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473A - 고기 구이기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473A
KR20110010473A KR1020090068060A KR20090068060A KR20110010473A KR 20110010473 A KR20110010473 A KR 20110010473A KR 1020090068060 A KR1020090068060 A KR 1020090068060A KR 20090068060 A KR20090068060 A KR 20090068060A KR 20110010473 A KR20110010473 A KR 20110010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grill
space
plate
pla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욱
Original Assignee
홍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욱 filed Critical 홍성욱
Priority to KR102009006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473A/ko
Publication of KR2011001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지부(12) 아래로 볼록한 불판공간(11)을 가지는 불판(10);
불판공간(11)을 이루는 내부 바닥면(13) 위에 안치되는 고기 구이용 석쇠(20);
불판(10)의 불판공간(11) 상단 에지부(12)를 덮는 뚜껑(30);
불판(10)의 에지부(12)에 뚜껑(30)을 수용하는 공간 외부로 부가된 고기 받침대(40)를 포함하는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Figure P1020090068060
고기구이기,불판,석쇠,간접구이기

Description

고기 구이기{Meat Roaster}
본 발명은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불판에는 불판공간을 만들고, 불판공간에는 석쇠를 안치시켜 고기를 석쇠 위에 놓고 불판 밑에서 가열하여 열기가 불판을 통하여 석쇠에 간접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석쇠의 과열을 막고, 불판공간의 상부 공간을 뚜껑으로 덮어 열기가 대류현상으로 균일한 온도로 균일하게 구어질 수 있도록 한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 구이기는 가스나 전기 발열체 위에 석쇠나 불판을 놓고 그 위에 고기를 직화구이 방식으로 조리하여 먹는 방식이다. 이는 열의 전도 현상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방식이므로 구이판 위에 얹혀이ㅛ는 육류는 열원에서 전달된 열로 굽는과정에서 지방성분의 배출량이 많아지게되어 구이판에 기름이 넘쳐나는 불편함이 있고, 열원에 가까운 부위, 즉 구이판과 접촉된 부위에서 먼저 익혀지게되어 특정부위의 육질이 먼저 탄화되고, 이에따라 육질의 불균일한 경화현상이 일어나게된다. 따라서 고기의 익힘 정도에 따라 직화구이게 사용되는 열원의 세기를 조정하거나 고기를 계속적으로 뒤집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고기를 들러붙지 않게하는 구이판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바, 이들은 열의 직화구이방식은 그대로 사용하는 한편, 구이판의 코팅을 2중 혹은 3중으로 함으로써 고기가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잇으나, 이는 시간의 경과와 코팅이 벗겨지면 기존의 구이판과 같이 들러붙기 시작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름 배출구멍이나 배출구를 형성하여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불판은 기존에 많이 도입이 되고 있으나, 이는 불판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기존의 방식으로 그 고저의 차가 많지 않아, 고기의 찌꺼기가 남을 경우 기름의 흐름을 방해하고 기름이 더 이상 흐르지 않게 만들어 기름이 고이게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구이기 밑에 전기 발열체가 일체로 내장된 구이기도 애용되고 있으나 과열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가 일부분에서만 측정하여 온도제어를 함으로써 전체적인 온도 제어는 어려운 실정이어서 고기의 타는 현상을 막을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기를 이루는 수단을 별도의 불판과 불판 위에 안치되는 석쇠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간접 열 방식으로 고기를 굽도록 하여 타는 것을 막아주는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이기를 이루는 수단을 별도의 불판과 불판 위에 안치죄는 석쇠를 포함하고, 석쇠를 포함하는 상부 공간은 뚜껑으로 막아서, 석쇠가 놓이는 불판의 불판공간 내에서 열기가 대류현상을 발생하여 고기가 타지 않고 균일하게 굽도록 하는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래로 볼록한 불판공간을 가지는 불판의 불판공간에 안치되는 석쇠를 포함하고 불판공간의 상부 공간을 막는 뚜껑을 중앙에서 힌지로 결합시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고기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에지부 아래로 볼록한 불판공간을 가지는 불판,
불판공간을 이루는 내부 바닥면 위에 안치되는 고기 구이용 석쇠,
불판의 불판공간 상단 에지부를 덮는 뚜껑,
불판의 에지부에 뚜껑을 수용하는 공간 외부로 부가된 고기 받침대를 포함하는 고기 구이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구이기를 이루는 수단을 별도의 불판과 불판 위에 안치되는 석쇠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간접열 방식으로 고기를 굽도록 하여 고기가 타는 것을 막아준다.
본 발명은 구이기를 이루는 수단을 별도의 불판과 불판 위에 안치되는 석쇠를 포함하고, 석쇠를 포함하는 상부 공간은 뚜껑으로 막아서, 석쇠가 놓이는 불판의 불판공간 내에서 열기가 복사 형상과 대류현상을 발생하여 고기가 타지 않고 균일하게 구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아래로 볼록한 불판공간을 가지는 불판의 불판공간에 안치되는 석쇠를 포함하여 수용하는 불판공간의 상부 공간을 막는 뚜껑을 중앙에서 힌지로 결합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 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뚜껑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평면도로, 에지부(12) 아래로 볼록한 불판공간(11)을 가지는 불판(10);
불판공간(11)을 이루는 내부 바닥면(13) 위에 안치되는 고기 구이용 석쇠(20);
불판(10)의 불판공간(11) 상단 에지부(12)를 덮는 뚜껑(30); 및
불판(10)의 에지부(12)에 뚜껑(30)을 수용하는 공간 외부로 부가된 고기 받 침대(40)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불판(10)의 불판공간(11)을 이루고 상단에지부(12)에 뚜껑(30)을 덮는 내부 바닥면(13)은 중앙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고 석쇠(20)가 윗면에 안치되는 경사바닥면(13-1)(13-2)을 포함하고,
경사바닥면(13-1)(13-2)이 접하는 경계부 측면(13-3) 부위에는 기름배출공(13-4)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바닥판(13-1)(13-2)의 상단에는 에지부(12) 까지 공간을 유지하는 수직벽(13-5)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석쇠(20)는 경사바닥면(13-1)(13-2) 위에 안치되는 경사석쇠(20-1)(20-2)가 일체로 형성되며, 경사석쇠(20-1)(20-2)의 접하는 일측에는 기름배출공(13-4)으로 통하는 기름배출구(20-3)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불판(10)의 불판공간(11) 상면을 덮는 뚜껑(30)은 분할된 단위 뚜껑체(31,32)가 중앙에서 접힘 가능토록 힌지(33)로 결합되며, 힌지(33) 중앙부위에는 손잡이(34)를 부가한다.
바람직한 힌지(33)의 예로는 도 4 와 같이 뚜껑(30)을 이루도록 분할된 각 단위 뚜껑체(31,32)의 인접부위에 상호 힌지 결합하도록 힌지관(33-1)으로 연결시키고, 각 힌지관(33-1)은 힌지 작용하도록 힌지봉(33-2)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어느 한 곳의 힌지관(33-1)에는 절단부(33-3)를 두어 연결관체(34-1) 역시 힌지봉(33-2)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연결관체(34-1)는 손잡이(34)와 고정나사(34-3)로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는 손잡이(34)의 단부와 연결관체(34-1)에는 고정나사(34-3)의 나사 결합을 가능토록 하는 고정공(34-4)을 형성한다. 또한, 연결관체(34-1)에는 정지바(34-1)를 부가하고, 정지바(34-1)에는 뚜껑체(31,32)를 펼쳐서 사용할 때 손잡이(34)가 세워지도록 지지하는 보조 정지바(34-2)를 더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뚜껑(30)을 열고 노출된 불판(10)의 불판공간(11)을 이루는 내부바닥면(13)에 석쇠(20)를 안치시킨다. 이 경우 내부바닥면(13)이 중앙을 향하여 아래로 결사진 경사바닥면(13-1)(13-2)을 이룬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석쇠(20) 역시 경사석쇠(20-1)(20-2)가 일체로 된 형상을 이룬 것을 사용한다. 물론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기름배출구(20-3)를 석쇠(20)에 형성하고, 대응하는 불판(10)의 측면(13-3)에는 기름배출공(13-4)으로 기름배출구(20-3)가 노출되도록 한다. 아울러 전기나 가스를 사용한 발열수단(50)의 열기가 기름배출구(20-3)를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열기차단막(13-6)을 불판(10) 저면 외 측에 형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석쇠(20) 위에 고기를 놓고 발열수단을 가동하여 발열시키면 열기가 불판(10)의 경사바닥면(13-1)(13-2)을 가열시킨다. 그러면 열기가 석쇠(20)로 전도되고, 전도된 열기로 인하여 고기가 구어 진다. 고기가 구어질 때 배출되는 기름은 기름배출공(13-4)을 통하여 노출된 기름배출구(20-3)로 배출되어 고기에는 기름기가 없는 웰빙 구이고기를 먹을 수 있게 된다. 물론 기름배출구(20-3)의 저면에는 배출되는 기름을 수집하는 용기를 설치하여 일정 주기로 수거하면 된다(수거 용기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 경우 본원발명은 열기가 불판(10)의 경사바닥면(13-1)(13-2)을 통하여 1차로 공급되고, 이어 석쇠(20)로 2차 공급되므로, 석쇠(20)가 과열되는 것을 막아주어 고기가 타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원발명은 뚜껑(30)을 덮을 경우 불판공간(11) 내의 열기가 대류 형상으로 순환함으로써 고기의 상면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효과를 제공하여 고기가 균일하게 구어 지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뚜껑을 덮어 어느 정도 구운 다음 뚜껑(30)을 손잡이(34)로 잡고 열면 힌지(33)에 의하여 단위 뚜껑체(31,32)가 접히고, 이는 주방의 공간 사용 면적을 넓혀주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불판(10)의 에지부(12) 둘레에 고기받침대(40)를 두어 구어진 고기를 고기받침대(40)에 놓고 더 이상 고기가 타지않은 상태로 시간을 두고 맛을 음미하면서 고기를 먹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가스나 전기를 사용한 발열수단이 있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도면에서는 구성 모양을 한정하지 않고 사용 가능한 형태로만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 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뚜껑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불판 11;불판공간 12;에지부 13;내부바닥면 13-1;경사면 13-2;경사바닥면
13-3;측면 13-4;기름배출공 13-5;수직벽 20;석쇠 20-1,20-2;경사석쇠 20-3;기름배출구 30;뚜껑 31,32;뚜껑체 33;힌지 33-1;힌지관 33-2;힌지봉 33-3;절단부 34;손잡이 34-1;연결관체 34-2;정지바 34-3;고정나사 34-4;고정공

Claims (5)

  1. 에지부(12) 아래로 볼록한 불판공간(11)을 가지는 불판(10);
    불판공간(11)을 이루는 내부 바닥면(13) 위에 안치되는 고기 구이용 석쇠(20);
    불판(10)의 불판공간(11) 상단 에지부(12)를 덮는 뚜껑(30);
    불판(10)의 에지부(12)에 뚜껑(30)을 수용하는 공간 외부로 부가된 고기 받침대(40)를 포함하는 고기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불판(10)의 불판공간(11)을 이루고 상단에지부(12)에 뚜껑(30)을 덮는 내부 바닥면(13)은 중앙을 향하여 아래로 경사지고 석쇠(20)가 윗면에 안치되는 경사바닥면(13-1)(13-2)을 포함하고,
    경사바닥면(13-1)(13-2)이 접하는 경계부 측면(13-3)에는 기름배출공(1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3. 제 2항에 있어서, 경사바닥판(13-1)(13-2)의 상단에는 에지부(12) 까지 공간을 유지하는 수직벽(13-5)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4. 제 2항에 있어서, 석쇠(30)는 경사바닥면(13-1)(13-2) 위에 안치되는 경사석쇠(20-1)(20-2)가 일체로 형성되며, 경사석쇠(20-1)(20-2)의 중앙 일측에는 기름배출공(13-4)으로 통하는 기름배출구(20-3)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5. 제 2항에 있어서, 불판(10)의 불판공간(11) 상면을 덮는 뚜껑(30)은 분할된 단위 뚜껑체(31,32)가 중앙에서 접힘 가능토록 힌지(33)로 결합되며, 힌지 중앙부위에는 손잡이(34)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KR1020090068060A 2009-07-24 2009-07-24 고기 구이기 KR20110010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060A KR20110010473A (ko) 2009-07-24 2009-07-24 고기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060A KR20110010473A (ko) 2009-07-24 2009-07-24 고기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473A true KR20110010473A (ko) 2011-02-01

Family

ID=4377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060A KR20110010473A (ko) 2009-07-24 2009-07-24 고기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4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800A (ko) * 2018-07-23 2020-01-31 민삼봉 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800A (ko) * 2018-07-23 2020-01-31 민삼봉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2079A (en) Combination cooking cartridge
KR100907608B1 (ko) 간편 조리기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US8067716B1 (en) Cooking apparatus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US20030213790A1 (en) Small electric oven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20034851A (ko) 구이,찜 겸용 조리기
KR101445747B1 (ko) 다기능 조리기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10010473A (ko) 고기 구이기
KR20110104821A (ko)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KR20190093916A (ko) 구이용 불판
KR100441544B1 (ko) 다용도 찜 구이용 조리기
US20200297162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KR20110006479U (ko) 직화열 유도식 오븐기
KR101146933B1 (ko) 간편 조리기
CN206499369U (zh) 用于烹饪食物的用电多用途设备
KR200371930Y1 (ko) 직열 투입 조리용기
KR200225766Y1 (ko) 고기구이팬의 기름배출 유도장치
US11937736B2 (en) Cooking appliance with conductive heating capabilities
CN211022175U (zh) 一种多功能炊具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20090127849A (ko) 간편 조리기
KR101177025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