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626A - 치아 이동 활성화 화합물 - Google Patents

치아 이동 활성화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626A
KR20110010626A KR1020107027413A KR20107027413A KR20110010626A KR 20110010626 A KR20110010626 A KR 20110010626A KR 1020107027413 A KR1020107027413 A KR 1020107027413A KR 20107027413 A KR20107027413 A KR 20107027413A KR 20110010626 A KR20110010626 A KR 20110010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ooth movement
agents
activating composition
movement acti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안 조세 알리오 산즈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토 드 인베스티게이션 엔 오르토돈시아,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토 드 인베스티게이션 엔 오르토돈시아, 에스.엘. filed Critical 인스티튜토 드 인베스티게이션 엔 오르토돈시아,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1001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6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61P29/02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without antiinflammat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윤활제로서 작용하고, 치열교정 와이어와 브라켓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낮고, 보다 지속적인 생리적 힘을 부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치열교정 치료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키고자 하는, 올레산 기원의 식품 또는 식용가능한 제품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올레산 기원의 베이스 요소, 및 안정화 또는 혼합 요소를 포함하고, 위생 특성을 갖는 상이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도록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하고, 즉각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모든 치열교정 치료 단계를 커버하도록 상이한 점도로 포뮬레이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 이동 활성화 화합물 {TOOTH MOVEMENT ACTIVATING COMPOUND}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치열교정 와이어(orthodontic wire)와 브라켓(bracket) 사이의 마찰 또는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원치 않은 힘 성분을 방지하기 위한 올레산 타입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식품 조성물을 규정하고자 한다. 보다 낮은 마찰력은 낮은 힘을 의미하며,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생물학적으로 상용성인 치아 이동 및 교정 치료 기간의 상당한 감축(60% 이하)이 가능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전체 교정 치료 동안의 낮은 힘은 또한 환자에 보다 큰 편안함을 의미한다.
치열 교정술은 저작 장치(masticatory apparatus)의 이동, 정위 및 진보와 관련되는 치과학의 전문분야이다. 또한, 구강악안면병변(dentomaxillofacial structure anomalies)의 연구, 예방, 진단 및 치료를 담당하는 과학과 관련된다.
이러한 치과학의 전문 분야에서의 기술적 진보는 근본적으로 편안하고, 오래 지속되는 치열, 적합한 미관, 환자의 불편함 감소, 치열교정 치료에 대한 단축된 기간 및 이의 보다 저렴한 비용과 같은 이러한 과학 분야에서 사회가 요구하는 주된 필요성을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기 언급된 대부분의 요구는 브라켓-와이어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힘 성분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해소된다.
그러한 방법 중 하나는 이온, 플라즈마 및 탄소 임플란테이션(implantation)과 같은 통상적인 표면 화학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지금까지는 근본적으로 구강내 낮은 지속성, 의심스러운 결과 및 높은 비용으로 인해 임상 실험에 도입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이러한 브라켓-와이어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된 또 다른 방법은 작동 요소의 다양한 조합 간의 상이한 마찰 계수를 연구하는, 접촉하는 표면의 거칠기, 와이어의 강성 및 그의 경도의 연구와 같은, 치열교정 치료에 관여되는 요소의 구조적 형태 및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화학적 파라미터를 연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이적인 생체적합성 및 내부식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는, 크롬-니켈 및 저 탄소 함량으로 합금된 오스텐나이트계 내화 스테인레스 스틸(austenitic refractory stainless steel)의 합금, 크롬, 몰리브덴 및 낮은 니켈 함량으로 합금된 오스텐나이트계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스틸의 합금, 코발트-크롬 합금(이는 주로 코발트와 내부식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당량의 크롬으로 이루어짐), 코발트-크롬-몰리브덴 합금, 티탄 합금과 같은 와이어를 제작하기 위한 상이한 합금이 제조되고 있는데, 나아가 산화티탄 및 이들의 합금의 표면은 뼈의 접촉에 잘 견뎌내며, β-티탄 합금, 이들 합금은 실온에 β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10% 초과의 몰리브덴 농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고자 브라켓 재료의 디자인, 형태 및 조성이 연구되고 있다.
디자인과 관련하여, 점점 더 소형화되는 브라켓이 제작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브라켓과 치열교정 와이어 간의 접촉 표면이 감소되고, 이로써 마찰력이 감소되며, 또한 브라켓 벽의 거칠기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치열교정 와이어가 수용되는 채널내 빗각을 갖는 브라켓이 사출 성형 재료로 제작되고 있다.
저마찰 자가 결찰 브라켓이 현재 개발 중에 있다.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브라켓 물질의 연구는 치열교정 와이어의 연구와 병행하여 이루어져 왔다.
브라켓은 전통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이러한 물질의 티탄과의 합금으로 제조되나, 후자는 상대적으로 연질이고, 이에 따라 와이어와 접촉하는 표면에 대해 마모 및 러빙(rubbing)에 민감하고, 결론적으로 독성 물질의 마멸 및 방출을 초래한다. 또한, 치열교정 와이어는 크롬 및 니켈 또는 티탄을 함유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합금 및 니켈 합금으로 제조되며, 크롬 및 니켈은 둘 모두 독성이기 때문에, 발암성일 수 있다. 이러한 마멸을 부분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티탄,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 화합물의 층이 포함된다.
또한, 의료용 폴리우레탄 혼합물로 이루어진 저마찰 결찰선(ligature)이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수성 또는 알코올성 베이스(base)에 의한 효과적인 윤활제에 대한 조사 및 탄성 결찰선에 의한 윤활 분석이 수행되고 있다.
후자의 명백한 예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머를 사용하는 특허 US2004101489, 또는 베이스 요소로서 물을 사용하며, 치과용 윤활제라기 보다는 치과용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는 그 밖의 특허가 있다.
본 명세서의 목적은 마찰력을 감소시키고, 더욱 지속적인 생리적 힘을 달성하여 특정 치열교정 치료 단계를 감축하기 위한 치과용 장치에 적용되는 올레산 기원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지금까지 치열교정술 분야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변수를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다.
윤활제는 두 개의 이동부 사이에 놓여지는 경우, 이들의 접촉을 방지하는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마찰력 또는 원하지 않는 힘 성분의 출현을 방지하고, 이로써 보다 큰 생리적 치아 이동을 가능하게 물질로서 이해해야 한다.
합성된 조성물은 비독성으로서, 그리고, 식품 조성물로서 입증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치아 이동 활성화 물질로서 언급된다.
본 출원에 의해 해결되는 기술되는 문제는 브라켓의 벽과 치열교정 와이어 간의 마찰력의 적용이 용이하고, 일관성을 가지며, 오래 지속되는, 식품 또는 식용가능한 조성물에 의해 감소되는 것이다.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의 지속성 및 안정성은 입증되었다. 치열교정 치료에서, 치열교정 와이어 단면은 보통 변화되는데, 제 1 단계에서는 보다 작은 단면을 갖고, 치료가 진행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대된다. 이와 관련하여,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은 상이한 밀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떠한 단계에서도 작용할 수 있다.
마찰학 연구에서는, 티탄으로 합금된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 와이어를 사용하여 54%,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 와이어로 61% 만큼의 마찰력 감소가 평탄화 기간(levelling period)을 대략 8개월 정도 감축시키고, 이로써 치열교정 치료의 총 감소율이 45%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제 예비 연구에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로 처리된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환자군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입증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문헌(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2004, volume 278, pages 391-406)과 같이 당해 공지된 문헌이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올리브유(윤활제), 자일리톨(방부제), 불화나트륨(에나멜 보호제), 트리클로산(항염증, 항균 및 살진균제) 및 카르보폴-물(혼합 제제)를 함유하는 경구 윤활제 포뮬레이션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 중에 올리브유는 13%, 자일리톨은 10%, 트리클로산은 0.007%, 카르보폴은 0.7% 및 물은 67% 존재한다. 상기 조성물은 수용해성 성분을 물에 사전 용해시키고, 이후 식물성 오일과 함께 에멀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특허 WO 2007/136586 A2가 또한 당해 공지되어 있으며, 이 문헌은 상이한 활성 및 불활성 성분에 의해 형성된 치과 치료를 위한 수성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조성물이 포함할 수 있는 활성 성분으로는 트리클로산, 불화나트륨이 포함되고, 불활성 성분으로는 글리세롤(윤활제), 폴리소르베이트 80(혼합 제제), 알로에 베라, 소르비톨 및 자일리톨이 포함된다.
상기 문헌 어느 것도 치과용 장치의 마찰력 감소 및 우수한 윤활이 달성되는, 식품 오일 또는 지방, 방부제 화합물, 항균 화합물, 에나멜 보호제, 항염증제 및 혼합 제제에 의해 형성되며 물을 함유하지 않는, 치열교정술에 사용되는데 적합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최대 치아 조절을 위한 고정된 장치를 사용하는 치열교정 치료에서의 베이스로서 식품 또는 식용가능한 지방 또는 오일, 안정화 또는 혼합 화합물 및 윤활제로서 상이한 적용 용도 또는 기능을 위한 첨가제로부터 새로운 생성물을 합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를 위해 모델 시스템 및 재료에 대한 비교 마찰학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식품 또는 식용가능한 지방 및 오일은 유지분과의원회(Codex Committee on Fats and Oils)의 정의 내에 포함되는 것들, 즉,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식물, 동물성(우유 포함), 또는 해양 기원, 예컨대, 캐스터유, 코코넛유, 목화씨유, 어유, 포도씨유, 땅콩유, 수소화된 오일, 아마씨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올리브 포마스유, 팜유, 팜 올레인(palm olein), 팜 스테아린(palm stearin), 팜 커넬유(palm kernel oil), 유채유, 홍화유, 참기름, 해바라기유, 대두유, 살구씨유(apricot kernel oil), 바바수유(babassu oil), 겨자씨유(mustard seed oil), 턴닙 레이프(turnip rape) 또는 라비손(ravison) 오일, 라드(lard), 스테아린(stearin), 일리프 버터(illipe butter), 셰아 버터(shea butter), 수지(tallow), 합성 식용 지방 또는 오일, 액체 석유 젤리(liquid petroleum jelly), 글리세롤(glycerol), 이들의 혼합물, 및 트랜스에르테르화 또는 수소화 또는 분별화와 같이 개질화 처리된 지방 및 오일, 및 사람 소비 및 식품 또는 식용 합성 지방 및 오일에 적합하도록 추후 처리되어야 하는 지방 및 오일이 포함된다.
폴리글리코실화된, 포화되고 수소화된 팜유 글리세라이드, 살구씨유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가 안정화 또는 혼합 요소로서 사용된다.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의 포뮬레이션 중 첨가제는 하기의 특성을 갖는 여러 화합물을 허용한다: 방부제, 예컨대, 트리클로산, 클로로페닐비구아니딘 및 유도체, 예컨대 클로헥시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포비돈-요오드 분자 착물, 수은성 방부제, 메르브로민(merbromin),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구강청결제(헥시딘, 콜린 헥사살리실레이트, 세탈코늄 클로라이드, 탄산칼슘, 소듐 시트레이트, 디메티콘, 니코메탄올 히드로플루오라이드, 2차 생성 플루오로아민, 에탄올, 프로판올, 벤조산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세균용 살균제 및 세균발육저지제, 포타슘 니트레이트, 자일리톨, 제제(벤질다민 HCl,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헥세티딘, 오랄킨(Oralkin) 헥세티딘을 함유하는); 진균제, 예컨대 이러한 특성을 갖는 상기 언급된 것들 중 일부 이외에, 소듐 히포클로라이트, 아세트산, 알칼리 퍼옥사이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항바이러스제, 알로에 베라; 항원충제(antiprotozoal agent), 살포자제(sporicide), 항염증제, 점막 보호제, 향미제, 항플라크제, 예컨대, 아연 아세테이트,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아연 락테이트, 불소 유도체, 예컨대, 불화나트륨,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 구취감소제, 예컨대 트리클로산, 염화아연,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아연 락테이트; 충치예방제. 대부분의 이러한 물질은 보통 언급된 특성 중 하나 초과의 특성을 갖는다.
처음 과제가 이행되면, 생성물 개발을 완료한 다음 연구 단계가 수행되었고, 이의 임상 효율이 입증되었다.
검정은 올레산 기원의 윤활제와 함께 무정질 탄소 코팅 적용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으로 연장되었다.
생체역학 유용성을 입증하는 "시험관내" 연구는 여전히 수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유한 요소의 생체역학 장치 또는 모델이 사용되고 있다.
환자에 대한 무작위 임상 시험이 또한 수행되었다.
본 명세서의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은 비독성 식품 조성물로서 모든 공인 기관에 의해 승인된 것이다.
본 프로젝트는 윤활제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그리고 항상 생리학적 조건 하에 상이한 재료 배합물 간의 마찰 계수를 측정한 마찰학 연구에 의해 완성되었다. 브라켓 및 와이어에 대한 윤활제 탄소 코팅의 적용 및 표면 연마 처리제의 영향을 측정한 연구가 또한 수행되었다.
기재된 바와 같이, 마찰력은 치열교정 장치의 효율에서 매우 결정적인 인자이다. 마찰력은 치아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키고, 치아 이동을 지연시키고, 고정원 손실(anchorage loss)에 기여한다.
브라켓의 특성(재료, 제작 과정, 디자인), 와이어의 특성(재료 및 단면), 결찰 방법, 환자 인자(브라켓-와이어 앵귤레이션(angulation), 구강내 동력학적 하중) 및 생물학적 필름과 같은, 수개의 물리학적 및 생물학적 인자가 치열교정술의 마찰력과 관련된다.
와이어와 브라켓 간의 접촉이 커질수록, 마찰력이 커진다는 것은 연구에 의해 입증되었다.
마찰력에서의 앵귤레이션의 효과는 니켈-티탄으로 제조된 것과 비교하여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 치열궁(dental arch) 또는 와이어에 의해 더 확연하다. 이는 Ni-Ti 와이어의 보다 낮은 강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브라켓의 보다 큰 앵귤레이션으로 인한 증가된 마찰력은 흔히 와이어가 구부러지는 사실에 의거한다.
세라믹 브라켓과 같은 치열교정 장치의 미관을 개선시키려는 지속적인 관심이 있으며, 새로운 세라믹 브라켓의 생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마찰력 감소이다.
본 계획에 따라, 이러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의 샘플이 베이스로서 정제된 버진 올리브유 오일을 사용하여 상이한 점도 수준으로 제조되었다.
특히, 가변 양의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가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의 특성을 완벽하게 하는 다른 물질이 또한 첨가되었다.
오일 중 에멀젼인 친유성 크림을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공정이 수행되었으며, 크림 베이스는 에멀젼화제로서 작용하는 식품 또는 식용가능한 오일이다. 또 다른 요건은 시간 경과에 안정해야 하고, 모든 예정된 시약의 혼입을 허용해야 하며, 추가로 시행되는 위생 및 식품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
혼합 순서는 에멀젼의 형성에서 결정적인 인자이다.
성분 A: 알로에 베라와 폴리옥시에틸렌-2-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의 혼합물
성분 B: 식품 오일.
성분 A를 400ml 비커에 도입하고, 균질한 포움이 형성될 때까지 실온에서 기계로 교반하고, 성분 B를 이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면, 에멀젼을 45℃에서 자동온도조절기 장착된 배쓰에 넣고, NaF 시약 및 트리클로산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시스템을 교반을 멈추지 않고 배쓰에서 꺼내고, 알란토인 및 상응하는 첨가제를 분산시켰다. 실온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교반하였다.
폴리소르베이트-80의 %에 따라 상이한 점도 값을 갖는 여러 포뮬레이션을 제조하였다.
%는 중량%이다.
제 1 바람직한 구체예:
어유: 76.05 %
알로에 베라: 19.01 %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 3.80%
첨가제:
트리클로산: 0.27 %
불화나트륨: 0.27 %
98% 말틸이소부티레이트: 0.34%.
본 구체예 및 하기 구체예에서 폴리글리코실화된, 포화되고 수소화된 팜유 글리세라이드를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로 사용하였다.
제 2 바람직한 구체예:
오일: 73.26%
알로에 베라: 18.32%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 7.30%
첨가제:
트리클로산: 0.26%
NaF: 0.26%
알란토인: 0.26%
99% D,L-멘톨: 0.33%
제 3 바람직한 구체예:
오일: 71.94%
알로에 베라: 17.99%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 8.99%
첨가제:
트리클로산: 0.25%
NaF: 0.25%
알란토인: 0.25%
98% 말틸이소부티레이트: 0.32%
제 4 바람직한 구체예:
오일: 77.52%
알로에 베라: 19.38%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 1.94%
첨가제:
트리클로산: 0.27%
NaF: 0.27%
알란토인: 0.27%
99% D,L-멘톨: 0.35%
제 5 바람직한 구체예:
오일: 74.63%
알로에 베라: 18.66%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 5.60%
첨가제:
트리클로산: 0.26%
NaF: 0.26%
알란토인: 0.26%
99% D,L-멘톨: 0.34%
제 6 바람직한 구체예:
오일: 71.94%
알로에 베라: 17.99%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 8.99%
첨가제:
트리클로산: 0.25%
NaF: 0.25%
알란토인: 0.25%
98% 말틸이소부티레이트: 0.32%
또한, 나머지 성분을 함유한 2-상 시스템에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를 서서히 첨가하고, 일관된 크림이 형성될 때까지 기계적으로 교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상이한 공정에 의해 보다 일관된 샘플을 제조하였다.

Claims (6)

  1.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로서,
    10% 내지 95%의 베이스로서 작용하는 식품 타입 오일 또는 지방,
    5% 내지 70%의 알로에 베라 타입의 방부제 화합물,
    2% 내지 70%의 폴리글리코실레이트화된, 포화되고 수소화된 팜유 글리세라이드 타입의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
    0.05% 내지 2%의 트리클로산 타입의 항균 및 살진균 화합물,
    0.05% 내지 2%의 불화나트륨 NaF 타입의 에나멜 보호제,
    0.05% 내지 2%의 항염증제, 및
    0% 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술에 사용하기 위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base)로서 사용되는 식품 타입 오일 또는 지방이 지방산 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들은 캐스터유, 코코넛유, 목화씨유, 어유, 포도씨유, 땅콩유, 수소화된 오일, 아마씨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올리브 포마스유, 팜유, 팜 올레인(palm olein), 팜 스테아린(palm stearin), 팜 커넬유(palm kernel oil), 유채유, 홍화유, 참기름, 해바라기유, 대두유, 살구씨유(apricot kernel oil), 바바수유(babassu oil), 겨자씨유(mustard seed oil), 턴닙 레이프(turnip rape) 또는 라비손(ravison) 오일, 라드(lard), 스테아린( stearin), 일리프 버터(illipe butter), 셰아 버터(shea butter), 수지(tallow), 합성 식용 지방 또는 오일, 액체 석유 젤리(liquid petroleum jelly), 글리세롤(glycerol)과 같은 식물성, 동물성(우유 포함), 또는 해양 기원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술에 사용하기 위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트리클로산, 클로로페닐비구아니딘 및 유도체, 예컨대 클로헥시딘,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포비돈-요오드 분자 착물, 수은성 방부제, 메르브로민(merbromin),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구강청결제(헥시딘, 콜린 헥사살리실레이트, 세탈코늄 클로라이드, 탄산칼슘, 소듐 시트레이트, 디메티콘, 니코메탄올 히드로플루오라이드 또는 2차 생성 플루오로아민을 함유하는)과 같은 방부제; 포타슘 니트레이트, 자일리톨, 제제(벤질다민 HCl, 클로르헥시딘 디글루코네이트, 헥세티딘, 오랄킨(Oralkin) 헥세티딘을 지닌)와 같은 세균용 살균제 및 세균발육저지제; 진균 성질을 갖는 상기 언급된 것들 중 일부 이외에, 소듐 히포클로라이트, 아세트산, 알칼리 퍼옥사이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와 같은 진균제; 항바이러스제, 알로에 베라, 항원충제(antiprotozoal agent), 살포자제(sporicide), 항염증제, 점막 보호제, 향미제; 아연 아세테이트,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또는 아연 락테이트와 같은 항플라크제; 불화나트륨, 또는 소듐 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와 같은 불소 유도체; 염화아연,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또는 아연 락테이트와 같은 구취감소제; 및 충치예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술에 사용하기 위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가 폴리글리코실화된, 포화되고 수소화된 팜유 글리세라이드, 살구씨유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술에 사용하기 위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
  5. 치열교정술에 하기 위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적합한 교반에 의해 이미 얻어진 알로에 베라와 폴리옥시에틸렌-2-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의 혼합물(성분 A)의 균질한 포움에 오일(성분 B)를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저점도 내지 중간 점도의 안정된 친유성 크림을 형성시키는 단계, 45℃로 온도조절하는 단계, 30분 후, 나머지 시약을 혼합하는 단계, 및 최종적으로 냉각 과정 동안에 알란토인을 분산시키고,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술에 하기 위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치열교정술에 사용하기 위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오일, 알로에 베라, 트리클로산, NaF, 알란토인 및 상응하는 첨가제의 2상 혼합물(성분 A')를 얻는 단계;
    안정화 또는 혼합 제제(성분 B')를 선택하는 단계; 및
    기계적 교반 하에 실온에서, 2상 혼합물인 성분 A'에 성분 B'를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일관된 안정한 크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술에 사용하기 위한 치아 이동 활성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07027413A 2008-05-06 2008-05-06 치아 이동 활성화 화합물 KR20110010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S2008/000312 WO2009135957A1 (es) 2008-05-06 2008-05-06 Compuesto activador del movimiento dentari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626A true KR20110010626A (ko) 2011-02-01

Family

ID=4126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413A KR20110010626A (ko) 2008-05-06 2008-05-06 치아 이동 활성화 화합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10052510A1 (ko)
EP (1) EP2286842A4 (ko)
JP (1) JP2011523402A (ko)
KR (1) KR20110010626A (ko)
CN (1) CN102014963A (ko)
AR (1) AR074616A1 (ko)
AU (1) AU2008356140A1 (ko)
BR (1) BRPI0822251A2 (ko)
CA (1) CA2724469A1 (ko)
CL (1) CL2009001090A1 (ko)
EC (1) ECSP10010584A (ko)
IL (1) IL209056A0 (ko)
MX (1) MX2010012030A (ko)
TR (1) TR201009195T2 (ko)
WO (1) WO2009135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2601A1 (en) 2008-01-25 2009-07-30 Grünenthal GmbH Pharmaceutical dosage form
WO2023046680A1 (en) 2021-09-21 2023-03-30 Krka, D.D., Novo Mesto Combination of cetylpyridinium and benzydamine with virucidal effect on sars-cov-2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93973T1 (de) * 1992-12-16 2000-07-15 Colgate Palmolive Co Gegen zahnbelag, gingivitis und karies wirkende orale zusammensetzung
US5607663A (en) * 1994-12-01 1997-03-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ydrocarbyl containing coating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H11244307A (ja) * 1998-03-04 1999-09-14 Nissin Electric Co Ltd 歯並矯正用具及びその製造方法
AU5087199A (en) * 1998-06-30 2000-01-17 American Medical Research, Inc. Method of treating topical ailments
US8071076B2 (en) 2002-05-28 2011-12-06 Oral Health Clinical Services Llc Oral lubricating and stain retarding compositions
US20070110683A1 (en) * 2005-11-16 2007-05-17 Gosmile, Inc. Oral care formulation
WO2007070633A2 (en) * 2005-12-14 2007-06-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thodontic articles with silicon nitride coatings
WO2007136586A2 (en) * 2006-05-17 2007-11-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ersonal care compositions
US8173711B2 (en) * 2007-01-31 2012-05-08 Kaneka Corporation Agent for relief or prevention of xerostomia
ES2304103B1 (es) * 2007-02-22 2009-08-07 Biocosmetics S.L. Composicion para tratamiento de la xerostomia o boca se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86842A4 (en) 2013-07-31
AR074616A1 (es) 2011-02-02
TR201009195T2 (tr) 2011-05-23
BRPI0822251A2 (pt) 2015-06-23
MX2010012030A (es) 2011-05-02
JP2011523402A (ja) 2011-08-11
EP2286842A1 (en) 2011-02-23
IL209056A0 (en) 2011-01-31
WO2009135957A1 (es) 2009-11-12
AU2008356140A1 (en) 2009-11-12
CA2724469A1 (en) 2009-11-12
US20110052510A1 (en) 2011-03-03
CL2009001090A1 (es) 2011-03-04
ECSP10010584A (es) 2010-11-30
CN102014963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346B1 (ko) 고유상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EP1582196B1 (fr) Nanoémulsion translucide,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ses utilisations dans les domaines cosmétique, dermatologique et/ou ophtalmologique
JP3442101B2 (ja) ラノリン様合成油剤及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品、外用剤
EP0661924A1 (en) COMPOSITION FOR SURFACE TREATMENT.
RU2690191C2 (ru) Комплекс фосфата цинка
CN105030610A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TWI432219B (zh) 油性液體潔膚用組合物
EP1325731A1 (fr) Agent microbicide et composition de traitement cosmétique le contenant
JP5755517B2 (ja) 油性ゲル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20110010626A (ko) 치아 이동 활성화 화합물
JP2005529177A5 (ko)
FR3053587B1 (fr) Composition notamment de type emulsion multiple et procede de preparation
JP6994563B2 (ja) 油性化粧料
CN107890431A (zh) 一种油凝胶化剂配方及磨砂膏组合物
JP5968751B2 (ja) 化粧料
JP2015527377A (ja) すばやく浸透するソフトスキンケアクリーム
JP3671103B2 (ja) 化粧料
JP4262228B2 (ja) 毛髪化粧料
JP2005002059A (ja) 油性透明化粧料
JPH05155745A (ja) 口腔用組成物
JP7296837B2 (ja) 制汗剤組成物
JPH0967231A (ja) 脂肪酸銀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及び該脂肪酸銀を含有する化粧品
JP2006282650A (ja) 皮膚化粧料
JP2017222615A (ja) 制汗剤組成物
FR3130135A1 (fr) Emulsion eau-dans-huile sans composés siliconés comprenant un tensioactif alkylpolyglucoside, un tensioactif mono- et di-esters polyéthoxylés d’acides hydroxylés, des huiles esters et des cires hydrocarbonées es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