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703B1 -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703B1
KR100406703B1 KR10-2001-0022167A KR20010022167A KR100406703B1 KR 100406703 B1 KR100406703 B1 KR 100406703B1 KR 20010022167 A KR20010022167 A KR 20010022167A KR 100406703 B1 KR100406703 B1 KR 10040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bile phone
plate
support plat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597A (ko
Inventor
김성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70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챠량용 핸드폰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폰의 수납 및 취출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센터 페시아(1)의 일측면에 위치되며, 내면에 소정깊이로 가이드 공간부(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벽면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레버(20)와; 휴대폰(H)이 밀착되는 플레이트(31)와, 이 플레이트(31)의 내측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회동 레버(20)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로드(32)로 이루어진 받침판(30)과; 받침판(30)과 연동되고 가이드 공간부(11) 내측으로 삽입되는 휴대폰(H)을 가압지지하는 지지수단(40)과; 지지수단(40)에 의해 지지된 휴대폰(H)의 지지력을 해제하고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취출수단(5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APPARATUS FOR RECEVING A HANDPHONE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국내의 핸드폰 보급률은 자동차의 보급률을 앞선 상태로 거의 대부분의 운전자가 핸드폰을 갖고 있다 할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운전자는 운전도중 핸드폰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차량에는 별도로 핸드폰을 수납하기 위한 트레이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운전자가 핸드폰을 보관하기가 곤란하였으며, 통상적으로는 콘솔위에 올려 놓거나 조수석상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핸드폰을 콘솔이나 조수석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함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시야각에서 벗어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핸드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방 시야각에서 벗어난 상태로 핸드폰을 잡는 동작을 취해야 함으로써 추돌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과정에서 진동에 의해 핸드폰이 낙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센터 페시아 패널상에 핸드폰을 거취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으나, 이러한 거치대는 차량의 내부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이고, 추돌 사고시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는 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핸드폰의 수납 및 취출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센터 페시아의 일측면에 위치되며, 내면에 소정깊이로 가이드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레버와; 휴대폰이 밀착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회동 레버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로드로 이루어진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연동되고 가이드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휴대폰을 가압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휴대폰의 지지력을 해제하고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취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수납장치가 채용된 자동차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수납장치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센터 페시아 10 : 하우징 11 : 가이드 공간부
20 : 회동 레버 30 : 받침판 31 : 플레이트
32 : 로드 33 : (완충)패드 40 : 지지수단
41 : 지지 레버 42 : 스프링 43 : 롤러
50 : 취출수단 51 : 푸쉬 로드 52 : 푸쉬 버튼
S : 리턴 스프링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우징(housing;10)과 회동 레버(20), 받침판(30) 그리고 지지수단(40)과 취출수단(50)으로 대별된다.
하우징(10)은 자동차의 센터 페시아(center fecia;1)상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내면에는 소정깊이로 가이드 공간부(11)가 형성된다.
회동 레버(20)는,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부(11) 내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핸드폰(H)의 수납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내,외측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받침판(30)은,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부(11)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크게 플레이트(plate;31)와 로드(rod;32)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31)는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수납하고자 하는 핸드폰(H)의 저면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와같이 플레이트(31)상에 핸드폰(H)의 저면이 접촉되면서 푸쉬됨에 의해서는 접촉 충격을 감쇄시켜 핸드폰(H)의 표면 손상 및 접촉 소음이 방지되도록 고무(rubber) 또는 스폰지등으로 성형된 완충 패드(緩衝pad;33)를 마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받침판(30)의 로드(32)는 일단이 플레이트(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술한 회동 레버(20)의 일단에 고정된다.
지지수단(40)은 받침판(30)의 플레이트(31)에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 공간부(11)내로 삽입되는 휴대폰(H)을 가압지지하여, 수납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가이드 공간부(11) 외측으로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수단(4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지지 레버(41)와 스프링(42)으로 이루어진다.
지지 레버(41)는, 받침판(30)의 양측면과 인접된 위치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부는, 즉, 내측단부는 받침판(30)의 로드(3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 레버(41)는 핸드폰(H)을 플레이트(31)에 밀착시키고 가이드 공간부(11)에 삽입할 때에는 단부가 내측으로 회전되고, 취출할 때에는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H)을 삽입할 때 지지 레버(41)의 단부가 휴대폰(H)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것이기 때문에 휴대폰(H)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특히 휴대폰(H)의 삽입 및 취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 레버(41)의 단부에는 고무 재질의 롤러(roller;4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42)은, 각 지지 레버(41)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하우징(10)의 내벽면 사이에 일단이 설치되고 V형 판스프링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지지 레버(41)를 각각 내측 방향으로 즉, 받침판(30)을 향해 탄성 지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스프링(42)의 탄성 지지점 즉 스프링(42)의 단부(타단)는 핸드폰(H)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지 레버(41)와 로드(32)간의 힌지 결합부위의 수평선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핸드폰(H)을 삽입하였을 때에는 상기 힌지 결합부위의 수평선보다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취출수단(50)은, 지지수단(40)에 의해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부(11)내에 가압 지지되어 있는 즉, 수납되어 있는 핸드폰(H)을 취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취출수단(50)은, 푸쉬 로드(push rod;51)와 푸쉬 버튼(push button;52)으로 이루어진다.
푸쉬 로드(51)는, 일단이 전술한 회동 레버(20)의 일단에 결합된다. 즉, 푸쉬 로드(51)의 내측단은 받침판(30)의 로드(32)가 결합된 부위와 대향되는 회동 레버(20)의 타측단에 결합된다.
이 푸쉬 로드(51)의 외측단은 센터 페시아(1)의 표면과 인접되도록 위치된다.
푸쉬 버튼(52)은, 푸쉬 로드(51)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핸드폰(H)의 삽입에 따라 센터 페시아(1)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되며, 사용자가 이를 가압함에 의해 회동 레버(20)를 핸드폰(H)이 취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설명부호(S)는 푸쉬 버튼(52)과 하우징(10)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어 푸쉬버튼(5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리턴 스프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드폰(H)을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부(11)내로 푸쉬하게 되며, 핸드폰(H)의 전면이 받침판(30)의 플레이트(31)에 접촉되면서 내부로 삽입되어진다.
이와같이 플레이트(31)가 핸드폰(H)에 의해 하우징(10)의 가이드 공간부(11) 내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받침판(30)의 로드(32)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지지수단(40)을 구성하고 있는 지지 레버(41)의 단부가 내측방향으로 회동하고, 동시에 그 단부에 결합된 롤러(43)가 핸드폰(H)의 양측 표면에 접촉된다.
이때 지지수단(50)을 구성하고 있는 스프링(42)의 탄성 지지점은 지지 레버(41)의 힌지 결합부위의 수평선보다 외측위치로 변화되고, 이에따라 지지 레버(41)는 스프링(42)의 탄성력에 의해 핸드폰(H)의 표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핸드폰(H)의 삽입 동작에 의해서는 취출수단(50)을 구성하고 있는 푸쉬 로드(51)와 푸쉬 버튼(52)이 함께 연동된다.
즉, 핸드폰(H)의 삽입에 따라 받침판(30)의 로드(32)가 결합된 회동 레버(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동 레버(20)의 타단에 결합된 푸쉬 로드(51)는 외측으로 즉, 센터 페시아(1) 측으로 이송된다.
동시에 푸쉬 로드(51)의 단부에 결합된 푸쉬 버튼(52)이 센터 페시아(1)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되는 것이다.(도 3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핸드폰(H)을 취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센터 페시아(1)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 푸쉬 버튼(52)을 내측으로 푸쉬하면, 푸쉬 로드(51)가 내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회동 레버(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회동 레버(20)의 일단에 결합된 받침판(30)의 로드(32)가 외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지지 레버(41)를 핸드폰(H)의 표면으로 부터 이탈시켜 가압력을 해제시키면 스프링(42)의 단부는 지지 레버(41)의 힌지 결합부위의 수평선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지지 레버(10)의 단부를 외측에 위치시키면 핸드폰(H)이 취출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고 푸쉬하고 있던 푸쉬버튼(52)을 놓으면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도 4와 같이 핸드폰의 삽입준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핸드폰(H)을 센터 페시아(1)상에 마련하는 것을 예를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센터 페시아(1)와 인접된 크래쉬 패드상에도 동일 구조를 채용하게 되면, 핸드폰(H)의 수납 및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짐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핸드폰을 하우징의 가이드 공간부 내로 푸쉬하는 것을 통해 받침판과 지지수단을 통해 핸드폰을 유동없이 수납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취출수단 즉, 센터 페시아 외측으로 소정길이 노출된 푸쉬 버튼을 가압하는 것을 통해 수납된 핸드폰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이를 채용한 자동차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센터 페시아의 일측면에 위치되며, 내면에 소정깊이로 가이드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에 내,외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레버와;
    휴대폰이 밀착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회동 레버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로드로 이루어진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과 연동되고 가이드 공간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휴대폰을 가압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휴대폰의 지지력을 해제하고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취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플레이트 표면에는 휴대폰의 접촉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 패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받침판의 양측면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단이 받침판의 로드에 회동 가능게 설치되어 받침판의 이송에 따라 그 단부가 내외측으로 회동되는 지지 레버와;
    상기 지지 레버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하우징의 내벽면에 마련되며, 지지 레버를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레버의 외측단에는 고무로 성형된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은, 내측단이 상기 회동 레버의 타측단에 결합되며, 외측단이 센터 페시아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푸쉬 로드와;
    상기 푸쉬 로드의 단부에 마련되며, 푸쉬 로드를 가압하기 위한 푸쉬 버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KR10-2001-0022167A 2001-04-24 2001-04-24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KR10040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167A KR100406703B1 (ko) 2001-04-24 2001-04-24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167A KR100406703B1 (ko) 2001-04-24 2001-04-24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597A KR20020082597A (ko) 2002-10-31
KR100406703B1 true KR100406703B1 (ko) 2003-11-20

Family

ID=2770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167A KR100406703B1 (ko) 2001-04-24 2001-04-24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98B1 (ko) * 2002-07-02 2004-08-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드폰 수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215B1 (ko) * 2014-10-10 2016-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기
US9793727B2 (en) 2014-10-10 2017-10-17 Samsung-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680A (ja) * 1995-11-30 1997-06-10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容器保持装置
JPH10129365A (ja) * 1996-11-01 1998-05-19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話機ホルダー
JPH10166958A (ja) * 1996-12-11 1998-06-23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話機保持装置
JPH10243073A (ja) * 1997-02-26 1998-09-11 Calsonic Corp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680A (ja) * 1995-11-30 1997-06-10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容器保持装置
JPH10129365A (ja) * 1996-11-01 1998-05-19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話機ホルダー
JPH10166958A (ja) * 1996-12-11 1998-06-23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電話機保持装置
JPH10243073A (ja) * 1997-02-26 1998-09-11 Calsonic Corp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話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998B1 (ko) * 2002-07-02 2004-08-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드폰 수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597A (ko)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6703B2 (ja) 車両用設置装置
US5836563A (en) Mobile phone holder
JP4440714B2 (ja) 容器保持ユニット及びカップホルダ装置
US20080217370A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101097520B1 (ko)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EP3275735B1 (en) A motor vehicle drawer assembly
US20080142651A1 (en) Cradle for Mobile Phones and Ejector Device Thereof
KR100406703B1 (ko)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JP3571851B2 (ja) 車載用携帯電話機の取付機構
KR200412698Y1 (ko) 핸즈프리 거치대
KR100373118B1 (ko) 자동차의 핸드폰 수납용 트레이
CN113370906A (zh) 包括阻挡装置的用于移动电子装置的支撑装置
JP4555533B2 (ja) 無線電話機保持接触装置
JPH05330373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406704B1 (ko)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JP3515378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100399128B1 (ko) 차량용 핸드폰 수납장치
KR100381472B1 (ko) 자동차의 재떨이
KR20020015597A (ko) 차량용 핸드폰 수납 트레이
CN107666097B (zh) Usb装置
KR100466514B1 (ko) 자동차용 컵홀더 어셈블리
KR0133546Y1 (ko) 컵 홀더가 구비된 자동차용 콘솔박스
JP3892615B2 (ja) 電子機器
JPS63116928A (ja) 車輌のバツテリ収納部のロツク機構
JPH11354090A (ja) 携帯無線機のバッテリ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