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797A -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 Google Patents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797A
KR20110010797A KR1020107028570A KR20107028570A KR20110010797A KR 20110010797 A KR20110010797 A KR 20110010797A KR 1020107028570 A KR1020107028570 A KR 1020107028570A KR 20107028570 A KR20107028570 A KR 20107028570A KR 20110010797 A KR20110010797 A KR 20110010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gosteen
extract
atopic dermatitis
tes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코 구로다
히로아키 히구치
아츠시 나리세
가츠마사 시미즈
겐지 오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10010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부작용 등의 우려가 낮고 안전성이 높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L.) 과피로부터 극성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찾아 내었다. 즉, 본 발명은 망고스틴 과피로부터 극성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PREVENTATIVE AND/OR THERAPEUTIC AGENT AGAINST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망고스틴 과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악화ㆍ완화를 반복하는, 가려움이 있는 습진을 주요 병변으로 하는 질환으로, 환자의 상당수는 아토피 소인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소인이란 (1) 가족력ㆍ환자의 과거 병력 (2) IgE 항체를 산생하기 쉬운 소인을 말한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요 병변은, 피부의 붉은 반점 또는 구진 (丘疹), 귀가 붙어 있는 부분의 찢어짐, 건조성 피부, 비강성 낙설을 수반하는 모공 일치성 각화성 구진, 환부 피부의 긁은 상처의 흔적을 들 수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병률은 4 개월 유아 12.8 %, 1 세반 유아 9.8 %, 3 세 유아 13.2 %, 초등학교 1 학년 11.8 %, 초등학교 6 학년 10.6 %, 대학교 1 학년 8.2 % 이고, 소아에 있어서는 10 명에 1 명으로 높다. 원인ㆍ악화 인자는, 음식, 발한, 환경 인자, 세균 진균, 접촉 항원, 스트레스 등이 주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에는 1) 원인ㆍ악화 인자의 검색과 대책 2) 스킨 케어 3) 약물 요법에 의해 행해진다. 1) 2) 에 의해 증상이 경쾌하지 않은 경우에 약물에 의한 치료 행해진다. 약물은 스테로이드 외용약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다종류의 스테로이드 외용약이 존재한다. 그것들은 임상 효과에 의해 위크로부터 스트론게스트의 5 단계로 분류되고, 환자의 중증도나 연령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된다. 한편, 비스테로이드계의 외용약으로서는, 면역 조정제인 프로토픽은 최근 그 유용성이 인정받고 있다. 또, 경구약으로서는 항히스타민약, 항알레르기약 등이 사용되고, 최중증도의 환자에 한해서는 스테로이드의 내복약이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는 외용약으로서 사용한 경우, 피부의 위축, 혈관 확장, 모낭염 등의 부작용이 수반되는 경우가 있어, 후생 노동 과학 연구반에 의해 작성된 가이드 라인에 따르면, 안면에는 스테로이드 외용약은 되도록 사용하지 않도록 지도되고 있다. 또 스테로이드약에 대해서는 부작용을 불안하게 생각하여 거부 반응을 보이는 환자가 많다. 한편, 프로토픽은, 1999 년 11 월에 사용이 인정된 비교적 새로운 약제로, 아직 16 세 미만인 환자에게는 저농도로 사용하는 것 밖에 인정되지 않고, 또한 2 세 이하인 소아에서는 저농도의 사용도 인정되지 않았다. 내복약인 항히스타민약, 항알레르기약은, 졸음, 나른함, 또한 항콜린 작용에 수반되는 가래 뱉어내기 어려움 등의 부작용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부작용이 적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추구하여, 천연물로부터의 추출물이며,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가 될 수 있는 것을 탐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 아토피성 피부염은 개, 고양이, 가축과 같은 사람 이외의 동물에서도 발병하는 경우가 알려지고, 그 예방,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
물레나물과의 식물인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L.) 의 과피는 태국에서는 민간약으로서 설사 멈춤이나 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망고스틴 과피 중에 포함되는
Figure pct00001
-망고스틴, γ-망고스틴이,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시킨다는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특허 제 3968405 호는, 망고스틴의 추출물로부터 정제된
Figure pct00002
-망고스틴 및 7-망고스틴이, 항히스타민 효과 또는 항세로토닌 효과를 갖는 점, 또한,
Figure pct00003
-망고스틴 및 γ-망고스틴이 사람 화분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보이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8379 호는 망고스틴 추출물, 특히
Figure pct00004
-망고스틴, γ-망고스틴이 IκB 키나아제에 대한 저해 효과를 갖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78770 호는 물레나물과 식물의 추출물이 스트레스의 영향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 망고스틴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의 기구를 해명하기 위한 연구도 행해지고 있다. Biol. Pharm. Bull., 25, p1137 (2002) 는 망고스틴 추출물이 히스타민의 방출 및 프로스타글란딘 E 의 합성을 저해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Eur. J. Pharmacol., 314, p351 (1996) 는
Figure pct00005
망고스틴이 히스타민 H 리셉터의 안타고니스트인 점을 개시하고 있다. Mol. Pharmacol., 66, p667 (2004) 는 γ 망고스틴이 IκB 키나아제 활성을 억제시키는 점, 프로스타글란딘 E 의 방출을 억제시키고, 그 결과 시클로옥키시게나아제 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Biochem. Pharmaco1., 63, p73 (2002) 는 γ 망고스틴이 시클로옥시게나아제 및 프로스타글란딘 E2 의 합성을 억제시키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망고스틴 과피의 추출물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안전성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17365호의 단락 번호 0015 에서는 마우스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 시험을 실시하고,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을 10 g/Kg 을 투여해도 사망 예는 확인되지 않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44004호의 0047 에 나타낸 안전성 시험에서는, 사람 피부에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이 도포되는 자극성 시험을 실시하여, 자극성이 매우 낮고, 그 안전성이 높은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968405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8379호에서는, 망고스틴 추출물로부터 정제된
Figure pct00006
망고스틴, γ 망고스틴이,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점, 또한
Figure pct00007
망고스틴 및 γ 망고스틴이 사람 화분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보이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 있어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효과는 검토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망고스틴 과피로부터 추출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부작용 등의 우려가 낮고 안전성이 높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 망고스틴 과피로부터 극성 용매로 추출한 것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을 찾아 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망고스틴 과피로부터 극성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망고스틴 과피로부터 극성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는, 애완동물, 가축 및/또는 가금, 특히 개 및/또는 고양이에게 적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망고스틴 과피로부터 극성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망고스틴 과피는 망고스틴 과실 (날 것 또는 건조품) 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망고스틴 과피는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추출률의 향상을 고려하면, 파쇄 또는 분말로 한 후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추출 전에 망고스틴 과피를 비극성 용매로 탈지할 수도 있다.
추출은 극성 용매인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2-프로판올, n-부탄올, 아세톤, 아세트산 에틸 및 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극성 용매 중 적어도 1종의 용매를 적용하여 실시한다. 2 종류 이상의 용매를 조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경구 투여제 또는 음식품, 사료 등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추출 용제로서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과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추출 온도는 특별히 규정은 하지 않지만, 추출 효율 면에서, 실온으로부터 용매의 비점 온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은 용매의 종류, 과피의 상태 (날 것 또는 건조품, 분쇄물 또는 분말 등) 및 추출 온도에 따라 변화되지만, 0.5 ∼ 24 시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이배퍼레이터 등에 의해 추출 용제를 농축시키거나 또는 제거해도 된다. 또,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용매 획분이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는, 청량 음료, 과자, 빙과, 유제품, 주류 및 육류 등의 식품 및 사료에 첨가할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로서의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 방법 및 필요한 치료에 따라 변화되고, 한 마디로 규정할 수 없지만, 추출물은 동물 1 kg 당 60 ∼ 250 mg, 사람에게는 0.3 m g ∼ 300 mg/kg체중/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g ∼ 200 mg/kg체중/일이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 식품은, 식품으로서의 1 일 통상 섭취량으로 상기의 유효량을 만족시키도록 배합량을 규정할 수 있다. 1 일 당의 양을 몇 회로 나누어 섭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용 사료는, 사료로서의 1 일 통상 섭취량으로 상기의 유효량을 만족시키도록 배합량을 규정할 수 있다. 1 일 당의 양을 몇 회로 나누어 섭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망고스틴 과피의 추출물에 의해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 또는 치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추출물은 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망고스틴에서 추출되어, 추가적인 정제를 하지 않고도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을 투여하면, 프로토픽 연고를 도포한 군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효과가 확인된다. 본 발명의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혈중 총 IgE 값의 상승이 억제되고, 알레르기 반응이 전신적으로 억제되는 것이 시사되어 있다.
또 망고스틴은 과일의 여왕이라고 불리고, 그 과실은 식용에 제공되고 있으며, 지명도도 높아 이미지가 좋은 소재이다. 따라서 망고스틴 과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는 풍문에 의한 불안을 주지 않아 환자가 받아들이기 쉽다. 또, 망고스틴 과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사료는, 그 후 식용으로서 사용되는 가축에 사용할 때에도 받아들이기 쉽고, 또 개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게 사용될 때에, 애완동물 애호가도 받아들이기 쉽다.
도 1 은 각 군에 있어서의 임상 증상 스코어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각 군에 있어서의 시험 개시 전후의 긁기 행동 횟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각 군에 있어서의 시험 개시 전후의 긁기 행동 시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각 군에 있어서의 시험 개시 전후의 혈중 IgE 값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각 군에 있어서의 경표피 수분 상실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각 군에 있어서의 체중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예를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은 이하와 같이 얻어졌다. 즉, 망고스틴의 건조되지 않은 과피 100 g 을 분쇄하고, 1 ℓ 의 70 % 에탄올 내에서 1 시간, 80 ℃ 에서 교반 추출하였다. 이것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이배퍼레이터로 감압 건조시켜 27.4 g 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의 섭취가 알레르기에 의한 피부염의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아토피성 피부염 자연 발증 모델 마우스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생후 5 ∼ 6 주령된 아토피성 피부염 자연 발증 모델 마우스인 NC/NgaTnd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이들의 실험동물은 실험 개시 전에 1 주일의 예비 사육을 실시한 후,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 (給餌) 군, 대조 사료 급이군,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의 3 군 (N=7) 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통계학적 처리는, Dunnet 의 다중 비교 검정 또는 스튜던트의 t 검정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을 사료 (CRF-1, 오리엔탈 효모사 제조) 에 0.25 % W/W 가 되도록 혼합하여,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분말 먹이 사료로 하였다. 이 사료를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의 NC/NgaTnd 마우스에게 망고스틴 추출물의 섭취량이 250 mg/kg/일이 되도록 자연 섭취시켰다. 대조 사료 급이군의 NC/NgaTnd 마우스에게는 통상 사료 (CRF-1) 를 자연 섭취시켰다.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의 NC/NgaTnd 마우스에게는, 대조 사료 급이군과 마찬가지로 통상 사료 (CRF-1) 를 자연 섭취시키고, 1 일 1 회, 주 5 회 프로토픽 (0.1 % 연고) 의 도포를 실시하였다. 어느 군에서나 식이 및 물은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상기의 3 군에 대해서 피부염 스코어의 판정을 하였다. 판정 방법은 Matsuda, H., et al., Int. Immuno1. 9 : 461―466, 1997 을 참고로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즉, 시험식 (食) 급이 개시 전날 및 급이 개시날부터 최종 급이 다음날까지의 매주 2 회, 「긁은 상처 흔적 상태」 「붉은 반점/출혈」 「부종」 「찰상/미란」 「낙설/건조」의 5 개 항목에 대해서 「0 : 없음」 「1 : 경도」 「2 : 중등도」 「3 : 중증」의 4 단계로 나누어 판정하였다. 한편, 판정자와 급이하는 사람은 시험 기간 동안 서로 다른 사람이 실시하고, 판정자에게 동물이 어느 군에 속하는지 알 수 없도록 하여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는, ○ 은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군, △ 는 대조 사료 급사군, □ 는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을 나타낸다.
표 1 각 군의 임상 증상 스코어의 평균값과 표준오차
(A :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군 N=8, B : 대조 사료 급이군 N=7, C :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 N=7)
Figure pct00008
모든 군에 있어서, 시험 개시시의 임상 증상 스코어는 0 (미발증) 이었다. 대조 사료 급이군에서는, 시험 개시 3 일 후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임상 증상 스코어의 상승이 확인되고, 시험 종료시의 임상 증상 스코어는 5.0±1.0 이었다.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에서는, 시험 개시 14 일 후부터 경도한 피부염의 발증이 확인되고, 시험 종료시의 임상 증상 스코어는 2.6±0.8 이었다.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군에서는, 시험 개시 3 일 후부터 매우 경도한 피부염 증상이 확인되었지만, 현저한 악화를 보이지 않고, 시험 종료시의 임상 증상 스코어는 1.3±0.4 로 낮은 상태였다.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에서는, 시험 개시 3 일째부터 28 일째까지는, 대조 사료 급이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임상 증상 스코어를 유지했는데, 시험 개시 31 일째 이후 통계학적 유의차가 확인되지 않게 되었다. 한편,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군에서는, 시험 개시 14 일째 이후 시험 종료까지, 임상 증상 스코어의 억제에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확인되었다. 또한, 시험 기간 동안,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에 따른 눈에 띈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3
상기와 동일한 3 군에 대해서, 긁은 상처 흔적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측정을 실시하고,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의 섭취가 알레르기에 의한 피부염의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정은 Orito, K. et al. Brit. J. Dermato1. 150 : 1―6, 2004 를 참고로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전체 군의 마우스는 측정 환경에 순화시킬 목적에서, 시험식 급이 개시의 3 일전부터 1 일 1 회 2 일간 20 분간의 긁기 횟수 측정 장치 (SCLABA, 노벨테크사 제조) 내에서 순화시켰다. 시험 개시 전의 긁기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측정은, 급이 개시 전날에 20 분간 순화시킨 후, 20 분간의 촬영, 기록을 실시하였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시험 식이 종료전에 순화시킨 후, 시험 종료일 다음날에 긁기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촬영, 기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촬영은, 촬영일과 고체 번호를 기록하고, 12 시부터 18 시 동안에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2, 도 3 에 나타낸다. 모든 군에 있어서, 시험 개시시의 긁기 빈도 (Scratching Frequency) 및 긁기 시간 (Scratching Duration) (초) 는 20 분간의 촬영 시간당 각각 1 회 및 0.2 초 전후였다. 어느 군에서도, 시험 개시 전 (시험식 급이 전날) 에 비해 시험 종료후 (시험식 급이 종료 다음날) 에는 긁기 행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군 및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차는 얻어지지 않았다. 한편, 대조 사료 급이군에서는, 시험 개시 전과 비교하여 시험 종료시에는, 현저한 긁기 행동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상기와 동일한 3 군에 대해서 혈중 IgE 농도의 측정을 실시하고,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의 섭취가 알레르기에 의한 피부염의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검증을 실시하였다. IgE 의 농도 측정은 Tanaka, A. et al., J. Invest. Dermatol. 127 : 855-863, 2007 을 참고로 이하와 같이 실시하였다. 급이 개시 전에는 꼬리 정맥으로부터, 그리고 급이 종료일은 긁기 횟수 및 지속 시간의 촬영/기록을 실시한 후에, 에테르 마취를 한 후, 헤파린 처리를 한 시린지를 사용하여, 혈액 약 1 ㎖ 를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4 ℃ 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혈장을 얻고, -20 ℃ 에서 동결 보존하였다. IgE 의 측정은 2 종류의 상이한 에피토프를 인식하는 항마우스 IgE 항체 (ME-01-DE 및 ME-02-B, 모두 야마사사 제조) 를 사용한 샌드위치 ELISA 법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4 에 나타낸다. 시험 개시 전의 혈중 총 IgE (ng/l㎖) 는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군에서 531±104, 대조 사료 급이군에서 782±108,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에서 556±207 로, 군 사이에 통계학적 유의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어느 군에서도, 시험 개시 전에 비해 시험 종료후에는 혈중 총 IgE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대조 사료 급이군과 비교하여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군 및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혈중 총 IgE 값 상승의 억제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5
상기와 동일한 3 군에 대해서 경표피 수분 상실량 (TEWL) 의 측정을 실시하고,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의 섭취가 알레르기에 의한 피부염의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검증을 실시하였다. TEWL 의 측정은 마우스의 등부를 측정 전날에 제모하고 멀티 프로브 어댑터 (CK electronic 사 제조) 를 사용하여 등부의 TEWL 를 측정하였다. 매회 1 고체에 대해 3 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TEWL 값으로 하였다. 측정은 시험 전 및 시험 종료 후의 2 회 및 그 사이의 2 주일에 1 회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5 에 나타낸다. 모든 군에 있어서, 시험 개시시의 TEWL 은 5g/hr/m2 로, 정상 범위 내였다. 시험 개시 2 주일 째 이후, TEWL 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특히 대조 사료 급이군에서는 시간 경과적으로 상승하고, 시험 종료시에는 29.7±7.6 g/hr/m2 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프로토픽 연고 도포군에서도 시험 개시 4 주일 째까지는 동일하게 상승했지만, 시험 종료시에는 17.1±7.6 g/hr/m2 로, 대조 사료 급이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통계학적 유의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급이군에서는, 전체 시험 기간 중 동안 10g/hr/m2 미만의 정상 범위 내를 유지하고, 시험 종료시에는 대조 사료 급이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낮은 값을 보였다.
실시예 6
상기와 동일한 3 군에 대해서 체중 측정을 실시하였다. 전자 천칭 (HL―320, 아스트한센사 제조) 을 사용하여, 시험식 급이 개시 전날부터 2 주일 마다 체중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6 에 나타낸다. 시험 개시시의 체중은 20.0 ∼ 23.6 g 이었다. 그 후 각 군 모두 시간 경과적으로 증가하고, 체증 증가율에 군 사이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고, 망고스틴 투여에 의한 부작용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7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트로키제를 조제하였다.
포도당 72.3 %
유당 18.0
아라비아검 6.0
향료 1.0
모노플루오로인산 나트륨 0.7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2.0
100.0 %
실시예 8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추잉껌을 조제하였다.
껌 베이스 20.0 %
설탕 54.7
글루코오스 14.5
물엿 9.3
향료 0.5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1.0
100.0 %
실시예 9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캔디를 조제하였다.
설탕 50.0 %
물엿 33.4
시트르산 1.0
향료 0.2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1.0
물 14.4
100.0 %
실시예 10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구미젤리를 조제하였다.
젤라틴 60.0 %
물엿 23.0
설탕 7.5
식물유지 4.5
만니톨 2.9
레몬 과즙 1.0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1.0
100.0 %
실시예 11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초콜릿을 조제하였다.
분당 (粉糖) 40.8 %
카카오비타 20.0
전지분유 20.0
카카오버터 17.0
만니톨 1.0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1.0
향료 0.2
100.0 %
실시예 12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샤베트를 조제하였다.
오렌지 과즙 25.0 %
설탕 25.0
흰자 10.0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0.1
향료 0.1
물 39.8
100.0 %
실시예 13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아이스크림을 조제하였다.
탈지분유 50.0 %
생크림 25.0
설탕 10.0
난황 10.0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1.0
향료 0.1
물 3.9
100.0 %
실시예 14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비스켓을 조제하였다.
박력분 1 급 25.0 %
중력분 1 급 22.0
정백당 5.0
식염 1.0
포도당 1.0
팜 쇼트닝 12.0
탄산수소나트륨 0.2
중아황산 나트륨 0.2
쌀가루 2.0
전지분유 1.0
대용 분유 0.6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1.0
물 29.0
100.0 %
실시예 15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정과 (錠果) 를 조제하였다.
설탕 75.8 %
글루코오스 19.0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2
향료 0.2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0.8
물 4.0
100.0 %
실시예 16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음료를 조제하였다.
오렌지 과즙 30.0
이성화 (異性化) 당 15.14
시트르산 0.1
비타민 C 0.04
향료 0.1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0.2
물 54.42
100.0 %
실시예 17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개용 사료를 조제하였다.
식육 원료 (닭고기, 쇠고기) 40.3
돼지 등 지방 2.5
얼음 19.0
식물 단백질 30.3
뼈가루 3.8
식염 0.4
중합 인산염 0.2
당류ㆍ조미료 2.5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1.0
100.0 %
실시예 18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고양이용 사료를 조제하였다.
옥수수 30.0
소맥분 35.0
어분 15.0
미트밀 8.9
우지 4.0
식염 1.0
가다랭이 엑기스 5.0
비타민류 0.4
미네랄류 0.4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0.3
100.0 %
실시예 19
실시예 1 에서 조제한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돼지용 사료를 조제하였다.
옥수수 65.0
마일로 5.0
탈지쌀겨 3.0
콘잼밀 2.0
콩깻묵 17.0
어분 4.0
동물성 유지 2.0
탄산칼슘 1.0
프레믹스 0.9
망고스틴 과피 추출물 0.1
100.0 %
이 출원은 2008 년 5 월 22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8-134246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7)

  1.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L.) 과피로부터 극성 용매로 추출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2. 제 1 항에 있어서,
    극성 용매가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인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3.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L.) 과피로부터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IgE 항체의 산생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식품.
  5.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L.) 과피의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의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또는 치료용 식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를 함유하는 사료.
  7. 망고스틴 (Garcinia mangostana L.) 과피의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에 의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또는 치료용 사료.
KR1020107028570A 2008-05-22 2009-05-19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KR201100107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34246 2008-05-22
JP2008134246 2008-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97A true KR20110010797A (ko) 2011-02-07

Family

ID=4134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570A KR20110010797A (ko) 2008-05-22 2009-05-19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76348A1 (ko)
EP (1) EP2301558A4 (ko)
JP (1) JPWO2009142320A1 (ko)
KR (1) KR20110010797A (ko)
CN (1) CN102036673A (ko)
TW (1) TW201000113A (ko)
WO (1) WO2009142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5476A4 (en) * 2009-03-31 2012-12-05 Lotte Co Ltd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 / OR PREVENTION OF DERMOPATHIES
WO2014013727A1 (ja) * 2012-07-19 2014-01-23 株式会社ロッテ 免疫調節剤
CN106361784B (zh) * 2015-07-24 2020-08-14 山酮新药开发股份有限公司 山竹果果壳萃取物用于治疗皮肤疾病的用途
TWI627960B (zh) * 2015-07-24 2018-07-01 山酮新藥開發股份有限公司 山竹果果殼萃取物用於治療皮膚疾病之用途
EP3175887B1 (fr) * 2015-12-01 2020-06-24 Denis Bernhard Creme cosmetique de sudation
EP4304620A1 (en) * 2021-04-09 2024-01-17 Xantho Biotechnology Co., Ltd Use of mangosteen fruit shell extract in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treating bedsores
AU2022442015A1 (en) * 2022-02-18 2024-03-21 Xantho Biotechnology Co., Ltd Use of mangosteen fruit shell extract in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promoting wound healing in diabet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0212B2 (ja) 1991-01-29 1999-05-10 有限会社野々川商事 化粧料
JP3010566B2 (ja) 1991-07-03 2000-02-21 有限会社野々川商事 テストステロン 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JPH07250658A (ja) * 1994-03-11 1995-10-03 Dainippon Ink & Chem Inc 抗菌剤
JP3968405B2 (ja) * 1996-08-30 2007-08-29 株式会社ロッテホールディングス 抗アレルギー剤
JP2001278770A (ja) 2000-03-30 2001-10-10 Pola Chem Ind Inc ストレスの影響緩和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皮膚外用剤
JP5140231B2 (ja) 2004-04-08 2013-02-06 株式会社ロッテ IκBキナーゼ阻害剤
CA2587628A1 (en) * 2004-11-16 2006-05-26 Renaissance Herbs, Inc. Pharmaceutical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derived from garcinia mangostana l plant
JP2006169149A (ja) * 2004-12-15 2006-06-29 Hosoda Shc:Kk 皮膚表皮基底細胞増殖促進剤
US7581427B2 (en) 2006-11-14 2009-09-01 Mocon, Inc. Workspace analyte sens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fan to move samples from the workspace to th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320A1 (ja) 2009-11-26
EP2301558A1 (en) 2011-03-30
CN102036673A (zh) 2011-04-27
TW201000113A (en) 2010-01-01
JPWO2009142320A1 (ja) 2011-09-29
US20110076348A1 (en) 2011-03-31
EP2301558A4 (en)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9405B2 (en) Stevia extract or steviol for hair care
KR20030070059A (ko) 다중 위험 인자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10797A (ko)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US10709754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hyperuricemia or metabolic disorders related with hyperuricemia comprising extract of Alpinia oxyphylla as effective ingredient
KR102178926B1 (ko) 발효 태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 또는 항피로 조성물과 그의 용도
KR20170095271A (ko)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용 및 다른 용도의 포도 생산물
CN107580496B (zh) 绞股蓝皂苷75的抗糖尿效果
US20140228297A1 (en) Preventive agent for atopic dermatitis
CN107624068B (zh) 包含肉桂醛和锌的组合物及此类组合物的使用方法
EP4331601A1 (en) Food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sarcopenia,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collagen as active ingredient
JP6406730B1 (ja) 組成物、体重または体脂肪の増加抑制剤、および体重または体脂肪の減少促進剤
KR20220118504A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JPH11147828A (ja) コレステロール及び脂質吸収阻害剤
KR102291168B1 (ko) 부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143073B2 (ja) 肌質改善組成物
KR102470108B1 (ko) 부티리시모나스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6612A (ko)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당조절,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087172A (ja) 脂質燃焼促進剤
JP6940864B2 (ja) 精巣障害予防及び/又は改善剤
WO2020040216A1 (ja) 深部体温低下剤、食品、睡眠改善剤
EP3797763A1 (en) Gip elevation inhibitor
JP2021161069A (ja) 食後血中中性脂肪上昇抑制剤
RU2291707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облегчения синдромов множественных факторов риска
KR20220147238A (ko) 콩 청자 5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9180399A (ja) 食後の血糖値上昇抑制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