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238B1 -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238B1
KR101720238B1 KR1020150168582A KR20150168582A KR101720238B1 KR 101720238 B1 KR101720238 B1 KR 101720238B1 KR 1020150168582 A KR1020150168582 A KR 1020150168582A KR 20150168582 A KR20150168582 A KR 20150168582A KR 101720238 B1 KR101720238 B1 KR 10172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distance
plates
rail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승
김하윤
예진중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10)와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한 쌍의 회전판(50),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 두 쌍의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 및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8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형상과 크기 등을 갖도록 제작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두 마운트 브랫킷 사이의 거리는 물론 양측 마운트 브라켓과 암 단부(즉, 아이부) 사이 거리를 하나의 측정장치 즉,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불량 여부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제작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검사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저가의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한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측정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Universal bracket assembly distance measuring devices of various stabilizer bar}
본 발명은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 등을 갖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를 제작한 다음 하나의 측정장치 즉,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과 양측 암 단부(즉, 아이부) 사이 거리(즉,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불량 여부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발명한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스테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는 차체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중 좌/우측 현가장치의 상대적인 거동자세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차체의 롤링을 완화시켜 차체의 자세를 안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는 중공 또는 중실 소재를 적정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를 성형하여 스테빌라이저 바로써 요구되는 형상을 갖도록 가공하고, 이후 열처리와 쇼트피닝 및 도장 등의 공정을 거치며 스테빌라이저 바로써 요구되는 강성을 갖도록 가공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 완료된 스테빌라이저 바는 주 비틀림이 발생되는 중앙 직선부분(몸체)과 양측 현가 암과의 결합을 위해 암부의 끝단에 아이부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 양쪽 링크 연결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의 (a)~(c)는 은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 바에 마운트 브라켓이 조립된 상태를 보이는 평면, 정면,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이 완료된 스테빌라이저 바(1)는 차량과의 조립에 앞서 중앙 직선부분인 몸체의 양측과 아이부(3)가 구비된 암부의 경계선 부분에 마운트 브라켓(2)이 미리 끼워진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조립을 위해 출고된다.
그런데, 만약 스테빌라이저 바(1)의 제작시 제작오차 등으로 인해 중앙 직선부분인 몸체의 양측에서 일체로 절곡되는 암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여 절곡되어 두 마운트 브라켓(2)과 양측의 암 단부에 형성된 아이부(3) 사이의 간격이 상호 일치하지 않고 어느 일측이 정해진 오차 범위를 넘어서거나 또는 마운트 브라켓(2)이 스테빌라이저 바(1)의 축선방향(횡방향)에 대해 어느 한쪽으로 치우진 상태로 조립된 상태로 출고될 경우, 스테빌라이저 바(1)를 중심으로 회전(틸팅)되어 틀어진 상태로 조립되므로 차대에 마운트 브라켓(2)을 조립한 상태에서 현가 암과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저 바(1)의 양쪽 아이부(3)에 대한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원활하고 정확한 조립이 곤란한 상황이 초래된다.
더불어 스테빌라이저 바(1)는 주 비틀림이 발생되는 중앙 직선부분인 몸체 뿐만 아니라 현가 암에 연결되는 양단 부분이 기하학적 형상을 이루고 있는 바, 미리 가공된 암부의 아이부(3) 및 마운트 브라켓(2)의 위치에서 조그마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차량과의 조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테빌라이저 바를 제조하여 출고하기에 앞서, 스테빌라이저 바 자체의 형상을 포함하여 스테빌라이저 바에 조립된 마운트 브라켓의 장착 위치가 올바른 위치인지 및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과 양측 암의 아이부 단부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는지 등에 대한 검사를 정확히 실시한 후 합격된 스테빌라이저 바에 대해서만 출고를 할 수 있도록 해야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를 제작한 다음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과 양측 암 단부(즉, 아이부) 사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범용의 측정장치가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고가의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테빌라이저 바들에 대한 각 포인트를 일일이 찍어 가며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과 양측 암 단부(즉, 아이부)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므로 검사시간이 많이 걸리고 장비의 비용이 많이 들고, 특히 실제로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스테빌라이저 바를 점수 검사하기는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스테빌라이저 바의 출고 전 스테빌라이저 바에 조립된 마운트 브라켓의 장착 위치가 올바른 위치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공정이 규격화되지 못하였고, 오로지 위치판별용 지그를 파지한 작업자가 직접 스테빌라이저 바에 위치판별용 지그를 매번 접촉시켜 가며 마운트 브라켓의 장착 위치가 올바른 지를 확인하는 수준에 그쳤으며,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작업자 개개인의 측정 오차로부터 스테빌라이저 바의 조립 불량률이 증가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43257호(2015년 08월 0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4573호(2014년 05월 30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형상과 크기 등을 갖도록 제작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과 양측 암 단부(즉, 아이부) 사이 거리를 하나의 측정장치 즉,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불량 여부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제작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검사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저면 전,후부에 각 파이프가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작업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측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전방부와 중간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길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레일과, 측단면이 "M"자 형상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하부 레일 상부에 LM 가이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이동형 플레이트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레일로 구성되어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과; 전,후방 길이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폭과 같은 직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상기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과 직각방향을 갖게 상기 복수의 상부 레일 상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의 두 마운트 브라켓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 상면에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판과; 상기 수직 지지판들의 상방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을 통해 상면에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아이부 단부 위치를 거리 측정수단의 단부에 구비된 아이부 안착구의 위치와 상호 일치시키기 위해 스테빌라이저 바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들의 상부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과; 측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 상면 후방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상기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과 직각을 이루도록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두 쌍의 하부 레일과, 측단면이 "M"자 형상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하부 레일 상부에 LM 가이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거리 측정수단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두 쌍의 상부 레일로 구성되어 거리 측정수단들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두 쌍의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과; 상기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들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테빌라이저 바에 구비된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과 양측 암 단부의 아이부 사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 전면부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를 더 설치하되, 상기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는 직사각형의 철판 자로 성형하여 일단부를 한 쌍의 수직 지지판 중 어느 일측 한 쌍의 수직 지지판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은 직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상면에서 하방부를 향해 반달형의 회전판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 안착홈의 중심선을 따라서는 회전판이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안내돌기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은 상기 수직 지지판의 회전판 안착홈에 대응하여 반달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회전판의 원주면 중심선을 따라서는 상기 수직 지지판의 회전 안내돌기가 끼워지는 안내돌기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상부가 개구된 "凸" 형상의 측단면을 갖고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에 구비된 한 쌍의 너트가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 폭에 대응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은, 측단면이 "凸" 형상을 갖고 상기 회전판들의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에 각각 좌,우로 이동 가능하기 설치되는 두 쌍의 너트와; 상기 회전판들의 상면에 올려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 양단부를 회전판의 상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해 주기 위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두 쌍의 장 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은, 상기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 중 각 쌍의 상부 레일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고정판과; 양측면을 관통하는 안내봉 삽입공이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고정판들의 상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에서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각 기둥과; 상기 사각 기둥에 천공된 상기 안내봉 삽입공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후 외측단부가 상기 사각 기둥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형태에서 슬라이드 봉이 처지지 않고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봉 안내봉과; 상기 슬라이드 봉 안내봉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봉과; 상기 슬라이드 봉의 단부와 아이부 안착구 사이에 설치되어 아이부 안착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볼 조인트와; 상기 볼 조인트의 단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테빌라이저 바의 아이부 단부에 형성된 축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아이부 안착구와; 상기 사각 기둥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고정판과; 측단면이 "┗┛"을 갖고 상기 상부 고정판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더 본체와, 자 통과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더 본체의 양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으로 구성된 한 쌍의 자 가이더와; 상기 슬라이드 봉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드 봉이 상기 슬라이드 봉 안내봉 내에서의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함은 물론 암부 거리 측정용 자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켜 주는 두 쌍의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와; 상기 자 가이더의 양 측판에 각각 형성된 자 통과공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과 아이부 단부 사이의 거리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암부 거리 측정용 자;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에 의하면, 서로 다른 형상과 크기 등을 갖도록 제작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두 마운트 브랫킷 사이의 거리는 물론 양측 마운트 브라켓과 암 단부(즉, 아이부) 사이 거리를 하나의 측정장치 즉,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불량 여부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제작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검사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저가의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한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측정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의 (a)~(c)는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 바에 마운트 브라켓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 중 일측 이동형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지지판과 회전판,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 및 거리 측정수단이 설치된 형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일측 수직 지지판과 회전판 및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장치 중 일측 거리 측정수단의 결합상태 확대 사시도.
도 6의 (a)(b)는 본 발명 장치에 스테빌라이저 바를 결합시켜 브라켓 조립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에 스테빌라이저 바를 결합시켜 브라켓 조립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일부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 중 일측 이동형 플레이트 상면에 수직 지지판과 회전판,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 및 거리 측정수단이 설치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일측 수직 지지판과 회전판 및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장치 중 일측 거리 측정수단의 결합상태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의 (a)(b)는 본 발명 장치에 스테빌라이저 바를 결합시켜 브라켓 조립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 장치에 스테빌라이저 바를 결합시켜 브라켓 조립 거리를 측정하는 상태를 일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저면 전,후부에 각 파이프(11)가 설치된 형태를 갖고 작업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측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 전방부와 중간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길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레일(21)과, 측단면이 "M"자 형상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하부 레일(21) 상부에 LM 가이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이동형 플레이트(3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레일(22)로 구성되어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과;
전,후방 길이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폭과 같은 직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상기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과 직각방향을 갖게 상기 복수의 상부 레일(22) 상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두 마운트 브라켓(101)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와;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 상면에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과;
상기 수직 지지판(40)들의 상방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을 통해 상면에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아이부(103) 단부 위치를 거리 측정수단(80)의 단부에 구비된 아이부 안착구(86)의 위치와 상호 일치시키기 위해 스테빌라이저 바(10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판(50)과;
상기 회전판(50)들의 상부에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과;
측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 상면 후방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상기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과 직각을 이루도록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두 쌍의 하부 레일(71)과, 측단면이 "M"자 형상을 갖고 상기 한 쌍의 하부 레일(21) 상부에 LM 가이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거리 측정수단(8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두 쌍의 상부 레일(72)로 구성되어 거리 측정수단(80)들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두 쌍의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과;
상기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들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테빌라이저 바(100)에 구비된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101)과 양측 암(102) 단부의 아이부(103) 사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전면부에는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95)를 더 설치하되, 상기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95)는 직사각형의 철판 자로 성형하여 일단부를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중 어느 일측 한 쌍의 수직 지지판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은,
직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상면에서 하방부를 향해 반달형의 회전판 안착홈(4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 안착홈(41)의 중심선을 따라서는 회전판(50)이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안내돌기(42)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한 쌍의 회전판(50)은,
상기 수직 지지판(40)의 회전판 안착홈(41)에 대응하여 반달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회전판(50)의 원주면 중심선을 따라서는 상기 수직 지지판(40)의 회전 안내돌기(42)가 끼워지는 안내돌기 삽입홈(5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50)의 상면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상부가 개구된 "凸" 형상의 측단면을 갖고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에 구비된 한 쌍의 너트(61)가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 폭에 대응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5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은,
측단면이 "凸" 형상을 갖고 상기 회전판(50)들의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52)에 각각 좌,우로 이동 가능하기 설치되는 두 쌍의 너트(61)와;
상기 회전판(50)들의 상면에 올려지는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 양단부를 회전판(50)의 상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해 주기 위해 상기 너트(61)에 나사 결합되는 두 쌍의 장 볼트(6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80)은,
상기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 중 각 쌍의 상부 레일(72)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고정판(81)과;
양측면을 관통하는 안내봉 삽입공(82-1)이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고정판(81)들의 상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에서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각 기둥(82)과;
상기 사각 기둥(82)에 천공된 상기 안내봉 삽입공(82-1)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후 외측단부가 상기 사각 기둥(82)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형태에서 슬라이드 봉(84)이 처지지 않고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봉 안내봉(83)과;
상기 슬라이드 봉 안내봉(83)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봉(84)과;
상기 슬라이드 봉(84)의 단부와 아이부 안착구(86) 사이에 설치되어 아이부 안착구(86)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볼 조인트(85)와;
상기 볼 조인트(85)의 단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아이부(103) 단부에 형성된 축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아이부 안착구(86)와;
상기 사각 기둥(82)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고정판(87)과;
측단면이 "┗┛"을 갖고 상기 상부 고정판(87)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더 본체(88-1)와, 자 통과공(88-2a)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더 본체(88-1)의 양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88-2)으로 구성된 한 쌍의 자 가이더(88)와;
상기 슬라이드 봉(84)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드 봉(84)이 슬라이드 봉 안내봉(83) 내에서 슬라이딩될 때 그 이동 거리를 제한함은 물론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켜 주는 두 쌍의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89)와;
상기 자 가이더(88)의 양 측판(88-2)에 각각 형성된 자 통과공(88-2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89)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과 아이부(103) 단부 사이의 거리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10)와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한 쌍의 회전판(50),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 두 쌍의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 및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80)으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형상과 크기 등을 갖도록 제작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과 양측 암(102) 단부(즉, 아이부) 사이 거리를 하나의 측정장치 즉,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비교적 두꺼운 철판을 평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단한 중량체로, 저면 전,후부에는 각 파이프(11)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한 구성요소를 모두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 테이블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은 측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하부 레일(21)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 전방부와 중간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길게 고정 설치하고, 측단면이 "M"자 형상을 갖는 복수의 상부 레일(22)을 상기 한 쌍의 하부 레일(21) 상부에 LM 가이드 형태로 결합하되, 상기 복수의 상부 레일(22)의 상면은 이동형 플레이트(30)의 저면에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은, 후술하는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를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100)에 설치되어 있는 두 마운트 브라켓(101)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는 비교적 두꺼운 철판을 전,후방 길이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폭과 같은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절단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기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과 직각방향을 갖게 상기 복수의 상부 레일(22) 상면에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는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두 마운트 브라켓(101)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철판을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절단하여 형성하되, 상면에서 하방부를 향해 회전판 안착홈(41)을 반달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 안착홈(41)의 중심선을 따라서는 회전판(50)이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안내돌기(42)를 돌출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은,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 상면에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도면 부호 기입을 생략한 다수의 볼트 등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회전판(50)이 화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판(50)은, 상기 수직 지지판(40)들과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철판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지지판(40)의 회전판 안착홈(41)에 대응하는 형태 즉, 반달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회전판(50)의 원주면 중심선을 따라서는 상기 수직 지지판(40)의 회전 안내돌기(42)가 끼워지는 안내돌기 삽입홈(51)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50)의 상면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상부가 개구된 "凸" 형상의 측단면을 갖고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에 구비된 한 쌍의 너트(61)가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 폭에 대응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52)을 형성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한 쌍의 회전판(50)은, 상기 수직 지지판(40)들의 상방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판 안착홈(41) 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후술하는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을 통해 상기 회전판(5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아이부(103) 단부 위치를 거리 측정수단(80)의 단부에 구비된 아이부 안착구(86)의 위치와 상호 일치시키기 위해 스테빌라이저 바(10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은 도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단면이 "凸" 형상을 갖는 두 쌍의 너트(61)를 각각 상기 회전판(50)들의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52)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기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50)들의 상면에 올려지는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 양단부를 두 쌍의 장 볼트(62)를 이용하여 회전판(50)의 상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해 주기 위해 상기 너트(61)에 나사 결합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은, 상기 회전판(50)들의 상부에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두 쌍의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은 측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두 쌍의 하부 레일(71)을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 상면 후방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상기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과 직각을 이루도록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하고, 측단면이 "M"자 형상을 갖는 두 쌍의 상부 레일(72)을 상기 한 쌍의 하부 레일(21) 상부에 LM 가이드 형태로 결합하되, 상기 두 쌍의 상부 레일(72)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거리 측정수단(80)의 저면이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두 쌍의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은, 후술하는 거리 측정수단(80)들을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높이에 대응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80)은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한 쌍의 하부 고정판(81)과 한 쌍의 사각 기둥(82), 한 쌍의 슬라이드 봉 안내봉(83), 한 쌍의 슬라이드 봉(84), 한 쌍의 볼 조인트(85), 한 쌍의 아이부 안착구(86), 상부 고정판(87), 한 쌍의 자 가이더(88), 두 쌍의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89) 및 한 쌍의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로 구성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하부 고정판(81)은 비교적 두꺼운 철판을 직사각 판체 형상으로 제작하여 상기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 중 각 쌍의 상부 레일(72)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한 쌍의 사각 기둥(82)은 중량 감소를 위해 속이 빈 형태로 성형하되, 양측에는 안내봉 삽입공(82-1)을 천공한 형태를 갖도록 제작하여, 상기 하부 고정판(81)들의 상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세운 형태에서 각각 복수의 볼트(도면 부호 기입 생략)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봉 안내봉(83)은 상기 사각 기둥(82)에 천공된 상기 안내봉 삽입공(82-1)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후,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외측단부를 복수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사각 기둥(82)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 그 내부로 슬라이딩 가응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봉(84)이 처지지 않고 좌우로 원활히 이동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봉(84)은 상기 슬라이드 봉 안내봉(83)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긴 형태로 성형하여, 상기 슬라이드 봉 안내봉(83)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볼 조인트(85)은 상기 슬라이드 봉(84)의 단부와 아이부 안착구(86) 사이에 설치되어 아이부 안착구(86)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아이부 안착구(86)는 상기 볼 조인트(85)의 단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검사 또는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아이부(103) 단부에 형성된 축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상부 고정판(87)은 정단면이 "ㄱ"자 형상을 갖고 수개의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사각 기둥(82)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를 갖고 후술하는 자 가이더(88)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자 가이더(88)는 측단면이 "┗┛"을 갖는 가이더 본체(88-1)가 상기 상부 고정판(87)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됨은 물론 상기 가이더 본체(88-1)의 ㅇ양측 개구부에는 자 통과공(88-2a)을 구비한 측판(88-2)이 각각 분해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후술하는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가 좌우로 원활히 이동되며 그 눈금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두 쌍의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89)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봉(84)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각각 저단부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봉(84)이 슬라이드 봉 안내봉(83) 내에서 슬라이딩될 때 그 이동 거리를 제한함은 물론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한 쌍의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는 자 눈금이 구비된 원형 또는 사각 봉의 형상을 갖고 상기 자 가이더(88)의 양 측판(88-2)에 각각 형성된 자 통과공(88-2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도면 부호 생략한 브라켓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89)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는 상기 슬라이드 봉(84)과 함께 사각 기둥(82)과 직각을 이루며 좌,우로 이동되며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과 아이부(103) 단부 사이의 거리를 직접적으로 표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검사자 또는 측정자는 하나의 스테빌라이저 바(100) 양측에 각각 설치 및 형성되어 있는 두 마운트 브라켓(101)과 아이부(103) 단부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양측의 거리가 오차 범위에 있는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여 해당 스테빌라이저 바의 양호 또는 불량상태를 결정지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전면부에서 가로방향으로는 긴 직사각 철판에 눈금을 표시한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95)를 더 설치하되, 상기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95)의 일측 단부만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중 어느 일측 한 쌍의 수직 지지판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를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두 마운트 브라켓(101)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각 회전판(50) 상면에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두 마운트 브라켓(101)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전면부에서 설치되어 있는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95)의 눈금을 확인하여 해당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두 마운트 브라켓(101)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형상으로 제작한 특정 스테빌라이저 바(100)에 대한 두 마운트 브라켓(101) 사이의 거리 및 두 마운트 브라켓(101)과 양측 암(102) 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아이부(103) 사이의 거리(즉, 브라켓 조립 거리)를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를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두 마운트 브라켓(101)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20)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상면에 결합되어 있는 각 회전판(50) 상면에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두 마운트 브라켓(101)를 도 6의 (a)와 같이 각각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판(50)의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52) 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너트(61)는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 폭에 대응하여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52) 내에서 양측으로 유동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어떤 크기의 마운트 브라켓(101)이라 할지라도 상기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마운트 브라켓(101)를 회전판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30)의 후방부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거리 측정수단(80)들을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높이에 대응하여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70)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부로 적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은 물론 상기 회전판(50)들의 상면에 각각 마운트 브라켓(101)이 고정된 상태를 갖는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양단부에 형성된 아이부(103)의 축공과 상기 거리 측정수단(80)들의 구성요소 중 슬라이드 봉(84)과 일치하게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수직 지지판(4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판(5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0)를 회전시킨다.
이후, 상기 거리 측정수단(80)들의 구성요소 중 볼 조인트(85)과 아이부 안착구(86)가 일체로 구비된 슬라이드 봉(84)과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 등을 양측으로 밀어 상기 슬라이드 봉(84)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아이부 안착구(86)가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아이부(103) 축공에 일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볼 조인트(85)를 통해 슬라이드 봉(84)의 단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아이부 안착구(86)들을 도 6의 (b) 및 도 7과 같이 각각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아이부(103) 축공에 끼워 결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아이부 안착구(86)들을 볼 조인트(85)들을 통해 슬라이드 봉(84)들의 단부에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가지므로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형태를 갖는 아이부(103)들의 축공)즉, 경사진 형태의 축공)에 상기 아이부 안착구(86)들을 정확히 그리고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 측정수단(80)의 구성요소 중 아이부 안착구(86)들을 검사 또는 측정 대상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양단부에 형성된 아이부(103)의 축공에 결합을 완료시킨 후에는, 거리 측정수단(80)의 구성요소 중 자 가이더(88)에 표시되어 있는 기준선과 일치되는 암부 거리 측정용 자(90)의 눈금을 확인하여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양측 암부 거리(즉, 브라켓 조립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양측의 차를 산출하여 해당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암부 형상에 대한 양호 또는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40) 전면부에서 설치되어 있는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95)의 눈금을 확인하여 해당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두 마운트 브라켓(101)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정해진 거리와의 차를 산출하여 해당 스테빌라이저 바(100)의 양호 또는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과 크기 등을 갖도록 제작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두 마운트 브랫킷 사이의 거리는 물론 양측 마운트 브라켓과 암 단부(즉, 아이부) 사이 거리를 하나의 측정장치 즉,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브라켓 조립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불량 여부를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제작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검사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저가의 범용 측정장치를 이용한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측정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각 파이프
20 :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
21 : 하부 레일 22 : 상부 레일
30 : 이동형 플레이트
40 : 수직 지지판
41 : 회전판 안착홈 42 : 회전 안내돌기
50 : 회전판
51 : 안내돌기 삽입홈 52 :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
60 :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
61 : 너트 62 : 볼트
70 :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
71 : 하부 레일 72 : 상부 레일
80 : 거리 측정수단
81 : 하부 고정판 82 : 사각 기둥
82-1 : 안내봉 삽입공 83 : 슬라이드 봉 안내봉
84 : 슬라이드 봉 85 : 볼 조인트
86 : 아이부 안착구 87 : 상부 고정판
88 : 자 가이더 88-1 : 가이더 본체
88-2 : 측판 88-2a : 자 통과공
89 :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
90 : 암부 거리 측정용 자
95 :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
100 : 스테빌라이저 바 101 : 마운트 브라켓
102 : 암 103 : 아이부

Claims (6)

  1. 작업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한 쌍의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이 LM 가이드 형태로 결합된 형태를 갖고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가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과;
    상기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과 직각방향을 갖게 상기 복수의 상부 레일 상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검사 및 측정 대상 스테빌라이저 바의 두 마운트 브라켓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상기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 상면에서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지지판과;
    상기 수직 지지판들의 상방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을 통해 상면에 고정되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아이부 단부 위치를 거리 측정수단의 단부에 구비된 아이부 안착구의 위치와 상호 일치시키기 위해 스테빌라이저 바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들의 상부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을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과;
    두 쌍의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이 LM 가이드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이동형 플레이트 상면 후방부에서 후단부를 향해 상기 한 쌍의 좌,우방향 이동 안내용 레일과 직각을 이루도록 정해진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어 거리 측정수단들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두 쌍의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과;
    상기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들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스테빌라이저 바에 구비된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과 양측 암 단부의 아이부 사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 전면부에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마운트 브라켓 거리 측정용 자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 지지판은,
    직사각 판체 형상을 갖고 상면에서 하방부를 향해 반달형의 회전판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 안착홈의 중심선을 따라서는 회전판이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안내돌기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은,
    상기 수직 지지판의 회전판 안착홈에 대응하여 반달 형상으로 성형하되, 상기 회전판의 원주면 중심선을 따라서는 상기 수직 지지판의 회전 안내돌기가 끼워지는 안내돌기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면에서 가로방향으로는 상부가 개구된 "凸" 형상의 측단면을 갖고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에 구비된 한 쌍의 너트가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 폭에 대응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 고정수단은,
    측단면이 "凸" 형상을 갖고 상기 회전판들의 너트 이동 안내겸 걸림홈에 각각 좌,우로 이동 가능하기 설치되는 두 쌍의 너트와;
    상기 회전판들의 상면에 올려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 양단부를 회전판의 상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해 주기 위해 상기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두 쌍의 장 볼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거리 측정수단은,
    상기 측정수단 전,후방향 이동용 레일 중 각 쌍의 상부 레일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고정판과;
    양측면을 관통하는 안내봉 삽입공이 천공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부 고정판들의 상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에서 각각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사각 기둥과;
    상기 사각 기둥에 천공된 상기 안내봉 삽입공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후 외측단부가 상기 사각 기둥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형태에서 슬라이드 봉이 처지지 않고 좌우로 이동되게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봉 안내봉과;
    상기 슬라이드 봉 안내봉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봉과;
    상기 슬라이드 봉의 단부와 아이부 안착구 사이에 설치되어 아이부 안착구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볼 조인트와;
    상기 볼 조인트의 단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스테빌라이저 바의 아이부 단부에 형성된 축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아이부 안착구와;
    상기 사각 기둥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고정판과; 측단면이 "┗┛"을 갖고 상기 상부 고정판 상면에 고정되는 가이더 본체와, 자 통과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더 본체의 양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판으로 구성된 한 쌍의 자 가이더와;
    상기 슬라이드 봉의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두 쌍의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와;
    상기 자 가이더의 양 측판에 각각 형성된 자 통과공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이동거리 제한겸 자 고정구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브라켓과 아이부 단부 사이의 거리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암부 거리 측정용 자;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KR1020150168582A 2015-11-30 2015-11-30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KR101720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582A KR101720238B1 (ko) 2015-11-30 2015-11-30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582A KR101720238B1 (ko) 2015-11-30 2015-11-30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238B1 true KR101720238B1 (ko) 2017-03-27

Family

ID=5849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582A KR101720238B1 (ko) 2015-11-30 2015-11-30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2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7178A (zh) * 2017-12-29 2018-02-09 台州市黄岩迪安模具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中通道加强板总成的检具
KR101873265B1 (ko) 2017-08-22 2018-07-04 대원강업주식회사 센터정렬기능을 갖는 스테빌라이저바 형상검사장치
CN112923830A (zh) * 2021-01-26 2021-06-08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平衡杆空间尺寸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15265334A (zh) * 2022-08-26 2022-11-01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缝隙测量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67A (ko) * 2005-06-01 2006-12-06 (주)에이치 에스 티 와이퍼암의 제원 측정 장치
CN201653316U (zh) * 2010-08-19 2010-11-24 上海中国弹簧制造有限公司 汽车稳定杆总成检具
KR101404573B1 (ko) 2012-10-31 2014-06-09 대원강업 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바 내구시험기용 범용 링크
CN204373894U (zh) * 2014-12-22 2015-06-03 重庆红岩方大汽车悬架有限公司 一种稳定杆耐疲劳实验装置
KR101543257B1 (ko) 2014-08-27 2015-08-10 대원강업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바용 마운트브래킷의 조립위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67A (ko) * 2005-06-01 2006-12-06 (주)에이치 에스 티 와이퍼암의 제원 측정 장치
CN201653316U (zh) * 2010-08-19 2010-11-24 上海中国弹簧制造有限公司 汽车稳定杆总成检具
KR101404573B1 (ko) 2012-10-31 2014-06-09 대원강업 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바 내구시험기용 범용 링크
KR101543257B1 (ko) 2014-08-27 2015-08-10 대원강업주식회사 스테빌라이저 바용 마운트브래킷의 조립위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204373894U (zh) * 2014-12-22 2015-06-03 重庆红岩方大汽车悬架有限公司 一种稳定杆耐疲劳实验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265B1 (ko) 2017-08-22 2018-07-04 대원강업주식회사 센터정렬기능을 갖는 스테빌라이저바 형상검사장치
CN107677178A (zh) * 2017-12-29 2018-02-09 台州市黄岩迪安模具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中通道加强板总成的检具
CN107677178B (zh) * 2017-12-29 2024-02-27 台州市黄岩迪安模具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中通道加强板总成的检具
CN112923830A (zh) * 2021-01-26 2021-06-08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平衡杆空间尺寸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12923830B (zh) * 2021-01-26 2022-06-03 中国航发贵州黎阳航空动力有限公司 一种平衡杆空间尺寸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15265334A (zh) * 2022-08-26 2022-11-01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缝隙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238B1 (ko) 각종 스테빌라이저 바의 브라켓 조립 거리 범용 측정장치
US6347457B1 (en) Laser based centerline gauge conversion kit
US2292968A (en) Aligning method
JPS6325281B2 (ko)
KR101181141B1 (ko) 센터 플랜지 조립용 지그
SE425122B (sv) Anordning for uppmetning och kontroll av motorcykelramar
US4942667A (en) Portable axle and frame alignment tool
CN110231009B (zh) 一种车轮螺栓孔位置度自动检测装置及方法
PT806627E (pt) Aparelho para a verificacao das dimensoes geometricas de pecas mecanicas e processo para a operacao do aparelho
CN105773610A (zh) 一种机器人校正装置
KR102202024B1 (ko) 도어힌지 제조용 부시 검사장치
KR101543257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마운트브래킷의 조립위치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103234765A (zh) 分体拆装式汽车四轮定位仪检定装置
KR101057984B1 (ko) 도어모듈용 임팩트 포인트 계측장치
KR101873265B1 (ko) 센터정렬기능을 갖는 스테빌라이저바 형상검사장치
CN216410040U (zh) 校准装置
CN203178081U (zh) 分体拆装式汽车四轮定位仪检定装置
KR101241605B1 (ko) 브레이크 페달 충돌 성능 테스트용 지그
JP2011002334A (ja) 車両のホイールアライメント調整方法
CN109341464B (zh) 一种汽车后扭力梁总成检具和检测方法
KR100554757B1 (ko) 대형 마이크로미터 교정장치
CN203490081U (zh) 基于皮带传动式四轮定位仪检定装置
CN216246057U (zh) 机座同轴度检测装置
EP0386149A4 (en) Portable axle and frame alignment tool
KR20170127168A (ko) 레이저 축 정렬 장비의 정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