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226A -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 - Google Patents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226A
KR20110000226A KR1020090057628A KR20090057628A KR20110000226A KR 20110000226 A KR20110000226 A KR 20110000226A KR 1020090057628 A KR1020090057628 A KR 1020090057628A KR 20090057628 A KR20090057628 A KR 20090057628A KR 20110000226 A KR20110000226 A KR 20110000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unit
refresh
count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6255B1 (ko
Inventor
황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5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255B1/ko
Priority to US12/649,459 priority patent/US8488404B2/en
Publication of KR20110000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1External triggering or timing of internal or partially internal refresh operations, e.g. auto-refresh or CAS-before-RAS triggered refres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4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using a sequential addressing device, e.g. shift register, coun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gital stor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2211/4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2211/406Refreshing of dynamic cells
    • G11C2211/4067Refresh in standby or low power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카운터제어신호 생성회로는 셀프리프레쉬 구간이 종료되는 구간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1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1 펄스신호 생성부; 리프레쉬 동작 구간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2 펄스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셀의 어드레스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한다.
셀프리프레쉬, 주기신호, 카운터

Description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COUNTER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REFRESH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리프레쉬 페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전화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모바일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모바일 제품에 장착되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의 전류 소모를 낮추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제품용 DRAM의 리프레쉬(refresh) 전류를 줄이는 것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중에서도 DRAM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이나 플레쉬 메모리(Flesh Memory)와 달리 시간이 흐름에 따라 메모리 셀에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일정 주기마 다 셀에 저장된 정보를 다시 기입해주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리프레쉬라고 한다. 리프레쉬는 뱅크 안의 각 셀들이 가지는 리텐션 타임(retention time)안에 적어도 한 번씩 워드라인을 활성화해서 데이터를 센싱하여 증폭시켜 주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리텐션 타임이란 셀에 어떤 데이터를 기록한 후 리프레쉬 없이 데이터가 셀에 유지될 수 있는 시간을 말한다.
리프레쉬에는 정상 동작 중 수행되는 오토리프레쉬와 파워다운모드 등의 상태에서 수행되는 셀프리프레쉬가 있다. 이 중 셀프리프레쉬는 커맨드 신호 등을 입력받은 커맨드디코더에서 생성되는 셀프리프레쉬 신호에 의해 수행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여 셀프리프레쉬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셀프리프레쉬 동작를 위해 셀프리프레쉬 커맨드(SREF CMD)가 입력되어, 셀프리프레쉬 신호(SELF)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면 셀프리프레쉬 오실레이터(미도시)는 주기신호(REF)의 펄스를 생성한다. 주기신호(REF)의 펄스가 생성될 때마다 카운터(미도시)는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 셀에 엑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ADD)를 순차적으로 카운팅한다. 따라서, 어드레스(ADD)에 의해 엑세스(acess)된 메모리 셀에 대한 리프레쉬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그런데, 셀프리프레쉬 동작이 종료(exit)되는 구간(X)에서 주기신호(REF)의 펄스가 불완전하게 생성되는 경우 어드레스(ADD)는 '0000'에서 '0001'로 카운팅되지만 셀프리프레쉬 신호(SELF)가 로우레벨로 천이되어 리프레쉬 동작이 중단된다. 이후, 구간(Y)에서 오토리프레쉬 커맨드(AREF)가 입력되어 다시 주기신호(REF)의 펄스가 생성되는 경우 어드레스(ADD)는 '0001'에서 '0010'으로 카운팅되기 때문에, 어드레스(ADD)가 '0001'일 때 엑세스되는 메모리 셀에 대한 리프레쉬 동작이 불완전하게 수행되어 리프레쉬 페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셀프리프레쉬 동작이 종료되는 구간부터 다음 리프레쉬 동작을 위한 주기신호의 펄스가 입력되는 구간까지 동일한 어드레스들에 엑세스되는 메모리셀 어레이에 대한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셀프리프레쉬 동작이 종료되는 구간에서 불완전하게 생성된 주기신호의 펄스에 의해 유발되는 리프레쉬 페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셀프리프레쉬 구간이 종료되는 구간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1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1 펄스신호 생성부; 리프레쉬 동작 구간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2 펄스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셀의 어드레스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카운터제어신호 생성회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셀프리프레쉬 구간에서 인에이블되는 셀프리프레쉬신호 및 리프레쉬 동작 구간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를 입력받아 카운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카운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카운팅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및 상기 어드레스카운팅신호로부터 상기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셀의 어드레스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리프레쉬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레쉬회로에 포함된 카운터제어신호 생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회로는 카운터제어신호생성부(1), 카운터(2) 및 어드레스출력부(3)로 구성된다. 여기서, 카운터(2)는 카운터제어신호(CNT_CON)의 하이레벨 펄스가 입력될 때마다 어드레스 카운팅신호들(CNT<1:N>)을 1비트씩 업카운팅한다. 어드레스출력부(3)는 리프레쉬 동작구간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REF)의 펄스가 인가될 때마다 어드레스 카운팅신호들(CNT<1:N>)을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셀 어레이에 엑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들(ADD<1:N>)로 출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제어신호생성부(1)는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 제2 펄스신호 생성부(11) 및 신호생성부(12)로 구성된다.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는 셀프리프레쉬신호(SELF)를 입력받아 반전지연시키는 제1 반전지연부(100)와, 셀프리프레쉬신호(SELF) 및 제1 반전지연부(10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제1 펄스신호(PUL1)를 생성하는 제1 논리부(101)로 구성된다. 여기서, 셀프리프레쉬신호(SELF)는 셀프리프레쉬 동작 구간 동안 하이레벨로 입력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는 셀프리프레쉬 동작이 종료되어 셀프리프레쉬신호(SELF)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하는 구간에서 제1 반전지연부(100)의 지연구간만큼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1 펄스신호(PUL1)를 생성한다.
제2 펄스신호 생성부(11)는 주기신호(REF)를 입력받아 반전지연시키는 제2 반전지연부(110)와, 주기신호(REF) 및 제2 반전지연부(1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여 제2 펄스신호(PUL2)를 생성하는 제2 논리부(1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기신호(REF)는 리프레쉬 동작(셀프리프레쉬 동작 및 오토리프레쉬 동작 포함)구간 동안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 펄스신호 생성부(11)는 리프레쉬 동작구간에서 주기신호(REF)의 펄스가 인가되는 구간, 즉, 주기신호(REF)에 포함된 펄스의 폴링에지(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에 동기하여 제2 반전지연부(110)의 지연구간 동안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2 펄스신호(PUL2)를 생성한다.
신호생성부(12)는 래치부(120), 버퍼부(121) 및 제3 논리부(122)로 구성된다. 래치부(120)는 SR(Set, Reset) 래치로 구성되어 제1 펄스신호(PUL1)를 셋신호로 입력받고 제2 펄스신호(PUL2)를 리셋신호로 입력받는다. 버퍼부(121)는 래치부(12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신호(INT)를 생성한다. 제3 논리부(122)는 주기신호(REF)의 펄스가 입력되는 구간에서 내부신호(INT)를 카운터제어신호(CNT_CON)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신호생성부(12)는 내부신호(INT)의 하 이레벨 펄스 또는 주기신호(REF)의 하이레벨 펄스가 입력되는 구간에서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카운터제어신호(CNT_CON)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카운터제어신호생성부(1)의 동작을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되, 어드레스가 4비트의 신호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1 구간에서 셀프리프레쉬 커맨드(SREF CMD)가 입력되면 셀프리프레쉬신호(SREF)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고, t3구간에서 셀프리프레쉬 종료 커맨드(SREF EXIT)가 입력되면 셀프리프레쉬신호(SREF)는 로우레벨로 디스에이블된다.
셀프리프레쉬신호(SREF)가 하이레벨인 구간, 즉 t1~t3 구간에서는 셀프리프레쉬 오실레이터(미도시)가 주기신호를 생성하는데, 셀프리프레쉬 종료 커맨드(SREF EXIT)에 의해 주기신호(REF)의 펄스가 불완전하게 생성되는 경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펄스신호 생성부(10)는 셀프리프레쉬신호(SREF)를 입력받아 셀프리프레쉬신호(SREF)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하는 구간, 즉, 셀프리프레쉬 동작이 종료되는 t3 구간에서 제1 반전지연부(100)의 지연구간만큼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1 펄스신호(PUL1)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 펄스신호(PUL1)의 펄스는 t3 구간에서 생성된다.
이때, 제2 펄스신호 생성부(11)는 주기신호(REF)의 펄스가 인가되는 구간, 즉, 주기신호(REF)에 포함된 펄스의 폴링에지(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에 동기하여 제2 반전지연부(110)의 지연구간 동안 로우레벨로 인에이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2 펄스신호(PUL2)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2 펄스신호(PUL2)의 펄스는 t2, t3, t5, t6 구간에서 생성된다.
다음으로, 래치부(120)는 제1 펄스신호(PUL1)를 셋신호로 입력받고, 제2 펄스신호(PUL2)를 리셋신호로 입력받아 래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t3 구간에서는 제1 펄스신호(PUL1)의 로우레벨 펄스 및 제2 펄스신호(PUL2)의 로우레벨 펄스가 동시에 입력되므로 래치부(120)는 하이레벨을 출력한다. 여기서, 래치부(120)의 출력신호가 하이레벨을 유지하는 상태는 제2 펄스신호(PUL2)의 로우레벨 펄스가 생성되는 구간까지 지속된다. 즉, t5 구간에서 오토리프레쉬 커맨드(AREF CMD)가 입력되어 제2 펄스신호(PUL2)의 로우레벨 펄스가 생성되는 경우 래치부(120)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한다. 따라서, 래치부(120)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부(121)는 t3 구간에서부터 t5 구간까지 하이레벨을 유지하는 내부신호(INT)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제3 논리부(122)는 주기신호(REF) 또는 내부신호(INT)가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카운터제어신호(CNT_CON)를 생성한다. 따라서, 카운터제어신호(CNT_CON)는 t3구간에서부터 t5 구간까지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운터제어신호생성부(1)는 주기신호(REF)의 하이레벨 펄스가 입력되는 구간뿐만아니라 셀프리프레쉬 동작이 종료되는 t3 구간부터 새로운 리프레쉬 동작에 의해 주기신호(REF)의 로우레벨 펄스가 생성되는 t5 구간까지 하이레벨을 유지하는 카운터제어신호(CNT_CON)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t3구간에서부터 t5 구간까지는 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된 상태를 유지하는 카운터제어신호(CNT_CON)에 의해 카운터(2)는 t3 구간에서 어드레스 카운팅신호(CNT<1:4>)의 업카운팅 동작을 수행한 후 더 이상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어드레스출력부(3)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들(ADD<1:4>)은 t3구간에서부터 t5구간까지 동일하게 '0001'로 유지된다. 따라서, t4구간에서, 오토리프레쉬 커맨드(AREF)가 입력되어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0001'인 어드레스들(ADD<1:4>)에 의해 엑세스되는 메모리셀부터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된다. 즉, 앞선 셀프리프레쉬 동작에서 '0001'인 어드레스들(ADD<1:4>)에 의해 엑세스되는 메모리셀에 대한 리프레쉬 동작이 불완전하게 종료되더라도 다음 리프레쉬 동작에서 다시 '0001'인 어드레스들(ADD<1:4>)에 의해 엑세스되는 메모리셀에 대한 리프레쉬 동작을 수행하므로, 리프레쉬 페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셀프리프레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레쉬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프레쉬회로에 포함된 카운터제어신호 생성부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운터제어신호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Claims (17)

  1. 셀프리프레쉬 구간이 종료되는 구간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1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1 펄스신호 생성부;
    리프레쉬 동작 구간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2 펄스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셀의 어드레스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카운터제어신호 생성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신호 생성부는
    셀프리프레쉬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지연시키는 반전지연부; 및
    상기 셀프리프레쉬신호 및 상기 반전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논리부를 포함하는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신호는 상기 셀프리프레쉬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구간부터 상기 반전지연부의 지연구간만큼 인에이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기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지연시키는 반전지연부; 및
    상기 주기신호 및 상기 반전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논리부를 포함하는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신호는 상기 주기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구간부터 상기 반전지연부의 지연구간만큼 인에이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부; 및
    상기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카운터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논리부를 포함하는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제1 펄스신호를 셋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제2 펄스신호를 리셋신호로 입력받는 SR 래치인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부는 상기 주기신호의 펄스가 입력되는 구간 또는 상기 버퍼부의 출력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구간에서 상기 카운터제어신호를 인에이블시켜 출력하는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9. 셀프리프레쉬 구간에서 인에이블되는 셀프리프레쉬신호 및 리프레쉬 동작 구간에서 생성되는 주기신호를 입력받아 카운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제어신호 생성부;
    상기 카운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어드레스카운팅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및
    상기 어드레스카운팅신호로부터 상기 리프레쉬 동작이 수행되는 메모리셀의 어드레스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리프레쉬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제어신호 생성부는
    상기 셀프리프레쉬 구간이 종료되는 구간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1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1 펄스신호 생성부;
    상기 주기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제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제2 펄스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펄스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운터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리프레쉬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셀프리프레쉬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지연시키는 반전지연부; 및
    상기 셀프리프레쉬신호 및 상기 반전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논리부를 포함하는 리프레쉬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펄스신호는 상기 셀프리프레쉬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구간부터 상기 반전지연부의 지연구간만큼 인에이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리프레쉬회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기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지연시키는 반전지연부; 및
    상기 주기신호 및 상기 반전지연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2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논리부를 포함하는 리프레쉬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펄스신호는 상기 주기신호가 디스에이블되는 구간부터 상기 반전지연부의 지연구간만큼 인에이블되는 펄스를 포함하는 리프레쉬회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인에이블되고, 상기 제2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디스에이블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부; 및
    상기 주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카운터제어신호로 출력하는 논리부를 포함하는 리프레쉬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제1 펄스신호를 셋신호로 입력받고, 상기 제2 펄스신호를 리셋신호로 입력받는 SR 래치인 리프레쉬회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부는 상기 주기신호의 펄스가 입력되는 구간 또는 상기 버퍼부의 출력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구간에서 상기 카운터제어신호를 인에이블시켜 출력하는 리프레쉬회로.
KR1020090057628A 2009-06-26 2009-06-26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 KR10109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628A KR101096255B1 (ko) 2009-06-26 2009-06-26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
US12/649,459 US8488404B2 (en) 2009-06-26 2009-12-30 Counter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refresh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628A KR101096255B1 (ko) 2009-06-26 2009-06-26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26A true KR20110000226A (ko) 2011-01-03
KR101096255B1 KR101096255B1 (ko) 2011-12-22

Family

ID=4338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628A KR101096255B1 (ko) 2009-06-26 2009-06-26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88404B2 (ko)
KR (1) KR101096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839A1 (en) 2011-02-23 2012-08-30 Rambus Inc. Protocol for memory power-mode control
KR20140082173A (ko) * 2012-12-24 2014-07-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어드레스 카운팅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641B1 (ko) 1994-10-06 1998-06-01 문정환 반도체 기억소자
KR100474551B1 (ko) 2003-02-10 2005-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셀프 리프레쉬 장치 및 방법
JP4381013B2 (ja) 2003-03-17 2009-12-09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529033B1 (ko) * 2003-05-23 2005-11-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772694B1 (ko) 2005-09-29 2007-11-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셀프리프레쉬모드를 갖는 멀티-포트 메모리 및 그의 구동방법
US7362640B2 (en) * 2005-12-29 2008-04-22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refreshing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cells
KR20090124506A (ko) * 2008-05-30 200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리프레쉬 회로를 가지는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에 따른 워드라인 액티베이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255B1 (ko) 2011-12-22
US8488404B2 (en) 2013-07-16
US20100329060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2169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25736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리프레쉬 제어 방법
US72924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freshing a DRAM device
KR20130024158A (ko)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반도체메모리장치의 리프레쉬 방법
US9520169B2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9176421A (ja) 半導体記憶装置
JP4837357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7154799B2 (en) Semiconductor memory with single cell and twin cell refreshing
KR20120075983A (ko) 반도체메모리장치
US6657920B2 (en) Circuit for generating internal addres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8159885B2 (en) Refresh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00095830A (ko) 글리치 프리 및 파워 세이빙 기능을 갖는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
US783518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096255B1 (ko) 카운터 제어신호 생성회로 및 리프레쉬회로
US8780661B2 (en) Self refresh pulse generation circuit
US716794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4339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freshing random access memory cells
US6822920B2 (en) SRAM-compatible memory device employing DRAM cells
CN116434800B (zh) 刷新电路及存储器
US9583172B1 (en) Self-refresh control device
KR101020289B1 (ko) 셀프리프레쉬 테스트회로
KR20060106343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로우 액티브 시간 제어회로
TWI449042B (zh) 半導體記憶元件之自我更新電路及其方法
US20160217846A1 (en) Semiconductor devices configured to generate a bank active signal
KR20030092556A (ko) 셀프 리프레쉬 동작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리프레쉬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