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765A -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8765A
KR20100138765A KR1020100057211A KR20100057211A KR20100138765A KR 20100138765 A KR20100138765 A KR 20100138765A KR 1020100057211 A KR1020100057211 A KR 1020100057211A KR 20100057211 A KR20100057211 A KR 20100057211A KR 20100138765 A KR20100138765 A KR 2010013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an
range
search
angular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고 요시즈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3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는 구동 제어부와 각도 위치 범위 설정부를 포함한다. 구동 제어부는 촬상부의 촬상 방향이 팬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기구부가, 팬 방향으로의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에서 수행되는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는 미리 설정된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각도 위치 범위 설정부는 제1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와는 다른 제2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도 위치 범위를 설정한다.

Description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MOVABLE MECHANICAL―SECTION CONTROLL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MOVABLE MECHANICAL SECTION, AND PROGRAM}
본 발명은, 촬상 장치가 배치되는 팬 헤드(pan head) 등의 가동 기구부를, 예컨대 피사체 탐색을 위하여 구동 제어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와,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268425호에는, 자동 트래킹 기구로서, 텔레비전 카메라를 수용한 원격 제어 팬 헤드 시스템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이러한 문헌에는 촬상 장치부와 팬 헤드의 조합에 의해 자동적으로 피사체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시스템 구성에 대해 논의되어 있다.
촬상부의 촬상 방향을 변경가능하도록 구성된 촬상 장치 또는 촬상 시스템에 의해 자동적으로 피사체의 탐지 또는 탐색을 행하는 경우에,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제어 수단 및 각도 위치 범위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구동 제어 수단은 촬상부의 촬상 방향이 팬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기구부가, 팬 방향으로의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에서 수행되는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는 미리 설정된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각도 위치 범위 설정 수단은 제1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와는 다른 제2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도 위치 범위를 설정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예컨대 피사체의 탐색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가동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된, 팬 방향으로의 미리 결정된 각도 위치 범위에서 수행되는 단위 팬 동작을 복수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팬 이동이 수행되는 이동 패턴에 따라 특정 팬 방향으로 탐색되어야 할 전체 범위가 탐색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탐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전보다도 피사체를 매우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촬상 장치인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간략한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및 배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팬 헤드를 도시하는 예시적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팬 헤드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장착된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팬 헤드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장착된 예를, 팬 방향으로의 이동예와 함께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팬 헤드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장착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팬 헤드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장착된 예를, 틸트 방향으로의 이동예와 함께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8은 팬 헤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에 대한 내부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0은 고려될 수 있는 피사체 탐색의 이동으로서, 팬 방향으로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고려될 수 있는 피사체 탐색의 이동으로서, 2차원 탐색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탐색 패턴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탐색 패턴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탐색 동작으로서, 유효 탐색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탐색 동작으로서, 유효 탐색 범위를 180°로 제한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탐색 동작으로서, 유효 탐색 범위를 90°로 제한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탐색 동작을 포함하는 자동 촬상 기록을 위한 제1 예의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a 및 도 18b는 제1 예의 알고리즘에서의 파라미터 설정 동작 및 탐색 화각 설정 제어 동작에 대한 처리 절차의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는 제1 예의 알고리즘에서의 파라미터 설정 동작의 변형예로서의 처리 절차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제1 예의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유효 탐색 범위 대응 범위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의 내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1 예의 알고리즘의 변형에 대응하는 유효 탐색 범위 대응 범위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의 내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의 (a) 내지 (c)는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의 제2 예에서의 기본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의 (a) 내지 (c)는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의 제2 예에서의 다른 기본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4의 (a) 및 (b)는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의 제2 예에서 유효 탐색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의 (a) 및 (b)는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의 제2 예에서 유효 탐색 범위를 제한하는 경우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하기의 순서의 이하의 항목에 따라 설명한다.
<1. 촬상 시스템의 구성>
[1-1. 전체 구성]
[1-2. 디지털 스틸 카메라]
[1-3. 팬 헤드]
[1-4. 촬상 시스템의 기능 구성예]
<2. 피사체 탐색 이동예 1>
<3. 피사체 탐색 이동예 2: 실시예에서의 2차원 탐색 패턴>
[3-1. 제1 예]
[3-2. 제2 예]
<4. 피사체 탐색 이동예 3: 실시예에서의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예 1>
[4-1. 회전 각도를 제한하지 않는 경우]
[4-2.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 유효 회전 각도 = 180°]
[4-3.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 유효 회전 각도 = 90°]
<5.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
[5-1. 기본예]
[5-1-1. 파라미터 설정의 변형예]
<6. 피사체 탐색 이동예 4: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예 2>
이하의 설명에서는, "픽쳐 프레임(picture frame)", "화각(angle of field)", "촬상 시야각" 및 "프레이밍(framing)"의 용어를 사용한다.
"픽쳐 프레임"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화상이 피팅되어 보이는 1 화면 상당의 영역 범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픽쳐 프레임은 수직으로 긴 직사각 형상 또는 수평으로 긴 직사각 형상인 외곽 형상을 갖는다.
"화각"이라는 용어는, "줌 각(zoom angle)"이라고도 불리며, 촬상 장치의 광학계에서의 줌렌즈들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픽쳐 프레임 내에 화상이 피팅되는 범위를 각도로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화각은 촬상 광학계의 초점 거리와, 상면(image surface) (이미지 센서 또는 필름)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초점 거리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요소를 화각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화각의 값을 초점 거리(예를 들어 환산값 35㎜)로 나타낼 수도 있다.
촬상 시야각은, 정위치에 놓여진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어 얻어진 화상이 픽쳐 프레임 내에 피팅된 범위에 대해서, 화각 이외에, 팬(수평) 방향의 회전 각도와, 틸트(수직) 방향의 각도(앙각, 부각)에 의해 결정된다.
"프레이밍"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촬상 시야각에 의해 결정된 픽쳐 프레임 내의 피사체의 크기 설정에 기초한 배치 상태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원 발명에 기초하는 구조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이러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가 장착되는 팬 헤드를 포함하는 촬상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1. 촬상 시스템의 구성>
[1-1. 전체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배치되는 팬 헤드(10)를 포함한다.
우선, 도 1의 (a) 및 (b)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외관 예를 도시한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우선,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본체부(2)의 전방측에서의 렌즈부(21a)를 포함한다. 렌즈부(21a)는 촬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광학계로서 본체부(2)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본체부(2)의 상면에는 릴리즈 버튼(31a)이 설치되어 있다. 촬상 모드에서는 렌즈부(21a)에 의해 촬상된 화상(촬상 화상)이 화상 신호로서 생성된다. 이러한 촬상 모드에서 릴리즈 버튼(31a)이 조작되면, 이러한 조작 타이밍에 얻어진 촬상 화상이,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 매체에 기록된다. 즉, 사진이 촬영된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그 배면에 디스플레이 화면부(33a)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화면부(33a)에는, 촬상 모드 시에, 예를 들면 스루(through) 화상이라 불리는 화상으로서, 이 때에 렌즈부(21a)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 화면부(33a)에는, 재생 모드 시에,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부(33a)에는, 유저에 의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 상에서 수행된 조작에 따라,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대한 조작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화면부(33a)의 조합이다. 이에 의해, 유저는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화면부(33a)를 터치함으로써, 적절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촬상 장치)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로서 기능하는 촬상 장치부와, 이하에 설명될 팬 헤드(10)로서 기능하는 가동 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저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1)만을 사용하더라도, 통상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같이 사진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팬 헤드(10)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각각의 외관으로서, 팬 헤드(10) 상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적절히 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그 정면도이며, 도 4는 그 평면도이며, 도 5는 그 측면도이고, 도 6은 틸트 기구의 가동 범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헤드(10)는 일반적으로 접지대부(15) 상에 본체부(11)가 결합되며, 본체부(11)에 카메라 받침대부(12)가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팬 헤드(10) 상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배치하려고 할 때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바닥면을, 카메라 받침대부(12)의 상면 상에 배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카메라 받침대부(12)의 상면에는 돌기부(13)와 커넥터(1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본체부(2)의 하면에는, 돌기부(13)와 결합되는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카메라 받침대부(12) 상에 적절히 배치되면, 구멍부와 돌기부(13)가 서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팬 헤드(10)의 통상의 패닝(panning)/틸팅이 발생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팬 헤드(10)로부터 옮겨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하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도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받침대부(12) 상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적절히 배치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커넥터와 팬 헤드(10)의 커넥터(14)가 서로 접속되어, 적어도, 이들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14)와 돌기부(13)는 실제로 카메라 받침대부(12)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바닥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어댑터를 사용함으로써, 팬 헤드(10)와 통신 가능한 상태의 다른 기종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카메라 받침대부(12)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와 카메라 받침대부(12)와의 통신은 무선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팬 헤드(10) 상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는, 팬 헤드(10)로부터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충전되는 구조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화상 신호(예컨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서 재생되는 화상의 화상 신호)를 팬 헤드(10) 측으로 전송하여, 팬 헤드(10)로부터, 예컨대 케이블이나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 모니터 장치로 출력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즉, 단순히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촬상 시야각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크래들(cradle)로서 팬 헤드(10)를 사용하여도 좋다.
촬상 시야각은 정위치에 배치된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어 얻어진 화상이 픽쳐 프레임 내에 피팅되는 범위에 대해서, 화각 이외에, 팬(수평) 방향의 회전 각도와, 틸트(수직) 방향의 각도(앙각, 부각)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으로, 팬 헤드(10)에 의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팬 방향 및 틸트 방향의 기본적인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팬 방향의 기본적인 이동은 다음과 같다.
팬 헤드(10)가, 예컨대 바닥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접지대부(13)의 바닥면이 접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본체부(11)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팬 헤드(10) 상에 배치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촬상 시야각은 좌우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변화된다. 즉, 패닝 이동이 행해진다.
또한, 이러한 경우의 팬 헤드(10)의 팬 기구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모두에 대하여 360°이상 제한 없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팬 헤드의 팬 기구에서는, 팬 방향의 기준 위치가 정해져 있다.
여기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기준 위치를 0°(360°)로 하여, 팬 방향을 따른 본체부(11)의 회전 위치, 즉, 팬 위치를 0°~ 360°로 나타낸다.
다음으로, 팬 헤드(10)의 틸트 방향으로의 기본적인 이동은 이하와 같다.
틸트 방향의 이동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앙각 및 부각의 양방향으로 카메라 받침대부(12)를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여기서, 도 5는 카메라 받침대부(12)가 틸트 기준 위치 Y0(0°)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부(21a) (광학계부)의 촬상 광축과 일치하는 촬상 방향 F1과, 접지대부(13)가 접지되는 접지면부 GR가 서로 평행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받침대부(12)는 우선, 앙각 방향으로 회전축(12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틸트 기준 위치 Y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대 회전 각도 +f°까지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받침대부(12)는 부각 방향으로도, 회전축(12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틸트 기준 위치 Y0(0°)로부터 미리 정해진 최대 회전 각도 -g°까지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카메라 받침대부(12)가 틸트 기준 위치 Y0(0°)를 기점으로서, 최대 회전 각도 +f°~ 최대 회전 각도 -g°의 범위에서 이동으로써, 팬 헤드(10) (카메라 받침대부(12)) 상에 배치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촬상 시야각은, 상하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서 변화하게 된다. 즉, 틸팅 동작이 수행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팬 헤드(10)의 외관 구조는 일례일 뿐이다. 팬 헤드(10) 상에 배치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팬 방향 및 틸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른 물리적 구조 또는 구성이 사용되어도 좋다.
[1-2. 디지털 스틸 카메라]
도 7의 블럭도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실제적인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우선, 광학계부(21)는 미리 정해진 매수의 촬상용의 렌즈군(예컨대, 줌 렌즈, 포커스 렌즈를 포함함) 및 조리개 등을 포함한다. 광학계부(21)에 입사된 광을 촬상 광으로 하여 이미지 센서(22)의 수광면에 결상시킨다.
또한, 광학계부(21)는 예컨대 줌 렌즈들, 포커스 렌즈들 및 조리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부를 포함한다. 이들 구동 기구부의 동작은, 예컨대 제어부(27)에 의해 실행되는 줌(화각) 제어 동작, 자동 초점 조정 제어 동작, 자동 노출 제어 동작 등의 소위 카메라 제어 동작들에 의해 제어된다.
이미지 센서(22)는 광학계부(21)에 의해 얻어지는 촬상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소위 광전 변환을 행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22)는 광학계부(21)로부터의 촬상광을 광전 변환 소자의 수광면에서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강도에 따라 축적되는 신호 전하를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촬상 광에 대응한 전기 신호(촬상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이미지 센서(22)로서 사용되는 광전 변환 소자(촬상 소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실제로 사용될 수 있다. CMOS 센서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22)에 상당하는 디바이스(부품)로서, 이하에 설명되는 A/D 컨버터(23)에 상당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도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2)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는 A/D 컨버터(23)에 입력됨으로써,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24)에 입력된다.
신호 처리부(24)에서는, 예를 들어 1 개의 정지 화상(프레임 화상)에 상당하는 단위로, A/D 컨버터(23)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촬상 신호를 취득한다. 신호 처리부(24)에 의해 취득된 정지 화상 단위의 촬상 신호에 대해 미리 정해진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신호 처리부(24)는 1 매의 정지 화상에 상당하는 화상 신호 데이터인 촬상 화상 데이터(촬상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24)에 의해 생성된 촬상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정보로서 기억 매체(기억 매체 장치)인 메모리 카드(40) 상에 기록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1개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24)로부터 인코드/디코드부(25)로 출력한다.
인코드/디코드부(25)는 신호 처리부(24)로부터 출력된 정지 화상 단위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정지 화상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한 압축 부호화를 수행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제어부(27)의 제어 동작에 따라 헤더 등을 부가하여, 인코드/디코드부(25)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압축된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미디어 컨트롤러(26)로 전송한다. 제어부(27)의 제어 동작에 따라, 미디어 컨트롤러(26)는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40)에 기입하여 기록시킨다. 이 경우의 메모리 카드(40)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규격을 따른 카드 형식의 외형 형상을 갖고, 내부에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반도체 기억 소자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이다.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억 매체는 상술한 메모리 카드 이외의 다른 종류의 기억 매체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사체 검출 동작으로서의 화상 처리 동작을 실행하도록 형성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신호 처리부(24)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3)에 의해 화상 디스플레이 동작을 실행시킴으로써, 소위 스루 화상(현재 촬상중인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24)는, 상술된 바와 같이, A/D 컨버터(23)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를 취득하여 1 매의 정지 화상 상당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동작을 계속 함으로써, 동화상의 프레임 화상에 각각 상당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생성된 촬상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27)의 제어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2)에 전송한다. 이에 의해, 스루 화상의 디스플레이가 행해진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24)로부터 입력되는 촬상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33)로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3)에는 정지 화상 단위의 촬상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들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화상들의 순차적인 디스플레이를 유저가 본다면, 이 때 촬상된 화상들이 디스플레이부(33) 상에 다이내믹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즉, 스루 화상들이 디스플레이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메모리 카드(40)상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으며, 그 화상을 디스플레이부(33) 상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7)가 화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미디어 컨트롤러(26)에 메모리 카드(40)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을 명령한다. 이 명령에 응답하여, 미디어 컨트롤러(26)는 지정된 화상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40) 상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판독을 실행하고, 판독된 데이터를 인코드/디코드부(25)로 전송한다.
인코드/디코드부(25)는, 예를 들어 제어부(27)의 제어 동작에 따라, 미디어 컨트롤러(26)로부터 전송된 촬상 화상 데이터로부터 압축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의 피사체 데이터를 추출하여, 1개의 정지 화상에 대응하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이후, 촬상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2)에 전송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3)에는, 메모리 카드(40)상에 기록되어 있는 촬상 화상 데이터의 화상이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디스플레이부(33)에는, 예컨대 스루 화상 및 화상 데이터의 재생 화상 이외에, 유저 인터페이스 화상(조작 화상)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이 때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제어부(27)가 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로서 기능하는 디스플레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2)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33)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상은, 예를 들어 특정 메뉴 화면과 같이, 모니터 화상 및 촬상 화상 데이터의 재생 화상과는 별도로 디스플레이부(33)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상은 모니터 화상이나 촬상 화상 데이터의 재생 화상의 일부와 중첩 또는 합성되도록 디스플레이되어도 좋다.
제어부(27)는, 실제로, 예컨대 CPU를 포함하며, 예컨대 ROM(28) 및 RAM(29)과 함께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성한다. ROM(28)에는, 예를 들어 제어부(27)로서의 CPU가 실행해야 할 프로그램 이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동작에 관련된 각종 설정 정보가 기억된다. RAM(29)은, CPU용의 주기억장치이다.
이 경우의 플래시 메모리(30)는, 예를 들어 유저 조작이나 동작 이력에 따라 변경(재기입)되는 각종 설정 정보 등을 기억시켜 두기 위해서 사용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으로서 설치된다. ROM(28)에 대해서,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30) 대신에 ROM(28)의 일부 기억 영역을 사용하여도 좋다.
조작부(31)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제공되는 각종 조작 소자(operating elements)와, 이들 조작 소자의 동작에 따른 조작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CPU에 출력하는 조작 정보 신호 출력 부재로서 도시된다. 제어부(27)는, 조작부(3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 정보 신호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유저 조작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동작이 실행된다.
팬 헤드와 사용가능한 통신부(34)는, 팬 헤드(10)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을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팬 헤드(10)에 장착한 경우에는, 팬 헤드와 사용가능한 통신부(34)는, 예를 들면 물리층 구조와, 이러한 물리층의 구조 위에 위치하는 소정층에 대응하는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리층 구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와 팬 헤드(10) 측의 통신부와의 사이에서의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한 통신 신호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2와 대응하여 고려해 보면, 이러한 물리층 구조로서, 커넥터(14)와 접속되는 커넥터부가 포함된다.
[1-3. 팬 헤드]
도 8의 블럭도는 팬 헤드(10)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 헤드(10)는 팬/틸트 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는 부재로서, 팬 기구부(53), 팬 모터(54), 틸트 기구부(56) 및 틸트 모터(57)가 포함된다.
팬 기구부(53)는 팬 헤드(10)에 장착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대해서, 도 4에 도시된 팬(수평 또는 좌우) 방향의 이동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이 기구의 이동은 팬 모터(54)가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틸트 기구부(56)는 팬 헤드(10)에 장착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대해서, 도 6에 도시된 틸트 방향(수직 또는 상하 방향)의 이동을 부여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이 기구의 이동은 틸트 모터(57)가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얻어진다.
제어부(51)는, 예를 들어 CPU, ROM, RAM이 서로 조합되어 형성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며, 팬 기구부(53) 및 틸트 기구부(56)의 이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1)가 팬 기구부(53)의 이동을 제어할 때에는, 제어부(51)는 팬 기구부(53)가 이동될 방향과 팬 기구부의 이동 속도를 지정하는 신호를 팬 구동부(55)에 출력한다. 팬 구동부(55)는 입력 신호에 대응한 모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모터 구동 신호를 팬 모터(54)에 출력한다. 이 모터 구동 신호는, 예를 들어 모터가 스텝핑 모터이면, PWM 제어에 대응한 펄스 신호가 된다.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해 팬 모터(54)가,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회전 방향 및 미리 정해진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그 결과, 팬 기구부(53)도, 팬 모터(54)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에 대응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틸트 기구부(56)의 이동을 제어할 때에는, 제어부(51)는 틸트 기구부(56)에 대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지정하는 신호를 틸트 구동부(58)에 출력한다. 틸트 구동부(58)는 입력 신호에 대응한 모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모터 구동 신호를 틸트 모터(57)에 출력한다. 이 모터 구동 신호에 의해 틸트 모터(57)가,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회전 방향 및 미리 정해진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그 결과, 틸트 기구부(56)도, 틸트 모터(57)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에 대응한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로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팬 기구부(53)는 로터리 인코더(회전 검출기) (53a)를 포함한다. 로터리 인코더(53a)는 팬 기구부(53)의 회전에 따라, 팬 기구부(53)의 회전 각도량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제어부(51)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틸트 기구부(56)는 로터리 인코더(56a)를 포함한다. 이 로터리 인코더(56a)도, 틸트 기구부(56)의 회전에 따라, 틸트 기구부(56)의 회전 각도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51)에 출력한다.
통신부(52)는 팬 헤드(10)에 장착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 내의 팬 헤드와 사용가능한 통신부(34)와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을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마찬가지로, 통신부(52)는 물리층 구조와, 이 물리층 구조 위에 위치하는 미리 정해진 층에 대응하는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리층 구조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통신부(34)와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하여 통신 신호를 교환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도 2에서는, 이러한 물리층 구조로서, 카메라 받침대부(12)의 커넥터(14)가 포함된다.
[1-4. 촬상 시스템의 기능 구조예]
다음으로, 도 9의 블럭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1) 및 팬 헤드(10)에 대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실현되는 기능 구조(시스템 구성)를 도시한다.
도 9에 있어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촬상 기록 블럭(61), 프레이밍 판정 블럭(62), 팬/틸트/줌 제어 블럭(63) 및 통신 제어 처리 블럭(64)을 포함한다.
촬상 기록 블럭(61)은 촬상 동작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화상 신호의 데이터(촬상 화상 데이터)로서 얻고, 이 촬상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실행하는 부재이다. 이 부재는, 예를 들어 촬상 동작을 위한 광학계와, 촬상 소자(이미지 센서)와,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촬상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회로와, 촬상 화상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입하여 기록(기억)시키기 위한 기록 제어/처리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의 촬상 기록 블럭(61)에서의 촬상 화상 데이터의 기록(촬상 기록)은 프레이밍 판정 블럭(62)의 지시 및 제어 동작에 의해 실행된다.
프레이밍 판정 블럭(62)에는, 촬상 기록 블럭(61)으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어 입력된다. 프레이밍 판정 블럭(62)은 촬상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우선 피사체 검출을 행하고, 최종적으로는 프레이밍 판정을 위한 동작을 실행한다. 이후, 판정된 프레이밍에 의해 얻어진 화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촬상 화상 데이터를 얻기 위한 프레이밍 매칭 제어 동작도 실행된다.
여기서, 프레이밍 판정 블럭(62)에 의해 실행되는 피사체 검출 동작(초기 얼굴 프레임의 설정을 포함함)은 도 7의 신호 처리부(2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4)에 의한 피사체 검출 동작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한 화상 신호 처리 동작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즉, DSP에 공급되는 프로그램 또는 지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레이밍 판정 블럭(62)에 의해 실행되는 얼굴 프레임의 수정, 프레이밍 판정 및 프레이밍 매칭 제어는, 제어부(27)로서 기능하는 CPU가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하는 동작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팬/틸트/줌 제어 블럭(63)은 프레이밍 판정 블럭(62)의 지시에 따라 판정된 최적 프레이밍에 대응하는 프레이밍 및 촬상 시야각이 얻어지도록, 팬/틸트/줌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프레이밍 매칭 제어로서, 예를 들어 판정된 최적 프레이밍에 따라 얻어져야 할 프레이밍 및 촬상 시야각을 팬/틸트/줌 제어 블럭(63)에 지정한다. 팬/틸트/줌 제어 블럭(63)은 지정된 프레이밍 및 촬상 시야각이 얻어지는 촬상 방향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향하게 하기 위하여, 팬 헤드(10)의 팬/틸트 기구의 이동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량에 대응하는 이동을 지정하는 팬/틸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판정된 적절한 화각을 얻기 위한 줌 위치를 제공하여, 이 줌 위치로 줌 기구를 설정하도록, 촬상 기록 블럭(61)에 포함되는 줌 기구를 제어한다.
통신 제어 블럭(64)은 팬 헤드(10)의 통신 제어 처리 블럭(71)과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부재이다. 팬/틸트/줌 제어 블럭(63)에 의해 생성된 팬/틸트 제어 신호는 통신 제어 처리 블럭(64)의 통신에 의해 팬 헤드(10)의 통신 제어 처리 블럭(71)으로 송신된다.
팬 헤드(10)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제어 처리 블럭(71) 및 팬/틸트 제어 처리 블럭(72)을 포함한다.
통신 제어 처리 블럭(7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통신 제어 처리 블럭(64)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재이다. 통신 제어 처리 블럭(71)은, 팬/틸트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팬/틸트 제어 신호를 팬/틸트 제어 처리 블럭(72)으로 출력한다.
팬/틸트 제어 처리 블럭(72)은, 예컨대 팬 헤드(10)의 마이크로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동작들 중의 팬/틸트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팬/틸트 제어 처리 블럭(72)은 입력된 팬/틸트 제어 신호에 따라, 팬 구동 기구부 및 틸트 구동 기구부(팬 구동 기구부 및 틸트 구동 기구부 모두 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최적 프레이밍에 따라 수평 시야각과 수직 시야각을 얻기 위한 패닝 및 틸팅이 수행된다.
여기서의 프레이밍 판정 블럭(6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피사체 검출 처리 동작을 실행한다. 팬/틸트/줌 제어 블럭(63)은 지시에 따라 피사체 탐색을 위한 팬/틸트/줌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 피사체 탐색 이동예 1>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와 팬 헤드(1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은, 팬/틸트/줌의 이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피사체를 탐색하고, 예를 들면 인물과 같은 주변 피사체를 검출한다. 피사체가 검출되면, 검출된 피사체에 대하여 프레이밍 설정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촬상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동 촬상 기록 동작에서는, 피사체 탐색 동작을 실행할 때에, 어떠한 탐색 이동을 수행할 것인가, 즉, 패닝/틸팅에 기인한 촬상 방향(촬상광축)의 이동 패턴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피사체 탐색 동작이 수행될 때의 고려될 수 있는 이동의 일례를 도시한다.
팬 방향의 이동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 탐색 회전 방향 RT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헤드(10)를 시계 방향으로 360°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제2 탐색 회전 방향 RT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헤드(10)를 반 시계 방향으로 360°회전시킨다. 이 예에서는, 팬 방향의 이동은 제1 탐색 회전 방향 RT1의 이동과, 제2 탐색 회전 방향 RT2의 이동이 조합된다.
여기서는, 틸트 방향의 이동의 조합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흰색 화살표 Sc1 내지 Sc9의 순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헤드(10)가 움직이는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피사체 탐색을 행한다.
우선, 여기에서는, 팬 헤드(10)가 임의의 팬/틸트 위치에 대응한 시작점 St에 위치된 상태에서 피사체 탐색을 개시한다. 이후, 팬 헤드(10)는, 화살표 Sc1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시작점 St로부터 팬 위치 360°(0°)/틸트 위치 +f°로 이동하여, 패닝/틸팅을 수행한다. 이러한 팬 위치 360°(0°)/틸트 위치 +f°는 피사체 탐색 동작의 기점(origin) (탐색 기점 P)이 된다. 도 4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팬 위치 360°(0°)/틸트 위치 +f°에서 촬상 방향 F1은 팬 방향으로는 팬 기준 위치쪽으로 향하고, 틸트 방향으로는 +f°의 앙각에 의해 상향으로 향한다.
다음으로, 팬 헤드(10)는 화살표 Sc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한다. 즉, 팬 헤드(10)는 틸트 위치 +f°를 유지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제2 탐색 회전 방향 RT2로의 이동에 의해 팬 위치 0°로 이동한다. 즉, 팬 헤드(10)는 반시계 방향으로 360°회전하여, 동일 팬 위치 360°(0°)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3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위치 0°(360°)에 있어서, 팬 헤드(10)가 틸트 위치 +f°로부터 틸트 위치 0°로 이동되도록 틸팅이 수행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은 팬 기준 위치에 대해 수평하게 된다.
다음으로, 팬 헤드(10)가 틸트 위치 0°의 상태에서, 화살표 Sc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탐색 방향 RT1으로 360°의 패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5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헤드(10)가 틸트 위치 0°로부터 틸트 위치 -g°로 이동하도록 틸팅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6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팬 헤드(10)가 틸트 위치 -g°인 상태에서, 제2 탐색 회전 방향으로 360°의 패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7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헤드(10)가 팬 위치 0°(360°)인 상태에서, 팬 헤드(10)가 틸트 위치 -g°로부터 틸트 위치 0°로 이동하도록 틸팅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위치 0°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탐색 회전 방향 RT1로 팬 헤드(10)가 360°회전되는 패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위치 360°(0°)가 유지된 상태에서, 팬 헤드(10)가 틸트 위치 0°로부터 틸트 위치 +f°로 이동되도록 틸팅을 수행한다.
화살표 Sc9에 따른 틸팅이 종료되면, 팬 헤드(10)가 탐색 패턴에 따라 완전히 일순(一巡)하게 된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팬 헤드(10)가 화살표 Sc2 내지 Sc9에 따라 완전히 일순하는 경우에는, 팬 방향으로의 정면(팬 기준 위치)에서의 수직 방향(+f°~ -g°)과, 상측(틸트 위치 +f°), 중앙(틸트 위치 0°), 하측(틸트 위치 -g°)에서의 360°방향을 커버하여 탐색된다.
이후에는, 마찬가지로, 화살표 Sc2 내지 Sc9에 대응하는 패닝 및 틸팅 이동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피사체가 검출된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프레이밍 매칭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촬상 기록 동작을 실행한다. 예컨대, 적절한 프레이밍을 사용하여 사진의 필요 매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검출된 피사체를 촬상하여 기록하였다면, 팬 헤드(10)는 탐색 기점 P인 팬 위치 360°(0°)/틸트 위치 +f°로 복귀되어, 화살표 Sc2 내지 Sc9로 나타낸 이동들을 포함하는 패턴에 따라 피사체 탐색 동작을 반복한다.
<3. 피사체 탐색 이동예 2: 실시예로서의 2차원 탐색 패턴>
[3-1. 제1 예]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된 탐색 패턴들을 개선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피사체 탐색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탐색 패턴을 제안한다. 그 제1 예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탐색 패턴에서는 수평 탐색 각α을 설정한다. 수평 탐색 각α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컨대 팬 방향으로의 이동 패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수평 탐색 각α은 360°이다.
도 12에 도시된 탐색 패턴에서는 수평 탐색 각α의 중앙 위치를 수평 중심 위치 H로서 취급한다. 이러한 수평 중심 위치 H는 0°이며, 팬 방향의 가동 범위는 +α/2° ~ 0°~ -α/2°로서 표현된다.
도 12에 도시된 탐색 패턴은 이하와 같다. 여기에서의 탐색 패턴의 구체적인 설명에서는, 수평 탐색 각 α를 360°로 설정한다.
여기서, 팬 헤드(10)가 시작점 St에 대응하는 임의의 팬 위치 및 임의의 틸트 위치에 있다면, 피사체 탐색을 개시한다. 이후, 팬 헤드(10)는, 흰색 화살표 Sc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위치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시작점 St으로부터 틸트 위치 +f°까지 틸트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시작점 St에 대응하여 위치된 팬 위치에서의 틸트 위치 +f°가 이러한 경우의 탐색 기점 P이다.
도 11에서는, 절대 위치, 즉 팬 위치 360°(0°)/틸트 위치 +f°를 탐색 기점 P으로서 규정한다. 이에 비하여, 도 12에서는, 시작점 St에 대응하여 위치된 팬 위치에서의 틸트 위치 +f°를 탐색 기점 P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탐색 기점 P의 팬 위치는 시작점 St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된다.
도 12에서 팬 헤드(10)가 탐색 기점 P에 이르면, 흰색 화살표 Sc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위치 +f°가 유지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수평 중심 위치 H(0°)로부터 -2α°까지 이동시키는 패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3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위치 +f°는 유지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팬 위치 -2α°로부터 다른 쪽의 한계인 팬 위치 +2α°까지 이동시키는 패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틸트 위치 +f°가 유지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팬 위치 +2α°로부터 수평 중심 위치 H(0°)까지 이동시키는 패닝을 수행한다.
수평 탐색 각α이 360°인 경우에, 화살표 Sc2 내지 Sc4로 나타낸 이동들은,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f°의 틸트 위치로 고정된 상태에서, 우선, 팬 헤드(10)는 수평 중심 위치로부터 반 시계 방향(제2 탐색 회전 방향 RT2)으로 회전하고, 다음에, 시계 방향(제1 탐색 회전 방향 RT1)으로 360°회전하고, 다음에, 반 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하여, 수평 중심 위치 H에 복귀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1개의 규정된 틸트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팬 방향의 탐색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화살표 Sc3로 나타낸 이동에 의해, 팬 헤드(10)가 시계 방향(제1 탐색 회전 방향 RT1)으로 360°의 한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화살표 Sc2와 화살표 Sc4로 나타낸 이동에 의해, 팬 헤드(10)가 마찬가지로 반 시계 방향(제2 탐색 회전 방향 RT2)으로 360°의 한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화살표 Sc2, Sc3 및 Sc4로 나타낸 이동들에 의해, 팬 헤드(10)가 팬 방향으로의 규정된 회전 각도 범위에서 완전히 일순한다. 예를 들어, 한쪽 방향의 이동에 의해 탐색이 실행되어도 좋지만,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는, 양방향 이동에 의해 탐색이 실행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피사체를 검출한다.
화살표 Sc2 내지 Sc4로 나타낸 동작들에 의해, 우선, 촬상 방향 F1이 상향인 채로 팬 헤드(10)가 틸트 위치 +f°에 있는 상태에서 팬 방향의 탐색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중심 위치 H(0°)는 유지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틸트 위치 +f°로부터 틸트 위치 0°로 이동시키는 틸팅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은 수직 방향으로 중앙(수평)을 향하게 된다.
여기서는, 화살표 Sc6, Sc7 및 Sc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Sc2, Sc3 및 Sc4로 나타낸 동작들에 의해 수행된 패닝과 마찬가지로 팬 헤드(10)의 패닝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이 수직 방향으로 중앙(수평)을 향한 상태에서 팬 방향의 1회의 양방향 이동에 의한 탐색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중심 위치 H(0°)는 유지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틸트 위치 0°로부터 틸트 위치 -g°로 이동시키는 틸팅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은 하방을 향하게 된다.
여기서는, 화살표 Sc10, Sc11 및 Sc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Sc2, Sc3 및 Sc4로 나타낸 이동들에 의해 수행된 패닝과 마찬가지로 팬 헤드(10)의 패닝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이 하방을 향한 상태에서 팬 방향의 1 양방향 탐색이 완료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탐색 패턴에서는, 우선, 피사체 탐색 개시 시에 얻어진 팬 위치가 그대로 탐색 기점 P의 팬 위치로 설정된다.
이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여기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배치된 팬 헤드(10)의 팬 위치가 팬 기준 위치가 아닌 상태에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다시 배치시켜, 피사체 탐색을 개시한다. 이러한 경우, 유저는 무의식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촬상 방향 F1이 거의 자신을 향하도록 팬 헤드(10)를 다시 배치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를 상정했을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탐색 기점 P의 팬 위치로 피사체 탐색 개시 시의 팬 헤드(10)의 팬 위치를 설정하면, 우선, 팬 헤드(10)를 다시 배치한 유저에 대해 바로 탐색 동작이 수행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비하여, 도 11에 도시된 경우에서는, 절대 위치로 설정된 탐색 기점 P에 팬 헤드(10)를 복귀시킨 다음 피사체 탐색을 개시하였다면, 팬 헤드(10)를 다시 배치한 유저가 탐색될 때까지, 보다 많은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상술된 것으로부터, 피사체가 되는 인물은 적어도 팬 방향에 있어서 탐색 기점 P에 대응하여 위치된 수평 중심 위치 H의 근방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탐색 패턴에서는, 수직 방향으로 촬상 방향 F1을 변경시키기 위해서 패닝을 수행할 때에는, 수평 중심 위치 H에서 수행된다.
본원의 발명자가 몇가지 상황을 상정해서 검토한 바, 촬상 방향이 위를 향할 경우에, 피사체가 되는 인물의 얼굴이 사진 프레임 내에 존재하여 검출될 확률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일반적인 경향으로서, 유저가 자동 촬영 기록 동작들을 위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배치된 상태의 팬 헤드(10)를 배치하려 했을 경우, 팬 헤드(10)가 배치되는 장소는 피사체가 되는 인물들로 둘러싸인 테이블인 경우가 많다. 피사체가 되는 인물이 주로 서 있는 상태라면, 예컨대 가슴으로부터 허리까지의 높이를 가지는 베이스(base)를 보다 많이 사용한다. 즉, 피사체가 되는 인물의 얼굴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보다 높게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탐색 패턴에서는, 팬 방향으로의 탐색 동작으로서, 예를 들어 우선 촬상 방향을 상향으로 하여 팬 방향으로 탐색하고(Sc2, Sc3, Sc4), 이후, 동일한 탐색을 중앙(수평 방향) (Sc6, Sc7, Sc8) 및 아래(Sc10, Sc11, Sc12)의 순으로 수행한다. 즉, 틸트 위치 고정에 의한 팬 방향의 각각의 탐색 동작을, 촬상 방향 F1이 상향의 상태로부터 순차적으로 하향의 상태가 되도록 틸트 위치들을 변경하면서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12에 도시된 탐색 패턴은 가능한 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피사체가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틸트 위치를 +f°, 0°, -g°의 세가지 각도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다. 두가지 이상의 각도로 고정된다면, +f°~ -g°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틸트 위치를 설정해도 좋다. 설정되는 복수의 틸트 위치도, 반드시 동일한 각도로 분할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촬상 방향 F1이 상향인 틸트 위치들 간의 분할 각도가 촬상 방향 F1이 하방인 틸트 위치들 간의 분할 각도보다 작게 되도록 분할 각도들을 변경해도 좋다.
[3-2. 제2 예]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탐색 패턴의 제2 예를 도시하며,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을 기초로 한 간략화된 패턴이다.
도 13에서도, 피사체 탐색 패턴에 따른 이동이 시작되면, 시작점 St에 대응하는 팬 위치를 수평 중심 위치 H로 설정하여, 화살표 Sc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중심 위치 H에서의 팬 헤드(10)를 틸트 위치 +f°까지 이동시키는 틸팅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은 상향이 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위치 +f°를 유지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팬 위치 -α/2°까지 180°이동하는 패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3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헤드(10)를 팬 위치 -α/2°로부터 팬 위치 +α/2°까지 360°회전하는 패닝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이 상향인 상태에서의 좌우 방향의 탐색이 완료된다. 화살표 Sc2 및 화살표 Sc3에 의해 나타내어진 이동들은 완전한 양방향 이동이 되지 않는다. 제1 예에서는, 각각 고정된 틸트 위치들에 대한 팬 방향의 이동들은 1회의 양방향 이동이 된다. 그러나, 제2 예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적어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 중 임의의 한 방향에 의한 한 방향의 탐색 동작이 수행되면, 1개의 고정 틸트 위치에서의 팬 방향의 탐색 동작은 완료한 것으로 취급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4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위치 +α/2°를 유지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틸트 위치 +f°로부터 틸트 위치 0°까지 이동시키는 틸팅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은 상향 상태로부터 중앙을 향한 상태로 변경 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5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위치 0°의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팬 위치 +α/2°로부터 팬 위치 -α/2°까지 360°이동시키는 패닝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이 수직 방향으로 중앙을 향한 상태에서 팬 방향의 탐색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6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위치 -α/2°에서, 팬 헤드(10)를 틸트 위치 0°로부터 틸트 위치 -g°로 이동시키는 틸팅을 수행하여, 촬상 방향 F1을 하향으로 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7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위치 -g°를 유지한 상태에서, 팬 헤드(10)를 팬 위치 -α/2°로부터 팬 위치 +α/2°까지 360°회전시키는 패닝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촬상 방향 F1이 하향인 상태에서의 팬 방향으로의 한 방향 탐색 동작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8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위치 +α/2°에서, 팬 헤드(10)를 틸트 위치 -g°로부터 틸트 위치 0°로 이동시키는 틸팅을 수행한다. 또한, 화살표 Sc9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위치 0°에서, 팬 헤드(10)를 팬 위치 +α/2°로부터 팬 위치 -α/2°까지 360°회전시키는 패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화살표 Sc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위치 -α/2°에서, 팬 헤드(10)를 틸트 위치 0°로부터 틸트 위치 +f°까지 이동시키는 틸팅을 수행한다. 또한, 화살표 Sc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틸트 위치 +f°에서, 팬 헤드(10)를 팬 위치 -α/2°로부터 수평 중심 위치 H(0°)까지 이동시키는 패닝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팬 헤드(10)는 탐색 패턴에 따라 완전히 일순하고, 팬/틸트 위치는 탐색 기점 P으로 복귀된다.
도 13과 도 12를 비교하면, 팬 헤드(10)가 완전히 일순된 후의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른 패닝/틸팅의 이동량은 도 12보다 도 13에서 더 적다. 이에 의해, 도 13에서의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완전히 일순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보다 단시간으로 피사체를 탐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는, 탐색 패턴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촬상 방향 F1의 수직 방향으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은 수평 중심 위치 H에서 행하는 것이 아니고, 팬 위치들 ±α/2°에서 행한다. 그러나, 본 실시에서는, 피사체가 존재하는 확률을 고려한 경우에, 수평 방향으로의 촬상 방향 F1보다도, 수직 방향으로의 촬상 방향 F1을 보다 중요하게 고려한다. 따라서, 도 12에서도, 좌우 방향의 탐색 동작은 도 13과 마찬가지로, 상, 중앙, 하의 순서로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예에서는,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완전히 일순시키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며, 실제 응용시에 탐색 성능이 만족스럽게 된다.
본 실시예의 탐색 패턴의 제1 예 및 제2 예로서, +α/2° 및 -α/2°과 실제의 팬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과의 대응은 역이어도 좋다. 즉, 도 12의 전번의 설명에서는, 예컨대 화살표 Sc2로 나타내는 도면의 평면에서의 좌측을 향한 팬 이동 방향은 반 시계 방향이며, 예컨대 화살표 Sc3로 나타내는 도면의 평면에서의 우측을 향한 팬 이동 방향은 시계 방향이다. 이에 비하여, 예컨대 화살표 Sc2에 의해 나타낸 팬 이동 방향은 시계 방향이어도 좋으며, 예컨대 화살표 Sc3에 의해 나타낸 팬 이동 방향은 반 시계 방향이어도 좋다.
<4. 피사체 탐색 이동예 3: 실시예로서의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 제1 예)>
[4-1. 회전 각도를 제한하지 않는 경우]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도 12 또는 도 13의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완전히 일순시키는 경우에, 팬 방향의 최대 이동 범위, 즉, 수평 탐색 각α은 360°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피사체 탐색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수평 탐색 각α을 360°보다 작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수평 탐색 각α(부분 각도 값)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탐색 패턴에 따른 탐색을 수행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 수평 탐색 각α을 분할한 피사체 탐색에서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탐색 패턴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탐색 패턴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효율적인 피사체 탐색 동작이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분할된 수평 탐색 각α 마다, 도 12에 도시된 실제 탐색 패턴이 적용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우선, 수평 탐색 각α을 분할한 피사체 탐색 동작의 가장 기본적인 예로서, 팬 헤드(10)의 팬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에 제한이 없는 탐색 동작 예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서는, 360°의 팬 각도를 4개의 부분 탐색 범위(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 즉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내지 제4 부분 탐색 범위 DV4로 분할한다. 여기에서, 4개의 부분 탐색 범위는 동일한 각도로 분할된다. 즉, 1개의 부분 탐색 범위가 갖는 팬 방향의 각도 범위는 90°이다. 또한,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내지 제4 부분 탐색 범위 DV4의 각각의 팬 방향의 각도 범위는 수평 탐색 각α에 상당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2 및 도 13의 각각에 도시된 탐색 패턴에서는, 수평 중심 위치 H는 피사체 탐색 동작의 개시 시의 팬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내지 제4 부분 탐색 범위 DV4의 각각의 수평 중심 위치 H는 90°간격으로, 0°~ 360°의 팬 각도 범위의 임의의 팬 위치에도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4에서는, 도시 및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수평 부분 탐색 범위 DV1의 수평 중심 위치 H를, 팬 기준 위치와 일치하도록 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내지 제4 부분 탐색 범위 DV4를 규정했을 경우의 피사체 탐색 동작의 이동들은 다음과 같다.
우선, 팬 헤드(10)는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의 팬 각도 범위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완전히 일순된다. 이 때, 도 12에서의 수평 중심 위치 H는 팬 위치 0°에 대응한다. 도 12에서의 +α/2°은 팬 위치 45°에 대응하고, 도 12에서의 -α/2°는 팬 위치 315°에 대응한다. 즉, 이 경우의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은 팬 위치 315°~ (0°) ~ 45°의 각도 위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완전히 일순시키면, 촬상 방향 F1이 팬 위치 90°가 되도록 팬 헤드(10)가 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팬 위치 45°는 도면에서와 같이 설정되고,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의 팬 각도 범위에서의 수평 중심 위치 H에 대응한다. 여기서, 팬 헤드(10)는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완전히 일순된다.
이후, 팬 헤드(10)는, 마찬가지로,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에서의 수평 중심 위치 H인 팬 위치 180°까지 이동하여,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완전히 일순된다. 다음으로, 팬 헤드(10)는 제4 부분 탐색 범위 DV4에서의 수평 중심 위치 H인 팬 위치 270°까지 이동하고, 제4 부분 탐색 범위 DV4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완전히 일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 제4 부분 탐색 범위 DV4의 순으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완전히 일순시킴으로써, 탐색 가능한 범위의 모두에 걸친 피사체 탐색 동작들이 완전히 일순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 제4 부분 탐색 범위 DV4의 순으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완전히 일순시키는 탐색 동작들을 반복한다.
상술된 탐색 동작들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에 포함되는, 예컨대 팬/틸트 위치에서 피사체가 발견되었다면, 예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의해 프레이밍 매칭 제어 동작이 수행되어 촬상 기록 동작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필요 매수분의 촬상 기록 동작이 완료되었다면, 팬 헤드(10)는 다음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로 이동하여 탐색 동작을 수행한다.
[4-2.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 유효 회전 각도 180°]
도 14에 도시된 예는 팬 헤드(10)의 팬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유효 탐색 범위(유효 가동 각도 범위))에 제한이 없는 경우에 대응한다. 이 경우에는, 도 14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촬상 시스템에 의해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팬 방향으로 360°이상 제한 없이 회전하여, 피사체를 탐색해서 촬상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실제의 사용을 고려한 경우, 상황에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제한 없이 회전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레스토랑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사용할 경우, 팬 방향으로 360°이상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회전시켜 피사체 탐색을 행하면, 다른 테이블에 있는 전혀 관계 없는 사람까지 촬상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가정에서, 텔레비전 수상기 앞에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을 배치하고, 텔리비전 수상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화상을 감상하고 있는 가족을 자동 촬영하려는 경우에, 촬상 시스템의 뒤 절반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촬영된다. 따라서, 촬상 시스템이 팬 방향으로 360°이상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회전시켜 피사체 탐색을 행하면, 그 탐색 동작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팬 헤드(10)가 피사체 탐색을 위하여 팬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최대 각도(유효 탐색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유저가 유효 탐색 범위를 제한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조작하여 설정 동작을 수행한다. 유저가 유효 탐색 범위를 제한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유효 탐색 범위의 각도를 복수의 선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임의의 수의 선택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는, 두가지의 선택, 즉 180°과 90°의 선택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는 유효 탐색 범위에 대해서 세가지의 선택, 즉 [1] 무제한, [2] 180°로 제한, [3] 90°로 제한의 선택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팬 헤드(10)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크래들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경우, 팬 헤드(10)에는, AC 어댑터, 영상 신호용 케이블 등이 접속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팬 헤드(10)의 배면측에는 AC 어댑터 단자나 영상 출력 단자 잭이 설치된다. 단자 잭에 플러그를 삽입한 경우, 유효 탐색 범위를 무제한으로 하면, 단자와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이 본의 아니게 끌려다니게 되어 방해가 된다. 따라서, 촬상 시스템은, 팬 헤드(10)의 대응 단자 잭에 어떤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는지 검지할 수 있고, 팬 헤드(10)의 대응 단자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다면 자동적으로 유효 탐색 범위를 180°또는 90°로 제한 및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5는 유효 탐색 범위 VL의 각도를 180°로 제한 및 설정했을 경우에 대응하는 부분 탐색 범위의 설정 예를 도시한다.
도 15에서는, 180°의 유효 탐색 범위 VL을, 3개의 범위, 즉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로 분할한다. 따라서,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의 수평 탐색 각α은 60°로 설정된다.
도 14에 도시된 부분 탐색 범위의 설정에 따라, 유효 탐색 범위 VL를 단순히 180°로 설정한 경우에는, 수평 탐색 각 α = 90°의 부분 탐색 범위를 2개 설정한다. 그러나, 유효 탐색 범위가 제한되면, 그 만큼 팬 방향으로 피사체를 탐색해야 할 범위는 좁아지기 때문에, 그 만큼 전체 탐색 가능 범위의 피사체 탐색을 완전히 일순하는 시간은 짧아진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유효 탐색 범위가 무제한일 경우의 탐색 시간이 실용상 문제 없을 정도로 짧아져 있으면, 유효 탐색 범위를 제한했을 때에는, 보다 세밀하게 피사체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효 탐색 범위 VL의 각도가 180°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탐색 범위의 수를, 2 보다 많은 3으로 하고, 1개의 부분 탐색 범위의 수평 탐색 각α을, 도 14의 경우보다도 작은 60°로 한다.
이 경우의 탐색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의 팬 각도 범위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완전히 일순시킨다. 이 때, 도 12에서의 수평 중심 위치 H는 팬 위치 0°에 대응하고, 도 12에서의 +α/2°은 팬 위치 30°에 대응하며, 도 12에서의 -α/2°는 팬 위치 330°에 대응한다.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완전히 일순시키면, 촬상 방향 F1이 팬 위치 +60°가 되도록 팬 헤드(10)가 팬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팬 위치 +60°는 이 경우의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의 팬 각도 범위에서의 수평 중심 위치 H에 대응한다. 따라서, 팬 헤드(10)는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 DV2에 따라 완전히 일순한다.
다음으로, 팬 헤드(10)는, 촬상 방향 F1이 팬 위치 +300°이 되도록 팬 방향으로 이동한다. 팬 위치 +300°는 이러한 경우의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의 팬 각도 범위에서의 수평 중심 위치 H에 대응한다. 따라서, 팬 헤드(10)는, 상기와 같이,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에서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을 따라 완전히 일순된다.
따라서,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의 순으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팬 헤드(10)를 일순시킴으로써, 전체 탐색 가능 범위의 탐색이 완전히 일순된다. 이후는, 상술된 탐색 동작을 반복한다.
예컨대, 상술된 탐색 동작 동안에,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에서 피사체가 탐색되었다면, 촬상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프레이밍 매칭 제어 동작을 수행한 후에 촬상 기록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예를 들어 필요 매수분의 촬상 동작이 완료되면, 팬 헤드(10)가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에서 이동하여 탐색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부분 탐색 범위의 이동들은 단순히 시계 방향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이 시계 방향으로 수행된다면, 도 15에 도시된 경우에는, 제3 부분 탐색 범위 DV3,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제2 부분 탐색 범위 DV2의 순으로 이동이 수행된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피사체는 피사체 탐색 동작 개시 시에 팬 위치의 방향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 탐색 동작 개시 시에 팬 위치를 수평 중심 위치 H로 하는 부분 탐색 범위로부터 피사체 탐색 동작을 개시한다.
[4-3.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 유효 회전 각도 90°]
도 16은 유효 탐색 범위 VL가 90°로 설정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부분 탐색 범위의 설정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90°의 유효 탐색 범위 VL에서, 90°의 수평 탐색 각α을 갖는 1개의 부분 탐색 범위 DV1을 설정한다. 이 경우의 탐색 동작에서는,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에서 도 12에 도시된 탐색 패턴에 따른 패닝/틸팅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이러한 탐색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경우에, 45°의 수평 탐색 각α을 갖는 2개의 부분 탐색 범위 DV가 90°의 유효 탐색 범위 VL에 설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30°의 수평 탐색 각α을 설정한 3개의 부분 탐색 범위를 설정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1개의 부분 탐색 범위 DV만을 설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하의 이유에 의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서조차 초점 거리가 28㎜ (환산값 35㎜) 이하의 광각 렌즈를 채용하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따라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렌즈의 광각단(wide-angle end)의 화각에 따라서는, 그다지 수평 탐색 각α을 작게 설정하여도, 중복되어 탐색되는 범위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진다. 오히려, 양호한 탐색 결과가 얻어지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의 이러한 예에서는,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유효 탐색 범위 VL이 90°로 설정되어 상당히 좁은 경우에는, 동일한 수평 탐색 각α을 갖는 1개의 부분 탐색 범위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예컨대 상술한 유효 탐색 범위가 180°인 경우에는, 예컨대 수평 탐색 각α을 45°또는 30°로 설정하는 대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탐색 각α를 60°로 설정한다.
<5. 실시예의 알고리즘>
[5-1. 기본예]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피사체 탐색 동작을 포함하는 자동 촬상 기록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기본예에 대해서,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흐름도는 피사체 탐색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의 제1 예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동작은, 도 9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각 기능부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실행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의 각각의 기능부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은, 도 7에 도시된 제어부(CPU) (27)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실행된 제어/처리 절차로 볼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들의 흐름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17에 도시된 동작이 개시될 때 까지, 유저의 조작 또는 팬 헤드(10)로의 케이블의 접속 유무 등의 검출 결과에 따라, 유효 탐색 범위가 [1] 무제한, [2] 180°로 제한, [3] 90°로 제한 중의 어느 하나의 조건으로 설정된다. 이후, 예컨대 유저 조작에 따라서 자동 촬상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는 트리거가 얻어지면, 제어부(27)는 단계 S101 이후의 절차를 실행한다.
우선, 단계 S101에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유효 탐색 범위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들로서, 수평 탐색 각α 및 부분 탐색 범위수 N을 설정한다.
제1 예에서의 단계 S101의 동작을 도 18a의 흐름도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유저의 조작 또는 팬 헤드(10)로의 케이블 접속의 유무에 따라 설정된 유효 탐색 범위를, 유효 탐색 범위 설정 정보로서, 예컨대 RAM(29)에 저장한다.
제어부(27)는, 도 18a의 단계 S201에서, 유효 탐색 범위 정보를 참조하고, 현재 설정되어 있는 유효 탐색 범위에 관한 설정 내용을 인식한다. 즉, 제어부(27)는 유효 탐색 범위가 [1] 무제한, [2] 180°로 제한 또는 [3] 90°로 설정되는지의 여부를 인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7)는, 단계 S202에서, 플래시 메모리(30) 또는 ROM(28)에 저장되어 있는 유효 탐색 범위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을 참조한다.
유효 탐색 범위들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의 내용은, 예컨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파라미터 테이블은 유효 탐색 범위들에 대해서, [1] 무제한, [2] 180°로 제한, [3] 90°로 제한의 각각의 조건에 대응하는 수평 탐색 각α 및 부분 탐색 범위수 N의 값을 포함한다.
제어부(27)는, 유효 탐색 범위들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로부터, 단계 S101에서 인식된 현재의 유효 탐색 범위의 설정에 대응하는 수평 탐색 각α 및 부분 탐색 범위수 N의 값을 취득한다. 이후, 단계 S203에서, 단계 S202에서 취득된 수평 탐색 각α 및 부분 탐색 범위수 N를, 현재의 자동 촬상 기록 동작에서의 피사체 탐색의 파라미터들로서 설정한다.
도 17에 도시된 단계 S102에서는, 변수 n에 1을 대입한다. 이후, 단계 S103에서는, 변수 m에 1을 대입하는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
변수 n은 부분 탐색 범위의 번호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 피사체가 검출되었다면, 그 검출된 피사체에 대하여 다른 프레이밍에 의한 촬상 기록 동작을 복수회(예컨대, 약 3회) 실행한다. 이후, 다음의 피사체 탐색을 수행한다. 변수 m은 검출된 피사체마다 수행된 촬상 기록 동작의 횟수를 나타낸다.
단계 S104에서는, 피사체 탐색용으로 규정된 화각이 설정되도록 줌 제어를 실행한다.
피사체 탐색용으로 규정된 화각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여기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광학계부(21)의 촬상 렌즈에 의해 얻어진 가장 넓은 화각(이하, 와이드 앵글단 각도(wide-angle-end angle)라 함)을 설정하는 것이 이용된다. 와이드 앵글단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렌즈에 의해 얻어지는 촬상 시야각 범위는 가장 넓어지므로, 그만큼 효율적으로 피사체 검출이 가능하다.
도 18b는 단계 S104로서, 피사체 탐색용의 화각으로서 와이드 앵글단 각도를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한다. 제어부(27)는, 단계 S301에서, 촬상 렌즈가 와이드 앵글단 각도로 설정되도록 줌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105에서는,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을 탐색하기 위한 팬/틸트 제어를 개시한다. 즉, 도 12 또는 도 13을 참조로 하여 상술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른 패닝/틸팅 이동이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에서 얻어지도록 팬/틸트 제어를 실행한다.
2차원 탐색 패턴을 위한 팬/틸트 제어로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일례로서, 예컨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제어부(27)(팬/틸트/줌 제어 블럭(63))은,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을 형성하는 화살표 Sc1 내지 Sc12에 따라 패닝 및 틸팅이 수행되도록, 예컨대 팬/틸트 이동 방향, 팬/틸트 이동량 및 이동 속도에 관한 지시를 팬 헤드(10)의 제어부(51)(팬/틸트 제어 처리 블럭(72))에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을 형성하는 화살표 Sc1 내지 Sc12에 대응하는 피사체 탐색용의 패닝/틸트 패턴을 저장시켜 둔다. 이후,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제어부(27)(팬/틸트/줌 제어 블럭(63))는, 예컨대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의 수평 중심 위치 H에 대응하는 팬 위치로 팬 헤드(10)가 이동하도록 팬 헤드(10)의 제어부(51)(팬/틸트 제어 처리 블럭(72))에 지시한다. 이후, 제어부(27)는 수평 탐색각 α을 지정하여,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른 피사체 탐색을 완전히 일순시키는 지시를 제공한다. 이러한 지시에 따라, 팬 헤드(10)의 제어부(51)(팬/틸트 제어 처리 블럭(72))는 저장되어 있는 2차원 탐색 패턴을 호출하여, 패닝/틸팅 구동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팬 방향으로의 가동 범위에서, 지정된 수평 탐색 각α에 대응한 각도로 패닝을 실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1)가 2차원 탐색 패턴을 위한 팬/틸트 구동 제어를 수행할 수 없을지라도, 예컨대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의 탐색을 명령하는 것만으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른 피사체 탐색 이동이 얻어질 수 있다.
단계 S105이 개시된다면,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에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른 팬/틸트의 이동이 얻어진 상태에서, 제어부(27)는 단계 S106에서 피사체가 검출되는 것을 대기한다.
따라서, 제어부(27)는 프레이밍 판정 블럭(62)(신호 처리부(24))에 의해 취해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사체 검출 동작을 실행한다. 피사체 검출 동작은, 예를 들어 얼굴 검출 기술을 사용하고, 각각의 검출된 피사체마다, 그 얼굴의 화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얼굴 프레임을 검출 결과로서 설정한다. 예컨대, 피사체수, 피사체 검출 시의 피사체 크기 및 픽쳐 프레임 내의 피사체 위치와 같은 피사체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는, 예컨대 얼굴 프레임 FR(face frames)의 수, 크기,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얼굴 프레임 FR이 설정됨에 따라, 이 단계에서는, 각각의 피사체의 중심(center of gravity) 또는 복수의 피사체의 전체 중심도 취득될 수 있다.
이 얼굴 검출 방법은 몇가지를 활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몇가지 방법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컨대 검출 정밀도 및 설계 난이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여기서, 단계 S106에서는, 피사체 검출 동작에 의해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에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피사체 탐색이 완전히 일순할 때까지, 적어도 1개의 피사체가 검출되는 것을 대기한다. 여기서, 피사체가 검출되었다고 판정되면, 단계 S107이후의 절차로 진행한다. 이에 비하여,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12로 진행한다.
단계 S107에서는, 프레이밍 판정 동작과, 이 프레이밍 판정 결과에 따른 프레이밍 매칭 제어를 실행한다.
피사체가 검출된 경우에, 얼굴 프레임 FR의 정보(위치, 크기 등), 각각의 피사체 중심 및 전체 중심, 나이, 성별, 얼굴 방향(속성으로서 검출됨)과 같은 피사체 정보가 검출된 피사체마다 얻어질 수 있다.
단계 S107에서는, 제어부(27)(프레이밍 판정 블럭(62))가 앞서 언급된 피사체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프레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프레이밍 판정 동작을 실행한다.
이 프레이밍 판정 동작에 의해, 피사체의 중심이 픽쳐 프레임 내의 적절한 위치에 있는지 여부 또는 줌 배율(피사체 크기의 확대율)이 결정된다. 이 프레이밍 판정 동작에 의한 프레이밍 판정 결과의 정보는, 예를 들어 팬/틸트/줌 제어 블럭(63)에 제공된다.
따라서, 팬/틸트/줌 제어 블럭(63)은 수신된 프레이밍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촬상 시야각을 얻기 위한 팬/틸트/줌 제어를 실행한다. 즉, 프레이밍 매칭 제어를 실행한다.
단계 S107에서 프레이밍 매칭 제어가 개시된 후에, 제어부(27)(프레이밍 판정 블럭(62))은 단계 S108에서, 실제로 그때의 촬상 화상 데이터의 화상으로 판정된 프레이밍이 단계 S107에서 판정된 프레이밍과 동일한지 여부(예컨대, 실제로 판정된 프레이밍이 특정 각도 이상으로 단계 S107에서 판정된 프레이밍과 유사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어부(27)는 프레이밍이 OK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검출된 피사체(대상)의 얼굴 표정으로서 적어도 웃는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이밍 판정 결과는, 예컨대 피사체가 웃는 얼굴인 것을 지정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식으로 피사체가 웃는 얼굴인 것의 지정이 프레이밍 판정 결과에 포함된다면, 단계 S108에서 프레이밍이 OK 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 피사체가 웃는 얼굴인지의 여부에 관한 검출 결과도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프레이밍 매칭에 필요한 이동량을 기초로 하여 팬/틸트/줌 구동 동작을 수행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을 대기한 후에도 프레이밍이 OK 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08에서 프레이밍이 OK가 아니라는 판정 결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112로 진행한다.
이에 비하여, 단계 S108에서 프레이밍이 OK 라는 판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109로 진행한다.
단계 S109에서는, 예를 들어 제어부(27)는 촬상 기록 블럭(61)에 촬상 기록 동작을 지시한다. 이러한 지시에 따라, 그때에 얻어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메모 리 카드(40) 상에 정지 화상 파일로서 기록한다. 단계 S109의 동작이 최후의 단계 S106에서 피사체의 검출에 따라 최초에 수행된 동작일 경우, 우선, 검출된 피사체에 대해서 1매째의 촬상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제어부(27)는, 단계 S110에서 변수 m에 대해 증분한 다음, 단계 S111에서 변수 m이 최대치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변수 m과 비교되는 최대치는 한번 검출된 피사체의 프레이밍을 변경하여 촬상 기록해야 할 횟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촬상 기록해야 할 횟수가 3회라면, 여기에서의 최대치는 3이 된다.
단계 S111에서, 변수 m이 최대치 이하이고,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아직, 검출된 피사체에 관한 규정 횟수분의 촬상 기록을 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107로 복귀되고, 다음 촬상 기록을 위한 프레이밍 판정 동작 및 프레이밍 매칭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이때의 프레이밍 판정 동작은 전회의 프레이밍 판정 동작과는 다른 프레이밍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프레이밍을 위한 피사체의 얼굴 방향을 전회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픽쳐 프레임 내의 피사체의 위치 및 크기를 변경하여 설정하여도 좋다. 전회 동작에서는 피사체가 웃는 얼굴이 아니어도 상관 없었지만, 금회에서는 피사체가 웃는 얼굴일 것을 조건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된 피사체마다 규정 횟수의 촬상 기록을 수행하면, 동일한 피사체의 다른 프레이밍에 의한 복수의 촬상 화상들을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번 검출된 피사체에 대해서는, 규정 횟수의 촬상 기록을 수행한다. 규정 횟수의 촬상 기록을 종료하면, 단계 S111에서 '예'의 판정 결과가 얻어지고, 처리는 단계 S112로 진행한다.
처리가 단계 S112에 이르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경우는,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에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피사체 탐색을 일순하여도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고, 단계 S106에서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이다. 다른 경우는, 피사체가 검출되어 프레이밍 매칭 제어를 실행하더라도 프레이밍이 OK 되지 않고, 단계 S108에서 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이다. 또 다른 경우는, 검출된 피사체에 대해서 규정 횟수의 촬상 기록이 완료하고, 단계 S111에서 판정 결과는 '예'인 경우이다.
이들의 어느 경우이더라도,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에 대한 탐색을 종료하고, 현재 범위를 다음 부분 탐색 범위로 이행하여도 좋다.
따라서, 제어부(27)는, 단계 S112에서 변수 n에 대해 증분한 다음, 단계 S113에서 변수 n이 부분 탐색 범위수 N보다 큰지의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단계 S113에서 변수 n이 부분 탐색 범위수 N 이하이고, 판별 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는, 아직, 모든 각각의 부분 탐색 범위에 대한 피사체 탐색이 완전히 일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103으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다음의 제n 부분 탐색 범위의 피사체 탐색이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개시된다. 다시, 단계 S104가 수행되는 경우, 그 전의 프레이밍 매칭 제어에 의해 줌 등이 행해지더라도, 탐색용의 화각(즉, 이 경우에는 텔레포토 단 각도(telephoto end angle))가 설정되도록 재설정된다.
이후, 단계 S113로부터 단계 S103로 복귀된 후의 동작들을 반복한 결과, 모든 각각의 부분 탐색 범위에 대해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른 피사체 탐색이 완전히 일순될 때의 특정 단계에서, 단계 S113에서의 '예'의 판정 결과가 얻어진다. 이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103으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로부터의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른 피사체 탐색이 다시 개시된다.
[5-1-1. 파라미터 설정의 변형예]
여기서는, 도 17에 도시된 단계 S101에서의 파라미터들(수평 탐색 각α, 부분 탐색 범위수 N) 설정의 변형예를 제시한다.
우선, 도 21에 도시된 내용을 가지는 유효 탐색 대응 범위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을, 도 20에 도시된 내용을 가지는 파라미터 테이블 대신에 사용한다.
도 21에 도시된 유효 탐색 대응 범위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에 서는, 광학계부(21)의 렌즈의 와이드 앵글단 각도에서의 화각 값(즉,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의 경우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의 경우의 각각에 대해, 유효 탐색 범위의 각각의 설정에 대한 수평 탐색 각 α 및 부분 탐색 범위수 N을 도시한다.
여기에서의 화각 값 γ은 초점 거리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어디까지나 일례이지만, 여기에서는, 렌즈의 화각 값 γ을, 25mm(초점 거리: 환산값 35mm) 이상 또는 25mm 미만으로 설정한다.
도 21에 도시된 유효 탐색 대응 범위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의 내용은 화각 값 γ이 25mm 이상의 경우에, 도 20의 내용과 동일하다.
이에 비하여, 화각 값 γ이 25mm 미만이며, 유효 탐색 대응 범위가 무제한이라면, 수평 탐색 각α가 120°인 경우에 부분 탐색 범위수 N는 3이다. 유효 탐색 대응 범위가 180°로 제한된다면, 수평 탐색 각α이 90°인 경우에 부분 탐색 범위수 N은 2이다. 유효 탐색 대응 범위가 90°로 제한된다면, 수평 탐색 각α이 90°인 경우에 부분 탐색 범위수 N는 1이다. 유효 탐색 대응 범위가 무제한일 경우와 유효 탐색 대응 범위가 180°로 제한된 경우의 수평 탐색 각α은, 화각 값 γ이 25mm 이상인 경우보다, 화각 값 γ이 25mm 미만인 경우에 보다 크다. 이에 따라, 부분 탐색 범위수 N는 감소된다.
이러한 식으로, 렌즈의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에 따라, 1개의 유효 탐색 범위에 대응하는 부분 탐색 범위수 N 및 수평 탐색 각 α을 변경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렌즈에 대해서는, 현재 넓은 화각을 가지는 렌즈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 렌즈의 화각이 매우 넓어질수록, 고정 위치에서 피사체를 탐색할 수 있는 범위도 증가된다. 이를 고려하면, 렌즈가 일정 이상의 화각을 가지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35mm 정도의 텔레포토 단 각도를 전제로 한 디폴트의 부분 탐색 범위수 N 및 수평 탐색 각α에서는, 부분 탐색 범위마다 중복되어 탐색되는 영역이 지나치게 많게 된다. 따라서, 피사체 탐색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변형예에서는, 일정치 이상의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을 가지는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 수평 탐색 각α을 통상보다 크게 취하고, 이에 따라 부분 탐색 범위 DV의 수도 삭감한다. 도 21에 도시된 예에서는, 유효 탐색 범위가 90°로 제한된 경우에는,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에 관계 없이, 수평 탐색 각α를 90°로 하고, 부분 탐색 범위수 N을 1로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이미 유효 탐색 범위가 90°의 비교적 좁은 범위로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수평 탐색 각α을 증대시키는 것은 특별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도 19에 도시된 흐름도는 파라미터 설정의 변형예에 대응하는, 도 17에 도시된 단계 S101의 처리 절차의 예를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된 단계 S401에서, 제어부(27)는, 도 18a에 도시된 단계 S201과 마찬가지로, 유효 탐색 범위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설정 유효 탐색 범위의 설정 내용을 인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7)는, 단계 S402에서, 광학계부(21)의 렌즈의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렌즈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설치되어 있다면, 렌즈의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의 값에 관한 정보는 플래시 메모리(30)나 ROM(28)에 보유된다. 렌즈가 교환 가능할 경우에는, 교환 가능한 렌즈가 자신의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의 데이터를 보유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제어부(27)가 교환 가능한 렌즈측의 CPU 등과 통신을 행함으로써,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를 취득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제어부(27)는, 도 21에 도시된 유효 탐색 대응 범위에 대한 파라미터 테이블을 참조한다. 이후, 단계 S402에서 취득된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과, 단계 S401에서 인식된 유효 탐색 범위의 설정에 대응되어 있는 수평 탐색 각 α 및 부분 탐색 범위수 N을 취득한다.
일례로서, 단계 S402에서 취득된 와이드 앵글단 각도 화각 값 γ이 24mm이며, 단계 S401에서 인식된 유효 탐색 범위의 설정이 180°로 제한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들로서 단계 S402에서는 90°의 수평 탐색 각 α와, 2의 부분 탐색 범위수 N가 취득된다.
이후, 단계 S404에서는, 단계 S403에서 취득된 90°의 수평 탐색 각 α와, 2의 부분 탐색 범위수 N을, 금회의 자동 촬상 기록에서의 피사체 탐색에 대한 파라미터로 설정한다.
<6. 피사체 탐색 이동예 4: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의 제2 예>
지금까지 설명된 제1 예의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에서는, 360°, 180°, 90°의 팬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동일한 수평 탐색 각 α에 의한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내지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설정한다. 이 경우, 팬 방향으로의 각도 범위가 다른 부분 탐색 범위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1개의 부분 탐색 범위의 탐색이 완료되면, 다음 부분 탐색 범위가 탐색되어, 팬 방향으로의 각도 범위가 다른 부분 탐색 범위와 중복되지 않게 된다.
이에 비하여, 제2 예에서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분 탐색 범위를 설정한다.
도 22의 (a) 내지 (c)는, 제2 예의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을 어떻게 실행하는지와, 피사체 탐색의 이동예를 도시한다. 도 22의 (a) 내지 (c)에 도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팬 헤드(10)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 22의 (a) 내지 (c)를 간략화하고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팬 헤드(10)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팬 헤드(10)에 의해, 도 22의 (a)에 도시된 부분 탐색 범위 DV에서,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피사체 탐색을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부분 탐색 범위 DV의 수평 탐색 각α은, 예컨대 90°이다.
도 22의 (a)에 도시된 부분 탐색 범위 DV에서 피사체 탐색을 실행하는 경우, 도 22의 (b)에 도시된 위치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촬상 방향 F1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피사체 HS를 검출한다. 이러한 피사체의 촬상 기록을 완료된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도 22의 (b)에서 피사체를 검출한 경우에 촬상 방향 F1에 대응하는 팬 위치를 P1이라 한다. 그리고, 다음 피사체 탐색이 수행되는 부분 탐색 범위는 팬 위치 P1을 수평 중심 위치 H (0°)로 하여 +45°~ -45°로 설정된다.
도 23의 (a) 내지 (c)는 제2 예로서 부분 탐색 범위 설정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도 23의 (a)로부터 도 23의 (b)로의 이동의 천이는 도 22의 (a)로부터 도 22의 (b)로의 이동의 천이와 동일하다.
이밖의 예에서는, 도 2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3의 (b)에서 피사체를 검출했을 때의 촬상 방향 F1에 대응하는 팬 위치 P1로부터 팬 방향으로 90°회전시켰을 때의 팬 위치를, 새로운 수평 중심 위치 H(0°)로 설정한다. 새로운 수평 중심 위치 H(0°)를 팬 방향의 중심으로 하는 +45°~ -45°의 90°의 범위를, 다음 부분 탐색 범위 DV로서 설정한다.
즉, 도 22의 (a) 내지 도 22의 (c)에 도시된 동작에서는, 피사체가 검출된 팬 위치를 새로운 부분 탐색 범위 DV의 수평 중심 위치 H로 설정하며, 도 23의 (a)내지 (c)에 도시된 동작에서는, 피사체가 검출된 팬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팬 방향으로 회전시킨 팬 위치를, 새로운 부분 탐색 범위 DV의 수평 중심 위치 H로 설정한다.
따라서, 도 22의 (a) 내지 (c) 및 도 23의 (a) 내지 (c)에 도시된 제2 예의 팬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서는, 팬 헤드(10)가 미리 분할 구분된 부분 탐색 범위 DV에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피사체가 검출되었을 때의 촬상 방향 F1에 기초하여 새로운 수평 중심 위치 H (0°)를 정하여 새로운 부분 탐색 범위 DV를 설정한다. 이후, 새롭게 설정된 부분 탐색 범위 DV의 이러한 피사체 탐색을 반복한다.
이러한 식으로 피사체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상세하게 탐색이 수행된다. 예컨대, 피사체인 인원의 수가 상당히 많은 것과 같은 주위의 상황에 따라서는, 예컨대 제1 예보다도 바람직한 픽쳐 내용의 촬상 화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 예에서도, 피사체 탐색을 개시하고 나서 피사체가 검출될 때 까지는, 제1 예의 예컨대 도 14 및 도 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도 범위를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내지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로 균등하게 분할한 다음, 이들 부분 탐색 범위에 걸쳐 팬 헤드(1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른 피사체 탐색을 완전히 일순한다. 이후, 피사체가 검출되면, 도 22의 (a) 내지 (c) 또는 도 2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부분 탐색 범위의 피사체 탐색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 22의 (a) 내지 (c) 또는 도 23의 (a) 내지 (c)에 도시된 부분 탐색 범위 설정에 의한 피사체 탐색이 수행된 후에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는다면, 분할된 제1 부분 탐색 범위 DV1 내지 제n 부분 탐색 범위 DVn 마다 피사체 탐색을 실행하는 제1 예의 동작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제2 예에서의 동작에 있어, 유효 탐색 범위가 무제한일 경우에는, 도 22의 (a) 내지 (c)에 도시된 동작들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수행한다.
이에 비하여, 도 15 및 도 16 등과 같이 유효 탐색 범위가 360°미만으로 제한된다면, 부분 탐색 범위 DV가 유효 탐색 범위의 한계 위치로 설정되는 경우, 어떻게 반대측의 팬 방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4의 (a) 및 (b) 와 도 25의 (a) 및 (b)를 참조로 하여, 유효 탐색 범위가 제한될 때의 예시적 회전 이동을 설명한다. 따라서, 제한된 유효 탐색 범위 VL의 각도는 180°이며, 부분 탐색 범위 DV의 수평 탐색 각도 α는 60°이다.
여기서는, 180°의 유효 탐색 범위 VL에 대해서, 그 중심을 0°로 하고, 시계 방향의 한계 위치를 +90°로 하며, 반 시계 방향의 한계 위치를 -90°로 한다.
도 24의 (a) 및 (b)와 도 25의 (a) 및 (b)는 팬 헤드(10) 및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도시하지 않고, 탐색 동작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본체의 회전축(11a)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180°의 유효 탐색 범위 VL을 탐색하는 경우에,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방향 F1이 -75°의 팬 위치로 향할 때에 피사체 HS가 검출되어, 자동 촬상 기록이 완료된다.
이 경우, 수평 탐색 각α은 60°이다. 따라서, 제2 예에서는, 도 24의 (a)에 도시된 촬상 방향 F1에 대응하는 팬 위치를 수평 중심 위치 H로 설정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설정되는 부분 탐색 범위 DV로서는,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중심 위치 H(-75°)로부터 -45°까지의 시계 방향의 30°의 탐색 각(+2/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반 시계 방향에 대해서는, 수평 중심 위치 H(-75°)로부터 -90°까지의 15°의 탐색 각만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의 동작 예에서는, 이 -45°~ H(-75°) ~ -90°의 범위를 부분 탐색 범위 DV로서 설정하고,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2차원 탐색 패턴에 의한 피사체 탐색을 실행한다.
이 경우, 수평 중심 위치 H(-75°)로부터 시계 방향으로의 패닝은 30°로 수행되며, 수평 중심 위치 H(-75°)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의 패닝은 15°로 수행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2차원 탐색 패턴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과 같이 수평으로의 대칭이 아닌, 비대칭이 된다.
예컨대, 도 24의 (b)에 도시된 부분 탐색 범위 DV에서의 피사체 탐색에 의해서는,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더 이상, 반 시계 방향으로 탐색을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몇몇 규칙에 따라, 팬 헤드(10)를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켜 부분 탐색 범위 DV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부분 탐색 범위 DV를 설정한다고 가정한다. 즉, 도 24의 (a)에서 설정된 부분 탐색 범위 DV의 수평 중심 위치를 H'로 한다면, 수평 중심 위치 H'가 위치되는 팬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120°회전한 팬 위치 +45°가 새로운 부분 탐색 범위 DV의 수평 중심 위치 H가 되도록 패닝을 수행한다. 이에 의해, 부분 탐색 범위 DV는 0°을 대칭으로, 반대측의 각도 범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후, 새로운 부분 탐색 범위 DV에서 피사체 탐색을 실행한다.
부분 탐색 범위 DV의 이동을 위한 반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120°로 설정한다. 180°의 유효 탐색 범위에서, 부분 탐색 범위 DV의 60°의 수평 탐색 각 α는 이동후의 부분 탐색 범위 DV가 대체로 팬 위치가 되는 것을 고려해서 설정한 구체적인 예시 값이다.
도 25의 (a)에 설정된 부분 탐색 범위 DV에서 피사체 탐색을 수행한 결과,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여기서는, 도 2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5의 (a)에 설정된 부분 탐색 범위 DV의 수평 중심 위치를 H'로 한다면, 수평 중심 위치 H'가 위치되는 팬 위치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60°회전한 팬 위치 -15°가 새로운 수평 중심 위치 H가 되도록 패닝 이동이 수행된다. 이에 의해, 다음 부분 탐색 범위 DV가 0°근방의 거의 정면 부근에 있게 된다. 이후, 팬 위치 -15°에 대하여 ±30°의 범위(+15°~ -15°~ -45°)를 부분 탐색 범위 DV로서 피사체 탐색을 실행한다.
여기까지의 이동에 의하면, 팬 위치 +90°~ +75°의 범위는 탐색되지 않는다. 그러나, 팬 위치 +90°~ +75°까지 패닝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팬 위치 +90°~ +75°의 범위에 대한 필요 촬상 시야각 범위는 렌즈의 화각을 기초로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팬 위치 +90°~ +75°의 범위를 탐색하지 않더라도, 특별한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도 25의 (b)에 도시된 부분 탐색 범위 DV에서 피사체 탐색을 수행하더라도 피사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촬상 방향 F를 0°로 복귀시켜 일단 정지한 후, 피사체가 검출되기까지는, 예컨대 도 15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은 분할된 부분 탐색 범위마다의 피사체 탐색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도 14 이후에서 설명된 각각의 부분 탐색 범위의 탐색 이동을,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2차원 탐색 패턴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탐색 이동의 관점으로부터는, 예를 들어, 단순히 어떤 미리 정해진 팬 위치가 설정된 상태에서, 단순히 팬 헤드(10)를 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분 탐색 범위에서의 탐색 동작이더라도, 예컨대 360°에 걸친 팬 방향으로의 탐색 이동과 비교하면, 탐색 효율이 향상된다.
지금까지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흐름도의 형태로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처리 절차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제어부(27)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실행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흐름도의 형태로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처리 절차 중 적어도 하나의 절차가 팬 헤드(10)에서 실행되어도 좋다. 그러나, 주 피사체 탐색, 프레이밍 판정 및 자동 촬상 기록 제어 기능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1)측에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1)와 팬 헤드(10)를 조합할 수 있어, 범용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시스템에서는, 반드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와 팬 헤드(10)가 독립된 장치일 필요는 없고, 이들이 서로 일체화된 구성이어도 좋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1)와 팬 헤드(10)를 각각 독립된 장치로 구성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통상의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자동 촬상 기록되는 화상을 정지 화상으로 하고 있지만, 촬상 동작에 의해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생성된 동화상이어도 좋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원에 기초하는 구성의 적어도 일부는 CPU나 DSP에 의해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예컨대 제조시에 ROM 등에 기입하여 기억시키는 것 이외에, 리무버블의 기억 매체에 저장시켜 둔 다음, 이 기억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인스톨(업데이트) 하여 DSP 대응의 불휘발성의 기억 영역이나 플래시 메모리(30) 등에 기억시킨다. 또한, USB나 IEEE 1394 등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른 호스트가 되는 기기의 제어 동작에 의해 프로그램을 인스톨하여도 좋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 등과 같은 기억 장치에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고, 디지털 스틸 카메라(1)에 네트워크 기능을 갖게 하여, 서버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9년 6월 24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제2009-149874호에 개시된 관련 요지를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당업자라면, 설계 요건들 및 다른 요인들에 따라,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또는 이의 등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 조합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1: 디지털 스틸 카메라
2: 본체부
12: 카메라 받침대부
21: 광학계부
21a: 렌즈부

Claims (12)

  1.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로서,
    촬상부의 촬상 방향이 팬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기구부가, 팬 방향으로의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에서 수행되는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 -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는 미리 설정된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됨 - 과,
    제1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와는 다른 제2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이 수행되도록 각도 위치 범위를 설정하는 각도 위치 범위 설정 수단
    을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보다 큰 팬 방향으로의 유효 가동 각도 범위의 각도 값을 변경하여 설정하는 변경 설정 수단과,
    상기 변경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유효 가동 각도 범위에 따라, 상기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의 각도 값을 변경하여 설정하며, 유효 가동 각도 범위에 대응하는 각도 값을 설정하는 각도 값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위치 범위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각도 위치 범위로서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와 중복되지 않는 각도 범위를 설정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위치 범위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에서의 상기 단위 팬 동작 동안에,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 동작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으로부터 피사체가 검출되었을 때, 이 때의 팬 방향으로의 각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각도 위치 범위를 설정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렌즈의 화각(angle of field)에 따라, 상기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의 각도 값을 변경하여 설정하며, 렌즈의 화각에 대응하는 각도 값을 설정하는 각도 값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위치 범위 설정 수단은 상기 제2 각도 위치 범위로서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와 중복되지 않는 각도 범위를 설정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위치 범위 설정 수단은,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에서의 상기 단위 팬 동작 동안에, 상기 촬상부에 의한 촬상 동작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으로부터 피사체가 검출되었을 때, 이 때의 팬 방향으로의 각도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각도 위치 범위를 설정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의 렌즈의 화각에 따라, 상기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의 각도 값을 변경하여 설정하며, 렌즈의 화각에 대응하는 각도 값을 설정하는 각도 값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할 때에, 상기 촬상부의 렌즈에 설정할 수 있는 화각 범위에서 가장 넓은 화각이 되도록 제어하는 화각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10.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으로서,
    촬상부의 촬상 방향이 팬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기구부가, 팬 방향으로의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에서 수행되는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는 미리 설정된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됨 - 와,
    제1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와는 다른 제2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이 수행되도록 각도 위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
  11.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에,
    촬상부의 촬상 방향이 팬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기구부가, 팬 방향으로의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에서 수행되는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동 제어하는 단계 -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는 미리 설정된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됨 - 와,
    제1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와는 다른 제2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이 수행되도록 각도 위치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2.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로서,
    촬상부의 촬상 방향이 팬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는 가동 기구부가, 팬 방향으로의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에서 수행되는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 위치 범위는 미리 설정된 팬 방향의 가동 각도 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됨 - 와,
    제1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각도 위치 범위와는 다른 제2 각도 위치 범위에서 상기 단위 팬 동작이 수행되도록 각도 위치 범위를 설정하는 각도 위치 범위 설정부
    를 포함하는,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KR1020100057211A 2009-06-24 2010-06-16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001387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49874 2009-06-24
JP2009149874A JP5453953B2 (ja) 2009-06-24 2009-06-24 可動機構部制御装置、可動機構部制御方法、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765A true KR20100138765A (ko) 2010-12-31

Family

ID=4267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211A KR20100138765A (ko) 2009-06-24 2010-06-16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328467A1 (ko)
EP (1) EP2267998B1 (ko)
JP (1) JP5453953B2 (ko)
KR (1) KR20100138765A (ko)
CN (1) CN101930235B (ko)
TW (1) TW2011127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62242A1 (de) 2004-12-23 2006-07-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selben
JP5206095B2 (ja) 2008-04-25 2013-06-12 ソニー株式会社 構図判定装置、構図判定方法、プログラム
JP5434338B2 (ja) 2009-07-29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
JP5434339B2 (ja) 2009-07-29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プログラム
US8791911B2 (en) 2011-02-09 2014-07-29 Robotzone, Llc Multichannel controller
US9390617B2 (en) * 2011-06-10 2016-07-12 Robotzone, Llc Camera motion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autonomy
US9726463B2 (en) 2014-07-16 2017-08-08 Robtozone, LLC Multichannel controller for target shooting range
JP6205070B2 (ja) * 2014-09-08 2017-09-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初期位置設定方法、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TWI571589B (zh) * 2016-03-24 2017-02-21 聚眾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環境監視裝置
JP7233162B2 (ja) 2017-12-18 202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11512625B (zh) 2017-12-18 2022-04-12 佳能株式会社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7222683B2 (ja) 2018-12-06 2023-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CN114081635B (zh) * 2022-01-21 2022-04-12 极限人工智能有限公司 基于图像的器械角度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7042A (en) * 1972-02-18 1973-09-04 Us Navy Receiver separation and zoom lenses pan and tilt underwater optical viewing system with adjustable source
US4720805A (en) * 1985-12-10 1988-01-19 Vye Scott R Computerized control system for the pan and tilt functions of a motorized camera head
US6675386B1 (en) * 1996-09-04 2004-01-06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for video access and control over computer network, including image correction
JPH09506217A (ja) * 1993-10-20 1997-06-17 ヴィデオコンファレンスィング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適応型テレビ会議システム
JPH08135889A (ja) * 1994-11-10 1996-05-31 Canon Inc 電動雲台、撮像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
EP0715453B1 (en) * 1994-11-28 2014-03-26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controller
US6768563B1 (en) * 1995-02-24 2004-07-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input system
US6008837A (en) * 1995-10-05 1999-12-28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3839881B2 (ja) * 1996-07-22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203216B1 (en) * 1996-11-29 2001-03-20 Canon Kabushiki Kaisha Compact low-profile camera device
JPH11215405A (ja) * 1998-01-26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部材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4243883B2 (ja) * 1999-03-15 2009-03-25 フジノン株式会社 リモコン雲台システム
JP2001136514A (ja) * 1999-11-01 2001-05-18 Canon Inc カメラ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DE60040051D1 (de) * 1999-12-03 2008-10-09 Fujinon Corp Automatische Folgevorrichtung
JP2001268425A (ja) 2000-03-16 2001-09-28 Fuji Photo Optical Co Ltd 自動追尾装置
JP2003108305A (ja) * 2001-09-28 2003-04-11 Fuji Photo Optical Co Ltd 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JP3878035B2 (ja) * 2002-03-04 2007-02-07 ニスカ株式会社 画像配信方法
JP3849645B2 (ja) * 2003-01-20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監視装置
US20040223062A1 (en) * 2003-05-05 2004-11-11 Richard Pettegrew Pan and tilt camera system
JP4449525B2 (ja) * 2004-03-24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監視装置
US7868911B2 (en) * 2004-11-09 2011-01-11 Samsung Techwin Co., Ltd. Surveillance camera capable of adjusting position and a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7356425B2 (en) * 2005-03-14 2008-04-08 Ge Security, Inc. Method and system for camera autocalibration
JP4936504B2 (ja) * 2005-09-26 201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レードル装置と操作端末とのそのプログラム、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20070115351A1 (en) * 2005-11-18 2007-05-24 Mccormack Kenneth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ed motion detection
US20070115355A1 (en) * 2005-11-18 2007-05-24 Mccormack Kenneth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pan tilt zoom camera
JP2007215136A (ja) * 2006-02-13 2007-08-23 Canon Inc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制御方法
US7636105B2 (en) * 2006-04-05 2009-12-22 Etreppid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tion control signals between a fixed camera and a PTZ camera
US8471892B2 (en) * 2006-11-23 2013-06-25 Z. Jason Geng Wide field-of-view reflector and method of designing and making same
EP1981263B1 (en) * 2007-04-13 2019-04-03 Axis AB Supporting continuous pan rotation in a pan-tilt camera
US8203590B2 (en) * 2007-09-04 2012-06-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camera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JP4983784B2 (ja) * 2008-12-18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画像提示方法、制御装置、プログラム
JP2011009929A (ja) * 2009-06-24 2011-01-13 Sony Corp 可動機構部制御装置、可動機構部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359645B2 (ja) * 2009-07-23 2013-12-04 ソニー株式会社 構図判定装置、撮像システム、構図判定方法、プログラム
JP5434339B2 (ja) * 2009-07-29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プログラム
JP5434338B2 (ja) * 2009-07-29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
JP2011155361A (ja) * 2010-01-26 2011-08-11 Sony Corp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7998B1 (en) 2012-12-19
JP2011009930A (ja) 2011-01-13
CN101930235B (zh) 2014-03-12
JP5453953B2 (ja) 2014-03-26
TW201112743A (en) 2011-04-01
EP2267998A1 (en) 2010-12-29
CN101930235A (zh) 2010-12-29
US20100328467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8765A (ko) 가동 기구부 제어 장치, 가동 기구부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EP2268027B1 (en) Movable-mechanical-section controlling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movable mechanical section, and program
US8638372B2 (en) Image capture unit with changeable image capture direction
US8817134B2 (en) Imaging control device, subject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JP5967473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5533048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
JP5434339B2 (ja) 撮像制御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プログラム
US8908916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to search for a subject and automatically perform image-recording
JP5991514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1301306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TW201113629A (en) Control device, operation setting method, and program
JP2013034158A (ja) 撮像装置
JP202020487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撮像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74808A (ko) 촬상 장치
JP6824061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が実行する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15028548A (ja) 撮像装置
JP2017011710A (ja)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10109709A (ja) 撮像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および動画撮影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