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082A -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082A
KR20110018082A KR1020090075695A KR20090075695A KR20110018082A KR 20110018082 A KR20110018082 A KR 20110018082A KR 1020090075695 A KR1020090075695 A KR 1020090075695A KR 20090075695 A KR20090075695 A KR 20090075695A KR 20110018082 A KR20110018082 A KR 20110018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cylindrical secondary
metal part
uni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450B1 (ko
Inventor
손현승
김우열
김로버트영철
송재하
오정훈
김재승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유플로우
(주)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유플로우, (주)바론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5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8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2Inspecting the exterior surface of cylindrical bodies or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로서, 원통형 이차 전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원통형 이차 전지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지센서와,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수직된 각도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의 일부를 수직으로 반사시킨 후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로 입사시켜 반사시키고, 반사된 광의 일부를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반반사 거울과,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가 제공된다.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Description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METAL INSPECTING APPARATUS OF CYLINDER TYPE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하면 메탈 외관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등에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제품 수요가 급성장하였으며, 향후 전기 자동차가 상용화되는 시점에서는 자동차 전지 시장도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리튬 2차 전지는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등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원통형 전지는 원통형의 외관을 가지며 노트북, 휴대용 가전 제품 등에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다. 각형 전지는 넓적한 육면체 형태이며 휴대폰 및 자동차용 전지로 사용된다.
현재 원통형 전지 완제품의 출하 공정은 외관 검사 공정 및 포장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관 검사는 원통형 이차 전지의 외형상에 발생된 흠집을 검사하 는 공정으로서, 이러한 흠집에 의해 이차 전지가 폭발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으며 외형에 생긴 흠집으로 인해 고객사로부터 제품의 신뢰를 의심받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수행된다. 원통형 이차 전지의 외관 검사 공정은 숙련된 인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외관 검사 공정을 작업자의 눈에 의존하여 주관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 및 검사 당시 상태에 따라 검사에 대한 기준이 가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불량이 유출되는 등 품질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하면에 각각 + 전극과 - 전극으로 사용되는 메탈부에 발생되는 흠집을 자동 검사하여 양품, 불량 등의 양불 판정을 객관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로서, 원통형 이차 전지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원통형 이차 전지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지센서와,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수직된 각도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와, 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의 일부를 수직으로 반사시킨 후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로 입사시켜 반사시키고, 반사된 광의 일부를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반반사 거울과,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반 리튬 2차 원형 전지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하면, 일정한 검사 기준과 절차에 의해 검사를 수행하기 때문에 균일하고 안정적인 품질의 원통형 이차 전지를 출하할 수 있으며, 고객에게 불량이 유출되는 품질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원형 전지 외관 검사를 단시간에 수행함으로써 제품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사 대상인 원통형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원통형 이차 전지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기둥부 전체면과 상하면 일부에는 비닐 재질의 원형 전지를 보호하는 포장재가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이중 측면 기둥부를 감싸는 포장재를 측면(10)이라 하고, 동일한 포장재에 감싸지는 상면 및 하면의 원형 외곽부를 튜브(30)라 칭하기로 한다. 상면 원형 영역에는 가운데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 극 역할을 하는 메탈부(40)가 노출되고, 메탈부(40)와 상면 튜브(30) 사이 영역에는 원형 전지 상면의 + 극 주변을 감싸고 있는 링 모양의 부품인 와셔(20)가 삽입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원통형 이차 전지(100)에서 상면 메탈(4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 극으로 작용하므로 + 극과 - 극이 쇼트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와셔(20)를 삽입하여 사용한다. 하면 영역은 상면 영역보다 단순한 구조를 갖는데 튜브(30)를 제외한 노출된 메탈(10) 부분이 - 극을 형성한다.
메탈부는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의 중앙에 위치되어 + 단자와 - 단자로 사용된다. 메탈부에 흠집 등의 외관 불량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조명을 정확하게 메탈부로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 이차 전지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하면 중심 메탈부에 광을 조사하기 위해 반반사 거울을 이용하는 방식과 20°이하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광을 비스듬히 입사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이다. 도 2에 제시된 메탈부 검사 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102, 103, 104)를 이송하는 이송부(55)와, 원통형 이차 전지(104)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지센서(450),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과 수직된 각도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420), 조명부(420)에서 조사된 광의 일부를 수직으로 반사시킨 후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로 입사시켜 반사시키고, 반사된 광의 일부를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반반사 거울(900),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410)와, 촬영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460) 및 불량으로 판정된 원통형 이차 전지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반사 거울(900)은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조명이 효과적으로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에 조사되도록 하였다. 실질적으로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에서 반사된 광의 중심축이 촬영부(410)의 입사각과 정확하게 일치될 경우보다는 약간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촬영부(410)로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에 발생된 흠집을 판별하기에 보다 용이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보다 정확한 메탈부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에 설치된 촬영부(410) 외에 약간의 비스듬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별도의 촬영부를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탈 감지센서(450)는 적외선 센서 등의 광학 센서, 전자식 센서 또는 기계식 센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420)로는 직진성이 비교적 좋은 백색 LED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중 조명이 가능한 조명이면 족하다. 조명부(420)로부터 출사된 광을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 메탈부에 조사하기 위해 반반사 거울(900)을 사용하는데, 반반사 거울(900)로 인해 광손실이 발생된다. 즉, 100만큼의 에너지가 조명부(420)로부터 반반사 거울(900)로 조사되면, 이중 50 에너지만큼만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 메탈부에 조사된다. 상면 메탈부에서 전반사가 일어난다고 가정할 경우, 50만큼의 에너지를 가진 광이 상면 메탈부에서 반반사 거울(900)로 반사되며, 이중 반 정도의 광 조사량이 반반사 거울(900)을 투과함으로써 결국 25만큼의 에너지만 촬영부(410)로 입사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촬영부(410)로 일반 디지털 카메라(즉, 이차원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였고, 메탈부 불량 판독부(460)는 일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메탈부에 흠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촬영부(410) 전면에는 필터(411)를 구비하도록 하여 정밀한 메탈부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2의 구성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원통형 이차 전지를 추출하는 추출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송부(55)를 통해 이송 중인 상태에서 불량인 원통형 이차 전지를 트레이 외부로 추출하는 것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2의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에서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이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로 차례로 이송된다. 원통형 이차 전지(104)가 촬영 위치에 접근하면 메탈 감지센서(450)가 이를 감지하고, 촬영부(41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한다. 촬영부(410)는 촬영신호에 따라 상면 메탈부를 촬영하여 메탈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때 조명부(420)도 촬영신호에 연동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104)가 해당 위치에 도달할 경우에만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런 방식으로 광을 조사하면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쉽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조명부(420)는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조명부(420)로부터 방사된 광은 반반사 거울(900)에 의해 원통형 이차 전지(104) 상면 메탈부에 조사된 후 반사되어 촬영부(410)에 입사된다. 촬영부(410)는 촬영된 메탈부 이미지를 상면 메탈부 불량 판독부(460)로 입력한다. 메탈부 불 량 판독부(460)는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 메탈부 이미지 분석을 통해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 메탈부에 흠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양품으로 판별된 원통형 이차 전지는 이송 중인 트레이(104') 상에 그대로 놓여두게 하고, 불량으로 판별된 원통형 이차 전지는 이송 중인 트레이(104')로부터 추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이다. 도 3에 제시된 메탈부 검사 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102, 103, 104)를 이송하는 이송부(55)와, 원통형 이차 전지(104)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지센서(450),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420),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을 기준으로 조명부(42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일정 각도만큼 떨어진 위치에 원통형 이차 전지(104) 상면을 바라보는 각도로 설치되는 촬영부(410)와, 촬영부(4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460) 및 불량으로 판정된 원통형 이차 전지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탈 감지센서(450)는 적외선 센서 등의 광학 센서, 전자식 센서 또는 기계식 센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조명부(420)로는 직진성이 비교적 좋은 백색 LED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중 조명이 가능한 조명이면 족하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을 기준으로 조명부(420)와 촬영부(410)가 동일한 θ각도만큼 벌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정확하게 동일한 θ각도만큼 벌어지는 것보다 촬영부(410)가 θ각도보다 약 1도 내지 2도 정도 작거나 크게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2의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에서 반사된 광의 중심축이 촬영부(410)가 바라보는 방향과 완전 일치하는 것보다 약간 비스듬한 방향에서 바라보도록 하는 것이 메탈부에 발생되는 흠집을 발견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촬영부(410)로는 일반 디지털 카메라(즉, 이차원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였고, 메탈부 불량 판독부(460)는 일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메탈부에 흠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도 3의 구성에서 불량으로 판정된 원통형 이차 전지를 추출하는 추출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송부(55)를 통해 이송 중인 상태에서 불량인 원통형 이차 전지를 추출하는 것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3의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에서 좌측에서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이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로 차례로 이송된다. 원통형 이차 전지(104)가 촬영 위치에 접근하면 메탈 감지센서(450)가 이를 감지하고, 촬영부(410)에 촬영 신호를 전송한다. 촬영부(410)는 촬영신호에 따라 상면 메탈부를 촬영하여 해당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때 조명부(420)도 촬영신호에 연동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104)가 해당 위치에 도달할 경우에만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런 방식으로 광을 조사하면 타이밍을 일치시키기 쉽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조명 부(420)를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조명부(220)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에 광을 조사하고,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에서 반사된 광은 촬영부(410)로 입사되도록 구성하였다. 촬영부(410)는 촬영된 메탈부 이미지를 상면 메탈부 불량 판독부(460)로 입력한다. 메탈부 불량 판독부(460)는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 메탈부 이차원 영상 분석을 통해 원통형 이차 전지(104)의 상면 메탈부에 흠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양품으로 판별된 원통형 이차 전지는 이송 중인 트레이(104') 상에 그대로 놓여두게 하고, 불량으로 판별된 원통형 이차 전지는 이송 중인 트레이(104')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에서는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400) 및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400')를 모두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편의상 원통형 이차 전지(102)는 상면 메탈부를 검사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고 원통형 이차 전지(106)는 하면 메탈부를 검사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실질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도면의 모든 원통형 이차 전지는 상면만이 보이도록 도시되어야 하나, 하나의 도면상에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 메탈부와 하면 메탈부를 검사하는 공정을 한꺼번에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면상에서 102 원통형 이차 전지는 상면이 도시되도록 하였고, 106 원통형 이차 전지는 하면이 도시되도록 표현하였다.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400) 및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400') 각각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검사할 때, 이웃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하면의 메탈부를 연달아 검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검사 장치에서 원통형 이차 전지(102)는 상면 메탈부를 검사하도록 하고, 이웃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103)는 하면 메탈부를 검사하도록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가 이웃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를 검사할 경우 촬영부(410)에 역광이 발생되어 촬영되는 메탈부 영상 이미지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02 원통형 이차 전지는 상면 메탈부를 검사하도록 하고, 103 원통형 이차 전지는 하면 메탈부를 검사하도록 장치를 설치할 경우, 103 원통형 이차 전지의 하면 메탈부를 검사하기 위한 조명이 102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 메탈부를 검사하는 촬영부(410)에 입사되어 정확한 102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 메탈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메탈부를 검사하는 장치(400)와 하면 메탈부를 검사하는 장치(400')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이격시켜 발생할 수도 있는 역광 문제를 미리 해결하였다. 실험적으로 충분한 이격 거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원통형 이차 전지 지름의 한 배 이상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 검사 장치의 조명부(420)는 원형 전지의 상면 및 하면를 발광시킨다. 메탈 검사 조명부(420)는 2 차원으로 균일하게 배열된 LED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LED는 정면을 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원형 전지의 상면는 메탈, 튜브, 와셔를 포함하고 있고 메탈 검사 조명부(420)는 메탈, 튜브, 와셔에 균일한 광을 출사한다. 동일한 양의 광을 출사시켜도 재질에 따라서 반사율이 다른 관계로 메탈이 가장 밝게 발광되고, 다음으로 백색의 와셔가 밝게 발광되고, 튜브는 가장 어둡게 발광된다. 그 결과 상면 메탈 영상은 메탈만 집중적으로 발광되어 보이고 나머지 튜브 및 와셔는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인다. 이미지 처리에서 이러한 밝기 차이를 이용하여 메탈부만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 전지 측면 검사 장치에서 촬영된 상면 메탈 영상과 하면 메탈 영상의 일 례이다. 메탈 불량 판독부(460)는 영상 처리를 이용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전체 영상에서 밝기에 따른 경계 영역을 산출하고, 불필요한 검사 영역을 제거하여 검사 대상 영역에 해당되는 영상만을 대상으로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을 자명한 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검사 대상인 원통형 이차 전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의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이차 전지 측면 검사 장치에서 촬영된 상면 메탈 영상과 하면 메탈 영상의 일 례.
***** 도면상의 주요 기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
10: 측면 20: 와셔
30: 튜브 40: 메탈
55: 이송부 410: 촬영부
411: 필터부 420: 조명부
450: 메탈 감지센서
460: 메탈부 불량 판독부 900: 반반사 거울
101, 102, 103, 104, 105, 106, 107: 원통형 이차 전지
102'. 103', 104', 105', 106': 원통형 이차 전지용 트레이

Claims (10)

  1.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로서,
    원통형 이차 전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지센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수직된 각도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의 일부를 수직으로 반사시킨 후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로 입사시켜 반사시키고, 반사된 광의 일부를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반반사 거울;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부 불량 판독부의 판독 결과 불량으로 판정되는 원통형 이차 전지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이차원 디지털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4.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로서,
    원통형 이차 전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지센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일정 각도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상면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부 불량 판독부의 판독 결과 불량으로 판정되는 원통형 이차 전지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이차원 디지털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7.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 메탈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 및 원통형 이차 전지의 하면 메탈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로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는
    원통형 이차 전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 지센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수직된 각도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의 일부를 수직으로 반사시킨 후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로 입사시켜 반사시키고, 반사된 광의 일부를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반반사 거울;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는
    원통형 이차 전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지센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수직된 각도에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된 광의 일부를 수직으로 반사시킨 후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로 입사시켜 반사시키고, 반사된 광의 일부를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반반사 거울;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 및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는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 및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는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폭의 한 배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9.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 메탈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 및 원통형 이차 전지의 하면 메탈부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로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는
    원통형 이차 전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 지센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일정 각도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상면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는
    원통형 이차 전지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가 촬영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는 메탈 감지센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상면과 일정 각도 비스듬한 방향으로 상기 상면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조명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메탈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후 이를 분석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메탈부 불량 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 및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는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상면 메탈부 검사 장치 및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 하면 메탈부 검사 장치는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 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원통형 이차 전지의 폭의 한 배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이차 전지 메탈부 검사 장치.
KR1020090075695A 2009-08-17 2009-08-17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 KR10103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695A KR101030450B1 (ko) 2009-08-17 2009-08-17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695A KR101030450B1 (ko) 2009-08-17 2009-08-17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082A true KR20110018082A (ko) 2011-02-23
KR101030450B1 KR101030450B1 (ko) 2011-04-25

Family

ID=4377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695A KR101030450B1 (ko) 2009-08-17 2009-08-17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1686A (zh) * 2017-06-13 2017-09-29 东莞合安机电有限公司 9号电池电极极性选择机构
CN110132988A (zh) * 2019-06-12 2019-08-16 广东省智能机器人研究院 一种动力电池电解液泄漏检测设备
KR20220094584A (ko) * 2020-12-29 2022-07-06 안보혁 이차전지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20220097692A (ko) *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배터리 모듈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30148103A (ko) *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추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447B1 (ko) * 2016-12-28 2019-02-20 주식회사 에스디옵틱스 원통형 제품의 고속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958A (ja) 1998-09-14 2000-03-31 Fuji Photo Film Co Ltd 電池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0188089A (ja) 1998-12-24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のガスケット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JP2000258141A (ja) 1999-03-04 2000-09-22 Hitachi Ltd 有底円筒部材の内周面形状検査装置およびその方法、有底円筒部材の加工方法並びに電池の製造方法
KR100340012B1 (ko) * 1999-08-06 2002-06-10 (주)성진네텍 가동거울을 이용한 제품 검사방법 및 컴퓨터 비젼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1686A (zh) * 2017-06-13 2017-09-29 东莞合安机电有限公司 9号电池电极极性选择机构
CN110132988A (zh) * 2019-06-12 2019-08-16 广东省智能机器人研究院 一种动力电池电解液泄漏检测设备
KR20220094584A (ko) * 2020-12-29 2022-07-06 안보혁 이차전지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20220097692A (ko) * 2020-12-30 2022-07-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배터리 모듈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30148103A (ko) * 2022-04-15 2023-10-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추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450B1 (ko) 201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49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외관 검사 장치
KR101030450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상하면 메탈 검사 장치
KR101324015B1 (ko) 유리기판 표면 불량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US880396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cles in flat glass and detecting method using same
JP6296499B2 (ja) 透明基板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CN104897693A (zh) 一种玻璃表面缺陷增强装置及其检测方法
CN103257061B (zh) 显微镜检验用试样的制备方法及检查试样覆盖质量的装置
JP2017090360A (ja) 表面検査装置および表面検査方法
JP2009293999A (ja) 木材欠陥検出装置
CN104990942A (zh) 透明玻璃容器制造缺陷视觉检测系统及方法
KR20180114826A (ko) 시트 검사 장치
JP2012026858A (ja) 円筒容器の内周面検査装置
JP2018025478A (ja) 外観検査方法および外観検査装置
KR20110018081A (ko) 원통형 이차 전지 측면 검사 장치
CN107110790A (zh) 光学检测系统
KR101030451B1 (ko) 원통형 이차 전지 튜브 및 와셔 검사 장치
WO2012153718A1 (ja) ガラスシートの端面検査方法、及びガラスシートの端面検査装置
JP2019203701A (ja) パック詰めされた卵の検査装置
KR20100051951A (ko) 패널 검사장치
TW201736832A (zh) 檢查方法、檢查系統及製造方法
CN111272769A (zh) 一种电子产品的底壳检测装置
JP2010014670A (ja) 外観検査装置、外観検査方法、画像処理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外観検査装置
JP5959430B2 (ja) ボトルキャップの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JP2017040559A (ja) 表面欠陥検査装置および表面欠陥検査方法
CN108267453B (zh) 可切换式3d模组的不良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