직형상으로 위치하여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연직 측면(117)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연직 측면(137)을 내측면(우측면)에 갖고 있다. 본체부(121)는, 연직형상으로 위치하여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연직 앞면(116)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본체 연직 후면(138)을 후면 우측에 갖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7 등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제 1 가동 칸막이부(81)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중간 가동 칸막이부(83) 및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후단부의 돌출판부(93)와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전단부의 제 1 돌출판부(123)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후단부의 제 2 돌출판부(125)와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전단부의 돌출판부(113)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앞 경사면(124)과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제 1 위치결정 경사면(71)과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과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본체 연직 후면(100)으로 구획된 공간부(141)의 측면이, 제 1 가동 칸막이부 (81)의 돌출판부(93)의 연직 측면(97)으로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뒤 경사면(126)과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제 2 위치결정 경사면(72)과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과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본체 연직 앞면(120)으로 구획된 공간부(142)의 측면이,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돌출판부 (113)의 연직 측면(117)으로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온장실(31)로부터 냉장실(32)에의 열의 이동이 억제되어, 온장실(31)과 냉장실(32)과의 사이의 단열성이 확보된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형상과 위치결정 볼록부(63)의 형상이 대략 같고,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하면이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 전체에 면형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카트 본체(43)의 상판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는 최상위의 칸막이벽 구성체(61)는 위치결정 볼록부(63)를 갖지 않아도 좋고, 카트 본체(43)의 하판의 상면과 접촉하게 되는 최하위의 칸막이벽 구성체(61)는 통로 개폐수단(80)을 갖지 않아도 좋다. 또한, 가동 칸막이부(81,82,83)의 각 경사면(94,114,124,126)의 수평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는, 모두 같은 각도로, 예를 들면 대략 45도이다.
한편, 제 1 가동 칸막이부(81)에서의 본체부(86)의 후면 좌측에 돌출설치된 돌출판부(93)의 후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뒤 경사면(94)의 높이치수 C는,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는 트레이(5)의 삽입부(10)가 본체부 (86)를 밀어 위로 이동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하방향 길이치수 A와 트레이(5)의 판 형상의 삽입부(10)의 상하방향 길이치수 B를 더한 치수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또한 마찬가지로, 제 2 가동 칸막이부(82)에서의 본체부(106)의 앞면 우측에 돌출설치된 돌출판부 (113)의 앞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앞 경사면(114)의 높이치수 C는,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을 슬라이드 이동하고 있는 트레이(5)의 삽입부(10)가 본체부(106)를 밀어 위로 이동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하방향 길이치수 A와 트레이(5)의 판 형상의 삽입부(10)의 상하방향 길이치수 B를 더한 치수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에서의 본체부(121)의 앞면 우측으로 돌출설치 된 제 1 돌출판부(123)의 앞면 하부에 형성되고 있는 앞 경사면(124)이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치수 D,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에서의 본체부(121)의 후면 좌측에 돌출설치된 제 2 돌출판부(125)의 후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뒤 경사면(126)이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치수 D는, 하측의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려고 하고 있는 트레이(5)의 삽입부(10)가 위치결정 볼록부(63)에 얹히는 동시에 이 본체부(121)를 밀어 위로 이동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 트레이(5)의 판 형상의 삽입부(10)의 상하방향 길이치수 B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다음에, 트레이(5)를 배식차(1)의 카트 본체(43)내에 수납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5)의 삽입부(10)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하면 및,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하면이 각각 대향하는 하측의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과 면형상으로 접촉하고,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하면이 하측의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에 면형상으로 접촉하여, 이들 3개의 가동 칸막이부(81,82,83)로 삽입부 통로(77)가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식품을 오목 형상부(6,7)상에 얹어놓은 트레이(5)를 앞면 개구부(36)로부터 제 1 수납위치에 수납하는 경우, 작업자는, 트레이(5)의 삽입부 (10)를 전단측의 안내면(88,89)에 맞힌 후,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양 칸막이 본체부(62) 사이의 삽입부 통로(77)에 밀어넣도록 삽입한다.
그러면, 제 1 가동 칸막이부(81)가, 트레이(5)의 삽입부(10)로 밀려 위로 이동하고, 그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하측에 위치한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그 결과, 삽입부 통로(77)가 개구하고, 트레이(5)의 삽입부(10)는 그 하측의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또한 이 때, 트레이(5)의 오목 형상부(6,7)는 하측의 트레이 지지체(60)의 상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5)의 삽입부(10)의 삽입방향 선단이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제 1 위치결정 경사면(71)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앞 경사면(124)과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트레이(5)가 소정의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렇게 하여, 트레이(5)의 제 1 오목 형상부(6)상의 식품이 온장실(31)에 수납되어 온장되고, 트레이(5)의 제 2 오목 형상부(7)상의 식품이 냉장실 (32)에 수납되어 냉장된다.
한편, 트레이(5)를 후면 개구부(37)로부터 제 2 수납위치에 수납하는 경우에서는, 트레이(5)의 삽입부(10)의 삽입방향 선단이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제 2 위치결정 경사면(72)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뒤 경사면(126)과 접촉하여, 이 접촉에 의해 트레이(5)가 소정의 제 2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또한, 예를 들면 앞면 개구부(36)로부터 제 1 수납위치에 일단 수납한 트레이(5)를 그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까지 관통 이동시키는 경우, 즉 패스 스루를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트레이(5)의 삽입부(10)를 삽입부 통로(77)내에서 더 후방으로 밀어넣는다.
그렇게 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5)의 삽입부(10)는, 제 1 위치결정 경사면(71) 및 앞 경사면(124)으로 안내되어,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하면과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과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다. 즉, 트레이(5)의 삽입부(10)는, 위치결정 볼록부(63)상에 얹힌다.
이 때, 중간 가동 칸막이부(83)는, 트레이(5)의 삽입부(10)에 밀려 위로 이동하고, 그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하측에 위치한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그 결과, 삽입부 통로(77)가 개구하고, 트레이(5)의 삽입부(10)는 그 하측의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한다.
계속하여, 작업자가 트레이(5)의 삽입부(10)를 삽입부 통로(77)내에서 더 후방으로 밀어넣으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5)의 삽입부(10)는,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앞 경사면(114)으로 안내되어,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하면과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과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다.
이 때, 제 2 가동 칸막이부(82)는, 트레이(5)의 삽입부(10)로 밀려 위로 이동하고, 그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하측에 위치한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그 결과, 삽입부 통로(77)가 개구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이(5)의 삽입부(10)가 위치결정 볼록부(63)상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트레이(5)가 소정의 제 2 수납위치에 수납된다.
한편, 후면 개구부(37)로부터 제 2 수납위치에 일단 수납한 트레이(5)를 그 제 2 수납위치로부터 제 1 수납위치까지 패스 스루를 행하는 경우에서는, 트레이 (5)의 삽입부(10)는, 제 2 위치결정 경사면(72) 및 뒤 경사면(126)으로 안내되어,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하면과 위치결정 볼록부(63)의 상면과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 후,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뒤 경사면(94)으로 안내되어, 제 1 가동 칸막이부(81)의 하면과 칸막이 본체부(62)의 상면과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다.
그리고, 이러한 배식차(1)에 의하면, 트레이(5)의 삽입부(10)의 삽입방향 선단과 위치결정 볼록부(63)의 경사면(71,72)과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5)가 제 1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삽입부(10)가 경사면 (71,72)에 접촉했을 때에 트레이(5)는 삽입방향 선단측이 부상하듯이 조금 기울기 때문에, 작업자는 트레이(5)의 삽입부(10)가 위치결정 볼록부(63)에 접촉한 것을 알아채기 쉽고, 종래에 비해 트레이(5)의 수납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5)를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로부터 제 1 수납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패스 스루도 용이하고, 트레이 (5)의 수납 작업을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제 1 가동 칸막이부(81)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또한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중간 가동 칸막이부(83) 및 제 2 가동 칸막이부(82)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가동 칸막이부(81)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83)간의 빈틈이나 중간 가동 칸막이부(83) 및 제 2 가동 칸막이부(82)간의 빈틈을 통과하여 온장실(31)로부터 냉장실(32)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온장실(31)과 냉장실(32)과의 사이의 단열성을 보다 적절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 중간 가동 칸막이부(83)의 형상과 위치결정 볼록부(63)의 형상이 대략 같기 때문에, 중간 가동 칸막이부(83) 및 위치결정 볼록부(63)간의 빈틈을 통과하여 온장실(31)로부터 냉장실(32)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온장실(31)과 냉장실(32)과의 사이의 단열성을 보다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트레이(5)가 전후방향으로 2개 나열하도록 복수의 트레이(5)를 수납 가능한 구성으로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전후방향으로 3개 이상 나열하도록 수납 가능한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한, 전후 양방측으로부터 트레이(5)를 제 1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에 수납 가능한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전후 어느 일방측만으로부터 트레이(5)를 수납하고, 이 수납한 트레이(5)를 전후 어느 다른 쪽에서부터만 꺼내는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한, 트레이(5)를 수납 가능한 수납장치(트레이 수납장치)로서, 가열 냉각장치(15)에 연결하는 배식차(1)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가열 냉각 수단을 구비한 배식차라도 좋고, 또한 정위치에 설치되는 가열 냉각용의 수납선반 등이라도 좋다.
또한, 통로 개폐수단(80)은, 3개의 가동 칸막이부(81,82,83)로 구성된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개 이상의 가동 칸막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고무 등의 탄성변형 가능한 1개의 가동 칸막이부 이루어지는 것 등이라도 좋고, 나아가서는, 가동 칸막이부를 아래로 이동시키는데 스프링 등의 가압수단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1 : 수납장치인 배식차
2, 3 : 캐스터
5 : 트레이
10 : 삽입부
31 : 온장실
32 : 냉장실
33 : 칸막이벽
61 : 칸막이벽 구성체
62 : 칸막이 본체부
63 : 위치결정 볼록부
71 : 위치결정 경사면인 제 1 위치결정 경사면
77 : 삽입부 통로
80 : 통로 개폐수단
81 : 제 1 가동 칸막이부
82 : 제 2 가동 칸막이부
83 : 중간 가동 칸막이부

Claims (6)

  1. 좌우방향 중간부에 삽입부를 갖는 트레이를, 전후방향으로 나열하도록 제 1 수납위치 및 제 2 수납위치에 수납 가능하고 또한 적어도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로 이동 가능한 수납장치로서,
    트레이 중 삽입부에서 좌우 어느 일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상에 얹어놓여진 식품을 온장하기 위한 온장실과,
    트레이 중 삽입부에서 좌우 어느 타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상에 얹어놓여진 식품을 냉장하기 위한 냉장실과,
    상기 온장실과 상기 냉장실을 나누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상기 칸막이벽은, 트레이의 삽입부가 사이에 삽입되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칸막이벽 구성체를 갖고,
    상기 양 칸막이벽 구성체중의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는,
    상기 온장실과 상기 냉장실을 나누는 칸막이 본체부와,
    이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 중 제 1 수납위치와 제 2 수납위치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트레이의 삽입부와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를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볼록부를 갖고,
    상기 양 칸막이벽 구성체중의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는,
    상기 온장실과 상기 냉장실을 나누는 칸막이 본체부와,
    이 칸막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이 칸막이 본체부와 상기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와의 사이의 삽입부 통로를 개폐하는 통로 개폐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위치결정 볼록부는, 제 1 수납위치측을 향하여 내리막 경사 형상의 위치결정 경사면을 갖고,
    트레이의 삽입부와 상기 위치결정 경사면과의 접촉에 의해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통로 개폐수단은,
    상기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에 수납될 때에 위로 이동하여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제 1 가동 칸막이부와,
    상기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가 제 2 수납위치에 수납될 때에 위로 이동하여 상기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제 2 가동 칸막이부와,
    상기 상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칸막이 본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동 칸막이부와 상기 제 2 가동 칸막이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트레이가 제 1 수납위치로부터 제 2 수납위치로 이동할 때에 위로 이동하여 상기 하측의 칸막이벽 구성체의 위치결정 볼록부로부터 떨어지는 중간 가동 칸막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제 1 가동 칸막이부 및 중간 가동 칸막이부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서로 접촉하여 대향하는 상기 중간 가동 칸막이부 및 제 2 가동 칸막이부의 양 대향단부 상호가 측면에서 보아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중간 가동 칸막이부의 형상과 위치결정 볼록부의 형상이 대략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스터를 구비한 배식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KR1020100092481A 2009-09-24 2010-09-20 수납장치 KR201100330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9700 2009-09-24
JP2009219700A JP5430321B2 (ja) 2009-09-24 2009-09-24 収納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072A true KR20110033072A (ko) 2011-03-30

Family

ID=4393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481A KR20110033072A (ko) 2009-09-24 2010-09-20 수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30321B2 (ko)
KR (1) KR201100330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9087A1 (ja) * 2011-06-09 2012-1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膳車
JP6255269B2 (ja) * 2014-02-12 2017-12-27 ホシザキ株式会社 冷温蔵装置
JP6332789B2 (ja) * 2014-02-27 2018-05-30 ホシザキ株式会社 冷温蔵装置
JP6746534B2 (ja) * 2017-05-09 2020-08-26 株式会社フジマックネオ 係合可能なシャッター部を有する配膳装置
CA3166204A1 (en) 2021-07-02 2022-12-29 Regethermic Canada Inc. System for storing and delivering food tray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5477B2 (ja) * 2002-05-29 2008-06-25 株式会社フジタカ 適温配膳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30321B2 (ja) 2014-02-26
JP2011067288A (ja)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222B1 (ko) 냉장고
KR20110033072A (ko) 수납장치
US11730263B2 (en) System for storing and delivering food trays
JP5625561B2 (ja) 冷蔵庫
JP5254578B2 (ja) 冷蔵庫
JP2008304076A (ja) 冷蔵庫
WO2012076460A2 (en) Refrigerator
JP6068869B2 (ja) 冷温蔵装置の仕切壁構造
JP2004053227A (ja) 冷却貯蔵庫
JP4598173B2 (ja) 配膳車
JPH05334542A (ja) 自動販売機
JP5620538B2 (ja) 冷蔵庫
JP5617003B2 (ja) 冷蔵庫
JP6369975B2 (ja) 収納装置
CN220959147U (en) Drawer, fresh-keeping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JP4102619B2 (ja) 温蔵庫
CN220771599U (zh) 一种保鲜储物容器及冰箱
JP7266624B2 (ja) 冷蔵庫
JP4028261B2 (ja) 配膳車
JPH01210792A (ja) 冷蔵庫
JP2512815Y2 (ja) 冷蔵庫の収納箱支持構造
JP2000337763A (ja) 温冷蔵装置
JP6255269B2 (ja) 冷温蔵装置
JP3927361B2 (ja) 貯蔵庫
JP2021148387A (ja) 冷温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