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603A -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603A
KR20110027603A KR1020100087829A KR20100087829A KR20110027603A KR 20110027603 A KR20110027603 A KR 20110027603A KR 1020100087829 A KR1020100087829 A KR 1020100087829A KR 20100087829 A KR20100087829 A KR 20100087829A KR 20110027603 A KR20110027603 A KR 20110027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tab
holding
adhesive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부로 미야모또
유끼또시 하세
마사유끼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13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and applying the article or the web by adhesive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56Provisional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4Cutting handled material from hand-held or tabl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 B65H2701/377Adhesive t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10T156/1015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에지 부재에서 되접혀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된 점착 테이프의 선단 부분을 개방된 한 쌍의 파지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파지부의 파지면에서 흡착 유지하고, 선단측의 파지 블록을 피봇시켜 양 파지 블록의 파지면을 맞댐으로써,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점착제층끼리를 접착시켜 탭을 형성한다. 후단측은, 절단 후의 점착 테이프의 후단 부분을 파지 블록으로 흡착 유지하고, 후단측의 파지 블록을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탭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ADHESIVE TAPE JOINING METHOD AND ADHESIVE TAPE JO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척물, 대형 패널 등을 포함하는 건축재나 골판지 등의 피착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이며, 특히, 피착체에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의 단부에 탭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나뭇결 무늬나 대리석 무늬 등의 창호용 패널의 표면 보호, 접합부의 오염 방지를 위한 표면 보호, 및 골판지의 조립시에 플랩 부분의 접합용으로 점착 테이프가 부착된다. 이들 점착 테이프는 모두 피착체로부터 최종적으로 박리된다.
피착체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는, 박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점착 테이프의 선단 부분을 내측으로 되접어 점착제층끼리를 접착시켜 탭을 형성하고 있다. 즉, 이 탭을 뜯음으로써, 피착체로부터 점착 테이프를 박리하기 쉽도록 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2-20027호 공보를 참조).
그러나, 종래의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에서는, 테이프 공급 방향의 선단측 외부에 탭을 형성할 수 없었다.
피착체가 장척물이며, 그 길이 방향의 일방향으로만 점착 테이프의 박리를 실행할 수 있는 경우, 장치에 배치하는 피착체의 방향을 미리 정렬시켜 두어야만 한다. 이러한 조건에 있어서, 배치되는 방향이 반대인 것이 포함되어 있을 때, 처리가 곤란한 장척물을 전후로 반전시켜야만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장척물의 길이 방향의 어느 단부부터 점착 테이프를 박리해도 상관없음에도 불구하고, 점착 테이프의 일단부에만 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점착 테이프의 박리 작업의 융통성이 떨어지고,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피착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할 때, 테이프 부착 방향에 관계없이 임의의 단부에 탭을 형성한 점착 테이프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피착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이며,
상기 점착 테이프의 선단부를 되접어 탭을 형성하는 전방부 탭 형성 과정과,
상기 탭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의 부착 부위에 부착하는 부착 과정과,
상기 부착 부위의 후단부보다도 상류측에서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 과정과,
절단 후의 상기 점착 테이프의 후단부를 되접어 탭을 형성하는 후방부 탭 형성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 부착시에 선단측 및 후단측 중 적어도 한쪽에 탭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이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에 따르면, 점착 테이프의 부착 방향에 관계없이 선단부 및 후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탭 형성 과정은, 기단측의 지지축 둘레로 피봇하는 한 쌍의 파지 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하고,
선단측을 흡착 유지하는 파지 부재를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되접고, 다른 쪽 파지 부재에 흡착 유지된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접합하여 탭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부 탭 형성 과정은, 상기 파지 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 절단 후의 점착 테이프의 후단부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하고,
후단측을 흡착 유지하는 파지 부재를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되접고, 다른 쪽 파지 부재에 흡착 유지된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접합하여 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점착 테이프 종료 직전의 소정 위치까지 제1 부착 롤러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여 피착체에 부착하고,
당해 소정 위치에서, 제1 부착 롤러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부착 롤러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고,
점착 테이프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에지 부재와 제2 부착 롤러 사이에서 점착 테이프에 텐션을 부여하고,
당해 점착 테이프를 파지 부재에서의 파지면에서 흡착하고,
흡착된 점착 테이프의 상류측을 커터로 절단하고,
절단된 점착 테이프의 상류측을 파지 부재에 의해 되접어 점착 테이프의 점착층끼리를 접합하여 접착하고,
상기 제2 부착 롤러로부터 탭까지의 점착 테이프를 당해 제2 부착 롤러로 가압하여 피착체에 부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취한다.
피착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이며,
상기 피착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의 부착 부위를 향하여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기구와,
상기 부착 부위에 공급된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 기구와,
기단측의 지지축 둘레로 피봇함과 함께, 점착 테이프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하는 한 쌍의 파지 부재를 구비하고, 점착 테이프의 단부측을 흡착 유지하는 파지 부재를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되접어 단부측에 탭을 형성하는 탭 형성 기구와,
상기 탭 형성 기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선단에 탭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여 피착체에 부착하는 제1 부착 롤러와,
상기 탭 형성 기구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점착 테이프 절단시에 제1 부착 롤러 대신에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고, 또한 절단 후에 후단에 탭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여 피착체에 부착하는 제2 부착 롤러와,
상기 점착 테이프 절단시에 제1 부착 롤러의 상류측에서 점착 테이프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탭 형성 기구의 보유 지지 부재에서 점착 테이프의 선단부를 흡착 유지하고, 선단측의 파지 부재를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되접음으로써, 테이프 선단에 탭을 형성할 수 있다.
탭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계속해서 공급함과 함께, 제1 부착 롤러로 점착 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피착체의 부착 부위에 점착 테이프가 부착되어 간다. 부착 부위의 후단에 근접하였을 때, 제1 부착 롤러 대신에 제2 부착 롤러로 점착 테이프를 가압한다. 동시에 파지 부재로 점착 테이프를 파지한다. 이에 의해 탭 형성 기구를 끼워 상류 및 하류측의 양쪽에서 점착 테이프가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의 비점착면이 파지 부재에 의해 흡착 유지되고, 후단측에서 절단된다. 절단 후에 후단측의 파지 부재를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되접게 됨으로써, 테이프 후단에 탭이 형성된다.
탭 형성 후에 제2 부착 롤러를 구름 이동시킴으로써, 탭의 하류측으로부터 탭까지의 사이의 부착 부위에 점착 테이프가 부착된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방법을 적절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는 세퍼레이터가 접합되어 있고, 당해 점착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세퍼레이터를 회수하는 세퍼레이터 회수부를 구비하고,
파지 기구는,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를 반전시키는 에지 부재와 당해 에지 부재의 선단에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로 구성된다.
도 1은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의 정면도.
도 2 내지 도 10은 탭을 형성하는 경우의 점착 테이프 부착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점착 테이프의 양단부에 탭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탭을 갖는 점착 테이프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탭 없는 점착 테이프 부착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현재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발명이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및 방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형의 얇은 건축용 패널의 양단부에 탭을 형성하면서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 방법 및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건축용 패널 이외의 대형 피착체 또는 긴 피착체에의 점착 테이프의 부착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는, 피착체인 건축용 패널(W)을 적재하여 반송하는 패널 반송 기구(1), 반송 경로 상의 건축용 패널(W)을 향하여 점착 테이프(T)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기구(2), 점착 테이프(T)의 송출 길이를 검출하는 검출기(4), 반송 경로 상에서 건축용 패널(W)에 점착 테이프(T)를 부착하는 테이프 부착 기구(5), 세퍼레이터(S)를 갖는 점착 테이프(T)로부터 세퍼레이터(S)를 박리 회수하는 세퍼레이터 회수부(6), 점착 테이프(T)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 기구(7), 점착 테이프(T)의 단부에 탭을 형성하는 탭 형성 기구(8)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공급 기구(2), 검출기(4), 탭 형성 기구(8), 및 후술하는 턴 롤러(13)는 이 장치 안의 종벽(10)에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부착 기구(5), 및 세퍼레이터 회수부(6)는 종벽(10)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에 축 지지되고, 축심(X1) 둘레로 피봇 가능한 브래킷(11)에 세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구조부 및 기구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이하에 설명한다.
패널 반송 기구(1)는 건축용 패널(W)을 이면으로부터 흡착하여 반송하는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 기구(2)는 공급 보빈(12)으로부터 풀어내어진 세퍼레이터(S)를 갖는 점착 테이프(T)를 턴 롤러(13)에 권회 안내하고, 테이프 부착 기구(5)로 유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급 보빈(12)은 적절한 회전 저항이 부여되어 있어, 테이프가 과도하게 풀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턴 롤러(13)는 건축용 패널(W) 등의 피착체의 테이프 부착 부위의 단위 길이에 따라서 점착 테이프(T)의 송출 길이를 조정한다. 따라서, 턴 롤러(13)는 피착체 등 테이프 부착 조건에 따라서 적절하게 다른 직경의 롤러로 변경된다.
검출기(4)는 로터리 인코더 등으로 구성되어, 점착 테이프(T)의 공급 길이를 검출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건축용 패널(W)의 부착 부위의 길이와 탭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점착 테이프(T)의 길이를 단위로 하여 검출하고 있다.
테이프 부착 기구(5)는 브래킷(11)에 축 지지되고, 축심(X2) 둘레로 피봇 가능한 브래킷(14)의 선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제1 부착 롤러(15), 이 제1 부착 롤러(15)의 상류측에 배치된 세퍼레이터(S)를 되접어 반전시키고, 가압 롤러(18)를 통하여 세퍼레이터 회수부(6)로 유도하는 에지 부재(17), 이 에지 부재(17)와 협동하여 점착 테이프(T)를 파지하는 가압 롤러(18), 및 브래킷(11)의 하부 선단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제2 부착 롤러(19)로 구성되어 있다.
가압 롤러(18)는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세퍼레이터 회수부(6)는 점착 테이프(T)로부터 박리된 세퍼레이터(S)를 권취하는 회수 보빈(20)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절단 기구(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 끝을 상향으로 한 커터날(21)이 장착된 커터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터날(21)은 테이프 절단 기구(7)에 의해 장치 내측의 대기 위치와 점착 테이프(T)를 절단하는 절단 작용 위치에 걸쳐서 전후 이동함과 함께, 작용 위치에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터날(21)은 점착 테이프(T)의 절단시에, 이 점착 테이프(T)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각도 조정된다.
탭 형성 기구(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23)을 통하여 종벽(10)에 축 지지되고, 축심(X3) 둘레로 피봇 가능한 실린더(24)의 선단에 파지부(25)를 구비하고 있다.
파지부(2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에서 축 지지되어 피봇 가능한 한 쌍의 파지 블록(26a, 2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파지 블록(26a, 26b)의 파지면(27)에는 흡착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흡착 구멍(28)은 흡인 장치와 연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에 의해 건축용 패널(W)에 점착 테이프(T)를 부착하는 기본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테이프 반송 기구(1)에 의해 반송되는 건축용 패널(W)이 센서 등으로 검출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부착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일단 정지된다.
건축용 패널(W)의 정지에 수반하여, 탭 형성 기구(8)가 작동된다. 우선, 제1 부착 롤러(15)와 제2 부착 롤러(19) 사이로 파지부(25)를 하강시키고, 파지 블록(26a, 26b)을 개방시킨다. 이때, 파지면(27)이 대략 평탄해지도록 개방시킨다.
점착 테이프(T)의 선단 부분은, 에지 부재(17)로 세퍼레이터(S)를 박리하면서 개방하여 파지면(27)이 하방을 향한 양 파지 블록(26a, 26b)의 하방까지 송출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 장치를 작동시켜 점착 테이프(T)의 선단 부분을 양 파지 블록(26a, 26b)의 파지면(27)에서 흡착 유지한다.
테이프 선단의 흡착 유지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 블록(26b)을 피봇시켜 파지 블록(26a, 26b)의 파지면(27)끼리를 맞댄다. 이때, 점착 테이프(T)의 선단측이 파지 블록(26b)에 의해 내측으로 되접혀 점착제층끼리가 접착된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의 선단에 탭(TB)이 형성된다.
탭 형성 완료 후에 파지 블록(26a, 26b)을 개방하여 탭(TB)의 파지를 해제하고, 브래킷(14)을 요동 하강시킨다. 이때, 에지 부재(17)에 의해 세퍼레이터(S)가 박리된 점착 테이프(T)의 선단이 제1 부착 롤러(15)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부착 롤러(15)의 하강에 의해 건축용 패널(W)의 부착 부위에 점착 테이프(T)가 가압된다.
테이프 선단의 가압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반송 기구(1)가 작동하고, 건축용 패널(W)이 반송 방향으로 송출되어 간다. 이 동작에 수반하여 제1 부착 롤러(15)가 점착 테이프(T)에 적당한 가압을 부여하면서 구름 이동하여 점착 테이프(T)를 부착 부위에 부착해 간다.
제1 부착 롤러(15)가 부착 부위의 종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건축용 패널(W)의 반송을 정지시킨다. 이 정지에 수반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14)을 요동시켜 소정의 높이까지 제1 부착 롤러(15)를 상승시키고, 점착 테이프(T)의 가압을 해제한다. 동시에, 브래킷(11)을 요동 하강시킨다. 이때, 탭 형성 기구(8)의 하류측에서 제2 부착 롤러(19)에 의해 점착 테이프(T)가 부착 부위로 가압된다.
또한, 브래킷(14)의 상승에 수반하여 가압 롤러(18)를 하강시켜, 에지 부재(17)의 선단에 의해 점착 테이프(T)를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건축용 패널(W)을 하류측으로 약간 이동시켜, 점착 테이프(T)에 텐션을 부여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 부재(17)의 선단측과 제2 부착 롤러(19) 사이에서 텐션이 부여된 점착 테이프(T)의 위치에 파지부(25)를 하강시키고, 개방된 양 파지 블록(26a, 26b)의 파지면(27)에서 점착 테이프(T)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T)의 하측의 절단 작용 위치로 커터날(21)이 이동된다. 절단 작용 위치에 커터날(21)이 도달하면 상승시켜 점착 테이프(T)에 날 끝을 찔러 절단한다. 절단 처리가 완료되면, 커터날(21)은 하강 및 후퇴하고,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점착 테이프(T)의 후단부를 흡착 유지하는 파지 블록(26a)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봇시켜 파지 블록(26a, 26b)의 파지면(27)끼리를 맞댄다. 이때, 점착 테이프(T)의 후단이 파지 블록(26a)에 의해 내측으로 되접혀 점착제층끼리가 접착되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 테이프의 후단에 탭(TB)이 형성된다.
탭 형성 완료 후에 파지 블록(26a, 26b)을 개방하여 탭(TB)의 파지를 해제하는 데 수반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부착 롤러(19)를 요동 상승시켜 대기 위치로 복귀시킴과 함께, 건축용 패널(W)만이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간다.
이상으로 양단부에 탭(TB)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부착의 기본 동작이 완료되고, 이후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다음에, 테이프 단부에 탭을 형성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T)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반송 기구(1)에 의해 반송되는 건축용 패널(W)이 센서 등으로 검출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부착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일단 정지된다.
에지 부재(17)에 의해 점착 테이프(T)의 선단 부분으로부터 세퍼레이터(S)가 박리되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착 롤러(15)의 하방으로 송출된다.
제1 부착 롤러(15)의 하방에 점착 테이프(T)의 선단이 도달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14)을 축심(X2) 둘레로 피봇시켜 제1 부착 롤러(15)를 하강시킨다. 이 하강에 수반하여 건축용 패널(W)의 부착 부위에 점착 테이프(T)가 가압된다.
테이프 선단의 가압이 완료되면, 테이프 반송 기구(1)가 작동하고, 건축용 패널(W)이 반송 방향으로 송출되어 간다. 이 동작에 수반하여 제1 부착 롤러(15)가 점착 테이프(T)에 적당한 가압을 부여하면서 구름 이동하여 점착 테이프(T)를 부착 부위로 부착해 간다.
제1 부착 롤러(15)가 부착 부위의 종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건축용 패널(W)의 반송을 정지시킨다. 이 정지에 수반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래킷(14)을 요동시켜 소정의 높이까지 제1 부착 롤러(15)를 상승시키고, 점착 테이프(T)의 가압을 해제한다. 동시에 브래킷(11)을 요동 하강시킨다. 이때, 탭 형성 기구(8)의 하류측에서 제2 부착 롤러(19)에 의해 점착 테이프(T)의 부착 부위가 가압된다.
또한, 브래킷(14)의 상승에 수반하여 가압 롤러(18)를 하강시켜, 에지 부재(17)의 선단에 의해 점착 테이프(T)를 파지한다. 이 상태에서 건축용 패널(W)을 하류측으로 약간 이동시켜, 점착 테이프(T)에 텐션을 부여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지 부재(17)의 선단측과 제2 부착 롤러(19)의 사이에서 텐션이 부여된 점착 테이프(T)의 위치에 파지부(25)를 하강시키고, 개방된 양 파지 블록(26a, 26b)의 파지면(27)에서 점착 테이프(T)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T)의 하측의 절단 작용 위치에 커터날(21)이 이동된다. 절단 작용 위치에 커터날(21)이 도달하면 상승시켜 점착 테이프(T)에 날 끝을 찔러 절단한다. 절단 처리가 완료되면, 커터날(21)은 하강 및 후퇴하여,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점착 테이프(T)의 절단이 완료되면 패널 반송 기구(1)를 작동시켜 건축용 패널(W)을 하류측으로 반송시킨다. 이 반송에 연동하여 양 파지 블록(26a, 26b)의 흡인력을 약화시킨다. 즉, 건축용 패널(W)이 하류측으로 반송됨에 수반하여, 파지 블록(26a, 26b)으로부터 흡착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T)를 제2 부착 롤러(19)가 서서히 인입하면서 건축용 패널(W)의 부착 부위에 부착해 간다.
제2 부착 롤러(19)가 부착 종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요동 상승시켜 대기 위치로 복귀시킴과 함께, 건축용 패널(W)은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간다.
이상으로 테이프 단부에 탭을 형성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T)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동작이 완료되고, 이후 같은 처리가 반복된다.
이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에 따르면, 상기 실시 형태를 조합함으로써, 점착 테이프(T)의 선단 및 후단에 탭(TB)을 형성할 수도 있으면, 탭(TB)을 형성하지 않고 점착 테이프(T)를 건축용 패널(W)에 부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점착 테이프(T)의 임의의 단부에 탭(TB)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에 한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변형 실시할 수도 있다.
(1) 상기 각 실시예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점착 테이프(T)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2)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탭(TB)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점착 테이프(T)의 후단측을 절단할 때에 파지 블록(26a, 26b)에 의해 점착 테이프(T)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함과 함께, 절단 후의 점착 테이프(T)의 부착이 완료되기 직전까지 흡착 유지하고 있었지만, 이와 같은 부착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부착 롤러(19)와 가압 롤러(18)까지의 거리가 짧고, 절단 후의 점착 테이프(T)가 부착 부위에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우, 파지 블록(26a, 26b)의 보유 지지 서포트를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발명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상의 설명이 아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해야 한다.

Claims (6)

  1. 피착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이며,
    상기 점착 테이프의 선단부를 되접어 탭을 형성하는 전방부 탭 형성 과정과,
    상기 탭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의 부착 부위에 부착하는 부착 과정과,
    상기 부착 부위의 후단부보다도 상류측에서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 과정과,
    절단 후의 상기 점착 테이프의 후단부를 되접어 탭을 형성하는 후방부 탭 형성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 테이프 부착시에 선단측 및 후단측 중 적어도 한쪽에 탭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 탭 형성 과정은, 기단측의 지지축 둘레로 피봇하는 한 쌍의 파지 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하고,
    선단측을 흡착 유지하는 파지 부재를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되접어, 다른 쪽 파지 부재에 흡착 유지된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접합시켜 탭을 형성하며,
    상기 후방부 탭 형성 과정은, 상기 파지 부재를 개방한 상태에서 절단 후의 점착 테이프의 후단부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하고,
    후단측을 흡착 유지하는 파지 부재를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되접어, 다른 쪽 파지 부재에 흡착 유지된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과 접합시켜 탭을 형성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과정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종료 직전의 소정 위치까지 제1 부착 롤러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여 피착체에 부착하고,
    당해 소정 위치에서, 제1 부착 롤러보다도 하류측에 배치된 제2 부착 롤러에 의해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고,
    점착 테이프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는 에지 부재와 제2 부착 롤러 사이에서 점착 테이프에 텐션을 부여하고,
    당해 점착 테이프를 파지 부재의 파지면에서 흡착하고,
    흡착된 점착 테이프의 상류측을 커터로 절단하고,
    절단된 점착 테이프의 상류측을 파지 부재에 의해 되접어 점착 테이프의 점착층끼리를 접합하여 접착시키고,
    상기 제2 부착 롤러로부터 탭까지의 점착 테이프를 당해 제2 부착 롤러로 가압해서 피착체에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송 기구로 상기 피착체를 이동시키면서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5. 피착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이며,
    상기 피착체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기구와,
    상기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의 부착 부위를 향해서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기구와,
    상기 부착 부위에 공급된 점착 테이프를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 기구와,
    기단측의 지지축 둘레로 피봇함과 함께, 점착 테이프의 비점착면을 흡착 유지하는 한 쌍의 파지 부재를 구비하고, 점착 테이프의 단부측을 흡착 유지하는 파지 부재를 피봇시켜 점착 테이프를 내측으로 되접어 단부측에 탭을 형성하는 탭 형성 기구와,
    상기 탭 형성 기구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선단에 탭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여 피착체에 부착하는 제1 부착 롤러와,
    상기 탭 형성 기구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점착 테이프 절단시에 제1 부착 롤러 대신에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고, 또한 절단 후에 후단에 탭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여 피착체에 부착하는 제2 부착 롤러와,
    상기 점착 테이프 절단시에 제1 부착 롤러의 상류측에서 점착 테이프를 파지하는 파지 기구를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세퍼레이터가 접합되어 있고, 당해 점착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세퍼레이터를 회수하는 세퍼레이터 회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 기구는 점착 테이프를 반전시키는 에지 부재와 당해 에지 부재의 선단에 점착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KR1020100087829A 2009-09-09 2010-09-08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KR201100276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08122A JP2011057360A (ja) 2009-09-09 2009-09-09 粘着テープ貼付け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貼付け装置
JPJP-P-2009-208122 2009-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603A true KR20110027603A (ko) 2011-03-16

Family

ID=43646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829A KR20110027603A (ko) 2009-09-09 2010-09-08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56615A1 (ko)
JP (1) JP2011057360A (ko)
KR (1) KR20110027603A (ko)
CN (1) CN102019742A (ko)
TW (1) TW2011164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78B1 (ko) * 2011-12-26 2012-05-11 김태영 보호필름 부착기
CN111619862A (zh) * 2020-06-10 2020-09-04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家具板材自动贴膜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0892B (zh) * 2014-05-27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粘胶工装
US11148900B2 (en) 2014-10-31 2021-10-19 Shurtape Technologies, Llc Adhesive tape dispenser for folded edge tape
CN108290645B (zh) * 2015-11-27 2021-02-26 凸版印刷株式会社 拉环部件交接装置以及拉环部件交接方法
JP3204581U (ja) * 2016-03-25 2016-06-02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製造装置
CN109648838A (zh) * 2018-12-03 2019-04-19 上海博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材料折边覆膜机构
CN109516282A (zh) * 2018-12-28 2019-03-26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贴玻璃胶条的机械装置
CN111591003B (zh) * 2020-06-09 2022-01-07 赣州逸豪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铜箔涂胶烘干后自动贴附离型纸裁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487A (en) * 1986-06-20 1989-04-18 Bemis Company, Inc. Easy-open case taping
US4889581A (en) * 1988-11-14 1989-12-26 Durable Pakaging Corporation Carton sealing apparatus
SE466952B (sv) * 1990-09-13 1992-05-04 Tetra Pak Holdings Sa Anordning foer applicering av en materialremsa paa en foerpackningsmaterialbana
EP1580131A4 (en) * 1999-11-11 2006-01-11 Ushio U Tech Inc SEALED CLOSURE DEVICE OF CARTON
JP2007261774A (ja) * 2006-03-29 2007-10-11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タブ付きテープ貼付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78B1 (ko) * 2011-12-26 2012-05-11 김태영 보호필름 부착기
CN111619862A (zh) * 2020-06-10 2020-09-04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家具板材自动贴膜装置
CN111619862B (zh) * 2020-06-10 2021-10-01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家具板材自动贴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9742A (zh) 2011-04-20
TW201116471A (en) 2011-05-16
JP2011057360A (ja) 2011-03-24
US20110056615A1 (en)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7603A (ko)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TWI447063B (zh) 黏著帶貼附方法及黏著帶貼附裝置
WO2015111571A1 (ja) ウエブの継ぎ装置
TW201217168A (en) Sheet adhering device and adhering method
JP2014133616A (ja) 粘着テープ接合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接合装置
JP4883538B2 (ja) 剥離装置
JP2012176775A (ja) シート剥離装置および剥離方法
JP7461175B2 (ja) 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JP5775736B2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貼付方法
JP2877646B2 (ja) テープ貼り機
JP5827524B2 (ja) シート貼付装置及びシート貼付方法
JP7382719B2 (ja) シート切断装置およびシート切断方法
CN213891268U (zh) 一种贴膜设备
JP4960426B2 (ja) 新ウエブの保護シートの引取方法及び引取装置
JP2014225587A5 (ko)
CN211443053U (zh) 一种撕膜装置及应用该撕膜装置的撕膜机
JP5554167B2 (ja) シート貼付装置
JP5011251B2 (ja) 貼り付け基板用製造装置及びその不良フイルム廃棄方法
JP4983214B2 (ja) フイルム剥離装置
JP2533008Y2 (ja) 両面粘着シート貼り付け装置
JP4773405B2 (ja) 新旧ウエブ接合用粘着テープの供給装置
JPH07300273A (ja) 巻取紙の先端部処理装置
JP2022135041A (ja) シート貼付装置およびシート貼付方法
JPS61119554A (ja) 新聞巻取紙の紙継ぎ前処理機
TW202335158A (zh) 片貼附裝置以及片貼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