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638A -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638A
KR20110008638A KR1020090066066A KR20090066066A KR20110008638A KR 20110008638 A KR20110008638 A KR 20110008638A KR 1020090066066 A KR1020090066066 A KR 1020090066066A KR 20090066066 A KR20090066066 A KR 20090066066A KR 20110008638 A KR20110008638 A KR 20110008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andle
drill
motor
pneumat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백산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백산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백산상사
Priority to KR102009006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638A/ko
Publication of KR2011000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on boring machines for positioning or guiding the drill; Devices for indicating failure of drills during boring; Centering devices for holes to be bored
    • B23B49/04Devices for boring or drilling centre holes in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0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vement of carriages or work- 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스푼, 젓가락과 같은 음식용구에서 음식용구의 본체와 별도로 분리 형성되어 조립되는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한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는, 제 1공압실린더를 통하여 연결된 핸들몸체에서 가공재료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좌측고정부 및 우측고정부과,
상기 우측고정부의 회전축에 회전력을 받기 위하여 연이어 형성된 치차 및 상기 치차에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손잡이 회전모터의 축에 형성된 체인과,
구동작업대에 세워 설치되고 내부 모터 축에 권취된 샌드페이퍼가 장착된 샌드페이퍼 가공부와,
상기 제 1공압실린더에 의하여 회전되는 핸들몸체내 가공재료가 샌드페이퍼 가공부의 샌드페이퍼에 접촉되도록 동작하는 제 1스위치와,
상기 가공재료가 샌드페이퍼 가공부의 샌드페이퍼에 접촉시 핸들몸체내 설치된 스위치작동대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2스위치와,
상기 제 2스위치의 구동에 의하여 가공재료에 삽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허여 구동되는 드릴이 장착된 드릴회전모터 및 그 드릴회전모터를 이동시키는 제 2공압실린더와,
상기 이동되는 드릴회전모터에 부착된 작동구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3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스위치의 작동시 각각의 기기가 원위치로 환원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수개의 공압실린더 및 다수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구동되게 하는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가공재료, 손잡이, 샌드페이퍼, 공압실린더, 우측고정부, 좌측고정부, 치차, 체인

Description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Handle formation system for food tool and the driv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스푼, 젓가락과 같은 음식용구에서 음식용구의 본체와 별도로 분리 형성되어 조립되는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한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용구의 손잡이는 몸체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적인 측면이나 사용상의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즉, 제조원가를 위하여 몸체와 일체적으로 제조되는 음식용구의 손잡이의 경우 보편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미려한 형상과 고품위를 위하여 음식용구의 손잡이를 몸체와 상이한 재질을 사용하기 위한 노력이 배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천연재질의 나무를 사용하는 경우 강도가 우수한 강화목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강화목의 사용하는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그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칼날을 사용하여 손잡이를 대량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칼날이나 톱니를 사용하여 강화목이 회전되도록 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형상이 단순화되기 때문에 미려한 손잡이를 생산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그리고 재질의 다양화에 따라 경제적인 재질로서 아크릴이나 PVC (Polyviny chloride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은 재질들은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칼날이나 톱니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절삭하는 경우에는 파손율이 심하여 대량생산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강도가 높은 강화목이나 강도가 약한 아크릴이나 PVC 수지 등을 모두 가공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자유로운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가 요구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용구 손잡이를 형성하는 다양한 재질에 대하여 모두 가공이 용이한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그 변경된 형상대로 회전하하면서 다양한 형태로의 구현이 자유로운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공압실린더 및 다수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자동화를 통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는,
제 1공압실린더를 통하여 연결된 핸들몸체에서 가공재료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좌측고정부 및 우측고정부과,
상기 우측고정부의 회전축에 회전력을 받기 위하여 연이어 형성된 치차 및 상기 치차에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손잡이 회전모터의 축에 형성된 체인과,
구동작업대에 세워 설치되고 내부 모터 축에 권취된 샌드페이퍼가 장착된 샌드페이퍼 가공부와,
상기 제 1공압실린더에 의하여 회전되는 핸들몸체내 가공재료가 샌드페이퍼 가공부의 샌드페이퍼에 접촉되도록 동작하는 제 1스위치와,
상기 가공재료가 샌드페이퍼 가공부의 샌드페이퍼에 접촉시 핸들몸체내 설치된 스위치작동대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2스위치와,
상기 제 2스위치의 구동에 의하여 가공재료에 삽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허여 구동되는 드릴이 장착된 드릴회전모터 및 그 드릴회전모터를 이동시키는 제 2공압실린더와,
상기 이동되는 드릴회전모터에 부착된 작동구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3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스위치의 작동시 각각의 기기가 원위치로 환원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수개의 공압실린더 및 다수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구동되게 하는 자동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의 구동방법은, 수동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가공재료의 삽입부를 핸들몸체내 좌측고정부 및 우측고정부내 고정시키고, 하단 작업대에 고정된 치구의 홈에 가공재료의 몸체를 끼워 고정시키는 가공재료 고정공정과;
상기 가공재료 고정공정을 수행 후 제 1스위치를 수동으로 눌려서 기기내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스위치 구동공정과;
상기 제 1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공압모터가 가동하여 제 1공압실린더를 작동시켜 핸들몸체를 회전시키며, 상기 핸들몸체의 회전시 연이어 구동하는 스위치 작동대가 회전하여 제 2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 1 공압실린더 작동공정과;
상기 우측고정부의 회전축에 연결된 치차가 핸들몸체의 회전에 의하여 체인과 결합되고, 구동모터가 회전력이 회전축에 전달되어 가공재료가 회전하면서 샌드페이퍼 가공부의 샌드페이퍼의 회전과 맞물려 가공되는 가공작업공정과;
상기 핸들몸체의 회전에 따라 제 2스위치가 작동됨에 따라 드릴회전모터 및 제 2공압실린더가 구동하게 되는 제 2스위치 작동공정과;
상기 제 2스위치 작동공정에 따른 제 2공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하여 드릴회전모터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하면서 드릴회전모터가 구동되는 제 2공압 실린더 작동 공정과;
상기 드릴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드릴을 회전시켜 치구내에 고정된 가공재료의 일측에 삽입구를 형성시키면서 드릴회전모터가 우측으로 하는 드릴작업공정과;
상기 드릴회전모터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드릴회전모터의 일측에 부착된 작동구에 의하여 제 3스위치를 구동시켜 기기가 초기위치로 환원되는 제 3스위치 작동공정과;
상기 제 3스위치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환원되면, 수동으로 핸들을 잡아 풀어 포집부에 삽입된 손잡이를 인출시키는 완료공정과;
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정들을 반복처리하여 대량생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성형되고자 하는 가공재료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는 샌드페이퍼에 의하여 원하는 손잡이 형상을 성형하고 있어 강도가 크거나 강도가 적은 가공재료를 모두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손잡이의 형상의 변경시에는 편심각이 다른 편심링을 교환하여 손잡이 상부의 타원의 크기를 변경할 수가 있어 형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다수개의 공압실린더 및 다수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제어되도록 하고 있어 자동화를 통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장치에 의하여 생산되는 수저 및 젓가락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편의상 젓가락 부분의 손잡이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수저나 기타 다른 음식용구의 손잡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a)와 같은 손잡이에서 재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강화목 또는 아크릴재를 성형하여 양산된다. 즉, 상기 재료는 판지형상으로 재단된 원재료(9)를 나무 재단하는 방식으로 원형톱니를 사용하여 직사각형 형상으로 가공한 재료이다.
(b)와 같은 경우는 원재료(9)가 가공되어 심이 삽입되는 삽입부(2)와 손잡이(3)로 이루어지고, 이 손잡이(3)는 일직선이나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 하부의 형상은 원형이고, 상부는 타원형으로 그 끝단부분에 손잡이(3)와 연이어 형성되는 자투리 부분(4)이 연결되어 있는 절단부(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절단부(6)를 형성하여 자투리 부분(4)이 제거되게 하는 것은 미려한 곡선이 표현되게 하여 손잡이의 디자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형상 완성 후 제거하는 것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
(c)도의 경우 절단부(6)를 절단시켜 자투리 부분(4)을 제거하면, 삽입부(2)는 원형의 형태로 남게되고, 이 부분에 젓가락 심을 넣어 젓가락을 완성하게 된다.
물론 상부는 별도로 후가공하여 원하는 형상을 만들거나 마무리 처리를 하게 된다.
(d)도의 경우 상기 음식용구의 손잡이(3)를 다른 형상으로 제조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하부의 삽입부(2)에는 별도의 단턱작업(5)을 실시하고, 손잡이(3)의 상부는 후가공면(7) 처리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미려한 곡선이나 경사을 표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칼날이 부착된 성형장치로서는 생산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강화목을 사용하는 경우 칼날이 무뎌져 대량생산하기가 어려우며, 아크릴재를 사용하는 경우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재료자체가 파손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한 젓가락 및 수저의 손잡이를 성형하는 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젓가락의 손잡이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기초작업대(10)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아니한 공압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제 1공압실린더(12)를 통하여 핸들몸체(80)에 공압이 부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초 작업대(10)의 상부에는 작업판(13)이 설치되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가공재료(42')가 고정될 수 있는 치구(8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우측에는 기기를 작동하기 위한 제 1스위치(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 작업대(10)의 상부 좌측에는 제 2공압실린더(15)가 고정되고, 이 제 2공압실린더 (12)축상에 드릴회전모터(40)가 고정되어 실린더의 왕복운 동에 따라 동시에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드릴회전모터(50)의 끝단에는 드릴(51)이 형성되어 드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초작업대(10)와 용접을 통하여 고정되는 구동작업대(20)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 상에 각각의 기기 부품들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기초작업대(10) 및 구동작업대(20)의 하부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톱밥 및 냄새등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장치가 장착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동작업대(20)의 상부에는 상하로 회전운동할 수 있는 핸들몸체(80)가 형성되어 있고,핸들몸체(80)는 좌측고정부(30) 및 우측고정부(35)로 이루어져 있다.
좌측고정부(30)는 상기 공압실린더(12)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운동하는 연결구(34)을 통하여 고정된 핸들(33)과 그 일부 끝단에 연결되어 고정축(31)를 가지고 있는 고정대(32)로 구성되고, 우측고정부(35)는 상기 고정축(31)에 대응되는 위치인 회전축(32a)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포집부(31a)와, 이 포집부(31a)에 연결되어 일측에 체인(39)을 통하여 회전하는 치차(36)가 형성된 연결구(37)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37)에 용접으로 연결된 구성된 스위치 작동대(38)로 구성되어 제 2스위치(41)를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좌측고정부(30)의 핸들(33)은 고정축(31)을 통하여 스프링에 탄설되게 구성되어 고정축으로 이동으로 가공재료(42')을 고정 및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때 핸들로서 조절한다,
그리고 좌측고정부(30) 및 우측고정부(35)는 하부가 서로 연결된 회전축으 로 힌지구조를 이루고 있어 일체로 상하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고정부(35)의 회전축(32a)에 연결된 축은, 손잡이 회전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모터(40)의 회전시 회전되며, 상기 우측고정부의 포집부(35)는 연결대(37)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치차(36)에 연결되어 있어 치차의 회전력이 그대로 포집부(35)에 인가되게 구성되어 있다. 포집부(35)에는 손잡이가 성형된 가공재료(4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팔형상의 입구를 가진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의 성형시 스위치 작동대(38)에 의하여 동작하는 제2 스위치(41)에 의하여 각각의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작업대(20)에 후단에 세워설치된 샌드페이퍼 가공부(65)는 상하축에 샌드페이퍼(61)가 권취되어 있고 하부의 모터가 상하축을 회전시켜 샌드페이퍼(61)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샌드페이퍼(61)는 미세한 모래나 인조다이야몬드 가루가 부착된 천으로 강도가 강한 제품이나 강도가 약한 제품의 가공시 모두 가공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미설명 부호 43는 제 1스위치로서 공압실린더 작동스위치이며, 44는 손잡이 회전모터(40)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위치이며, 전선의 연결관계는 생략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인 가공구동부의 핵심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가공구동부는 샌드페이퍼(61)가 권취되어 있는 샌드페이퍼 가동부(65)가 구동작업대(20) 상에 세워설치되어 내부의 모터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몸체의 외벽에는 자투리 형성홈(44a)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핸들몸체(88)의 우측고정부 및 세워설치된 제 2스위치 몸체(41)의 일측에는 원형의 롤러(47)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고정부의 회전축(3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편심링(46)이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32a)의 일측에 스프링(49)을 결합시켜 진동이 흡수되도록 편심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편심링(46)의 편심각도에 따라 손잡이 상부의 편심가공이 결정되고, 원형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 상부가 원형으로 가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도 4에 의하여 먼저 편심으로 가공되는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32a)은 손잡이 회전모터(10)의 체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힘을 치차(36)에서 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32a)에 고정된 편심링(46)은 대향면에 설치된 롤러(47)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므로 편심각에 따라 편심된 상태로 회전축이 회전을 하며, 이때 생기는 진동을 고정링에 맞닿아 접촉되는 스프링(49)에서 흡수하게 된다.
회전축의 반대측인 고정축(31)은 핸들 및 연결구(34)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고정되어 있는 가공재료(42')는 원형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1의 (b)와 같이 손잡이(3)의 상부는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원형으로 가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성형장치는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수작업으로 작업판(13)에 놓여 있는 가공재료(42)를 집어 가공위치로 고정시킨다. 즉, 좌측고정부(30)의 고정 축(31)과 우측고정부(35)의 포집부(35a) 사이에 가공재료(42')를 위치시킨 후 수동으로 핸들(33)을 제어하여 우측으로 밀어 고정축(31) 및 포집부(35a)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수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 1스위치(43)를 누르면 자동 동작으로 상기한 가공재료(42')가 음식용구용 손잡이로 성형된다.
상기한 제 1스위치(43)가 작동하면, 도시하지 아니한 공압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공압실린더(12)를 작동시키게 되며, 공압실린더(12)의 작동에 의하여 핸들몸체(80)가 회전하면서 고정축(31) 및 포집부(35a) 사이에서 고정된 작업재료(42')가 성형 작업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공압실린더(12)에 의하여 핸들몸체(80)를 위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좌측고정부(30)와 연동되어 우측고정부(35)의 스위치 작동대(38)가 회전하면서 제 2스위치(41)를 누르게 되고, 공압실린더(12)에 의하여 성형작업이 종료될때 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전원투입과 동시에 샌드페이퍼 가공부(65)의 샌드페이퍼(61)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며, 또한 손잡이 회전모터가 구동하고 있는 상태로서 이 축에 연결된 치차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체인(39)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핸들몸체(80)가 위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우측고정부(35)의 우측에 연이어 고정설치된 치차(36)가 상기 체인(39)과 결합된 상태가 되어 우측고정부(35)의 회전축(32a)이 회전하면서 가공재료(42')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공재료(42')가 샌드페이퍼(61)와 맞닿아 서로 회전하면서 가공재료가 음식용구의 손잡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편심구조를 가지고 있는 회전축(32a)에 의하여 도 1과 같은 손잡이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에 대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손잡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제 2스위치(41)의 구동에 의하여 기초작업대(10)에 설치된 제2 공압실린더(15)가 구동함과 동시에 드릴회전모터(50)가 회전하여 드릴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미리 작업판(13)에 형성된 치구(81)에 가공재료(42)을 올려놓고 손으로 누르고 있으면, 공압실린더에 의하여 드릴회전모터(5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공재료(42)에 삽입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의 삽입구멍 2에 해당).
더 드릴회전모터(5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드릴회전모터에 부착된 작동구(71)가 제 3스위치(74)를 누르게 되어 제 1 공압실린더(12) 및 제 2공압실린더(15)가 원위치로 환원되면서 제 1공압실린더(12)에 의하여 핸들몸체(80)가 원위치로 이동되어(역회전) 초기상태로 놓이게 되고, 핸들(33)을 작동시켜 가공된 가공재료(42')(도 1의 b)를 손으로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가공재료(42)에 삽입구멍을 형성한 드릴회전모터(5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원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 가공재료(42)를 손으로 잡아 핸들몸체(80)의 고정축(31)과 포집부(31a) 사이에 고정시키는 가공위치에 고정시킨후 상기와 같이 제 1스위치(43)을 눌러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여 음식용구의 손잡이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편심링(46)의 종류에 따라 원하는 타원형상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원 형링을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 상부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음식용구 손잡이가 형성되는 과정을 도 5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가공재료 고정공정(S1)
수동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가공재료(42')의 삽입부(2)를 핸들몸체(80)내 좌측고정부(30)의 고정축(31)에 삽입시키고 우측고정부(35)의 포집부(35)내 자투리 부분(4)이 형성되는 가공재료(42')를 삽입한 후 핸들(33)밀어 양족 좌측고정부 및 우측고정부 사이에 가공재료(42')가 고정되게한다.
다음에 하단 작업대(13)에 고정된 치구(81)의 홈에 가공재료(42)의 몸체를 끼워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 작업은 후술하는 제 2스위치 구동공정(S5) 다음에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2) 제 1스위치(43) 구동공정(S2)
고정축을 중심으로 좌측고정부(30) 및 우측고정부(35)내 가공재료(42')가 고정되면 제 1스위치(43)를 수동으로 눌러 작동시킨다.
이 제 1스위치(43)에 작동에 의하여 샌드페이퍼 가동부(65)의 모터 및 체인(39)과 연결된 구동모터(40)가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샌드페이퍼 가동부(65)의 모터 및 체인에 연결된 구동모터는 기기에 전원인가시 작동하고 있으나, 상기한 제 1스위치(43)의 작동시 작동되어도 무관하다.
(3) 제 1 공압실린더(12) 작동공정(S3)
상기한 제 1스위치(43)의 작동에 의하여 공압모터가 가동하여 제 1공압실린더(12)를 작동시켜 핸들몸체(80)을 회전시키며, 상기 핸들몸체(80)의 회전시 연이어 구동하는 스위치 작동대(38)가 회전하여 제 2스위치(41)를 작동시키게 된다.
(4) 가공작업공정(S4)
우측고정부(35)의 회전축(32a)에 연결된 치차(36)가 핸들몸체(80)의 회전에 의하여 체인(39)과 결합되어, 구동모터(40)가 회전력이 회전축(32a)에 전달되어 가공재료(42')가 회전하면서 샌드페이퍼 가공부(65)의 샌드페이퍼(61)의 회전과 맞물려 가공재료(42')가 가공된다.
(5) 제 2스위치(41) 작동공정(S5)
상기 핸들몸체(65)의 회전에 따라 제 2스위치(41)가 작동됨에 따라 드릴회전모터(50) 및 제 2공압실린더(15)가 구동하게 된다.
(6) 제 2공압 실린더 작동공정(S6)
제 2공압실린더(15)의 구동에 의하여 드릴회전모터(5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하면서 드릴회전모터(50)가 구동하게 된다.
(7) 드릴작업공정(S7)
상기한 드릴회전모터(50)의 회전에 의하여 드릴(51)을 회전시켜 치구(81)내에 고정된 가공재료(42)의 일측에 삽입구(도 1의 2)를 형성시키면서 드릴회전모터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8) 제 3스위치(74) 작동
상기한 드릴회전모터(5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드릴회전모터(50)의 일측에 부착된 작동구(71)에 의하여 제 3스위치(74)를 구동시키게 된다.
제 3스위치(74)가 작동되면, 제 1 및 제 2공압실린더(12),(47)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되므로 처음의 원위치로 환원되면서 핸들몸체(80)와 드릴회전모터(5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초기위치로 환원된다.
(9) 완료
상기와 같이 드릴직업공정(S7)에 의하여 가공된 가공재료(42')가 손잡이(3)로 성형되면, 수동으로 핸들을 잡아 풀어 포집부(31a)에 삽입된 손잡이를 인출시키고, 대량생산을 위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처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성형되고자 하는 가공재료가 회전되는 샌드페이퍼에 의하여 가공이 되면서 손잡이 형상을 성형하는 것으로 이때 가공재료도 같이 회전하면서 성형되기 때문에 어려운 형상도 쉽게 성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손잡이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편심구조를 이루고 있는 편심링의 편심각을 변경하여 원하는 타원형의 손잡이로 가공할 수가 있으므로 손잡이의 형상의 표현이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장치에 의하여 생산되는 음식용구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의 주요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에서 손잡이 가공시 편심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8 : 삽입부 3: 손잡이
4 : 자투리 분분 6 : 절단부 10 : 기초작업대 12 : 제 1공압실린더
13 : 작업판 20 : 구동작업대
22 : 고정판 30 : 좌측고정부
31 : 고정축 32 : 고정대
35 : 우측고정부 33 : 핸들
36 : 치차 32a : 회전축
31a : 포집부 38 : 스위치작동대
39 : 체인 40 : 손잡이 회전모터 41 : 제 2스위치 42, 42' : 가공재료
15 : 제 2 공압실린더 61 : 샌드페이퍼
47 : 롤러 46 : 편심링
80 :핸들몸체 81 : 치구

Claims (6)

  1. 제 1공압실린더(12)를 통하여 연결된 핸들몸체(80)에서 가공재료(42')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좌측고정부(30) 및 우측고정부(35)과,
    상기 우측고정부(35)의 회전축(32a)에 회전력을 받기 위하여 연이어 형성된 치차(36) 및 상기 치차에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손잡이 회전모터(40)의 축에 형성된 체인(39)과,
    구동작업대(20)에 세워 설치되고 내부 모터 축에 권취된 샌드페이퍼(61)가 장착된 샌드페이퍼 가공부(65)와,
    상기 제 1공압실린더(12)에 의하여 회전되는 핸들몸체(80)내 가공재료가 샌드페이퍼 가공부의 샌드페이퍼(61)에 접촉되도록 동작하는 제 1스위치(43)와,
    상기 가공재료가 샌드페이퍼 가공부의 샌드페이퍼(61)에 접촉시 핸들몸체내 설치된 스위치작동대(38)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2스위치(41)와,
    상기 제 2스위치(41)의 구동에 의하여 가공재료(42)에 삽입구멍을 형성하기 위허여 구동되는 드릴이 장착된 드릴회전모터(50) 및 그 드릴회전모터(50)를 이동시키는 제 2공압실린더(15)와,
    상기 이동되는 드릴회전모터에 부착된 작동구(71)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 3스위치(7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스위치(74)의 작동시 각각의 기기가 원위치로 환원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좌측고정부(30)는 상기 공압실린더(12)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운동하는 연결구(34)을 통하여 고정된 핸들(33)과 그 일부 끝단에 연결되어 고정축(31)를 가지고 있는 고정대(32)로 구성되고, 핸들이 스프링에 탄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우측고정부(35)는 상기 고정축(31)에 대응되는 위치인 회전축(32a)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는 포집부(31a)와, 이 포집부(31a)에 연결되어 일측에 체인(39)을 통하여 회전하는 치차(36)가 형성된 연결구(37)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구(37)에 용접으로 연결된 구성된 스위치 작동대(38)로 구성되어 제 2스위치(41)를 압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제 2공압실린더(15)가 고정되는 기초작업대(10)에는 이 제 2공압실린더 (12)축상에 드릴회전모터(40)가 고정되어 실린더의 왕복운동에 따라 동시에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드릴회전모터(50)의 끝단에는 드릴(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몸체(88)의 우측고정부 및 세워설치된 제 2스위치 몸체(41)의 일측에는 원형의 롤러(47)가 형성되고, 상기 우측고정부의 회전축(3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편심링(46)이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성하며, 상기 회전축(32a)의 일측에 스프링(49)을 결합시켜 진동이 흡수되도록 편심구동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6. 수동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가공재료(42')의 삽입부(2)를 핸들몸체(80)내 좌측고정부(30) 및 우측고정부(35)내 고정시키고, 하단 작업대(13)에 고정된 치구(81)의 홈에 가공재료(42)의 몸체를 끼워 고정시키는 가공재료 고정공정과;
    상기 가공재료 고정공정을 수행 후 제 1스위치(43)를 수동으로 눌려서 기기내 전원을 공급하는 제 1스위치 구동공정과;
    상기 제 1스위치(43)의 작동에 의하여 공압모터가 가동하여 제 1공압실린더(12)를 작동시켜 핸들몸체(80)을 회전시키며, 상기 핸들몸체(80)의 회전시 연이어 구동하는 스위치 작동대(38)가 회전하여 제 2스위치(41)를 작동시키는 제 1 공압실린더 작동공정과;
    상기 우측고정부(35)의 회전축(32a)에 연결된 치차(36)가 핸들몸체(80)의 회 전에 의하여 체인(39)과 결합되고, 구동모터(40)가 회전력이 회전축(32a)에 전달되어 가공재료(42')가 회전하면서 샌드페이퍼 가공부(65)의 샌드페이퍼(61)의 회전과 맞물려 가공되는 가공작업공정과;
    상기 핸들몸체(65)의 회전에 따라 제 2스위치(41)가 작동됨에 따라 드릴회전모터(50) 및 제 2공압실린더(15)가 구동하게 되는 제 2스위치 작동공정과;
    상기 제 2스위치 작동공정에 따른 제 2공압실린더(15)의 구동에 의하여 드릴회전모터(5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하면서 드릴회전모터(50)가 구동되는 제 2공압 실린더 작동공정과;
    상기 드릴회전모터(50)의 회전에 의하여 드릴(51)을 회전시켜 치구(81)내에 고정된 가공재료(42)의 일측에 삽입구를 형성시키면서 드릴회전모터가 우측으로 하는 드릴작업공정과;
    상기 드릴회전모터(5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드릴회전모터(50)의 일측에 부착된 작동구(71)에 의하여 제 3스위치(74)를 구동시켜 기기가 초기위치로 환원되는 제 3스위치 작동공정과;
    상기 제 3스위치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환원되면, 수동으로 핸들을 잡아 풀어 포집부(31a)에 삽입된 손잡이를 인출시키는 완료공정과;
    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정들을 반복처리하여 대량생산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90066066A 2009-07-20 2009-07-20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10008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66A KR20110008638A (ko) 2009-07-20 2009-07-20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066A KR20110008638A (ko) 2009-07-20 2009-07-20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638A true KR20110008638A (ko) 2011-01-27

Family

ID=4361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066A KR20110008638A (ko) 2009-07-20 2009-07-20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6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73B1 (ko) * 2014-01-08 2014-06-10 박원태 슬라이드형 자동 연마기
KR101455042B1 (ko) * 2013-09-12 2014-10-27 주식회사 부원생활가전 핸드믹서기용 회전대의 조립 및 가공장치
CN106695502A (zh) * 2016-12-19 2017-05-24 阳江市漠海工贸有限公司 一种用于打磨刀柄的自动磨柄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042B1 (ko) * 2013-09-12 2014-10-27 주식회사 부원생활가전 핸드믹서기용 회전대의 조립 및 가공장치
KR101403973B1 (ko) * 2014-01-08 2014-06-10 박원태 슬라이드형 자동 연마기
CN106695502A (zh) * 2016-12-19 2017-05-24 阳江市漠海工贸有限公司 一种用于打磨刀柄的自动磨柄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35896U (zh) 运用于电动工具的往复机构
CN101200062B (zh) 一种多功能电动工具
JP2021066007A (ja) 多辺形断面を有する金属金型の表面切削装置
CN110576479B (zh) 一种用于制作工艺品的多功能工具
KR20110008638A (ko)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0181088A (zh) 一种汽车换挡拨叉打孔装置
CN114603038A (zh) 一种减速机壳体生产用低毛边冲孔设备
GB2078574A (en) Automatic drill point grinding machine
CN112318651B (zh) 一种作坊用木勺开槽机
CN107497896A (zh) 快速换刀自动夹紧数控液压折边机
CN2270596Y (zh) 加工石材圆弧板及其边缘廓形的机床
CN2474278Y (zh) 三维仿形车床
CN205996550U (zh) 模具切边机
CN113681176B (zh) 管件切割机
CN102615360A (zh) 一种插齿机的液压数控系统
CN213135798U (zh) 一种机械配件打磨与钻孔一体化设备
CN202517146U (zh) 一种插齿机的液压数控系统
CN111804946A (zh) 一种凸轮轴加工用打孔装置
CN207447236U (zh) 一种钢筋弯曲机下料装置
CN104369248A (zh) 异形木柄成型机
KR20100029866A (ko) 음식용구 손잡이 성형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216658483U (zh) 一种岩板倒角装置
CN220051158U (zh) 一种自动除毛刺机
CN211439954U (zh) 一种雕刻机用齿轮组装装置
CN212147479U (zh) 中空塑料杯杯口防松稳压切割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