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022A -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022A
KR20110013022A KR1020090070977A KR20090070977A KR20110013022A KR 20110013022 A KR20110013022 A KR 20110013022A KR 1020090070977 A KR1020090070977 A KR 1020090070977A KR 20090070977 A KR20090070977 A KR 20090070977A KR 20110013022 A KR20110013022 A KR 20110013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dule
impact point
main frame
fram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984B1 (ko
Inventor
이문용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09007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9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78Testing material properties on manufactured objects
    • G01N33/0083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모듈을 고정한 상태로 임팩트 폴을 충돌시켜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특성을 평가하는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시험 시, 메인 프레임 상에 계측 프레임을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계측 프레임 상에는 양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계측도그를 구성하여 국가별 충돌시험의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도어모듈의 정확한 임팩트 포인트 및 그 수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측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를 제공한다.
도어모듈, 임팩트 포인트, 시험장치, 임팩트 폴, 계측장치

Description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IMPACT POINT MEASUREMENT DEVICE FOR DOOR MODULE OF VEHICLES}
본 발명은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모듈을 고정한 상태로 임팩트 폴을 충돌시켜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특성을 평가하는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시험 시, 상기 도어모듈의 임팩트 포인트를 정확하게 계측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최초로 신차 개발 시에는 개발된 차량의 안전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성 시험을 하게되는데, 이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합당한지 여부에 따라 완성도를 체크하게 된다.
차량에 있어서의 안전성은 특히, 승차자의 생명에 관련하는 바, 차량의 완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차량의 안전도에 가장 엄격한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성 시험에서,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비하기 위한 사이드 임팩트 시험은 차체에 장착된 도어모듈에 대하여 충격을 가하여 도어모듈의 변형량 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한 사이드 임팩트 시험에서, 도어모듈에 대하여 임팩트 폴을 충돌시키기 위해서는 국가별 충돌시험의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도어모듈의 정확한 임팩트 포인트에 대하여 충돌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전에는 상기한 사이드 임팩트 시험 시, 도어모듈에 대한 임팩트 포인트를 계측하기 위하여 실험자가 줄자 등의 계측수단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계측수단을 이용하여 도어모듈 상의 임팩트 포인트를 계측하게 되면, 도어의 외부면이 곡면 형상이라는 특징으로 그 측면과 정면에서 정확한 임팩트 포인트를 찾기가 쉽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어모듈을 차체에 장착하지 않고 별도의 고정지그에 장착하여 사이드 임팩트 시험을 진행하는 경우, 도어모듈이 고정지그 상에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며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도어모듈을 고정한 상태로 임팩트 폴을 충돌시켜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특성을 평가하는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시험 시, 메인 프레임 상에 계측 프레임을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계측 프레임 상에는 양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계측도그를 구성하여 국가별 충돌시험의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도어모듈의 정확한 임팩트 포인트 및 그 수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측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는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지그를 통하여 고정되는 도어모듈에 대하여 그 임팩트 포인트를 계측하기 위한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모듈의 전방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기준설치유닛을 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도어모듈에 대응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홈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일 홈에 슬라이드 회전유닛을 통하여 중앙부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모듈에 대응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 는 계측 프레임; 상기 계측 프레임의 가이드 홈을 따라 양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모듈의 폭방향 양측단 및 상하방향 하단과 도어 글라스 개구부 하단 사이를 계측하는 양측 계측도그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설치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의 중앙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의 각 레일부 선단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평행을 유지하는 폭 방향 가이더;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이 연결된 상태로 메인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진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볼트를 통하여 체결 및 분해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진 레일과 메인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 중앙에 구성되는 안내블록이 상기 전후진 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구성되는 안내단을 통하여 상기 전후진 레일의 양측면을 따라 안내됨과 동시에, 고정볼트를 통하여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일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일체로 구성되며, 외주면을 따라서는 양측에 동일형상의 가이드 슬롯을 90도 각도로 형성하는 회전 하우징; 상기 회전 하우징의 내부에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양측에 구성되는 핀을 상기 각 가이드 슬롯을 통하 여 끼운 상태로 상기 회전 하우징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단은 상기 계측 프레임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는 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그 양측면 내측으로 볼 스프링과 볼을 삽입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일 홈 내면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핀이 안내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핀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회전 하우징의 단부를 연결하여 핀을 끼우는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측 프레임 상에는 그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홈과 평행하게 측정자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계측도그는 일측에 상기 계측 프레임의 가이드 홈 상에 고정하도록 멈춤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멈춤볼트의 일측에는 계측도그의 계측단면과 일치하여 계측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에 의하면, 도어모듈을 고정한 상태로 임팩트 폴을 충돌시켜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특성을 평가하는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시험 시, 메인 프레임 상에 계측 프레임을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계측 프레임 상에는 양측에 슬라 이드 이동 가능한 계측도그를 구성하여 국가별 충돌시험의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도어모듈의 정확한 임팩트 포인트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측하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도어의 외부면이 곡면 형상이라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계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모듈을 차체에 장착하지 않고 별도의 고정지그에 장착하여 사이드 임팩트 시험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도어모듈이 고정지그 상에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며 장착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이드 임팩트 시험의 신뢰성을 보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가 적용된 도어모듈용 사이드 임팩트 시험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10)의 구성은, 도 1과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 상에 고정지그(3)를 통하여 고정되는 도어모듈(5)에 대하여 그 임팩트 포인트(IP)를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모듈(5)의 전방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 상에 기준설치유닛(20)을 통하여 메인 프레임(13)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이 메인 프레임(13)에는 상기 도어모듈(5)에 대응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홈(11)이 형성된다.
상기 기준설치유닛(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 상의 중앙 일측에 고정블록(21)이 체결되고, 상기 고정블록(21)에 폭 방향으로 폭 방향 가이더(23)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 상의 각 레일부(7) 선단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블록(21)의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21)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전후진 레일(25)이 설치되며, 이 전후진 레일(25)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하단이 연결된 상태로 메인 프레임(13)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록(2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의 일측에 체결볼트(B1)를 통하여 체결 및 분해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진 레일(25)과 메인 프레임(13)의 연결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하단 중앙에 구성되는 안내블록(27)이 상기 전후진 레일(23)의 안내홈(29)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하단부 양측에 구성되는 안내단(28)을 통하여 상기 전후진 레일(23)의 양측면을 따라 안내됨과 동시에, 고정볼트(B2)를 통하여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레일 홈(11)에는 슬라이드 회전유닛(20)을 통하여 계측 프레임(17)이 그 중앙부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3)에 대하여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회전유닛(30)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레일 홈(11)을 따라 슬라이더(31)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31)의 전면에는 회전 하우징(33)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 하우징(33)은 그 외주면을 따라서 양측에 동일형상의 가이드 슬롯(S)을 90도 각도로 형성하며, 상기 회전 하우징(33)의 내부에는 스프링(35)을 개재한 상태로, 핀 하우징(39)이 그 양측에 구성되는 핀(37)을 상기 각 가이드 슬롯(S)을 통하여 끼운 상태로 상기 회전 하우징(33)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핀 하우징(39)은 그 전단이 상기 계측 프레임(17)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더(31)는 그 양측면 내측으로 볼 스프링(41)과 볼(43)을 삽입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레일 홈(11) 내면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31)를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 하우징(33)의 가이드 슬롯(S)은 상기 핀(37)을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회전부(S1)와, 상기 핀(37)을 스프링(35)의 탄성에 의해 지지하여 회전방향으로 고정하는 양측의 고정부(S2)와, 상기 회전부(S1)와 상기 회전 하우징(33)의 단부를 연결하여 핀(37)을 끼우는 끼움부(S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계측 프레임(17)은 상기 도어모듈(5)에 대응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5)이 형성된다.
상기 계측 프레임(17)의 가이드 홈(15)에는 양측에 각각 계측도그(19)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모듈(5)의 폭방향 양측단 및 상하방향 하단과 도어 글라스 개구부 하단 사이를 계측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계측 프레임(17) 상에는 그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홈(15)과 평행하 게 측정자(50)가 부착되며, 상기 각 계측도그(19)는 일측에 상기 계측 프레임(17)의 가이드 홈(15) 상에 고정하도록 멈춤볼트(B3)가 체결되고, 상기 멈춤볼트(B3)의 일측에는 계측도그(19)의 계측단면(F)과 일치하여 계측침(45)이 구성되어 상기 측정자(50)의 눈금을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10)를 이용하여 도어모듈(5)의 임팩트 포인트(IP)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별 충돌시험의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이, 먼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모듈(5)의 최장 폭 방향 양측단에 양측 계측도그(19)를 접촉시켜 그 치수를 측정하여 폭방향 중앙을 계측한다.
이어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회전유닛(30)을 통하여 계측 프레임(17)을 90도 회전시켜서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상기 도어모듈(5)의 상하방향 하단과 도어 글라스 개구부 하단에 각각 계측도그(19)를 접촉시켜 그 치수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해당 국가별 충돌시험의 관련법규에서 규정하는 위치를 계측하여 상기 도어모듈(5)에 대한 임팩트 폴(미도시)의 임팩트 포인트(IP)를 설정하여 도어모듈의 사이드 임팩트 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가 적용된 도어모듈용 사이드 임팩트 시험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회전유닛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Claims (9)

  1.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지그를 통하여 고정되는 도어모듈에 대하여 그 임팩트 포인트를 계측하기 위한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모듈의 전방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기준설치유닛을 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도어모듈에 대응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 홈이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일 홈에 슬라이드 회전유닛을 통하여 중앙부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도어모듈에 대응하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계측 프레임;
    상기 계측 프레임의 가이드 홈을 따라 양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모듈의 폭방향 양측단 및 상하방향 하단과 도어 글라스 개구부 하단 사이를 계측하는 양측 계측도그를 포함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기준설치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의 중앙 일측에 체결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의 각 레일부 선단에 지지되어 상기 고정블록의 평행을 유지하는 폭 방향 가이더;
    상기 고정블록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이 연결된 상태로 메인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진 레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체결볼트를 통하여 체결 및 분해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전후진 레일과 메인 프레임 연결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 중앙에 구성되는 안내블록이 상기 전후진 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부 양측에 구성되는 안내단을 통하여 상기 전후진 레일의 양측면을 따라 안내됨과 동시에, 고정볼트를 통하여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드 회전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일 홈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일체로 구성되며, 외주면을 따라서는 양측에 동일형 상의 가이드 슬롯을 90도 각도로 형성하는 회전 하우징;
    상기 회전 하우징의 내부에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양측에 구성되는 핀을 상기 각 가이드 슬롯을 통하여 끼운 상태로 상기 회전 하우징에 대하여 90도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단은 상기 계측 프레임의 중앙에 끼워져 고정되는 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그 양측면 내측으로 볼 스프링과 볼을 삽입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레일 홈 내면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핀이 안내되어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핀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회전 하우징의 단부를 연결하여 핀을 끼우는 끼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계측 프레임 상에는
    그 일측에 상기 가이드 홈과 평행하게 측정자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각 계측도그는
    일측에 상기 계측 프레임의 가이드 홈 상에 고정하도록 멈춤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멈춤볼트의 일측에는 계측도그의 계측단면과 일치하여 계측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KR1020090070977A 2009-07-31 2009-07-31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KR101057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77A KR101057984B1 (ko) 2009-07-31 2009-07-31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977A KR101057984B1 (ko) 2009-07-31 2009-07-31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022A true KR20110013022A (ko) 2011-02-09
KR101057984B1 KR101057984B1 (ko) 2011-08-19

Family

ID=4377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977A KR101057984B1 (ko) 2009-07-31 2009-07-31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98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7225A (zh) * 2013-09-23 2014-01-01 铜陵市长江彩色印刷有限责任公司 摄录设备抗振性能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KR101365532B1 (ko) * 2012-04-25 2014-02-21 (주)포스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CN106706253A (zh) * 2016-12-26 2017-05-24 宁波宏协承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外饰件产品跌落试验机
CN107314975A (zh) * 2017-07-07 2017-11-03 泰山学院 高精密界面粘结强度测试装置及方法
CN110702385A (zh) * 2018-07-10 2020-01-1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门开闭耐久试验装置
KR102189024B1 (ko) * 2019-10-24 2020-12-09 주식회사 서연이화 프레임 이너커버 시험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045B1 (ko) 2000-12-28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트림 충돌 시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32B1 (ko) * 2012-04-25 2014-02-21 (주)포스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CN103487225A (zh) * 2013-09-23 2014-01-01 铜陵市长江彩色印刷有限责任公司 摄录设备抗振性能检测装置及其工作方法
CN106706253A (zh) * 2016-12-26 2017-05-24 宁波宏协承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外饰件产品跌落试验机
CN107314975A (zh) * 2017-07-07 2017-11-03 泰山学院 高精密界面粘结强度测试装置及方法
CN107314975B (zh) * 2017-07-07 2019-08-23 泰山学院 高精密界面粘结强度测试装置及方法
CN110702385A (zh) * 2018-07-10 2020-01-1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门开闭耐久试验装置
KR102189024B1 (ko) * 2019-10-24 2020-12-09 주식회사 서연이화 프레임 이너커버 시험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984B1 (ko) 201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984B1 (ko)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CN106052532B (zh) 升降器导轨总成检具及其检测方法
US10928279B2 (en) Rotation drum alignment ascertaining device
CN201569384U (zh) 一种千分表检查仪的辅助夹具
CN114252658B (zh) 测试装置
CN214750805U (zh) 一种测试装置
CN206531928U (zh) 一种pcb板测试手臂
KR101720238B1 (ko)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KR101279358B1 (ko) 차량의 충격시험용 변위측정장치
CN105043206B (zh) 一种车门下沉量快速检测机构
CN202791231U (zh) 一种碰撞试验安全带测力装置安装架
CN207689058U (zh) 一种车门玻璃密封条滑动力测试机
KR101241605B1 (ko) 브레이크 페달 충돌 성능 테스트용 지그
CN212988244U (zh) 一种改进的后下控制臂焊接检具
CN114518098A (zh) 一种工程监理用道路坡度检测设备
KR100861048B1 (ko) 자동차의 계기판넬 머리충격부위 및 충격각도 측정 시스템
CN113654785A (zh) 一种衬套安装检测装置
CN218270475U (zh) 蜗杆跨棒距检测装置中的定位组件
CN202947574U (zh) 差速器壳跳动检具
KR100337301B1 (ko) 차량 충돌 시험용 더미
KR101132441B1 (ko) 파워윈도우 스위치 조작감 측정장치
CN202649257U (zh) 双行程机构
CN218270476U (zh) 改进型蜗杆跨棒距检测装置
CN202255239U (zh) 一种制动片检具
CN215930775U (zh) 一种过辊安装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