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759A - 지폐 식별 계수기 - Google Patents

지폐 식별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759A
KR20110011759A KR1020117001843A KR20117001843A KR20110011759A KR 20110011759 A KR20110011759 A KR 20110011759A KR 1020117001843 A KR1020117001843 A KR 1020117001843A KR 20117001843 A KR20117001843 A KR 20117001843A KR 20110011759 A KR20110011759 A KR 2011001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ing
identification
banknote
banknotes
s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마쓰우라
도시오 누마타
하지메 모리노
신지 마쓰이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대의 기계에 대하여 두명의 조작자가 취급하는 기능을 가지게 한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즉,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搬送路) 내로 송출 반송하는 송출 반송부와, 상기 송출 반송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 식별된 지폐를 집적시키는 스택커를 구비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 계수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 버튼을 2그룹 설치하고, 계수 결과를, 조작한 상기 조작 버튼에 따라 별개로 기억하게 함으로써, 1대의 기계에 대하여 두 명의 조작자가 취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폐 식별 계수기{BILL IDENTIFYING/COUNTING MACHINE}
본 발명은 지폐를 호퍼에 받아들이고, 투입된 지폐의 종류를 식별하는 동시에 계수하여, 투입된 지폐의 합계 금액 또는 종류별 매수를 계산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1대의 기계에 대해 두 명의 조작자가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한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지폐를 일괄적으로 호퍼에 받아들이고, 투입된 지폐를 1매씩 송출하여 반송하고, 그 종류 및 진위를 식별하는 동시에 계수하여, 투입된 정상적인 지폐의 합계 금액 또는 종류별 매수를 계산하여 표시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 2003-296801호 공보 참조).
그 일반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폐 식별 계수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호퍼부(1)에 탑재된 지폐는 송출 롤러(5)에 의해 지폐 식별 계수기의 반송로로 이송되어 복수개의 반송 롤러(6)에 의해 반송된다. 지폐 반송 도중에 검지 센서(7a 및 7b)를 통과하고, 지폐 식별 센서(8)에 있어서 종류 및 진위가 판정된다. 그 후, 검지 센서(7c)를 통과하여, 정상 지폐이면 회전하고 있는 날개차(impeller, 9)의 날개의 사이에 받아들여져, 스택커부(2)에 정렬되고 집적된다. 한편, 상기 지폐 식별 센서에 의하여 위조 지폐로 판정된 경우는, 솔레노이드(10)가 작동하여 분기 클릭(11)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리젝트부(3)로 지폐가 보내진다. 그리고, 부호 4는 조작 표시부이며, 지폐 식별 계수 처리를 행할 때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곳이다.
종래, 은행 등의 창구에서 사용되는 지폐 입금 처리기는, 두 명의 텔러(창구 직원) 사이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사용되며, 각각 양쪽으로부터 상위기인 텔러 머신(teller machine)을 통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에서는, 좌우 두 명의 직원에 의해 차례로 호퍼에 투입되는 각각의 지폐가 섞이지 않고, 계수·수납 동작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므로, 한 거래마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를 어느 한쪽의 텔러가 점유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한 거래가 종료할 때까지 한쪽의 텔러의 점유 상태가 계속되면, 어떤 이유로 인하여 계수·수납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라도, 다른 쪽 텔러는 그 기계를 사용하여 계수·수납 동작을 행할 수 없었다. 만약, 다른 쪽 텔러가 그 기계를 사용하고자 하면, 중단하고 있는 처리를 리셋하여, 자신의 점유 상태로 전환하고 나서 행하여야 하므로, 처음에 행한 텔러의 처리가 취소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업 효율의 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1대의 기계를 두 명의 텔러가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지폐 입금 처리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공평 7-118032호 공보 참조).
상기 공보에서 나타내는 지폐 입금 처리기는, 은행의 텔러에 의해 공용되도록 특화한 기계이면서, 또한 각 텔러가 각각 전용으로 사용하는 텔러 머신의 하부에 위치하고, 텔러 머신에 의해 점유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는, 텔러 머신과 같은 상위 기종으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점유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한사람이 1대를 사용하는 것이 상식이므로, 1대의 기계를 둘이서 공용할 수 있도록 한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지폐 식별 계수기를 취급하는 점포나 금융 기관에 있어서는, 조작자의 수만큼 지폐 식별 계수기를 도입할 필요가 있고, 설비투자의 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1대의 기계에 대해서 두 명의 조작자가 공용 가능한 지폐 식별 계수기를 제공함으로써, 지폐의 식별 계수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기계 도입 시에 드는 총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대의 기계에 대해 두 명의 조작자가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한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搬送路) 내로 송출 반송하는 송출 반송부와, 상기 송출 반송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 식별된 지폐를 집적시키는 스택커를 구비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 계수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 버튼을 2그룹 설치하고, 계수 결과를, 조작한 상기 조작 버튼에 따라 별개로 기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처리 지시 버튼을 눌러서 상기 지폐 식별 계수기의 점유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대의 기계에 대해서 두 명의 조작자가 공용 가능한 지폐 식별 계수기를 제공함으로써, 지폐의 식별 계수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기계의 도입시에 드는 총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폐 식별 계수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계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계수기의 조작 표시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계수기의 제어 블록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1대의 기계에 대해 두 명의 조작자가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한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즉,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搬送路) 내로 송출 반송하는 송출 반송부와, 상기 송출 반송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 식별된 지폐를 집적시키는 스택커를 구비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 계수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 버튼을 2그룹 설치하고, 계수 결과를, 조작한 상기 조작 버튼에 따라 별개로 기억함으로써, 1대의 기계에 대해 두 명의 조작자가 취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계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호퍼부(1)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기계의 내부에서 식별 계수되어 스택커부(2)에 정렬되고 집적된다. 또한, 위조 지폐나 오염 또는 손상 등으로 인하여 처리 불가능한 지폐는 리젝트부(3)에 보내지게 되어 있다. 조작 표시부(4)는 각종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있고, 버튼 조작에 의해 1대의 기계를 둘이서 공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조작 표시부(4)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중앙에 각종 표시를 행하는 액정 패널(40)이 배치되고, START/STOP 키(4l), ACCEPT 키(42), 점유 표시 LED(43)가 한쌍씩 좌우로 나누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점선으로 나타낸 그 밖의 키는 각종 조작에 대하여 설정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과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키(41, 42)가 좌우로 나누어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두 명의 조작자 사이에 상기 지폐 식별 계수기를 배치하면,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유 표시 LED(43L, 43R)는, 현재 어느 쪽의 조작자가 기계를 점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계수기의 제어 블록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처리 지시 버튼 L(41L) 및 처리 지시 버튼 R(41R)은, 도 3에 있어서의 START/STOP 키(41)에 해당하고, 승인 버튼 L(42L) 및 승인 버튼 R(42R)은, 도 3에 있어서의 ACCEPT 키(42)에 해당한다. 기억 영역 L(60L) 및 기억 영역 R(60R)은, 각각 L측 및 R측의 조작자가 식별 계수 처리를 행한 경우의 계수 결과의 합계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이다. 이것은 제어부(50)에 의해 기입된다. 이와 같이, 기억 영역이 L과 R의 두 개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서로의 계수 결과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기억 영역(60L, 60R)에 기억되어 있는 계수 결과(합계 금액)는, 승인 버튼(42L 또는 42R)을 누름으로써, 각각 외부의 프린터(80L 또는 80R), 또는 퍼스널 컴퓨터 PC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또는 PC에 대한 접속은 인터페이스 I/F(70)를 통하여 행해진다.
상기 지폐 식별 계수기는, 두 명이 공용하도록 설정(2인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원을 투입하면, 예를 들면 R측이 점유하도록 하고 있다. 즉, R측의 점유 표시 LED(43R)가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만약, L측의 조작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대기 중에 처리 지시 버튼 L(41L)을 누르면, L측의 점유로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는 L측의 점유 표시 LED(43L)가 점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계수기는, 1대의 기계에 대해 두 명의 조작자가 취급할 수 있도록, START/STOP 키(41) 및 ACCEPT 키(42)를 좌우에 한쌍씩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를 단독으로 사용하도록 설정(1인 설정)한 경우는, 좌우 어느 쪽의 키도 동시에 유효하게 되므로, 조작자는 자신이 잘 쓰는 쪽의 팔에 맞추어서 키를 조작할 수 있고, 사용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태 터미널 I/F 2인 설정 프린터 설정
1

오프라인


1인(OFF)
OFF
2 ON 1대
3
2인(ON)
OFF
4 ON 1대
5 ON 2대
6
온라인(R측만)

2인(ON)
OFF
7 ON(L측만 접속)
8
온라인
2인(ON) OFF
9 1인(ON) OFF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계수기의 운용 상태의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에 따라 각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표에 있어서, 온라인은 도 4에 있어서의 I/F(70)에 컴퓨터(PC를 포함)에 접속한 경우를 말하여, 컴퓨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오프라인이 된다. 또한, 프린터 설정 OFF는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1) 오프라인, 1인 설정, 프린터 접속 없음
L과 R 키는 둘 다 유효하고, 합계 금액은 R측에 기억된다.
또한, 점유 표시 LED는 둘 다 점등된다.
(2) 오프라인, 1인 설정, 프린터는 1대 접속(접속은 자동 검출)
L과 R 키는 둘 다 유효하고, 합계 금액은 R측에 기억된다. 또한, 점유 표시 LED는 둘 다 점등된다. 어느 하나의 ACCEPT 키(42)를 누르면, 계수 결과가 프린트된다.
(3) 오프라인, 2인 설정, 프린터 접속 없음
디폴트(default)로는 R측의 LED가 점등하고, L측은 꺼져 있다. 대기 중에 L측의 START/STOP 키(41L)를 누르면, L측으로 점유가 전환되고, L측의 LED가 점등하는 동시에 R측이 사라진다. 계수 결과는, L과 R이 별개로 기억된다.
(4) 오프라인, 2인 설정, 프린터 1대 접속(접속은 자동 검출)
기본적으로는 (3)과 동일하다. ACCEPT 키(42L 또는 42R)를 누르면, 계수 결과가 1대의 프린터에 프린트된다.
(5) 오프라인, 2인 설정, 프린터 2대 접속
기본적으로는 (3)과 동일하다. ACCEPT 키(42L 또는 42R)를 누르면, 계수 결과가 각각 별개의 프린터에 프린트된다.
(6) 온라인(R측만), 2인 설정, 프린터 접속 없음
디폴트로는 R측의 LED가 점멸하고, L측은 꺼져 있다. 대기 중에 L측의 START/STOP 키(41L)를 2초 이상 누르면, L측으로 점유가 전환되고, L측의 LED가 점등하는 동시에 R측이 꺼진다. 계수 결과는, L과 R이 별개로 기억된다. 또한, 대기 중에 R측의 START/STOP 키(41R)를 2초 이상 누르거나, 혹은 PC에 의한 리모트 제어 점유 전환에 의해, R측으로 점유가 전환되고, R측은 온라인 설정으로 되돌아온다.
(7) 온라인(R측만), 2인 설정, 프린터 접속(R측만)
디폴트로는 R측의 LED가 점멸하고, L측은 꺼져있다. 대기 중에 L측의 START/STOP 키(41L)를 2초 이상 누르면, L측으로 점유가 전환되고, L측의 LED가 점등하는 동시에 R측이 꺼진다. 계수 결과는, L과 R이 별개로 기억된다. ACCEPT 키(42L)를 누르면, 계수 결과가 L측의 프린터에 프린트된다.
또한, 대기 중에 R측의 START/STOP 키(41R)를 2초 이상 누르거나, 혹은 PC에 의한 리모트 제어 점유 전환에 의해, R측으로 점유가 전환되고, R측은 온라인 설정으로 되돌아온다.
(8) 온라인, 2인 설정, 프린터 접속 없음
디폴트로는 R측의 LED가 점멸하고, L측은 꺼져 있다. 대기 중에 L측의 START/STOP 키(41L)를 누르거나, 또는 PC에 의한 리모트 제어 점유 전환에 의해, L측으로 점유가 전환되고, L측의 LED가 점멸하는 것과 동시에, R측이 꺼진다. 계수 결과는, L과 R이 별개로 기억된다.
(9) 온라인, 1인 설정, 프린터 접속 없음
L키와 R키는 둘 다 무효이며, 접속된 PC에 의해 리모트 제어된다. 합계 금액은 R측에 기억된다.
또한, 점유 표시 LED는 둘 다 점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식별 계수기에서는 처리 지시 버튼을 2개 설치하고, 각각에 대응시킨 기억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각 조작자별로 처리 결과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동시에 조작할 수는 없지만, 그 밖의 면에서는 마치 2대의 기계처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대비 효과가 우수하다.
이상,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바와 같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1대의 기계에 대해서 두 명의 조작자가 공용 가능한 지폐 식별 계수기를 제공함으로써, 지폐의 식별 계수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기계의 도입시에 드는 총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5)

  1.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搬送路) 내로 송출 반송하는 송출 반송부와, 상기 송출 반송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 식별된 지폐를 집적시키는 스택커를 구비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
    계수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 버튼을 2그룹 설치하고,
    계수 결과를, 조작한 상기 조작 버튼에 따라 별개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2.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반송로 내로 송출 반송하는 송출 반송부와, 상기 송출 반송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 식별된 지폐를 집적시키는 스택커를 구비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
    계수 처리를 지시하는 조작 버튼을 2그룹 설치하고,
    계수 결과를, 조작한 상기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계수 결과를, 조작한 상기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 출력할 때, 계수 결과를, 조작한 상기 조작 버튼에 대응시켜 인자하는 것을 특징으로 지폐 식별 계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은, 식별 계수 처리의 개시/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처리 지시 버튼, 또는 계수 결과의 합계를 승인하기 위한 승인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기 중에, 2그룹의 상기 조작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누름으로써, 그 조작 버튼의 점유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KR1020117001843A 2004-10-12 2004-10-12 지폐 식별 계수기 KR201100117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4/015342 WO2006040834A1 (ja) 2004-10-12 2004-10-12 紙幣識別計数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729A Division KR20070083635A (ko) 2007-04-04 2004-10-12 지폐 식별 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59A true KR20110011759A (ko) 2011-02-08

Family

ID=361481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843A KR20110011759A (ko) 2004-10-12 2004-10-12 지폐 식별 계수기
KR1020117001844A KR101289675B1 (ko) 2004-10-12 2004-10-12 지폐 식별 계수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844A KR101289675B1 (ko) 2004-10-12 2004-10-12 지폐 식별 계수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83435B2 (ko)
EP (1) EP1816612A4 (ko)
JP (1) JP4681561B2 (ko)
KR (2) KR20110011759A (ko)
CN (1) CN100580718C (ko)
HK (1) HK1111501A1 (ko)
WO (1) WO2006040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6764A1 (ja) * 2009-09-25 2011-03-3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CN102013128B (zh) * 2010-12-17 2012-10-3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钞票处理系统及方法
JP5786694B2 (ja) * 2011-12-05 2015-09-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KR101301977B1 (ko) * 2012-03-08 2013-09-02 주식회사 에스비엠 지폐 계수기
CN102609761B (zh) * 2012-03-19 2015-05-20 魏伟 一种点钞机
JP2016048481A (ja) * 2014-08-27 2016-04-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US10354473B2 (en) * 2014-11-04 2019-07-16 Fireking Security Products, Llc Note verify
KR101728221B1 (ko) * 2015-04-20 2017-04-1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895099B2 (en) * 2016-08-23 2021-01-19 Pella Corporation Support bracket for window installation and methods of use
CN107301450A (zh) * 2017-08-14 2017-10-27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叶轮及其使用该叶轮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8293A (en) * 1980-05-30 1981-12-24 Laurel Bank Machine Co Sheets payout device
SE431688B (sv) 1981-07-30 1984-02-20 Leif Lundblad Anordning for utmatning av blad
JPH0666074B2 (ja) * 1983-04-04 1994-08-24 株式会社東芝 区分集積装置
GB2145865B (en) 1983-08-30 1986-12-03 Laurel Bank Machine Co Bill paying machine
JPS6059492A (ja) 1983-09-12 1985-04-05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支払機
US4577763A (en) * 1984-03-28 1986-03-25 Ncr Corporation Cash dispensing system
US4552350A (en) * 1984-03-28 1985-11-12 Ncr Corporation Transport for diverted and purged sheets in a sheet dispenser
DE3639755A1 (de) * 1985-11-22 1987-05-27 Oki Electric Ind Co Ltd Selbstdiagnoseverfahren fuer ein geraet
JPS63177289A (ja) * 1987-01-19 1988-07-21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ATE132284T1 (de) * 1988-02-13 1996-01-15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Banknotenverarbeitungsvorrichtung
JPH07118032B2 (ja) * 1989-08-01 1995-12-18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金処理機
GB9319180D0 (en) * 1993-09-16 1993-11-03 Ncr Int Inc Automated financial system
DE9314341U1 (de) * 1993-09-23 1993-11-04 Ascom Autelca Ag Guemligen Kassentresor mit einer wahlweisen von zwei Kassierern zu bedienenden Tresorbedieneinheit
US6860375B2 (en) * 1996-05-29 2005-03-01 Cummins-Allison Corporation Multiple pocket currency bil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7266526B1 (en) * 1996-11-27 2007-09-04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with multiple browsers
JP3819150B2 (ja) * 1998-06-23 2006-09-06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貨幣処理機
EP0967581A3 (en) * 1998-06-26 2004-06-09 Hitachi, Ltd.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GB9901005D0 (en) * 1999-01-19 1999-03-10 Ncr Int Inc Data warehouse applications for networks of self-service machines
JP2001344635A (ja) 2000-06-02 2001-12-14 Birukon Kk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JP2003296801A (ja) * 2002-04-02 2003-10-17 Toyo Commun Equip Co Ltd 紙幣計数装置
GB2574653B (en) * 2018-06-14 2020-09-09 Knowles (Uk) Ltd Capacitor having an electrical 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80718C (zh) 2010-01-13
WO2006040834A1 (ja) 2006-04-20
JPWO2006040834A1 (ja) 2008-05-15
CN101044516A (zh) 2007-09-26
HK1111501A1 (en) 2008-08-08
US8783435B2 (en) 2014-07-22
JP4681561B2 (ja) 2011-05-11
KR101289675B1 (ko) 2013-07-26
EP1816612A4 (en) 2010-07-07
EP1816612A1 (en) 2007-08-08
US20090223777A1 (en) 2009-09-10
KR20110011760A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675B1 (ko) 지폐 식별 계수기
CN101583980B (zh) 纸币处理装置
KR100918985B1 (ko) 지폐 정리장치
JP2003192186A (ja) 紙幣取扱装置
JPH0823900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自動紙幣補充制御方法
JP2003006697A (ja) 紙幣取扱装置
US20100138308A1 (en) Banknote counter and banknote counting system
CN100565599C (zh) 存取款装置
JP5905242B2 (ja) 貨幣処理機、貨幣処理システムおよび貨幣処理方法
KR101075822B1 (ko) 지폐 식별 계수기
KR20070083635A (ko) 지폐 식별 계수기
JP2010176601A (ja) 自動取引装置及び紙幣入出金装置
TWI415780B (zh) 鈔卷取出機構
JP3914972B2 (ja) 紙幣の計数・識別装置
RU23550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чения и счета купюр
JPWO2004023405A1 (ja) 紙葉類処理装置
JP6920935B2 (ja)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システム
KR101301977B1 (ko) 지폐 계수기
CN101706979A (zh) 纸币识别计数器
JPH01103791A (ja) 現金精査機
JP6774882B2 (ja) 貨幣処理装置
KR100441246B1 (ko) 지폐계수기의 계수량 표시장치
JP2805946B2 (ja) カード処理装置
JP2004254480A (ja) パルスモータ制御方式及びそれを用いた紙葉類処理機
KR20040021412A (ko)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702

Effective date: 201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