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851A -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851A
KR20110024851A KR1020090083016A KR20090083016A KR20110024851A KR 20110024851 A KR20110024851 A KR 20110024851A KR 1020090083016 A KR1020090083016 A KR 1020090083016A KR 20090083016 A KR20090083016 A KR 20090083016A KR 20110024851 A KR20110024851 A KR 2011002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torch
support
plasma
melting furn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804B1 (ko
Inventor
박동화
박현서
이환노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3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80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0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06Electric heating elements or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06Electric heating elements or system
    • F27D2099/0031Plasma-torch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는, 플라즈마 용융로 상에 설치되며, 플라즈마 토치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며, 상기 플라즈마 토치의 몸체가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의 상부홀에 입출되도록 상기 플라즈마 토치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용융로, 토치, 높낮이, 조절, 지지부, 승강부, 위치조절부

Description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control apparatus for plasma torch}
본 발명은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로서, 플라즈마 용융로의 용융공정을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폐기물 등 대상물들을 처리하는 플라즈마 설비에는 폐기물 투입부, 플라즈마에 의한 폐기물의 가열 및 용융부, 용융물 제거부, 용융과정 중 발생된 가스에 대한 2차 연소부, 배출가스의 냉각 및 청정처리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용융로에는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대상물들을 처리하기 위해 고온의 플라즈마 가스를 발생하는 플라즈마 토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토치는 용융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용융로 내에 장착되면 용융공정이 종료될 때까지 플라즈마 토치의 높낮이 조정없이 용융공정 수행 전 취해 진 높이로 용융공정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용융로에서 처리하는 투입원료가 폐기물이므로 폐기물의 성분이 매우 불규칙하며 정량 투입에 의해 균일한 투입이 되어야 하나 불규칙하기 쉽다. 또한 용융공정이 진행중에도 안정되게 용융공정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상기와 같은 상황들을 개선하기 위해 플라즈마 토치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토치의 몸체를 와이어로 감아 용융로 본체에 지지하고 롤러를 부착하여 수작업으로 플라즈마 토치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플라즈마 토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돌발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플라즈마 토치를 용융로로부터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용융공정진행중에 공정진행 상황에 따른 미세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안정된 용융공정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균일한 용융 풀(pool)이 형성될 수 없으며, 심지어 플라즈마 토치의 불꽃(플레임, flame)이 꺼지는 상황도 발생하여 설비운전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플라즈마 용융로의 용융공정을 안전하면서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는, 플라즈마 용융로(1) 상에 설치되며, 플라즈마 토치(2)를 지지하는 지지부(20); 및 상기 지지부(20)에 장착되며, 상기 플라즈마 토치(2)의 몸체(2a)가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 입출되도록 상기 플라즈마 토치(2)를 승강시키는 승강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22);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22)에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40)가 설치된 지지대(2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40)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24)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대(24)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이 송 스크류(42); 상기 지지대(24)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42)를 회전시키는 모터(44); 및 일측부에 상기 플라즈마 토치(2)가 고정되며, 내부의 나사홀에 상기 이송 스크류(42)가 끼워져서 상기 이송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 스크류(42)를 따라 이동하는 고정부재(48);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44)는 콘트롤 박스(60)를 통해 회전이 제어되도록, 상기 콘트롤 박스(60)에 전기적으로 연계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토치(2)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콘트롤 박스(60)에 전기적으로 연계되면서 상기 지지대(24)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8)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48)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대(24)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대(24)의 길이방향으로 LM 가이드(25)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플라즈마 토치(2)가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서 센터링되도록(정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토치(2)를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조절부(80)는,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의 테두리에 설치되며, 상기 플라즈마 토치(2)가 통과되는 출입홀(82a)을 가진 플랜지(82); 및 상기 플랜지(82)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토치(2)를 상기 상부홀(1a)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상부홀(1a)의 중심에 대한 사이의 각이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 세 개의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는, 상기 플랜지(82)에 상기 출입홀(82a)의 중심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판(86); 상기 이동판(86)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상기 플라즈마 토치(2) 몸체(2a)의 측면을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84a); 상기 출입홀(82a)의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판(86)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82)에 고정된 고정판(87)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86)을 상기 출입홀(82a)의 중심방향으로 미는 푸시볼트(84b); 및 상기 고정판(87)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86)을 상기 출입홀(82a)의 방사방향으로 당기는 풀볼트(84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는, 플라즈마 토치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융로 내의 상황에 따라 융용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절에 의해 플라즈마 토치의 플레임이 꺼지지 않음으로써, 용융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 발생으로 조업중단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플라즈마 토치를 용융로 내로부터 빼냄으로써, 플라즈마 토치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조절부에 의해 플라즈마 토치가 용융로의 상부홀 정중심에 위치되어 용융로 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플라즈마 토치로부터 용융로 본체로의 누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지지부와 승강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플라즈마 토치(2)를 지지하는 지지부(20)와, 상기 플라즈마 토치(2)를 승강시키는 승강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0)는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측에 배치되며, 지지플레이트(22)와 지지대(2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2)는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면에 고정 체결된다.
여기에서, 지지플레이트(22)는 플라즈마 용융로(1)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플라즈마 토치(2)가 장착된 지지대(24)가 견고하게 플라즈마 용융로(1) 상측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구조이면 될 뿐 이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지지대(24)는 지지플레이트(22)에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 며, 플라즈마 토치(2)를 승강시키는 승강부(40)가 장착된다.
즉, 지지대(24)는 플라즈마 토치(2)로부터 나오는 불꽃(플레임, flame)이, 플라즈마 용융로(1) 내의 대상물에 발사되는 적정한 각도를 이루는 경사구조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적정 각도는 용융로(1) 내에서 적정한 용융공정의 진행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40)는 지지부(20)에 장착되며, 불꽃(플레임, flame)을 내는 플라즈마 토치(2)의 몸체가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 입출되도록, 상기 플라즈마 토치(2)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강부(40)는 상기 지지대(24)의 경사와 대응되는 배치를 이루는 이송 스크류(42), 상기 이송 스크류(42)를 회전시키는 모터(44), 및 상기 이송 스크류(42)에 체결된 고정부재(48)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 스크류(42)는 하단부가 지지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지지대(24)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이송 스크류(42)는 지지대(24)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지지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대(24)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이는 이송 스크류(42)가, 플라즈마 용융로(1)에 대한 플라즈마 토치(2)의 입출을 위해 이루어진 적정한 경사의 지지대(24)와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면서, 지지대(24)의 상면에 설치된 후술하는 LM 가이드(25)와 평행한 배치를 이루기 위해서이 다.
또한, 상기 모터(44)는 지지대(24)의 상부에 장착되어 이송 스크류(42)를 회전시키는데,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4)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그 회전축이 이송 스크류(42)의 상단부와 벨트(46)로 감겨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8)는 내부에 상기 이송 스크류(4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48)는 나사홀에 이송 스크류(42)가 끼워져서 이송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이송 스크류(42)를 따라 이동한다.
물론, 고정부재(48)는 이송 스크류(42)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이동가능한 고정부재(48)는 일측에 플라즈마 토치(2)를 고정시키는데, 이러한 고정구조는, 일례로서 일측부가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라즈마 토치(2)가 집게 사이에 배치되고 집게가 그 사이를 좁아지도록 조절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플라즈마 토치(2)를 고정하는 구성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의 나사와 너트를 가진 고정부재(48) 또는 클램프와 같은 부재가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고정부재(48)에 대한 플라즈마 토치(2)의 고정과정을 살펴보면, 처음에는 플라즈마 토치(2)를 고정부재(48)에 어느 정도 헐겁게 고정시키고, 플라즈마 토치(2)의 하단부를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조정한 후 플라즈마 토치(2)를 완전하게 견고히 고정부재(48)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 후에, 플라즈마 토치(2)에 운전을 위한 유틸리티 라인인 전선, 냉각수 라인, 토치(2)전극 보호용 가스라인들을 연결하여, 토치(2)가 운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24)의 상면에는 LM 가이드(25)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M 가이드(25)는 고정부재(48)가 체결되어 고정부재(48)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지지대(24)의 길이방향으로 지지대(24)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LM 가이드(25)는 고정부재(48)가 이송 스크류(42)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부재(48)의 회전차단을 위해 고정부재(48)를 지지하면서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편, 상기 모터(44)는 콘트롤 박스(60)를 통해 회전이 제어되도록, 상기 콘트롤 박스(60)에 케이블(6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용융로(1) 내의 상황에 따른 플라즈마 토치(2)의 상하이동 및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제거(용융로(1)로부터 플라즈마 토치(2)를 빼냄)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4)의 상하측에는 각각 리미트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는 플라즈마 토치(2)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콘트롤 박스(60)에 전기적으로 연계된다.
여기에서, 상기 플라즈마 토치(2)의 상하이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라즈마 토치(2)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콘트롤 박스(60)의 상하이동버튼을 누르면 모터(44)가 회전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벨트(46)가 회전하고 벨트(46)가 감긴 이송 스크류(42)가 회전한다.
이송 스크류(42)가 끼워진 고정부재(48)는 회전하는 이송 스크류(42)에 의해 LM 가이드(25) 상에서 상하이동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48)에 고정된 플라즈마 토치(2)가 상하이동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24)의 상하측에 장착된 리미트 스위치에 의해, 플라즈마 토치(2)가 상하 이동시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즉, 설정된 상하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어 플라즈마 토치(2)의 이동이 멈추게 되어 플라즈마 토치(2)가 지지대(24)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플라즈마 토치(2)를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 센터링, 즉 상부홀(1a)의 정중심에 위치하도록 미세조정하는 위치조절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부(80)는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 설치되어 플라즈마 토치(2)를 위치조절하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플랜지(82)와, 상기 플랜지(82)에 장착된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를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82)는 플라즈마 토치(2)가 통과되는 출입홀(82a)을 가지는데, 물론 상기 출입홀(82a)은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과 연통된다.
이러한 플랜지(82)는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데, 즉 중공 원형판의 형상을 취한다.
상기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는 플랜지(82)에 설치되어 플라즈마 토치(2)를 상부홀(1a)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는, 상부홀(1a)의 중심에 대한 사이의 각이 120도 간격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는 플랜지에 이동되도록 설치된 이동판(86)과 상기 플랜지에 고정된 고정판(87), 및 상기 이동판(86) 및 고정판(87)에 장착된 가이드 롤러(84a), 푸시볼트(84b), 및 풀볼트(84c)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판(86)은 플랜지(82)에 출입홀(82a)의 중심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고정판(87)은 출입홀(82a)의 방사방향으로 이동판(86)으로부터 이격되어 플랜지(8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이동판(86)에는 가이드 롤러(84a)가 장착되고, 고정판(87)에는 푸시볼트(84b), 및 풀볼트(84c)가 장착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84a)는 이동판(86)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플라즈마 토치(2)의 몸체(2a) 측면을 가이드 지지하여, 플라즈마 토치(2)와 플랜지(82)간의 습동마찰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 롤러(84a)는 플라즈마 토치(2)가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서 승강하는 과정 중, 플라즈마 토치(2)의 몸체(2a)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홀(1a)과 마찰을 원활하게 하여 안전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푸시볼트(84b)는 이동판(86)을 출입홀(82a)의 중심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되며, 풀볼트(84c)는 이동판(86)을 출입홀(82a)의 방사방향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푸시볼트(84b)와 풀볼트(84c)는 이동판(86)을 미세하게 밀고 당김으로써, 플라즈마 토치(2)의 센터링을 미세하게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는 상기 상부홀(1a)의 중심에 대한 사이의 각이 120도 간격으로 세 개소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센터조절용 어셈블리가 상부홀(1a)의 중심에 대해 세 방향에서 플라즈마 토치(2)를 지지하면서 센터링 조절하도록 구비됨으로써, 플라즈마 토치(2)의 상부홀(1a)에 대한 센터링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플라즈마 토치(2)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용융로(1) 내의 상황에 따라 융용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조절에 의해 플라즈마 토치(2)의 불꽃이 꺼지지 않음으로써, 용융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 발생으로 조업중단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플라즈마 토치(2)를 용융로(1) 내로부터 빼냄으로써, 플라즈마 토치(2)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조절부(80)에 의해 플라즈마 토치(2)가 용융로(1)의 상부홀(1a) 정중심에 위치되어 용융로(1) 본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플라즈마 토치(2)로부터 용융로(1) 본체로의 누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지지부와 승강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 위치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라즈마 용융로 1a : 상부홀
2 : 플라즈마 토치 20 : 지지부
22 : 지지플레이트 24 : 지지대
25 : LM 가이드 40 : 승강부
42 : 이송 스크류 44 : 모터
48 : 고정부재 60 : 콘트롤 박스
62 : 케이블 80 : 위치조절부
82 : 플랜지 82a : 출입홀
84 : 센터조절용 어셈블리 84a : 가이드 롤러
84b : 푸시볼트 84c : 풀볼트

Claims (8)

  1. 플라즈마 용융로(1) 상에 설치되며, 플라즈마 토치(2)를 지지하는 지지부(20); 및
    상기 지지부(20)에 장착되며, 상기 플라즈마 토치(2)의 몸체(2a)가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 입출되도록 상기 플라즈마 토치(2)를 승강시키는 승강부(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22);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22)에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40)가 설치된 지지대(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22)에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대(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24)의 경사와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대(24)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 이송 스크류(42);
    상기 지지대(24)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42)를 회전시키는 모터(44); 및
    일측부에 상기 플라즈마 토치(2)가 고정되며, 내부의 나사홀에 상기 이송 스크류(42)가 끼워져서 상기 이송 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 스크류(42)를 따라 이동하는 고정부재(4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44)는 콘트롤 박스(60)를 통해 회전이 제어되도록, 상기 콘트롤 박스(60)에 전기적으로 연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토치(2)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콘트롤 박스(60)에 전기적으로 연계되면서 상기 지지대(24)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8)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48)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대(24)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대(24)의 길이방향으로 LM 가이드(25)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토치(2)가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서 센터링되도록,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토치(2)를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부(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80)는,
    중앙에 출입홀(82a)이 형성되며, 상기 플라즈마 용융로(1)의 상부홀(1a) 테두리에 상기 출입홀(82a)이 상기 상부홀(1a)과 겹치도록 설치된 플랜지(82); 및
    상기 플랜지(82)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토치(2)를 상기 상부홀(1a)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상부홀(1a)의 중심에 대한 사이의 각이 120도 간격으로 배치된 세 개의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조절용 어셈블리(84)는,
    상기 플랜지(82)에 상기 출입홀(82a)의 중심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판(86); 상기 이동판(86)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상기 플라즈마 토치(2) 몸체(2a)의 측면을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84a); 상기 출입홀(82a)의 방사방향으로 상기 이동판(86)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플랜지(82)에 고정된 고정판(87)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86)을 상기 출입홀(82a)의 중심방향으로 미는 푸시볼트(84b); 및 상기 고정판(87)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홀(82a)의 방사방향으로 당기는 풀볼트(84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90083016A 2009-09-03 2009-09-03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7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16A KR101070804B1 (ko) 2009-09-03 2009-09-03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16A KR101070804B1 (ko) 2009-09-03 2009-09-03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51A true KR20110024851A (ko) 2011-03-09
KR101070804B1 KR101070804B1 (ko) 2011-10-10

Family

ID=43932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016A KR101070804B1 (ko) 2009-09-03 2009-09-03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8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79B1 (ko) * 2015-12-16 2016-07-07 뉴클리어솔루션 주식회사 플라즈마 토치 조립체 및 이를 갖는 폐기물 용융설비
CN109900113A (zh) * 2019-02-19 2019-06-18 江苏新春兴再生资源有限责任公司 一种熔炼炉喷枪工作伺服装置
CN116274482A (zh) * 2022-12-28 2023-06-23 常熟市常盛重工钢结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火焰矫正工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979B1 (ko) * 2015-12-16 2016-07-07 뉴클리어솔루션 주식회사 플라즈마 토치 조립체 및 이를 갖는 폐기물 용융설비
CN109900113A (zh) * 2019-02-19 2019-06-18 江苏新春兴再生资源有限责任公司 一种熔炼炉喷枪工作伺服装置
CN109900113B (zh) * 2019-02-19 2023-11-03 江苏新春兴再生资源有限责任公司 一种熔炼炉喷枪工作伺服装置
CN116274482A (zh) * 2022-12-28 2023-06-23 常熟市常盛重工钢结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火焰矫正工艺
CN116274482B (zh) * 2022-12-28 2023-12-26 常熟市常盛重工钢结构有限公司 一种钢结构火焰矫正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804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804B1 (ko) 플라즈마 토치 높낮이 조절장치
US10010957B2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100895001B1 (ko) 링기어의 기어치 고주파 열처리장치
JP4538433B2 (ja) 焼入れ装置
US2622816A (en) Coil cradle
KR101561692B1 (ko) 플랜지용 플라즈마 절단 장치
KR101606923B1 (ko)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ES2000046A4 (es) Procedimiento e instalacion para el mantenimiento del revestimiento de una cuba de horno.
KR20100111119A (ko)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용 가공지그
KR100825308B1 (ko) 상소둔로용 컨벡터 플레이트 용접장치
CN210232370U (zh) 一种模具钢翻转装置
KR101149264B1 (ko) 전기로용 전극봉의 승하강 구동 제어 장치
CN106476068A (zh) 一种大型管道多角度锯切组合机床
KR10091303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코일 리프터
CN214291331U (zh) 一种带电动升降功能的等离子切割机的设计结构
KR102484812B1 (ko) 잔여 코일과 신규 코일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플라즈마 커팅에 의한 커팅면의 테이퍼 단차를 방지하고 용접 시 압입롤러로 가압하여 용접갭을 제거함으로써 잔여 코일과 신규 코일의 용착부분이 매끄럽고 평탄하게 형성되는 용접장치
KR200188739Y1 (ko) 허스롤의 링크벨트 홀더장치
KR20140070825A (ko) 소재 정렬장치
KR100544467B1 (ko) 전기로의 전극봉 냉각장치
JP5905223B2 (ja) 誘導加熱装置及び誘導加熱方法並びに焼嵌め装置及び焼嵌め方法
KR200295253Y1 (ko) 열연사상압연기의 하부작업롤 보호장치
KR100585021B1 (ko) 리프트 핀
KR20030044593A (ko) 전기로의 전극봉 길이 자동 조절장치
KR20240016037A (ko) 공간 제약 해소 및 안전성을 가지는 압연롤 로더 그립퍼
KR200325211Y1 (ko) 광휘소둔로의 가열대 내벽 보수용 리프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