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963A -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963A
KR20110017963A KR1020090075530A KR20090075530A KR20110017963A KR 20110017963 A KR20110017963 A KR 20110017963A KR 1020090075530 A KR1020090075530 A KR 1020090075530A KR 20090075530 A KR20090075530 A KR 20090075530A KR 20110017963 A KR20110017963 A KR 2011001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ensor
object detection
crosswalk
alarm unit
signal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신남
Original Assignee
(주)티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티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7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7963A/ko
Publication of KR2011001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횡단보도에 물체가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외부에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알람부와; 상기 물체감지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가 존재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횡단보도 안전장치, 몸체부, 물체감지센서, 알람부

Description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safe apparatus of cross-walk and safe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돕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상에는 보행자가 건널 수 있도록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에는 신호등이 있어서, 보행자가 건널 때와 차량이 지날 때를 구별한다. 주간에 보행자의 통행이 많을 경우에는 차량이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통과한다. 그러나 야간이나 새벽 등과 같이 차량의 운행이 뜸한 시간에는 횡단보도의 신호등을 지키지 않고 차량이나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넌다.
이렇게, 야간이나 새벽과 같은 시간대에 횡단보도를 차량이 구분하지 못하거나, 구분하더라도 신호등을 지키지 않아서 인명사고가 빈번히 일어난다.
따라서, 신호등과 관계없이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들어섰을 경우 차량 운전자에게 알람을 해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횡단보도에 물체가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외부에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알람부와;
상기 물체감지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가 존재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상기 횡단보도의 영역의 내부에 물체가 진입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물체를 감지하도록 감도가 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차량의 이동방향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1 물체감지센서와; 보행자의 이동방향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2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가 상기 물체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가 상기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가 상기 물체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가 상기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횡단보도에 횡단보도 안전장치가 복수로 설치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횡단보도에 물체가 진입하였는지 여부 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외부에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알람부와;
상기 물체감지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가 존재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차량의 이동방향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1 물체감지센서와;
보행자의 이동방향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2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횡단보도상에서 물체가 진입할 경우 이를 외부에 경고함으로써, 차량운전자가 횡단보도에서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과 보행자를 구분함으로써, 횡단보도에서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복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가 연동되어, 횡단보도를 지나는 모든 차량에 알람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가 설치될 횡단보도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주요부분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물체감지센서가 물체를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횡단보도 안전장치(10)는,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몸체부(11)와,상기 몸체부(11)에 결합되며 횡단보도에 물체가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12)와, 외부에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알람부(13)와, 상기 물체감지센서(12)의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가 존재하면 상기 알람부(13)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4)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횡단보도에 대부분 삽입이 가능한 것이 좋다. 플라스틱이나 금속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부(11)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이나, 태양광셀과 같은 전력원 등이 내장될 수 있으며, 알람부(13)와 물체감지센서(12)가 내장될 수 있다.
물체감지센서(12)는 몸체부(11)에 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물체감지센서(12)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레이저센서일 수도 있다. 레이저센서일 경우 레이저가 조사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지점에 반사판이 위치할 수도 있다.
물체감지센서(12)는 제1 물체감지센서(121)와 제2 물체감지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제1 물체감지센서(121)는 차량이 이동하는 방향(A)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2 물체감지센서(122)는 보행자가 이동하는 방향(B)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4와 같이, 제1 물체감지센서(121)는 a1 영역에 위치하는 물체에 대해서 제2 물체감지센서(122)보다 강한 신호를 제어부(14)에 전달한다. 또한, a2영역에 물체가 위치할 경우 제2 물체감지센서(122)가 제1 물체감지센서(121)보다 더 강한 신호를 제어부(14)에 전달한다.
도 4와 같이, A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할 경우 a1영역에 차량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물체감지센서(121)가 제2 물체감지센서(122)보다 더 강한 신호를 제어부(14)에 전달한다. 반면, B방향으로 보행자가 이동할 경우, a2영역에 보행자가 먼저 진입하게 되고, 이때는 제2 물체감지센서(122)가 제1 물체감지센서(121)보다 강한 신호를 제어부(14)에 전달한다.
제어부(14)는 제1 물체감지센서(121)와 제2 물체감지센서(122)에서 동시에 보내는 신호를 비교한다. 제1 물체감지센서(121)가 강한 신호를 전송할 경우 차량이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제어부(14)는 알람부(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반면, 제2 물체감지센서(122)가 강한 신호를 전송할 경우 사람이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제어부(14)는 알람부(13)를 작동시킨다.
알람부(13)는 LED일 수 있다. 알람부(13)가 작동할 경우 붉은색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알람부(13)는 청색에서 적색으로 변하는 방법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점멸등의 형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알람부(13)는 시각 이외에 청각적 신호로 작동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는 제1 물체감지센서(121)와 제2 물체감지센서(122)가 물체 를 감지하는 순서를 분석하여, 횡단보도 상에 차량이 진입하는지, 보행자가 진입하는 지를 구별할 수도 있다.
차량이 진입할 경우, 도 4에서 a1 영역에서 제1 물체감지센서(121)가 먼저 신호를 제어부(14)에 전달하고, 이후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a2영역에 위치하게 되어 제2 물체감지센서(121)가 신호를 제어부(14)에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알람부(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반면, 보행자가 진입할 경우, 도 4에서 a2 영역에서 제2 물체감지센서(122)가 먼저 신호를 제어부(14)에 전달하고, 이후 보행자가 이동함에 따라, a1 영역에 위치하게 되어 제1 물체감지센서(121)가 신호를 제어부(14)에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는 알람부(13)를 작동시킨다.
전력부(미도시)는 제어부(14), 알람부(13), 물체감지센서(12)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태양광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이 적용된 횡단보도의 평면도로서, 횡단보도 안전시스템은 복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10)가 연속적으로 횡단보도 상에 결합된 형태이다.
복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10) 도 1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작동방법이다. 따라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10)는 서로 연동되도록 횡단보도 상에 설치되어 있다. 어느 하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10)가 보행자가 횡단보도 상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면, 다른 횡단보도 안전장치들도 알람부가 작동하게 된다. 이 경우, 횡단보도를 지나는 모든 차량 운전자에게 주의를 줄 수 있다.
복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10)들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도 있으며, 무선으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가 설치될 횡단보도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주요부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장치의 물체감지센서가 물체를 감지하는 영역을 표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이 적용된 횡단보도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횡단보도 안전장치(10) 몸체부(11)
물체감지센서(12) 알람부(13)
제어부(14)

Claims (9)

  1.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횡단보도에 물체가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외부에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알람부와;
    상기 물체감지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가 존재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를 포함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상기 횡단보도의 영역의 내부에 물체가 진입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물체를 감지하도록 감도가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차량의 이동방향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1 물체감지센 서와;
    보행자의 이동방향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2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가 상기 물체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가 상기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가 상기 물체를 감지한 이후에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 가 상기 물체를 감지한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장치.
  7. 횡단보도에 횡단보도 안전장치가 복수로 설치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상기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횡단보도에 물체가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센서와;
    외부에 경고신호를 전달하는 알람부와;
    상기 물체감지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여 물체가 존재하면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차량의 이동방향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1 물체감지센서와;
    보행자의 이동방향과 마주보도록 설치된 제2 물체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큰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상기 제2 물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횡단보도 안전장치는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KR1020090075530A 2009-08-17 2009-08-17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KR20110017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530A KR20110017963A (ko) 2009-08-17 2009-08-17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530A KR20110017963A (ko) 2009-08-17 2009-08-17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963A true KR20110017963A (ko) 2011-02-23

Family

ID=4377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530A KR20110017963A (ko) 2009-08-17 2009-08-17 횡단보도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79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101921092B1 (ko) 안전운전 정보제공 가로등 및 그 가로등을 이용한 안전운전 정보제공 시스템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1256041B1 (ko) 스쿨존에서의 횡단보도 교통안전시스템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1027633B1 (ko)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보조시스템
KR20120095538A (ko) 교통신호등과 연계되는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방법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20130112173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CN207602044U (zh) 交通弯道预警系统
JP2006265989A (ja) 交通安全システム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1212641B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200413236Y1 (ko) 교통정온화용 교통사고 방지 경고시스템
KR20190013363A (ko) 보행 안전을 위한 시스템
KR20160128169A (ko) 교차로 위험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16039A (ja) 警報装置及び警報方法
KR20130083285A (ko) 엘이디를 이용한 횡단보도 안전 대기 시스템
JP2002175590A (ja) 横断歩道の横断者補助システム
KR20060088433A (ko) 횡단보도용 안전 시스템
KR101884675B1 (ko) 솔라 로드를 이용한 도로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02038428A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KR101871119B1 (ko)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KR200249452Y1 (ko) 보행자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