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121B1 -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121B1
KR101587121B1 KR1020140110571A KR20140110571A KR101587121B1 KR 101587121 B1 KR101587121 B1 KR 101587121B1 KR 1020140110571 A KR1020140110571 A KR 1020140110571A KR 20140110571 A KR20140110571 A KR 20140110571A KR 101587121 B1 KR101587121 B1 KR 101587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ser interface
processing
coi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코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코인
Priority to KR102014011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4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with change-giv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는 지폐들이 투입되는 지폐투입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의 위조 여부 및/또는 지폐의 금액을 산출하는 지폐판별부; 상기 지폐판별부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이 위조한 것이 아니라고 판별하면, 상기 지폐판별부를 통해 산출한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기 위한 물품선택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의 금액 중에서, 상기 물품 선택부에 의해 구매한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고,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인증처리부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는 동전처리부; 상기 동전처리부에서 처리한 금액을 연산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를 통해 연산한 값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미리 설정된 장치로 통지하는 알림부; 상기 동전처리부의 동전처리결과를 나타내는 영수증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영수증을 외부로 출력하는 영수증출력부;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의 장치 또는 다른 자동판매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지폐투입부, 상기 지폐판별부, 상기 표시부, 상기 물품선택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인증처리부, 상기 동전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 상기 알림부, 상기 영수증출력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THE VENDING MACHINE FOR PROCESSING COINS}
본 발명은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신용카드가 도입된 이후, 일상적인 생활에서 현금의 사용은 계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상점에서 작은 물건을 구매하려는 경우, 적어도 한 장의 지폐가 필요하다. 그리고,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지갑의 경우,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은 있으나, 동전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은 아예 없거나 터무니없이 작다. 이와 같이, 화폐 가치의 지속적인 하락, 불편한 휴대성으로 인해, 동전은 그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이 다양하므로, 현금을 사용하였을 경우, 동전은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동전의 낮은 활용도로 인해, 현금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여 거스름돈으로 동전을 거슬러 받게 되었을 때, 많은 사람들은 동전을 거슬러 받는 것을 불편하게 여기게 되었다.
또한, 자동판매기는 그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해, 우리 주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자동판매기의 경우, 지폐와 동전이 모두 투입이 가능하지만, 자동판매기를 통해 구매한 물품의 금액이 1,000원 단위가 아니면, 동전은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자동판매기를 통해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동전을 휴대하여야 하는데, 동전은 휴대하기가 불편하므로, 사용자들은 동전을 대수롭지 않게 아무 곳에나 보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실되는 동전은 증가하고, 시중에 유통되는 동전의 개수도 감소하게 되었다. 하지만, 동전의 경우, 동전을 제조하기 위한 통화발급이용이 동전의 액면가보다 비싼 것이 일반적이어서, 동전의 손실로 인해 새롭게 동전을 발급하는 경우, 통화발급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판매기에서 발생하는 동전을 계속적으로 휴대하지 않고도 동전을 사용할 수 있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동전을 발급하는데 투입되는 통화발급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에서 발생하는 동전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지역별, 개인별로 동전투입금액을 확인하여, 자동판매기에서 처리되는 동전량 및 활용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는 지폐들이 투입되는 지폐투입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의 위조 여부 및/또는 지폐의 금액을 산출하는 지폐판별부; 상기 지폐판별부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이 위조한 것이 아니라고 판별하면, 상기 지폐판별부를 통해 산출한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기 위한 물품선택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의 금액 중에서, 상기 물품 선택부에 의해 구매한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고,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인증처리부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는 동전처리부; 상기 동전처리부에서 처리한 금액을 연산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를 통해 연산한 값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미리 설정된 장치로 통지하는 알림부; 상기 동전처리부의 동전처리결과를 나타내는 영수증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영수증을 외부로 출력하는 영수증출력부;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의 장치 또는 다른 자동판매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지폐투입부, 상기 지폐판별부, 상기 표시부, 상기 물품선택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인증처리부, 상기 동전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 상기 알림부, 상기 영수증출력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는 상기 자동판매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처리한 연산결과 및 상기 위치확인부에서 확인한 위치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의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자동판매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물품 선택부에 의해 구매한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전반환 및 동전처리를 선택할 수 있는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동전처리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포함하는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차액의 동전처리방법으로 계좌이체, 포인트적립 및 사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선택한 사항을 추가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처리부는 상기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장치로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인증번호요청부;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인증번호생성부; 및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와 상기 인증번호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번호확인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은행명 및 계좌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동전처리부는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된 계좌번호로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포인트적립을 선택하면, 포인트적립방법으로 일반포인트 또는 통합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는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동전처리부는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선택한 포인트적립방법에 따라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적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사용을 선택하면, 사용방법으로 상품권 구매, 기프트권 구매, 복권 구매, 콘텐츠 구매, 교환권 구매, 쿠폰 구매 및 기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동전처리부는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선택한 사용방법에 따라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처리부는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에 대해, 계좌이체 및 포인트적립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동전처리부에서 처리한 계좌이체 금액 및 포인트적립 금액을 실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연산처리부를 통해 연산한 값이 특정한 장치에 관한 조건 또는 상기 자동판매기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장치로 통지하며, 상기 특정한 장치에 관한 조건은, 상기 특정한 장치에서 계좌이체한 금액 또는 적립한 포인트 금액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이고, 상기 자동판매기에 관한 조건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계좌이체한 금액 또는 적립한 포인트 금액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동전처리부에서 처리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 의하면, 자동판매기에서 발생하는 동전을 계속적으로 휴대하지 않고도 동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전을 발급하는데 투입되는 통화발급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에서 발생하는 동전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역별, 개인별로 동전투입금액을 확인하여, 자동판매기에서 처리되는 동전량 및 활용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동전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의 인증처리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동전처리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계좌이체를 선택하는 경우,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포인트적립을 선택하는 경우,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사용을 선택하는 경우,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는 지폐투입부(100), 지폐판별부(105), 표시부(110), 물품선택부(115), 물품출력부(120),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 동전반환부(130), 인증처리부(135), 동전처리부(140), 연산처리부(145), 위치확인부(150), 무선통신모듈(155), 영수증출력부(160), 알림부(165)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지폐투입부(100)에는 지폐들이 투입될 수 있다. 지폐들은 국내에서 통용되는 화폐이며, 이러한 지폐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 투입될 수 있다. 지폐투입부(100)는 지폐를 인식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이러한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투입되는 지폐들을 인식할 수 있다.
지폐판별부(105)는 지폐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들의 위조 여부 및/또는 지폐의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지폐판별부(105)는 지폐들의 위조 여부 및/또는 지폐의 금액을 산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미도시)로 구성되며,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지폐의 위조 여부 및/또는 지폐의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지폐판별부(105)가 투입된 지폐들이 위조한 것이 아니라고 판별하면, 지폐판별부(105)를 통해 산출한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5)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15)가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패널(미도시)이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 상에 함께 구현되어, 표시부(110)의 터치에 의해 일정한 값이 입력될 수도 있다. 즉, 표시부(110)에는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일정한 값들을 입력 및/또는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물품 및 가격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면에 표시된 물품들 중 어느 하나를 구매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금액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매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물품선택부(115)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면, 물품선택신호를 수신하는 자동판매기(10)는 선택된 물품선택신호에 대응하는 물품을 물품출력부(120)를 통해 자동판매기(1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품출력부(12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 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입된 지폐의 금액에서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은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금액을 확인한 후, 동전으로 반환 받거나, 다른 방법으로 동전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는 지폐투입부(100)에 투입된 지폐들의 금액 중에서, 물품선택부(115)에 의해 구매한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고,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표시부(110)에 전송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는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a),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b),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c),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d) 및 송수신부(125e)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a)는 동전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동전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반환(400) 및 동전처리(410)를 나타낸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25e)는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표시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동전반환(400) 및 동전처리(4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송수신부(125e)는 선택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25e)가 수신된 값에 따라, 자동판매기(10)는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125e)가 동전반환(400)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판매기(10)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금액의 동전을 동전반환부(130)를 통해 자동판매기(10)의 외부로 반환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25e)가 동전처리(410)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b)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b)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b)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500)을 포함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25e)는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표시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10)에 표시된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본인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125e)는 이를 인증처리부(135)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인증처리부(135)는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의 인증처리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처리부(135)는 인증번호요청부(135a), 인증번호생성부(135b) 및 인증번호확인부(135c)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화번호를 수신한 인증번호요청부(135a)는 인증번호생성부(135b)를 통해 인증번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인증번호가 기재된 문자 메시지를 전화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인증번호는 6자리 숫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510)을 포함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인의 번호로 수신된 인증번호를 도 5b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입력할 수 있다. 인증처리부(135)는 입력된 인증번호를 수신하고, 인증번호확인부(135c)는 입력된 인증번호와 인증번호생성부(135b)를 통해 생성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인증처리부(135)는 인증번호가 일치하면, 적법한 사용자로 인증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c)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증완료의 확인(520)을 포함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한 후,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된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적법한 사용자로 인증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는 동전을 처리하는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한 후,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c)는 동전처리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동전처리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동전처리방법으로 계좌이체(700), 포인트적립(710) 및 물품구매(720)을 나타낸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부(125e)는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표시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부(110)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표시된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기재된 동전들의 처리방법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계좌이체(700), 포인트적립(710) 및 사용(7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계좌이체(700)는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미리 설정된 계좌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계좌로 이체하는 것을 의미한다. 포인트적립(710)은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현금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로 적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720)는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전처리부(140)는 도 7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방법에 따라 동전을 처리할 수 있다. 계좌이체(700) 선택 신호를 수신한 동전처리부(140)는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계좌이체할 수 있다. 또한, 동전처리부(140)에서 처리한 결과는 표시부(11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d)는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선택한 사항을 추가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d)는 동전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계좌이체를 선택하는 경우,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계좌이체(700)를 선택하면,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d)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명(800) 및 계좌번호(810)를 입력하기 위한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은행명(800) 및 계좌번호(810)를 입력할 수 있다. 동전처리부(140)는 입력된 계좌번호로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체할 수 있다. 이 때, 계좌이체를 위해 공인인증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공인인증절차는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와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포인트적립을 선택하는 경우,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인트적립(710)을 선택하면,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d)는 포인트적립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포인트적립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트적립방법은 일반포인트 적립(900) 및 통합포인트 적립(9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에서, 포인트는 일반포인트와 통합포인트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포인트는 특정한 상점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또는 신용카드사 포인트이며, 현재 시중에서 통용되는 포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OK cashbag 포인트, CJ 포인트, 롯데 포인트, 현대 포인트, 삼성 포인트, 현대 포인트 등일 수 있다.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은 미리 설정된 전환비율에 따라 일반포인트로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환비율은 미리 설정된 비율이며, 그 비율은 변경될 수 있다.
통합포인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사용되는 포인트이며, 적립된 포인트는 다양한 용도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은 전부 포인트로 변환되거나, 미리 설정된 전환비율에 따라 변환될 수 있다.
도 9a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일반포인트 적립(900)을 선택하면, 도 9b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OK cashbag(900a), CJ 포인트(900b), 롯데 포인트(900c), 삼성 포인트(900d) 및 현대 포인트(900e)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b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 도시된 포인트들은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포인트들을 나타낸 것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포인트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동전처리부(140)는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선택된 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다. 이 때, 포인트 적립 결과는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a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통합포인트(910)를 선택하면, 동전처리부(140)는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통합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다. 이 때, 포인트 적립 결과는 표시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사용을 선택하는 경우, 수행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사용(520)을 선택하면,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d)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에서, 사용방법으로 상품권 구매(1000), 기프트권 구매(1010), 복권 구매(1020), 콘텐츠 구매(1030), 교환권 구매(1040), 쿠폰 구매(1050) 및 기부(106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품권 구매(1000)를 선택하면,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용하여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권은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권들 중 어느 하나의 상품권일 수 있다. 이러한 상품권들 중 어느 하나의 상품권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상품권들 중 어느 하나의 상품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품권은 미리 설정된 특정한 종류의 상품권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에 대응하는 금액만큼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권은 모바일 상품권일 수 있다. 동전처리부(140)는 구매한 모바일 상품권은 미리 설정된 번호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상품권을 수신한 사용자는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다.
기프트권 구매(1010)를 선택하면,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용하여 기프트권을 구매할 수 있다. 기프트권은 특정한 물품을 교환할 수 있는 쿠폰을 의미한다. 다양한 기프트권들 중 어느 하나의 기프트권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기프트권들 중 어느 하나의 기프트권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에 대응하는 기프트권을 구매할 수 있다. 동전처리부(140)는 구매한 기프트권은 미리 설정된 번호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기프트권을 수신한 사용자는 수신된 기프트권을 사용할 수 있다.
복권 구매(1020)를 선택하면,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용하여 복권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복권이란,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로또, 즉석복권 및 연금복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복권의 종류를 선택한 후,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에 대응하는 금액만큼 복권을 구매할 수 있다. 동전처리부(140)는 구매한 복권은 미리 설정된 번호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복권을 수신한 사용자는 수신된 복권의 당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구매(1030)을 선택하면,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란, 온라인에서 재생할 수 있는 영화, 게임, 음악, 강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콘텐츠의 종류를 선택한 후,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검색한 후, 검색한 콘텐츠를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의 범위 내에서 구매할 수 있다. 동전처리부(140)는 구매한 콘텐츠는 미리 설정된 번호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를 수신한 사용자는 수신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는 스마트 TV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교환권 구매(1040)를 선택하면,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용하여 교환권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교환권이란, 영화, 연극, 콘서트와 같은 티켓 또는 기차, 비행기, 버스와 같은 교통 수단을 구매할 수 있는 채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교환권을 선택한 후,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만큼 교환권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교환권은 모바일 교환권일 수 있다. 동전처리부(140)는 모바일 교환권을 미리 설정된 번호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교환권을 수신한 사용자는 수신된 모바일 교환권을 사용할 수 있다.
쿠폰 구매(1050)를 선택하면,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용하여 쿠폰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쿠폰이란,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품구매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관리비의 비용 지불이 가능한 쿠폰, 쓰레기 봉투를 구매할 수 있는 쿠폰,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쿠폰,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일 수 있으며, 이러한 쿠폰은 사용일자 및 사용처가 제한될 수 있다. 동전처리부(140)는 구매한 쿠폰을 미리 설정된 번호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쿠폰을 수신한 사용자는 쿠폰의 용도에 따라 수신된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기부(1060)를 선택하면,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용하여 기부를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의 범위 내에서 기부하고자 하는 금액 및 기부하고자 하는 단체, 개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동전처리부(140)는 기부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연산처리부(145)는 동전처리부(140)에서 처리한 계좌이체 금액 및 포인트적립 금액을 연산할 수 있다. 즉, 연산처리부(145)는 실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졔좌이체 금액 및 포인트적립 금액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처리부(145)는 제 1 시점과 제 2 시점 사이에서의 값을 연산하거나, 누적된 값을 연산할 수도 있다. 연산된 값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위치확인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확인부(150)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GPS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확인부(150)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 수신기를 통해 인공위성에서 발신하는 마이크로파를 수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5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가 외부의 장치, 서버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동전을 관리하는 자동판매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무선통신모듈(155)은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장치란, 무선통신 수행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무선통신모듈(155)은 외부의 장치, 서버 또는 다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보유한 데이터 및/또는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여 공유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55)은 연산처리부(145)에서 처리한 연산결과 및 위치확인부(150)에서 확인한 위치정보를 외부로 전송하여, 다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와 연산결과 및 위치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를 이용하는 개인별 및 위치별로 계좌이체금액 및 포인트변환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전활용도에 관한 추가적인 대응 방안 및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영수증출력부(160)는 동전처리부(140)의 동전처리결과를 나타내는 영수증을 생성한 후, 자동자판기(1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계좌이체의 경우, 계좌에 존재하였던 금액 및 계좌이체를 통해 이체된 금액의 결과는 나타낸 영수증을 생성한 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적립의 경우, 사용자가 보유하였던 포인트 및 포인트적립을 통해 추가 적립한 포인트를 나타내는 영수증을 생성한 후,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알림부(165)는 연산처리부(145)를 통해 연산한 값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이를 미리 설정된 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조건은 특정한 장치에 관한 조건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에 관한 조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장치에 관한 조건의 경우, 특정한 장치가 3회 이상 인증되거나, 인증을 실패한 경우, 특정한 장치에서 계좌이체한 금액이 10,000원을 초과하는 경우, 특정한 장치에서 적립한 포인트의 금액이 10,000원을 초과하는 경우를 조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를 특정한 개인이 미리 설정한 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10)에 관한 조건의 경우, 자동판매기(10)에서 계좌이체한 금액이 100,000원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판매기(10)에서 적립한 포인트의 금액이 100,000원을 초과하는 경우를 조건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를 특정한 개인이 미리 설정한 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이 때, 문자 메시지 전송을 통해 통지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메일이나 다른 통지 수단을 통해 통지할 수도 있다. 알림부(165)를 통해, 통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에서 수행되는 동전 처리 결과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를 구성하는 지폐투입부(100), 지폐판별부(105), 표시부(110), 물품선택부(115), 물품출력부(120),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125), 동전반환부(130), 인증처리부(135), 동전처리부(140), 연산처리부(145), 위치확인부(150), 무선통신모듈(155), 영수증출력부(160) 및 알림부(165)가 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성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각 구성성분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각 구성성분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구성성분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10)에 의하면, 자동판매기에서 발생하는 동전을 휴대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실되는 동전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동전을 발급하는데 투입되는 통화발급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10)의 연산결과 및 위치정보를 외부의 장치 또는 서버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각 자동판매기에서 처리되는 동전량 및 활용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100: 지폐투입부
105: 지폐판별부
110: 표시부
115: 물품선택부
120: 물품출력부
125: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130: 동전반환부
135: 인증처리부
140: 동전처리부
145: 연산처리부
150: 위치확인부
155: 무선통신모듈
160: 영수증출력부
165: 알림부
170: 제어부

Claims (10)

  1. 지폐들이 투입되는 지폐투입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의 위조 여부 및/또는 지폐의 금액을 산출하는 지폐판별부;
    상기 지폐판별부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이 위조한 것이 아니라고 판별하면, 상기 지폐판별부를 통해 산출한 금액을 표시하는 표시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기 위한 물품선택부;
    상기 투입된 지폐들의 금액 중에서, 상기 물품 선택부에 의해 구매한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고,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에 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처리부;
    상기 인증처리부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는 동전처리부;
    상기 동전처리부에서 처리한 금액을 연산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를 통해 연산한 값이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미리 설정된 장치로 통지하는 알림부;
    상기 동전처리부의 동전처리결과를 나타내는 영수증을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영수증을 외부로 출력하는 영수증출력부;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의 장치 또는 다른 자동판매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지폐투입부, 상기 지폐판별부, 상기 표시부, 상기 물품선택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인증처리부, 상기 동전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 상기 알림부, 상기 영수증출력부 및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물품 선택부에 의해 구매한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전반환 및 동전처리를 선택할 수 있는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동전처리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창을 포함하는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차액의 동전처리방법으로 계좌이체, 포인트적립 및 사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선택한 사항을 추가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제 1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처리한 연산결과 및 상기 위치확인부에서 확인한 위치정보를 상기 미리 설정된 외부의 장치 또는 상기 다른 자동판매기로 전송하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처리부는
    상기 제 2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장치로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인증번호요청부;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인증번호생성부; 및
    상기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증번호와 상기 인증번호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통해,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번호확인부을 포함하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계좌이체를 선택하면, 은행명 및 계좌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동전처리부는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입력된 계좌번호로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이체하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포인트적립을 선택하면, 포인트적립방법으로 일반포인트 또는 통합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는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동전처리부는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선택한 포인트적립방법에 따라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적립하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 생성부는
    상기 제 3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사용을 선택하면, 사용방법으로 상품권 구매, 기프트권 구매, 복권 구매, 콘텐츠 구매, 교환권 구매, 쿠폰 구매 및 기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동전처리부는 상기 제 4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선택한 사용방법에 따라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을 사용하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처리부는
    상기 물품을 구매하고 남은 차액에 대해, 계좌이체 및 포인트적립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연산처리부는
    상기 동전처리부에서 처리한 계좌이체 금액 및 포인트적립 금액을 실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연산하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9.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연산처리부를 통해 연산한 값이 특정한 장치에 관한 조건 또는 상기 자동판매기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장치로 통지하며,
    상기 특정한 장치에 관한 조건은, 상기 특정한 장치에서 계좌이체한 금액 또는 적립한 포인트 금액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이고,
    상기 자동판매기에 관한 조건은, 상기 자동판매기에서 계좌이체한 금액 또는 적립한 포인트 금액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인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동전처리부에서 처리한 결과를 표시하는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KR1020140110571A 2014-08-25 2014-08-25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KR101587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571A KR101587121B1 (ko) 2014-08-25 2014-08-25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571A KR101587121B1 (ko) 2014-08-25 2014-08-25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121B1 true KR101587121B1 (ko) 2016-01-20

Family

ID=5530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571A KR101587121B1 (ko) 2014-08-25 2014-08-25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1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2228A (ja) * 2002-11-01 2004-05-27 Sevin Kk 自動販売機及び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金融システム
KR20110101579A (ko) * 2010-03-09 2011-09-16 주식회사 다날 잔돈 적립을 이용한 선불 카드 충전 방법 및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2228A (ja) * 2002-11-01 2004-05-27 Sevin Kk 自動販売機及び自動販売機を利用した金融システム
KR20110101579A (ko) * 2010-03-09 2011-09-16 주식회사 다날 잔돈 적립을 이용한 선불 카드 충전 방법 및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9989B (zh) 自動化裝置用電子結算系統
JP6168990B2 (ja) トランザクション信号を形成する方法
CA2943468C (en) Electronic voucher ticket system
US10235838B2 (en) Electronic voucher ticket system
US201302738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Commerce
JP2016539393A (ja) 電子クーポン券システム
AU2010222885B2 (en) Portable consumer device for use in currency conversion process
CN107466409A (zh) 使用电子电信装置的绑定过程
JP6082830B1 (ja) オフラインの店頭第三者支払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ネット接続されたモバイ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使用した通貨交換方法
WO2013120007A1 (en) Using credit card/bank rails to access a user's account at a pos
WO2020095954A1 (ja) 仮想通貨取引装置、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及び仮想通貨取引方法
KR101436733B1 (ko) 상품권 환전을 위한 금융기기, 방법, 서버 및 시스템
JP2006331152A (ja) 決済システム
KR101587121B1 (ko) 동전을 처리하는 자동판매기
US20130073407A1 (en) Method, reverse vending machine, data processing unit and computer programme product for initiating a data transaction in relation to a self-service purchase
JP2019028850A (ja) 精算システム
US10559155B2 (en) Electronic payment system for operating automated machine
CA2943479C (en) Electronic voucher ticket system
KR101471787B1 (ko) 상품권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20160150074A (ko) 선불형 데이터 이머니 전환 시스템
KR20180077617A (ko) 핀테크 결제 기능이 구비된 자동판매기
WO2019117034A1 (ja) 端末装置、現金自動預払機、振込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593096B2 (ja) ブランドプリペイドチャージシステム
KR20160028279A (ko) 잔돈 적립 서버 및 잔돈 적립 방법
JP2021068219A (ja) 飲料販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