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822B1 - 지폐 식별 계수기 - Google Patents

지폐 식별 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822B1
KR101075822B1 KR1020077024584A KR20077024584A KR101075822B1 KR 101075822 B1 KR101075822 B1 KR 101075822B1 KR 1020077024584 A KR1020077024584 A KR 1020077024584A KR 20077024584 A KR20077024584 A KR 20077024584A KR 101075822 B1 KR101075822 B1 KR 10107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currency
identification
key
identification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344A (ko
Inventor
신지 마쓰우라
하지메 모리노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24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8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08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2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pattern matching
    • G07D7/206Matching template 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8Setting of parameters; Software upd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60User-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대의 기계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한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즉, 지폐의 식별 계수를 개시하는 START/STOP키를 복수개 설치하고, 그 각각에 상이한 통화 체계의 지폐를 할당함으로써, 그 때마다 통화 체계의 선택 설정을 행하지 않아도, 그 통화 체계에 대응한 START/STOP키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폐 식별 계수기, 통화 체계, START/STOP키

Description

지폐 식별 계수기 {BANKNOTE IDENTIFYING AND C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지폐를 호퍼(hopper)에 받아들이고, 받아들여진 지폐의 종류를 식별하는 동시에 계수하여, 받아들여진 지폐의 합계 금액 또는 지폐의 종류마다의 매수를 계산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1대의 기계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한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여러 종류의 혼합한 지폐를 일괄하여 호퍼에 받아들이고, 받아들여진 지폐를 1매씩 내보내어 반송하고, 그 지폐의 종류 및 진짜와 가짜를 식별하는 동시에 계수하여, 받아들인 정상적인 지폐의 합계 금액 또는 지폐의 종류마다의 매수를 계산하여 표시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는, 장치의 사용 개시 전에 있어서의 각종 기능의 설정, 취사 선택에 필요한 수고가 많은 것으로 되어 있어, 설정을 위한 조작의 간략화가 종래부터 요구되고 있다. 특히,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그 설정 작업이 번거로웠다. 즉, 어느 나라의 지폐를 식별 계수한 후에, 다른 나라의 지폐를 식별 계수하는 경우에는, 일단 전원을 OFF로 하고, 재차 전원을 ON으로 하여 다른 나라 지폐의 식별 계수를 행하기 위한 설정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처리하는 배경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시아권 일원의 대표예로서의 중국에서는, 자국 통화인 원(元)과 국제통화인 미국 달러의 양쪽을 처리할 필요가 있고, 유로권 일원의 대표예로서의 영국에서는, 자국 통화인 파운드와 통일 통화인 유로의 양쪽을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1대의 장치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지폐 식별 계수기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149086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이라고 함)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된 지폐 식별 계수기는, 국적 설정 모드를 구비하고 있고, 특정한 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ON으로 함으로써 특정한 나라의 지폐 취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시하면, "DENOMI"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투입하면 미국 지폐 취급이 가능해지고, "CLR"키를 누르면서 전원을 투입함으로써 프랑스국의 지폐가 취급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특허 문헌에는, 전원을 투입한 채, 취급할 지폐의 국적을 전환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지만, 어느 것으로 해도, 1개국의 지폐의 처리가 끝나지 않으면 다음 나라의 지폐 설정으로 이행할 수 없으므로, 한번에 복수개 나라의 지폐 설정을 행할 수 없었다. 또한, 계수 모드도 국적의 전환시마다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설정 작업이 번거로운 것에는 변화가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전원의 재투입 조작을 행하지 않고,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 설정을 한번에 행할 수 있는 지폐 식별 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대의 기계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한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받아들여진 지폐를 1매씩 반송로(搬送路) 내로 내보내어 반송하는 내보냄 반송부와; 상기 내보냄 반송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정상인 것으로 판정 식별된 지폐를 집적시키는 스태커(stacker)를 포함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에 대한 특징 정보가 통화 체계마다 세트로 기억된 지폐 특징 정보 기억 수단과, 처리하려는 지폐의 통화 체계가 선택되면, 그것을 복수개의 어떤 특정키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는 통화 체계 선택 설정 수단과,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키의 누름에 호응하여, 지폐의 내보냄 반송을 행하고, 상기 특정키에 할당된 통화 체계에 대응하는 지폐의 특징 정보와의 비교를 행하여 지폐의 식별 계수를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동시에, 상기 식별 계수 결과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을 상기 통화 체계마다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또한 계수 모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특정키의 누름에 따라 상기 특정키에 할당되어 있는 통화 체계의 통화 단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달성된다. 또는 상기 특정키를 START/STOP키로 하고, 그 개수를 2개로 하여, 그 한쪽에 통화 단위인 유로를 할당함으로써, 또는 현재 점유되어 있는 START/STOP키가 어느 것인지를 표시하는 점유 상태 표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또는 상기 점유 상태 표시 수단을 LED 램프로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식별 계수기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식별 계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식별 계수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2개의 START/STOP키에 각각 상이한 통화 체계를 나누어 할당할 때의 플로 차트이다.
도 5는, 지폐의 통화 체계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1대의 기계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한 지폐 식별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즉, 지폐의 식별 계수를 개시하는 START/STOP키를 복수개 설치하고, 그 각각에 상이한 통화 체계의 지폐를 할당함으로써, 그 때마다 통화 체계의 선택 설정을 행하지 않아도, 그 통화 체계에 대응한 START/STOP키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식별 계수기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 종단 면도이다.
호퍼부(1)에 탑재된 지폐는 내보냄 롤러(5)에 의해 지폐 식별 계수기의 반송로로 이송되고, 복수개의 반송 롤러(6)에 의해 반송된다. 지폐 반송 도중에 검지 센서(7a, 7b)를 통과하고, 식별 계수부(8)에 있어서 지폐 종류 판정(진짜와 가짜 판정도 포함함) 및 계수가 행해진다. 그 후, 검지 센서(7c)를 통과하고, 정상 지폐이면 회전하고 있는 날개차(9)의 날개 사이에 캐치(catch)되어, 스태커부(2)에 정렬 집적된다. 한편, 상기 식별 계수부(8)에서 위조 지폐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10)가 작동하여 분기(分岐) 클릭(11)이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리젝트부(3)로 지폐가 보내진다. 그리고, (4)는 표시/조작부이며, 지폐 식별 계수 처리를 행할 때의 통화 체계의 설정이나 계수 모드의 설정 등을 행하는 곳이다. 또한, 상기한 것 이외에, 전술한 각 처리를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나, 식별 계수 결과나 각종의 설정 내용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식별 계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호퍼부(1)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기계의 내부에서 식별 계수되어 스태커부(2)에 정렬 집적된다. 또한, 위조 지폐나 오염 또는 손상 등으로 처리가 불가능하게 된 지폐는 리젝트부(3)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표시/조작부(4)는 각종의 조작 키를 가지고 있고, 키 조작에 의해, 전원의 재투입 조작을 행하지 않고,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 설정을 한번에 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식별 계수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표시/조작 부(4)에는, 중앙에 각종 표시를 행하는 액정 패널(41)이 배치되고, START/STOP키(42), ACCEPT키(43), 점유 표시 LED(44)가 한쌍씩 좌우로 나누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DISPLAY/SET키는 SHIFT키와 동시에 누름으로써 사용자 설정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며, MODE키는 계수 모드(예를 들면, MIX 모드(혼합된 각종 지폐 입금), DD모드(단일 지폐의 입금) 등)의 설정을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MODE키를 1회 누를 때마다 계수 모드가 전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표시/조작 제어부(45)는, 식별 계수 결과나 설정 내용을 상기 액정 패널(41)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각 키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제어 신호를 후술하는 메인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제어하거나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원칩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유 표시 LED(44L, 44R)는, 현재 점유되어 있는 START/STOP키가 어느 것인가를 점등에 의해 나타내는 것이다.
본체부는, 지폐 식별 계수기의 각 센서 및 각 액츄에이터(내보냄 반송부나 솔레노이드 등을 가리킴)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표시/조작부에서 설정한 내용이나 식별 계수 결과 등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의 기록/판독의 제어를 행하거나 하는 메인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억 수단으로서는 불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되고, 메인 제어부로서는 예를 들면, 원칩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별 계수부(8)는, 수개국분의 통화 체계의 지폐의 특징 정보(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지폐의 특징 정보 기억 수단, 및 센서로 판독한 검사 대상 지폐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지폐의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지폐의 식별을 행하는 식별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검사 대상 지폐의 통화 체계(국적)의 정보는 메인 제어부로부터 식별 제어부에 전해질 수 있으므로, 식별 제어부는 그 나라의 지폐의 특징 정보만을 비교 대상의 데이터로서 판독하면 되고, 대조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식별 제어부로서는 예를 들면, 원칩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좌우의 2개의 START/STOP키에 각각 상이한 통화 체계를 할당할 때의 플로차트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원을 ON하여 이니셜 완료 상태로 하고, 조작자(오퍼레이터)는 우측의 START/STOP키(42R)를 눌러 점유 상태로 한다(스텝 S1). 다음에, SHIFT 키를 누르면서 DISPLAY/SET키를 누르고, 사용자 설정 모드로 이행하여, 통화 설정을 선택한다(스텝 S2). 이 때 표시부의 액정 패널(41)에는 도 5 (A)와 같이 표시되고, 유로(EUR)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START/STOP키(42R)를 누르면, 우측의 START/STOP키(42R)로의 유로 설정이 확정된다(스텝 S3).
다음에, 조작자는 좌측의 START/STOP키(42L)를 눌러 점유 상태로 한다(스텝 S4). 다음에, SHIFT키를 누르면서 DISPLAY/SET키를 누르고, 사용자 설정 모드로 이행하여, 통화 설정을 선택한다(스텝 S5). 이 때 표시부의 액정 패널(41)에는 도 5 (A)와 같이 표시되므로, 화살표키를 사용하여 도 5 (B)와 같이 체코(CSK)를 선택한다. 여기서 START/STOP키(42L)를 누르면, 좌측의 START/STOP키(42L)로의 체코 설정이 확정된다(스텝 S6). 이같이 하여, 상이한 지폐의 통화 체계가 좌우의 START/STOP키에 각각 할당된다. 그리고, 계수 모드의 변경은 통화 체계의 할당의 설정과는 독립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원을 OFF로 한 경우에는, 직전에 사용한 계수 모드가 기억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좌우의 START/STOP키(42L) 및 START/STOP키(42R)에 각각, 체코, 유로의 지폐의 설정이 할당된 지폐 식별 계수기를 사용하여, 체코 및 유로의 지폐의 식별 계수를 행하는 경우의 스텝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자가 유로 지폐를 호퍼부(1)에 탑재하고, 우측의 START/STOP키(42R)를 누른다. 지폐가 내보내져 반송되고, 식별 계수부(8)에서 식별 계수가 행해지며, 정상적이면 스태커부(2)로 반송되고, 비정상이면 리젝트부(3)로 반송된다. 호퍼부(1)에 지폐가 없어지면 내보냄 반송이 정지하고, 표시/조작부의 액정 패널(41)에 계수 결과가 표시된다. 여기서 우측의 ACCEPT키(43R)를 누르면 입금 확정으로 되고, 상기 기억 수단 중의 START/STOP키(42R)에 할당된 기억 영역에 상기 유로 지폐의 계수 결과가 기억된다.
다음에, 지폐 식별 계수기의 전원을 ON한 채로, 조작자가 체코 지폐를 호퍼부(1)에 탑재하고, 좌측의 START/STOP키(42L)를 누른다. 지폐가 내보내져 반송되고, 식별 계수부(8)에서 식별 계수가 행해져, 정상이면 스태커부(2)로 반송되고, 비정상이면 리젝트부(3)로 반송된다. 호퍼부(1)에 지폐가 없어지면 내보냄 반송이 정지되고, 표시/조작부의 액정 패널(41)에 계수 결과가 표시된다. 여기서, 좌측의 ACCEPT키(43L)를 누르면 입금 확정으로 되고, 상기 기억 수단 중의 START/STOP키(42L)에 할당된 기억 영역에 상기 체코 지폐의 계수 결과가 기억된다.
이상,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 징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식별 계수 장치에 의하면, 전원의 재투입 조작을 행하지 않고,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 설정을 한번에 행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작업 효율이 양호해진다.
또, 처리할 지폐의 통화 체계를 미리 START/STOP키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식별을 위한 비교 데이터(지폐 특징 정보)는 설정된 통화 체계의 것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대조에 소요되는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9)

  1. 처리해야 할 지폐를 받아들이는 호퍼(hopper)와; 상기 호퍼에 받아들여진 지폐를 1매씩 반송로(搬送路) 내에 내보내어 반송하는 내보냄 반송부와; 상기 내보냄 반송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반송되는 지폐의 종류 식별 및 계수를 행하는 식별 계수부와; 상기 식별 계수부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 계수부에 의해 정상으로 판정 식별된 지폐를 집적시키는 스태커(stacker)를 포함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에 있어서,
    복수의 통화 체계의 지폐에 대한 특징 정보가 통화 체계마다 세트로 기억된 지폐 특징 정보 기억 수단과,
    지폐의 식별 계수를 개시시키기 위한 복수의 특정키와,
    처리하려는 지폐의 통화 체계가 선택되면, 그것을 상기 복수의 특정키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는 통화 체계 선택 설정 수단과,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키의 누름에 호응하여, 지폐의 내보냄 및 반송을 행하고, 상기 특정키에 할당된 통화 체계에 대응하는 지폐의 상기 특징 정보와의 비교를 행하여 지폐의 식별 계수를 행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계수 모드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키의 누름에 따라 상기 특정키에 할당되어 있는 통화 체계의 통화 단위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는 START/STOP키이며, 또한 그 개수는 2개이며, 그 한쪽에 통화 단위인 유로(EUR)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키는 START/STOP키이며, 또한 그 개수는 2개이며, 그 한쪽에 통화 단위인 유로(EUR)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6. 제4항에 있어서,
    점유되어 있는 상기 START/STOP키가 어느 것인지를 표시하는 점유 상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7. 제5항에 있어서,
    점유되어 있는 상기 START/STOP키가 어느 것인지를 표시하는 점유 상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 상태 표시 수단은 LED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 상태 표시 수단은 LED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식별 계수기.
KR1020077024584A 2005-05-20 2005-05-20 지폐 식별 계수기 KR10107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4584A KR101075822B1 (ko) 2005-05-20 2005-05-20 지폐 식별 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4584A KR101075822B1 (ko) 2005-05-20 2005-05-20 지폐 식별 계수기
PCT/JP2005/009710 WO2006123439A1 (ja) 2005-05-20 2005-05-20 紙幣識別計数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344A KR20080008344A (ko) 2008-01-23
KR101075822B1 true KR101075822B1 (ko) 2011-10-25

Family

ID=3743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584A KR101075822B1 (ko) 2005-05-20 2005-05-20 지폐 식별 계수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34601B2 (ko)
EP (1) EP1892677A4 (ko)
JP (1) JP4931805B2 (ko)
KR (1) KR101075822B1 (ko)
CN (1) CN101180659B (ko)
AU (1) AU2005331793B2 (ko)
CA (1) CA2608951C (ko)
HK (1) HK1119814A1 (ko)
MX (1) MX2007014178A (ko)
WO (1) WO2006123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47046B (zh) 2007-03-29 2012-10-24 光荣株式会社 纸张识别装置和纸张处理装置以及纸张识别方法
US9530271B2 (en) 2012-07-19 2016-12-27 Glory Ltd. Banknote handling apparatus and banknote handling method
CN102930633B (zh) * 2012-10-25 2014-08-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金融自助设备及其钞票识别模块和识别方法
USD767667S1 (en) * 2014-10-30 2016-09-27 Solid Control Holding B.V. Money counter
USD855103S1 (en) * 2017-11-15 2019-07-30 Solid Control Holding B.V. Money count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259A (en) * 1990-02-05 1999-02-23 Cummins-Allison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nd counting documents
US6241069B1 (en) * 1990-02-05 2001-06-05 Cummins-Allison Corp. Intelligent currency handling system
CN2164073Y (zh) * 1993-09-11 1994-05-04 吴锡培 多功能高效验钞器
US6748101B1 (en) * 1995-05-02 2004-06-08 Cummins-Allison Corp. Automatic currency processing system
KR100308610B1 (ko) * 1997-10-06 2001-12-12 가나이 쓰토무 지폐류취급장치
US6493461B1 (en) * 1998-03-17 2002-12-10 Cummins-Allison Corp. Customizable international note counter
JP3914972B2 (ja) 1998-11-04 2007-05-16 東洋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ズ株式会社 紙幣の計数・識別装置
EP1241637A3 (en) * 2001-03-16 2004-01-07 Glory Ltd. Bill counter
JP2003178348A (ja) * 2001-12-07 2003-06-27 Birukon Kk 紙葉類識別計数機およびその識別計数方法
JP2003296783A (ja) * 2002-04-02 2003-10-17 Toyo Commun Equip Co Ltd 紙幣計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331793B2 (en) 2012-05-03
MX2007014178A (es) 2008-01-14
WO2006123439A1 (ja) 2006-11-23
JP4931805B2 (ja) 2012-05-16
JPWO2006123439A1 (ja) 2008-12-25
CA2608951C (en) 2013-01-22
HK1119814A1 (en) 2009-03-13
US20090090660A1 (en) 2009-04-09
CN101180659B (zh) 2010-06-23
CA2608951A1 (en) 2006-11-23
AU2005331793A1 (en) 2006-11-23
EP1892677A4 (en) 2009-11-25
CN101180659A (zh) 2008-05-14
KR20080008344A (ko) 2008-01-23
EP1892677A1 (en) 2008-02-27
US7934601B2 (en) 201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9478B (zh) 纸币识别计数器
US8464876B2 (en) Banknote handling apparatus
CN102439634B (zh) 纸币识别计数装置和纸币识别计数方法
CN101583980B (zh) 纸币处理装置
EP2249318A1 (en) Paper note handling apparatus
KR101075822B1 (ko) 지폐 식별 계수기
EP3133563B1 (en) Money handling apparatus
US8077961B2 (en) Bank not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identifying forged bank notes
JPH09106465A (ja) 紙幣計数機
EP3211608A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WO2014171040A1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紙葉類処理方法
RU2365999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ознавания и подсчета банкнот
CN110942550A (zh) 纸张类处理装置
JP7256037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硬貨処理方法
JPS5953358A (ja) 区分集積装置
EP3651125B1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method
JP2017059222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3110695A (ja) 紙幣区分集積機
RU235503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чения и счета купюр
JP2001184478A (ja) 紙葉類計数装置
JPH036122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