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738A -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738A
KR20110020738A KR1020100079593A KR20100079593A KR20110020738A KR 20110020738 A KR20110020738 A KR 20110020738A KR 1020100079593 A KR1020100079593 A KR 1020100079593A KR 20100079593 A KR20100079593 A KR 20100079593A KR 20110020738 A KR20110020738 A KR 2011002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transistor
signal line
photo sensor
photo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274B1 (ko
Inventor
요시유키 쿠로카와
타카유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11002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터치 패널은, 포토 다이오드와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를 갖는 포토 센서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다. 각 화소는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포토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한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전위를 설정하는 제 1 동작과,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제 2 동작과,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켜,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를 사이에 두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 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과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을 도통시킴으로써,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를 광 전류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3 동작을 행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METHOD FOR DRIV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포토 센서를 갖는 터치 패널과,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포토 센서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터치 패널과,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을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센서를 탑재한 표시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터치 센서를 탑재한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불린다(이하, 이것을 단순히 “터치 패널”이라고 함). 터치 센서에는, 동작 원리의 차이에 의하여,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 방식 등이 있다. 어느 방식에 있어서나, 피검출물이 표시 장치에 접촉 또는 근접함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광 방식의 터치 센서로서 광을 검출하는 센서(“포토 센서”라고도 함)를 터치 패널에 설치함으로써, 표시 화면이 입력 영역을 겸한다. 이와 같은 광 방식의 터치 센서를 갖는 장치의 일례로서, 화상을 취득하는 밀착형 에어리어 센서를 배치함으로써, 화상 취득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광 방식의 터치 센서를 갖는 터치 패널에서는, 터치 패널로부터 광이 발해진다. 터치 패널의 임의의 위치에 피검출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피검출물이 존재하는 영역의 광이 피검출물에 의하여 차단되어, 일부의 광이 반사된다. 터치 패널 내의 화소에는, 광을 검출할 수 있는 포토 센서(“광전 변환 소자”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가 설치되어, 반사된 광을 검출함으로써, 광이 검출된 영역에 피검출물이 존재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 휴대 정보 단말을 비롯한 전자 기기에 본인 인증 기능 등을 부여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본인 인증에는, 지문, 얼굴, 수형(手形), 장문(掌紋) 및 손의 정맥의 형상 등이 사용된다. 본인 인증 기능을 표시부와는 다른 부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부품 개수가 증대되어, 전자 기기의 중량이나 가격이 증대될 우려가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시스템에 있어서, 외광의 밝기에 따라 손 끝 부분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화상 처리 방법을 선택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특개 2001-292276호 공보 특개 2002-033823호 공보 특개 2007-183706호 공보
본인 인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에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터치 패널의 각 화소에 설치된 포토 센서가 광을 검출하여 생성한 전기 신호를 수집하고, 화상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분해능, 고속 동작의 본인 인증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포토 센서의 고속 동작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포토 센서의 리셋 동작과 판독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촬상의 프레임 주파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은, 표시 소자와 포토 센서를 각각 갖는 복수의 화소와, 포토 센서의 리셋 동작과 판독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회로를 갖고, 리셋 동작과 판독 동작을 시간적으로 중복하지 않고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포토 다이오드와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를 갖는 포토 센서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이고, 각 화소는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포토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전위를 설정하는 제 1 동작과,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제 2 동작과,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켜,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과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을 도통시킴으로써,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를 광 전류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3 동작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포토 다이오드와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를 갖는 포토 센서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화소를 갖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이고, 각 화소는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포토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전위를 설정하는 제 1 동작과,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제 2 동작과,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켜,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고,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과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을 도통시킴으로써,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를 광 전류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3 동작을 행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의 하나가 제 1 동작을 행하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화소의 다른 하나가 제 3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의 하나가 제 1 동작을 행하고, 하나의 화소와 행 방향으로 인접되는 화소가 제 1 동작을 행하는 동안에, 복수의 화소의 다른 하나가 제 3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행 방향”이란 일례로서 게이트 신호선의 행을 나타내는 숫자가 증가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의 하나가 제 3 동작을 행하고, 하나의 화소와 행 방향으로 인접되는 화소가 제 3 동작을 행하는 동안에, 복수의 화소의 다른 하나가 제 1 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포토 센서의 동작 시간을 확보하면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포토 센서의 동작을 안정시키면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 패널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화소의 회로도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포토 센서 판독 회로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포토 센서의 판독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5는 터치 패널의 단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터치 패널의 단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터치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8은 터치 패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e는 터치 패널을 사용한 전자 기기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터치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11은 터치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
도 12는 화소의 회로도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형태는 많은 다른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형태 및 자세한 내용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 제시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 도 7,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 패널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 패널(100)은 화소 회로(101), 표시 소자 제어 회로(102) 및 포토 센서 제어 회로(103)를 갖는다. 화소 회로(101)는 행렬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104)를 갖는다. 각각의 화소(104)는 표시 소자(105)와 포토 센서(106)를 갖는다.
표시 소자(105)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유지 용량, 액정층을 갖는 액정 소자 등을 갖는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유지 용량에 전하를 주입 또는 배출하는 것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유지 용량은 액정층에 인가하는 전압에 상당하는 전하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액정층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편광 방향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여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명암을 만들어냄으로써(계조 표시를 행함으로써) 화상 표시가 실현된다.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에는 광원(백 라이트)에 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뒷면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사용한다.
또한, 컬러 화상 표시를 행하는 방식으로서, 컬러 필터를 사용하는 방식, 소위 컬러 필터 방식이 있다. 이것은, 액정층을 투과한 광이 컬러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특정의 색깔(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의 계조 표시를 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컬러 화상 표시를 행하는 다른 방식으로서, 백 라이트를 특정의 색깔(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의 광원으로 구성하여 각 색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는 방식, 소위, 필드 시퀀셜 방식이 있다. 필드 시퀀셜 방식으로는, 각 색의 광원이 점등하는 기간에,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명암을 만들어냄으로써, 상기 색의 계조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표시 소자(105)가 액정 소자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발광 소자(105)로서 발광 소자 등의 다른 소자를 가져도 좋다. 발광 소자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하여 휘도가 제어되는 소자이고, 구체적으로는 발광 다이오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들 수 있다.
포토 센서(106)는 포토 다이오드 등, 수광함으로써 전기 신호를 발신하는 기능을 갖는 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다. 또한, 포토 센서(106)가 수광하는 광은, 백 라이트로부터의 광이 피검출물에 조사되었을 때의 반사광을 이용한다.
표시 소자 제어 회로(102)는, 표시 소자(105)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다. 표시 소자 제어 회로(102)는, 표시 소자 구동 회로(107)와 표시 소자 구동 회로(108)를 갖는다. 표시 소자 구동 회로(107)는, 비디오 데이터 신호선 등의 신호선(“소스 신호선”이라고도 함)을 통하여 표시 소자(105)에 신호를 입력한다. 표시 소자 구동 회로(108)는 주사선(“게이트 신호선”이라고도 함)을 통하여 표시 소자(105)에 신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주사선 측의 표시 소자 구동 회로(108)는, 특정의 행에 배치된 화소(104)가 갖는 표시 소자(105)를 선택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신호선 측의 표시 소자 구동 회로(107)는, 선택된 행의 화소(104)가 갖는 표시 소자(105)에 임의의 전위를 주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주사선 측의 표시 소자 구동 회로(108)에 의하여 고전위가 인가된 화소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도통 상태가 되고, 신호선 측의 표시 소자 구동 회로(107)에 의하여 인가되는 전하가 표시 소자에 공급된다.
포토 센서 제어 회로(103)는 포토 센서(106)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고,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 등과 접속된 포토 센서 판독 회로(109)와, 포토 센서 구동 회로(110)를 갖는다. 포토 센서 구동 회로(110)는 특정의 행에 배치된 화소(104)가 갖는 포토 센서(106)에 대하여, 후술하는 리셋 동작과 선택 동작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포토 센서 판독 회로(109)는 선택된 행의 화소(104)가 갖는 포토 센서(106)의 출력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포토 센서 판독 회로(109)에는, 아날로그 신호인 포토 센서(106)의 출력을, OP 앰프를 사용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채 터치 패널 외부로 추출하는 구성, 또는 A/D 변환 회로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에 터치 패널 외부로 추출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화소(104)의 회로도의 일례에 대하여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화소(104)는 트랜지스터(201), 유지 용량(202), 및 액정 소자(203)를 갖는 표시 소자(105)와, 포토 다이오드(204), 트랜지스터(205), 및 트랜지스터(206)를 갖는 포토 센서(106)를 갖는다.
트랜지스터(201)는, 각각, 게이트가 게이트 신호선(20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이 비디오 데이터 신호선(2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 또는 드레인의 다른 쪽이 유지 용량(202)의 한쪽의 전극과 액정 소자(203)의 한쪽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지 용량(202)의 다른 쪽의 전극과 액정 소자(203)의 다른 쪽의 전극은 일정한 전위로 유지된다. 액정 소자(203)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액정층을 포함하는 소자이다.
트랜지스터(201)는 게이트 신호선(207)에 하이 레벨의 전위 “H”가 인가되면, 비디오 데이터 신호선(210)의 전위를 유지 용량(202)과 액정 소자(203)에 인가한다. 유지 용량(202)은 상기 인가된 전위를 유지한다. 액정 소자(203)는 상기 인가된 전위에 의하여 광 투과율을 변경한다.
포토 다이오드(204)는, 각각 한쪽의 전극이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2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의 전극이 게이트 신호선(21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205)는 각각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이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2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 또는 드레인의 다른 쪽이 트랜지스터(206)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트랜지스터(206)는, 각각, 게이트가 게이트 신호선(20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 또는 드레인의 다른 쪽이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205)와 트랜지스터(206)의 배치는, 도 2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206)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이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2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이 트랜지스터(205)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06)의 게이트가 게이트 신호선(20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가 게이트 신호선(2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05)의 소스 또는 드레인의 다른 쪽이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포토 다이오드(204)는 한쪽의 전극이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2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쪽의 전극이 게이트 신호선(21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포토 센서 판독 회로(109)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포토 센서 판독 회로(109)는 복수의 회로(300)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회로(300)의 각각은 화소 회로(101)가 갖는 복수의 화소(104) 중의 1열의 화소에 각각 대응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센서 판독 회로(109)가 갖는 화소 1열 분에 대응하는 회로(300)는, p형 트랜지스터(301)와 유지 용량(302)을 갖는다. 또한, 부호 211은, 상기 화소의 1열 분에 대응하는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 부호 303은, 프리 차지 신호선이다.
포토 센서 판독 회로(109)가 갖는 화소의 1열에 대응하는 회로(300)에서는 화소(104) 내에 있어서의 포토 센서(106)의 동작에 앞서,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를 기준 전위로] 설정한다. 도 3에서는 프리 차지 신호선(303)의 전위를 로우 레벨의 전위 “L”로 함으로써,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준위를[전위를] 기준 준위인[전위인] 고전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유지 용량(302)은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기생 용량이 큰 경우에는,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기준 전위를 저전위로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p형 트랜지스터(301) 대신에 n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프리 차지 신호선(303)의 전위를 전위 “H”로 함으로써,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를 기준 전위인 저전위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터치 패널에 있어서의 포토 센서(106)의 판독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도 4의 타이밍 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신호(401) 내지 신호(404)는 도 2에 있어서의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208)의 전위, 트랜지스터(206)의 게이트가 접속된 게이트 신호선(209)의 전위,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가 접속된 게이트 신호선(213)의 전위,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에 각각 상당한다. 또한, 신호(405)는 도 3에 있어서의 프리 차지 신호선(303)의 전위에 상당한다.
시각 A에 있어서,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208)의 전위(신호(401))를 전위 “H”로 하면, 바꿔 말하면,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포토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전위를 설정(리셋 동작)하면, 포토 다이오드(204)가 도통되고,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가 접속된 게이트 신호선(213)의 전위(신호(403))가 전위 “H”가 된다. 또한, 프리 차지 신호선(303)의 전위(신호(405))를 전위 “L”로 하면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신호(404))는 전위 “H”에 프리 차지된다.
시각 B에 있어서,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208)의 전위(신호(401))를 전위 “L”로 하면(누적 동작), 포토 다이오드(204)의 광 전류에 의하여,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가 접속된 게이트 신호선(213)의 전위(신호(403))가 저하되기 시작한다. 포토 다이오드(204)는 광이 조사되면, 광 전류가 증대되므로 조사되는 광의 양에 따라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가 접속된 게이트 신호선(213)의 전위(신호(403))는 변화된다. 즉, 트랜지스터(205)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전류가 변화된다.
시각 C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선(209)의 전위(신호(402))를 전위 “H”로 하면(선택 동작), 트랜지스터(206)가 도통되고,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212)과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이 트랜지스터(205)와 트랜지스터(206)를 통하여 도통된다. 이에 따라,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신호(404))는 저하되어 간다. 또한, 시각 C 이전에 프리 차지 신호선(303)의 전위(신호(405))를 전위 “H”로 하고,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프리 차지를 종료시켜둔다. 여기서,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신호 (404))가 저하되는 속도는 트랜지스터(205)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전류에 의존한다. 즉, 포토 다이오드(204)에 조사되는 광의 양에 따라 변화된다.
시각 D에 있어서, 게이트 신호선(209)의 전위(신호(402))를 전위 “L”로 하면, 트랜지스터(206)가 차단되고,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신호(404))는 시각 D 이후 일정 값이 된다. 여기서, 일정 값이 되는 값은, 포토 다이오드(204)에 조사되는 광의 양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를 취득함으로써, 포토 다이오드(204)에 조사되는 광의 양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개의 포토 센서의 동작은, 리셋 동작, 누적 동작, 선택 동작을 반복하여 실현된다. 터치 패널에 있어서, 고속 촬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화소의 리셋 동작, 누적 동작, 선택 동작을 고속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도 10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와 같이, 모든 화소의 리셋 동작 후에, 모든 화소의 누적 동작, 이어서 모든 화소의 선택 동작을 행함으로써, 원하는 촬상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0은, 터치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10에 있어서, 신호(1001), 신호(1002), 신호(1003), 신호(1004), 신호(1005), 신호(1006), 신호(1007)는, 각각 제 1 행, 제 2 행, 제 3 행, 제 m 행, 제 (m+1)행, 제 (n-1)행, 제 n 행의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208)의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신호(1011), 신호(1012), 신호(1013), 신호(1014), 신호(1015), 신호(1016), 신호(1017)는, 각각 제 1 행, 제 2 행, 제 3 행, 제 m 행, 제 (m+1)행, 제 (n-1)행, 제 n 행의 게이트 신호선(209)의 타이밍 차트이다. 기간(1018)은, 제 m 행의 포토 센서가 동작하는 기간이고, 기간(1019), 기간(1020), 기간(1021)은, 각각 리셋 동작, 누적 동작, 선택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또한, 기간(1022)은, 모든 화소에 있어서의 1회의 촬상에 필요한 기간이다. 또한, m, n는 자연수이고, 1<m<n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하는 기간 T는 어느 행의 리셋 동작 시작으로부터 다음 행의 리셋 동작 시작까지의 기간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개개의 포토 센서의 동작 시간을 확보하면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7은, 터치 패널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에 있어서, 신호(701), 신호(702), 신호(703), 신호(704), 신호(705), 신호(706), 신호(707)는, 각각 제 1 행, 제 2 행, 제 3 행, 제 m 행, 제 (m+1)행, 제 (n-1)행, 제 n 행의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208)의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신호(711), 신호(712), 신호(713), 신호(714), 신호(715), 신호(716), 신호(717)는, 각각 제 1 행, 제 2 행, 제 3 행, 제 m 행, 제 (m+1)행, 제 (n-1)행, 제 n 행의 게이트 신호선(209)의 타이밍 차트이다. 기간(718)은, 제 m 행의 포토 센서가 동작하는 기간이고, 기간(719), 기간(720), 기간(721)은, 각각 리셋 동작, 누적 동작, 선택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또한, 기간(722)은, 모든 화소에 있어서의 1회의 촬상에 필요한 기간이다. 또한, m, n는 자연수이고, 1<m<n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하는 기간 T는 어느 행의 리셋 동작 시작으로부터 다음 행의 리셋 동작 시작까지의 기간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사용하면, 리셋 동작, 누적 동작, 선택 동작을 상이한 행에 있어서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행이 리셋 동작을 행하는 것과 동시에, 다른 행에 있어서 선택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는, 제 m 행의 리셋 동작과 제 1 행의 선택 동작이 동시에 행해진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각 행의 포토 센서에 있어서의 리셋 동작 및 선택 동작의 기간을, 도 10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와 같은 설정으로 한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쪽이 모든 화면에 있어서의 1회의 촬상에 필요한 기간(기간 (722))을, 도 10에 도시하는 기간(기간 (1022))보다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은, 도 10의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의 프레임 주파수를 향상시킴으로써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개개의 포토 센서의 동작 시간을 확보하면서, 촬상의 프레임 주파수를 향상시킴으로써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포토 센서 구동 회로(110)는, 리셋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와 선택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독립적으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리셋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제 1 시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구성하고, 선택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제 2 시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구성하면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포토 센서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신호(1101), 신호(1102), 신호(1103), 신호(1104), 신호(1105), 신호(1106), 신호(1107)는, 각각 제 1 행, 제 2 행, 제 3 행, 제 m 행, 제 (m+1)행, 제 (n-1) 행, 제 n 행의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208)의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신호(1111), 신호(1112), 신호(1113), 신호(1114), 신호(1115), 신호(1116), 신호(1117)는, 각각 제 1 행, 제 2 행, 제 3 행, 제 m 행, 제 (m+1)행, 제 (n-1)행, 제 n 행의 게이트 신호선(209)의 타이밍 차트이다. 기간(1118)은, 제 m 행의 포토 센서가 동작하는 기간이고, 기간(1119), 기간(1120), 기간(1121)은, 각각 리셋 동작, 누적 동작, 선택 동작을 행하는 기간이다. 또한, 기간(1122)은, 모든 화소에 있어서의 1회의 촬상에 필요한 기간이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하는 기간 T는 어느 행의 리셋 동작 시작으로부터 다음 행의 리셋 동작 시작까지의 기간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에서는, 기간 T에서는 모든 행에서 선택 동작을 행하지 않지만, 도 11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기간 T에서는, 어느 행에서는 선택 동작을 행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사용하면, 리셋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와 선택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의 동작 주파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리셋 동작과 선택 동작이 상이한 행에 대하여 동시에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행의 리셋 동작과 상기 행과 인접하는 행의 리셋 동작 사이에 다른 행의 선택 동작을 행함으로써, 리셋 동작과 선택 동작을 동시에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는, 제 m 행의 리셋 동작과 제 (m+1) 행의 리셋 동작 사이에, 제 2 행의 선택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어느 행의 선택 동작과, 상기 행과 인접하는 행의 선택 동작 사이에 다른 행의 리셋 동작을 행함으로써, 리셋 동작과 선택 동작을 동시에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는, 제 1 행의 선택 동작과 제 2 행의 선택 동작 사이에, 제 m 행의 리셋 동작이 행해진다.
도 11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선택 동작을 행하는 행에 있어서의 포토 센서에 의한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의 변화가, 다른 행에 있어서의 포토 센서의 리셋 동작에 미치는 영향은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포토 센서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리셋 동작에 미치는 영향이란, 도 2에 있어서, 트랜지스터(206)의 오프 리크(OFF-leak) 전류에 의하여 트랜지스터(205)를 통하여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으로부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212)으로 리크 전류가 흐르는 것에 기인한다. 리셋 동작에 미치는 영향에 의하여, 리셋 동작 중에 트랜지스터(205)의 게이트 전압이 원하는 전압에 도달되지 않는, 리크 전류에 의하여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211)의 전위 및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212)의 전위가 불안정하게 되는 등의 포토 센서 동작의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포토 센서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면서, 촬상의 프레임 주파수를 향상시킴으로써,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에서, 리셋 기간 중에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를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의 전위와 같은 전위로 하는 것도 유효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의 구동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포토 센서 구동 회로(110)는, 리셋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와 선택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독립적으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리셋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제 1 시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구성하고, 선택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회로를 제 2 시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구성하고, 또한, 각각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에 대하여, 원하는 기간만 전위 “H”로 하는 신호와의 논리합에 의하여, 각 행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동작 시간이 확보되고,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포토 센서를 갖는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토 센서의 동작 시간을 확보하면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동작이 안정적이고,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포토 센서를 갖는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토 센서의 동작을 안정시키면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터치 패널의 단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에서는 절연 표면을 갖는 기판(TFT 기판)(501) 위에, 포토 다이오드(502), 트랜지스터(503), 유지 용량(504), 액정 소자(505)가 형성된다.
포토 다이오드(502)와 유지 용량(504)은 트랜지스터(503)를 제작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트랜지스터(503)와 함께 형성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502)는 가로형 접합 타입의 pin 다이오드이고, 포토 다이오드(502)가 갖는 반도체막(506)은 p형 도전성을 갖는 영역(p층)과, i형 도전성을 갖는 영역(i층)과, n형 도전성을 갖는 영역(n층)을 갖는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에서는 포토 다이오드(502)가 pin 다이오드인 경우를 예시하지만, 포토 다이오드(502)는 pn 다이오드라도 좋다. 가로형 접합 타입의 pin 접합 또는 pn 접합은, p형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와 n형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를 각각 반도체막(506)의 특정의 영역에 첨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501) 위에 형성한 하나의 반도체막을 에칭 등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패터닝)함으로써, 포토 다이오드(502)의 섬 형상의 반도체막과, 트랜지스터(503)의 섬 형상의 반도체막을 함께 형성할 수 있고,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 일반적인 패널을 제작하는 프로세스에 대하여, 포토 다이오드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액정 소자(505)는 화소 전극(507)과, 액정(508)과, 대향 전극(509)을 갖는다. 화소 전극(507)은 기판(501) 위에 형성되고, 트랜지스터(503)와는 유지 용량(504)과, 도전막(51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대향 전극(509)은 기판(대향 기판)(513) 위에 형성되고, 화소 전극(507)과 대향 전극(509) 사이에 액정(508)이 끼워진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에서는, 포토 센서에 사용되는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트랜지스터도 트랜지스터(503)를 제작하는 프로세스에 있어서, 트랜지스터(503)와 함께 기판(501) 위에 형성할 수 있다.
화소 전극(507)과 대향 전극(509) 사이의 셀 갭은 스페이서(516)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로 선택적으로 형성된 기둥 형상의 스페이서(516)를 사용하여 셀 갭을 제어하지만, 구 형상의 스페이서를 화소 전극(507)과 대향 전극(509) 사이에 분산시킴으로써 셀 갭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액정(508)은 기판(501)과 기판(513) 사이에 있어서 밀봉재로 둘러싸인다. 액정(508)의 주입은 디스펜서 방식(적하 방식)을 사용하여도 좋고, 딥 방식(펌핑 방식)을 사용하여도 좋다.
화소 전극(507)에는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TO), 산화 실리콘을 함유한 인듐 주석 산화물(ITSO), 유기 인듐, 유기 주석, 산화 아연(ZnO)을 함유한 인듐 아연 산화물(IZO(Indium Zinc Oxide)), 산화 아연(ZnO), 갈륨(Ga)을 함유한 산화 아연, 산화 주석(SnO2), 산화 텅스텐을 함유한 인듐 산화물, 산화 텅스텐을 함유한 인듐 아연 산화물, 산화 티타늄을 함유한 인듐 산화물, 산화티타늄을 함유한 인듐 주석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과형 액정 소자(505)를 예로 들기 때문에, 화소 전극(507)과 마찬가지로 대향 전극(509)에도 상술한 투광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화소 전극(507)과 액정(508) 사이에는 배향막(511), 대향 전극(509)과 액정(508) 사이에는 배향막(512)이 각각 형성된다. 배향막(511), 배향막(512)은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유기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그 표면에는 러빙 등의 액정 분자를 일정 방향으로 배열시키기 위한 배향 처리가 행해진다. 러빙은 배향막에 압력을 가하면서 나일론 등의 피륙을 감은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배향막의 표면을 일정 방향으로 문지름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산화 실리콘 등의 무기 재료를 사용하여 배향 처리를 행하지 않고 증착법으로 배향 특성을 갖는 배향막(511), 배향막(512)을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액정 소자(505)와 겹치도록 특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통과시킬 수 있는 컬러 필터(514)가 기판(513) 위에 형성된다. 컬러 필터(514)는 안료를 분산시킨 아크릴계 수지 등의 유기 수지를 기판(513) 위에 도포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를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안료를 분산시킨 폴리이미드계 수지를 기판(513) 위에 도포한 후, 에칭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잉크젯 등의 액적 토출법을 사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컬러 필터(51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포토 다이오드(502)와 겹치도록 광을 차폐할 수 있는 차폐막(515)이 기판(513) 위에 형성된다. 차폐막(515)을 형성함으로써 기판(513)을 투과하여 터치 패널 내에 입사된 백 라이트로부터의 광이 직접 포토 다이오드(502)에 조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 외에, 화소간에 있어서의 액정(508)의 배향 흐트러짐에 기인하는 디스클리네이션(disclination)이 시인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차폐막(515)에는 카본 블랙, 이산화 티타늄보다 산소수가 작은 저차 산화 티타늄 등의 흑색 안료를 함유한 유기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롬을 사용한 막으로 차폐막(51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501)의 화소 전극(507)이 형성되는 면과 반대의 면에 편광판(517)을 형성하고, 기판(513)의 대향 전극(509)이 형성되는 면과 반대의 면에 편광판(518)을 형성한다.
백 라이트로부터의 광은, 화살표(520)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소자(505)를 통하여 기판(501) 측에 있는 피검출물(521)에 조사된다. 또한, 피검출물(521)에 있어서, 반사된 광은, 화살표(52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 다이오드(502)에 입사된다.
액정 소자는 TN(Twisted Nematic)형 외, VA(Vertical Alignment)형, OCB(Optically Compensated Birefringence)형, IPS(In-Plane Switching)형 등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소 전극(507)과 대향 전극(509) 사이에 액정(508)이 끼워진 구조를 갖는 액정 소자(505)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IPS형과 같이, 한 쌍의 전극이 양쪽 모두 기판(501) 측에 형성된 액정 소자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토 다이오드(502), 트랜지스터(503), 유지 용량(504)에 박막의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지만, 단결정 반도체 기판, SOI 기판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의 다른 구성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실시형태 2와는 상이한 터치 패널의 단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에서는, 포토 다이오드(602)가 트랜지스터(503)의 게이트 전극을 구성하는 도전막으로 구성한 차광막(603)을 갖는 점이 도 5의 포토 다이오드(502)와 다르다. 포토 다이오드(602)가 차폐막(603)을 가짐으로써, 백 라이트로부터의 광이 i형의 도전성을 갖는 영역(i층)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피검출물(521)에 있어서 반사된 광만을 효율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포토 다이오드(602)를 가로형 접합 타입의 pin 다이오드로 하는 경우에는, p형의 도전성을 갖는 영역(p층)과 n형의 도전성을 갖는 영역(n층)을 형성할 때, 차폐막(603)을 마스크로서 사용함으로써, 셀프얼라인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미세한 포토 다이오드를 제작할 때에 유효하고, 화소 사이즈의 축소나 개구율의 향상에 유효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함으로써,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의 예로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한 쌍의 기판간에 액정 소자, 포토 다이오드,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 액정 패널(1601)과, 제 1 확산판(1602)과, 프리즘 시트(1603)와, 제 2 확산판(1604)과, 도광판(1605)과, 반사판(1606)과, 복수의 광원(1607)을 갖는 백 라이트(1608)와, 회로 기판(1609)을 갖는다.
액정 패널(1601)과, 제 1 확산판(1602)과, 프리즘 시트(1603)와, 제 2 확산판(1604)과, 도광판(1605)과, 반사판(1606)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광원(1607)은 도광판(1605)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도광판(1605) 내부에 확산된 광원(1607)으로부터의 광은 제 1 확산판(1602), 프리즘 시트(1603) 및 제 2 확산판(1604)에 의하여, 대향 기판 측(액정 패널(1601)에 대하여 도광판(1605) 등이 설치된 측)으로부터 균일하게 액정 패널(1601)에 조사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확산판(1602)과 제 2 확산판(1604)을 사용하지만, 확산판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확산판은 도광판(1605)과 패널(1601) 사이에 형성되면 좋다. 따라서, 프리즘 시트(1603)보다도 액정 패널(1601)에 가까운 쪽에만 확산판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프리즘 시트(1603)보다도 도광판(1605)에 가까운 쪽에만 확산판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프리즘 시트(1603)는, 도 8에 도시한 단면이 톱니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판(1605)으로부터의 광을 액정 패널(1601) 측에 집광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면 좋다.
회로 기판(1609)에는, 액정 패널(1601)에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 또는 이들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액정 패널(1601)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등이 형성된다. 또한, 도 8에서는, 회로 기판(1609)과 액정 패널(1601)이 FPC(Flexible Printed Circuit)(1611)를 통하여 접속된다. 또한, 상기 회로는, COG(Chip on Glass)법을 사용하여 액정 패널(1601)에 접속되어도 좋고, 상기 회로의 일부가 FPC(1611)에 COF(Chip on Film)법을 사용하여 접속되어도 좋다.
도 8에서는, 광원(1607)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회로가 회로 기판(1609)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계의 회로와 광원(1607)이 FPC(1610)를 통하여 접속되는 예를 도시한다. 다만, 상기 제어계의 회로는 액정 패널(1601)에 형성되어도 좋고, 이 경우는 액정 패널(1601)과 광원(1607)이 FPC 등에 의하여 접속되도록 한다.
또한, 도 8은, 액정 패널(1601)의 단부에 광원(1607)을 배치하는 에지 라이트(edge-light)형의 광원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광원(1607)이 액정 패널(1601)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피검출물인 손가락(1612)을 TFT 기판 측(액정 패널(1601)을 끼워 백 라이트(1608)와는 반대 측)으로부터 액정 패널(1601)에 접근시키면, 백 라이트(1608)로부터의 광이 액정 패널(1601)을 통과하여, 그 일부가 손가락(1612)에 있어서 반사되고, 다시 액정 패널(1601)에 입사된다. 각 색에 대응하는 광원(1607)을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색마다 촬상 데이터의 취득을 행함으로써, 피검출물인 손가락(1612)의 컬러 촬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고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포토 센서의 동작 시간을 확보하면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포토 센서의 동작을 안정시키면서 고속 동작에 의한 촬상을 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한 전자 기기는, 터치 패널을 그 구성 요소에 추가함으로써 기능이 더 높은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기록 매체를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대표적으로는 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기록 매체를 재생하여, 그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서 휴대 전화, 휴대형 게임기, 휴대 정보 단말, 전자 서적,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의 카메라, 고글형 디스플레이(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내비게이션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카 오디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등), 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프린터 복합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자동 판매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한 전자 기기의 일례를 도 9a 내지 도 9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표시 장치이며, 케이스(5001), 표시부(5002), 지지대(5003)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표시부(5002)에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500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고분해능인 촬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고, 기능이 더 높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는 퍼스널 컴퓨터용, TV 방송 수신용, 광고 표시용 등의 모든 정보 표시용 표시 장치가 포함된다.
도 9b는 휴대 정보 단말이고, 케이스(5101), 표시부(5102), 스위치(5103), 조작키(5104), 적외선 포트(5105)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표시부(5102)에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510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고분해능인 촬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고, 기능이 더 높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휴대 정보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c는 현금 자동 입출금기이며, 케이스(5201), 표시부(5202), 동전 투입구(5203), 지폐 투입구(5204), 카드 투입구(5205), 통장 투입구(5206)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표시부(5202)에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520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고분해능인 촬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고, 기능이 더 높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지문, 얼굴, 손바닥 자국, 장문, 및 손의 정맥의 형상, 홍채(虹彩) 등의 생체 인증에 사용되는 생체 정보의 판독을 더 높은 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인증에 있어서, 본인임에도 불구하고 본인이 아니라고 오인식해 버리는 본인 거부율(False Reject Rate)과, 타인임에도 불구하고 본인이라고 오인식해 버리는 타인 수락률(False Acceptance Rate)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9d는 휴대형 게임기이며, 케이스(5301), 케이스(5302), 표시부(5303), 표시부(5304), 마이크로폰(5305), 스피커(5306), 조작 키(5307), 스타일러스(5308)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표시부(5303) 또는 표시부(5304)에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5303) 또는 표시부(5304)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고분해능인 촬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고, 기능이 더 높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휴대형 게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9d에 도시한 휴대형 게임기는 2개의 표시부(5303)와 표시부(5304)를 갖지만, 휴대형 게임기가 갖는 표시부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e는 전자 칠판이고, 케이스(5401), 묘화(描畵)부(5402) 등을 갖는다. 전자 칠판에서는 스타일러스(5403) 또는 유성 잉크를 사용한 마커 등을 사용하여 묘화부(5402)에 문자 또는 그림 등의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칠판은 묘화부(5402)에 기입된 정보를 포토 센서에 의하여 전자 데이터화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5403)를 사용하는 경우, 묘화부(5402)에 기입된 정보는 포토 센서에 의하여 전자 데이터화된 후, 표시 소자에 의하여 묘화부(5402)에 있어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묘화부(5402)에 사용할 수 있다. 묘화부(5402)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고분해능인 촬상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고, 기능이 더 높은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전자 칠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와 적절히 조합하고 실시할 수 있다.
701: 신호 702: 신호
703: 신호 704: 신호
705: 신호 706: 신호
707: 신호 708: 신호
709: 신호 710: 신호
711: 신호 712: 신호
713: 신호 714: 신호
715: 신호 716: 신호
717: 신호 718: 기간
719: 기간 720: 기간
721: 기간 722: 기간

Claims (16)

  1. 포토 다이오드,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를 갖는 포토 센서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화소 및 제 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전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과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을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설정하는 상기 단계의 기간과 변화시키는 상기 단계의 기간은 서로 중복되지 않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는,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변화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5. 포토 다이오드,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를 갖는 포토 센서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화소, 제 2 화소, 및 제 3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1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전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상기 전위를 설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과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을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변화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제 1 화소와 행 방향으로 인접되는 화소인 상기 제 3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 3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 2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전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상기 전위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의 기간과 변화시키는 상기 단계의 기간은 서로 중복되지 않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의 전위는,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상기 광 전류에 의하여 변화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9. 포토 다이오드,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를 갖는 포토 센서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화소, 제 2 화소, 및 제 3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과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을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상기 전위를 변화시키는 상기 단계 후에,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하는 상기 단계 후, 상기 제 1 화소와 행 방향으로 인접되는 화소인 상기 제 3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 3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상기 전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과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이 상기 제 3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 3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설정하는 상기 단계의 기간과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상기 전위를 변화시키는 상기 단계의 기간은 서로 중복되지 않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은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은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의 전위는,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상기 광 전류에 의하여 변화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13. 포토 다이오드,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를 갖는 포토 센서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화소 및 제 2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에 순 방향 바이어스가 가해지도록 상기 제 1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 리셋 신호선의 전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하는 상기 단계와 동시에,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광 전류에 의하여,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의 전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과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이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센서 출력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포토 센서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의 전위는, 상기 제 2 화소에서의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상기 광 전류에 의하여 변화되는,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0100079593A 2009-08-24 2010-08-18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KR101735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3216 2009-08-24
JP2009193216 2009-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38A true KR20110020738A (ko) 2011-03-03
KR101735274B1 KR101735274B1 (ko) 2017-05-15

Family

ID=4293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593A KR101735274B1 (ko) 2009-08-24 2010-08-18 터치 패널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24875B2 (ko)
EP (1) EP2290509B1 (ko)
JP (2) JP5513307B2 (ko)
KR (1) KR101735274B1 (ko)
CN (1) CN101996005B (ko)
AT (1) ATE550712T1 (ko)
TW (1) TWI5110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6848A1 (en) 2010-01-15 2011-07-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924318B1 (ko) 2010-02-12 2018-12-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1111549A1 (en) 2010-03-08 2011-09-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56823B2 (ja) * 2012-01-13 2014-07-23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装置および電子カメラ
KR101931676B1 (ko) 2012-03-23 2018-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4536606B (zh) * 2014-12-19 2018-05-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检测触摸屏的方法及装置
CN104572328A (zh) * 2014-12-29 2015-04-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装置
US10977476B2 (en) 2015-06-01 2021-04-13 Beijing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ermatoglyphics data acquisition device, acquisi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4898322B (zh) * 2015-07-09 2018-06-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6679897B2 (ja) * 2015-11-20 2020-04-1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生体認証方法およ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US10679034B2 (en) * 2018-06-08 2020-06-09 Synaptics Incorporated Short latency fingerprint sensing
TWI722827B (zh) * 2019-11-27 2021-03-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陣列基板
KR102480273B1 (ko) * 2020-12-03 2022-12-23 주식회사 지2터치 P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전압이 인가되는 터치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6278A (ja) 1991-02-08 1992-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ニアイメージセンサ
US6972753B1 (en) * 1998-10-02 2005-12-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ouch panel and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with display device
US6597348B1 (en) * 1998-12-28 2003-07-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TW459275B (en) * 1999-07-06 2001-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112184B2 (ja) 2000-01-31 2008-07-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エリアセンサ及び表示装置
US6747638B2 (en) * 2000-01-31 2004-06-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dhesion type area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adhesion type area sensor
JP2001298663A (ja) * 2000-04-12 2001-10-2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197217B2 (ja) * 2000-05-08 2008-12-1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装置
KR100771258B1 (ko) * 2000-05-09 2007-10-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본인 인증 시스템과 본인 인증 방법 및 휴대 전화 장치
JP4364452B2 (ja) 2000-05-09 2009-11-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携帯型情報通信装置
JP4703815B2 (ja) * 2000-05-26 2011-06-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Mos型センサの駆動方法、及び撮像方法
US7030551B2 (en) * 2000-08-10 2006-04-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rea sensor and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an area sensor
US6747290B2 (en) * 2000-12-12 2004-06-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formation device
US6724012B2 (en) * 2000-12-14 2004-04-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matrix with pixels having sensor and light emitting portions
JP4485087B2 (ja) * 2001-03-01 2010-06-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動作方法
JP4703883B2 (ja) * 2001-04-09 2011-06-1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4831892B2 (ja) * 2001-07-30 2011-12-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3992504B2 (ja) * 2002-02-04 2007-10-17 富士通株式会社 Cmosイメージセンサ
JP4301493B2 (ja) * 2003-04-09 2009-07-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7183706A (ja) 2006-01-04 2007-07-19 Epson Imaging Devices Corp タッチセンサシステム
GB2439118A (en) * 2006-06-12 2007-12-19 Sharp Kk Image sensor and display
US8065146B2 (en) * 2006-07-12 2011-11-22 Microsoft Corporation Detecting an answering machine using speech recognition
JP4899856B2 (ja) * 2006-12-27 2012-03-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5067753B2 (ja) * 2007-08-01 2012-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089476B2 (en) * 2007-08-01 2012-01-03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evice
EP2180528A4 (en) * 2007-08-21 2012-02-01 Sharp Kk DISPLAY DEVICE
US7940252B2 (en) * 2007-10-18 2011-05-10 Himax Technologies Limited Optical sensor with photo TFT
US20090141004A1 (en) * 2007-12-03 2009-06-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75136B2 (ja) * 2008-05-22 2013-04-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10102393A1 (en) * 2008-07-02 2011-05-05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EP2151811A3 (en) * 2008-08-08 2010-07-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00038046A (ko) * 2008-10-02 2010-04-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구동방법
CN102224453B (zh) * 2008-11-21 2014-03-12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电子设备
WO2010074011A1 (en) * 2008-12-24 2010-07-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2265244B (zh) * 2008-12-24 2015-08-2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触摸面板及其驱动方法
JP5100670B2 (ja) * 2009-01-21 2012-12-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タッチパネル、電子機器
JP5202395B2 (ja) * 2009-03-09 2013-06-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タッチパネル、電子機器
US8982099B2 (en) * 2009-06-25 2015-03-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TWI496042B (zh) * 2009-07-02 2015-08-11 Semiconductor Energy Lab 觸控面板及其驅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43488A1 (en) 2011-02-24
CN101996005A (zh) 2011-03-30
JP5513307B2 (ja) 2014-06-04
JP2014146362A (ja) 2014-08-14
TWI511002B (zh) 2015-12-01
US8624875B2 (en) 2014-01-07
KR101735274B1 (ko) 2017-05-15
JP5828928B2 (ja) 2015-12-09
CN101996005B (zh) 2016-05-11
EP2290509B1 (en) 2012-03-21
TW201128491A (en) 2011-08-16
ATE550712T1 (de) 2012-04-15
EP2290509A1 (en) 2011-03-02
JP2011070657A (ja)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1262B2 (ja) 表示装置
JP6117836B2 (ja) 表示装置
JP5828928B2 (ja) タッチパネル
US9772702B2 (en)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JP5679530B2 (ja) 電子機器
US868697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TWI514874B (zh) 半導體裝置、顯示裝置及半導體裝置的驅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