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103A -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 - Google Patents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9103A
KR20110009103A KR1020107022568A KR20107022568A KR20110009103A KR 20110009103 A KR20110009103 A KR 20110009103A KR 1020107022568 A KR1020107022568 A KR 1020107022568A KR 20107022568 A KR20107022568 A KR 20107022568A KR 20110009103 A KR20110009103 A KR 2011000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upport
suspension
main body
holding
informa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와쿠라
Original Assignee
와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와요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suspended, e.g. secured to the cei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천정이나 벽 등의 피고정재에 대해서도, 정보표시매체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정보표시매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피고정재(T)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B1)와, 정보표시매체(P)를 현수 지지함과 동시에, 본체(B1)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현수 지지체(C1)를 가지고, 본체(B1)에는, 현수 지지체(C1)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또한 그 현수 지지체(C1)를 이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현수 지지체 유지부(40)를 형성하고, 그 현수 지지체 유지부(40)에 유지한 현수 지지체(C1)에 대향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측 착자(着磁)체를 설치하고 있다. 또, 현수 지지체에는, 본체(B1)에 설치한 각 본체측 착자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그 본체측 착자체에 흡착하는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를 설치하고, 본체(B1)와 현수 지지체(C1)에 설치한 본체측, 현수 지지측 착자체의 흡자력에 저항하며, 현수 지지체 유지부(40)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외력을 작용시키는 이탈부(61)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SUSPENDING UNIT AND MEDIUM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석고보드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천정재 등의 피고정재에 정보표시매체를 매달기 위한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현수유닛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의 현수유닛이 있다. 도 27(A), (B)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현수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현수유닛은, 현수 광고 매체(1)의 상단(1`)의 설정 위치를 점포 내의 천정 설치 위치로부터 높이가 얻어지는 치수를 금속제로 측면"V"자 형태의 지지 암(2)을 광고 매체(1)의 폭 치수와 약 동등한 치수 또는 근사한 치수의 매체 현수 틀(3)의 상면에서의 양단 부근에 장착하고, 이것과는 별도로, 광고 매체(1)의 상단(1`)부근을 매체협착(挾着)체(4)를 마련하고, 이 매체협착체(4)와 상기 매체 현수 틀(3)을 자석(5)을 통해 합체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실용신안공개소 63­144671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현수유닛은, 광고 매체(1)의 상단(1´)부근에 마련한 매체협착체(4)와 상기 매체 현수 틀(3)을 자석(5)을 통해 합체하고 있기 때문에, 광고 매체(1)에 작용하는 하방으로의 힘이, 자석(5)의 자력을 넘어 작용하면 용이하게 탈락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천정 등에 매달려 있을 때는, 예를 들면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착탈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천정이나 벽 등의 피고정재에 대해서도, 정보표시매체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정보표시매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유닛은, 소정의 정보를 나타낸 정보표시매체를, 피고정재에 매달기 위한 현수유닛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재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정보표시매체를 현수 지지함과 동시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현수 지지체를 가지고, 본체에는, 현수 지지체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그 현수 지지체를 이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현수 지지체 유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현수 지지체 유지부에 유지한 현수 지지체에 대향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의 착자체를 설치하고 있는 것, 현수 지지체에는, 본체에 설치한 각 착자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그 착자체에 흡착하는 착자체를 설치함과 동시에, 본체와 현수 지지체에 설치한 착자체 끼리의 흡자력에 저항하며, 현수 지지체 유지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이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유닛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는,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는 홀딩위치와, 그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지 않는 비홀딩위치에 이동 가능한 한쌍의 가동편과, 이들 가동편 사이에, 이들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편을 대향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편과 고정편의 각 대향면에,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돌기를 복수개 돌출되게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천정이나 벽 등의 피고정재에 대해서도, 정보표시매체의 착탈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정보표시매체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을 나타내는 것이며,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일측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현수유닛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현수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본체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현수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례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현수 지지체의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측면도이다.
도 7은 현수 지지체의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일례에 따른 교환 브래킷과, 이에 매달아진 매체홀딩부재를 확대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체에 유지되어 있는 현수 지지체에, 교환용 도구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체로부터 현수 지지체를 이탈시킬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현수 지지체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예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를 확대해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에 따른 교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과 매체홀딩부재를 사용하여, 정보표시매체를 현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본체와 이것에 장착한 현수 지지체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본체와 현수 지지체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본체와 현수 지지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예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현수 길이 조절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A)은 다른 예에 따른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과 매체홀딩부재를 사용하여, 정보표시매체를 현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A)는 본체에 장착한 제3예에 따른 현수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그 제3예에 따른 현수 지지체에 설치한 끈 고정부재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3은 매체홀딩부재, 브래킷 및 슬라이더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매체홀딩부재, 브래킷 및 슬라이더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5(A)는, 브래킷의 사시도, (B)는 그 단면도, (C)는 그 브래킷의 분해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매체홀딩부재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7(A), (B)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현수유닛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을 나타내며, (A)는 그 정면도, (B)는 그 일측의 측면도, 도 2는 그 현수유닛의 종단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그 현수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본체를 나타내고 있으며,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측면도, 도 4는 그 본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A1)은, 예를 들면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천정이나 벽 등의 피고정재(T)(도 1 참조)에, 정보표시매체(P)를 매달기 위한 것이며, 본체(B1), 현수 지지체(C1) 및 매체홀딩부재(D1,D1)를 주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정보표시매체(P)는, 상품명, 가격이나 캐치 카피(catch copy)등의 소정의 정보를 표시한 광고지 등이다.
일예에 따른 본체(B1)는, 소정 두께의 가로길이가 긴 약 직방체형의 베이스부(10)와, 이 베이스부(10)에 일체로 현수 지지체 유지부(40)를 늘어뜨려서 설치한 것이며,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0)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상부 벽면(11), 경사시켜 형성한 양단의 벽면(12,13), 전후의 벽면(14,14) 및 하벽면(15)에 의해 구획 형성된 중공의 구조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10)의 양단부에는, 벽면(12,13)과 상부 벽면(11)에 걸쳐, 각각 평면에서 볼 때 "コ"자형의 개구(17,1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벽면(14,14)에는, 개구(17,17)에 끼워지는 하기의 고정용 어태치먼트(E1,E1)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로서,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의 위치 결정용 구멍(18,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는, 상기 구멍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벽면을 요철형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베이스부(10)의 양단부 사이를 2분하는 2분선(O1)(도 3 참조)을 사이에 두고 양측 가까운 위치에는, 후술하는 고정용 핀(19)을 각각 피고정재(T)에 삽입 가능하게 끼워 넣기 위한 핀끼움부(20,20)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핀끼움부(20)는, 이것의 상측개구(21)를 상부 벽면(11)의 측면 가장자리부 부근에, 또, 하측 개구(22)(도 4 참조)를 벽면(14,14)(일측은 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설치한 핀끼움공으로서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소정 각도」는 45도이지만, 베이스부(10)의 형상, 크기 등을 감안하여 다른 각도로 할 수 있다.
상기 벽면(14,14)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고정용 핀(19)의 손잡이(19a)가 전후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함몰부(14a, 14a)(일측은 도시하지 않음)가 가로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핀(19)은, 도 1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19a)에 핀 부재(19b)의 기단부를 고착한 것이며, 그 핀 부재(19b)의 선단부는, 피고정재(T)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했다.
핀 부재(19b)는, 손잡이(19a)를 본체(B)의 벽면(14,14)에 닿게했을 때에, 피고정재(T)에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는 전체 길이로 하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위치 결정용 핀은, 고정용 핀(19)과 동등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정용 핀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 한다.
도 5는, 일례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를 확대해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일례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E1)는, 개구(1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어태치먼트 본체(30)와 덮개부(31)로 이루어진다.
어태치먼트 본체(30)는, 이것을 상기 개구(17,17)에 끼웠을 때에, 상기 베이스부(10)의 벽면(12,13)과 평면을 이루는 경사 벽면(32), 베이스부(10)의 벽면(14,14)에 내접하는 벽면(33,33) 및 바닥 벽면(34)에 의해 구획 형성되고, 또한, 상면을 덮개부(31)를 끼우는 끼움구(35)로 한 약 직방체형이다.
벽면(33,33)에는, 고정용 어태치먼트(E1)를 베이스부(10)에 끼웠을 때에,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18,18)에 대향하는 위치에, 원주형상의 위치 결정용 돌기(36,36)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31)는, 상기 끼움구(35)에 끼워지는 평면에서 볼 때 약 정사각형의 판상체이며, 이것의 상면(37)에는, 위치 결정용 핀(19,19)을 각각 수직으로 끼워 넣기 위한 핀끼움공(37a, 37a)이 형성되어 있다.
핀끼움공(37a, 37a)은, 본체(B1)를 피고정재(T)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용 핀(19)을 끼워넣기 위한 것이며, 본체(B1)의 중심축선(O2)(도 3 참조)과 직교하는 축선(О3)상에 서로 간격을 두고, 그 상면(37)에 대해서 직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끼움공(37a, 37a)을 축선(О3)상에 설치함으로써, 이들 핀끼움공(37a, 37a)에 끼워넣은 위치 결정용 핀(19,19)을 피고정재(T)에 삽입하여 상면(37)을 맞닿게 하는 것만으로, 본체(B1)를 피고정재(T)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 2개의 위치 결정용 핀(19,19)을 설치하기 때문에, 고정용 핀(19)을 피고정재(T)에 삽입할 때의 본체(B1)의 위치 엇갈림을 방지할 수 있다.
현수 지지체 유지부(40)는, 일례에 따른 현수 지지체(C1)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또한, 그 현수 지지체(C1)를 이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두 개의 현수 지지체(C1, C1)를 서로 대향하도록 정렬시켜 동시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자세한 것은 다음과 같다.
이 현수 지지체 유지부(40)는, 베이스부(10)의 하부 벽면(15)으로서 중심축선(O2)에 일치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한쌍의 다리부(41,41)를 아래로 늘어지게 형성한 것이며, 정면에서 볼 때 가로길이가 긴 하향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정면에서 볼 때 약 문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리부(41)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약간 가로길이가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의 하단부에는, 상기 다리부(41)의 전후면(41a,41b)으로부터, 상세를 후술하는 현수 지지체(C1)의 베이스(60)의 두께분만큼 전후로 수평하게 돌출시킨 탈락 방지편(42)을 형성하고 있다.
탈락 방지편(42)의 양가장자리 상면에는, 현수 지지체(C1)에 맞닿게 안치하는 접촉편(43,44,44,43)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됨과 동시에, 접촉편(44,44)의 선단부 사이에는, 걸림돌기(45)가 접촉편(43,44)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45,45)는, 현수 지지체 유지부(40)에 유지한 현수 지지체(C1)를 다리부(41)의 전후면(41a,41b) 사이에 끼워져 접촉하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고, 이 현수 지지체(C1)의 탈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각 다리부(41)의 전후면(41a,41b)에는, 현수 지지체(C1)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의 위치 결정 요홈부(50,50)로서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들 위치 결정 요홈부(50,50) 사이에, 착자체(51,51)를 내설하고 있다.
착자체(5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판형의 자석이지만, 이 외, 전자석이어도 좋고, 또, 내설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각 다리부(41)의 전후면(41a,41b)에 노출시켜도 좋다. 게다가 테이프 형상의 것을 각 다리부(41)의 전후면(41a,41b)에 접착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음에, 제1 예에 따른 현수 지지체(C1)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은, 현수 지지체의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측면도이고, 도 7은, 현수 지지체의 정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에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6에 나타내는 부재의 일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예에 따른 현수 지지체(C1)는, 가로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베이스(60), 이 베이스(60)의 상부 가장자리(60a)의 양단부에 설치된 이탈부(61,61), 베이스(60)의 하부 가장자리(60b)의 양단부에 설치된 연결부(62,62) 및 착자체(63,63)로 구성되어 있다.
이탈부(61,61)는, 본체(B1)와 현수 지지체(C1)에 설치한 착자체(51,63)끼리의 흡자력에 저항하여, 현수 지지체 유지부(40)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세를 후술하는 교환용 도구(100)에 의해, 본체(B1)로의 현수 지지체(C1)의 착탈작업에 사용하는 것이며, 정면에서 볼 때에 가로길이가 긴 직사각형이며, 또한, 상단부에 교환용 도구(100)의 걸림봉(103)(도 9 참조)을 삽입하여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편(64,64)이 가로방향으로 "J"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편(64,64)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기에 적어도 하향 외력(하부에의 외력)(F)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접촉편(43,44,44,43)과 현수 지지체(C1)의 베이스(60)의 하부 가장자리(60b)와의 접촉점을 회전축심(O4, O5)으로하여 상기 현수 지지체(C1, C1)에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 관계로 하고 있다.
연결부(62,62)는, 상세를 후술하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매체홀딩부재(D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 지지하는 것이며, 지지구멍(65a, 65a)을 형성한 전후벽(65,65)을 포함한 평면에서 볼 때 4각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아래면을 연결구로서 개구하고 있다.
베이스(60)의 후면(60c)에는, 상술한 위치 결정 요홈부(50,50)에 끼워지는 위치 결정부를,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의 위치 결정 돌출부(66,66)로서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위치 결정 돌출부(66,66)의 정면 측에는, 상기 본체측 착자체(51,51)와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63,63)가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B1)에는, 현수 지지체 유지부(40)에 유지한 현수 지지체(C1)에 대향하는 위치에 두 개의 본체측 착자체(51,51)를 설치함과 동시에, 현수 지지체(C1)에는, 본체(B1)에 설치한 각 본체측 착자체(51,51)에 대향하는 위치에, 그 본체측 착자체(51,51)에 흡착하는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63,63)를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B1)측의 두 개의 본체측 착자체(51,51)는, 서로 다른 자극이 현수 지지체(C1)를 향하도록 하고, 또, 현수 지지체(C1)측의 두 개의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63,63)는, 본체(B1)측의 두 개의 본체측 착자체(51,51)와 서로 흡착하도록, 서로 다른 자극이 본체(B1)측을 향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다리부(41,41)의 전후 양면(41a,41b)에 형성한 현수 지지체 유지부(40,40)에 대해서, 하나의 현수 지지체(C1)를 공용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 요홈부(50,50)와, 위치 결정 돌출부(66,66)를 끼웠을 때에, 현수 지지체(C1) 베이스(60)의 하부 가장자리(60b)와, 접촉편(43,44,44,43) 사이에, 소정의 틈(t)(도 1 참조)이 형성되는 위치 관계로 하고 있다.
도 8은, 일례에 따른 브래킷과 이것에 매달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매체홀딩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매체홀딩부재(D1)는, 정보표시매체(P)의 폭에 따른 전체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동시에 전후 2장의 정보표시매체(P,P)를 홀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매체홀딩부재(D1)는 합성수지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며, 연결편(70)의 아래면 중앙에 고정편(71)을, 또, 그 연결편(70)의 전후 가장자리부에 가동편(72,72)을 각각 늘어뜨려서 설치한 구조이며, 측면에서 볼 때 상하 역방향 약 "E"자형으로 되어 있다.
연결편(70)의 상면(70a)에는, 상세를 후술하는 브래킷(F1)의 연결부(82)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관통홈(74)이, 상하 역방향 "L"자형으로 한쌍의 기립(起立)편(73,73)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가동편(72)은, 연결편(70)의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경첩부(75)가 설치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홀딩위치와, 이 홀딩위치로부터 바깥쪽으로 열린 비홀딩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편(72,72)의 내면(72a,72a) 상단부에는, 홀딩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고정편(71)의 상단부에 형성한 결합 돌기(76,76)와 결합하는 결합 돌기(77,77)가 고정편(71)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부로부터 하부에는, 정보표시매체(P)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돌기(78…)가 상하 다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홀딩돌기(78…)는, 이것의 고정단보다 개방단을 상방에 위치시킨 경사 자세로 되어 있고, 정보표시매체(P)의 자중에 의해 홀딩력을 강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결합 돌기(76,77)가 결합함으로써, 가동편(72)을 홀딩위치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홀딩돌기(78…) 사이에 삽입된 정보표시매체(P)를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딩돌기(78…)에 의해, 2장의 정보표시매체(P,P)를 각각 개별적으로 홀딩하고 있기 때문에, 2장의 정보표시매체(P,P)를 중첩시켜 홀딩했을 때에 비해 마찰력을 높일 수 있고, 각 정보표시매체(P)를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다.
브래킷(F1)은, 지지다리(80)의 상하 단부에 두 개의 연결부(81,82)를 일체로 형성한 합성수지제이다.
연결부(81)는, 측면에서 볼 때, 상하 역방향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의 행거부(81a,81a)의 외면에, 상기 연결부(62)의 연결구멍(65a)에 걸리는 걸림돌기(83,8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행거부(81a,81a)는 걸림돌기(83,83)를 상기 연결구멍(65a)에 걸리게 할 때에 안쪽으로 탄성변형하도록 하고, 또, 그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83,83)를 상기 연결구멍(65a)에 걸리게 하고 있다.
연결부(82)는, 측면에서 볼 때 가로길이가 긴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부(82)가 관통홈(74)에 삽입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84,84는 가이드편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A1)을 사용해, 정보표시매체를 피고정재에 매달고, 또, 매달려 있는 정보표시매체를 내리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체에 유지되어 있는 현수 지지체에, 교환용 도구를 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체로부터 현수 지지체를 이탈시킬 때의 단면 사시도, 도 11은, 현수 지지체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우선, 본체(B1)를 피고정재(T)에 고정하는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피고정재(T)의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B1)의 상면(11)을 피고정재(T)에 대향시켜 접근시키면, 위치 결정용 핀(19…)이 피고정재(T)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이때, 고정용 핀(19…)은 본체(B1)에 끼워넣지 않았다.
그리고, 본체(B1) 상부 벽면(11)을 피고정재(T)에 접촉시키면, 위치 결정용 핀(19…)이 피고정재(T) 내에 충분히 삽입되어 본체(B1)를 상기 피고정재(T)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고정용 핀(19)을, 손잡이(19a)가 벽면에 맞닿을 때까지 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핀 부재(19b)의 소정의 길이 부분이 피고정재(T)에 45도의 각도로 삽입되어, 현수유닛(A1)을 피고정재(T)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고정용 핀(19)을 피고정재(T)에 삽입할 때에도, 본체(B1)는 위치 결정용 핀(19,19)에 의해 피고정재(T)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용 핀(19)을 상기 피고정재(T)에 삽입할 때도 본체(B1)를 눌러 놓을 필요가 없고, 고정용 핀(19)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현수 지지체(C1)의 교환 작업에 사용하는 교환용 도구(100)는, 소정의 전체 길이로 한 무늬(101)의 상단부에 고정한 연결도구(102)를 통해, 그 무늬(101)에 직교하는 원주형상의 걸림봉(103)을 장착한 구조이다.
현수 지지체(C1)는, 착자체(51,63)끼리의 흡자력에 의해 홀딩체 유지부(40)에 유지되어 있지만, 이때 위치 결정 요홈부(50,50)와 위치 결정 돌출부(66,66)가 끼워지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환용 도구(100)의 걸림봉(103)을 걸림편(64,64)에 삽입하고, 현수 지지체(C1)를 하부로 당겨 내리도록 외력(F)을 가하면, 위치 결정 돌출부(66,66)와의 끼움 상태가 풀려 현수 지지체(C1)는 틈(t)(도 1(A) 참조)만큼 하부로 이동하여, 이것의 베이스(60)의 하부 가장자리(60b)가 접촉편(43,44,44,43)에 맞닿는다.
이때, 착자체(51,63)끼리의 흡자력은 급격하게 약해져, 하부로 당겨 내리는 외력(F)을 작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외력(F)을 계속 작용하면, 현수 지지체(C1)에는 서로 대향 흡착하고 있는 착자체(51,63)끼리를 떼여놓도록 외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또, 접촉편(43,44,44,43)에 맞닿게 안치하고 있는 베이스(60)의 하부 가장자리(60b)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는 힘이 발생하며, 이것에 의해, 현수 지지체(C1)는, 접촉편(43,44,44,43)에 맞닿게 안치하고 있는 베이스(60)의 하부 가장자리(60b)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이동한다.
현수 지지체(C1)의 경사이동 도중에 있어서는, 그 하부 가장자리(60b)가 걸림턱(45)에 의해 걸리고, 현수 지지체(C1)의 이탈 도중에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착자체(51,63)끼리의 흡자력에 저항하여 현수 지지체(C1)를 본체(B1)로부터 경사이동 이탈시킨다.
또, 본체(B1)에 현수 지지체(C1)를 장착할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의 위치 결정부(50,50,63,63)를 대향시키도록 해, 현수 지지체(C1) 베이스(60)의 상부 가장자리(60a)측으로부터 본체(B1)에 접근하면, 위치 결정부(50,50,63,63) 사이에 흡자력이 발생해 서로가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본체(B1) 양단부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고, 또, 상하 방향은, 위치 결정부(50,50,63,63)가 서로 끼워짐으로써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정보표시매체(P)의 자중이 현수 지지체(C1)에 작용하지만, 상기 자중의 작용점이, 회전축심(O4, O5)보다 약간 안쪽에 있기 때문에, 현수 지지체(C1)를 이탈시키는 힘은 발생하지 않고, 또, 착자체(51,63) 끼리 흡자력을, 정보표시매체(P)의 자중을 감안한 충분한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하부의 위치 엇갈림도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2를 참조해, 다른 예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다른 예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상술한 일례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E1)는, 석고보드로 이루어지는 천정이나 벽 등의 피고정재(T)에, 고정용 핀(19…)에 의해 삽입 고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예로서 설명했지만,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른 예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E2)는, 천정 등에 설치되어 있는, 단면 상하 역방향 "T"자형의 레일 부재(피고정재)(110)의 수평편(111)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어태치먼트 본체(90)에, 결합편(91)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어태치먼트 본체(90)는, 이것을 상기 본체(B)의 개구(17,17)에 끼웠을 때에, 베이스부(10)의 벽면(12,13)과 평면이 되는 경사 벽면(92), 베이스부(10)의 벽면(14,14)에 내접하는 벽면(93,93), 바닥 벽면(94) 및 상부 벽면(95)에 의해 구획 형성된 약 직방체형이다.
벽면(93,93)에는, 고정용 어태치먼트(E2)를 베이스부(10)에 끼웠을 때에, 상기 위치 결정용 구멍(18,18)에 대향하는 위치에, 원주형상의 위치 결정용 돌기(96,96)(일측은 도시하지 않음)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병합편(91)은, 상기 수평편(111)의 가장자리(111a)에 끼워지는, 측면에서 볼 때 상하 역방향 "L"자형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용 어태치먼트(E2)를 베이스부(10)의 개구(17,17)에 끼움으로써, 수평편(111)의 양가장자리를 각각 결합편(91,91)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B1)를 레일 부재(11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따라서 또, 임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예에 따른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른 예에 따른 브래킷(F2)은, 지지다리(120)의 상하 단부에 두 개의 연결부(121,122)를 일체로 형성한 합성수지제이다.
연결부(121)는, 측면에서 볼 때 상하 역방향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것의 행거부(121a,121a) 외면에, 상기 연결부(62)의 연결구멍(65a)에 걸리는 걸림돌기(123,1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22)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현수부재(130)를 탄성적으로 홀딩하는, 측면에서 볼 때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24,124는, 상기 가이드편(84,84)과 동등한 가이드편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과 매체홀딩부재를 사용하여 정보표시매체를 매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본체와 이것에 장착한 현수 지지체의 확대 정면도, 도 16은, 그 본체와 현수 지지체의 측면도이다. 또, 도 17은, 그 본체와 현수 지지체의 평면도, 도 18은, 다른 예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설명한 것과 동등한 것에 대해서는, 그들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는 주로 차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A2)은, 현수부재(130)를 현수용 끈(155) 및 브래킷(F3)을 통해, 본체(B2)에 장착한, 제2 예에 따른 현수 지지체(C2)에 매단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체(B2)는, 상술한 본체(B1)보다 곡면을 많이 채용한 외관 형상으로 되어는 있지만, 그 본체(B1)와 동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다른 예에 따른 고정용 어태치먼트(E3)를 채용한 것에 따라, 그 고정용 어태치먼트(E3)와의 착탈 구조가 서로 다르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양단부에는, 벽면(12,13)과 상부 벽면(11)에 걸쳐, 각각 평면에서 볼 때 "コ"자형의 개구(17A,17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7A)의 내부 가장자리(17a)의 중앙에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결합용 절결부(17b)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용 절결부(17b)를 구획하는 상부 벽면(11)의 내부 가장자리 하면에는, 결합용 돌기(17c)가, 결합용 절결부(17b)의 내부 가장자리의 폭과 거의 같은 길이로 하면서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용 어태치먼트(E3)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 본체(30)와 덮개부(31)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17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것은, 상기 고정용 어태치먼트(E1)와 동일하다.
덮개부(31)는, 어태치먼트 본체(30)의 끼움구(35)에 끼우는 평면에서 볼 때 약 정사각형의 판상체이며, 이 덮개부(31)의 내벽면(31a)에 본체(B2)의 상기 결합용 돌기(17c)와 탄성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부재(38)가 수평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결합용 부재(38)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지지편(38a)의 개방단에 상기 결합용 돌기(17c)와 결합하는 결합용 돌기(38b)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지지편(38a)의 탄성변형을 이용해, 고정용 어태치먼트(E3)를 본체(B2)를 향해 삽입함으로써, 본체 결합용 돌기(17c,38b) 끼리 결합한다. 또, 그 고정용 어태치먼트(E3)를 본체(B2)의 측방으로 인출함으로써, 지지편(38a)이 탄성변형하고, 본체 결합용 돌기(17c,38b) 끼리의 결합이 해제되어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현수 지지체(C2)는, 가로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베이스(140), 이 베이스(140)의 상부 가장자리(140a)의 양단부 근방에 형성된 이탈부(141,141), 그 베이스(140)의 양단부에 설치된 현수 길이 조절부(150,150) 및 착자체(63,63)로 구성되어 있다.
이탈부(141,141)는, 상술한 이탈부(61,61)에 상당하는 것이며, 본체(B2)와 현수 지지체(C2)에 설치한 본체측,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51,63)끼리의 흡자력에 저항하며, 현수 지지체 유지부(40)로부터 이탈시키는 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정면에서 볼 때 가로길이가 긴 사각형, 또한, 상단부에 상술한 교환용 도구(100)의 걸림봉(103)(도 9 참조)을 삽입하여 걸기 위한 걸림편(142,142)이 가로방향으로 "J"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편(142,142)은, 도 1(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들에 적어도 하향 외력(하방으로의 외력)(F)을 작용함으로써, 상기 접촉편(43,44,44,43)과 현수 지지체(C2)의 베이스(140)의 하부 가장자리(140b)와의 접촉점을 회전축심(O4, O5)으로 하여 상기 현수 지지체(C2(C2))에 시계방향 및 시계반대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위치 관계로 하고 있다.
도 19는, 현수 길이 조절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현수 길이 조절부(150,150)는, 현수용 끈(155)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베이스(140)의 양단부에 천공한 지지구멍(140c,140c)에 장착되어 있다.
즉, 현수 길이 조절부(150)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51) 내에, 릴(152), 나선 용수철(153), 회동 정지 부재(154) 및 현수용 끈(155)을 수용함과 동시에, 케이스(151)의 한 벽면에 회동 정지용 레버(156)를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151)는, 일면을 개구한 외경이 서로 같은 분할체(151a,151b)의, 서로의 개구를 맞닿게 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그 중 분할체(151a)의 중심에는 축 구멍(151c)이 천공되어 있다.
회동 정지 부재(154)는, 릴(152)의 회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며, 그것은, 원판의 슬라이딩판(154a)의 중심에 축(154b)을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그 축(154b)을 상기 지지구멍(151c)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릴(152)은, 원통형의 권회부(152a)의 양면에 원형의 리브(152b,152b)를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소정 길이가 현수용 끈(155)을 권회 수용하기 위한 원형 고리의 끈 수용홈(α)을 외주에 형성한 것이다.
또한, 현수용 끈(155)의 일단부를 상기 릴(152)의 일부에 연결하고 있다.
나선 스프링(153)은, 권회부(152a) 내에 형성한 원통형으로 한 중공의 나선 수용부(α)에 권회 수용되어 있고, 그 일단부를 릴(152)에, 또, 타단을 축(154b)에 각각 고정하고 있다.
즉, 현수용 끈(155)의 인출에 따라 나선 스프링(153)을 감음으로써, 현수용 끈(155)의 인출을 해제했을 때에, 현수용 끈(155)을 끌어들이도록 하고 있다.
분할체(151b)의 외벽면의 중앙부에는, 회동 정지용 레버(156)의 축(156a)을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축지지편(151d,151d)(일측은 도시하지 않음)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또, 축(156a)의 주위에 접촉부(156b)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팽출 형성하고 있다.
즉, 회동 정지용 레버(156)를, 회동 정지 위치(ⅰ)와 회동 허용 위치(ⅱ) 사이에서 회동 조작함으로써, 분할체(151b)의 내벽면을 회동 정지 부재(154)에 맞닿도록 탄성변형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딩판(154a)을 릴(152)에 눌러 접촉시킴으로써, 릴(152)의 회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현수용 끈(155)을 원하는 길이만큼 꺼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현수용 끈(155)의 인출 길이를 길거나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현수용 끈(155)의 타단부(하단부)에는, 다른 예에 따른 브래킷이 고정되어 있다. 도 20(A)는 다른 예에 따른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그 측면도이다.
다른 예에 따른 교환 브래킷(F3)은, 탄성 부재(160)와 홀딩 부재(161,161)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이다.
탄성 부재(160)는 측면에서 볼 때 하향 약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기 홀딩 부재(161,161)를 홀딩위치(ⅲ)와 비홀딩위치(ⅳ)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중앙부 외벽면에, 현수용 끈(155)의 하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끈연결부(160a)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홀딩 부재(161,161)는, 상기 현수부재(130)를 홀딩하는, 측면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외주면 중앙부와 탄성 부재(160)의 양단은 힌지(161a,161a), 또, 홀딩 부재(161,161)의 기단부 끼리를 힌지(161b)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현수유닛(A2)에 의하면, 현수유닛(A1)으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해 현수용 끈(155,155)의 인출 길이를 각각 현수 길이 조절부(150,150)에 의해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표시매체(P)의 경사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에 대해, 도 21 내지 도 2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과 매체홀딩부재를 사용하여, 정보표시매체를 매단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2(A)는, 본체에 장착한 제3예에 따른 현수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그 제3예에 따른 현수 지지체에 설치한 끈 고정부재의 확대 측면도이다.
또, 도 23은, 매체홀딩부재, 슬라이딩 브래킷 및 슬라이더의 상세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4는, 그것들 매체홀딩부재, 슬라이딩 브래킷 및 슬라이더의 확대 측면도, 도 25(A)는 슬라이딩 브래킷의 사시도, (B)는 그 단면도, (C)는 그 슬라이딩 브래킷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A3)은, 본체(B2), 현수 지지체(C3) 및 매체홀딩부재(D2)를 주요 구성으로 한 것이며, 그 매체홀딩부재(D2)를 브래킷(F3) 및 현수용 끈(155)을 통해 현수 지지체(C3)에 매달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A3)은, 현수 지지체(C3)와 매체홀딩부재(D3)의 구성이, 상술한 현수유닛(A2)과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는 그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고, 그 외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등한 것에 대해서는 그들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예에 따른 현수 지지체(C3)는, 상기 현수유닛(A2)의 현수 지지체(C2)에 마련한 현수 길이 조절부(150,150) 대신에, 끈 고정부재(170,170)를 설치함과 동시에, 브래킷(F3) 대신에 브래킷(F4)을 채용한 구성이다.
도 22(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끈 고정부재(170)는 지지구멍(140a)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현수용 끈(155)의 상단부의 원하는 길이 부분을 권회하기 위한 축부(171)에, 이것보다 직경이 큰 끈지지부(17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그 끈지지부(172)에, 축부(171)에 권회한 현수용 끈(155)을 삽입 관통 지지하기 위한 관통공(172a)을 형성하고 있다.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매체홀딩부재(D2)는, 도 23,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반부에 홈 형성부(180)를, 또, 하반부에 홀딩부(181)를 설치함과 동시에, 정보표시매체(P)의 폭에 따른 전체 길이로 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홈 형성부(180)는, 상세를 후술하는 브래킷(F4)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측면에서 볼 때 "T"자형의 브래킷 결합홈(180a)을 상부에, 또, 현수용 끈(155)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더(2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더 결합홈(180b,180b)을 양측부에 형성하고, 측면에서 볼 때 약 "T"자형으로 되어 있다.
홀딩부(181)는, 홈 형성부(180)의 일측 가장자리에 경첩부(182b)를 통해 연결된 가동편(182)과 홈 형성부(180)의 타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183)을 대향시켜 형성하고 있다.
가동편(182)은, 정보표시매체(P)를 사이에 두는 홀딩위치(ⅴ)와 이 홀딩위치(ⅴ)에서 바깥쪽으로 열린 비홀딩위치(미도시)에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편(182)의 내면(182a) 상단부에는, 홀딩위치(ⅴ)로 이동했을 때에, 고정편(183)의 상단부에 형성한 결합 돌기(184)와 결합하는 결합돌기(185)가, 고정편(183)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184,185)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가동편(182)과 고정편(183)에 의해 정보표시매체(P)를 홀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결합 돌기(184,185)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가동편(182)을 홀딩위치(ⅴ)에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기 홀딩돌기(186,185…)사이에 삽입된 정보표시매체(P)를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가동편(182) 내면(182a)의 중간부로부터 하부에는, 정보표시매체(P)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돌기(186…)가 상하 다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고정편(183)의 중간부로부터 하부에도, 정보표시매체(P)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돌기(186…)가 상하 다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각 홀딩돌기(186)는, 이것의 고정단보다 개방단을 윗쪽에 위치시킨 경사 자세로 되어 있고, 정보표시매체(P)의 자중에 의해 홀딩력을 강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브래킷(F4)은, 브래킷 결합홈(18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측면에서 볼 때 "T"자형의 연결체(191)와 이 연결체(191)에 외장하는 외장체(192)로 이루어진다.
연결체(191)는, 브래킷 결합홈(180a)에 결합하는 하측 결합부(191a)와, 외장체(192)의 결합편(192a,192a)에 결합하는 상측 결합부(191b)를 연결부(191c)의 상하 단부에, 또,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결합부(191a)의 상면 양측으로 한쌍의 지지편(191d,191d)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 지지편(191d,191d) 사이에 현수용 끈(155)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191e)를 가설치한 것이다.
외장체(192)는, 홈 형성부(180)를 끼우는 간격으로 측판(193,193)의 내벽면에 상기 걸림편(192a,192a)을 돌출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측판(193,193)의 상반부측에 상벽(194,195,194)을 산 모양으로 형성한 것이며, 그 중, 상벽(195)에는, 현수용 끈(155)을 통과하기 위한 끈 통과구멍(195a)(도 2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는, 현수용 끈(155)의 하단부를 외장체(192)의 끈 통과구멍(195a), 가이드 부재(193), 브래킷 슬라이딩홈(180a) 및 슬라이더 결합홈(180b)을 통해 슬라이더(200)에 연결 고정하고 있다.
슬라이더(200)는, 도 23,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 결합홈(180b)의 폭보다 직경이 큰 조작부(200a)와, 슬라이더 결합홈(180b)에 결합하는 결합부(200b)를 연결부(200c)에 의해 일체로 연결한 구성이다.
또한, 연결부(200c)에는, 현수용 끈(155)의 타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끈용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현수유닛(A3)에서는, 슬라이더(200)를 슬라이딩홈(180b)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현수용 끈(155)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브래킷(F4)과 슬라이더(200)에 의해, 현수용 끈(155)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현수 길이 조절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현수유닛(A3)에 의하면, 현수유닛(A1)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해 현수용 끈(155,155)의 인출 길이를 슬라이더(200)에 의해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표시매체(P)의 경사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또, 그 길이의 조절 조작을 매체홀딩부재(D3) 근방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을 보다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3예 실시형태에 따른 매체홀딩부재에 대해, 도 26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26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매체홀딩부재의 확대 측면도이다. 또한, 상술한 매체홀딩부재(D2)에서 설명한 것과 동등한 것에 대해서는, 그것들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매체홀딩부재(D3)는, 상반부에 홈 형성부(180)를, 또, 하반부에 홀딩부(187)를 설치함과 동시에, 정보표시매체(P)의 폭에 따른 전체 길이로 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홀딩부(187)는, 홈 형성부(180)의 중앙 부분에 경첩부(188a)를 통해 연결된 가동편(188)과 홈 형성부(180)의 타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189)을 대향시켜 형성하고 있다.
가동편(188)은, 정보표시매체(P)를 끼우는 홀딩위치(ⅵ)와 이 홀딩위치(ⅵ)로부터 바깥쪽으로 열린 비홀딩위치(미도시)에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편(188) 내면(188c)의 중간부에는, 홀딩위치(ⅵ)로 이동했을 때에, 고정편(189)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188b)가, 고정편(189)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188b)가 고정편(189)에 결합함으로써, 가동편(188)과 고정편(189)에 의해 정보표시매체(P)를 홀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음과 같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와 현수 지지체 쌍방의 위치 결정부에 착자체를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현수 지지체에 설치한 착자체 대신에 자성체를 설치하고, 또, 본체에 설치한 착자체 대신에 자성체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어태치먼트 본체와 덮개부로 이루어지는 고정용 어태치먼트에 대해 나타냄과 동시에, 그 덮개부에 형성한 핀끼움공에 위치 결정용 핀을 끼워 넣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 덮개부에 위치 결정용 핀을 인서트 성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어태치먼트 본체와 덮개부를 별도로 형성한 것에 대해 나타냈지만, 그것들을 일체로 해도 좋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상기 각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 각 구성은, 이들 각 실시형태에만 적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을 다른 실시형태에 준용 혹은 적용하고, 또, 그것을 임의로 조합할 수 있음을 부기한다.
40 현수 지지체 유지부
42 탈락 방지편
50,66 위치 결정부
51 본체측 착자체(着磁體)
63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
61 이탈부
70 연결편
71,189 고정편
72,188 가동편
78,186 홀딩돌기
A1~A3 현수유닛
B1, B2 본체
C1~C3 현수 지지체
D1~D3 매체홀딩부재
P 정보표시매체
T 피고정재

Claims (11)

  1. 소정의 정보를 나타낸 정보표시매체를, 피고정재에 현수하기 위한 현수유닛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재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와,
    상기 정보표시매체를 현수 지지함과 동시에,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는 현수 지지체를 가지고,
    본체에는, 현수 지지체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며, 또한, 그 현수 지지체를 이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현수 지지체 유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현수 지지체 유지부에 유지된 현수 지지체에 대향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측 착자(着磁)체를 설치하고 있는 것,
    현수 지지체에는, 본체에 설치한 각 본체측 착자체에 대향하는 위치에, 그 본체측 착자체에 흡착하는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를 설치함과 동시에,
    본체와 현수 지지체에 설치한 본체측,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 끼리의 흡자력에 저항하며, 현수 지지체 유지부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이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와 현수 지지체에 각각 복수개의 본체측,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를 설치하고,
    이들 쌍방에 설치한 본체측,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를, 이극(異極)을 포함하도록 배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와 현수 지지체의 쌍방에, 현수 지지체 유지부에 현수 지지체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와 현수 지지체 쌍방의 위치 결정부에, 본체측, 현수 지지체측 착자체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수 지지체 유지부는, 현수 지지체를 경사이동 이탈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수 지지체 유지부에, 이것에 유지되어 있는 현수 지지체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편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수 지지체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현수 지지체와 탈락 방지편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기 위한 매체홀딩부재를 지지하는 브래킷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현수 지지체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표시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을 현수용 끈을 통해 현수 지지체에 현수함과 동시에,
    그 현수용 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현수 길이 조절부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 기재의 현수 유닛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에 있어서,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는 홀딩위치와, 그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지 않는 비홀딩위치에 이동 가능한 한쌍의 가동편과, 이들 가동편 사이에, 이것들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편을 대향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편과 고정편의 각 대향면에,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돌기를 복수개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 기재의 현수 유닛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에 있어서,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는 홀딩위치와, 그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지 않는 비홀딩위치에 이동 가능한 가동편과, 이 가동편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편을 대향되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편과 고정편의 각 대향면에, 정보표시매체를 홀딩하기 위한 홀딩돌기를 복수개 돌출되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유닛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
KR1020107022568A 2008-03-11 2009-03-03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 KR20110009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0748 2008-03-11
JP2008060748 2008-03-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103A true KR20110009103A (ko) 2011-01-27

Family

ID=4106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568A KR20110009103A (ko) 2008-03-11 2009-03-03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18980B2 (ko)
EP (1) EP2254107B1 (ko)
JP (1) JP5182768B2 (ko)
KR (1) KR20110009103A (ko)
CN (1) CN101986792B (ko)
HK (1) HK1152141A1 (ko)
WO (1) WO2009113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432A1 (ja) * 2009-07-08 2011-01-13 株式会社アドヴァンス パイプ支持台
JP2011128537A (ja) * 2009-12-21 2011-06-30 Wayo Co Ltd 吊下げユニット及びこの吊下げユニットの取換え用具
GB201015767D0 (en) * 2010-09-18 2010-10-27 Loveridge Michael J Suspended attachment rail apparatus
WO2012123771A1 (en) * 2011-03-16 2012-09-20 Bronzoni Pier Luigi Magnetic display holder
CN103325309B (zh) * 2013-06-29 2015-04-15 国家电网公司 输电线路警示牌灵活悬挂装置
WO2015187190A1 (en) * 2014-06-04 2015-12-10 Qtran, Inc. Magnetic electrical track
US20160363263A1 (en) * 2015-02-11 2016-12-15 Robert Stockham System and method for movably mounting arena-type displays
US9691304B2 (en) 2015-08-17 2017-06-27 Earl Votolato Item hanging and manipulating apparatus
US20170059084A1 (en) * 2015-09-01 2017-03-02 Under The Roof Decorating Inc. Decorative object including integral hanging member
CN105070200A (zh) * 2015-09-01 2015-11-18 国家电网公司 一种电线杆杆号牌固定装置
CN106373484A (zh) * 2016-08-31 2017-02-01 吕碧倩 一种安全牌匾安装装置
US11004584B2 (en) * 2018-10-17 2021-05-11 Kang Yao Electric track system for various appliances via magnetic positioning
US11156327B2 (en) * 2019-03-25 2021-10-26 Ryan Hillam All-purpose mounting system
CN111264957B (zh) * 2020-03-11 2021-10-01 胡敏佳 一种服饰生产用传送设备
US11380227B2 (en) * 2020-06-30 2022-07-05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Truss system for video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5218Y1 (ko) * 1965-06-28 1968-06-26
JPS5221428Y2 (ko) * 1973-10-18 1977-05-17
JPS6064882U (ja) 1983-10-13 1985-05-08 弘和産業株式会社 ポスタ−等シ−ト類吊下具
US5188332A (en) * 1990-03-28 1993-02-23 Callas Mike T Sign holder
JPH0738938Y2 (ja) * 1991-11-14 1995-09-06 孝幸 三谷 案内板
US5381991A (en) * 1992-02-21 1995-01-17 Sign-Up, Inc. Suspended display holder
JP3025925U (ja) * 1995-12-15 1996-06-25 株式会社浅野紙業 書類保持具及びこの書類保持具を有する書類保持体
JP3034649U (ja) * 1996-07-15 1997-02-25 株式会社エスピーセンター ポスターの吊り具
USD423592S (en) * 1999-09-17 2000-04-25 Fasteners For Retail, Inc. Banner hanger
CA2309069C (en) * 2000-05-19 2002-08-06 John Ostrovsky Swing-open picture frame and banner-hanger member
US6644617B2 (en) * 2000-12-06 2003-11-11 Nelson Douglas Pitlor Remotely attachable and separable coupling
WO2003088167A2 (en) * 2002-04-11 2003-10-23 Mcgreal Timothy R Smoke alarm and mounting kit
FR2846131B1 (fr) * 2002-10-21 2004-12-24 Jean Francois Duhanneau Dispositif de suspension d'une affiche
US7373748B2 (en) * 2003-07-09 2008-05-20 Rose Displays Ltd. Elongated poster support arrangement
US20050055862A1 (en) * 2003-07-09 2005-03-17 Pitcher David E. Elongated poster support arrangement
CN2790830Y (zh) * 2004-12-09 2006-06-28 张大勇 一种公交车窗手拉式广告窗帘
US20060196091A1 (en) * 2005-03-01 2006-09-07 Design And Deliver Incorporated Retractable self-leveling ceiling sign hanger
US7722100B2 (en) * 2007-02-26 2010-05-25 Rose Displays, Ltd. Sign holding extrusion-attachment arrangement
US7743541B2 (en) * 2007-02-26 2010-06-29 Rose Displays Ltd Sign holding extrusion arrangement
JP4315218B2 (ja) 2007-06-12 2009-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2141A1 (en) 2012-02-17
EP2254107B1 (en) 2016-11-23
CN101986792B (zh) 2013-04-17
CN101986792A (zh) 2011-03-16
US20110006177A1 (en) 2011-01-13
JPWO2009113424A1 (ja) 2011-07-21
JP5182768B2 (ja) 2013-04-17
EP2254107A1 (en) 2010-11-24
US8418980B2 (en) 2013-04-16
EP2254107A4 (en) 2014-01-22
WO2009113424A1 (ja)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9103A (ko) 현수유닛과 이것에 사용되는 매체홀딩부재
CA2579234C (en) Magnetically attachable window screen system
CN114732271A (zh) 窗帘开合装置的挂接机构及窗帘开合装置
JP4976197B2 (ja) カーテン保持具
US8146872B2 (en) Display attachment apparatus
JPS5849929A (ja) フイルム透明陽画の支持フレ−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8025332A (ja) スクリーン装置
JP2525939B2 (ja) 照明器具
JP4755140B2 (ja) 綴じ具
US20210212497A1 (en) Suspension system.
JPH0744220Y2 (ja) 円形レール止め具
KR200485563Y1 (ko) 휨을 방지하는 홀더가 구비된 바늘못 벽걸이
EP3263823B1 (en) Magnetic fixing system for a curtain or roller blind mechanism
CN115325351A (zh) 显示设备贴墙挂接架
JP6430344B2 (ja) 連動引き戸装置
JP3123784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用マグネットホルダ
KR20020036623A (ko) 종이클립
JP3107308U (ja) Cdケースホルダ
JP5793462B2 (ja) 扉開閉構造
JPS58121612A (ja) 係合具
JP2003026276A (ja) Fdハンガー
JP3189039U (ja) 吊下具
JP2006009537A (ja) ドアー取着用開放停止具
JP3290022B2 (ja) 開口部への扉の取り付け方法
KR200228852Y1 (ko) 종이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