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221B1 -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221B1
KR101728221B1 KR1020150055449A KR20150055449A KR101728221B1 KR 101728221 B1 KR101728221 B1 KR 101728221B1 KR 1020150055449 A KR1020150055449 A KR 1020150055449A KR 20150055449 A KR20150055449 A KR 20150055449A KR 101728221 B1 KR101728221 B1 KR 10172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unting
processing apparatus
financial processing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583A (ko
Inventor
최용균
김경희
박광현
박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5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221B1/ko
Priority to US15/133,672 priority patent/US10846676B2/en
Priority to CN201610247431.7A priority patent/CN106067229B/zh
Priority to EP16166199.6A priority patent/EP3086299A1/en
Publication of KR2016012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11Software architecture within ATMs or in relation to the ATM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07D11/0084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Abstract

본 발명은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고 매체가 투입되면 계수 기능을 수행하고 계수 결과를 상기 표시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TELLER CASHIER RECYCLER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는 계원의 업무 공간에 설치된 계원용 ATM(automated teller machine)으로서, 현금 입출금 및 조회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말하며, TCR(Teller Cashier Recycler) 장치라고도 한다.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는 단순한 계수뿐만 아니라 입금, 출금 등 복합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종래의 계원용 금융처리기는 단순 계수기와 달리, 계원이 지폐를 투입구에 넣은 후 입금 또는 계수 동작을 일일이 선택해야 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계원용 금융처리기는 계원이 단순 계수를 하기 위해서도 지폐 투입과 계수 기능 선택의 2가지 절차에 의한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즉, 종래에는 단순히 계원용 금융처리기의 계수 동작을 위해서도 지폐 투입 전후 계원이 직접 원하는 기능을 선택해야 함에 따라 계원용 금융처리기의 처리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 선택의 필요 없이 단순히 버튼을 사용하여 계수 동작을 바로 진행함으로써 계원의 금융 처리 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는 계원용 금융처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고 매체가 투입되면 계수 기능을 수행하고 계수 결과를 상기 표시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고 매체가 투입되면 계수 기능을 수행하고 계수 결과를 상기 표시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거나 매체가 투입되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가 현재 대기 상태인 경우, 매체 투입 또는 버튼 누름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매체 투입 또는 버튼 누름이 수행되면 자동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계수 결과를 표시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계원 단말의 조작없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에 탑재된 버튼 조작만으로 투입된 매체를 계수하여 그 계수 결과를 자동 출력함으로써 계원의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를 이용한 계원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예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CD: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를 이용한 계원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계원 금융처리장치를 이용한 금융 처리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110, 120)과, 계원 단말들이 이용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 및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LAN과 같이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고, WiFi,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제 1 계원 단말(110), 제 2 계원 단말(120)은 계원(Teller)이 이용하는 단말로서, 일반적으로는 개인용 컴퓨터(PC)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스마트 패드(smart pad),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 단말기 형태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제 1 계원 단말(110), 제 2 계원 단말(120)이 직접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와 연결되고, 모든 계원 단말이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거나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통신 네트워크의 예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근거리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 등이 있다. 이러한 계원단말들(110, 120)은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를 조작하고,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상태 및 시재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계원 단말(110, 120)은 표시기(310, 320)를 구비할 수 있고, 이 표시기(310, 320)는 고객이 매체 계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니터이다. 이때, 제 1 표시기(310)는 제 1 계원 단말(110) 측에 구비되고 제 2 표시기(320)는 제 2 계원 단말(120) 측에 구비된다. 이에, 제 1 계원 단말(110)을 사용하는 제 1 계원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를 사용한 경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출력데이터는 제 1 표시기(310)를 통해 출력되고, 제 2 표시기(320)에는 대기중 화면을 표시한다. 반대로 제 2 계원 단말(120)을 사용하는 제 2 계원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를 점유하고 있는 경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출력데이터를 제 2 표시기(320)를 통해 출력하고 제 1 표시기(310)에는 대기 중 화면을 표시한다.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계원용 금융 자동화 기기(ATM)로서, TCR(Teller Cash Recycler)이라고 하며 계원 단말(110, 120) 또는 계원의 조작에 의해 입출금, 입출금 되는 매체 계수 및 저장하는 기능, 위조지폐의 감별 기능, 조회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때,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에서 계수되는 매체는 현금, 수표 등과 같은 지폐를 포함하며 유가증권, 상품권과 같은 종이로 된 거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계원 단말(110)과 제 2 계원 단말(120)이 하나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를 공유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2개 이상의 계원 단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매체가 투입된 후 계원 단말(110, 120)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명령을 수행하나, 본 발명에서는 계원에 의해 버튼(도 2에 도시)이 눌려지거나 클릭되면 계수 동작을 바로 수행한다. 즉, 계원 단말(110, 120)의 명령과 상관없이 버튼이 눌려지거나 클릭되면 계수 동작을 바로 수행한다. 이때,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버튼이 눌려지면 1회의 계수 동작을 수행하고 다시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또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계원 단말(110, 120)로부터 점유요청, 점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점유요청은 요청한 계원 단말(110, 120)이 금융업무 처리를 위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에 대한 점유를 요청하는 것을 의미하고, 점유 서비스 요청은 입출금, 입출금 되는 매체 계수 및 저장하는 기능, 위조지폐의 감별 기능, 조회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서비스 허가 시 별도의 점유요청 처리 절차 없이 점유 및 서비스 수행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계원이 매체 투입 선택과 명령 선택 2 가지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버튼을 누르거나 클릭한 후 매체 투입만으로 해당 명령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업무 효율 증대와 처리 시간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관리자 단말(150)은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 및 다수의 계원 단말(110, 120, 130)과 연결되어 있고, 관리자로 하여금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상태 및 시재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말로서, 휴대가능한 모바일 PC 또는 일반 PC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제 1 계원에 의해 눌려지는 제 1 버튼(210), 제 2 계원에 의해 눌려지는 제 2 버튼(220), 계원 단말(110, 120)과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230), 진행중인 작업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40), 매체가 투입되는 투입구(250),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버튼(210) 및 제 2 버튼(220)은 제 1 계원 또는 제 2 계원에 의해 눌려지거나 클릭되면 버튼 신호를 제어부(260)에 전달한다. 이때, 제 1 버튼(210) 및 제 2 버튼(220)은 돌출된 하드웨어 버튼, 스위치, 터치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하드웨어 버튼으로 구현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두 개의 계원 단말(110, 120)이 하나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를 공유하여 동작하는 예를 개시하고 있어, 도 2에서는 하나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에 두 개의 버튼(210, 220)을 구비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복수개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버튼(210) 및 제 2 버튼(220)이 매체 계수를 위한 명령 버튼인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금, 출금, 위조판별 등 다양한 명령을 매핑하여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계원 단말(110, 120)과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즉, 통신부(230)는 계원 단말(110, 120)로부터 점유 요청 또는 점유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제어부(260)로부터의 계수 결과 등의 데이터를 표시기(310, 320)로 송신한다. 또한 서비스 실행 결과 등을 통보하는 등,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와 계원 단말 간의 서비스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표시부(240)는 매체의 계수 결과,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현재 상태, 장애 상태 등을 표시한다.
투입구(250)는 매체가 투입되는 공간으로서, 매체의 투입을 감지하고 매체의 계수를 수행한다.
제어부(260)는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으로부터 버튼이 눌려지거나 클릭되었다는 버튼 신호를 수신하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대기상태인 경우 투입구(250)의 매체를 단순 계수하여 계수를 요청한 계원의 표시기로 출력한다. 한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대기상태가 아닌 경우(다른 계원 단말에 의한 점유 서비스 중, 유지보수 업무 중 등)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의 누름 동작은 무시되고 이미 진행중인 작업(다른 계원 단말에 의한 점유 서비스 중, 유지보수 업무 중 등)을 계속 진행한다.
제어부(260)는 매체가 투입구(250)에 투입되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고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대기상태인 경우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이 눌려지거나 클릭될 때까지 대기하다가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이 눌려지거나 클릭되면 투입구(250)의 매체를 단순 계수하여 계수를 요청한 계원의 표시기로 출력한다.
제어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로부터 점유 요청을 수신하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대기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대기상태인 경우 제어부(260)는 해당 계원 단말의 점유 요청을 수용하고, 대기상태가 아닌 경우 타 계원에 의한 점유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타 계원에 의한 점유 서비스를 계속한다. 이때, 타계원에 의한 점유 상태는 타 계원에 의한 계수동작 중이거나 타 계원단말에 의한 점유 서비스 중인 경우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어부(260)는 타 계원에 의한 점유 서비스 중에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이 눌려지거나 클릭되면 이를 무효화하고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이 눌려지거나 클릭되면 이를 저장부(270)에 기록해둔다. 또한, 제어부(260)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타 계원에 의해 점유 중인 경우 점유를 요청한 계원 단말 또는 표시부(240)로 사용중임을 알린다.
저장부(270)는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에 대한 정보는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이 눌려지거나 클릭된 시점, 횟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계수 방식은 단순계수, 지정매수 계수, 권종 분류 방식으로 계수될 수 있다. 단순계수는 투입된 매체를 출금 투입구가 꽉 찰 때까지 무정지 모드로 계수를 수행하고 계수 결과를 표시기로 출력하는 방식이다. 지정매수 계수는 투입된 매체를 사전에 지정된 묶음 매수(예, 50매, 100매 등) 단위로 계수하여 출금 투입구에 정렬하고 계원이 투입구의 매체를 수취하면 나머지 매체에 대한 계수를 계속 진행하는 방식이다. 권종 분류는 투입된 매체의 첫 번째 권종과 동일한 매체만 출금 투입구로 이송시키고 나머지 매체는 회수 투입구로 이송한다. 예를 들어 5 만원권을 매체의 맨 앞장에 위치시켜 계수하는 경우, 매체에 섞여 있는 5 만원권이 모두 앞에 오도록 정렬하여 계수한다.
이러한 단순계수, 지정매수 계수, 권종 분류 방식은 2개 이상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매수와 권종 분류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권종 분류 모드로 동작하며 지정 매수 단위로 출금 투입구에 정렬하고 계원이 매체를 수취하면 나머지 매체에 대해 권종 분류를 계속 진행한다.
도 2에서는 계원에 따라 제 1 버튼(210)과 제 2 버튼(220)을 구비한 예만 개시하고 있으나, 위에서 설명한 계수 방식의 종류에 따라 복수개의 버튼을 구비하여 계수 방식별로 버튼을 매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하드웨어 버튼 외에 소프트웨어 버튼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단순 계수가 아닌, 입금, 출금 등의 기능에 따라 복수개의 버튼을 구비하여 기능별로 버튼을 매핑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장 필요한 하나의 기능에 대한 하나의 버튼만 구비하여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편의상 도 3 내지 도 5에서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를 TCR이라 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110, 120)에 대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 매체가 투입되기 전에 버튼(210, 220)이 먼저 눌린 경우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버튼(210)이 먼저 눌린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매체 투입 전에 제 1 버튼(210)이 먼저 눌린 경우의 처리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매체 투입 전에 제 2 버튼(220)이 눌린 경우에도 도 3과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금융처리장치(200)의 제 1 버튼(210)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거나 클릭되어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현재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대기(IDLE)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02).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대기상태인 경우, 제어부(260)는 매체 투입을 대기한다(S103). 이어, 매체가 투입구(250)에 투입되면, 제어부(260)는 이를 감지하여 계수를 바로 수행하고(S104), 표시부(240) 및/또는 표시기(310)에 계수 결과를 출력한다(S105). 이때, 제어부(260)는 매체 투입이 감지되면 별도의 조작없이 바로 계수를 시작하거나 매체 투입 후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계수를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 S102의 판단 결과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대기 상태가 아닌 다른 계원단말 또는 계원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260)는 제 1 버튼(210)의 입력을 무효처리한다(S106). 이때, 제 1 버튼(210)의 입력을 저장부(270)에 기록해둘 수 있다. 이후,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점유된 서비스를 계속 수행한다(S107). 그 후 제어부(260)는 점유된 서비스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108),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를 대기상태로 진입시킨다(S109).
그 후, 제어부(260)는 상기 과정 S106 내지 S109의 처리 과정 중에 버튼 입력 기록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S210), 버튼 입력 기록이 있는 경우 상기 과정 S204로 이동하여 계수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버튼(210, 220)이 눌려지기 전에 매체가 먼저 투입된 경우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제어부(260)는 투입구(250)에 매체가 투입되는지를 판단하고(S201), 매체가 투입되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대기(IDLE)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2).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대기 상태인 경우, 제어부(260)는 버튼 입력을 대기한다(S203). 이어, 버튼이 입력되면 제어부(260)는 계수를 바로 수행하고(S204), 표시부(240) 및/또는 표시기(310)에 계수 결과를 출력한다(S205).
한편, 상기 과정 S202의 판단 결과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대기 상태가 아닌 다른 계원단말 또는 계원에 의해 점유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260)는 버튼을 비활성화하거나 버튼 눌림에 의한 버튼신호를 무효화한다(S206). 즉, 버튼이 눌려져도 버튼 신호가 제어부(260)로 인가되지 않도록 하거나 버튼 입력 동작이 정지되었음을 표시부(240)에 출력한다.
이때,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점유된 서비스를 계속 수행한다(S207). 그 후 제어부(260)는 점유된 서비스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08), 서비스가 완료된 경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를 대기상태로 진입시킨다(S209). 그리고,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대기상태임을 표시부(240)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상기 과정 S206 S209의 처리 과정 중에 버튼 입력이 있는 경우 버튼을 비활성화하거나 버튼신호를 무시하더라도 입력된 신호는 별도의 저장부(270)에 기록해둔 후,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대기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과정 S206 내지 S209의 처리 과정 중에 버튼 입력 기록이 있는 지를 판단하여(S210), 버튼 입력 기록이 있는 경우 상기 과정 S204로 이동하여 계수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금융처리장치(200)는 매체 투입 후 제 1 버튼(210) 또는 제 2 버튼(220)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간편하게 계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에 대한 별도의 점유요청과 버튼(210, 220)의 처리 방법을 나타낸다. 종래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계원 단말로부터 점유 서비스 요청(EX, 입금, 출금, 계수, 위조지폐 판정 등)을 받아 수행하는 경우, 점유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동시에 점유가 수행된다. 즉, 종래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별도의 점유 요청이 필요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점유 서비스와 별개로 계원에 의한 점유 요청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처리 과정을 도 5에 개시한다.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점유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고(S301) 계원으로부터 점유 요청이 있는 경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상태가 대기상태인지를 판단한다(S302). 이때, 설명의 편의상 제 1 계원으로부터 점유 요청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제어부(260)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대기상태가 아닌 경우 계수 동작중인 지 판단한다(S303).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계수 동작중인 경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사용중 처리를 한다(S304). 즉,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사용중임을 제 1 계원이 사용하는 제 1 계원 단말(110)에 알린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제 2 계원에 의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계수 동작중인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이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제 2 계원의 요청에 의한 계수 동작을 계속 진행하고(S305), 계수 동작이 완료되면 계수 결과를 제 2 표시기(320)로 출력한다(S306).
한편, 상기 과정 S303에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계수 동작중이지 않은 경우 제어부(260)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현재 다른 계원에 의해 점유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 1계원 단말(110)로 현재 다른 계원에 의해 점유중임을 알린다(S307). 그 후, 제어부(260)는 기 점유된 제 2 계원 단말(120)에 의한 점유 서비스를 계속한다(S308).
한편, 상기 과정 S302에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가 대기 상태인 경우, 제어부(260)는 제 1 계원에 대한 점유를 허가하고(S309), 제 1 계원의 제 1 계원 단말(110)에 대한 점유 처리를 수행한다(S310). 도 5에서는 제 1 계원이 점유를 요청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제 2 계원이 점유를 요청한 경우에도 도 5의 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처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버튼(210)을 누르는 동작 한가지 만으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상태를 판단하여 점유 처리와 계수 기능 등 2가지 동작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원의 업무 처리 절차를 단순화고,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를 사용하면서 단순 계수기와 같은 빠른 업무 처리가 가능하여 고객 응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2명의 계원이 하나의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를 공유함으로써 계원이 각각 계수 기능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기기 도입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구성요소, 그들의 접속 및 관계, 및 그들의 기능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는 은행, 관공서 등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계원용 업무 자동화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계원 단말(110, 120)은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PC, PDA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계원용 금융처리장치(200)의 구성요소들(210, 220, 230, 240, 250, 260)은 물리적으로 일체화된 것으로 구현되었지만,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통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은 임의 형태나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예,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의 예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 근거리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120: 계원 단말
150: 관리자 단말 200: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210: 제 1 버튼 220: 제 2 버튼
230: 통신부 240: 표시부
250 : 투입구 260: 제어부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고 매체가 투입되면 계수 기능을 수행하고 계수 결과를 상기 표시기로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단순 계수 기능을 요청받는 제 1 버튼; 사전에 지정된 묶음매수 단위로 계수하는 지정매수 계수 기능을 요청받는 제 2 버튼; 매체의 권종을 분류하여 계수하는 권종 분류 기능을 요청받는 제 3 버튼; 및 권종 분류 모드로 동작하며 지정 매수 단위로 계수하는 복합 기능을 요청받는 제 4 버튼을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제 1 계원에 의해 계수 동작을 요청받는 제 5 버튼; 및
    제 2 계원에 의해 계수 동작을 요청받는 제 6 버튼
    을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5 버튼에 의한 계수 결과를 상기 제 1 계원의 제 1 표시기로 출력하고,
    상기 제 6 버튼에 의한 계수 결과를 상기 제 2 계원의 제 2 표시기로 출력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가 대기상태이면 상기 매체의 투입을 대기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가 현재 사용중인 경우 상기 버튼이 눌려지더라도 상기 눌려진 버튼의 동작을 무시하고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에 현재 점유되어 있는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가 투입되면,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가 대기상태이면 상기 버튼의 입력을 대기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가 현재 사용중인 경우 상기 버튼 입력 동작을 정지시키고 현재 점유된 서비스를 계속 수행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가 계수 동작 진행 중에, 계원으로부터 점유 요청을 받으면, 상기 계수 동작을 계속하고 상기 계원의 계원단말로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가 사용중임을 알리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요청을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계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표시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버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고 매체가 투입되면 계수 기능을 수행하고 계수 결과를 상기 표시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단순 계수 기능을 요청받는 제 1 버튼; 사전에 지정된 묶음매수 단위로 계수하는 지정매수 계수 기능을 요청받는 제 2 버튼; 매체의 권종을 분류하여 계수하는 권종 분류 기능을 요청받는 제 3 버튼; 및 권종 분류 모드로 동작하며 지정 매수 단위로 계수하는 복합 기능을 요청받는 제 4 버튼을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시스템.
  11.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눌려지거나 매체가 투입되면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계원용 금융처리장치가 현재 대기 상태인 경우, 매체 투입 또는 버튼 누름을 대기하는 단계;
    상기 매체 투입 또는 버튼 누름이 수행되면 자동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 계수 동작에 의한 계수 결과를 표시기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단순 계수 기능을 요청받는 제 1 버튼; 사전에 지정된 묶음매수 단위로 계수하는 지정매수 계수 기능을 요청받는 제 2 버튼; 매체의 권종을 분류하여 계수하는 권종 분류 기능을 요청받는 제 3 버튼; 및 권종 분류 모드로 동작하며 지정 매수 단위로 계수하는 복합 기능을 요청받는 제 4 버튼을 포함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은, 제 1 계원에 의해 계수 동작을 요청받는 제 5 버튼; 및 제 2 계원에 의해 계수 동작을 요청받는 제 6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제 1 계원의 제 5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계수 결과를 상기 제 1 계원의 제 1 표시기로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 중 제 2 계원의 제 6 버튼이 눌려지면 상기 계수 결과를 상기 제 2 계원의 제 2 표시기로 출력하는 계원용 금융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055449A 2015-04-20 2015-04-20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28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449A KR101728221B1 (ko) 2015-04-20 2015-04-20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5/133,672 US10846676B2 (en) 2015-04-20 2016-04-20 Financia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CN201610247431.7A CN106067229B (zh) 2015-04-20 2016-04-20 金融设备及其控制方法和系统
EP16166199.6A EP3086299A1 (en) 2015-04-20 2016-04-20 Financia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449A KR101728221B1 (ko) 2015-04-20 2015-04-20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583A KR20160124583A (ko) 2016-10-28
KR101728221B1 true KR101728221B1 (ko) 2017-04-18

Family

ID=5586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449A KR101728221B1 (ko) 2015-04-20 2015-04-20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46676B2 (ko)
EP (1) EP3086299A1 (ko)
KR (1) KR101728221B1 (ko)
CN (1) CN1060672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74253B (zh) * 2016-12-16 2023-06-06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金融设备外设控制器检测系统
CN107622604A (zh) * 2017-10-16 2018-01-2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大额金融交易设备和大额金融交易系统
CN109408558A (zh) * 2018-09-30 2019-03-01 苏州浪潮智能软件有限公司 一种自助设备数据智能分析与应用系统
RU2767285C1 (ru) * 2020-12-08 2022-03-17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бербанк России" (Пао Сбербанк)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зачисления денежных средств при возникновении сбоев в канале устройства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в момент взноса наличност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3279B2 (ja) * 2000-03-09 2010-09-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端末、コントローラ、およびインターフェイス方法
JP4681561B2 (ja) * 2004-10-12 2011-05-1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識別計数機
US20060213754A1 (en) * 2005-03-17 2006-09-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application program task switching via a single hardware button
JP2007323230A (ja) * 2006-05-31 2007-12-13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JP5081508B2 (ja) 2007-06-29 2012-11-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システム
JP5202027B2 (ja) * 2008-02-26 2013-06-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の確認画面表示方法
KR20100023253A (ko) * 2008-08-21 2010-03-04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계수장치 및 지폐 계수 방법
JP5786694B2 (ja) * 2011-12-05 2015-09-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US20140156482A1 (en) * 2012-11-30 2014-06-05 Lg Cns Co., Ltd. Financia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KR101465305B1 (ko) 2012-11-30 2014-11-2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7229A (zh) 2016-11-02
US10846676B2 (en) 2020-11-24
EP3086299A1 (en) 2016-10-26
US20160307175A1 (en) 2016-10-20
CN106067229B (zh) 2019-08-06
KR20160124583A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221B1 (ko)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6851657B2 (ja) Posシステム、監視装置、プログラム及び監視方法
JP6888797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56482A1 (en) Financial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US20110137453A1 (en) Valuable media management system and valuable media management method
JP7252039B2 (ja) 両替システム及び両替方法
US11011007B2 (en)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monitor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system including the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and monitoring device
KR101965840B1 (ko)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419605B1 (ko) 계원용 금융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7236249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機のエラー対処方法
JP6625591B2 (ja) 取引装置
JP5172408B2 (ja) 釣銭機システム
JP7139693B2 (ja) 現金処理装置及び現金処理システム
JP6831749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貨幣処理方法
KR101425217B1 (ko) 금융자동화기기, 계원 단말기, 금융자동화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JP6477668B2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H0379749B2 (ko)
JP6193751B2 (ja) 取引装置、取引システム及び取引プログラム
KR101578288B1 (ko) 금융기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23033884A (ja) 現金処理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4250B1 (ko) 금융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카지노 관리 시스템
KR101609054B1 (ko) 카지노 환전용 금융기기 및 카지노 관리 시스템
JP6014553B2 (ja) 営業店システム及び取引制御方法
KR101854210B1 (ko) 카지노 관리 시스템
KR101587121B1 (ko)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