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970U - 개량 신선로 - Google Patents

개량 신선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970U
KR20110005970U KR2020090015996U KR20090015996U KR20110005970U KR 20110005970 U KR20110005970 U KR 20110005970U KR 2020090015996 U KR2020090015996 U KR 2020090015996U KR 20090015996 U KR20090015996 U KR 20090015996U KR 20110005970 U KR20110005970 U KR 201100059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space
cooking utensi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5177Y1 (ko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이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우 filed Critical 이장우
Priority to KR2020090015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17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9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9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1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77Warming devices using solid fuel, e.g. with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47J37/0768Disposable barbecue packages containing a quantity of fuel, e.g. charcoal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요리가 가능한 개량 신선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고체 연료 또는 숯불을 담는 연료통; 일측면의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연기를 배출하는 연통과, 상기 일측면의 하단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연료통이 삽탈되도록 상기 연료통의 크기에 대응하여 바닥부에 형성되는 연료통 받이부와, 상기 연료통 받이부의 상방에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신선로 본체; 상기 신선로 본체의 제1 공간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조리기구; 및 상기 신선로 본체의 제2 공간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조리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신선로 본체는, 상기 연통이 배치되는 신선로 본체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반대편의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연통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연통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선로 본체, 연료통, 조리기구, 뚜껑, 거치대

Description

개량 신선로{Improved brass chafing dish}
본 고안은 신선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선로의 구조를 개선하여, 일반적인 탕 요리 뿐만 아니라, 찜류나 불고기류 또는 구이류 요리도 가능하게 한 개량 신선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로는 초벌 조리되어 있는 열구자탕 등의 전골류의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열을 가함으로써, 오랜 시간 동안 처음 조리되어 있는 상태의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신선로는, 놋쇠(방짜)로 된 몸통의 가운데 연통이 있고 그 테두리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원형 용기 안에 열구자탕 등의 전골류의 재료를 넣은 다음, 연통 아래쪽에 잘 달군 숫불이나 고체연료 등이 담긴 연료통을 넣어서, 연통 옆면의 원형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그 내부에 있는 음식을 보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선로는 대부분 여러 사람들이 함께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다인용으로 크게 제작되어 있어, 음식물을 섭취하는 사람마다 수저를 사용하여 신선로 용기 내의 음식을 먹게 되면,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신선로는 대부분 전골류의 조리만 가능하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전골류 이외의 불고기류나 구이류 등의 음식을 조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신선로 본체의 내부 공간을 분리하여 2가지의 조리기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 1인용 개량 신선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골류 이외의 불고기류나 구이류 음식 등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구를 구비한 개량 신선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고체 연료 또는 숯불을 담는 연료통과,
일측면의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연기를 배출하는 연통과, 상기 일측면의 하단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연료통이 삽탈되도록 상기 연료통의 크기에 대응하여 바닥부에 형성되는 연료통 받이부와, 상기 연료통 받이부의 상방에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신선로 본체와,
상기 신선로 본체의 제1 공간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조리기구와,
상기 신선로 본체의 제2 공간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조리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신선로 본체는, 상기 연통이 배치되는 신선로 본체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반대편의 외주면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연통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연통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상기 제1 조리기구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부가 위치하는 용기의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만곡부의 일부가 상기 연료통 받이부의 상면에 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조리기구는, 만두나, 딤섬을 데울 수 있는 찜판으로 이루어지며, 찜판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상기 제1 공간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되어 있는 거치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는, 내면의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리기구가 거치되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신선로 본체는, 상기 연료통 받이부의 벽면과 상기 신선로 본체의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상기 제1 조리기구는, 갈비, 삼겹살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구이판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 일부에는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상기 제1 조리기구는, 스테이크, 곱창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구이판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는 다수의 슬릿과,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상기 제1 조리기구는, 불고기류를 조리할 수 있는 불고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고기판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고기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불고기판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불고기판의 저면에는 다수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상기 신선로 본체 중 상기 연통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를 덮는 뚜껑을 더욱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신선로 본체의 상부 공간을 격벽에 의하여 제1 및 제2 공간부로 분리하여, 이 제1 및 제2 공간부에 각각 제1 및 제2 조리기구를 장착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전골류만을 조리할 수 있었던 종래의 신선로에 비하여, 전골류 뿐만 아니라, 만두나 딤섬 등도 함께 조리할 있게 되어, 신선로를 더욱 효율적 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리기구로서,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용기 이외에, 각종의 구이류를 조리할 수 있는 구이판이나, 불고기류를 조리할 수 있는 불고기판을 채택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요리 가능한 신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선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신선로 본체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1 조리기구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신선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신선로 본체(10)와, 이 신선로 본체(10)의 상부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조리기구(20, 30)와, 신선로 본체(10)의 바닥에 삽입되는 연료통(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의 신선로(1)는 신선로 본체(10) 및 제1 및 제2 조리기구(20, 30)의 구성에 있어서 주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신선로 본체(10)는, 그 일측면, 즉, 신선로 본체(10)의 후방측 면의 하단 개방부(18a)를 통하여 연료통(50)이 삽탈되도록 이 연료통(50)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하여 신선로 본체(10)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연료통 받이 부(12)와, 속이 빈 모양의 관재로 이루어지며, 신선로 본체(10)의 후방측 면의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연기를 배출하는 연통(11)과, 연료통 받이부(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상기 신선로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공간부(14, 15)로 구획하는 격벽(16)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공간부(14)는 상기 연통(11)의 전방에 형성되어, 제1 조리기구(20)가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공간부(15)는 상기 연통(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조리기구(15)가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신선로 본체(10)는, 그 후면 중앙부에 삼각형의 연통(11)이 배치되며, 이 삼각형 연통(11)의 좌우 양쪽의 2개의 공간(제2 공간부(15))에는 소형 만두나 딤섬을 보온시킬 수 있는 눈썹 모양의 찜판(제2 조리기구(30))이 놓이고, 연통(11) 앞부분의 하트 형상의 공간(제1 공간부(14))에는 하트형상의 전골 용기(제1 조리기구(20))가 놓이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공간부(14, 15)의 하부에 연료통(50)이 놓이게 되어 있다.
또한, 하트 형상의 제1 공간부(14)는, 전방측의 뾰족한 선단부(10a)가 상부측이 하부측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조리기구(20)를 제1 공간부(14)에 장착할 때에, 제1 조리기구(20)의 저면 일부(만곡부(20b))가 연료통 받이부(12)의 상면에 닿음과 함께, 제1 조리기구(20)의 선단부(20a)가 제1 공간부(14)의 선단부(10a)에 끼워져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제2 공간부(15)에는, 제2 조리기구(30)를 받칠 수 있도록 연통(11)의 양 측부 및 신선로 본체(10)의 외주면(10b)에 받침돌기(15a, 15b)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제2 공간부(15) 바닥에는 물을 담을 수 있도록 폐색되어, 물의 가열에 의한 수증기로 딤섬 등을 가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통(50)이 삽탈되는 개방부(18a)에는, 삽입된 연료통이 실수로 신선로 본체(10)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닫이문(18)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여닫이문(18)에는 공지의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신선로 본체(10)의 하부에는, 연료통 받이부(12)의 벽면과 신선로 본체(10)의 외주면(10b)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부(13)를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물받이부(13)는, 대략 말발굽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전골류 이외의 갈비나 스테이크 또는 삼겹살 등을 구울 때에 생기는 기름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을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 조리기구(2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20)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2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만곡부(20b)가 위치하는 용기의 외주면의 상부(선단부(20a))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만곡부(20b)의 외면이 상기 연료통 받이부(12)의 상면에 닿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조리기구(20)의 양 측부에는, 신선로 본체(10)의 제1 공간부(14)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2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제2 조리기구(30)는, 만두, 딤섬을 데울 수 있는 찜판으로 이루어지며, 찜판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선로 본체(10)를 덮는 뚜껑(40)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이 뚜껑(40)은 상기 연통(11)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14, 15)를 덮도록, 상기 연통(11)의 크기에 대응하여 그 상면 및 후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40)의 상면은 제1 및 제2 조리기구(20, 30) 내의 음식을 볼 수 있도록 볼록한 형상의 투명한 재질(예를 들면, 강화 유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40)의 상면에는, 뚜껑(4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뚜껑 손잡이(4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뚜껑(40)의 측면에는, 제1 조리기구(20)의 손잡이(20c)가 닿는 부분이 절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음식을 조리할 때 신선로 본체(10)에 뚜껑(40)을 덮어 둠으로써, 열기가 조리기구(20, 3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선로 본체(10)에는, 이 신선로 본체(10)를 들고 다니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신선로 본체(10)의 양측부에 부착된 대략 "ㄴ"자 모양의 돌기부(17a)와, 이 돌기부(17a)에 끼워지는 타원형의 고리로 된 본체손잡이(17b)로 이루어지는 본체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손잡이부는 돌기부(17a)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돌기부(17a)는 "ㄷ" 형상 등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선로(1)는, 연통이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던 종래의 신선로의 구성을 탈피하여, 연통(11)을 신선로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치함과 함께, 신선로 본체의 상부 공간을 격벽(16)에 의하여 제1 및 제2 공간부(14, 15)로 분리하여, 이 제1 및 제2 공간부(14, 15)에 제1 및 제2 조리기구를 장착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전골류만을 조리할 수 있었던 종래의 신선로에 비하여, 전골류 뿐만 아니라, 만두나 딤섬 등을 조리할 수 있게 되어, 신선로를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선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1 조리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1 조리기구로서의 스테이크용 구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제1 조리기구로서의 불고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1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는 도 1 내지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신선로(2)는, 제1 조리기구(21)가 거치대(60)를 통하여 제1 공간부(14)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의 신선로(2)는, 전골류 음식 외에 불고기나 구이 등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제1 조리기구(21) 및 거치대(60)의 구성에 있어서만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게 하고 있을 뿐, 그 이외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6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선로 본체(10)의 하트 형상의 제1 공간부(14)에 착탈 가능하며, 내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조리기구(21)가 거치될 수 있도록, 거치대(60)의 내면 일부로부 터 받침부(60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치대(60)의 양 측부에는, 제1 공간부(14)로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60c)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손잡이(60c)는 거치대(60)가 신선로 본체(10)에 장착될 때에 신선로 본체(10)의 상면에 놓이게 되어, 거치대(6)의 장착위치를 규제하는 용도를 겸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제1 조리기구(21)는, 삼겹살 또는 갈비 등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구이판(21)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구이판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 즉 선단부(21a)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 일부에는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출구(21b)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신선로 본체(10)의 제1 공간부(14)에 거치대(60)를 장착한 후에, 이 거치대(60) 내에 제1 조리기구인 구이판(21)를 삽입하여, 구이판(21)의 저면 일부가 거치대(60)의 받침부(60a) 위에 놓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이판(21)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삼겹살 등을 구울 때 생기는 기름이 구이판(21)의 전방으로 흘러가서, 기름 배출구(21b)를 통하여 신선로 본체(10)의 물받이부(13)로 흘러들어 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조리기구로서, 제1 실시예의 전골용 용기(20) 대신에, 삼겹살 등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21)을 채택함과 함께, 이 구이판(21)을 거치하는 거치대(60)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신선로에서는 조리할 수 없었던 구이류의 조리 및 보온·가온도 가능하므로, 신선로를 다용도로 활용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조리기구로서, 삼겹살이나 갈비 등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21)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크나 곱창 등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22), 또는 불고기류를 조리할 수 있는 불고기판(23)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조리기구로서 스테이크나 곱창 등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2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이판(22)은, 그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구이판(22)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 즉 선단부(22a)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22)의 저면에는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 배출구(22b) 및 다수의 슬릿(22c)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조리기구로서, 제1 실시예의 전골용 용기(20) 대신에, 곱창이나 스테이크 등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22)을 채택함과 함께, 이 구이판(22)을 거치하는 거치대(60)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이들이 장착된 신선로(20)에서 고기를 구울 때 구이판(22)의 저면에 마련된 다수의 슬릿(22c)을 통하여 연료통(50)에 담겨진 연료로부터의 열기가 고기에 직접 전달되어 고기가 신속하게 익을 수 있게 되며, 고기를 구울 때 생기는 기름이 기름 배출구(22b)를 통하여 신선로 본체(10)의 물받이부(13)로 흘러들어 가게 되어, 기존의 신선로에서는 조리할 수 없었던 구이류의 조리 및 보온·가온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조리기구로서 불고기류를 조리할 수 있는 불고기판(23)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불고기판(23)은, 그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23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고기판(23)의 양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불고기판(23)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 즉 선단부(23a)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불고기판(23)의 저면에는 다수의 개구(23c)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조리기구로서, 제1 실시예의 전골용 용기(20) 대신에, 불고기판(23)을 채택함과 함께, 이 구이판(22)을 거치하는 거치대(60)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이들이 장착된 신선로(2)에서 불고기를 조리할 때에 이 불고기판(23)의 저면에 마련된 다수의 개구(23c)를 통하여, 연료통(50)의 연료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고르게 전달되는 한편, 조리 시에 생기는 국물이 불고기판(23)의 만곡부(23b)에 모이게 되어, 음식물 섭취자가 용이하게 국물을 떠 먹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조리기구(21, 22, 23)가 거치대(60)에 거치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실시예의 제1 조리기구(20)와 마찬가지로, 거치대(60) 없이 신선로 본체(10)의 제1 공간부(14)에 직접 장착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신선로 본체(10)의 연통을 삼각형 형상으로 하고, 제1 공간부(14)를 하트 형상으로 하는 한편, 제2 공간부(15)를 눈썹 모양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연통(11)의 형상을 사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통(11)의 형상에 따라서, 제1 및 제2 공간부(14, 15)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특정 실시예에 의존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행한 개량, 변형은 모두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개량 신선로는, 일반 음식점이나, 가정집에서 전골류, 구이류, 만두류를 용이하게 조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선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신선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1 조리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선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1 조리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제1 조리기구로서의 스테이크용 구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제1 조리기구로서의 불고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신선로 10 : 신선로 본체
11 : 연통 12 : 연료통 받이부
13 : 물 받이부 14 : 제1 공간부
15 : 제2 공간부 16 : 격벽
17a : 돌기부 17b : 손잡이부
18 : 여닫이문 18a : 개방부
20, 21, 22, 23 : 제1 조리기구 30 : 제2 조리기구
40 : 뚜껑 50 : 연료통
60 : 거치대

Claims (7)

  1. 고체 연료 또는 숯불을 담는 연료통과,
    일측면의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연기를 배출하는 연통과, 상기 일측면의 하단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연료통이 삽탈되도록 상기 연료통의 크기에 대응하여 바닥부에 형성되는 연료통 받이부와, 상기 연료통 받이부의 상방에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제1 및 제2 공간부로 구획하는 격벽을 구비하는 신선로 본체와,
    상기 신선로 본체의 제1 공간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조리기구와,
    상기 신선로 본체의 제2 공간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조리기구
    를 포함하며,
    상기 신선로 본체는, 상기 연통이 배치되는 신선로 본체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반대편의 외주면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연통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공간부는 상기 연통의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신선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기구는, 전골류를 조리할 수 있는 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 기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곡부가 위치하는 용기의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만곡부의 일부가 상기 연료통 받이부의 상면에 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조리기구는, 만두나, 딤섬을 데울 수 있는 찜판으로 이루어지며, 찜판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신선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되어 있는 거치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거치대는, 내면의 일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조리기구가 거치되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신선로 본체는, 상기 연료통 받이부의 벽면과 상기 신선로 본체의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물받이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신선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기구는, 갈비, 삼겹살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구이판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 일부에는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기름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신선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기구는, 스테이크, 곱창을 구울 수 있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구이판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구이판의 저면에는 다수의 슬릿과 기름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신선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기구는, 불고기류를 조리할 수 있는 불고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불고기판의 저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고기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며, 상기 불고기판의 최전방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의 상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불고기판의 저면에는 다수의 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신선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선로 본체 중 상기 연통을 제외한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를 덮는 뚜껑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신선로.
KR2020090015996U 2009-12-09 2009-12-09 개량 신선로 KR200455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996U KR200455177Y1 (ko) 2009-12-09 2009-12-09 개량 신선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996U KR200455177Y1 (ko) 2009-12-09 2009-12-09 개량 신선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970U true KR20110005970U (ko) 2011-06-15
KR200455177Y1 KR200455177Y1 (ko) 2011-08-23

Family

ID=4929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996U KR200455177Y1 (ko) 2009-12-09 2009-12-09 개량 신선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1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2805A (zh) * 2017-07-24 2017-10-13 苏在光 便携式多用木炭无烟烧烤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784B1 (ko) 2015-06-04 2016-03-28 박대순 신선탕의 제조방법 및 그 신선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422Y1 (ko) 2005-11-04 2006-01-20 이경아 조리 기구
KR200424658Y1 (ko) 2006-06-12 2006-08-25 박경호 신선로 겸용 취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2805A (zh) * 2017-07-24 2017-10-13 苏在光 便携式多用木炭无烟烧烤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177Y1 (ko) 201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8592B1 (en) Electric grill plate appliance for tortilla cuisine
CN101815457A (zh) 烧烤架组件
US20120031918A1 (en) Interchangeable pan
WO2006020124A2 (en) Multi-chambered convertible grilling device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WO2012174702A1 (en) Cooking appliance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KR101214728B1 (ko) 다기능 구이기
US2457877A (en) Cooking unit
KR20140018708A (ko) 육수 가열장치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KR200406422Y1 (ko) 조리 기구
KR200431719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양면 그릴구이기
CN218651375U (zh) 一种蒸格
CN210354294U (zh) 炸涮煎烤一体锅及炸涮煎烤一体桌
KR102115097B1 (ko) 고기구이판
CN211299581U (zh) 多功能锅及餐桌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CN216166985U (zh) 烹饪器具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485728Y1 (ko) 숯불 신선로
KR19990012833U (ko) 찜과 구이를 요리할 수 있는 조리용 용기
KR200366225Y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20010001069U (ko) 다용도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