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000U -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000U
KR20130002000U KR2020110008441U KR20110008441U KR20130002000U KR 20130002000 U KR20130002000 U KR 20130002000U KR 2020110008441 U KR2020110008441 U KR 2020110008441U KR 20110008441 U KR20110008441 U KR 20110008441U KR 20130002000 U KR20130002000 U KR 201300020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tainer
inner container
receiving
fasten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란
유웅상
Original Assignee
유란
유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란, 유웅상 filed Critical 유란
Priority to KR2020110008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000U/ko
Publication of KR201300020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0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몸체와, 수용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면에 제공된 플랜지형 안착부로 구성되는 내부용기와; 내부용기의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고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체결턱이 형성된 수납몸체와, 수납몸체에 일부가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부를 중심으로 선회동작이 가능한 체결링으로 구성되는 외부용기로 이루어지고, 내부용기의 플랜지형 안착부가 외부용기의 체결턱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링의 체결상태에 의해서 외부용기의 체결턱과 내부용기의 안착부는 서로 밀착 고정되고 내부용기의 일부는 체결링의 상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에 있어서, 수납몸체의 제1조립구멍에 설치되는 압력밸브와, 수납몸체의 제2조립구멍에 설치되는 증기배출구와, 압력밸브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단부 및 제1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동작하여 상기 증기배출구를 폐쇄시키도록 위치하는 잠김상태에서 체결링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제2단부를 갖는 안전레버로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발열제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해서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조리하는 동안 발생되는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self-heating outdoor cooker}
본 고안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의 발열작용에 의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공간부에서의 압력상태를 해제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따뜻하게 먹기 위해서는 가스렌지, 버너, 전자렌지 등과 같은 가열기구가 필요하다.
최근,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시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야외 활동시, 음식을 따뜻하게 먹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가스렌지 또는 버너와 같은 통상적인 가열기구가 필수적이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열기구는 취급, 휴대 및 사용방법 등에 있어서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가열기구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발열체의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반응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할 수 있는 즉석 조리용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었다. 이러한 즉석 조리용기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공간에 물과 함께 발열체를 수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은 상기 발열체의 반응열에 의해서 따뜻하게 데워졌다.
한편, 상기 발열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형 록킹부재를 사용하여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밀착 고정시키는 밀착 고정형 조리용기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는 발열체의 반응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47821호에는 뚜껑이 덮여지는 내솥 외측으로 발열제 및 물을 투입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외솥이 배치되도록 내/외솥 상단 주연에 서로 겹쳐지게 돌환테를 형성한 발열제로 가열하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보에 있어서, 사용자가 클램핑수단을 해체하게 되면 발열공간부에 대기압보다 높은 잔압이 존재하기 때문에 내부의 뜨거운 수증기나 미반응수가 비산되거나 심지어 내솥이 튕겨나오는 폭발의 위험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47821호
본 고안은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화발열체의 발열작용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가열하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로서 어떤 경우에도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 형성된 내부압력으로 인한 폭발의 위험이 없이 록킹부재를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는 안전한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열체의 수화반응에 의한 발열작용에 의하여 음식물에 대한 조리작업이 종료한 후에 발열공간부에 잔압이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열체의 화학반응 특성상 내재된 불규칙성으로 빠른 발열반응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면에 제공된 플랜지형 안착부로 구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고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체결턱이 형성된 수납몸체와, 상기 수납몸체에 일부가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부를 중심으로 선회동작이 가능한 체결링으로 구성되는 외부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의 플랜지형 안착부가 상기 외부용기의 체결턱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링의 체결상태에 의해서 상기 외부용기의 체결턱과 상기 내부용기의 안착부는 서로 밀착 고정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일부는 상기 체결링의 상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의 제1조립구멍에 설치되는 압력밸브와, 상기 수납몸체의 제2조립구멍에 설치되는 증기배출구와, 상기 압력밸브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단부 및 상기 제1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동작하여 상기 증기배출구를 폐쇄시키도록 위치하는 잠김상태에서 상기 체결링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제2단부를 갖는 안전레버로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링은 수납몸체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단부를 갖는 반구 형상의 2개 체결부재로 구성되고, 하나의 체결부재의 타측단부에 제공된 후크가 다른 하나의 체결부재의 타측단부에 제공된 걸림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안전레버의 제2단부는 상기 후크(124c)와 걸림부(124d)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링(124)의 외부면에 접촉한다.
상기 체결링의 상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기 내부용기의 일부에는 뚜껑의 테두리가 끼워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발열제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해서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조리하는 동안 발생되는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는 체결링의 잠금해제 전에 증기배출구를 통해서 수납공간에 형성된 내부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는 발열 외부용기 측면에 압력체크밸브를 갖춰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발열체의 열효율을 극대화하고 별도의 압력배출구를 추가하고 이를 개폐하는 안전레버를 구비하여 록킹부재와 연계하여 작동됨으로써 록킹부재 해제시 발생하기 쉬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가발열 조리용기는 상기의 압력배출구를 갖춤으로써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밀착 결합시에도 보다 손쉬운 조작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100)는 음식물(미도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2a)을 갖는 수용몸체(112)로 구성된 내부용기(110)와, 내부용기(110)의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22a)을 갖고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체결턱(122b)이 형성된 수납몸체(122)로 구성된 외부용기(120)로 이루어진다.
내부용기(110)에 있어서, 수용몸체(112)의 외부면에는 상단부로부터 하부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플랜지형 안착부(114)가 제공된다. 플랜지형 안착부(114)는 수용몸체(112)의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대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다. 플랜지형 안착부(114)는 수용몸체(112)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별도의 링구조체를 수용몸체(112)의 외부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외부용기(120)에 있어서, 수납몸체(122)의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체결턱(122b)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몸체(122)에는 체결링(124)이 제공되고 바람직하게 체결링(124)은 그의 일부가 수납몸체(122)에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부를 중심으로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제공된다. 예를 들어, 체결링(12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의 2개 체결부재(124a, 124b)로 구성되고, 체결부재(124a, 124b)들 각각의 일측단부는 수납몸체(122)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작용하며, 체결부재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결합부를 중심으로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체결부재의 타측단부에는 후크(124c)가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부재의 타측단부에는 후크(124c)가 체결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있는 걸림부(124d)가 제공된다.
체결부재(124a, 124b) 각각은 반구형태에서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개방측 사이의 거리(L1)가 폐쇄측 사이의 거리(L2)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유지되어서 개방측이 더 벌어져 있는 '〔' 형태의 단면구조를 갖는다. 이는 체결부재(124a, 124b)의 내측면이 안착부(114)의 상부면 및 체결턱(122b)의 하부면에 선접촉 상태에서 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안착부(114)의 상부면과 체결턱(122b)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 또는 패킹부재(122b)가 개재되어 있는 안착부(114)의 상부면과 체결턱(122b)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L)는 상기 L1과 L2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는 사용자가 내부용기(110)에 대한 누름작용이 없는 상태에서도 안착부(114)와 체결턱(122b)에 대한 체결부재(124a, 124b)의 체결상태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내부용기(110)가 외부용기(120)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때, 내부용기(110)의 플랜지형 안착부(114)는 외부용기(120)의 체결턱(122b) 상에 안착된다. 이 후, 체결링(124)의 체결상태에 의해서, 즉 체결부재(124a, 124b)들이 안착부(114)와 체결턱(122b)을 둘러싼 상태에서 후크(124c)를 걸림부(124d)에 결합시킴으로써 체결턱(122b)의 상부면과 안착부(114)의 하부면은 서로 압착되어 평행면을 형성하면서 밀착 고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내부용기(110)의 플랜지형 안착부(114)가 외부용기(120)의 체결턱(122b)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링(124)의 체결상태에 의해서 외부용기(120)의 체결턱(122b)과 내부용기(110)의 안착부(114)는 서로 밀착하고, 플랜지형 안착부(114)의 상부에 해당하는 내부용기(110)의 일부는 체결링(114)의 상부측으로 돌출한다.
뚜껑(130)은 체결링(114)의 상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내부용기(110)의 일부에 끼워질 수 있는 테두리부를 갖는다. 뚜껑(130)의 테두리부가 내부용기(110)의 일부에 끼워짐으로써,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발열체와 물의 수화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내부용기(110)의 수용공간(112a)에 형성된 압력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공간(112a)에 수용된 음식물이 효과적으로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114)의 상측에 위치하는 내부용기(110)의 일부는 체결링(124)의 상부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유지되며, 이와 같이 돌출하고 있는 내부용기(110)의 일부는 사용자가 내부용기와 하부용기를 분리하고자 할 때 내부용기(110)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위로 작용할 수 있다.
내부용기(110)의 외측 하부면과 외부용기(120)의 내측 바닥면 사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격공간은 발열체(10)와 물(미도시)이 공급되어서 내부용기(110)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으로 작용한다. 발열체(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물과의 수화반응을 통해서 열을 발생시키는 물질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100)는 수납몸체(122)의 제1조립구멍(미도시)에 설치되는 압력밸브(142)와, 수납몸체(122)의 제2조립구멍(미도시)에 설치되는 증기배출구(144)와, 압력밸브(1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단부 및 제1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동작하여 증기배출구(144)를 폐쇄시키도록 위치하는 잠김상태에서 체결링(124)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제2단부를 갖는 안전레버(146)로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더 포함한다.
압력밸브(142)와 증기배출구(144)는 발열체(10)의 발열작용에 의해서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의 사이에서 생성되는 증기 또는 기체에 의한 압력이 허용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증기 또는 기체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로 작용한다.
압력밸브(142)는 밸브 내부의 스프링 탄성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어 발열체와 물의 수화반응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수납공간(122a)에 형성된 내부압력이 허용압력을 초과하여 내부용기(120)가 파괴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증기배출구(144)는 수납공간(122a)에 형성된 증기를 배출하도록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잠김상태로 전환된 안전레버(146)에 의해서 폐쇄된다.
수용공간(112a)에 음식물이 수용되어 있는 내부용기(110)를 외부용기(120)의 수납공간(122a)에 결합시키기 전에 수납공간(122a)에 투입되는 발열제와 물의 수화반응이 격렬하게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증기가 발생하여도, 개방되어 있는 증기배출구(144)를 통해서 증기 또는 기체의 일부가 배출되므로 내부용기(110)를 외부용기(120)의 수납공간(122a)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 사이에서 발열체(10)의 과열 반응 등에 의한 증기의 압력이 매우 높은 경우, 개방되어 있는 증기배출구(144)를 통해서 증기가 배출되므로 내부용기(110)를 외부용기(12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체결링(124)의 체결상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안착부(114)와 체결턱(122b) 사이에는 패킹부재(114)가 개재될 수 있다. 패킹부재(114)는 체결턱(122b)의 상부면과 안착부(114)의 하부면 사이를 통해서 증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안전레버(146)의 제1단부는 압력밸브(1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안전레버(146)의 잠김상태는 안전레버(146)의 제2단부 측이 증기배출구(144)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잠김상태에서, 안전레버(146)의 제2단부는 증기배출구(144)를 통해서 수납공간(122a)에 형성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링(124)의 체결상태는 제1체결부재의 후크(124c)가 제2체결부재의 걸림부(124d)에 걸쳐져서 뒤로 제쳐진 결합상태이다. 이때, 체결링(124)의 체결상태가 임의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레버(146)가 잠김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안전레버(146)의 제2단부는 체결링(124)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 안전레버(146)의 제2단부는 후크(124c)와 걸림부(124d)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결링(124)의 외측면에 접촉한다.
한편, 서로 결합되어 있는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전레버(146)의 잠김상태를 해제시킨다. 즉, 안전레버(146)를 회전시킴으로써 안전레버(146)의 제2단부는 체결링(124)의 외측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안전레버(146)가 회전하게 되면서 증기배출구(144)는 개방하게 된다. 이때, 수납공간(122a)에 잔존하는 증기는 개방되는 증기배출구(14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안전레버(146)의 잠김상태가 해제된 후, 후크(124c)와 걸림부(124d)의 결합상태를 해제한 후 체결부재(124a, 124b)를 안착부(114)와 체결턱(122b)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체결링(124)의 체결상태가 해제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즉석 조리용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10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외부용기(120)의 수납공간(122a)에 발열체(10)와 소정 양의 물을 공급한다. 이때, 발열체(10)의 수화반응에 의해서 수납공간(122a)에는 증기가 발생한다.
이 후, 가열하거나 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미도시)이 수용공간(112a)에 수용되어 있는 내부용기(110)를 외부용기(120)의 수납공간(122a)에 수납시킨다. 이때, 수납공간(122a)에 형성된 증기는 개방되어 있는 증기배출구(14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부용기(110)의 플랜지형 안착부(114)는 외부용기(120)의 체결턱(122b) 상에 용이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체결부재(124a, 124b)가 안착부(114)와 체결턱(122b)을 둘러싸도록 위치시킨 후 후크(124c)를 걸림부(124d)에 결합시킴으로써 안착부(114)와 체결턱(122b)이 체결링(124)의 체결상태에 의해서 서로 밀착 고정된다.
이때, 상술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122b)가 개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안착부(114)의 상부면과 체결턱(122b)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L)는 체결부재에 있어서 개방측 사이의 거리(L1)와 폐쇄측 사이의 거리(L2) 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내부용기(110)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작용이 없는 상태에서도 안착부(114)와 체결턱(122b)에 대한 체결부재(124a, 124b)의 체결상태는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후에, 안전레버(146)를 잠김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안전레버(146)의 제2단부에 의해서 증기배출구(144)를 통해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열체(10)와 물의 수화반응을 통해 발생되는 열은 내부용기(110)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며, 사용자는 가열되는 음식물을 조리할 수도 있다. 이때, 내부용기(110)와 외부용기(12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내부압력은 압력밸브(142) 내의 스프링 탄성에 의해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식물을 조리한 후 또는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본 고안에 따른 즉석 조리용기(100)를 세척하거나 또는 발열체(10)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전레버(146)의 잠김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수납공간(122a)에 형성된 증기는 안전레버(146)를 회전시킴으로써 개방되는 증기배출구(144)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납공간(122a)의 내부압력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걸림부(124d)에 대한 후크(124c)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체결부재(124a, 124b)들을 안착부(114)와 체결턱(122b)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체결링(124)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 후에, 외부용기(120)의 외부면과 안착부(114)의 상부에 있는 내부용기(110)의 일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외부용기(120)와 내부용기(110)를 분리시킨다.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100 : 즉석 조리용기
110 : 내부용기
112 : 수용몸체
114 : 플랜지형 안착부
120 : 외부용기
122 : 수납몸체
124 : 체결링
142, 144 : 압력밸브
146 : 안전레버

Claims (3)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2a)을 갖는 수용몸체(112)와 상기 수용몸체(112)의 상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면에 제공된 플랜지형 안착부(114)로 구성되는 내부용기(110)와, 상기 내부용기(110)의 일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22a)을 갖고 상단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체결턱(122b)이 형성된 수납몸체(122)와, 상기 수납몸체(122)에 일부가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부를 중심으로 선회동작이 가능한 체결링(124)으로 구성되는 외부용기(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용기(110)의 플랜지형 안착부(114)가 상기 외부용기(120)의 체결턱(122b)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링(124)의 체결상태에 의해서 상기 외부용기(120)의 체결턱(122b)과 상기 내부용기(110)의 안착부(114)는 서로 밀착되고 상기 내부용기(110)의 일부는 상기 체결링(114)의 상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몸체(122)의 제1조립구멍에 설치되는 압력밸브(142)와, 상기 수납몸체(122)의 제2조립구멍에 설치되는 증기배출구(144)와, 상기 압력밸브(14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단부 및 상기 제1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동작하여 상기 증기배출구(144)의 배출구를 폐쇄시키도록 위치하는 잠김상태에서 상기 체결링(124)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제2단부를 갖는 안전레버(146)로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124)은 수납몸체(122)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단부를 갖는 반구 형상의 2개 체결부재(124a, 124b)로 구성되고, 하나의 체결부재의 타측단부에 제공된 후크(124c)가 다른 하나의 체결부재의 타측단부에 제공된 걸림부(124d)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안전레버(146)의 제2단부는 상기 후크(124c)와 걸림부(124d)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링(124)의 외부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링(114)의 상부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기 내부용기(110)의 일부에는 뚜껑(130)의 테두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KR2020110008441U 2011-09-20 2011-09-20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KR201300020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441U KR20130002000U (ko) 2011-09-20 2011-09-20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441U KR20130002000U (ko) 2011-09-20 2011-09-20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00U true KR20130002000U (ko) 2013-03-28

Family

ID=5242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441U KR20130002000U (ko) 2011-09-20 2011-09-20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0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762A (ko) 2017-06-15 2018-12-26 (주)착한음식 음식물 조리용 발열 용기
KR200494685Y1 (ko) * 2020-09-29 2021-12-01 유기호 휴대용 조리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762A (ko) 2017-06-15 2018-12-26 (주)착한음식 음식물 조리용 발열 용기
KR200494685Y1 (ko) * 2020-09-29 2021-12-01 유기호 휴대용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694B1 (ko)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KR200467604Y1 (ko) 발열체를 이용한 즉석 조리 용기
CN204016007U (zh) 加热容器
KR101572533B1 (ko) 휴대용 유도가열기
TWI389658B (zh) 具有改進安全性之壓力烹調器皿
JP5138047B2 (ja) 圧力の調節が可能な即席調理容器
KR20130002000U (ko) 아웃도어용 자가발열 조리용기
JP2009285231A (ja) 炊飯器
KR101690687B1 (ko) 휴대용 조리용기
KR101374133B1 (ko) 휴대용 조리용기
KR20110117822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내솥뚜껑 탈거형 전기압력조리기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KR200395285Y1 (ko) 보조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KR20110005706U (ko) 밀착 고정형 즉석 조리용기
KR20060096881A (ko) 찜구이기
KR20110005008U (ko) 즉석식 압력 조리용기
KR20110006342U (ko) 즉석 조리가 가능한 반합
KR20120000557U (ko) 휴대용 즉석 조리용기
CN206933950U (zh) 烹饪器具
JP2009285230A (ja) 炊飯器
KR101526944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342089Y1 (ko) 압력솥
KR200493577Y1 (ko) 휴대용 압력 취사용기
KR20110011636U (ko) 휴대용 가열조리용기
KR101450123B1 (ko) 중탕기로 사용되는 조리용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