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808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808A
KR20140074808A KR1020130087604A KR20130087604A KR20140074808A KR 20140074808 A KR20140074808 A KR 20140074808A KR 1020130087604 A KR1020130087604 A KR 1020130087604A KR 20130087604 A KR20130087604 A KR 20130087604A KR 20140074808 A KR20140074808 A KR 20140074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ing
moving image
image pickup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271B1 (ko
Inventor
마사루 오쿠다
타케시 마츠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101,548 priority Critical patent/US9602720B2/en
Publication of KR2014007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파노라마 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을 각각 촬상하는 각각의 촬상 장치의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동시에 촬상되는 정지화상을 신속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고,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라도 같은 피사체가 중복되어 파노라마 화상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신속하게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노라마 화상은 오버랩되는 부분을 갖도록 각 정지화상을 촬상하고, 그 오버랩되는 부분을 서로 겹쳐 이어 맞추는 합성을 함으로써 생성된다. 그 때문에, 정지 화상이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이 불충분한 경우 등 각 정지화상이 적당히 오버랩되지 않은 경우는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기 어려워진다.
파노라마 화상을 구성하는 각 정지화상을 적당히 오버랩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1대의 카메라와 컴퓨터를 접속하고 카메라로부터 컴퓨터에 촬상한 풀 사이즈의 정지 화상을 송신함과 동시에, 그 정지 화상보다 사이즈가 작은 확인 화상을 항상 송신한다. 그리고,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된 정지화상 촬상 시의 확인 화상과 현재의 확인 화상이 적당히 오버랩되도록 카메라를 이동시켜 다음 정지화상을 촬상할 때의 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신속한 파노라마 화상의 촬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파노라마 화상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을 각각 촬상하는 각각의 촬상 장치의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동시에 촬상되는 정지화상을 신속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고,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라도 같은 피사체가 중복되어 파노라마 화상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신속하게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는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다른 촬상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촬상된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동화상 상호 간의 공통 부분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정지화상 상호 간의 공통 부분을 각각 검출하는 공통 부분 검출 수단;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적어도 어느 일부와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합성 동화상을 생성하는 합성 동화상 생성 수단; 상기 합성 동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합성 동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과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는 파노라마 화상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는 촬상 장치 및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서로 송수신하고, 동화상 상호 간 및 정지화상 상호간의 공통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에서 촬상한 동화상과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촬상 장치 서로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해당 위치 관계에서 각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을 구성하는 정지화상을 각각 촬상하는 각 촬상 장치의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동시에 촬상되는 정지화상을 신속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라도 같은 피사체가 중복되어 파노라마 화상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신속하게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합성 동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합성 동화상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촬상 장치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할 때의 촬상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합성 동화상과 파노라마 동화상이 동시에 표시된 촬상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촬상 위치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화면 및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 장치의 이동 지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에 따른 한 번의 정지화상의 촬상 지시에 대해 각 촬상 장치에서 복수의 정지화상을 연속적으로 촬상하고, 촬상된 복수의 정지화상 중의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여 파노라마 화상을 합성하는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촬상 장치 및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과 각 촬상 장치에 각각 표시되는 합성 동화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촬상 장치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가 없는 경우의 각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과 각 촬상 장치에 각각 표시되는 합성 동화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는 촬상부(101), 통신부(102), 조작 지시부(103), 임시 기억부(104), 제어부(105), 장치 위치 검출부(106), 화상 처리부(107), 기록 제어부(108), 표시 제어부(109), 기록부(110) 및 표시부(111)를 갖는다. 촬상 장치(1)는 한 대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촬상 수단 및 플래시 수단은 촬상부(101)에 포함된다. 수신 수단 및 송신 수단은 통신부(102)에 포함된다. 공통 부분 검출 수단은 제어부(105) 및 장치 위치 검출부(106)에 포함된다. 합성 동화상 생성 수단, 파노라마 화상 생성 수단 및 파노라마 동화상 생성 수단은 제어부(105), 장치 위치 검출부(106), 임시 기억부(104) 및 화상 처리부(107)에 포함된다. 표시 수단은 표시 제어부(109) 및 표시부(111)에 포함된다. 촬상 조건 결정 수단,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 메인 촬상 장치 결정 수단, 외부 장치 유도 수단, 외부 장치 조정 수단 및 타이머 수단은 제어부(105)에 포함된다.
촬상부(101)는, 렌즈 및 조리개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으로 이루어지는 촬상 소자를 갖고 구성된다. 또한, 촬상부(101)는 정지화상의 촬상 시에 피사체를 일시적으로 광 조사하는 플래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촬상부(101)는, 촬상 소자가 광학계로부터 광학 신호에 의한 화상을 수광하고, 수광한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피사체의 정지화상 및 동화상을 촬상한다.
정지화상은 파노라마 화상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갖는 정지화상을 오버랩되는 부분을 겹쳐 이어서 맞추는 합성을 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이 생성된다.
동화상은 합성 동화상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서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갖는 동화상을 오버랩되는 부분을 겹쳐 이어서 맞추는 합성을 함으로써 파노라마 동화상이 생성된다.
촬상부(101)는, 촬상한 정지화상 및 동화상을 제어부(105) 또는 임시 기억부(104)에 송신한다.
통신부(102)는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카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 통신부(102)는 유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통신부(102)는, 촬상 장치(1)와 다른 촬상 장치의 사이에서 화상의 송수신을 행한다. 다른 촬상 장치란, 촬상 장치(1) 이외의 하나 이상의 촬상 장치를 말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다른 촬상 장치는 촬상 장치(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화상에는 정지화상, 동화상, 파노라마 화상, 파노라마 동화상 및 후술하는 합성 동화상이 포함된다.
통신부(102)는 다른 촬상 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다른 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그때, 다른 촬상 장치에 고유의 식별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다른 촬상 장치가 복수 개 있는 경우에도 복수의 다른 촬상 장치가 각각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02)는,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임시 기억부(104)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102)는, 임시 기억부(104)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다른 촬상 장치에 송신한다.
조작 지시부(103)는 각종 입력 버튼 또는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조작 지시부(103)는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지시의 입력을 받고, 입력을 받은 지시를 제어부(105)에 송신한다. 조작 지시부(103)에는, 촬상 장치(1) 및 다른 촬상 장치에 동시에 정지화상을 촬상시키는 촬상 지시, 다른 촬상 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도 지시 및 촬상 장치(1)를 스윙시킴으로써 단체로 파노라마 화상의 촬상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 촬상 장치(1)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지시가 입력된다.
임시 기억부(104)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 소자로 구성된다. 임시 기억부(104)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HDD(Hard Disk Drive)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임시 기억부(104)는, 수신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임시 기억부(104)는 촬상부(101), 통신부(102) 및 제어부(105)로부터 수신한 화상이나 제어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제어부(10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5)는 촬상 장치(1)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각종 연산을 행한다.
제어부(105)는, 사용자에 따른 촬상 지시에 기초하여 촬상부(101) 및 다른 촬상 장치에 동시에 정지화상을 촬상시키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부(105)는, 사용자에 따른 유도 지시에 기초하여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촬상 위치의 이동을 유도하는 표시를 시킨다. 또한, 제어부(105)는, 사용자에 따른 전환 지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1)가 스윙됨으로써 스윙 중에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복수의 정지화상이 화상 처리부(107)에 의해 합성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로 촬상 장치(1)를 전환한다.
장치 위치 검출부(106)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 장치 위치 검출부(106)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장치 위치 검출부(106)는, 촬상 장치(1) 및 다른 촬상 장치의 서로의 위치 관계를 검출한다. 또, 장치 위치 검출부(106)는,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을 검출한다. 공통 부분의 검출은 각 동화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 그들을 조합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치 위치 검출부(106)는,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및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서로 가장 큰 공통 부분을 갖는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을 촬상한 촬상 장치끼리가 가장 인접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촬상 장치끼리라고 판단함으로써, 촬상 장치(1) 및 다른 촬상 장치 서로의 위치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장치 위치 검출부(106)에 의해,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이 검출될 때에, 제어부(105)는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되는 동화상을 광각 측으로 줌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각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는 동화상에 공통 부분이 존재하는 확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동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의 검출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제어부(105)는, 표시부(111)에 동화상을 광각 측으로 줌시켜야 할 표시를 하여 사용자에 대해 동화상을 광각 측으로 줌시키도록 알려줄 수도 있다.
장치 위치 검출부(106)는, 촬상 장치(1) 및 다른 촬상 장치 서로의 위치 관계를 각 동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 및 각 정지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의 정보와 함께 제어부(105)에 송신한다. 제어부(105)는, 수신한 각 촬상 장치 서로의 위치 관계와 각 동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 및 각 정지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의 정보를 임시 기억부(104)에 송신하여 기억시킨다.
화상 처리부(107)는 MPU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화상 처리부(107)는 프로그램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화상 처리부(107)는, 수신한 화상에 대해 합성 및 가공 등의 화상 처리를 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 파노라마 동화상 및 합성 동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107)는, 임시 기억부(104)에 기억된 각 동화상과 각 동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공통 부분을 겹쳐 각 동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동화상을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화상 처리부(107)는, 임시 기억부(104)에 기억된 각 정지화상과 각 정지화상 서로의 공통 부분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공통 부분을 겹쳐 각 정지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107)는, 임시 기억부(104)에 기억된 각 동화상 중에서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촬상 장치(1)에 인접하는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합성 동화상을 생성한다. 합성 동화상을 생성할 때, 화상 처리부(107)는, 임시 기억부(104)에 기억된 각 촬상 장치 서로의 위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합성 동화상에 의해 촬상 장치(1)와 해당 다른 촬상 장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합성 동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해당 촬상 장치에 인접하는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이 공통 부분을 겹쳐 합성됨으로써 합성 동화상(2)이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00)은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을 나타내고, 프레임(210)은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에 의해 제1 피사체 내지 제3 피사체의 동화상이, 촬상 장치(1)에 인접하는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제3 피사체 내지 제5 피사체의 동화상이 각각 촬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합성 동화상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 프레임(200, 210)의 밖에 존재하는 각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각 동화상에는 본래 포함되지 않는 부분도 표시되어 있다.
프레임(200)과 프레임(210)이 겹침으로써 생기는 영역인 공통 부분(220)은, 촬상 장치(1)에서 촬상된 동화상과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된 동화상의 공통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프레임(200)과 프레임(210)의 위치 관계는 촬상 장치(1)와 다른 촬상 장치의 위치 관계가 반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합성 동화상에 의해 촬상 장치(1)와 다른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프레임(210)이 프레임(200)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는 것으로부터, 다른 촬상 장치가 촬상 장치(1)보다 낮은 위치에 벗어나 있다는 양자의 위치 관계가 파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상 장치(1)를 좀 더 왼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촬상 방향(광축의 방향)을 좌측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제1 피사체의 전체를 촬상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촬상 장치(1)의 높이를 내리거나 촬상 방향을 하측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다른 촬상 장치와 높이를 맞출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은 합성 동화상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그 촬상 장치에 인접하는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이 공통 부분을 겹쳐 합성됨으로써 합성 동화상(3)이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합성 동화상과 도 2의 합성 동화상에서 다른 점은, 도 2의 합성 동화상에는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된 동화상 전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도 3의 합성 동화상에는 다른 장치에서 촬상된 동화상의 일부만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합성 동화상(3)에는,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된 동화상 중에서 촬상 장치(1)와 공통되는 공통 부분(220)만이 해당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의 일부(211)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합성 동화상을 통해,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안에 프레임(200)과 식별 가능하게 표시된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의 일부(211)의 위치 관계로부터 촬상 장치(1)와 다른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합성 동화상을 표시함으로써, 촬상 장치(1)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위치의 어긋남이 강조되기 때문에, 각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기록 제어부(108)는, 기록부(110)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구동 회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기록 제어부(108)는, 제어부(105)로부터 수신한 파노라마 화상을 기록부(110)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 제어부(108)는 제어부(105)에 제어됨으로써 각종 데이터를 기록부(110)에 기록한다.
기록부(110)는 메모리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기억부(110)는, 기록 제어부(108)에 구동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기록한다.
표시 제어부(109)는, 표시부(111)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09)는, 제어부(105)로부터 수신한 파노라마 화상, 파노라마 동화상 및 합성 동화상을 표시부(111)에 표시시킨다. 표시부(111)는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11)는, 표시 제어부(109)에 구동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 파노라마 동화상 및 합성 동화상을 표시한다.
촬상 장치(1)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이 촬상될 때의 촬상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촬상 장치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할 때의 촬상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촬상 장치(1)에 전원이 투입되면, 촬상부(101)는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상한다(S401).
통신부(102)는,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을 수신한다(S402).
화상 처리부(107)는,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촬상 장치(1)와 인접하는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자의 공통 부분을 겹쳐 합성함으로써 합성 동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107)는,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모든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을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동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표시부(111)는 화상 처리부(107)에 의해 생성된 합성 동화상 및 파노라마 동화상을 표시한다(S403).
도 5는 합성 동화상과 파노라마 동화상이 동시에 표시된 촬상 장치의 표시부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1)의 화면에 있어서 상단에 파노라마 동화상(5)이, 하단에 합성 동화상(3)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촬상 장치(1)에서 촬상하고 있는 동화상과 촬상 장치(1)에 인접한 다른 장치에서 촬상되어 있는 동화상을 공통 부분을 겹쳐 합성한 합성 동화상과, 모든 촬상 장치에서 촬상되어 있는 동화상을 합성한 파노라마 동화상이 표시부(111)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장치와 인접하는 다른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각 촬상 장치의 촬상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노라마 화상 전체의 이미지나 촬상 범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
또, 파노라마 동화상은 다른 촬상 장치의 어느 하나에 의해 합성된 합성 동화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합성 동화상을 이용하여 합성되어도 된다.
사용자는, 표시부(111)에 표시된 합성 동화상에서 파악 가능하게 표시된 다른 촬상 장치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인접하는 다른 촬상 장치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적당하게 되도록 조정한다(S404).
이때, 다른 촬상 장치에 촬상 위치의 이동을 유도하는 신호를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하고, 다른 촬상 장치에 그 유도를 표시시킴으로써, 다른 촬상 장치의 사용자에 대해 촬상 위치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는, 촬상 장치(1)의 사용자가 촬상 장치(1)의 촬상 위치를 변경하는 것보다도 다른 장치의 촬상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이루어진다.
도 6은,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촬상 위치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화면 및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 장치의 이동 지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촬상 위치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표시부(111)의 화면에 표시된 합성 동화상(3)의 일부로서 표시되어 있는 공통 부분(220)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한 촬상 위치의 이동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는, 사용자는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의 일부(211)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촬상 위치의 이동을 지시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공통 부분(220)이 작아지도록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지시를 하고 있다. 이러한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한 촬상 위치의 이동 지시는 촬상 장치(1)로부터 다른 촬상 장치로 송신된다.
도 6의 B는, 다른 촬상 장치에서 촬상 장치의 이동 지시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촬상 장치에서도 합성 동화상(3A)이 표시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한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한 촬상 위치의 이동 지시가 합성 화상(3A) 상에 표시된다.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한 촬상 위치의 이동 지시는, 합성 동화상(3A)에서 표시되어 있는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되어 있는 동화상의 프레임(211A)과, 프레임(211A)이 이동되어야 할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와, 프레임(211A)이 이동된 후의 프레임(212A)을 표시함으로써 간이하게 실현된다. 즉, 다른 촬상 장치의 사용자는 이러한 표시에 의해 프레임(211A)이 프레임(212A)의 위치까지 이동되어야 하는 것을 인식하고,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위치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한 이동 지시를 명확화하기 위해, 다른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합성 동화상(3A)에 있어서 "공통부가 일점쇄선의 범위가 되도록 우측으로 이동해 주세요" 등의 문자에 의한 촬상 위치의 이동 유도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의 사용자는, 촬상 장치(1)와 다른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적당하게 되도록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위치의 이동을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6의 A의 화면은 도 5의 하단의 합성 동화상(3)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또, 도 5의 하단에는, 서로 인접하는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촬상되어 있는 동화상의 공통 부분을 겹쳐 합성한 합성 외부 동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한, 도 5의 상단에 표시되어 있는 파노라마 동화상에 있어서 도 5의 하단의 합성 동화상(3)으로서 표시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에 의해, 도 6의 A의 화면을 도 5의 하단의 합성 동화상(3) 또는 합성 외부 동화상으로서 표시하고, 촬상 장치(1) 및 모든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서로 인접하는 촬상 장치마다 상대적 위치 관계를 단계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다른 촬상 장치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촬상 위치의 이동을 지시할 수 있다.
각 촬상 장치의 촬상 위치가 조정된 후, 촬상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해 셔터 버튼이 눌림으로써 정지화상의 촬상 지시가 조작 지시부(103)에 입력되면, 제어부(105)는 사용자에 따른 정지화상의 촬상 지시를 검출한다(S405).
제어부(105)는, 정지화상의 촬상 지시를 검출하면 촬상부(101) 및 다른 촬상 장치에 정지화상을 동시에 촬상시키는 타이밍을 정하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한다(S406).
타이밍 신호는, 촬상 장치(1) 및 모든 다른 촬상 장치 중에서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대상 촬상장치로 결정된 촬상 장치에 의해 생성된다. 제어부(105)는, 장치 위치 검출부(106)에 의해 검출된 촬상 장치(1) 및 다른 촬상 장치 서로의 인접하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1) 및 모든 다른 촬상 장치 중 어느 하나를 대상 촬상장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단 또는 중앙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가 메인 촬상 장치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을 구성하는 각 정지화상의 촬상 타이밍을 유연하게 고정밀도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105)는, 타이밍 신호에 의해 각 촬상 장치에 동시에 정지화상을 촬상시킬 때의 촬상 타이밍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타이밍 신호에 의해 정지화상이 촬상될 때의 다른 촬상 장치의 기준 시각을 촬상 장치(1)의 기준 시각과 일치시키는 사전 조정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5)는, 사용자에 따른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가 되고 나서 타이밍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서 촬상 수단 및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정지화상을 처음으로 동시에 촬상시킬 때까지의 대기 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정지화상의 촬영 지시가 되고 나서 타이밍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서 촬상 수단 및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정지화상을 동시에 복수 회 촬상시키는 경우는, 제어부(105)는 그 타이머 기능에 의해 정지화상의 촬상 시간 간격이 더 결정되어도 된다. 타이머 기능에 의해 결정된 대기 시간 및 촬상 시간 간격은 통신부(102)에 의해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각각 송신된다. 이에 의해, 타이머 기능을 이용한 파노라마 화상의 촬상이어도 파노라마 화상을 구성하는 각 정지화상의 촬상 타이밍을 유연하게 고정밀도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는, 타이밍 신호에 의해 각 촬상 장치에 동시에 정지화상을 촬상시킬 때에, 각 촬상 장치가 갖는 플래시 기능에 의해 동시에 각 피사체를 광 조사하도록 다른 촬상 장치를 조작해도 된다. 이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의 모든 영역에 걸쳐 각 촬상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플래시의 시간을 고정밀도로 일치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촬상 장치(1)가 메인 촬상 장치라고 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05)는, 통신부(102)로부터 다른 촬상 장치에 타이밍 신호를 송신한다(S407).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타이밍 신호가 수신되면, 촬상부(101) 및 다른 촬상 장치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동시에 정지화상을 촬상한다(S408).
도 7은, 사용자에 따른 한 번의 정지화상의 촬상 지시에 대해 각 촬상 장치에서 복수의 정지화상을 연속적으로 촬상하고, 촬상된 복수의 정지화상 중 어느 하나의 조합을 선택하여 파노라마 화상을 합성하는 기능의 설명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에 의해 정지화상(30)이,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정지화상(30A)이 사용자에 따른 한 번의 정지화상의 촬상 지시에 대해 각각 시간(t1, t2, t3)에서 연속적으로 3장의 정지화상이 촬상된다. 그리고, 촬상된 세 장의 정지화상 중에서 파노라마 화상을 합성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화상의 조합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각 촬상 장치의 촬상 위치의 일치를 우선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는, 각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의 어긋남이 가장 작은 정지화상의 조합이 파노라마 화상을 합성하는 정지화상의 조합으로서 선택된다. 이 경우, 촬상 장치(1)에 의해 한 장째에 촬상된 정지화상과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세 장째에 촬상된 정지화상의 조합이 각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의 어긋남이 가장 작은 정지화상의 조합이면 그 조합이 선택된다. 촬상 장치(1) 및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위치는 고정되지 않고, 각 촬상 장치 각각의 사용자가 각 촬상 장치를 만들어 정지화상을 촬상하기 때문에, 각 촬상 장치 서로에 있어서 화각을 맞추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른바 손떨림의 영향이 염려되지만, 각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의 어긋남이 가장 작은 정지화상의 조합이 선택됨으로써 손떨림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각 정지화상의 촬상 시각의 일치를 우선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파노라마 화상을 합성하는 정지화상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시간(t1)에 촬상된 각 정지화상의 조합, 시간(t2)에 촬상된 각 정지화상의 조합 및 시간(t3)에 촬상된 각 정지화상의 조합 중에서 파노라마 화상의 합성 결과가 가장 바람직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 각 정지화상의 촬상 시각은 통신부(102)에 의해 수신되는 정지화상에 촬상 시각이 부가되도록 하고, 정지화 촬상 시 부가된 촬상 시각에 기초하여 판단되어도 된다.
각 촬상 장치에 의한 정지화상의 촬상 조건은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어부(105)는 모든 촬상 장치의 공통의 촬상 조건을 결정하고, 결정한 촬상 조건을 다른 촬상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모든 촬상 장치에 해당 결정한 촬상 조건으로 정지화상을 촬상시켜도 된다. 여기서, 촬상 조건이란 정지화상의 품질(qualrity)을 결정하는 촬상 시의 각종 설정을 말하고, 예를 들면 셔터 스피드, 밝기 또는 화소수가 해당한다. 이에 의해, 각 정지화상의 촬상 조건이 흩어짐으로써 부자연스러운 파노라마 화상이 촬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는 다른 촬상 장치의 사양을 촬상 성능으로서 수신하고, 촬상부(101) 및 모든 다른 촬상 장치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을 추출하며, 추출한 촬상 성능에 기초하여 모든 촬상 장치의 공통의 정지화상의 촬상 조건으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한 촬상 조건을 다른 촬상 장치에 송신하고, 촬상부(101) 및 다른 촬상 장치에 공통의 촬상 조건으로 정지화상을 촬상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 중 어느 하나가 1/8000의 고속의 셔터 스피드에 의한 촬상이 가능한 촬상 성능을 갖고 있어도 그 밖의 촬상 장치가 1/4000의 셔터 스피드를 넘는 촬상이 불가능한 촬상 성능을 갖는 경우는, 제어부(105)는 공통되는 촬상 성능으로서 1/4000의 셔터 스피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공통의 촬상 조건은 1/4000의 셔터 스피드로 결정된다.
제어부(105)는, 촬상부(101) 및 모든 다른 촬상 장치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촬상부(101) 및 모든 다른 촬상 장치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의 추출을 할 수 없는 경우는, 촬상부(101) 및 모든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한 정지화상의 촬상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촬상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함으로써 나머지 모든 다른 촬상 장치 및 촬상부(101)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이 존재하는 경우는, 나머지 모든 다른 촬상 장치 및 촬상부(101)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이 추출되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처리부(107)는, 그 나머지 모든 다른 촬상 장치 및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만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한다. 그때, 제외된 다른 촬상 장치에 파노라마 화상의 촬상 대상에서 제외되었음이 통지되고, 그 다른 촬상 장치에 그 취지가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 촬상 조건은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그 경우는, 촬상 장치(1)의 촬상 사양이 촬상 장치(1)로부터 다른 촬상 장치로 송신되고,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결정된 촬상 조건이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촬상 장치(1)에 수신된다. 그리고,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상 조건에 의한 정지화상이 촬상부(101)에서 촬상된다.
통신부(102)는,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그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수신한다(S409).
화상 처리부(107)는, 촬상부(101)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및 모든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장치 위치 검출부(106)에 의해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한다(S410).
기록부(110)는, 생성된 파노라마 화상을 기록한다(S411).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형태는 다음 효과를 얻는다. 즉,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그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동화상 상호 간 및 정지화상 상호 간의 공통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촬상 장치에서 촬상한 동화상과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촬상 장치 서로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 가능하게 표시한다. 그리고, 해당 위치 관계에서 각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을 구성하는 정지화상을 각각 촬상하는 각 촬상 장치의 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동시에 촬상되는 정지화상을 신속하게 오버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가 움직이는 경우이어도 같은 피사체가 중복되어 파노라마 화상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신속하게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의 이점과 단독 카메라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의 이점을 겸비할 수 있다. 즉, 파노라마 동화상에 의해 파노라마 화상의 이미지 및 촬상 범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고, 움직임이 있는 피사체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왜곡이 없는 직선적인 평면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촬상 장치가 고정되지 않고 정지화상을 촬상에 참가시키는 촬상 장치의 대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자유로운 화각 설정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저렴하고 유연한 파노라마 화상의 촬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제1 실시형태에서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장치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를 합성 동화상에서 파악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 상대적 방위 차를 작게 하도록 각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조정을 알리는 것이다. 그 이외의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의 블록도이다.
방위 검출부(112)는, 디지털 방위 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방위 검출부(112)는, 촬상부(102)의 광축의 방향을 촬상 방향으로서 검출한다. 제어부(105)는, 방위 검출부(112)에 의해 검출된 촬상 방향과 통신부(102)에 의해 수신된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를 산출하고, 그 상대적 방위 차를 사용자에게 파악 가능하게 표시부(111)에 표시시킨다.
도 9는, 촬상 장치 및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과 각 촬상 장치에 각각 표시되는 합성 동화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촬상 장치 및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에 의해 제1 피사체 내지 제3 피사체가 촬상되고, 촬상 장치(10)의 촬상 방향(91)이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다른 촬상 장치(10A)에 의해 제3 피사체 내지 제5 피사체가 촬상되고, 다른 촬상 장치(10A)의 촬상 방향(91A)이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나 있다. 도 9의 A에서는 촬상 장치(1)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어긋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의 B는 촬상 장치 및 다른 촬상 장치에 각각 표시되는 합성 동화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와 다른 촬상 장치(10A)의 촬상 방향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신장이 같은 제1 피사체 내지 제3 피사체가 신장이 다르게 촬상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합성 동화상(3)에서 촬상 장치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90)를 화살표 각도로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촬상 장치(10)와 다른 촬상 장치(10A)의 촬상 방향의 어긋남을 파악할 수 있다.
도 10은, 촬상 장치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가 없는 경우의 각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과 각 촬상 장치에 각각 표시되는 합성 동화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의 A는, 촬상 장치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가 없는 경우의 각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의 A에서는, 촬상 장치(1)의 촬상 방향(91)과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91A)이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의 B는, 촬상 장치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가 없는 경우의 촬상 장치에 각각 표시되는 합성 동화상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와 다른 촬상 장치(10A)의 촬상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신장이 같은 제1 피사체 내지 제3 피사체가 같은 신장을 갖는 피사체로서 촬상되어 있다. 합성 동화상(3)에서 촬상 장치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차(90)가 0인 것이 평행한 화살표 각도로서 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촬상 장치(10)와 다른 촬상 장치(10A)의 촬상 방향의 어긋남이 없는 것을 파악하고, 촬상 장치(1)와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의 조정이 필요 없다고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에 의한 동화상의 촬상 방향과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한 동화상의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가 합성 동화상에서 파악 가능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촬상 장치(10)와 다른 촬상 장치(10A)의 촬상 방향의 어긋남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그 상대적 방위 차가 없어지도록 촬상 장치(1)의 촬상 방향 또는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을 조정하고, 조정된 상태로 각 촬상 장치에 의해 정지화상을 촬상하여 그들을 합성함으로써, 왜곡이 적은 평면적인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형태는 다음 효과를 얻는다. 즉, 촬상 장치에 의한 동화상의 촬상 방향과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한 동화상의 촬상 방향을 검출하고, 그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를 합성 동화상에서 파악 가능하게 표시한다. 그리고, 그 상대적 방위 차를 없애도록 각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을 조정하고, 조정 후의 각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촬상된 정지화상을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왜곡이 적은 평면적인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 및 다른 촬상 장치의 각 촬상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특정의 촬상 장치에 의해 다른 모든 촬상 장치가 조작되도록 해도 된다. 그때, 특정의 촬상 장치 이외의 촬상 장치의 사용자에 따른 특정의 촬상 장치 이외의 촬상 장치에 대한 조작은 무효가 된다. 또, 그 특정의 촬상 장치는 각 촬상 장치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중앙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가 그 특정의 촬상 장치로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그 특정의 촬상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촬상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중앙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 또는 좌측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를 그 특정의 촬상 장치로 결정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가 적절히 반영된 파노라마 화상을 신속하게 촬상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는, 다른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다른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합성 동화상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는, 수신된 그 동화상 및 합성 동화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동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촬상 장치는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합성된 합성 동화상을 이용하고, 그 합성 동화상에 포함되지 않는 동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동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연하고 신속하게 파노라마 동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에는 촬상 시각이 부가되도록 해도 된다. 동화상에 부가된 촬상 시각과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촬상 시각을 동기시킴으로써, 합성 동화상 및 파노라마 동화상의 합성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 10: 촬상 장치
200: 촬상 장치에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
210: 다른 촬상 장치에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
211: 다른 촬상 장치에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의 일부
211A: 다른 촬상 장치에 표시된 촬상 장치에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
212A: 다른 촬상 장치에 표시된 촬상 장치에 촬상된 동화상의 이동 후의 프레임
220: 공통 부분
3: 합성 동화상
30: 촬상 장치에 촬상된 정지화상
30A: 다른 촬상 장치에 촬상된 정지화상
5: 파노라마 동화상

Claims (20)

  1. 파노라마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로서,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다른 촬상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촬상된 동화상 및 정지화상을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동화상 상호 간의 공통 부분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정지화상 상호 간의 공통 부분을 각각 검출하는 공통 부분 검출 수단;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적어도 어느 일부와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합성 동화상을 생성하는 합성 동화상 생성 수단;
    상기 합성 동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합성 동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과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는 파노라마 화상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동화상을 생성하는 파노라마 동화상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파노라마 동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파노라마 동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동화상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과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공통 부분이 서로 겹친 경우에, 상기 촬상 장치가 촬상한 동화상의 프레임 안에 존재하는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일부를 상기 촬상 장치가 촬상한 동화상의 프레임과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프레임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촬상 장치와 상기 촬상 장치와 인접하는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과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서 공통되는 정지화상의 촬상 조건을 결정하는 촬상 조건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촬상 조건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촬상 조건으로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정지화상을 촬상시키기 위해 상기 촬상 조건을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결정된 상기 촬상 조건을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촬상 조건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촬상 조건 또는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촬상 조건으로 정지화상을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따른 촬상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부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동시에 정지화상을 촬상시키기 위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타이밍 신호를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송신하며,
    상기 촬상 수단은,
    상기 타이밍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 따라 정지화상을 촬상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타이밍 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타이밍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 따라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파노라마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타이밍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 따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을 합성함으로써 상기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검출하는 촬상 방향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촬상 방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방향을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을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촬상 방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촬상 방향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를 상기 합성 동화상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며,
    상기 파노라마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촬상 방향의 상대적 방위 차이에 따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정지화상과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쳐 합성함으로써 상기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 서로 인접 관계를 검출하는 인접 관계 검출 수단; 및
    상기 인접 관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인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장치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타이밍 신호를 송신하는 메인 촬상 장치로서 결정하는 메인 촬상 장치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메인 촬상 장치 결정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메인 촬상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타이밍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 따라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정지화상을 촬상시키기 위해,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상기 메인 촬상 장치를 특정하는 신호를 각각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상기 촬상 장치의 촬상 성능을 송신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성능을 수신하며,
    상기 촬상 수단의 촬상 성능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촬상 성능에 기초하여, 촬상 성능 중에서 상기 촬상 수단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을 추출하는 촬상 성능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촬상 조건 결정 수단은,
    상기 촬상 성능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촬상 성능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조건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수단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촬상 성능 추출 수단에 의한 상기 촬상 성능의 추출을 할 수 없는 경우는, 상기 촬상 수단은 정지화상의 촬상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촬상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함으로써 나머지 모든 다른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수단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이 존재하는 경우는,
    상기 촬상 성능 추출 수단은,
    상기 나머지 모든 다른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수단에 공통되는 촬상 성능을 추출하고,
    상기 파노라마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나머지 모든 다른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각각 촬상된 정지화상을 합성함으로써 상기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공통 부분이 검출되기 전에,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되는 동화상을 광각 측에 줌 시키고, 또는 줌 시켜야 할 식별자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줌 실행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동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하나의 동화상과 다른 동화상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공통 부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공통 부분을 서로 겹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다른 촬상 장치끼리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합성 외부 동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합성 외부 동화상 및 상기 합성 동화상을 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촬상 장치를 조작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는 외부 장치 조작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어느 하나에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위치 이동을 유도하도록 표시하는 외부 장치 유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합성 동화상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다른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파노라마 동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이 수신한 상기 다른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합성 동화상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합성함으로써 상기 파노라마 동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정지화상의 촬상의 타이밍 기준이 되는 시각을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한 정지화상의 촬상의 타이밍 기준이 되는 시각과 일치하도록,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한 정지화상의 촬상의 타이밍 기준이 되는 시각을 조정하는 외부 장치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동화상에는 촬상 시각이 부가되어 있고, 상기 합성 동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촬상 시각과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적어도 일부의 상기 촬상 시각을 동기시켜 상기 합성 동화상을 생성하며,
    상기 파노라마 동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동화상의 촬상 시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촬상된 동화상의 촬상 시각을 동기시켜 상기 파노라마 동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수단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는 한 번의 촬상 지시로 각각 복수의 정지화상을 촬상하고,
    상기 파노라마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각 정지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각 정지화상의 서로의 조합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합의 각 정지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가 상기 메인 촬영 장치 결정 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 촬영 장치로 결정된 경우에, 사용자에 따른 촬영 지시가 되고 나서 상기 타이밍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 따라 상기 촬상 수단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정지화상을 최초로 동시에 촬상시킬 때까지의 대기 시간 및 상기 촬영 지시가 되고 나서 상기 타이밍 신호에 의한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 수단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각각 정지화상을 동시에 복수 회 촬상시키는 시간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타이머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타이머 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대기 시간 및 상기 시간 간격을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파노라마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된 각 정지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각 정지화상의 서로의 조합 중에서 촬영 시각이 가까운 조합 또는 상대적 위치 관계의 어긋남이 가장 작은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각 정지화상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130087604A 2012-12-10 2013-07-24 촬상 장치 KR102090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01,548 US9602720B2 (en) 2012-12-10 2013-12-10 Photograp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9518 2012-12-10
JP2012269518A JP2014116790A (ja) 2012-12-10 2012-12-10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808A true KR20140074808A (ko) 2014-06-18
KR102090271B1 KR102090271B1 (ko) 2020-03-17

Family

ID=5112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604A KR102090271B1 (ko) 2012-12-10 2013-07-24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4116790A (ko)
KR (1) KR102090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44A1 (ko) * 2016-10-28 2018-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방위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9440B2 (ja) * 2015-09-18 2020-10-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
CN106713660A (zh) * 2017-01-20 2017-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全景自拍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4527A (ja) * 1998-10-26 2000-05-12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0261794A (ja) * 1999-03-10 2000-09-22 Toshiba Corp 動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この表示方法
US6549681B1 (en) * 1995-09-26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ynthesization method
JP2008104179A (ja) * 2007-10-15 2008-05-01 Seiko Epson Corp 複数の画像データのパノラマ合成
US20090290013A1 (en) * 2008-05-20 2009-11-26 Sony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method, playback control apparatus, playback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10096142A1 (en) * 2009-10-22 2011-04-28 Olympus Corporatio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system
JP2011172093A (ja) * 2010-02-19 2011-09-01 Nikon Corp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3201A (ja) * 2003-08-28 2005-03-17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
JP2006352723A (ja) * 2005-06-20 2006-12-28 Eastman Kodak Co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同期方法
JP5434126B2 (ja) * 2009-02-19 2014-03-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9681B1 (en) * 1995-09-26 2003-04-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ynthesization method
JP2000134527A (ja) * 1998-10-26 2000-05-12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0261794A (ja) * 1999-03-10 2000-09-22 Toshiba Corp 動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この表示方法
JP2008104179A (ja) * 2007-10-15 2008-05-01 Seiko Epson Corp 複数の画像データのパノラマ合成
US20090290013A1 (en) * 2008-05-20 2009-11-26 Sony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method, playback control apparatus, playback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10096142A1 (en) * 2009-10-22 2011-04-28 Olympus Corporatio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ing system
JP2011172093A (ja) * 2010-02-19 2011-09-01 Nikon Corp 撮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44A1 (ko) * 2016-10-28 2018-05-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방위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06048B2 (en) 2016-10-28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omnidirectional vide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271B1 (ko) 2020-03-17
JP2014116790A (ja)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542B1 (ko) 촬영 장치, 복수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촬영 시스템 및 그 촬영 방법
US8817134B2 (en) Imaging control device, subject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8638372B2 (en) Image capture unit with changeable image capture direction
US9179059B2 (en) Image capture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964175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8619120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recorded therein
KR20170040165A (ko)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US20120307101A1 (en) Imag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889441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833254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602720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JP2006162991A (ja) 立体画像撮影装置
JP2013247457A (ja) 撮影機器及び動画像データの記録方法
US8547454B2 (en)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JP2013183306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65909B2 (ja) カメラ
KR20140074808A (ko) 촬상 장치
US11140327B2 (en) Image-captur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capturing system of two cameras
JP2011035642A (ja) 多眼撮影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8033013A (ja) 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13242408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036081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4175931A (ja) 撮影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3826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769534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