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722A - 예취장치 - Google Patents
예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3722A KR20110023722A KR1020100058556A KR20100058556A KR20110023722A KR 20110023722 A KR20110023722 A KR 20110023722A KR 1020100058556 A KR1020100058556 A KR 1020100058556A KR 20100058556 A KR20100058556 A KR 20100058556A KR 20110023722 A KR20110023722 A KR 201100237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yance
- tip
- racing
- chain
- conve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1/00—Elevators or conveyors for binders or comb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과제) 7조분의 예취폭을 구비해서 예취작업의 능률을 높임과 아울러 이 예취장치의 전동기구를 간소화한다.
(해결 수단)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마다 레이킹 휠(53)을 설치하고, 이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에 연동하는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상측으로부터 중계 반송장치(67)의 상측에 걸치는 반송경로를 가진 이삭끝 반송장치(200)를, 전방측의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과 후방측의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로 전후로 분할해서 설치하고,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를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의 상측에 중합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와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예취 지지 프레임(25)에 있어서의 제 1 구동 스프로킷(58)으로의 출력부(201)에 지지시킨다.
(해결 수단)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마다 레이킹 휠(53)을 설치하고, 이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에 연동하는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상측으로부터 중계 반송장치(67)의 상측에 걸치는 반송경로를 가진 이삭끝 반송장치(200)를, 전방측의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과 후방측의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로 전후로 분할해서 설치하고,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를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의 상측에 중합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와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예취 지지 프레임(25)에 있어서의 제 1 구동 스프로킷(58)으로의 출력부(201)에 지지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콤바인에 구비되는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품화되어 있는 자탈형 콤바인은 일행정에서 6조의 식립 곡간(穀稈)을 예취하는 6조 베기의 예취장치를 구비한 것이 최대로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예취작업의 더나은 고능률화를 목적으로 해서, 7조 베기 또는 8조 베기까지 예취폭을 확대한 영농업자용의 콤바인의 상품화가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콤바인에 탑재되는 예취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8조 베기의 예취장치가 있다.
이 8조 베기의 예취장치는 우측 4조분의 예취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장척의 우측 밑둥 반송체인의 반송 종단부와, 좌측 4조분의 예취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좌측 밑둥 반송체인의 반송 종단부 사이에 곡간 합류부를 형성하고, 이 곡간 합류부의 후방측에 예취 곡간을 인계받아 후방으로 반송해서 탈곡장치의 피드체인에 주고받는 중계 반송장치를 설치하고, 우측 밑둥 반송체인의 상측으로부터 중계 반송장치의 상측에 걸쳐지는 반송경로를 갖는 단일의 이삭끝 반송장치를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예취장치에서는, 우측 밑둥 반송체인의 상측으로부터 중계 반송장치의 상측에 걸쳐지는 장척의 이삭끝 반송장치를 설치한 구성이다. 가령, 이 이삭끝 반송장치를 직선 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에는, 이 이삭끝 반송장치의 배면측(비반송 작용측)과 콤바인 조종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예취장치 전체를 콤바인의 기체로부터 전방으로 멀리해서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콤바인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예취장치에서는 이 이삭끝 반송장치를 반송경로의 중도부에서 굴곡시키고, 이 굴곡에 의해 이삭끝 반송장치의 배면측에 형성된 오목부에 콤바인 조종부의 전방부 좌측 코너부가 들어갈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 예취장치를 기체측에 접근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장척의 이삭끝 반송장치를 반송경로의 중도부에서 굴곡시키기 위해서는, 내부의 이삭끝 반송 러그를 구비한 무단 체인의 궤적도 체인 레일 등에 의해 굴곡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무단 체인의 궤적을 굴곡시켰을 경우, 이 굴곡부에서의 체인 레일과의 슬라이딩 저항 등에 의해 무단 체인 자체나 체인 레일의 마모가 빨라져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이삭끝 반송장치에 있어서의 곡간 합류부까지의 반송 속도와, 곡간 합류부로부터 후방의 반송경로에서의 반송 속도가 동일하기 때문에 곡간 합류부에서 8조분으로 증가한 예취 곡간을 원활하게 반송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반송 중이나 피드체인으로의 주고 받음시에 곡간의 막힘을 발생시키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상 예취장치의 각 분초 프레임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곡간 도입경로에는 상기 곡간 도입경로마다 1개의 레이킹 휠(raking wheel)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예취폭을 확대할수록 이 레이킹 휠이 증가하여 각 레이킹 휠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구가 복잡화되며, 이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어서 예취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한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에 부착한 하부 전동 케이스(38) 전방측에 8개의 분초 프레임(43)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각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각 곡간 도입경로(44)마다 단일의 일으켜세움 장치(52)와 레이킹 휠(5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7개의 레이킹 휠(53)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맞물리게 하고, 상기 제 2 레이킹 휠(53b)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3 레이킹 휠(53c)과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상기 제 4 레이킹 휠(53d)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5 레이킹 휠(53e)을 각각 맞물리게 하며,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6 레이킹 휠(53f)과 상기 제 6 레이킹 휠(53f)의 좌측에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맞물리게 하고,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제 1 밑둥 반송체인(59)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에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을 연동하고,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을 제 3 밑둥 반송체인(62)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7 레이킹 휠(53g)과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단부로부터 상승되는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을 제 4 밑둥 반송체인(64)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의 반송 종단부와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반송 종단부를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방향에서의 중간부와 후방부에 각각 합류시켜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종단부와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반송 종단부 사이에 곡간 합류부(65)를 형성하고, 상기 곡간 합류부 (65)의 후방측에 예취 곡간을 인계받아서 후방으로 반송하는 중계 반송장치(67)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상측으로부터 중계 반송장치(67)의 상측에 걸쳐지는 반송경로를 가진 이삭끝 반송장치(200)를 전방측의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후방측의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로 전후로 분할해서 설치하고,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를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의 상측에 중합시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와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예취 지지 프레임(25)에 있어서의 제 1 구동 스프로킷(58)으로의 출력부(201)에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예취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구비한 중간 출력축(25c)을 예취 지지 프레임(25)으로부터 분기된 통 형상의 출력부(201)로 포위하고, 상기 출력부(201)에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와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부착 부재(202)를 통해서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예취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를 구동하는 제 1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205)을 상기 중간 출력축(25c)으로부터 자재 이음(203)을 통해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의 예취장치로 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상측으로부터 중계 반송장치(67)의 상측에 걸쳐지는 반송경로를 갖는 이삭끝 반송장치(200)를 전방측의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후방측의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로 전후로 분할해서 설치하고,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를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의 상측에 중합시켜서 배치했으므로, 이 전방측의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후방측의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를 평면으로 볼 때에 굴곡하는 상태로 상대 배치하면, 이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 사이의 비반송 작용측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콤바인의 조종부의 일부를 들어가게 해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예취장치를 콤바인의 기체측에 접근시켜서 콤바인의 전체 길이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경로를 체인 레일 등에 의해 굴곡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슬라이딩 저항 등에 의한 각 부의 마모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삭끝 반송장치(200)를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로 분할해서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속도를 서로 다른 반송 속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곡간 합류부(65)에서 합류한 7조분의 곡간의 반송을 원활화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이 제 1 레이킹 휠(53a)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연동해서 회전시키고, 제 2 레이킹 휠(53b)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3 레이킹 휠(53c)과 이 제 3 레이킹 휠(53c)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이 제 4 레이킹 휠(53d)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5 레이킹 휠(53e)을 연동해서 회전시키며, 제 5 레이킹 휠(53e)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6 레이킹 휠(53f)과 이 제 6 레이킹 휠(53f)의 좌측에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연동해서 회전시킴으로써 7개의 레이킹 휠(53)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레이킹 휠(53a)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제 1 밑둥 반송체인(59)으로 연동하고, 제 3 레이킹 휠(53c)에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을 연동하고, 제 5 레이킹 휠(53e)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을 제 3 밑둥 반송체인(62)으로 연동하며, 제 7 레이킹 휠(53g)과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단부로부터 상승되는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을 제 4 밑둥 반송체인(64)으로 연동함으로써 7개의 레이킹 휠에 계속되는 각 밑둥 반송체인의 전동기구도 간소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킹 휠(53)의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와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예취 지지 프레임(25)에 있어서의 제 1 구동 스프로킷(58)으로의 출력부(201)에 지지시킴으로써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 및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지지 강도가 높아져서 예취 곡간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구비한 중간 출력축(25c)을 예취 지지 프레임(25)으로부터 분기된 통 형상의 출력부(201)로 포위하고, 상기 출력부(201)에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와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부착 부재(202)를 통해서 지지시킴으로써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 및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지지 강도가 높아져서 예취 곡간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로,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를 구동하는 제 1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205)을 중간 출력축(25c)으로부터 자재 이음(203)을 통해서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경사 자세를 설정하는 점에서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제 1 밑둥 반송체인(59)에 대한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경사 자세를 적정한 것으로 설정하여 예취 곡간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예취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4는 예취장치의 밑둥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제 2 레이킹 휠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제 3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제 6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일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예취장치의 이삭끝 및 밑둥의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10은 예취장치의 전동 구성을 전개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예취 지지 프레임 부분의 전동 구성을 전개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예취장치의 주요 전동부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3은 출력부 주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이삭끝 반송장치의 지지 구성 및 전동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이삭끝 반송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이삭끝 반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이삭끝 반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예취장치의 전동기구도이다.
도 19는 이삭끝 반송장치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이삭끝 반송장치 후방부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이삭끝 반송장치 후방부 주변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이삭끝 반송장치 후방부 주변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예취장치에 있어서의 레이킹 장치 및 이삭끝 반송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용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콤바인 전방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6은 일부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7은 일부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28은 일부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29는 일부의 설명용 배면도이다.
도 30은 콤바인 전방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1은 콤바인 전방부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32는 콤바인 일부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예취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4는 예취장치의 밑둥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6은 제 2 레이킹 휠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제 3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제 6 레이킹 휠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9는 일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예취장치의 이삭끝 및 밑둥의 반송장치를 나타내는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10은 예취장치의 전동 구성을 전개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예취 지지 프레임 부분의 전동 구성을 전개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예취장치의 주요 전동부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13은 출력부 주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이삭끝 반송장치의 지지 구성 및 전동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이삭끝 반송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이삭끝 반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이삭끝 반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예취장치의 전동기구도이다.
도 19는 이삭끝 반송장치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이삭끝 반송장치 후방부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이삭끝 반송장치 후방부 주변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이삭끝 반송장치 후방부 주변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예취장치에 있어서의 레이킹 장치 및 이삭끝 반송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용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콤바인 전방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6은 일부의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27은 일부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28은 일부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29는 일부의 설명용 배면도이다.
도 30은 콤바인 전방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31은 콤바인 전방부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32는 콤바인 일부의 설명용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콤바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기술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이란, 콤바인의 전진 방향을 따른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며, 조종부에 탑승한 조종자의 시선을 따른 표현으로 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의 기체는 주행장치(1)를 구비한 기대(2)의 좌측 부위에 탈곡장치(3)를 탑재하고, 기대(2)의 우측 부위에는 곡립 저류장치(4)를 탑재하고, 이 곡립 저류장치(4) 전방측에 조종부(5)를 설치하고, 이 조종부(5)와 탈곡장치(3) 전방측에 예취장치(6)를 설치해서 구성한다.
상기 주행장치(1)는 기대(2)의 전방부에 부착한 미션 케이스(7)로부터 구동되는 좌우의 구동륜(8, 8)과, 좌우의 전륜(轉輪) 프레임(9)에 축받이된 다수의 전륜(10a)에 걸쳐서 크롤러(10, 10)를 감아 걸어서 구성한다.
상기 기대(2)는 각(角) 파이프를 평면으로 볼 때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뼈대(framework)를 이루어 구성한다.
상기 탈곡장치(3)는 급동(扱胴)이나 처리동(處理胴)을 구비한 상측의 급실(扱室)과, 요동 선별 선반과 풍구와 1번 이송 나선과 2번 이송 나선을 구비한 하측의 선별 실로 구성한다. 상기 급실의 좌외측에는 후술하는 예취장치(6)측의 중계 반송장치의 종단부로부터 예취 곡간을 인계받아서 반송하는 피드체인(28)을 구비한다. 또한, 이 탈곡장치(3)의 후방부에는 탈곡 후의 배고(排藁)를 잘게 절단해서 배출하는 배고 커터(11)를 설치한다.
상기 곡립 저류장치(4)는 저부에 배출 나선을 구비한 용기이다. 상기 탈곡장치(3)의 1번 이송 나선에 의해 회수된 곡립을 1번 양곡통(揚穀筒)(12)을 통해서 상기 곡립 저류장치(4)에 투입해서 저류한다. 또한, 이 곡립 저류장치(4)의 후방측에는 세로축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양곡통(13)을 설치하고, 이 양곡통(13)의 상단부에 배출통(14)의 기부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접속한다. 또한, 상기 1번 양곡통(12)과 양곡통(13)과 배출통(14)에는 이송용의 나선을 각각 내장하고 있다.
상기 조종부(5)는 기대(2)의 우측 전방부에 탑재한 엔진(15)을 덮는 엔진 커버(16)의 상부에 조종자가 착석하는 조종석(17)을 설치하고, 이 조종석(17)의 전방에 전방부 조작대(18)를 설치하고, 조종석(17)의 좌측에는 측부 조작대(19)를 설치해서 구성한다. 상기 조종석(17)과 전방부 조작대(18)의 전후 간격부의 우측으로부터 조종자가 타고 내리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방부 조작대(18)의 상부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조타 레버(20)와, 모니터를 구비한 미터 패널(21)과, 스위치 패널(22)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측부 조작대(19)의 상부에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을 향해서 부변속 레버(23)와, 주변속 레버(24)와, 예취 클러치 레버와, 탈곡 클러치 레버를 설치한다(예취 클러치 레버와 탈곡 클러치 레버는 도시 생략하고 있다.). 상기 조타 레버(20)는 좌우 방향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좌우의 구동륜(8, 8)의 회전 속도에 차가 발생하여 기체가 선회하도록 연계하고 있다. 또한, 이 조타 레버(20)는 전후 방향으로 쓰러뜨림으로써 유압 실린더(도시 생략)가 신축되어 예취장치(6)가 승강되도록 연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예취장치(6)의 프레임 구조 및 전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11,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전동축(25a)을 구비한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기부에 예취 입력축(26)을 내부에 구비하는 입력 전동통(27)의 우측 단부를 직교 상태로 연결한다. 상기 예취 입력축(26)의 좌측 단부에 입력 풀리(26a)를 부착하고, 엔진(15)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도시생략)의 주행속도에 동조한 변속 회전 동력이 상기 피드체인(28)의 전방부 우측에 배치한 보조 피드체인(29)의 입력 풀리(도시생략)와, 상기 입력 풀리(26a)에 분기되어서 입력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취 입력축(26)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는 베벨 기어 전동기구(31)를 통해서 제 2 이삭끝 반송장치 구동축(32)을 연동시킨다.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 구동축(32)에는 그 상단부에 제 2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33)을 부착하고, 그 중간부에는 밑둥 반송체인 구동 스프로킷(34)을 부착한다. 상기 제 2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33)에 의해, 도 14∼도 17, 도 19∼도 22에 나타내는 러그가 부착된 체인을 내장한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를 구동하고, 밑둥 반송체인 구동 스프로킷(34)에 의해, 도 19∼도 22에 나타내는 체인식의 밑둥 중계 반송장치(36)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밑둥 중계 반송장치(36) 전방측에는 탈곡 깊이를 조절하는 공급 반송장치(66)를 구비하고, 이들 공급 반송장치(66)와 밑둥 중계 반송장치(36)를 중계 반송장치(67)라 총칭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 전동통(27)을 조종부(5)보다 좌측의 기대(2)의 전방부에 설치한 지지대(37)에 회동 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상기 예취 입력축(2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해서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측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예취 지지 프레임(25)을 전방측 아랫쪽으로 연장시켜, 이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하부 전동 케이스(38)를 연결한다. 이 하부 전동 케이스(38)에 있어서의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연결 위치는,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방향에서의 중심 위치보다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로 한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과 같이, 짝수의 조열을 예취하는 예취장치의 경우에는, 그 예취폭의 중심 위치를 콤바인의 기체측에서 설치한 예취 지지 프레임의 선단에 지지시킴으로써 예취장치의 좌우 방향의 중량 밸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은 조종부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예취 지지 프레임의 선단에 8조나 되는 광폭의 예취장치의 중심 위치를 지지했을 경우, 기체의 좌외측에 예취장치의 좌측 단부가 크게 돌출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기체의 우측에 설치되는 조종부에서 예취장치의 좌측 단부가 감시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에 있어서의 조맞춤(예취장치의 가장 좌측의 분초체와 식립 곡간의 조열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어 예취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예취폭이 기체폭으로부터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면 콤바인을 트랙의 짐받이에 적재할 수 없게 되고, 트랙에 의한 수송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 이 때문에, 포장간을 자주에 의해 이동하는 수 밖에 없어지고, 포장간 이동에 시간을 요해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주행 중에 예취장치가 장해물에 충돌해서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상술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예취장치(6)의 좌측 단부가 콤바인의 기체로부터 좌외측으로 크게 돌출하기 어려워져, 기대(2)의 우측에 설치되는 조종부(5)로부터 예취장치(6)의 좌측 단부[후술하는 좌측 단부의 분초체(45)]가 감시하기 쉬워져서 예취작업에 있어서의 조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예취작업의 능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의 부위에 전동축(25a)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25i)를 통해서 연동되는 전동축(25j)을 전방측 윗쪽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한다. 그리고, 이 전동축(25j)의 선단부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25k)를 통해서 출력축(25L)을 연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출력축(25L)의 선단부에 후술하는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을 부착한다. 유니버설 조인트(25k)를 개재시킴으로써 출력축(25L)의 경사 자세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이 출력축(25L)을 예취장치(6)의 가능한 한 전방의 부위에 배치하면서, 이 출력축(25L)에 부착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의 자세를 상기 제 2 구동 스프로킷(61)에 감아 거는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궤적에 맞춰서 설정할 수 있다.
도 10,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내부에 하부 전동축(38a)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전동축(38a)의 중간부에 고정한 베벨 기어(38b)를 상기 전동축(25a)의 선단부에 부착한 베벨 기어(25m)에 맞물리게 한다. 그리고, 이 하부 전동축(38a)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좌우의 베벨 기어 전동기구(38c, 38c)를 통해서 좌우의 예취날 구동 크랭크축(50, 50)을 연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좌우의 예취날 구동 크랭크축(50, 50)은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한 커버(39)로 덮는다. 또한,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4개로 분할 형성한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케이스를, 볼트 체결에 의해 일체화한 것이다.
또한, 도 3, 도 30,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 근방의 부위와, 조종부(5) 전방측에 위치하는 기대(2)측의 부위를 굴신해서 신축하는 링크(40)로 연결한다. 상기 링크(40)는 후방측 링크 암(40a)과 전방측 링크 암(40b)으로 이루어지고, 후방측 링크 암(40a)의 후단부를 기대(2)측의 부위에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하고, 전방측 링크 암(40b)의 전단부를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 근방의 부위에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하며, 이 후방측 링크 암(40a)의 전단부와 전방측 링크 암(40b)의 후단부를 좌우 방향의 축심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예취 지지 프레임(25)과 링크로 예취장치(6)의 좌우 방향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예취장치(6)의 좌우에서의 곡간의 절단 위치가 맞추어져, 예취한 곡간의 길이가 대략 균일하게 되어서 탈곡장치(3)에서의 탈곡 잔부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예취 탈곡 작업의 능률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 전방측에 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의 분초 지지 파이프(41)를 배치하고, 이 분초 지지 파이프(41)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이어설치한 연결 프레임(42, 42)의 후단부를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하부 전동 케이스(38)와 분초 지지 파이프(41)와 좌우의 연결 프레임(42, 42)이 뼈대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분초 지지 파이프(41)의 좌우 양단부와 중간부에 전후 방향을 향한 8개의 분초 프레임(43)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이 때, 이 8개의 분초 프레임(43) 사이에는 식립 곡간의 식부 간격(약 300㎜)에 대응하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지만,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R)과, 이것에 인접하는 우단으로부터 2개째의 분초 프레임(43)의 간격이 가장 커지는 설정으로 한다.
또한, 이 분초 프레임(43)의 배치에 의해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R)은 우측 크롤러(10)의 우측 단부보다 175㎜만큼 우측 외측방으로 돌출되고, 가장 좌측의 분초 프레임(43L)은 좌측 크롤러(10)의 좌측 단부보다 345㎜만큼 좌측 외측방으로 돌출된다.
상술의 분초 프레임(43)의 배치에 의해, 8개의 각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가 형성된다. 또한, 각 분초 프레임(43)의 전단부에는 기체정면으로 볼 때에 역삼각형상의 분초체(45)를 각각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분초 지지 파이프(41) 바로 앞의 위치에 바리캉식의 예취날 장치(46)를 부착한다. 이 예취날 장치(46)는 7조분의 광폭으로 형성한 하부 날(47)의 상측에 3조분의 폭으로 형성한 우측의 상부 날(48)과, 이 우측의 상부 날(48)보다 광폭으로 형성한 좌측의 상부 날(49)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 각 상부 날(48, 49)은 상기 좌우의 예취날 구동 크랭크축(50, 50)으로부터 좌우의 요동 링크기구(51, 51)를 통해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하는 구성으로 한다.
다음에, 도 4에 예취장치의 밑둥 반송장치의 배치를 나타낸다.
상기 8개의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형성된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에는 각 도입경로(44)마다 단일의 러그식의 일으켜세움 장치(52)와 레이킹 휠(53)을 각각 설치한다. 이 7개의 레이킹 휠(53)은 식립 곡간의 밑둥측에 작용하고, 이 곡간을 후방으로 긁어 넣는 작용을 갖고, 또한 서로 맞물림으로써 회전운동을 전동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 레이킹 휠(53)의 상측에는 러그식의 레이킹 벨트를 구비한 러그식 레이킹 장치(56)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이 7개의 레이킹 휠(53)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이 제 1 레이킹 휠(53a)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맞물리게 하고, 이 제 1 레이킹 휠(53a)과 제 2 레이킹 휠(53b)이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제 2 레이킹 휠(53b)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3 레이킹 휠(53c)과, 이 제 3 레이킹 휠(53c)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이 제 4 레이킹 휠(53d)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5 레이킹 휠(53e)을 각각 맞물리게 하고, 이들 제 3 레이킹 휠(53c)과 제 4 레이킹 휠(53d)과 제 5 레이킹 휠(53e)이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6 레이킹 휠(53f)과, 이 제 6 레이킹 휠(53f)의 좌측에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맞물리게 하고, 이 제 6 레이킹 휠(53f)과 제 7 레이킹 휠(53g)이 연동해서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7개의 레이킹 휠(53)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이 레이킹 휠(53)의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7개의 레이킹 휠(53)은 분초 프레임(43)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부착한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으로 지지한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우측 단부와, 가장 우측의 제 1 일으켜세움 장치(52a)의 상부를 지지 프레임(55)으로 연결하고, 이 지지 프레임(55)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이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방부을 전방 외측으로 굴곡시켜서 연장시키고, 상기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단부를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R)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연결한다. 그리고, 이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제 1 레이킹 휠(53a)을 세로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해서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가장 우측의 분초 프레임(43R)이 보강되고, 이 분초 프레임(43)이 두렁 등에 충돌해도 파손이나 변형을 초래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3번째의 분초 프레임(43a)과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제 2 일으켜세움 장치(52b)로 전동하는 종전동통(101) 사이를, 제 2 레이킹 휠(53b)의 비레이킹 작용측에 배치한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100)으로 연결하고, 상기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100)에 제 2 레이킹 휠(53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킨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7개의 일으켜세움 장치(52)를 연동해서 구동하는 횡전동축(75)을 덮는 상부 횡전동통(75j)으로부터, 매달림 전동축(76)을 덮는 종전동통을 각각 늘어뜨린 상태로 설치하고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제 2 일으켜세움 장치(52b)를 구동하는 종전동통(101)의 하단부와 우측으로부터 3번째의 분초 프레임(43a)을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100)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이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전후 방향의 프레임부(100a)에 제 2 레이킹 휠(53b)을 회전축(102)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상기 전후 방향의 프레임부(100a)의 전단 하부를 분초 프레임(43a)에 있어서의 예취날 장치(46)보다 전방측의 부위에 연결하는 구성이다. 또한,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100)의 상부는 3변에서 절곡시켜 전방으로 돌출시킨 형상으로 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과 제 4 레이킹 휠(53d)은 우단으로부터 4개째의 분초 프레임(43)의 중간부에서 후방 윗쪽으로 상승시킨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c)으로 일체로 지지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레이킹 휠(53e)과 제 6 레이킹 휠(53f)은 우단으로부터 6개째의 분초 프레임(43)의 중간부에서 후방으로 상승되고, 우측으로부터 5번째 또는 6번째의 일으켜세움 장치(52)의 상부에 연결한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d)으로 일체로 지지한다.
또한, 도 4,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단부에서 상승시켜 설치한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을 내부에 설치하는 일으켜세움 전동통(57a) 상하 방향 중간부에,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7b)을 부착하고, 이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7b)에 제 7 레이킹 휠(53g)을 지지한다.
즉, 상기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하단부를 베벨 기어 전동기구(57d)를 통해서 하부 전동축(38a)에 연동시키고, 이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상단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75a)와 일으켜세움 변속장치(75b)를 통해서 각 일으켜세움 장치(52)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한 횡전동축(75)의 좌측 단부에 전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 횡전동축(75)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75c)를 통해서 매달림 전동축(76)으로 전동하고, 이 매달림 전동축(76)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76a)를 통해서 각 일으켜세움 장치(52)의 구동 스프로킷(52s)을 구비한 입력축(52t)으로 구동력이 입력되는 구성으로 한다. 단, 우측으로부터 2번째의 일으켜세움 장치(52)와, 우측으로부터 3번째 및 4번째의 일으켜세움 장치(52, 52)와, 우측으로부터 5번째 및 6번째의 일으켜세움 장치(52, 52)는 매달림 전동축(76)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76a)와 중간 전동축(76b)을 통해서 입력축(52t)으로 전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전동축(76b)의 중간부에는 베벨 기어 전동기구(76c)를 통해서 이삭끝 반송장치 구동용의 구동 스프로킷(76d)을 구비한 입력축(76e)을 연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전동축(75)을 내장하는 상부 횡전동통(75p)의 좌우 방향 중간부와, 상기 입력 전동통(27) 사이를 전후 방향의 보강 프레임(27a)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제 1 밑둥 반송체인(59)으로 연동한다. 즉,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레이킹 휠(53a)과 동축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한 스프로킷(68a)과, 제 1 레이킹 휠 지지 프레임(54a)의 기부에 축받이한 상하 2단의 스프로킷을 갖는 카운터 스프로킷(69)의 하측의 스프로킷(69a)과, 텐션 롤러(70)에 걸쳐서 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F)을 감아 건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 스프로킷(69)의 상측의 스프로킷(69b)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에 걸쳐서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을 감아 건다.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은 예취 지지 프레임(25) 내의 전동축으로부터 연동해서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의 구동에 의해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과, 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F)과, 제 1 레이킹 휠(53a)과, 가장 우측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가 연동해서 구동된다. 또한, 제 1 레이킹 휠(53a)에 맞물리는 제 2 레이킹 휠(53b)과 좌로부터 2번째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도 연동해서 구동된다. 또한, 상기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의 후방측에는 이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을 전방으로 밀어서 체인의 이동 궤적을 들어가게 하는 롤러(71)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과 조종부(5)의 간섭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과 동축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한 스프로킷(68b)과, 이 스프로킷(68b)의 후방측에 배치한 유동(遊動) 스프로킷(72)에 걸쳐서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을 감아 건다.
그리고,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과 동축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한 스프로킷(68c)과,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에 걸쳐서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을 감아 건다.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은 예취 지지 프레임(25) 내의 전동축으로부터 연동해서 구동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이 구동되면 제 3 밑둥 반송체인(62)과, 제 5 레이킹 휠(53e)이 구동되고, 이 제 5 레이킹 휠(53e)에 맞물리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이 제 4 레이킹 휠(53d)에 맞물리는 제 3 레이킹 휠(53c)과,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이 연동해서 구동된다. 각 레이킹 휠의 상측의 3개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도 각 레이킹 휠의 회전에 의해 연동해서 구동된다.
또한, 도 4, 도 10,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으켜세움 전동통(57a)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예취폭의 내측을 향해서 전동 케이스(57c)를 부착한다. 그리고, 일으켜세움 전동축(57)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서 베벨 기어 전동기구(63a)를 통해서 전동 케이스(57c) 내의 중간 전동축(63b)에 전동하고, 이 중간 전동축(63b)으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63c)를 통해서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을 구비한 출력축(63d)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출력축(63d)에는 후술하는 제 4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f)를 구동하는 구동 스프로킷(74fs)과 제 4 이삭끝 반송장치(74g)를 구동하는 구동 스프로킷(74gs)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7 레이킹 휠(53g)과 동축에 의해 일체 회전하도록 설치한 스프로킷(63d)과, 제 3 구동 스프로킷(63)과, 후단부의 종동 롤러(73)에 걸쳐서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을 감아 건다. 이 구성에 의해,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이 구동되면 제 4 밑둥 반송체인(64)과 제 7 레이킹 휠(53g)이 구동되고, 이 제 7 레이킹 휠(53g)에 맞물리는 제 6 레이킹 휠(53f)이 연동해서 구동된다. 각 레이킹 휠의 상측의 3개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도 각 레이킹 휠의 회전에 의해 연동해서 구동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의 반송 종단부와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반송 종단부는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방향에서의 중간부와 후방부에 각각 합류하는 배치로 한다. 또한,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종단부와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반송 종단부 사이에는 곡간 합류부(65)를 형성하고, 상기 곡간 합류부(65)로부터 후방의 중계 반송장치(67)로 예취 곡간을 인계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7개의 레이킹 휠(53a, 53b, 53c, 53d, 53e, 53f, 53g)과, 이것에 연결되는 각 밑둥 반송체인(59, 60, 62, 64)의 전동기구를 간소화할 수있다. 이것에 의해, 이들 레이킹 휠의 전동기구가 예취 곡간의 반송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져 예취작업의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상측에는 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R)을 따르는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를 배치하고, 이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전방부 상측에는 제 1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b)를 배치한다. 또한,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러그(206)의 돌출 방향과 제 1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b)의 러그가 돌출되는 방향을 같은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제 1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b)를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평면으로 볼 때에 대향하는 쪽에 설치하고, 이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러그(206)의 돌출 방향과 제 1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b)의 러그가 돌출하는 방향을 대향시켜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의 반송 종단부의 윗쪽에는 제 2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c)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반송 종단부 윗쪽에는 제 3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d)와, 상기 제 3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d)의 상측의 제 3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e)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윗쪽에는 상기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반송 방향을 따라 제 4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f)와, 상기 제 4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f)의 상측의 제 4 이삭끝 반송장치(74g)를 배치한다.
또한, 도시 생략하지만, 상기 제 3 상단 이삭끝 반송장치(74e)와 제 4 이삭끝 반송장치(74g)를 분리하여 단간(短稈) 예취용의 예취장치로 하면,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어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내부에 설치한 전동축(25a)의 기단부를 베벨 기어 전동기구(26b)를 통해서 예취 입력축(26)의 우측 부위에 연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동축(25a)의 축심 방향 중간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25b)를 통해서 연동되는 중간 출력축(25c)을 전방측 윗쪽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하고, 이 중간 출력축(25c)의 기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25d)를 통해서 연동되는 출력축(25e)을 설치한다. 상기 중간 출력축(25c)은, 예취 지지 프레임(25)으로부터 분기된 원통 형상의 출력부(201)에 의해 포위되고, 상기 출력축(25e)은 출력부(201)의 기부로부터 분기된 원통 형상의 제 2 출력부(201b)에 의해 포위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출력부(201)와 제 2 출력부(201b)는 주물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이 출력축(25e)의 선단부로부터 베벨 기어 전동기구(25f)를 통해서 선단부에 구동 스프로킷(25g)을 구비한 출력축(25h)을 연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구동 스프로킷(25g)에는 공급 반송장치(66)의 밑둥 반송체인(66a)을 감아 건다. 또한, 상기 중간 출력축(25c)의 선단부에는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부착한다.
그리고, 도 11, 도 13,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출력축(25c)의 선단부에 유니버설 조인트식의 자재 이음(203)의 일단부를 접속하고, 상기 자재 이음(203)의 타단부를 제 1 이삭끝 구동축(204)의 기부에 접속한다. 상기 제 1 이삭끝 구동축(204)의 선단부에는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러그가 부착된 무단 체인을 구동하는 제 1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205)을 부착한다.
또한,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는 다수의 러그(206)를 부착한 무단 체인을 제 1 이삭끝 케이스(207) 내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이 제 1 이삭끝 케이스(207)의 후단부 하면과, 상기 출력부(201)의 측부로부터 상승된 스테이(208)를 측면에서 볼 때에 ㄷ자 형상의 부착 부재(202)로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후방부가 예취 지지 프레임(25)측에 지지된다.
또한,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후방측에는 상기 제 2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33)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를 설치한다. 도 14,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는 다수의 러그(209)를 부착한 무단 체인을 제 2 이삭끝 케이스(210) 내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이 제 2 이삭끝 케이스(210)의 전단부 하면과, 상기 부착 부재(202)의 측면을 L자 형상의 제 2 부착 부재(211)로 연결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전방부가 예취 지지 프레임(25)측에 지지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를 예취 지지 프레임(25)측에 강고하게 지지해서 예취 곡간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이 상태 그대로, 제 1 이삭끝 케이스(207) 및 제 2 이삭끝 케이스(210)의 상면측 케이스를 착탈하여 러그(206) 및 러그(209)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는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상측으로부터 중계 반송장치(67)의 상측에 걸치는 반송경로를 가진 이삭끝 반송장치(20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방측의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후방측의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로 전후로 분할해서 설치하고,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를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의 상측에 중합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러그(209)의 이동 속도는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러그(206)의 이동 속도보다 고속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곡간 합류부(65)에서 7조분으로 증가한 예취 곡간을 후방으로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러그(206)를 기립 안내하는 각봉 형상의 상하의 러그 기립 가이드 중, 하측의 러그 기립 가이드(212)의 반송 방향 아래쪽 단부를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넘어서 더욱 후방으로 연장해서 설치하고,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로 예취 곡간을 인계할 때의 곡간 가이드로서 겸용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로의 예취 곡간의 인계가 양호하게 행하여져 예취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별히 곡간 가이드를 부착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러그(206)보다 낮은 위치에 곡간 가이드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짧은 예취 곡간의 인계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단간 적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연장해서 설치해서 곡간 가이드를 겸용하는 러그 기립 가이드(212)의 반송 방향 아래쪽 단부의 하측에 곡간 센서(213)의 촉각체(214)를 설치한다. 이 곡간 센서(213)는 반송되어 오는 예취 곡간의 유무를 검출하고, 탈곡 깊이 제어 등을 개시시키기 위한 것, 또는 반송되어 오는 예취 곡간의 막힘을 검출해서 경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곡간 센서(213)의 촉각체(214)를 러그 기립 가이드(212)의 반송 방향 아래쪽 단부의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예취 곡간에 의한 곡간 센서(2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9∼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f)의 케이스 상면에 막대 형상의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의 기부를 세로축(P)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의 자유단측을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러그(209)의 이동 방향을 따르게 해서 배치한다. 이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는 반송 방향 중간부에서 러그(209)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a)와, 러그(209)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하측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b)로 분기시킨다. 또한, 제 4 중단 이삭끝 반송장치(74f)의 케이스 하면에 막대 형상의 하단 이삭끝 반송 가이드(219)의 기부를, 상기 세로축(P)과 동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한다.
또한, 상측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a)와 하측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b)의 반송 방향 중간부에 고착한 ㄷ자 형상의 홀더(216)에 스프링 형상의 제 2 이삭끝 반송 가이드(217)의 기부를 부착한다. 상기 홀더(216)는 예취 지지 프레임(25)측에 고정된 스테이(218)에 대하여 볼트(22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에 반송 중의 예취 곡간이 막힌 경우에 볼트(220)의 체결을 분리하면, 상측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a)와 하측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b)와 하단 이삭끝 반송 가이드(219)와 제 2 이삭끝 반송 가이드(217)가 일체로 세로축(P)을 중심으로 외측방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막힌 예취 곡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 메인터넌스 종료 후의 예취작업 상태로의 복귀 조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이삭끝 반송 가이드(219)의 중간부를 굴곡시켜 밑둥 중계 반송장치(36)의 협지 레버(221)의 협지 시단부의 윗쪽을 우회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측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a)와 하측 이삭끝 반송 가이드(215b)와 하단 이삭끝 반송 가이드(219)와 제 2 이삭끝 반송 가이드(217)를 세로축(P) 중심으로 외측방으로 회전시킬 때에, 하단 이삭끝 반송 가이드(219)가 협지 레버(221)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3,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단으로부터 2번째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의 후방부 윗쪽의 부위에 이삭끝 가이드(222R)의 반송 방향 시단부를 고정하고, 우단으로부터 3번째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의 후방부 윗쪽의 부위에 이삭끝 가이드(222L)의 반송 방향 시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이삭끝 가이드(222R)의 반송 방향 종단부와 이삭끝 가이드(222L)의 반송 방향 종단부를 용접해서 연결한다. 또한 우단으로부터 4번째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의 윗쪽의 부위에 이삭끝 가이드(223R)의 반송 방향 시단부를 고정하고, 우단으로부터 5번째의 러그식 레이킹 장치(56)의 윗쪽의 부위에 이삭끝 가이드(223L)의 반송 방향 시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이삭끝 가이드(223R)의 반송 방향 종단부와 이삭끝 가이드(223L)의 반송 방향 종단부를 삼각형상의 보강 플레이트(224)를 통해서 용접 고정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상측에 배치하는 이삭끝 가이드(225R)의 반송 방향 종단부와, 제 4 이삭끝 반송장치(74g)에 대향하는 이삭끝 가이드(225L)의 반송 방향 종단부를 삼각형상의 보강 플레이트(226)를 통해서 용접 고정한다. 이들 용접 고정부는 어느 것이나 예취 곡간의 합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예취 곡간으로부터의 반력을 받기 위해서 강도를 필요로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형상의 보강 플레이트(224, 226)를 통해서 용접 고정하고 있음으로써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보강 플레이트(224, 226)에 의해 짚부스러기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장치(6)측의 고정 프레임(227)의 후단부에 판 형상의 곡간 누름부(228)의 기부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하고, 상기 곡간 누름부(228)의 자유단부를 피드체인(28)의 반송 방향 시단부 상에 자체 중량으로 적재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227)의 후단부에 둥근 막대형상의 이삭끝 중계 가이드(229)의 기부를 상하 회동 가능하게 축부착하고, 상기 이삭끝 중계 가이드(229)의 자유단부를 피드체인(28)의 전방부 우측에 배치한 보조 피드체인(29) 상에 적재한다. 상기 이삭끝 중계 가이드(229)의 기부에는 상기 이삭끝 중계 가이드(229)를 하강 바이어싱하는 인장 스프링(230)을 설치한다. 이 인장 스프링(230)에 의해, 이삭끝 중계 가이드(229)는 지점 초과해서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형상의 제 2 이삭끝 반송 가이드(217)의 자유단부를 상기 이삭끝 중계 가이드(229)의 좌측에, 상기 이삭끝 중계 가이드(229)와 측면으로 볼 때에 교차시켜서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중계 곡간이 소량인 경우에도 곡간이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0∼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 우측의 분초체(45)를 조종부(5)의 우단면보다 거리 L만큼 우측으로 치우치게 해서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엔진 커버(16)의 외측면에 형성한 라디에이터 냉각용의 외기를 흡입하는 방진망(232)에 흡착되는 진애가 감소하여 엔진(15)이 오버히트(overheat)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좌우의 요동 링크기구(51, 51)의 윗쪽으로부터 전방측 제 1 밑둥 반송체인(59F)의 우측 후방부를 덮는 커버(231)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231)의 좌측 단부와, 링크(40)[후방측 링크 암(40a)과 전방측 링크 암(40b)]의 우측 단부를, 극소한 거리(S)를 남기고 접근시켜서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조종부(5)의 우단부보다 우측으로 돌출된 예취장치(6)의 배면 부위를 덮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25 : 예취 지지 프레임 25c : 중간 출력축
38 : 하부 전동 케이스 43 : 분초 프레임
44 : 곡간 도입경로 52 : 일으켜세움 장치
53 : 레이킹 휠 53a : 제 1 레이킹 휠
53b : 제 2 레이킹 휠 53c : 제 3 레이킹 휠
53d : 제 4 레이킹 휠 53e : 제 5 레이킹 휠
53f : 제 6 레이킹 휠 53g : 제 7 레이킹 휠
57 : 일으켜세움 전동축 58 : 제 1 구동 스프로킷
59 : 제 1 밑둥 반송체인 60 : 제 2 밑둥 반송체인
61 : 제 2 구동 스프로킷 62 : 제 3 밑둥 반송체인
63 : 제 3 구동 스프로킷 64 : 제 4 밑둥 반송체인
65 : 곡간 합류부 67 : 중계 반송장치
200 : 이삭끝 반송장치 200a : 제 1 이삭끝 반송장치
200b : 제 2 이삭끝 반송장치 201 : 출력부
202 : 부착 부재 203 : 자재 이음
205 : 제 1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
38 : 하부 전동 케이스 43 : 분초 프레임
44 : 곡간 도입경로 52 : 일으켜세움 장치
53 : 레이킹 휠 53a : 제 1 레이킹 휠
53b : 제 2 레이킹 휠 53c : 제 3 레이킹 휠
53d : 제 4 레이킹 휠 53e : 제 5 레이킹 휠
53f : 제 6 레이킹 휠 53g : 제 7 레이킹 휠
57 : 일으켜세움 전동축 58 : 제 1 구동 스프로킷
59 : 제 1 밑둥 반송체인 60 : 제 2 밑둥 반송체인
61 : 제 2 구동 스프로킷 62 : 제 3 밑둥 반송체인
63 : 제 3 구동 스프로킷 64 : 제 4 밑둥 반송체인
65 : 곡간 합류부 67 : 중계 반송장치
200 : 이삭끝 반송장치 200a : 제 1 이삭끝 반송장치
200b : 제 2 이삭끝 반송장치 201 : 출력부
202 : 부착 부재 203 : 자재 이음
205 : 제 1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
Claims (4)
-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에 부착한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전방측에 8개의 분초 프레임(43)을 좌우 방향으로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각 분초 프레임(43) 사이에 7개의 곡간 도입경로(44)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각 곡간 도입경로(44)마다 단일의 일으켜세움 장치(52)와 레이킹 휠(5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7개의 레이킹 휠(53) 중 가장 우측의 제 1 레이킹 휠(53a)과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2 레이킹 휠(53b)을 맞물리게 하고, 상기 제 2 레이킹 휠(53b)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3 레이킹 휠(53c)과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4 레이킹 휠(53d)과 상기 제 4 레이킹 휠(53d)의 좌측에 인접하는 제 5 레이킹 휠(53e)을 각각 맞물리게 하며,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의 좌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제 6 레이킹 휠(53f)과 상기 제 6 레이킹 휠(53f)의 좌측에 인접하는 가장 좌측의 제 7 레이킹 휠(53g)을 맞물리게 하고, 상기 제 1 레이킹 휠(53a)과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설치한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제 1 밑둥 반송체인(59)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3 레이킹 휠(53c)에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을 연동하고, 상기 제 5 레이킹 휠(53e)과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의 선단부 근방에 설치한 제 2 구동 스프로킷(61)을 제 3 밑둥 반송체인(62)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7 레이킹 휠(53g)과 상기 하부 전동 케이스(38)의 좌단부로부터 상승되는 일으켜세움 전동축(57)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설치한 제 3 구동 스프로킷(63)을 제 4 밑둥 반송체인(64)으로 연동하고, 상기 제 2 밑둥 반송체인(60)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제 3 밑둥 반송체인(62)의 반송 종단부를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방향에서의 중간부와 후방부에 각각 합류시키며,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제 4 밑둥 반송체인(64)의 반송 종단부 사이에 곡간 합류부(65)를 형성하고, 상기 곡간 합류부(65)의 후방측에 예취 곡간을 인계받아서 후방으로 반송하는 중계 반송장치(67)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밑둥 반송체인(59)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중계 반송장치(67)의 상측에 걸치는 반송경로를 가진 이삭끝 반송장치(200)를 전방측의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와 후방측의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로 전후로 분할해서 설치하고,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를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의 상측에 중합시켜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와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동 스프로킷(58)으로의 출력부(201)에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스프로킷(58)을 구비한 중간 출력축(25c)을 상기 예취 지지 프레임(25)으로부터 분기된 통 형상의 출력부(201)로 포위하고, 상기 출력부(201)에 상기 제 2 이삭끝 반송장치(200b)의 반송 시단부와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의 반송 종단부를 부착 부재(202)를 통해서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삭끝 반송장치(200a)를 구동하는 제 1 이삭끝 구동 스프로킷(205)을 상기 중간 출력축(25c)으로부터 자재 이음(203)을 통해서 구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00934 | 2009-08-31 | ||
JPJP-P-2009-200934 | 2009-08-31 | ||
JPJP-P-2010-073933 | 2010-03-27 | ||
JP2010073933A JP5083352B2 (ja) | 2009-08-31 | 2010-03-27 | 刈取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3722A true KR20110023722A (ko) | 2011-03-08 |
KR101131819B1 KR101131819B1 (ko) | 2012-03-30 |
Family
ID=4380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8556A KR101131819B1 (ko) | 2009-08-31 | 2010-06-21 | 예취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1819B1 (ko) |
CN (1) | CN10199927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94691B (zh) * | 2012-04-27 | 2017-08-11 | Iseki Agricult Mach | Harvester Combine Harvester |
JP7373928B2 (ja) * | 2019-06-27 | 2023-11-06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0010A (ja) | 1998-06-15 | 2000-01-07 | Kubota Corp | バリカン型刈取装置 |
JP2000023506A (ja) | 1998-07-14 | 2000-01-25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等の刈取装置 |
JP2000270611A (ja) | 1999-03-26 | 2000-10-03 | Kubota Corp | 刈取収穫機 |
JP2002262607A (ja) | 2001-03-09 | 2002-09-17 | Iseki & Co Ltd | コンバインの刈取方向制御装置 |
JP4980521B2 (ja) * | 2001-06-20 | 2012-07-18 | ヤンマー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4065389B2 (ja) * | 2002-07-30 | 2008-03-26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4551286B2 (ja) * | 2005-07-01 | 2010-09-22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JP2009044991A (ja) * | 2007-08-20 | 2009-03-05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コンバイン |
JP5003468B2 (ja) * | 2007-12-26 | 2012-08-15 | 井関農機株式会社 | 多条刈り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装置 |
-
2010
- 2010-06-21 KR KR1020100058556A patent/KR10113181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6-29 CN CN201010218304.7A patent/CN10199927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999276A (zh) | 2011-04-06 |
KR101131819B1 (ko) | 2012-03-30 |
CN101999276B (zh) | 2014-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9240B1 (ko) | 콤바인 | |
KR102207702B1 (ko) | 콤바인 | |
CN105025699A (zh) | 联合收割机 | |
KR20130129097A (ko) | 콤바인 | |
CN102918982A (zh) | 块茎类作物挖掘收获机 | |
KR102226681B1 (ko) | 콤바인 | |
KR101131819B1 (ko) | 예취장치 | |
KR20110091643A (ko) | 콤바인 | |
KR20130121734A (ko) | 콤바인의 예취장치 | |
JP5077375B2 (ja) | コンバイン | |
JP5035312B2 (ja) | コンバイン | |
JP5083352B2 (ja) | 刈取装置 | |
JP5733366B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 |
JP2011177089A5 (ko) | ||
JP2011067194A5 (ko) | ||
JP2012187114A (ja) | コンバインの引起し駆動構造 | |
JP3590306B2 (ja) | スプロケット構造 | |
JP5741374B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 |
JP5741613B2 (ja) | コンバイン | |
KR20070003535A (ko) | 콤바인 | |
JP2014068586A (ja) | コンバイン | |
JP7321037B2 (ja) | サトウキビ収穫機 | |
CN104135847A (zh) | 联合收割机 | |
JP3831327B2 (ja) | コンバイン | |
JP3831520B2 (ja) | コンバ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