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752U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752U
KR20110007752U KR2020100001027U KR20100001027U KR20110007752U KR 20110007752 U KR20110007752 U KR 20110007752U KR 2020100001027 U KR2020100001027 U KR 2020100001027U KR 20100001027 U KR20100001027 U KR 20100001027U KR 20110007752 U KR20110007752 U KR 201100077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id
suction pipe
food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6214Y1 (ko
Inventor
유길환
Original Assignee
유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길환 filed Critical 유길환
Priority to KR2020100001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1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뚜껑을 구비하고, 증기흡입관, 증기배출관 및 증기압조절구 등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용기 내부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조리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증기를 음식물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고 조리용기 내의 증기압을 일정범위수준으로 유지시켜 음식물 조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뚜껑; 상기 용기에 음식물을 담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의 일부가 음식물 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보조뚜껑; 상기 뚜껑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손잡이; 일단이 상기 보조뚜껑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흡입되는 증기흡입구가 형성되는 증기흡입관; 상기 증기흡입관의 상단에 상호 연통 연결되고, 상단에 상기 뚜껑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증기흡입관 내부로 흡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외주 면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증기배출관; 그리고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상기 용기 내부의 증기압력에 의해 상기 증기흡입관 내부로 흡입된 증기를 상기 증기배출관 측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증기 흡입관 상단 개구부를 일정하중을 가지고 가압하는 증기압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조리용기{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용기 내부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조리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와, 이러한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종래 조리용기의 뚜껑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이하, 증기라 칭하기로 함)에 의한 끓어 넘침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량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조리용기의 뚜껑에 천공된 증기배출공은 그 크기가 작아 조리용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여 다량 발생하는 증기를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기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이유로 뚜껑 전체가 조리용기에서 들썩이는 등 뚜껑이 증기압에 의해 유동하여 상당한 소음이 발생되며, 종국에는 조리용 음식물이 끓어 넘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뚜껑의 유동, 이탈 및 음식물의 끓어 넘침 현상 등으로 인하여, 가스레인지 등의 조리공간이 더럽혀지게 되며, 음식물 조리후 조리공간에 대한 잦은 청소가 요구된다.
더욱이, 종래의 조리용기의 구조에서는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에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면 뚜껑을 용기에서 분리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음식물 조리를 위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음식물 조리에 대한 조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리용기에서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음식물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고 조리용기 내의 증기압을 일정범위수준으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증기압으로 인한 음식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와 조리시간이 길어지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조뚜껑을 구비하고, 증기흡입관, 증기배출관 및 증기압조절구 등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용기 내부의 증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조리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증기를 음식물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고 조리용기 내의 증기압을 일정범위수준으로 유지시켜 음식물 조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뚜껑; 상기 용기에 음식물을 담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의 일부가 음식물 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보조뚜껑; 상기 뚜껑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손잡이; 일단이 상기 보조뚜껑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흡입되는 증기흡입구가 형성되는 증기흡입관; 상기 증기흡입관의 상단에 상호 연통 연결되고, 상단에 상기 뚜껑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증기흡입관 내부로 흡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외주 면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증기배출관; 그리고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상기 용기 내부의 증기압력에 의해 상기 증기흡입관 내부로 흡입된 증기를 상기 증기배출관 측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증기 흡입관 상단 개구부를 일정하중을 가지고 가압하는 증기압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증기흡입관 하부에 상기 증기흡입관 내부에 유입된 증기가 액화되어 흘러내린 물과 상기 증기흡입관에 흡입된 일부 증기를 상기 용기 내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뚜껑은 상기 증기흡입관의 하단에 고정볼트로 밀착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보조뚜껑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볼트머리부 측에 분리손잡이가 구비되며, 상면 및 하면이 각각 상기 증기흡입관 하단과 상기 보조뚜껑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뚜껑을 지지고정하는 보조뚜껑고정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는 폭방향으로 결합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분리손잡이는 상부가 일정길이만큼 개방된 장방형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의 양측을 통하여 결합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기압조절구는 상기 용기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기 뚜껑이 유동할 정도의 증기압에 의해 상하 유동되고, 상기 증기흡입관 상단 개구부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구(球)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뚜껑의 상면 및 하면에 밀착되되, 상기 증기흡입관의 상단부 외주 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뚜껑을 지지고정하는 한 쌍의 뚜껑고정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뚜껑손잡이는 상기 증기배출관의 증기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뚜껑 측으로 안내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증기안내홈이 저면에 함몰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조뚜껑, 증기흡입관, 증기배출관 및 증기압조절구 등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켜 음식물 조리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보조뚜껑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 표면 측으로 반송 및 순환시켜 음식물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고 조리용기 내의 증기압을 일정범위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 조리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셋째, 분리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보조뚜껑의 착탈이 용이하며, 고정볼트, 보조뚜껑, 증기흡입관, 증기배출관, 증기압조절구 및 뚜껑손잡이 등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보조뚜껑, 증기흡입관, 증기배출관, 증기압조절구 및 뚜껑손잡이 등의 분리결합이 용이하며, 증기흡입관, 증기배출관 등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뚜껑손잡이에 증기안내홈이 형성됨으로써 조리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뚜껑 측으로 안내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에 대하여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화상 등을 방지하여 조리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 조리시에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의 흐름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증기배출을 위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요부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 조리시에 발생되는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의 흐름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용기(100), 뚜껑(200), 보조뚜껑(250), 뚜껑손잡이(700), 증기흡입관(300), 증기배출관(500) 그리고 증기압조절구(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기(100)는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통상의 냄비 등과 같이 외주 면 상부 양측에는 용기(100)를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용기손잡이(1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뚜껑(200)은 상기 뚜껑(200)의 테두리와 상기 용기(100)의 테두리가 상호 밀착되도록 상기 뚜껑(200)을 안착시켜 상기 용기(100)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뚜껑(200)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어 하부가 개방형성되어, 소정의 내부공간(230)을 가진다.
한편, 상기 보조뚜껑(250)은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용기에 음식물을 담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의 일부가 음식물 방향으로 반송시키며, 상기 뚜껑(20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뚜껑(250)은 상기 뚜껑(200)의 하단부 개방면적보다 일정면적 작게 구비되며, 즉 상기 뚜껑(200)의 하단 개방면적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증기배출공간(251)을 형성하면서, 상기 뚜껑(20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증기배출공간(251)을 통하여 상기 뚜껑(200)의 내부공간(230)으로 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뚜껑(250)은 상기 뚜껑(200)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구비되거나 상기 뚜껑(20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길이만큼 함몰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뚜껑(2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조뚜껑(250)이 상기 뚜껑(200)의 하단과 동일선상, 함몰 또는 하측으로 돌출구비됨으로써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보조뚜껑(250)에 부딪혀 음식물 측으로 반송 및 순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조뚜껑(250)은 상기 뚜껑(200)의 하단부와 대응되어 일정면적을 가지는 원판 등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판 상의 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뚜껑(250)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을 통하여 음식물 조리시 용기(100) 내에 발생하는 증기 중 일부는 상기 뚜껑(200)의 내측 상부 공간으로 이송시키면서, 나머지 증기에 대해서는 음식물 측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조뚜껑(25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음식물로부터 발생하여 상기 보조뚜껑(250)과 접촉되는 거리가 가까워도 상기 뚜껑(200)의 내측 상부공간으로 증기 일부가 안내되어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상기 뚜껑(200)의 유동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200)의 상부로 안내된 증기는 상기 증기흡입관(300) 및 증기배출관(5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구체적으로 조리용기 내의 증기는 상기 증기흡입관(300) 및 증기배출관(500)을 통하여 상기 증기흡입관(300) 상단 개구부에 안착된 상기 증기압조절구(335)의 상하 유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상기 보조뚜껑(250)은 음식물 측으로 반송 순환되는 증기를 극대화하여 신속한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되지않은 원판 등의 판 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뚜껑손잡이(700)는 상기 뚜껑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200)의 외측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뚜껑손잡이(700)는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증기배출구(51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뚜껑(200) 측으로 안내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증기안내홈(710)이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증기안내홈(710)은 뚜껑손잡이(700)의 저면에 하광상협(下狹上廣)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상측 방향으로 함몰형성되며, 이에 따라 테이퍼진 경사부(711)를 따라 증기가 원활히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흡입관(300)은 하단이 상기 보조뚜껑(250) 상단에 밀착되되, 고정볼트(40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뚜껑(250)의 상면에 밀착고정되며, 상단이 상기 뚜껑(200)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200) 외부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단부에는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하단부가 결합되며, 이때,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단부는 외주 면에 수나사부(330)가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하단부 내주 면에는 일정길이만큼 암나사부(550)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기흡입관(300)은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상기 용기(100) 내부의 증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외주 면에 증기흡입구(310)가 형성되며, 상기 증기흡입구(310)는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하부에 일정길이를 가지고 외주 면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증기흡입관(300)은 하부에 상기 증기흡입관(300) 내부에 유입된 증기가 액화되어 흘러내린 물이나, 상기 증기흡입관에 흡입된 일부 증기를 상기 용기(100) 내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구(37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체배출구(370)는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길게 슬릿(Slit) 타입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증기흡입관(300)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폭을 가지고 길게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배출관(500)은 상시 증기흡입관(300)의 증기흡입구(310)를 통하여 흡입된 증기가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외주 면에 증기배출구(510)가 형성되며, 상기 증기배출구(510)는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중앙부에 일정길이를 가지고 외주 면을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관(500)은 상부 외주 면에 일정길이만큼 수나사부(530)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손잡이(700)의 나사홈(750)과 결합고정되며, 하부 내주 면에 일정길이만큼 암나사부(550)가 형성되어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부 외주 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30)와 나사결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증기압조절구(335)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상기 용기(100) 내부의 증기압력에 의해 상기 증기흡입관(300) 내부로 흡입된 증기를 상기 증기배출관(500) 측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단 개구부를 일정하중을 가지고 가압한다.
이때, 상기 증기압조절구(335)는 상기 용기(100)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기 뚜껑(200)이 유동할 정도의 증기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하 유동되는 무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증기흡입관(300) 상단 개구부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구(球) 형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200)은 뚜껑고정판(393,391)에 의해 지지고정되며, 상기 뚜껑고정판(393,391)은 상기 뚜껑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단부 외주 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30)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뚜껑(200)을 지지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뚜껑(250)은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하단과 고정볼트(4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볼트(400)에 의해 상기 증기흡입관(300) 하단에 밀착고정되며, 상기 증기흡입관(300)과 보조뚜껑(250) 사이에는 보조뚜껑고정판(450)이 개재되어 상기 보조뚜껑(250)을 안정적으로 지지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뚜껑고정판(450)은 내주 면에 상기 고정볼트(400)와 대응되는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400)와 나사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400)의 볼트머리부(410)는 폭방향으로 결합홀(411)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볼트(4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돌릴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홀(411)에는 분리손잡이(60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리손잡이(6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조뚜껑(250)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손잡이(600)는 상부가 일정길이만큼 개방된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고리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볼트(400)의 볼트머리부(410)에 형성된 결합홀(411)에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파지가 용이하도록 모서리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손잡이(600)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밴드 타입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일정길이만큼 개방된 반구 형상, 정방형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분리손잡이(60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Wire) 타입(미도시)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뚜껑(200), 보조뚜껑(250), 뚜껑손잡이(700), 증기흡입관(300), 증기배출관(500) 그리고 증기압조절구(335) 등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뚜껑(200)의 중앙부에 상면으로부터 하면 측으로 관통되어 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210)은 내주 면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30)가 상기 뚜껑(200)의 상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뚜껑(200)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뚜껑고정판(393,391)이 밀착되어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부에 일정길이만큼 형성된 수나사부(330)에 의해 상기 뚜껑(200)의 상면 및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뚜껑(200)을 지지고정한다.
또한, 상기 증기흡입관(300) 하단부 내주 면에 형성된 암나사부(350)에 상기 보조뚜껑(250)이 상기 고정볼트(400)에 의해 나사결합되며, 특히 상기 보조뚜껑(250)과의 사이에 보조뚜껑고정판(450)이 개재되어 상기 고정볼트(400)에 의해 나사결합된다. 물론, 상기 보조뚜껑고정판(450)의 내주 면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400)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볼트머리부(410)에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결합홀(411)에 분리손잡이(60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손잡이(600)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보조뚜껑(250), 보조뚜껑고정판(450), 증기흡입관(300)의 결합고정 시 상기 고정볼트(40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손잡이(600)는 상기 고정볼트(400)의 회전을 위한 사용 후에는 회동시켜 수평방향으로 눕혀 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압조절구(335)는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단 개구부에 구(球) 형상의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구슬 타입으로 안착되어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증기압조절구(335)는 조리용기 내부에서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압에 의해 상하유동되어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상단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일부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조리용기의 크기에 대응되어 일정무게를 가지고 구비된다.
한편,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상부, 즉 상기 뚜껑(200)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결합된 수나사부(330)에는 상기 증기배출관(500)이 나사결합되며, 상세히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하단부 내주 면에는 일정길이만큼 나선이 형성된 암나사부(550)가 구비되어, 상기 증기흡입관(300)의 수나사부(330)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손잡이(700)가 나사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상부 외주 면에 일정길이의 나선이 형성된 수나사부(530)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손잡이(700)의 증기안내홈(710) 바닥면 중앙에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상단부 외주 면에 형성된 수나사부(530)와 대응되는 나사홈(750)이 형성되어 상기 증기배출관(500)과 뚜껑손잡이(700)가 상호 나사결합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에서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증기배출의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리용기의 용기(100)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가열하게 되면, 음식물 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증기가 발생하여 이동하며, 이러한 증기의 대부분은 상기 보조뚜껑(250)에 부딪혀 음식물 측으로 반송 및 순환되며, 증기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보조뚜껑(250)과 뚜껑(200) 하단 테두리와의 사이에 형성된 증기배출공간(251)을 통하여 상기 뚜껑(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조리용기의 용기(100)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의 대부분이 상기 보조뚜껑(250)에 부딪혀 음식물 측으로 반송 및 순환될 때, 상기 보조뚜껑(25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에 의해 일부 증기는 상기 뚜껑(200)의 상부공간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증기배출공간(251) 및 상기 보조뚜껑(25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을 통하여 적량의 증기가 상기 뚜껑(200)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상기 증기흡입관(300) 내부로 유입된다.
물론, 음식물 측으로 반송 순환되는 증기를 극대화하여 신속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보조뚜껑(250)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증기배출공간(251)만을 통하여 상기 뚜껑(200)의 내부공간을 거쳐 상기 증기흡입관(30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뚜껑(200)의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증기흡입구(310)를 통하여 증기흡입관(30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증기흡입관(300) 내부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증기흡입관(300)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고 있는 증기압조절구(335)에 접촉되며, 이러한 증기의 양이 일정량 이상에 이르면, 상기 증기압조절구(335)가 상측으로 유동되고 다시 증기의 양이 일정량 이하에 다다르면, 상기 증기압조절구(335)가 하강하여 상기 증기흡입관(300) 상단 개구부를 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증기압조절구(335)가 상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증기흡입관(300) 내부의 증기가 상기 증기흡입관(300)과 연통연결된 증기배출관(500) 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증기배출관(500)의 외주 면에 형성된 증기배출구(510)를 통하여 조리용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배출구(510)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는 뚜껑손잡이(700)의 증기안내홈(710)에 안내되어 상기 뚜껑(200) 측으로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조리용기 외부로 분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보조뚜껑(250), 증기흡입관(300), 증기배출관(500) 및 증기압조절구(335) 등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켜 음식물 조리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뚜껑(250)을 구비함으로써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용기(100)에 수용된 음식물 표면 측으로 반송 및 순환시켜 음식물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고 조리용기 내의 증기압을 일정범위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 조리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식물의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손잡이(6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조뚜껑(250)의 착탈이 용이하며, 고정볼트(400), 보조뚜껑(250), 증기흡입관(300), 증기배출관(500), 증기압조절구(335) 및 뚜껑손잡이(700) 등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보조뚜껑(250), 증기흡입관(300), 증기배출관(500), 증기압조절구(335) 및 뚜껑손잡이(700) 등의 분리결합이 용이하며, 증기흡입관(300), 증기배출관(500) 등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뚜껑손잡이(700)에 증기안내홈(710)이 형성됨으로써 조리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뚜껑(200) 측으로 안내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에 대하여 사용자 부주의로 인한 화상 등을 방지하여 조리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100: 용기 110: 용기손잡이
200: 뚜껑 250: 보조뚜껑
300: 증기흡입관 310: 증기배출구
330, 530: 수나사부 350, 550: 암나사부
370: 유체배출구 400: 고정볼트
410: 볼트머리부 411: 결합홀
500: 증기배출관 510: 증기배출구
600: 분리손잡이 700: 뚜껑손잡이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는 뚜껑;
    상기 용기에 음식물을 담아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의 일부가 음식물 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보조뚜껑;
    상기 뚜껑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외측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손잡이;
    일단이 상기 보조뚜껑 상면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가 흡입되는 증기흡입구가 형성되는 증기흡입관;
    상기 증기흡입관의 상단에 상호 연통 연결되고, 상단에 상기 뚜껑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증기흡입관 내부로 흡입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외주 면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증기배출관; 그리고
    음식물 조리시 발생하는 상기 용기 내부의 증기압력에 의해 상기 증기흡입관 내부로 흡입된 증기를 상기 증기배출관 측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증기 흡입관 상단 개구부를 일정하중을 가지고 가압하는 증기압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흡입관 하부에 상기 증기흡입관 내부에 유입된 증기가 액화되어 흘러내린 물과 상기 증기흡입관에 흡입된 일부 증기를 상기 용기 내부 측으로 배출시키는 유체배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뚜껑은 상기 증기흡입관의 하단에 고정볼트로 밀착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보조뚜껑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볼트머리부 측에 분리손잡이가 구비되며, 상면 및 하면이 각각 상기 증기흡입관 하단과 상기 보조뚜껑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보조뚜껑을 지지고정하는 보조뚜껑고정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부는 폭방향으로 결합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분리손잡이는 상부가 일정길이만큼 개방된 장방형 단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의 양측을 통하여 결합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압조절구는 상기 용기의 크기에 대응되어 상기 뚜껑이 유동할 정도의 증기압에 의해 상하 유동되고, 상기 증기흡입관 상단 개구부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구(球)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뚜껑의 상면 및 하면에 밀착되되, 상기 증기흡입관의 상단부 외주 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뚜껑을 지지고정하는 한 쌍의 뚜껑고정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손잡이는 상기 증기배출관의 증기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를 상기 뚜껑 측으로 안내하여 수평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증기안내홈이 저면에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2020100001027U 2010-01-29 2010-01-29 조리용기 KR200456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27U KR200456214Y1 (ko) 2010-01-29 2010-01-29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27U KR200456214Y1 (ko) 2010-01-29 2010-01-29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52U true KR20110007752U (ko) 2011-08-04
KR200456214Y1 KR200456214Y1 (ko) 2011-10-20

Family

ID=4559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027U KR200456214Y1 (ko) 2010-01-29 2010-01-29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1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64B1 (ko) * 2013-01-04 2013-09-06 주식회사 로이첸 구조가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한 조리용기뚜껑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CN105725730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9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滤波检测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6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8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驱动式电控排烟烧锅套装
CN108095539A (zh) * 2018-01-31 2018-06-0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一种防串味蒸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191B1 (ko) * 2021-03-15 2022-05-10 킴스쿡 주식회사 저압 진공 찜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2377B2 (ja) 2003-03-24 2007-08-22 News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KR200350576Y1 (ko) 2004-02-23 2004-05-13 장형수 냄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64B1 (ko) * 2013-01-04 2013-09-06 주식회사 로이첸 구조가 간단하고 세척이 용이한 조리용기뚜껑에 장착된 증기배출장치
CN105725730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9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滤波检测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6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控排烟烧锅套装
CN105725728A (zh) * 2016-03-30 2016-07-06 苏州合欣美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检测驱动式电控排烟烧锅套装
CN108095539A (zh) * 2018-01-31 2018-06-01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一种防串味蒸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6214Y1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6214Y1 (ko) 조리용기
US6546849B1 (en) Cooking system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US20060272633A1 (en) Safe turkey deep fryer
US9259116B2 (en) Stove top device for making espresso coffee
KR101678966B1 (ko) 스팀배출구가 없는 에너지 절약형 안전 냄비
CN104582544A (zh) 用于蒸制食物的装置
KR20170032320A (ko) 조리 기구
KR20110072862A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20090008808U (ko) 냄비뚜껑
US20070295218A1 (en) Multi-use durable coffee pot system
KR100995572B1 (ko) 웰빙 찜즙기
CN214905913U (zh) 锅具和烹饪器具
CN204765016U (zh) 一种油汤分离锅
KR20120003525U (ko) 다용도 조리기
KR200450039Y1 (ko) 찜용 조리 받침대
CN207202760U (zh) 一种军用野外便携式多功能无烟烧烤装备
KR200441078Y1 (ko) 조리용기용 뚜껑
CN111345679B (zh) 一种锅胆结构及压力锅
KR102114976B1 (ko) 다용도 가마솥
CN201076347Y (zh) 蒸笼结构及利用该蒸笼结构的烹调器皿
JP2010042100A (ja) 吹きこぼれ防止具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調理容器支持具
KR100845765B1 (ko)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JP2013202397A (ja) 差し水注ぎ口付きフライパン
CN212326113U (zh) 蒸架以及具有蒸架的炊具
CN207949616U (zh) 防烫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