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258A -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258A
KR20110024258A KR1020090082171A KR20090082171A KR20110024258A KR 20110024258 A KR20110024258 A KR 20110024258A KR 1020090082171 A KR1020090082171 A KR 1020090082171A KR 20090082171 A KR20090082171 A KR 20090082171A KR 20110024258 A KR20110024258 A KR 20110024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wer body
mobile phone
upper body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7520B1 (ko
Inventor
박동진
윤병규
장홍식
김헌수
김해룡
정희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520B1/ko
Priority to US12/622,960 priority patent/US8200293B2/en
Publication of KR2011002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에 회전되게 고정되고, 핸드폰이 거치되는 상부몸체;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롤러에 감기고, 타측이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핸드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핸드폰을 거치하지 않을 때에는 핸드폰을 거치시키는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거치대, 자동차, 핸드폰

Description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Deposit Unit for Cell phon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폰을 용이하게 거치하고, 거치 후에도 핸드폰의 사용이 가능한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이 대중화되어 차량에서 핸드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차량에서 핸드폰을 사용할 때 운전자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내장 구조가 다수 개발되었다. 개발된 구조들은 주로, 운전석 주변의 내장에 핸드폰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의 근처에 핸즈프리용 케이블을 비치시킨 방식이었다. 운전자는 차량 탑승시 핸드폰에 핸즈프리용 케이블을 연결하고 핸드폰을 수납공간에 수납하고, 운전 중 전화가 오면 핸즈프리로 전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는 다른 방식의 거치대는 주행중에 핸드폰을 걸쳐놓거나 전화가 오면 신속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핸드폰 거치대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핸드폰 거치대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크래쉬패널 즉, 운전석의 전방 패널에 나사 고정되는 것으로
서, 반드시 차량의 크래쉬패널에 손상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 거치 대는 일반적으로 핸드폰과 후면 억지물림식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서, 주행중에 핸드폰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매우 견고하게 핸드폰을 물고 있는 구성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나사고정식 종래의 핸드폰 거치대는, 차량용 컵받침과 같이 차량의 내부로 수납되어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운전석 전면 패널에 노출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침범하고, 운전사의 운전동작에 방해가 되며, 미관상 좋지 않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핸드폰 거치대는, 일단 설치한 다음에는 차량으로부터 자유자재로 분해할 수 없고, 크래쉬패널에 나사자국이 남거나 고정작업 중 무리한 천공으로 인해 크래쉬패널이 파손되어 미관상 매우 추하고, 심한 경우 중고차의 가격을 떨어뜨리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핸드폰 거치대는 설치위치가 운전자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어 핸드폰 사용이 불편하고, 핸드폰과의 견고한 고정방식 때문에 핸드폰 착탈이 매우 번거로워서 핸드폰을 차에 두고 내리는 경우가 많고, 주행 중 운전자가 핸드폰을 분리하려 할 경우, 전방주시를 소홀히 하여 자칫 대형사고를 불려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폰 거치대는 핸드폰의 후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적어도 핸드폰 후면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장치가 매우 커지고, 무거워지며, 고가이고, 핸드폰의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핸드폰에 맞는 거치대만을 사용하여야 했으며, 핸드폰의 수납 이외에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핸드폰 수납방식에 의할 경우에 핸드폰의 충전 상태나 에스엠에 스(SMS) 메시지가 온 경우에도 핸드폰을 열어보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핸드폰의 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핸드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핸드폰을 거치하지 않을 때에는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의 화면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에 회전되게 고정되고, 핸드폰이 거치되는 상부몸체;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롤러에 감기고, 타측이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를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상부몸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는 축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 틀림 코일 스프링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제거되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복원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에는 핸드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상부몸체에는 핸드폰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홀더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홀더는 두 개 구비되고, 두 개의 홀더 사이의 간격이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몸체에서 돌출형성된 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돌기가 홈을 따라 이동하는 하트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부몸체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에 대응되는 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주변에 위치하는 콘솔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에 회전되게 고정되고, 핸드폰이 거치되는 상부몸체;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롤러에 감기고, 타측이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가 구비된 자동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핸드폰을 거치할 수 있으며, 핸드폰을 거치하지 않을 때에는 핸드폰을 거치시키는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드폰의 소정 각도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가 핸드폰 화면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가 장착된 콘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콘솔(10)은 암레스트의 주변에 위치하고, 기어를 바꾸는 스틱이 장착되어, 스틱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통공(12)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콘솔(10)의 주변에 핸드폰 거치대(16)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핸드폰을 거치시킨 후에 핸드폰 화면을 보거나 핸드폰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핸드폰 거치대(16)의 몸체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이어서 그 외부로 커버(72) 만이 노출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는 핸드폰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솔(10)의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그 돌출된 형 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사용자가 핸드폰을 핸드폰 거치대(16)에 거치시키고자 하면 상기 콘솔(10)로부터 핸드폰 거치대를 외부로 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72)는 ABS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몸체가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다음 상태로, 몸체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다음 상태로,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대해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사용자가 핸드폰 거치대의 상단에 장착된 커버를 누르기 전 상태는 도 2에서 도시되고, 사용자가 커버를 누른 후에 상부몸체가 하우징으로부터 튀어오르는 과정을 도 3 및 도 4에서 나누어서 도시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 내부가 투시된 상태로 도시하고,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에 수용되는 하부몸체(40) 및 상부몸체(6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콘솔(10)에 수용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상기 하부몸체(40) 및 상기 상부몸체(6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22)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커버(72)를 누르기 전 상태에는 상기 상부몸체(60)와 상기 하부몸체(40)가 일직선 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20)에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20)은 PPF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40)는 상기 하우징(20)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40)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30) 및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하부몸체(4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형성된 돌기(32)와,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돌기(32)를 안내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하트캠(34)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도면의 방향상 상기 하트캠(34)의 형상이 도시되기 힘들어, 도 3에서 확대도를 통해 상기 하트캠(34)을 도시하고, 상기 하트캠(34)의 홈 내에서 이동하는 돌기(32)를 도시한다. 상기 돌기(32)는 상기 하트캠(34)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몸체(40)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돌기(32)는 상기 하부몸체(40)가 상하 운동하는 경우에 함께 이동한다. 상기 하트캠(34)은 상기 하부몸체(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32)가 상기 하트캠(34)의 특정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하부몸체(40)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단에 고정되고, 반면에 상기 하트캠(34)의 다른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하부몸체(40)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트캠(34)에 의해서 구성요소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동부(50)는 상기 하부몸체(40)에 설치되는 피니언(52)과, 상기 하우 징(20)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52)에 대응되는 랙(54)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상기 랙(54)에 형성된 이빨에 맞물려 상기 피니언(52)이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몸체(40)의 상하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피니언(52)은 상기 하부몸체(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피니언(52)이 상기 랙(54)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몸체(4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피니언(52) 및 상기 랙(54)을 복수 개 구비해서 상기 하부몸체(4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하부몸체(40)의 측면 및 앞뒤 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랙(54)의 끝단에는 돌출형성된 걸림턱(미도시)을 두어, 상기 피니언(52)이 걸림턱보다 연장되어 이동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니언(52)은 상기 걸림턱에 의해서 이동거리가 제한되고, 상기 하부몸체(40)의 이동거리 또한 제한되어, 상기 하부몸체(40)가 상기 하우징(20)의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는 랙, 피니언 이외에 상기 하부몸체(40)가 안정적으로 상하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부재이면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몸체(40)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하우징(20)에 장착된 롤러(24)에 감기는 판스프링(26)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26)의 일단에는 회전가능한 롤러(24)가 구비되고, 상기 롤러(24)는 상기 하우징(20)의 외면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롤러(24)는 상기 판스프링(26)을 감으려는 복원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하부몸체(4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26)의 타단에는 고정턱(28)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8)이 상기 하부몸체(40)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하부몸체(40)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 상기 고정턱(28)도 상기 하부몸체(40)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몸체(4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26)이 상기 롤러(24)에 감기는 반면에, 상기 하부몸체(4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판스프링(26)이 상기 롤러(24)에서 풀리면서 길이가 연장된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26)은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상부몸체(60)는 상기 하부몸체(4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처럼 상기 상부몸체(60)와 상기 하부몸체(40)가 상기 하우징(20)에 수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몸체(60)와 상기 하부몸체(40)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형상에 따라 수용된다.
반면에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하부몸체(40)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40)와 상기 상부몸체(60)가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결합된다. 회전되는 방식은 별도의 기어부재에 의해서 상기 상부몸체(60)가 상승됨에 따라서 회전되거나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몸체(40)는 상기 이동부(50)에 의해서 상하 이동만이 가능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부몸체(4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60)는 대략 45도 정도가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몸체(60)에는 핸드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6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2)는 도 2 및 도 3의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몸체(60)에 인접하게 접혀있다가 도 4의 상태에서는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몸체(6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ABS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2)는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60)에는 핸드폰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홀더(7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홀더(74)는 두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드폰 거치대에 거치되는 핸드폰은 하면은 지지플레이트(62)에 의해서, 양측면은 홀더(74)에 의해서, 후면은 상부몸체(60)에 의해서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5는 도 4에서 지지플레이트가 장착되는 부근의 내측을 도시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상부몸체(60)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66)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이 장착되는 축(64)이 구비된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은 축(64)을 중심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었다가, 그 회전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성질, 즉 비틀림모멘트에 대한 탄성을 가지는 성질이 있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은 일반적인 기계분야에서 사용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즉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제거되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이 원래 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몸체(60)는 상기 하부몸체(40)와 일직선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6은 도 4에서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에서는 상부몸체가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와 상부몸체가 하우징 내에서 인출되어 회전된 상태를 함께 도시한다.
핸드폰 거치대를 사용하기 전에는 상기 하부몸체(40)와 상기 상부몸체(60)는 상기 하우징(20) 내에서 일직선 형태로 수용된다. 사용자가 핸드폰 거치대를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몸체(60)의 커버를 누르는 경우에는 상기 돌기(32)가 상기 하트캠 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돌기(32)가 상기 하트캠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도 6에서는 도면을 간결하게 그리기 위해서 하트캠이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40)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단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판스프링(26)이 상기 롤러(24)에 감기면서 상기 하부몸체(40) 및 상기 상부몸체(60)가 상승한다. 그러면서 상기 상부몸체(60)는 별도의 구조 또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서 B-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및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에서는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몸체가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와 상부몸체가 하우징 내에서 인출되어 회전된 상태를 함께 도시한다. 상부몸체(60)의 이동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하였는바, 이하 지지플레이트(62)와 홀더(7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2)는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인 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몸체(60)로부터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홀더(74)는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에 의해서 상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몸체(60)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62)의 일단은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플레이트(62)는 하방으로 회전된다. 반면에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으로 다시 인입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이 가압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62)는 상방으로 회전되어 접힌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되면 도 5에 도시된 기어 구조에 의해서 상기 홀더(74)는 상방으로 회전된다. 반면에 상기 상부몸체(60)가 상기 하우징(20)으로 인입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이 가압되면서 상기 홀더(74)는 하방으로 회전되어 접힌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의 일단은 상기 상부몸체(60)의 특정한 고정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62)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62)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이 장착된 축(64)과 기어에 체인이 연결되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66)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축(6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축(64)에 체인으로 연결된 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후, 최종적으로 상기 홀더(74)에 연결된 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홀더(7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도 4에서 C-C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홀더(74) 사이의 간격이 인장 코일 스프링(80)에 의해서 변형 가능하다.
상기 홀더(74)에 대한 축(76)의 외주면에 인장 코일 스프링(80)을 장착하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80)의 일단을 단턱(78)에 고정한다.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80)은 축 방향의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인장변형되었다가, 인장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압축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홀더(74) 사이의 간격이 핸드폰의 폭에 따라 다양하게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어, 핸드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거치대가 장착된 콘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몸체가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다음 상태로, 몸체가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다음 상태로, 상부몸체가 하부몸체에 대해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서 A-A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B-B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4에서 C-C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6: 핸드폰 거치대 20: 하우징
26: 판스프링 30: 고정부
40: 하부몸체 50: 이동부
60: 상부몸체 62: 지지플레이트
74: 홀더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에 회전되게 고정되고, 핸드폰이 거치되는 상부몸체;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롤러에 감기고, 타측이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과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는 축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제거되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에는 핸드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에는 핸드폰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홀더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상방으로 회전되어 상기 상부몸체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두 개 구비되고,
    두 개의 홀더 사이의 간격이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부몸체에서 돌출형성된 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돌기가 홈을 따라 이동하는 하트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하부몸체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에 대응되는 랙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
  8. 암레스트의 주변에 위치하는 콘솔에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에 회전되게 고정되고, 핸드폰이 거치되는 상부몸체;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롤러에 감기고, 타측이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판 스프링;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부몸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면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거치대가 구비된 자동차.
KR1020090082171A 2009-09-01 2009-09-01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1097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71A KR101097520B1 (ko) 2009-09-01 2009-09-01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2/622,960 US8200293B2 (en) 2009-09-01 2009-11-20 Mobile phone crad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71A KR101097520B1 (ko) 2009-09-01 2009-09-01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58A true KR20110024258A (ko) 2011-03-09
KR101097520B1 KR101097520B1 (ko) 2011-12-22

Family

ID=4362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71A KR101097520B1 (ko) 2009-09-01 2009-09-01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00293B2 (ko)
KR (1) KR101097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509A (ko) * 2015-07-17 2017-0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KR101714275B1 (ko) * 2015-12-14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0031B2 (en) * 2009-08-05 2011-11-15 Francella Henderson Hands-free cell phone jewelry
US8922354B2 (en) * 2011-03-24 2014-12-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External haptic genera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405564B1 (ko) * 2013-11-09 2014-06-10 한기중 다용도 거치대
CN106708271A (zh) * 2016-12-30 2017-05-24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屏幕控制方法及装置
US20200186181A1 (en) * 2018-12-06 2020-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Wireless charging phone retention assembly
US10793083B1 (en) * 2019-04-30 2020-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tem holding assembly for a vehicle
KR102662327B1 (ko) * 2020-07-24 202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795Y1 (ko) 1996-11-08 1999-06-15 홍종만 휴대용 전화기 고정 장치
US5940502A (en) * 1996-12-11 1999-08-17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Phone holder
DE29718291U1 (de) 1997-10-15 1998-01-02 Grammer Ag Arm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S5996866A (en) * 1998-09-29 1999-12-07 Lear Corporation Phone holder for vehicle console
JP2001045129A (ja) 1999-07-27 2001-02-16 Nifco Inc 車載用携帯電話ホルダー
JP2003063317A (ja) 2001-08-28 2003-03-05 Masayuki Inoue クリップ式携帯電話機用可動ホルダー
US7162281B2 (en) * 2002-02-22 2007-01-09 Dong Joo Kim Mobile phone holder
JP2004106794A (ja) 2002-09-20 2004-04-08 Kojima Press Co Ltd 携帯電話機保持装置
KR100590164B1 (ko) 2004-08-19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핸드폰 홀더
EP1842356B1 (en) * 2005-01-24 2013-02-27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Cradle for mobile phones
KR20070060191A (ko) 2005-12-08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홀더 수납형 휴대폰 거치장치
EP2080672B1 (en) * 2008-01-20 2012-10-03 BURY Sp. z o.o. A mobile phone holder with lateral connections, especially for a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509A (ko) * 2015-07-17 2017-01-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KR101714275B1 (ko) * 2015-12-14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US10017126B2 (en) 2015-12-14 2018-07-10 Hyundai Motor Company Actuator based extendable smartphone holding devic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7520B1 (ko) 2011-12-22
US20110053660A1 (en) 2011-03-03
US8200293B2 (en)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520B1 (ko)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EP2209289B1 (en) Universal hold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6422741B2 (ja) 車両用スマートフォン据置台
CN103935303B (zh) 车辆便携装置固定系统
JP3126703B2 (ja) 車両用設置装置
CN108025680B (zh) 车辆内部部件
JP2008522897A (ja) 収納式ディスプレイ装置
JP3571851B2 (ja) 車載用携帯電話機の取付機構
KR20130051194A (ko)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101704295B1 (ko) 차량의 무선 충전용 핸드폰 거치대
EP3305602A1 (de) Mobiltelefonablage zur verwahrung eines smartphones sowie fahrzeug
KR100922169B1 (ko) 자동차 내부의 휴대용 기기 거치대
KR20070060436A (ko) 팝업식 핸드폰 거치대
KR20220109174A (ko) 컵 홀더 장치
KR200393315Y1 (ko)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60191A (ko) 차량용 홀더 수납형 휴대폰 거치장치
KR100373120B1 (ko) 차량용 핸드폰 수납 트레이
CN114074549A (zh) 仪表板总成及车辆
CN210912253U (zh) 一种具有支撑伸缩的功能ipad支架
KR20130021163A (ko) 휴대폰 거치대
CN217455860U (zh) 车载手机支架及车辆
CN217598472U (zh) 车载手机支架和车辆
KR101431796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
KR100406703B1 (ko)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CN218703021U (zh) 电子设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