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4300A - 쌀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쌀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300A
KR20110004300A KR1020100064283A KR20100064283A KR20110004300A KR 20110004300 A KR20110004300 A KR 20110004300A KR 1020100064283 A KR1020100064283 A KR 1020100064283A KR 20100064283 A KR20100064283 A KR 20100064283A KR 20110004300 A KR20110004300 A KR 20110004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diameter
rice washing
rod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2055B1 (ko
Inventor
요시오 마쯔모또
지쯔아끼 나까지마
도시히로 하마요시
가즈오 시오따
나오유끼 가미따니
슈우이찌 시마다
히또시 오오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59931A external-priority patent/JP52561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688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46115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1000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4Wet treatment, e.g. washing, wetting, softening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쌀 세척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경사 막대 성분을 갖는 복수개의 교반 막대의 직경 방향 간격을 대략 동등하게 함으로써, 쌀 세척조 내의 쌀을 직경 방향에서 구석구석까지 교반하여 쌀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부에 원통부(16)를 갖고 하부에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좁아지는 재두 원추형의 깔때기부(17)를 갖는 쌀 세척 탱크(4)를 구비하고, 이 쌀 세척 탱크(4)는 상단부측으로부터 쌀과 물이 공급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하단부측에 쌀 배출 밸브(2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는 쌀 배출구(31)를 구비하고, 상기 쌀 세척 탱크(4) 내에 배치된 교반 막대(25)를 종축 주위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쌀 세척 탱크(4) 내의 쌀을 세척하도록 한 쌀 세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 탱크(4)의 내면에, 쌀 세척시에 쌀이 교반 막대(2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쌀 세척 탱크(4) 내면으로부터 쌀 세척 탱크(4)의 직경 내측으로 돌출되는 리브(42)를 설치한다.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04)과, 이 회전축(104)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는, 대직경 막대(A)와 소직경 막대(C)와 그들 사이의 직경이며 또한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를 갖고, 대직경 막대(A)는 가로 막대 성분(P)과 경사 막대 성분(Q)과 세로 성분(R)을 갖고,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가로 막대 성분(P)과 경사 막대 성분(Q)을 갖는다.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높이(H)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한다.

Description

쌀 세척 장치{RICE WASHER}
본 발명은, 쌀 세척 탱크 내에 배치된 교반 막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쌀 세척 탱크 내의 쌀을 세척하도록 한 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쌀을 교반하면서 세척하는 쌀 세척 장치의 교반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쌀 세척 탱크 내에 배치된 교반 막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쌀 세척 탱크 내의 쌀을 세척하도록 한 쌀 세척 장치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쌀 세척 탱크는, 상하 방향의 축심을 갖는 통 형상의 탱크 본체와, 이 탱크 본체의 하단부측에 설치된 배수 재킷을 갖는다.
탱크 본체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구 형상이고, 상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끝이 좁아지는 재두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탱크 본체 내에는 상단부 개구로부터 쌀과 물이 공급 가능하게 되고, 상기 탱크 본체의 하단부 개구는 배수 재킷 내에 연통되어 있다.
배수 재킷의 하면측에는, 쌀을 배출시키기 위한 쌀 배출구가 하방을 향해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쌀 배출구는 쌀 배출 밸브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어 있다.
배수 재킷 내에는, 탱크 본체의 하단부 개구와 쌀 배출구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고, 물은 통과시키지만 쌀은 통과시키지 않는 작은 구멍이 다수 형성된 분리판이 설치되고, 이 분리판을 통해 배수 재킷으로부터 쌀 세척수가 배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쌀 세척 탱크 내에 투입된 쌀은, 쌀 세척 탱크의 상단부측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배수 재킷으로부터 물을 배수하면서 교반 막대를 회전시키는 세척 공정과, 물의 공급을 정지하고 교반 막대를 회전시키는 일기 공정을 교대로 복수회 행한 후, 배수 재킷으로부터의 배수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쌀 세척 탱크 내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물과 함께 부유물을 쌀 세척 탱크의 상부에 설치한 오버플로우구로부터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 공정을 행함으로써 세척된다.
쌀 세척 장치의 교반구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의 원통부와 하부의 깔때기부를 갖는 쌀 세척조 내에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교반 막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개의 교반 막대는, 쌀 세척조의 원통부의 내주면에 가까운 대직경 막대와, 세로 축심에 가까운 소직경 막대와, 상기 대직경 막대와 소직경 막대 사이의 직경이며 또한 서로 직경이 다른 2개 내지 3개의 중간 직경 막대를 갖고, 각 교반 막대는 세로 축심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을 갖고, 복수개의 교반 막대 중 몇 개는 상기 가로 막대 성분의 외측 단부와 경사 막대 성분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세로 성분을 갖고 있는 것이 있다.
상기 교반 막대는, 경사 막대 성분에 의해 세척 쌀과 접촉하여 상승 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상기 복수개의 교반 막대는 이 경사 막대 성분의 직경 방향 위치, 상단부 위치 또는 경사 각도 등이 랜덤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1792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89879호 공보
상기 종래의 쌀 세척 장치에 있어서는, 세척 공정과 일기 공정시에 있어서, 쌀 세척 탱크 내에 물을 저류하지 않고 쌀 세척이 행해지지만, 이때 쌀이 교반 막대와 함께 회전하는 경우가 있다. 쌀이 교반 막대와 함께 회전하면, 교반 막대에 의한 쌀의 교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아, 쌀 세척 정밀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쌀 세척 정밀도의 향상을 기도한 쌀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은, 복수개의 교반 막대가 경사 막대 성분의 직경 방향 위치, 상단부 위치 또는 경사 각도 등이 랜덤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교반 막대의 간격에 대소(大小)를 발생시켜, 구석구석까지 교반하는 것이 곤란해져, 교반 막대 전체적인 교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쌀 세척 장치의 교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사 막대 성분을 갖는 복수개의 교반 막대의 직경 방향 간격을 대략 동등하게 함으로써, 쌀 세척조 내의 쌀을 직경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교반하여, 쌀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쌀 세척 장치의 교반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상부에 원통부를 갖고 하부에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끝이 좁아지는 재두 원추형의 깔때기부를 갖는 쌀 세척 탱크를 구비하고, 이 쌀 세척 탱크는 상단부측으로부터 쌀과 물이 공급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하단부측에 쌀 배출 밸브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는 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쌀 세척 탱크 내에 배치된 교반 막대를 종축 주위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쌀 세척 탱크 내의 쌀을 세척하도록 한 쌀 세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 탱크의 내면에, 쌀 세척시에 쌀이 교반 막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쌀 세척 탱크 내면으로부터 쌀 세척 탱크의 직경 내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는 쌀 세척 탱크의 상단부측으로부터 깔때기부의 상하 방향 중도부까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리브는 쌀 세척 탱크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하 방향의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수단은, 다음과 같다.
네 번째로, 상부의 원통부(103A)와 하부의 깔때기부(103B)를 갖는 쌀 세척조(103) 내에 세로 축심(S)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04)과, 이 회전축(104)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는, 쌀 세척조(103)의 원통부(103A)의 내주면(103A)에 가까운 대직경 막대(A)와, 세로 축심(S)에 가까운 소직경 막대(C)와, 상기 대직경 막대(A)와 소직경 막대(C) 사이의 직경이며 또한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를 갖고,
상기 대직경 막대(A)는, 세로 축심(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P)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Q)과, 상기 가로 막대 성분(P)의 외측 단부와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세로 성분(R)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세로 축심(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P)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Q)을 갖고,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높이(H)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 번째로, 상기 대직경 막대(A)와 중간 직경 막대(B)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 및/또는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과 쌀 세척조(103)의 깔때기부(103B)의 직경 방향 간격(W1)을,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직경 방향 간격(L)보다 작게 또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 번째로,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을 쌀 세척조(103)의 깔때기부(103B)와 대략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대직경 막대(A)로부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순으로, 세로 축심(S)에 대한 경사 막대 성분(Q)의 협각(θ)을 점차 작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곱 번째로, 상기 대직경 막대(A)로부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순으로 하단부 위치가 점차 상위에 위치하고, 또한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하단부 위치가 점차 소직경 막대(C)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덟 번째로, 상기 소직경 막대(C)의 상단부를 대직경 막대(A)의 가로 막대 성분(P)보다 하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 중 적어도 1개의 가로 막대 성분(P)을 대직경 막대(A)의 가로 막대 성분(P)보다 상위에 위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홉 번째로, 상기 대직경 막대(A)는,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여 2개 갖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직경이 큰 쪽으로부터 차례로 제1 내지 제5 중간 직경 막대(B)까지 5개 갖고,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와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와 1개의 소직경 막대(C)를, 그들이 상기 회전축(104)에 가하는 회전 모멘트의 힘의 총합이 제5 중간 직경 막대(B) 단독의 회전 모멘트의 힘보다 작아지는 회전축(104) 주위 방향 위치에 배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 번째로, 상기 대직경 막대(A)는,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여 2개 갖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직경이 큰 쪽으로부터 차례로 제1 내지 제5 중간 직경 막대(B)까지 5개 갖고,
상기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도 편위하고 있고,
상기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대직경 막대(A)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45도 편위하고 있고,
상기 제5 중간 직경 막대(B5)는 상기 소직경 막대(C)로부터 회전축(104)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도 편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한 번째로, 상기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상기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과, 상기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과, 상기 제5 중간 직경 막대(B5)와 소직경 막대(C)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은, 그들 힘을 합성하면, 상기 제5 중간 직경 막대(B5) 단독의 회전 모멘트의 힘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두 번째로, 쌀 세척조(103) 내에 세로 축심(S)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04)과, 이 회전축(104)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교반 막대(105)는, 세로 축심(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P)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Q)을 갖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는 가로 막대 성분(P)의 길이가 다르고, 경사 막대 성분(Q)의 중도 높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 특징을 갖는 쌀 세척 장치의 교반구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발휘한다.
회전축(104)을 회전시키면,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가 세로 축심(S) 주위로 회전하고, 2개의 대직경 막대(A)는 쌀 세척조(103)의 원통부(103A)의 내주면(103A)에 가까운 위치를 이동하고, 소직경 막대(C)는 세로 축심(S)에 가까운 위치를 이동하고,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대직경 막대(A)와 소직경 막대(C) 사이의 직경이며 또한 서로 직경이 다른 궤적(K)을 이동한다.
2개의 대직경 막대(A) 및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경사 막대 성분(Q)은, 세척 쌀과 접촉하여 상승 동작을 발생시켜, 회전 방향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의 교반도 행한다. 이 경사 막대 성분(Q)은,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높이(H)에 있어서,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 및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이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고, 이 위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는 쌀 세척조(103) 내의 쌀 및 물을 직경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교반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석구석까지 교반함으로써, 쌀 세척수가 맑아질 때까지 필요로 하는 수량 및 시간을 대폭으로 감소하여,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과 쌀 세척조(103)의 깔때기부(103B)의 직경 방향 간격(W)을, 상기 대직경 막대(A)와 중간 직경 막대(B)의 직경 방향 간격(L)보다 작게 또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함으로써, 대직경 막대(A)와 쌀 세척조(103) 사이에서도, 그 외와 마찬가지로 구석구석까지 교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을 쌀 세척조(103)의 깔때기부(103B)와 대략 평행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대직경 막대(A)와 쌀 세척조(103) 사이의 교반을 확실하게 행하고, 또한 대직경 막대(A)로부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순으로, 세로 축심(S)에 대한 경사 막대 성분(Q)의 협각(θ)을 점차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세로 축심(S)에 가까운 소직경 막대(C)가 경사 막대 성분을 갖지 않아도 직경 방향 간격(L)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보다 구석구석까지 교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직경 막대(A)로부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순으로 하단부 위치가 점차 상위에 위치하고, 또한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하단부 위치가 점차 소직경 막대(C)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쌀 세척조(103)의 깔때기부(103B)의 하부에 있어서의 쌀 및 쌀 세척수를 직경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교반할 수 있다.
소직경 막대(C)의 상단부를 대직경 막대(A)의 가로 막대 성분(P)보다 하위에 위치시키고,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 중 적어도 1개의 가로 막대 성분(P)을 대직경 막대(A)의 가로 막대 성분(P)보다 상위에 위치시키고 있음으로써, 경사 막대 성분(Q)에 의해 쌀 세척조(103)의 중앙으로 솟아오르는 쌀 및 쌀 세척수를 직경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보다 균등하게 교반할 수 있다.
대직경 막대(A)는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여 2개 갖고,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직경이 큰 쪽으로부터 차례로 제1 내지 제5 중간 직경 막대(B)까지 5개 갖고, 2개의 대직경 막대(A)와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와 1개의 소직경 막대(C)를, 그들이 회전축(104)에 가하는 회전 모멘트의 힘의 총합이 제5 중간 직경 막대(B) 단독의 회전 모멘트의 힘보다 작아지는 회전축(104) 주위 방향 위치에 배열하고 있음으로써,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의 균형을 맞추어,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을 적게 하여, 교반 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대직경 막대(A)는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여 2개 갖고,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직경이 큰 쪽으로부터 차례로 제1 내지 제5 중간 직경 막대(B)까지 5개 갖고,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도 편위하고,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대직경 막대(A)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45도 편위하고, 제5 중간 직경 막대(B5)는 상기 소직경 막대(C)로부터 회전축(104)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도 편위하고 있음으로써, 8개의 교반 막대(105)를 회전축(104) 주위 방향으로 45도씩 대략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고, 또한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의 균형을 맞추어,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을 적게 하여, 교반 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과,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과, 제5 중간 직경 막대(B5)와 소직경 막대(C)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은, 그들 힘을 합성하면, 상기 제5 중간 직경 막대(B5) 단독의 회전 모멘트의 힘보다 작아져,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의 균형을 맞추어,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을 적게 하여, 교반 운동을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쌀 세척 탱크의 내면에 설치한 리브에 의해, 쌀 세척시에 있어서 쌀이 교반 막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어, 쌀 세척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쌀 세척조 내의 쌀을 직경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교반하여, 쌀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쌀 세척 탱크 및 교반 막대의 사시도.
도 2는 자동 취반기의 정면도.
도 3은 쌀 세척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쌀 세척 탱크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쌀 세척 탱크 및 교반 막대의 평면도.
도 6은 쌀 세척 탱크의 리브 형성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 7은 쌀 세척 탱크의 리브 형성 부분의 평면 확대도.
도 8은 탱크 지지체의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교반 막대의 직경 방향 배열의 측면 설명도.
도 10는 도 9의 교반 막대의 직경 방향 배열을 도시하는 평면 설명도.
도 11은 교반구의 사시도.
도 12는 교반구의 정면도.
도 13는 교반구의 측면도.
도 14은 쌀 세척조 내의 교반구의 사시도.
도 15은 쌀 세척조 내의 교반구의 평면도.
도 16은 쌀 세척 장치의 단면 정면도.
도 17는 자동 취반기의 전체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쌀의 계량ㆍ쌀 세척ㆍ취반을 마이크로컴퓨터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 취반기이다.
이 취반기(1)는, 기기 프레임(2)과, 이 기기 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된 쌀 저장고(3)와, 이 쌀 저장고(3)의 하방에 설치된 쌀 세척 탱크(4)와, 이 쌀 세척 탱크(4)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5)와, 상기 쌀 세척 탱크(4)의 하방에 설치된 밥솥(6)과, 이 밥솥(6)을 적재하기 위해 기기 프레임(2)의 하단부측에 설치된 적재대(7)를 갖는다.
상기 기기 프레임(2)은, 하단부의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인 베이스 부재(8)와, 이 베이스 부재(8)의 후단부측의 좌우 양측에 세워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지지 기둥 부재(9)를 갖는다.
상기 쌀 저장고(3)는,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 개구 형상의 상자 형상의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 내의 상부측에 수납된 상단부 개구 형상의 쌀 저장 탱크(11)와, 이 쌀 저장 탱크(11)의 상단부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덮개(12)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의 후단부측이 기기 프레임(2)의 좌우 지지 기둥 부재(9)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쌀 저장 탱크(11)의 상단부 개구는 쌀의 투입구가 되고, 이 쌀 저장 탱크(11)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쌀 저장 탱크(11) 내의 쌀을 배출하는 쌀 배출구(13)가 설치되어 있다.
쌀 세척 탱크(4)는 상하 방향의 축심을 갖는 통 형상의 탱크 본체(14)와, 이 탱크 본체(14)의 하단부측에 설치된 배수 재킷(15)을 갖는다.
탱크 본체(14)는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도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구 형상이고, 상부가 원통형인 원통부(16)로 되고, 하부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끝이 좁아진 재두 원추형의 깔때기부(17)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통부(16)보다 깔때기부(17)가 차지하는 비율이 크고, 쌀 세척 탱크(4)를, 상부와 하부와 이들 상하부 사이의 중간부의 3부분으로 나누면, 상부가 원통형이고, 중간부 및 하부가 재두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탱크 본체(14)[쌀 세척 탱크(4)]의 상단부측은 상기 쌀 저장고(3)의 케이스(10)의 하부벽에 고정된 탱크 지지체(1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탱크 지지체(18)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부벽(19)이 케이스(10)의 하부벽에 장착 고정되어 있고, 케이스(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돌출 형상으로 되고, 탱크 지지체(18)의 상부벽 상면측은 케이스(10)의 하부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케이스(10) 내에 노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탱크 지지체(18)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벽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통 형상의 장착부(20)를 갖고, 이 장착부(20)의 하단부에 상기 쌀 세척 탱크(4)의 탱크 본체(14)의 상단부측이 접촉하고, 또한 복수의 장착구[스냅 로크(snap lock)]를 통해 탱크 본체(14)가 장착부(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 본체(14)의 상단부 개구는 탱크 지지체(18)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탱크 지지체(18)의 상부벽(19)에는, 쌀 저장 탱크(11) 하단부의 쌀 배출구(13)의 하방에 위치하는 쌀 통과구(21)가 형성되고, 이 쌀 통과구(21)와 상기 쌀 배출구(13) 사이에는, 쌀 배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쌀 저장 탱크(11) 내의 쌀을 계량하여 쌀 통과구(21)를 통해 쌀 세척 탱크(4)에 공급하는 쌀 계량기(22)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 지지체(18)의 중심 부분에는, 상하 방향의 축심을 갖는 통 형상의 회전축(23)을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2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3)의 하부에는, 쌀 세척 탱크(4) 내의 쌀을 교반하는 복수개의 교반 막대(25)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 막대(25)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23)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가로 레버부(25a)와 상기 가로 레버부(25a)의 연장 단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세로 레버부(25b)를 갖는 7개의 교반 막대(25)와, 회전축(23)으로부터 하방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쌀 배출 밸브(26)의 상면 근방에서 상기 쌀 배출 밸브(26) 상면을 따라 굴곡된 1개의 교반 막대(25)로 이루어지고, 각 교반 막대(25)는 회전축(23)의 주위 방향에 관하여 위치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로 레버부(25a)를 갖는 교반 막대(25) 중, 가로 레버부(25a)의 길이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된 3개의 교반 막대(25)의 가로 레버부(25a)는 탱크 본체(14)의 내면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고, 다른 교반 막대(25)의 가로 레버부(25a)의 길이는 상기 3개의 교반 막대(25)의 가로 레버부(25a)의 길이보다도 짧게 또한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동일한 길이의 가로 레버부(25a)를 갖는 상기 3개의 교반 막대(25) 중, 1개의 교반 막대(25)의 세로 레버부(25b)는 가로 레버부(25a)의 연장 단부로부터 원통부(16)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쌀 세척 탱크(4)의 중심으로 이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밖의 교반 막대(25)의 세로 레버부(25b)는 가로 레버부(25a)의 연장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쌀 세척 탱크(4)의 중심으로 이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23)은 탱크 지지체(18)의 상방측에 설치된 교반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회전축(23)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교반 막대(25)가 종축 주위로[쌀 세척 탱크(4)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쌀을 교반시킨다.
상기 급수 장치(5)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도 등의 수원에 접속되는 지수전(27)과, 이 지수전(27)의 하류측에 설치된 유량계(28)와, 이 유량계(28)의 하류측에 설치된 전자기 밸브(29)와, 이 전자기 밸브(29)의 하류측에 설치된 급수부(30)를 갖는다.
급수부(30)는 상기 탱크 지지체(18)에 복수 설치되고, 다수의 작은 구멍을 갖고 있어 쌀 세척 탱크(4) 내에 상방으로부터 물을 샤워 형상으로 살수한다.
상기 배수 재킷(15)은 탱크 본체(14)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배수 재킷(15)의 하면측에는 세척한 쌀을 물조절수와 함께 배출하기 위한 쌀 배출구(31)가 설치되고, 이 쌀 배출구(31)는 원추 형상의 쌀 배출 밸브(26)에 의해 하방측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폐색된다.
쌀 배출 밸브(26)는 쌀 세척 탱크(4) 내의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밸브 막대(32)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막대(32)는 탱크 지지체(18)의 상면측에 설치된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 조작되고, 이 쌀 배출 밸브(26)를 올림으로써 쌀 배출구(31)가 폐쇄되고, 상기 쌀 배출 밸브(26)를 하강시킴으로써 쌀 배출구(31)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수 재킷(15)의 측방에는 배수 박스(33)가 설치되고, 이 배수 박스(33)와 배수 재킷(15)은 배수 파이프(34)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또한, 배수 재킷(15) 내에는, 쌀 세척 탱크(4)의 탱크 본체(14)의 하단부 개구와 쌀 배출구(31)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재두 원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판(3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리판(36)은 물은 통과시키지만 쌀은 통과시키지 않는 작은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배수 재킷(15)으로부터 배수 박스(33)로 쌀뜨물이 작은 불순물과 함께 흐르도록 되어 있고, 또한 쌀뜨물 등은 배수 박스(33)로부터 배수구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수 박스(33) 내에는 배수 재킷(15)측으로부터 배수 박스(33)로의 유체의 침입구를 개폐 가능한 개폐 밸브(37)가 설치되고, 이 개폐 밸브(37)는 탱크 지지체(18)의 상면에 설치된 개폐 모터(38)에 의해 개폐 구동된다.
탱크 지지체(18)의 장착부(20)에는, 쌀 세척 탱크(4) 내에 물을 모아, 상기 물을 오버플로우시켰을 때에, 쌀 세척 탱크(4)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부(39)가 설치되고, 이 오버플로우부(39)는 세로 배수 파이프(40)를 통해 배수 박스(33)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쌀 세척 탱크(4)로부터 오버플로우된 물 및 불순물은, 배수 박스(33)로부터 배수구로 흐른다.
상기 케이스(10) 내의 쌀 저장 탱크(11)의 하방측은, 상기 교반 막대(25)를 구동시키는 교반 모터, 쌀 배출 밸브(26)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 상기 개폐 밸브(37)를 개폐시키는 개폐 모터(38)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되고, 이들은 탱크 지지체(18)의 상면에 장착 고정되어 있다.
쌀 저장고(3)의 케이스(10)의 전방벽 내측에는 취반기(1)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쌀 저장고(3)의 케이스(10)의 전방면에는 조작 패널(4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41)에는, 취반기(1)를 시동시키는 스타트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 외에, 상기 조작 패널(41)에 의해, 취반할 쌀의 양, 쌀의 세척 정도(가볍게 내지 정성들여)의 선정, 취사 정도(질게 내지 되게)의 선정, 취사 종류(통상의 백미, 현미, 찰밥, 죽 등)의 선정 등이 입력 가능하게 되고, 이 조작 패널(41)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의해 쌀 저장고(3) 내의 쌀이 계량되고, 세척되고, 물조절되어 취반되도록 자동 운전된다.
쌀 세척 탱크(4) 내에 투입된 쌀은 이하와 같이 하여 세척된다.
쌀 세척 탱크(4)의 상단부측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배수 재킷(15)으로부터 물을 배수하면서 교반 막대(25)를 회전시키는 세척 공정과, 물의 공급을 정지하고 교반 막대(25)를 회전시키는 일기 공정을 교대로 복수회 행하고(예를 들어, 세척 공정 3회, 일기 공정 2회), 마지막으로 배수 재킷(15)으로부터의 배수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교반 막대(25)를 회전시키면서 쌀 세척 탱크(4) 내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물과 함께 부유물을 쌀 세척 탱크(4)의 상부에 설치한 오버 플로우부(39)로부터 배출시키는 오버플로우 공정을 행한다.
오버플로우 공정이 종료되면, 배수 박스(33) 내의 개폐 밸브(37)를 개방하여 물을 배수하고, 그 후, 배수 박스(33) 내의 개폐 밸브(37)를 폐쇄하고 물조절수를 공급한다.
물조절수가 공급된 후, 쌀 배출 밸브(26)를 하강시킴으로써 세척한 쌀을 물조절수와 함께 밥솥(6)의 내솥으로 낙하 배출한다. 이때, 교반 막대(25)를 회전시키면서 쌀과 물조절수를 배출한다. 교반 막대(25)를 회전시킴으로써 와류가 발생하여, 이 와류에 의해 쌀과 물조절수를 한 번에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탱크 본체(14)의 깔때기부(17)의 내면은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탱크 본체(14)의 내면이 거칠면 저항 등에 의해 쌀 배출된 후에 탱크 본체(14) 내면에 잔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탱크 본체(14)의 내면의 면 조도를 높이고 있지만, 그렇게 하면 쌀 세척시에 있어서(세척 공정, 일기 공정시에 있어서), 쌀이 교반 막대(25)와 함께 회전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세척 공정, 일기 공정시에 쌀이 교반 막대(25)와 함께 회전해 버리면, 쌀 세척 정밀도가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14)[쌀 세척 탱크(4)]의 내면에, 세척 공정, 일기 공정시에 있어서, 탱크 본체(14) 내에서 쌀이 교반 막대(2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리브(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42)는 수지에 의해 탱크 본체(14)에 일체 성형되어 있어, 탱크 본체(14)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탱크 본체(14)의 직경 내측으로 일체적으로 연장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42)를 탱크 본체(14)와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여 상기 탱크 본체(24)의 내면에 접착해도 좋다.
또한, 상기 리브(42)는 상하 방향에 관하여 긴 볼록조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예에서는 탱크 본체(14)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하 방향의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리브(42)는 탱크 본체(14)의 상단부측으로부터 깔때기부(17)의 상하 방향 중도부에 걸쳐[원통부(16)와, 깔때기부(17)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깔때기부(17)의 하부에는 리브(42)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리브(42)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연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예에서는 탱크 본체(14)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예의 자동 취반기(1)에 있어서는, 쌀 세척 탱크(4)는 5되의 쌀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고, 리브(42)는 탱크 본체(14)에 2되의 쌀이 들어가는 2되 라인(AA)[탱크 본체(14)에 2되의 쌀을 넣은 경우의 쌀의 집합체의 상면의 라인]까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42)의 하단부는, 2되 라인(AA)의 약간 하측 또는 약간 상측[2되 라인(AA)의 부근]이라도 좋다[2되 라인(AA) 부근으로부터 상측에 리브(42)를 설치함].
또한, 도시예의 리브(42)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쌀 세척 탱크(4) 직경 내측으로 볼록해지는 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리브(42)의 정상부(42a)는 탱크 본체(14)의 직경 내측으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단면 산 형상의 리브(42)의 경사부에는, 탱크 본체(14)의 직경 내측으로부터 탱크 본체(14)의 내면측을 향해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라운딩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쌀 세척시에 있어서, 쌀이 리브(42)에 닿은 경우의 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브(42)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 형상, 정삼각형이나 부등변 삼각형 등의 삼각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구성의 쌀 세척 탱크(4)에 있어서는, 상기 리브(42)를 설치함으로써, 세척 공정, 일기 공정시에 있어서, 쌀이 교반 막대(25)의 회전 방향에 저항하는 저항을 부여할 수 있어, 쌀이 교반 막대(2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쌀이 탱크 본체(14) 내면과 교반 막대(25)의 회전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교반 막대(25)에 의한 쌀의 교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쌀 세척 성능(쌀 세척 정밀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교반 막대(25)에 의해 쌀을 교반할 때에 있어서 리브(42)가 저항이 되므로, 리브(42)에 의한 교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최장의 가로 레버부(25a)를 갖는 교반 막대(25)의 가로 레버부(25a)가 리브(42)에 가장 접근하였을 때에 있어서, 상기 가로 레버부(25a)의 연장 단부와 리브(42) 사이에서 쌀이 으깨지지 않도록 최장의 가로 레버부(25a)가 리브(42)에 가장 접근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레버부(25a)의 연장 단부와 리브(42) 사이의 간극을 쌀이 충분히 통과하는 간격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리브(42)를 쌀 세척 탱크(4)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하 방향의 직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쌀을 배출시킨 후에, 리브(42)에 쌀이 남을 우려는 없다. 또한, 리브(42)를 탱크 본체(14)와 용이하게 일체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리브(42)는 탱크 본체(14)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동시 회전 억제 효과는 크지만, 리브(42)를 깔때기부(17)의 하부까지 설치하면, 쌀이 배출된 후에 탱크 본체(14)의 하부측에 잔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세척한 쌀을 물조절수와 함께 배출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교반 막대(25)를 회전시켜 와류를 일으키면서 쌀 배출시키지만, 깔때기부(17)의 하부는, 깔때기부(17)의 상부에 비해 공간이 좁으므로, 리브(42)에 의한 영향은 크고[리브(42)에 의한 동시 회전 억제 효과는 크고], 물의 배출에 대해 쌀의 배출이 지연됨으로써 탱크 본체(14)의 내면에 잔미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깔때기부(17)의 하부에 있어서는 리브(42)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쌀 배출시에 쌀을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원통부(16) 및 깔때기부(17) 상부는 공간이 넓기 때문에, 쌀 배출 동작에 대한 리브(42)의 영향은 적으므로 문제는 없다.
또한, 2되 미만의 쌀을 세척하는 경우는 리브(42)에 의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지만, 2되 정도의 쌀이면 함께 회전하는 문제는 없다. 이것은, 2되 정도이면, 쌀 전체의 중량이 비교적 가벼운 것, 또한 쌀 세척 탱크(4)의 하단부측에는 분리판(저항이 되는 것)이 있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리브(42)는 탱크 본체(14)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하 방향의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브(42)가 탱크 본체(14)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즉, 리브(42)는 나선 형상으로 됨].
이 경우, 리브(42)는 하방으로 감에 따라서 교반 막대(25)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하면, 동시 회전을 억제하는 면에서 좋다.
또한, 각 리브(42)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 연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하 방향에 관하여 단속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있어도 좋다[리브(42)를 상하 방향에 관하여 복수 설치해도 좋음]. 이 경우,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리브(42)를 탱크 본체(14)의 주위 방향에 관하여 위치 어긋나게 해도 좋다.
상기 리브(42)는, 도시예에서는 탱크 본체(14)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개 설치되어 있지만, 1개 또는 2개 내지 3개 혹은 5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한, 쌀이 교반 막대(25)와 동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탱크 본체(14)의 평면의 단면 형상이 다각형이 되도록 상기 탱크 본체(14)를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탱크 본체(14)의 내면의 코너 부분에 쌀겨 가루가 모여 청소가 어려워진다고 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쌀의 계량으로부터 취반까지를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 취반기(1)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을 쌀의 계량으로부터 세척한 쌀을 물조절수와 함께 쌀 세척 탱크(4)로부터 배출하는 자동 쌀 세척기에 채용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6, 도 17에 있어서, 쌀을 세척으로부터 취반까지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 취반기(1011)를 예시하고 있고, 이 자동 취반기(1011)는 쌀을 저장하는 쌀 저장 장치(1012)와, 이 쌀 저장 장치(1012)로부터 공급되는 쌀을 세척하는 쌀 세척 장치(101)와, 이 쌀 세척 장치(101)에서 세척된 쌀을 취반하는 밥솥(1013)과, 이 밥솥(1013)을 적재 또한 인출 가능하게 하는 롤러(1014)와, 상기 쌀 저장 장치(1012), 쌀 세척 장치(101) 및 롤러(1014)를 지지하는 기기 프레임(1015)을 구비하고 있다.
쌀 저장 장치(1012)는,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 쌀 저장 케이스(1016)와, 이 쌀 저장 케이스(1016) 내에 설치된 깔때기 형상의 쌀 저장 탱크(1017)와, 이 쌀 저장 탱크(1017)의 하부에서 계량 구동 기구에 의해 횡축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계량부(1019)를 갖는다.
쌀 저장 케이스(1016)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덮개(1016A)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쌀 세척 장치(101)의 상부와 구획하는 구획벽(1016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계량부(1019)는, 예를 들어 0.5되분의 쌀을 수납 가능한 회전 드럼(1019A)을 갖고, 이 회전 드럼(1019A)을 소요 횟수 회전시킴으로써, 쌀 저장 탱크(1017)로부터 소요량의 쌀을 계량하여 쌀 세척 장치(101)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쌀 세척 장치(101)는, 계량부(1019)로부터 투입된 쌀을 세척하는 쌀 세척조(103)와, 이 쌀 세척조(103)의 하부를 개폐하는 쌀 배출 밸브 기구(1021)와, 쌀 세척조(103) 내에서 쌀 및 쌀 세척수를 교반하는 교반구(102)와, 상기 쌀 세척조(103)로부터 배수하는 배수 기구(1022)와, 쌀 세척조(103) 내에 쌀 세척수, 물조절수 등의 급수를 행하는 급수 기구(1023)를 구비하고 있다.
쌀 세척조(103)는 상기 구획벽(1016B)과 일체 성형되어 있는 상부조(103U)와, 이 상부조(103U)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하부조(103D)와, 이 하부조(103D)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배수 재킷(103E)을 갖고, 상부조(103U)는 원통부뿐인 것에 대해, 하부조(103D)는 상부의 원통부(103A)와, 하부의 역원추 형상의 깔때기부(103B)를 일체적으로 갖는다.
또한, 상부조(103U)는 구획벽(1016B)과 별개로 형성하여 고착해도 좋고, 그 내주면은 원통부(103A)의 상부측을 형성하고 있다.
하부조(103D)의 원통부(103A)는 상부조(103U)에 연귀 맞춤(miter fitment) 금속 부재 등을 통해 착탈 가능하고, 깔때기부(103B)의 하부 개구에는 배수 재킷(103E)이 착탈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하부조(103D) 및 배수 재킷(103E)은 쌀 세척조(103) 내부의 메인터넌스를 위해 분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부조(103U)에는 회전 드럼(1019A)으로부터 쌀이 투입되는 투입구(1030)와, 쌀 세척수(쌀뜨물)의 수면측의 물이나 쌀 세척수 상에 부유하는 이물질 등의 불순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오버플로우부(1031)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배수 기구(1022)는 상기 배수 재킷(103E)과 오버플로우부(1031)에 파이프를 통해 접속된 배수 박스(1032)와, 배수의 배출ㆍ정지를 행하는 밸브 개폐 수단(1034)을 갖고, 상기 배수 박스(1032)에는 배수관이 접속되어 있다.
밸브 개폐 수단(1034)은 배수 박스(1032) 내에서 배수 재킷(103E)과의 연통구를 개폐하는 배수 밸브(1033)를 갖고, 이 배수 밸브(1033)는 밸브 개폐 수단(1034)에 의해 개폐되고, 배수 재킷(103E)으로부터의 배수의 배출ㆍ정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 재킷(103E)은 상하 방향의 축심을 갖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상단부 개구를 통해 하부조(103D)의 하단부 개구와 연통되고, 주위벽 부분은 필터(1039)를 갖는 동시에 배수 박스(1032)와 연통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세척된 쌀을 배출하는 쌀 배출구(10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 재킷(103E)의 쌀 배출구(1035)는 쌀 배출 밸브(103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어 있다. 이 쌀 배출 밸브(1036)는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끝이 좁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쌀 세척조(103)의 중심에 설치된 상하 방향의 밸브 막대(1037)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밸브 막대(1037)는 쌀 저장 케이스(1016)의 구획벽(1016B)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고, 구획벽(1016B)의 상면에 설치된 승강 수단(1038)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승강 수단(1038)에 의해 밸브 막대(1037)를 승강시킴으로써 쌀 배출 밸브(1036)가 상하 이동하여 쌀 배출구(1035)를 개폐한다.
상기 배수 밸브(1033)와 쌀 배출 밸브(1036)는, 쌀 세척시에는 양 밸브 모두 폐쇄되고, 쌀 세척수를 배수할 때에 배수 밸브(1033)가 개방되고, 쌀 세척 후의 쌀 및 물조절수를 밥솥(1013)에 공급할 때에는 배수 밸브(1033)가 폐쇄되고 또한 쌀 배출 밸브(1036)가 개방된다.
도 9 내지 도 17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 장치(101)의 교반구(102)는 상부의 원통부(103A)와 하부의 깔때기부(103B)를 갖는 쌀 세척조(103) 내에 세로 축심(S)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통축 형상의 회전축(104)과, 이 회전축(104)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8개의 교반 막대(10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조(103U)와 일체의 구획벽(1016B)에는 베어링부(104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베어링부(1040)에 회전축(10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회전축(104) 내에 상기 밸브 막대(1037)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04)의 상단부에는 기어(1041)가 고정되어 있고,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를 고착하는 통체와 회전축을 별개로 형성하여, 교반 막대(105)를 고착한 통체를 회전축에 끼워 맞춤 고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8개의 교반 막대(105)는 단면 원형 또는 타원형의 봉재로 형성되어 있고 교반 날개로 되어 있고, 쌀 세척조(103)의 원통부(103A)의 내주면(103A)에 가까운 2개의 대직경 막대(A)와, 세로 축심(S)에 가까운 1개의 소직경 막대(C)와, 상기 대직경 막대(A)와 소직경 막대(C) 사이의 직경이며 또한 서로 직경이 다른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를 갖는다.
도 9 내지 도 12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는 대략 동일 형상이며, 세로 축심(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P)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Q)과, 상기 가로 막대 성분(P)의 외측 단부와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세로 성분(R)을 갖고, 제1 대직경 막대(A1)는 제2 대직경 막대(A2)보다도 하단부의 길이가 약간 길게 되어 있다.
1개의 소직경 막대(C)는, 회전축(104)의 하단부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세로 축심(S) 및 밸브 막대(1037)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는 굴곡하여 직경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 쌀 배출 밸브(1036)의 외주면에서 평행하게 위치하는 경사 막대 성분(Ca)을 갖는다. 소직경 막대(C)는 그 직경 치수가 가로 막대 성분이 된다.
상기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는 중도부가 1개소에서 예각으로 굴곡되어, 대략 일본어「レ」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각 세로 축심(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P)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Q)을 갖는다.
상기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제1 중간 직경 막대(B1)로부터 제5 중간 직경 막대(B5)로 가로 막대 성분(P)의 길이가 순차 짧아지고 있고, 제1 중간 직경 막대(B1)의 가로 막대 성분(P)은 대직경 막대(A)와 대략 동등하다. 이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는 세로 성분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가로 막대 성분(P)과 경사 막대 성분(Q) 사이에 세로 성분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1, 제2 대직경 막대(A1, A2)는 회전축(104)의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여 배치되고, 양 대직경 막대(A1, A2) 사이를 등분하여 회전축(104)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제1, 제2 대직경 막대(A1, A2)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도 편위하여 배치되고,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제1, 제2 대직경 막대(A1, A2)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45도 편위하여 배치되고, 제5 중간 직경 막대(B5)는 상기 소직경 막대(C)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도 편위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8개의 교반 막대(105)는 회전축(104)의 주위면에 45도씩 편위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1 대직경 막대(A1)와 제1 중간 직경 막대(B1) 사이에 소직경 막대(C)가 위치하고, 제1 대직경 막대(A1)와 제2 중간 직경 막대(B2) 사이에 제3 중간 직경 막대(B3)가 위치하고, 제2 대직경 막대(A2)와 제1 중간 직경 막대(B1) 사이에 제4 중간 직경 막대(B4)가 위치하고, 제2 대직경 막대(A2)와 제2 중간 직경 막대(B2) 사이에 제5 중간 직경 막대(B5)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1, A2)와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는, 가로 막대 성분(P)의 기단부측이 회전축(104)에 관통하여 용착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제1, 제2 대직경 막대(A1, A2)와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는 회전축(104)의 축심 방향 동일 위치에 고착되고, 그들에 대해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는 상위에 고착되고, 제5 중간 직경 막대(B5) 및 소직경 막대(C)는 하위에 고착되어 있다.
단,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와 제5 중간 직경 막대(B5) 및 소직경 막대(C)를 축심 방향 동일 위치에 고착하거나, 중간 직경 막대(B3 내지 B5) 중 1개만을 제1, 제2 대직경 막대(A1, A2)보다 상위에 배치해도 좋다.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1, A2)의 세로 성분(R)과 경사 막대 성분(Q)은, 쌀 세척조(103)의 원통부(103A)와 깔때기부(103B)에 각각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고,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세로 성분(R)의 하단부]는 원통부(103A)와 깔때기부(103B) 사이의 굴곡점과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1, A2)의 경사 막대 성분(Q) 및 깔때기부(103B)의 세로 축심(S)에 대한 협각(θ1)에 대해,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는 대직경측으로부터 소직경측으로 차례로, 세로 축심(S)에 대한 경사 막대 성분(Q)의 협각이 θ2 내지 θ6으로 점차 작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협각(θ1 내지 θ6)의 각 각도차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높이(H)에 있어서의,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이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대직경 막대(A1, A2)와 중간 직경 막대(B1)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도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지만,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보다도 작아도 좋다.
또한, 협각(θ1 내지 θ6)의 각 각도차가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상단부 높이(H)보다 낮은 위치[즉, 경사 막대 성분(Q)의 중도 높이]에 있어서도 대직경 막대(A1, A2)와 중간 직경 막대(B1)의 직경 방향 간격 및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직경 방향 간격은 대략 동등해진다.
제1 중간 직경 막대(B1)는 가로 막대 성분(P)이 대직경 막대(A)와 대략 동등하지만 세로 성분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경사 막대 성분(Q)은 간격 L만큼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도 10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높이(H)에 있어서의 대직경 막대(A1, A2)의 경사 막대 성분(Q),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중심 위치의 회전 궤적을 부호 K로 표시하고 있고, 궤적(K)의 피치가 직경 방향 간격(L)이다.
상기 대직경 막대(A1, A2)의 경사 막대 성분(Q)과 쌀 세척조(103)의 깔때기부(103B)의 직경 방향 간격(W1)은, 상기 대직경 막대(A1, A2)와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직경 방향 간격(L)보다 작게 또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고, 제5 중간 직경 막대(B5)와 소직경 막대(C)의 직경 방향 간격(W2)은, 상기 직경 방향 간격(L)보다 크게 또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소직경 막대(C)는 중간 직경 막대(B)보다 가는 막대재가 사용되어 있지만, 동일한 것을 사용해도 좋고, 그 경우는 제5 중간 직경 막대(B5)와의 직경 방향 간격(W2)이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직경 방향 간격(L)에 보다 가까운 것이 된다.
상기 8개의 교반 막대(105)의 하단부 위치는, 소직경 막대(C)의 경사 막대 성분(Ca)이 가장 하위이며 깔때기부(103B)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다음에 제1 대직경 막대(A1)가 깔때기부(103B)의 하단부 근방까지 연장되고, 제2 대직경 막대(A2)로부터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순으로 하단부 위치가 점차 상위에 위치하고, 또한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하단부 위치는 점차 소직경 막대(C)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8개의 교반 막대(105)의 하단부 위치를 직경 외측 하방으로부터 직경 내측 상방으로 분산함으로써, 깔때기부(103B)의 하단부 근방에서의 교반 과다를 방지하면서, 쌀 및 쌀 세척수의 상승 동작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상기 8개의 교반 막대(105)가 회전축(104)에 가하는 모멘트는, 대략 180도 편위한 제1, 제2 대직경 막대(A1, A2)에서는 대략 상쇄되고,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에서는 그 직경 방향 치수 차분의 벡터의 힘(V1)이 발생하고,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에서도 그 직경 방향 치수 차분의 벡터의 힘(V2)이 발생하고, 제5 중간 직경 막대(B5)와 소직경 막대(C)의 사이에서도 그 직경 방향 치수 차분의 벡터의 힘(V3)이 발생한다.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높이(H)에 있어서의, 대직경 막대(A1, A2)의 경사 막대 성분(Q),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이 대략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힘(V1) 내지 힘(V3)은 대략 동등해져, 힘(V2)과 힘(V3)의 합성력은 힘(V1)보다 크지만 2배는 안 되고, 그 합성력에 힘(V1)이 대향하므로 힘(V2) 또는 힘(V3)보다도 작아진다. 이것은 힘(V1)과 힘(V2)의 합성력, 힘(V1)과 힘(V3)의 합성력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비틀림력(편력)은 힘(V1) 내지 힘(V3)의 각각보다 작아진다.
그리고 이것은, 그들이 회전축(104)에 가하는 회전 모멘트의 힘의 총합이 제5 중간 직경 막대(B) 단독의 회전 모멘트의 힘보다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회전축(104)에 제5 중간 직경 막대(B5)만 설치하여 교반구를 구성한 경우에, 그 제5 중간 직경 막대(B5) 단독의 회전 모멘트의 힘보다, 상기 8개의 교반 막대(105)의 회전 모멘트의 힘의 총합이 작아져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비틀림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 교반구(102)에 의한 쌀 세척조(103) 내에서 교반 작용을 설명한다.
교반구(102)를 쌀 세척조(103) 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그 내부에 공급되어 있는 쌀 및 쌀 세척수 내를 회전 운동한다. 8개의 교반 막대(105)는 원 궤적(K)을 이동하면서, 쌀과 접촉하고, 쌀끼리를 접촉시키고, 쌀 세척수를 유동시켜 쌀 세척한다. 2개의 대직경 막대(A1, A2) 및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경사 막대 성분(Q) 및 소직경 막대(C)의 경사 막대 성분(Ca)은 접촉하는 쌀 및 쌀 세척수에 상향의 움직임을 부여하여 그들을 상향 유동시켜, 쌀 세척조(103) 내에서 수평 와류동 뿐만 아니라 상하 유동도 행한다.
쌀 세척조(103) 내의 원 궤적(K)이 가장 긴 직경 외측에서는 2개의 대직경 막대(A1, A2)가 교반 동작을 하고, 또한 제1 중간 직경 막대(B1)의 상부도 그 교반을 보조하고 있고, 그보다 직경 내측에서는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가 직경 방향 균등 간격으로 회전하여, 직경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교반 작용을 한다.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1, A2) 및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경사 막대 성분(Q)에 의해 쌀 및 쌀 세척수에 상향의 움직임이 부여됨으로써, 쌀 세척조(103) 내의 쌀 및 쌀 세척수의 상면은 직경 내측이 직경 외측보다 솟아오르게 되고, 이 솟아오름 부분은, 가로 막대 성분(P)이 대직경 막대(A1, A2)보다도 상위에 위치하는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의 상부가 교반하여, 상하 방향으로도 구석구석까지 교반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형상 및 각각의 전후ㆍ좌우ㆍ상하의 위치 관계는, 도 9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재,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조합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대직경 막대(A)와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1 내지 B5)의 가로 막대 성분(P)은, 회전축(104)으로부터 직경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져 있어도 좋다.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를, 1개의 대직경 막대(A)와, 1개의 소직경 막대(C)와, 3개 내지 8개의 중간 직경 막대(B)로 구성하여, 그들을 회전축(104)에 주위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하거나, 2개의 대직경 막대(A)와, 1개의 소직경 막대(C)와, 5개 이외의 3개 내지 8개의 중간 직경 막대(B)로 형성하여, 그들을 회전축(104)에 주위 방향 등간격으로 배치해도 좋다.
대직경 막대(A) 및 중간 직경 막대(B)는, 세로 축심(S)에 대한 경사 막대 성분(Q)의 협각(θ)을 대략 동등하게 하거나, 또는 경사 막대 성분(Q)의 하단부 위치를 대략 동등하게 해도 좋다.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를, 가로 막대 성분(P)의 길이가 다른 4개 내지 10개의 중간 직경 막대(B)만으로 구성하고, 경사 막대 성분(Q)의 중도 높이에 있어서의 상기 중간 직경 막대(B)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해도 좋다.
4 : 쌀 세척 탱크
16 : 원통부
17 : 깔때기부
25 : 교반 막대
26 : 쌀 배출 밸브
31 : 쌀 배출구
42 : 리브
101 : 쌀 세척 장치
102 : 교반구
103 : 쌀 세척조
103A : 원통부
103B : 깔때기부
103a : 내주면
104 : 회전축
105 : 교반 막대
1011 : 자동 취반기
1012 : 쌀 저장 장치
1036 : 쌀 배출 밸브
A : 대직경 막대
B : 중간 직경 막대
C : 소직경 막대
L : 직경 방향 간격
P : 가로 막대 성분
Q : 경사 막대 성분
R : 세로 성분
S : 세로 축심
W : 직경 방향 간격
θ : 협각

Claims (12)

  1. 상부에 원통부(16)를 갖고 하부에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끝이 좁아지는 재두 원추형의 깔때기부(17)를 갖는 쌀 세척 탱크(4)를 구비하고, 이 쌀 세척 탱크(4)는 상단부측으로부터 쌀과 물이 공급 가능해지는 동시에 하단부측에 쌀 배출 밸브(2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는 쌀 배출구(31)를 구비하고, 상기 쌀 세척 탱크(4) 내에 배치된 교반 막대(25)를 종축 주위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쌀 세척 탱크(4) 내의 쌀을 세척하도록 한 쌀 세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쌀 세척 탱크(4)의 내면에, 쌀 세척시에 쌀이 교반 막대(25)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쌀 세척 탱크(4) 내면으로부터 쌀 세척 탱크(4)의 직경 내측으로 돌출되는 리브(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42)는 쌀 세척 탱크(4)의 상단부측으로부터 깔때기부(17)의 상하 방향 중도부까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42)는 쌀 세척 탱크(4)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하 방향의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부의 원통부(103A)와 하부의 깔때기부(103B)를 갖는 쌀 세척조(103) 내에 세로 축심(S)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04)과, 이 회전축(104)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는, 쌀 세척조(103)의 원통부(103A)의 내주면(103A)에 가까운 대직경 막대(A)와, 세로 축심(S)에 가까운 소직경 막대(C)와, 상기 대직경 막대(A)와 소직경 막대(C) 사이의 직경이며 또한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를 갖고,
    상기 대직경 막대(A)는 세로 축심(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P)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Q)과, 상기 가로 막대 성분(P)의 외측 단부와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세로 성분(R)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세로 축심(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P)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Q)을 갖고,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상단부 높이(H)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과 대직경 막대(A)에 가장 가까운 중간 직경 막대(B)의 경사 막대 성분(Q)과의 직경 방향 간격(L) 및/또는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과 쌀 세척조(103)의 깔때기부(103B)와의 직경 방향 간격(W1)을,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직경 방향 간격(L)보다 작게 또는 대략 동등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막대(A)의 경사 막대 성분(Q)을 쌀 세척조(103)의 깔때기부(103B)와 대략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대직경 막대(A)로부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순으로, 세로 축심(S)에 대한 경사 막대 성분(Q)의 협각(θ)을 점차 작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막대(A)로부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로 소직경 방향 순으로, 그들의 하단부 위치가 점차 상위에 위치하고, 또한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의 하단부 위치가 점차 소직경 막대(C)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직경 막대(C)의 상단부를 대직경 막대(A)의 가로 막대 성분(P)보다 하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 중 적어도 1개의 가로 막대 성분(P)을 대직경 막대(A)의 가로 막대 성분(P)보다 상위에 위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막대(A)는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여 2개 갖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직경이 큰 쪽으로부터 차례로 제1 내지 제5 중간 직경 막대(B)까지 5개 갖고,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와 5개의 중간 직경 막대(B)와 1개의 소직경 막대(C)를, 그들이 상기 회전축(104)에 가하는 회전 모멘트의 힘의 총합이 제5 중간 직경 막대(B) 단독의 회전 모멘트의 힘보다 작아지는 회전축(104) 주위 방향 위치에 배열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막대(A)는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여 2개 갖고,
    상기 복수개의 중간 직경 막대(B)는 직경이 큰 쪽으로부터 차례로 제1 내지 제5 중간 직경 막대(B)까지 5개 갖고,
    상기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2개의 대직경 막대(A)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도 편위하고 있고,
    상기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는 서로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대직경 막대(A)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45도 편위하고 있고,
    상기 제5 중간 직경 막대(B5)는 상기 소직경 막대(C)로부터 회전축(104) 주위 방향으로 대략 180도 편위하고, 또한 상기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도 편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04)에 가해지는, 상기 제1, 제2 중간 직경 막대(B1, B2)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과, 상기 제3, 제4 중간 직경 막대(B3, B4)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과, 상기 제5 중간 직경 막대(B5)와 소직경 막대(C)의 회전 모멘트의 차로부터 발생하는 힘은, 그들 힘을 합성하면, 상기 제5 중간 직경 막대(B5) 단독의 회전 모멘트의 힘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쌀 세척조(103) 내에 세로 축심(S)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회전 구동되는 회전축(104)과, 이 회전축(104)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 교반 막대(105)는, 세로 축심(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가로 막대 성분(P)과,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세로 축심(S)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막대 성분(Q)을 갖고 있고,
    상기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는 가로 막대 성분(P)의 길이가 다르고, 경사 막대 성분(Q)의 중도 높이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개의 교반 막대(105)의 경사 막대 성분(Q)의 직경 방향 간격(L)을 대략 동등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세척 장치.
KR1020100064283A 2009-07-06 2010-07-05 쌀 세척 장치 KR101192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59931A JP5256134B2 (ja) 2009-07-06 2009-07-06 洗米装置の撹拌具
JPJP-P-2009-159931 2009-07-06
JP2009268883A JP5461156B2 (ja) 2009-11-26 2009-11-26 洗米装置
JPJP-P-2009-268883 2009-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300A true KR20110004300A (ko) 2011-01-13
KR101192055B1 KR101192055B1 (ko) 2012-10-17

Family

ID=4343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283A KR101192055B1 (ko) 2009-07-06 2010-07-05 쌀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2055B1 (ko)
CN (1) CN1019404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045B1 (ko) * 2013-03-11 2014-05-1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쌀 세척 장치의 쌀 배출 밸브 장치
CN107536476A (zh) * 2017-10-23 2018-01-05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淘米装置及可淘米电饭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114B1 (ko) * 2011-10-04 2013-11-2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세미기
CN104939686A (zh) * 2014-03-28 2015-09-30 深圳市繁兴科技有限公司 一种烹饪物料搅拌装置及烹调设备
CN104013299A (zh) * 2014-06-27 2014-09-03 广东顺德金易厨电器有限公司 一种炒菜机内锅
CN108113523B (zh) * 2016-11-28 2021-01-15 李亚锐 一种智能烹调机及其烹调方法
CN106724870B (zh) * 2017-02-28 2023-05-23 深圳饭来科技有限公司 翻拌筋、翻拌机构以及烹饪机器人
CN107088006B (zh) * 2017-05-22 2019-01-11 宁波高新区甬航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家用淘米装置
CN108078367B (zh) * 2018-02-10 2023-06-02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一体式全自动控制电饭煲及其控制方法
CN110584448A (zh) * 2018-06-13 2019-12-2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无水洗米装置及其自动洗米的烹饪器具
CN112043168A (zh) * 2020-09-30 2020-12-08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煮饭设备用的自动洗米装置和自动煮饭设备
CN114950607A (zh) * 2022-05-26 2022-08-30 刘志华 一种耐盐碱水稻糙米精碾的智能型碾米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4765U (zh) * 1992-01-23 1992-12-16 曹强 新型多用淘米除砂器
JP3234510B2 (ja) * 1996-10-22 2001-12-04 株式会社クボタ 自動炊飯機
JP4042243B2 (ja) 1999-02-22 2008-02-06 井関農機株式会社 穀類洗浄用タンク
JP3706828B2 (ja) * 2001-12-17 2005-10-19 博治 清水 一釜炊飯システム用自動洗米装置
JP3834277B2 (ja) * 2002-08-30 2006-10-18 株式会社クボタ 洗米装置
JP4536617B2 (ja) 2005-07-27 2010-09-01 株式会社クボタ 洗米装置
JP4484783B2 (ja) 2005-08-01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洗米装置
JP4481223B2 (ja) 2005-08-02 2010-06-16 株式会社クボタ 洗米装置
WO2008149450A1 (ja) * 2007-06-07 2008-12-11 Yoshihiro Katayama 全自動式炊飯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045B1 (ko) * 2013-03-11 2014-05-1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쌀 세척 장치의 쌀 배출 밸브 장치
CN107536476A (zh) * 2017-10-23 2018-01-05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淘米装置及可淘米电饭煲
CN107536476B (zh) * 2017-10-23 2024-03-26 盐城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淘米装置及可淘米电饭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055B1 (ko) 2012-10-17
CN101940443A (zh) 2011-01-12
CN101940443B (zh)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055B1 (ko) 쌀 세척 장치
US9027370B2 (en) Fluid additive dispenser
US10508380B2 (en) Washing machine
CN106794434A (zh) 操作分批混合机的方法和用于实施该方法的分批混合机
KR100738642B1 (ko) 교반 장치
CN207227761U (zh) 洗衣机
CN108499969B (zh) 一种食材预处理筛选机
JP2013166984A (ja) 浸出槽
JP5461156B2 (ja) 洗米装置
JP2007038123A (ja) 洗米装置
CN209052974U (zh) 一种用于沥青混合料拌合的拌合装置
JP2015104475A (ja) 洗米機
JP5256134B2 (ja) 洗米装置の撹拌具
US10280550B2 (en) Fluid additive dispenser
JP2007029464A (ja) 洗米装置
CN108421433A (zh) 一种提高液体流动性的搅拌叶轮
CN108043262A (zh) 一种卧式搅拌机
CN210594326U (zh) 一种旋转加料组合秤
CN206139179U (zh) 反应釜
CN207546285U (zh) 一种番茄酱加工用搅拌装置
CN209237759U (zh) 一种搅拌容器
JP2005519743A (ja) 簡略化された層状清澄器およびその洗浄方法
CN111804645A (zh) 一种食品加工用原料清洗装置
CN106185369A (zh) 一种药粉均匀下料装置
CN109946186A (zh) 石墨基柔性接地体的冲刷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