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23B1 -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 Google Patents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23B1
KR101606923B1 KR1020150090961A KR20150090961A KR101606923B1 KR 101606923 B1 KR101606923 B1 KR 101606923B1 KR 1020150090961 A KR1020150090961 A KR 1020150090961A KR 20150090961 A KR20150090961 A KR 20150090961A KR 101606923 B1 KR101606923 B1 KR 101606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ch
head
wire
coupled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회
윤효성
Original Assignee
(주)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흥 filed Critical (주)부흥
Priority to KR102015009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토치;와, 상기 토치로 송급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헤드;와, 상기 토치의 끝단이 와이어의 상부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되, 상기 토치의 끝단이 와이어를 향하도록 상기 토치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동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회동수단을 통해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한 토치의 끝단이 와이어를 향한 상태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여 토치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게 함으로,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융시켜 신속한 용접을 유도하는 동시에, 용접부분의 우수한 용접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형성하여 장치의 단가를 절감시켜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인해 장치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용이한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Welding machine for automatic welding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동수단을 통해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한 토치의 끝단이 와이어를 향한 상태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여 토치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게 함으로,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융시켜 신속한 용접을 유도하는 동시에, 용접부분의 우수한 용접성을 기대할 수 있는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용접은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용접봉)와 모재의 용접부위 사이에서 아크를 발생시키고 토치에서 탄산가스를 공급하여 아크와 용융금속을 대기로부터 차단시켜 안정된 상태에서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 방식으로, 경제성이나 효율성이 인정됨으로 인하여 근래에 널리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아크용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용접장치가 개발되어 최근 숙련 용접공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상기 자동 용접장치를 통해 공기를 단축은 물론이며, 저렴한 시공원가로 용접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자동 용접장치의 용접기는 토치에서 공급되는 열원으로 와이어를 효과적으로 용융시키기 위해 와이어의 상부에서 상기 토치를 연속으로 좌우 이송시켜 와이어가 골고루 용융되도록 유도하였으나, 상기 토치가 와이어의 상부에서 좌우로 수평되게 이송되는 구조상 와이어에 열원이 집중되지 분산되어 와이어가 효과적으로 용융되지 못해 용접성이 다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자동 용접장치의 용접기에서 토치를 연속적으로 좌우 이송시키는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장치의 단가가 높게 형성되어 장치의 사용범용성이 다소 낮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인한 빈번한 고장으로 장치의 운영관리가 곤란하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회동수단을 통해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한 토치의 끝단이 와이어를 향한 상태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여 토치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게 함으로,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융시켜 신속한 용접을 유도하는 동시에, 용접부분의 우수한 용접성을 기대할 수 있는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형성하여 장치의 단가를 절감시켜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인해 장치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용이한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는 토치;와, 상기 토치로 송급되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헤드;와, 상기 토치의 끝단이 와이어의 상부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되, 상기 토치의 끝단이 와이어를 향하도록 상기 토치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토치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상기 헤드를 통해 송급되는 와이어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토치와 결합되어 상기 토치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하부에 상기 고정체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핀과,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모터와, 상기 회동모터의 축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편심부와, 일단은 상기 편심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연결되는 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부는 상기 회동모터의 축과 결합되어 상기 축과 함께 회전되는 편심프레임과, 상기 편심프레임 내부에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나사와, 상기 전달체의 일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나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타고 이송되는 편심판과, 상기 편심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편심판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치와 헤드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토치와 연결되는 상기 회동수단과 상기 헤드와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이격되어 위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 고정되는 LM블럭과,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LM블럭을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함께 수직 승·하강하는 LM가이드와,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 고정되되, 로드는 상기 LM가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LM가이드를 강제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치와 헤드를 좌우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송수단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와, 상기 이송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이송홈이 형성되는 이송봉과, 상기 이송모터와 이송봉을 내부에 내장하되, 상부에 위치되는 이송블럭의 좌우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와, 상기 고정패널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봉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봉이 회전하면 상기 이송홈을 타고 이송되되, 상기 이송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좌우 수평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를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의 정밀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프레임과 결합 고정되는 좌우프레임과, 상기 좌우프레임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좌우조절나사와, 상기 좌우조절나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좌우조절나사를 타고 좌우 이송되는 좌우블럭과, 상기 좌우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블럭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좌우고정볼트와, 상기 좌우블럭에 결합 고정되는 상하프레임과, 상기 상하프레임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하조절나사와, 상기 헤드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조절나사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조절나사를 타고 상하 이송되는 상하블럭과, 상기 상하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블럭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상하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에 의하면, 회동수단을 통해 와이어의 상부에 위치한 토치의 끝단이 와이어를 향한 상태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여 토치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게 함으로, 헤드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융시켜 신속한 용접을 유도하는 동시에, 용접부분의 우수한 용접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형성하여 장치의 단가를 절감시켜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인해 장치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용이한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회동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위치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측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회동수단의 분리 사시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위치조절수단의 분리 사시도를,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의 사용상태도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100)는 토치(10)와, 헤드(20)와, 회동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치(10)는 후설될 상기 헤드(20)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1)로 열원을 제공하여 와이어(1)를 용융시키는 기기이다.
여기서, 상기 토치(10) 및 헤드(20)는 통상의 용접장치에 사용되는 기기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0)는 상기 토치(10)로 송급되는 와이어(1)를 상기 토치(10)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기기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수단(30)은 상기 토치(10)의 끝단이 와이어(1)의 상부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되, 상기 토치(10)의 끝단이 와이어(1)를 향하도록 상기 토치(10)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토치(10)와 결합되어 상기 토치(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체(31)와, 상기 고정체(31)의 하부에 상기 고정체(3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핀(32)과,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모터(33)와, 상기 회동모터(33)의 축(33a)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편심부(34)와, 일단은 상기 편심부(34)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체(3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달체(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모터(33)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상기 편심부(34)의 회전운동을 상기 전달체(35)를 통해 상기 고정체(31)로 전달하여 상기 고정체(31)가 상기 회동핀(32)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좌우 회전되어 상기 고정체(31)에 결합되는 상기 토치(10)의 끝단이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함으로, 상기 토치(10)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상기 헤드(20)를 통해 송급되는 와이어(1)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부(34)는 상기 회동모터(33)의 축(33a)과 결합되어 상기 축(33a)과 함께 회전되는 편심프레임(34a)과, 상기 편심프레임(34a) 내부에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34b')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나사(34b)와, 상기 전달체(35)의 일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나사(34b)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나사(34b)를 타고 이송되는 편심판(34c)과, 상기 편심프레임(34a)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편심판(34c)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4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34d)를 통한 상기 편심판(34c)의 가압을 해제한 후에 상기 조절나사(34b)를 회동시켜 상기 조절나사(34b)를 타고 이송되는 상기 편심판(34c)의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편심부(34)의 편심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체(31)의 좌우 회전운동 폭(W)의 크기를 제어함으로, 상기 고정체(31)에 결합되는 상기 토치(10)의 좌우 회동 폭이 제어된다.
따라서, 용접에 수행되는 와이어(1)의 굵기 및 모재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상기 고정체(31)의 회전운동 폭(W)의 크기를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장치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치(10)와 헤드(20)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수단(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강수단(40)은 상기 토치(10)와 연결되는 상기 회동수단(30)과 상기 헤드(20)와 결합되는 고정프레임(41)과, 상기 고정프레임(41)과 이격되어 위치되는 고정패널(42)과, 상기 고정패널(42)에 결합 고정되는 LM블럭(43)과,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는 상기 고정프레임(41)과 결합되며, 상기 LM블럭(43)을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41)과 함께 수직 승·하강하는 LM가이드(44)와, 상기 고정패널(42)에 결합 고정되되, 로드(45a)는 상기 LM가이드(44)와 결합되어 상기 LM가이드(44)를 강제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45) 로드(45a)가 수직 하강하면 상기 로드(45a)와 결합되는 상기 LM가이드(44)가 상기 LM블럭(43)을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41)과 함께 하강되므로 상기 고정프레임(41)에 고정되는 상기 토치(10) 및 헤드(20)가 함께 하강되고,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45) 로드(45a)가 수직 승강하면 상기 로드(45a)와 결합되는 LM가이드(44)가 상기 LM블럭(43)을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41)과 함께 승강되므로 상기 고정프레임(41)에 고정되는 상기 토치(10) 및 헤드(20)가 함께 승강되어 상기 토치(10) 및 헤드(2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치(10)와 헤드(20)를 좌우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송수단(5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51)와, 상기 이송모터(51)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이송홈(52a)이 형성되는 이송봉(52)과, 상기 이송모터(51)와 이송봉(52)을 내부에 내장하되, 상부에 위치되는 이송블럭(54)의 좌우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53)와, 상기 고정패널(42)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봉(52)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봉(52)이 회전하면 상기 이송홈(52a)을 타고 이송되되, 상기 이송가이드(53)의 안내를 받아 좌우 수평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블럭(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모터(51)의 회전력으로 상기 이송봉(52)이 회전되면 상기 이송봉(52)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블럭(54)이 상기 이송봉(52)을 타고 좌우 이송되므로, 상기 이송블럭(54)과 함께 이송되는 상기 고정패널(42)에 연결되는 상기 토치(10)와 헤드(20)가 함께 좌우 이송되어 결국 상기 토치(10)와 헤드(2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0)를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헤드(20)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1)의 정밀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은 상기 고정프레임(41)과 결합 고정되는 좌우프레임(61)과, 상기 좌우프레임(6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62a)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좌우조절나사(62)와, 상기 좌우조절나사(62) 상에 형성되어 상기 좌우조절나사(62)를 타고 좌우 이송되는 좌우블럭(63)과, 상기 좌우프레임(61)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블럭(63)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좌우고정볼트(64)와, 상기 좌우블럭(63)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좌우블럭(63)과 함께 이송되는 상하프레임(65)과, 상기 상하프레임(65)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66a)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하조절나사(66)와, 상기 헤드(20)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조절나사(66)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조절나사(66)를 타고 상하 이송되는 상하블럭(67)과, 상기 상하프레임(65)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블럭(67)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상하고정볼트(6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고정볼트(68)를 통한 상기 상하블럭(67)의 가압을 해제한 후에 상기 상하조절나사(66)를 회동시켜 상기 상하조절나사(66)를 타고 이송되는 상기 상하블럭(67)의 상하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상하블럭(67)과 결합되는 상기 헤드(2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고정볼트(64)를 통한 상기 좌우블럭(63)의 가압을 해제한 후에 상기 좌우조절나사(62)를 회동시켜 상기 좌우조절나사(62)를 타고 이송되는 상기 좌우블럭(63)의 좌우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좌우블럭(63)에 결합되는 상기 상하프레임(65)과 함게 상기 헤드(2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헤드(20)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1)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2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상하고정볼트(68) 및 좌우고정볼트(64)를 각각 상기 상하프레임(65)과 좌우프레임(61)에 체결하여 상기 상하블럭(67)과 좌우블럭(63)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여 상기 헤드(2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100)는 회동수단(30)을 통해 와이어(1)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토치(10)의 끝단이 와이어(1)를 향한 상태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여 상기 토치(10)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상기 헤드(20)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1)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게 함으로, 상기 헤드(20)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1)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융시켜 신속한 용접을 유도하는 동시에, 용접부분의 우수한 용접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형성하여 장치의 단가를 절감시켜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로 인해 장치의 고장 발생을 최소화하여 장치의 용이한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100)를 통해서 용접을 수행하기 전에 승강수단(40)의 승강실린더(45) 로드(45a)를 수직 하강시켜 상기 로드(45a)와 결합되는 LM가이드(44)가 LM블럭(43)을 타고 고정프레임(41)과 함께 하강되게 하여 상기 고정프레임(41)에 고정되는 상기 토치(10) 및 헤드(20)가 용접을 수행할 위치로 하강시킨다.
그런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50)의 이송모터(51) 회전력으로 이송봉(52)을 회전시켜 상기 이송봉(52)을 타고 이송되는 이송블럭(54)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블럭(54)과 함께 이송되는 고정패널(42)에 연결되는 상기 토치(10)와 헤드(20)의 위치를 용접을 수행할 위치로 정밀하게 조절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헤드(20)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1)가 상기 토치(10)가 위치한 방향으로 근접하게 안내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조절수단(60)의 상하고정볼트(68)를 통한 상하블럭(67)의 가압을 해제한 후에 상하조절나사(66)를 회동시켜 상기 상하조절나사(66)를 타고 이송되는 상하블럭(67)의 상하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상하블럭(67)과 결합되는 상기 헤드(20)의 상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한 후,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의 좌우고정볼트(64)를 통한 좌우블럭(63)의 가압을 해제한 후에 좌우조절나사(62)를 회동시켜 상기 좌우조절나사(62)를 타고 이송되는 좌우블럭(63)의 좌우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좌우블럭(63)에 결합되는 상하프레임(65)과 함게 상기 헤드(20)의 좌우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상기 헤드(20)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1)의 위치가 상기 토치(10)가 위치된 방향으로 정확하고 근접하게 안내되도록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토치(10) 및 헤드(20)의 위치 조절이 완료되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수단(30)의 회동모터(33)의 작동으로 편심부(34)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운동은 전달체(35)를 통해 고정체(31)로 전달되어 상기 고정체(31)가 회동핀(32)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좌우 회전되어 상기 고정체(31)에 결합되는 토치(10)의 끝단이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므로 상기 토치(10)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상기 헤드(20)를 통해 송급되는 와이어(1)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어 와이어(1)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용융되면서 용접이 수행된다.
그런 후,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수단(40)의 승강실린더(45) 로드(45a)를 수직 승강시켜 상기 로드(45a)와 함께 상기 토치(10) 및 헤드(20)를 승강시켜 용접 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의 굵기 및 모재의 크기 등으로 인해 상기 토치(10)의 회전운동의 폭 조절이 요구되면, 상기 편심부(34)의 고정볼트(34d)를 통한 편심판(34c)의 가압을 해제한 후에 조절나사(34b)를 회동시켜 상기 조절나사(34b)를 타고 이송되는 상기 편심판(34c)의 위치 조절을 통해 상기 편심부(34)의 편심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체(31)의 좌우 회전운동 폭(W)의 크기를 제어함으로, 상기 고정체(31)에 결합되는 상기 토치(10)의 좌우 회동 폭을 적합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와이어 W. 폭
10. 토치 20. 헤드
30. 회동수단 31. 고정체
32. 회동핀 33. 회동모터
34. 편심부 34a. 편심프레임
34b. 조절나사 34c. 편심판
34d. 고정볼트 40. 승강수단
41. 고정프레임 42. 고정패널
43. LM블럭 44. LM가이드
45. 승강실린더 50. 이송수단
51. 이송모터 52. 이송봉
53. 이송가이드 54. 이송블럭
60. 위치조절수단 61. 좌우프레임
62. 좌우조절나사 63. 좌우블럭
64. 좌우고정볼트 65. 상하프레임
66. 상하조절나사 67. 상하블럭
68. 상하고정볼트
100.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Claims (6)

  1. 자동 용접장치의 용접기에 있어서,
    토치(10);
    상기 토치(10)로 송급되는 와이어(1)를 안내하는 헤드(20); 및
    상기 토치(10)의 끝단이 와이어(1)의 상부에서 호의 궤적으로 좌우 연속 이송되게 유도하되, 상기 토치(10)의 끝단이 와이어(1)를 향하도록 상기 토치(10)의 위치를 제어하는 회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토치(10)의 끝단에서 출력되는 열원이 상기 헤드(20)를 통해 송급되는 와이어(1)의 중심 주변으로 용이하게 집중되도록 유도하되,
    상기 회동수단(30)은 상기 토치(10)와 결합되어 상기 토치(1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체(31)와, 상기 고정체(31)의 하부에 상기 고정체(3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핀(32)과,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동모터(33)와, 상기 회동모터(33)의 축(33a)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편심부(34)와, 일단은 상기 편심부(34)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체(3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달체(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34)는,
    상기 회동모터(33)의 축(33a)과 결합되어 상기 축(33a)과 함께 회전되는 편심프레임(34a)과,
    상기 편심프레임(34a) 내부에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34b')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조절나사(34b)와,
    상기 전달체(35)의 일단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나사(34b)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나사(34b)를 타고 이송되는 편심판(34c)과,
    상기 편심프레임(34a)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편심판(34c)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34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10)와 헤드(20)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수단(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강수단(40)은,
    상기 토치(10)와 연결되는 상기 회동수단(30)과 상기 헤드(20)와 결합되는 고정프레임(41)과,
    상기 고정프레임(41)과 이격되어 위치되는 고정패널(42)과,
    상기 고정패널(42)에 결합 고정되는 LM블럭(43)과,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하부는 상기 고정프레임(41)과 결합되며, 상기 LM블럭(43)을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41)과 함께 수직 승·하강하는 LM가이드(44)와,
    상기 고정패널(42)에 결합 고정되되, 로드(45a)는 상기 LM가이드(44)와 결합되어 상기 LM가이드(44)를 강제 승·하강시키는 승강실린더(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10)와 헤드(20)를 좌우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이송수단(5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51)와,
    상기 이송모터(51)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이송홈(52a)이 형성되는 이송봉(52)과,
    상기 이송모터(51)와 이송봉(52)을 내부에 내장하되, 상부에 위치되는 이송블럭(54)의 좌우 수평 이송을 안내하는 이송가이드(53)와,
    상기 고정패널(42)과 결합되어 상기 이송봉(52)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봉(52)이 회전하면 상기 이송홈(52a)을 타고 이송되되, 상기 이송가이드(53)의 안내를 받아 좌우 수평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블럭(5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0)를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헤드(20)를 통해 안내되는 와이어(1)의 정밀한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위치조절수단(60)은,
    상기 고정프레임(41)과 결합 고정되는 좌우프레임(61)과,
    상기 좌우프레임(61)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62a)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좌우조절나사(62)와,
    상기 좌우조절나사(62) 상에 형성되어 상기 좌우조절나사(62)를 타고 좌우 이송되는 좌우블럭(63)과,
    상기 좌우프레임(61)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좌우블럭(63)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좌우고정볼트(64)와,
    상기 좌우블럭(63)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좌우블럭(63)과 함께 이송되는 상하프레임(65)과,
    상기 상하프레임(65)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산(66a)이 형성되고, 일 끝단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하조절나사(66)와,
    상기 헤드(20)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2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조절나사(66)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조절나사(66)를 타고 상하 이송되는 상하블럭(67)과,
    상기 상하프레임(65)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블럭(67)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상하고정볼트(6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KR1020150090961A 2015-06-26 2015-06-26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KR101606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61A KR101606923B1 (ko) 2015-06-26 2015-06-26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61A KR101606923B1 (ko) 2015-06-26 2015-06-26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923B1 true KR101606923B1 (ko) 2016-03-28

Family

ID=5700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961A KR101606923B1 (ko) 2015-06-26 2015-06-26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056A (ko) 2016-11-30 2018-06-08 (주)부흥 자동 용접기
KR20180062061A (ko) 2016-11-30 2018-06-08 (주)부흥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154578A (ko) 2020-06-12 2021-12-21 박상현 IoT 기술을 이용한 계측기 정보 송수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01B1 (ko) * 2006-12-20 2007-07-12 웰텍 주식회사 강관의 맞대기 용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01B1 (ko) * 2006-12-20 2007-07-12 웰텍 주식회사 강관의 맞대기 용접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056A (ko) 2016-11-30 2018-06-08 (주)부흥 자동 용접기
KR20180062061A (ko) 2016-11-30 2018-06-08 (주)부흥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02310B1 (ko) * 2016-11-30 2018-11-22 (주)부흥 자동 용접기
KR20210154578A (ko) 2020-06-12 2021-12-21 박상현 IoT 기술을 이용한 계측기 정보 송수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923B1 (ko) 자동 용접장치용 용접기
US20120104077A1 (en) Automatic soldering apparatus and soldering method thereof
WO2014171132A1 (ja) 摩擦撹拌接合装置および摩擦撹拌接合方法
KR101041280B1 (ko) 콘베이어 롤러 자동 용접기
KR101665127B1 (ko)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
KR101902310B1 (ko) 자동 용접기
KR101614257B1 (ko) 파이프 맞대기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장치
KR20140043403A (ko) 토치 조정 장치
KR101606924B1 (ko) 자동 용접장치
CN203209873U (zh) 一种自动圆周焊接机
KR20070066238A (ko) 위보기 자세 용접로봇 시스템의 운반장치
CN208246041U (zh) 电机壳搅拌摩擦焊接设备
CN115922067A (zh) 焊接装置和加工设备
CN214978403U (zh) 氩弧焊机
CN209811464U (zh) 激光焊接设备
KR101724054B1 (ko) 전기로 설비
JPH0773806B2 (ja) ボックス柱の組立ライン用孔あけ機
CN106180949A (zh) 一种新型焊接装置
CN103506740B (zh) 一种全自动管端氩弧焊机
JP6259681B2 (ja) シーム溶接装置
KR101962297B1 (ko) 용접 장치
CN105921902A (zh) 一种路灯灯杆头弯曲部焊接装置
KR20110139571A (ko) 레이저 용접 헤드 이송장치
CN114131248B (zh) 一种钢带焊接机器人的落料机构
KR101545140B1 (ko) 강관 내면 용접설비의 붐 얼라인먼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