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342U -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 Google Patents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342U
KR20110006342U KR2020090016450U KR20090016450U KR20110006342U KR 20110006342 U KR20110006342 U KR 20110006342U KR 2020090016450 U KR2020090016450 U KR 2020090016450U KR 20090016450 U KR20090016450 U KR 20090016450U KR 20110006342 U KR20110006342 U KR 201100063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jaw
half body
lid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애
이경희
Original Assignee
홍경애
이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애, 이경희 filed Critical 홍경애
Priority to KR2020090016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342U/ko
Publication of KR20110006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3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전에서 식기로 사용되며, 내부에 투입된 발열체와 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턱(15)을 구비하고 내부에 물과 발열체가 투입되는 반합 본체(10)와; 개방된 상면으로 조리 대상물이 투입되고 아래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지턱(15)에 걸쳐지는 걸림턱(25)을 구비하여 반합 본체(10)의 내부에 거치되는 조리용기(20)와; 반합 본체(1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지지턱(15)에 대응되는 체결턱(35)이 구비된 뚜껑(30)과; 'コ'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밴드(41)(42)를 이용하여 반합 본체(10)의 지지턱(15)과 뚜껑(30)의 체결턱(35)을 그 외측에서부터 클램핑하여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을 유지시키는 클램핑 부재(40)와; 반합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조절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불을 피울 수 없는 야전 상황에서도 병사들이 따뜻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식사 후 반합 본체에 남아 있는 따뜻한 물을 이용하여 반합을 세정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뚜껑에 투명창을 설치하면 뚜껑을 열지 않고도 조리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압력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반합 본체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반합 본체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반합, 발열체, 밴드, 클램핑, 지지턱, 걸림턱, 체결턱, 압력조절부재, 고압, 즉석, 조리용기, 화학반응, 투명창

Description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Messtin Which is Capable of Instant Cooking}
본 고안은 야전에서 식기로 사용되는 반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투입된 발열체와 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관한 것이다.
반합이란 야외에서 이용하는 휴대용 취반기(炊飯器)와 도시락 겸용의 알루미늄제 용기로서, 주로 군대에서 사용하거나 등산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합은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쪽이 들어가고 다른쪽은 불룩하게 나온 타원 형상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쇠줄이나 회동 가능한 손잡이가 설치되어 이들을 통해 거치한 후 그 하부에서 불을 때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군대에서는 불을 땔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반합을 이용하더라도 직접 조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반합을 이용하여 식사하는 경우 다른 곳에서 미리 조리되어 공급된 음식물을 담아 먹을 수 있는 식판 대용품 정도로만 이용되고 있다.
한편, 야전에서 식사할 때 외부에서의 음식물 공급이 불가능하면 전투식량을 이용하여 식사하게 된다. 전투식량은 건빵 등과 같은 건조식품 위주로 되어 있으 나, 충분한 영양 공급을 위하여 일반적인 밥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전투식량도 있다. 이러한 식사류의 전투식량은 뜨거운 물을 부어 전투식량이 충분히 팽창한 후 먹도록 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나, 대부분 물의 온도가 충분히 높지 않아 전투식량이 채 익기도 전에 비벼 먹는 수준에 불과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따뜻한 식사를 위하여 발열제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는 신형 전투식량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신형 전투식량은 많은 장병들에게 환영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한 신형 전투식량은 조리용 지퍼백과 음식물용 지퍼백 등을 이용하는 지퍼백 형식과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별도의 용기가 내장된 용기 형식으로 구분되지만, 양자 모두 충분한 열량의 확보가 쉽지 않고 식사 후 잔여물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시 뜨거운 발열체로 인하여 조리 도중의 음식물을 들고 이동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반합은 불이 없으면 조리가 불가능하고, 발열제를 이용하는 신형 조리용기는 충분한 열량의 확보가 어렵고 식사 후 잔여물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반합의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음식물을 즉석에서 조리하여 먹은 후 따뜻한 물을 이용하여 반합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한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반합의 내부에 조리용기를 거치하고 발열체와 물을 이용하여 물을 끓인 후 이 물을 이용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지 않고 식사 후 쓰레기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뚜껑에 구비된 투명창을 통해 조리 상황을 확보하고 반합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한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을 제공하는데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반합에 뚜껑을 밀폐 고정함으로써 고온 및 고압 환경에서 음식물을 조리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뚜껑을 열지 않고도 음식물의 조리 상황을 살필 수 있도록 한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 가능한 반합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턱을 구비하고 내부에 물 과 발열체가 투입되는 반합 본체와; 개방된 상면으로 조리 대상물이 투입되고 아래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에 걸쳐지는 걸림턱을 구비하여 상기 반합 본체의 내부에 거치되는 조리용기와; 상기 반합 본체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지지턱에 대응되는 체결턱이 구비된 뚜껑과; 'コ'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밴드를 이용하여 상기 반합 본체의 지지턱과 상기 뚜껑의 체결턱을 그 외측에서부터 클램핑하여 상기 반합 본체의 내부 압력을 유지시키는 클램핑 부재와; 상기 반합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합 본체의 내부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따르면, 상기 뚜껑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 조리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따르면, 상기 반합 본체의 지지턱 상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패킹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따르면, 상기 반합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합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은, 조리용기 내에 조리 대상물을 넣고 반합 본체에 투입된 물과 발열체의 반응에 의해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조리용기 내부의 조리 대상물을 가열함으로써 불을 피울 수 없는 야전 상황에서도 따뜻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따르면, 식사 후 반합 본체에 남아 있는 따뜻한 물을 이용하여 반합을 세정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따르면, 뚜껑에 설치된 투명창을 이용하여 뚜껑을 열지 않고도 조리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압력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반합 본체 내부의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여 반합 본체의 폭발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따르면, 반합 본체의 지지턱과 조리용기의 걸림턱 사이에 패킹부재가 설치되어 반합 본체 내부의 압력을 고압으로 유지하게 되므로 가열 온도를 높여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에 따르면, 금속제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게 되므로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지 않고 쓰레기의 발생량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즉석식 압력 조리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이 도시된 상세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은,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턱(15)을 구비하고 내부에 물과 발열체가 투입되는 반합 본체(10)와; 개방된 상면으로 조리 대상물이 투입되고 아래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15)에 걸쳐지는 걸림턱(25)을 구비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에 거치되는 조리용기(20)와; 상기 반합 본체(1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지지턱(15)에 대응되는 체결턱(35)이 구비된 뚜껑(30)과; 'コ'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밴드(41)(42)를 이용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지지턱(15)과 상기 뚜껑(30)의 체결턱(35)을 그 외측에서부터 클램핑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을 유지시키는 클램핑 부재(40)와; 상기 반합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조절부재(50)와; 상기 반합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합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반합 본체와 조리용기 및 뚜껑은 모두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합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고 조리 후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조리용기 자체를 그릇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뚜껑(30) 의 일측에는 상기 조리용기(20) 내부의 음식물 조리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3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합 본체(10)의 지지턱(15) 상면을 따라 요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6)에는 패킹 부재(1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 부재(40)는, 상기 지지턱(15) 및 상기 체결턱(35)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이 개구된 "コ" 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밴드(41)(42)와, 일측 밴드(41)의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후크 형상의 걸림돌기(43)와, 타측 밴드(42)의 단부에 설치되며 걸림돌기(43)에 걸려지는 고리(46)를 구비한 걸림레버(44)와, 상기 밴드(41)(42)들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4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43)와 걸림레버(44) 및 연결부재(45)의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턱(15)과 걸림턱(35)을 외측에서부터 동시에 감싸 클램핑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다만, 휴대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걸림돌기(43)와 걸림레버(44)는 상기 반합 본체(1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45)는 상기 반합 본체(10)의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압력조절부재(50)는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규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압력을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로서, 규정압력 이상에서 자동으로 개방되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식이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압력조절부재(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야전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반합 본체(10)에 발열체와 적당한 양의 물을 투입하여 물과 발열체가 화학반응을 일으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반합 본체(10)에 조리 대상물이 투입된 조리용기(20)를 삽입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지지턱(15)에 상기 조리용기(20)의 걸림턱(25)이 걸쳐지도록 한다, 이어 상기 조리용기(20)의 상측에서 뚜껑(30)을 하강시켜 상기 뚜껑(30)의 체결턱(35)과 상기 반합 본체(10)의 지지턱(15)이 상기 조리용기(20)의 걸림턱(25)을 사이에 두고 겹쳐지도록 한다. 그리고, 클램핑 부재(40)의 밴드(41)(42)를 상기 반합 본체(10)의 바깥쪽에서부터 삽입한 후 걸림레버(45)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 부재(40)가 상기 반합 본체(10)와 뚜껑(30)을 클램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턱(15)의 요홈(16)에 설치된 패킹 부재(17)에 의해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이 상태로 일정 시간 대기하면 상기 반합 본체(10)에 투입된 물과 발열체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에 의하여 상기 반합 본체(1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기 조리용기(20)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2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조리 대상물이 조리된다. 이때, 음식물의 조리상황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면, 상기 뚜껑(30)에 구비된 투명창(33)을 통해 상기 조리용기(20)의 내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음식물이 과다하게 조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반합 본체(30)에 구비된 압력조절부재(50)는 상기 반합 본체(10) 의 내부 압력이 규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부재(50)의 규정압력이 대기압 이상이면 상기 반합 본체(10)의 물이 100℃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20)를 가열하는 온도가 상승하여 조리 시간이 단축된다.
이때,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상기 압력조절부재(50)의 규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압력조절부재(50)에 의해 내부 압력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압력조절부재(50)의 이상 등으로 인해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게 되면, 별도로 설치된 안전밸브가 개방되어 내부 압력을 배출함으로써 상기 반합 본체(10)가 고압으로 인해 폭발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30) 역시 밀폐되므로 상기 조리용기(20) 내부도 고온/고압으로 유지되며, 상기 조리용기(20)의 내부에서 조리 대상물이 고온/고압으로 조리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콩밥이나 현미밥 등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음식물의 조리가 끝나면 상기 클램핑 부재(40)의 걸림레버(44)를 조작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밀폐를 해제한다. 이때,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에 잔압이 남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클램핑 부재(40)를 반합 본체(10)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상기 압력조절부재(50)를 이용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 수준으로 하강시켜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압력조절부재(50)를 이용하여 잔압을 제거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 기 클램핑 부재(40)가 분리되면 상기 반합 본체(10)로부터 상기 뚜껑(30)과 조리용기(20)를 분리하고, 상기 조리용기(20)에서 조리된 음식물을 먹게 된다.
식사가 끝나면 상기 반합 본체(10) 내부에 남아 있는 따뜻한 물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용기(20)를 세정함으로써 상기 반합 본체(10)를 비롯한 구성물들을 깨끗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음식물에 대한 직접적인 조리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조리용기(20)를 반찬통 등의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반합으로 활용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이 도시된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반합 본체 13: 손잡이
15: 지지턱 16: 요홈
17: 패킹 부재
20: 조리용기 25: 걸림턱
30: 뚜껑 33: 투명창
35: 체결턱
40: 클램핑 부재 41,42: 밴드
43: 걸림돌기 44: 걸림레버
45: 연결부재 46: 고리
50: 압력조절부재

Claims (4)

  1. 휴대 가능한 반합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턱(15)을 구비하고 내부에 물과 발열체가 투입되는 반합 본체(10)와;
    개방된 상면으로 조리 대상물이 투입되고 아래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턱(15)에 걸쳐지는 걸림턱(25)을 구비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에 거치되는 조리용기(20)와;
    상기 반합 본체(1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하단 테두리를 따라 상기 지지턱(15)에 대응되는 체결턱(35)이 구비된 뚜껑(30)과;
    'コ'형 단면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밴드(41)(42)를 이용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지지턱(15)과 상기 뚜껑(30)의 체결턱(35)을 그 외측에서부터 클램핑하여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을 유지시키는 클램핑 부재(40)와;
    상기 반합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합 본체(10)의 내부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조절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용기(20) 내부의 음식물 조리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3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가 가능 한 반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합 본체(10)의 지지턱(15) 상면을 따라 요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6)에는 패킹 부재(1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합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반합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KR2020090016450U 2009-12-17 2009-12-17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KR201100063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50U KR20110006342U (ko) 2009-12-17 2009-12-17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450U KR20110006342U (ko) 2009-12-17 2009-12-17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342U true KR20110006342U (ko) 2011-06-23

Family

ID=4929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450U KR20110006342U (ko) 2009-12-17 2009-12-17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34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92B1 (ko) * 2015-06-15 2016-08-17 주식회사 쓰리스타 휴대형 야외 취사팩
KR102138460B1 (ko) 2019-02-14 2020-07-27 홍종국 일체 결합형 수통 및 반합
KR20230105853A (ko) 2022-01-05 2023-07-12 전임주 조리 기능을 가진 캠핑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792B1 (ko) * 2015-06-15 2016-08-17 주식회사 쓰리스타 휴대형 야외 취사팩
WO2016204517A1 (ko) * 2015-06-15 2016-12-22 주식회사 쓰리스타 스팀제거기능이 구비된 취사용기
CN106998958A (zh) * 2015-06-15 2017-08-01 三颗星株式会社 具有去除蒸汽性能的炊事容器
KR102138460B1 (ko) 2019-02-14 2020-07-27 홍종국 일체 결합형 수통 및 반합
KR20230105853A (ko) 2022-01-05 2023-07-12 전임주 조리 기능을 가진 캠핑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694B1 (ko)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WO2020103201A1 (zh) 一种多功能锅
CN108463148A (zh) 用于烹饪食物的自动设备
CN210300732U (zh) 一种分离式多功能锅
CN108354444A (zh) 一种便携式压力锅
KR20090009347U (ko) 발열용기
WO2020103198A1 (zh) 一种多功能锅
KR20110006342U (ko)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KR101468136B1 (ko) 휴대용 발열용기
CN107660987A (zh) 一种虹吸火锅装置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381008Y1 (ko) 원적외선 방출 조리용기
ES295306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calentamiento por microondas con inversión
JP2002125849A (ja) 電気炊飯調理器
KR20110117822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뚜껑 탈거형 전기압력조리기
JP2008054893A (ja) 陶器製調理具
KR20110005008U (ko) 즉석식 압력 조리용기
CN209219935U (zh) 一种压盖式防烫高压锅
KR200332974Y1 (ko) 조리용기 덮개의 결합구조
KR101642791B1 (ko) 이중압력용기
KR200493577Y1 (ko) 휴대용 압력 취사용기
CN209003519U (zh) 一种自热火锅
KR20130002000U (ko)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CN213248363U (zh) 烹饪器具
CN207855541U (zh) 高效蒸笼型焖烧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